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쿠테이키(作庭記)』 연구 : 동아시아적 작정원리를 중심으로

        김승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tries to review 'Sakuteiki 作庭記', the Book of Garden Making, compiled at the end of the 11th century during the Heian period of Japan, from the East-Asian perspective. 'Sakuteiki' is a garden theory book, the oldest in the world as well as in Asia, and it contains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Japanese ancient garden culture, which originated from the continent (Korea and China). Traditional knowledge related to East-Asian garden culture can be seen in two systems at large. One is "Sansu theory" (山水, landscape: Shanshui in Chinese; Sansui in Japanese), formed from the culture to enjoy the beautiful landscape of nature. The other is "Fungsu theory" (風水, Asian traditional ecology: Fengshui in Chinese; Fusui in Japanese), stemmed from the culture to seek sound and blessed places to live in. Viewed from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Sansu theory corresponds to landscape theory (aesthetics) and Fungsu theory to ecology (science). But the two knowledge systems are mixed with traditional social thoughts and can not be defined clearly. Both of these knowledge systems originated from ancient China. Sansu theory was established in the Six Dynasties (229-589) of China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e of landscape painting (山水畵), landscape literature (山水文學) and landscape garden (山水園林). Fungsu theory was also established around the Han Dynasty of China together with Yinyangwuxing (陰陽五行) theory and widely used for making human residences including gardens. These traditional knowledges were transmitted to Japan via Korea as well as through direct transaction between Japan and China. Garden culture, also transmitted from the continent, was modified to Japanese style during the Heian period after the Asuka and Nara period, and garden making theories were documented in Sakuteiki, a book of secrets, which was written for the Shindenzukuri (寢殿造) style garden of aristocrats during the Heian period. The book, written in brush script on scrolls without title and author, wa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until it came to have the name Sakuteiki when it was published in a wood block print as a part of a collection of historical literary works, Gusho Ruiju (群書類從), during the Edo period. There had been many presumptions about the author and compilation year of Sakuteiki. Recently a theory claiming that the author is Tachibana no Toshitsuna (橘俊綱, 1028-1094), who was Shuri no Daibu (修理大夫), a head of an office of construction and repairs of imperial estates, was established. It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author of Sakuteiki mentioned a visit to Kayanoin (高陽院)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its garden. The compilation year is assumed to be around the end of the 11th century, and it seems that some additions were made to an earlier text during the process of transmission. Contents of Sakuteiki can be divided into 10 chapters, that is to say, the main point of garden making, gardening styles, islands, waterfalls, garden streams, setting stones, taboos, trees, wellsprings and miscellany. A large part of Sakuteiki is allotted to making landscapes with stones and water and only a small part is to planting and buildings in the garden. Comparing it with Yuanye (園冶), a Chinese garden theory book written in 17th century, about 600 years later than Sakuteiki, the main point of garden making, that is to say, to make a garden by modelling the natural landscape and conforming to the shape of the place is similar. But while Yuanye is more elaborated in the main theory of gardening, Sakuteiki is more detailed in the methods of making landscapes. The theory of Chagyeong (借景: Jiejing in Chinese; Shakkei in Japanese), borrowed landscap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of Yuanye is not found in Sakuteiki. This study reinterprets garden design principles represented in Sakuteiki, which were selected in 5 key words respectively according to Sansu theory and Fungsu theory mentioned above. The 5 key words for Sansu theory are "Shotoku no senzui(生得の山水, natural landscape)", "landscape style", "Fuzei(風情, landscape atmosphere)", "requests of the stone", and "Buddhist trinity stone" (三尊佛石). And the 5 key words for Fungsu theory are "the place in harmony of four guardian gods (四神相應地)", "planting trees in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flow of Chi (氣)", "curved line and asymmetry", and "mountain is the king, water is the people". "Shotoku no senzui (生得の山水, natural landscape)" and "landscape style" correspond to "Shifaziran (師法自然, modelling nature)" and "Sujing (縮景)" in Sansu theory. Sakuteiki explains how to distill beautiful landscape from wild nature, to stylize its ideal form, and represent it in the garden. Stylized landscapes in Sakuteiki are such as the Ocean Style (大海 樣), the Broad River Style (大河 樣), the Mountain Torrent Style (山河 樣), and so on. "Fuzei (風情: Fungjeong in Korean; Fengqing in Chinese)", quality of a place as well as artistic sense of the garden designer, and "follow requests of the stone", ideal methods of setting stones, are connected to "Yijing(意境, spiritual realm)" in the landscape aesthetics of East-Asia. Yijing means an artistic or aesthetic realm in which subject of designer and object of landscape, namely, Jung (情, feeling: Qing in Chinese; Jyo in Japanese) and Gyeong (景, landscape: Jing in Chinese; Kei in Japanese) meet together. Lastly, "Buddhist trinity stone (三尊佛石)" is a method of setting three stones beautifully and strongly. "Buddhist trinity stone" is also a basic unit in setting stones and extends to more complicated methods, such as "Sumisan(須彌山: Xumishan in Chinese; Shumisen in Japanese) Stone-setting" or "Waterfall Stone-setting". This trinity stone setting is connected to the principle of Samjae (三才, the tripartite structure of the universe: Sancai in Chinese; Sansai in Japanese) and to culture of making hills and setting stones (築山石組), which appeared commonly in the three countries of East-Asia. Garden design principles of "the place in harmony of four guardian gods(四神相應地)" and "planting trees in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are corresponding to "Myeongdang-ron (明堂論, theory of propitious site). The place in harmony of four guardian gods mentioned in Sakuteiki is a landform surrounded by the flow of water to the east, the great path to the west, the pond to the south, and the hill to the north. And the theory originated from Zhaijing (宅經, Classic of dwelling Sites) of China.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city was planned and as a miniature model, the residence of the aristocrat during the Heian period was made. At the residence the location of the garden surrounded by the four gods (the flow of water, the great path, the pond, and the hill) is the Myeongdang (明堂, the propitious site: Mingtang in Chinese; Meido in Japanese). Sakuteiki explains how to substitute for the four gods by planting trees in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when they were not given by nature. This way of planting originated from Zhaijing (宅經) and also goes back to Qiminyaoshu (齊民要術), compiled in the 6th century of China. In this way of planting, the number of trees suggested in Sakuteiki is related to Hetu (河圖) and Luoshu (洛書), which are iconography of Yi (易), the philosophy of change, in ancient China. Such way of planting corresponds to that of Yongdoseo (龍圖墅, the villa based on the principle of Hetu) presented in Sanrimgyeongje (山林經濟), an encyclopedia on agriculture and living in the 17 century of Korea. And garden design principles of "the flow of Chi (氣)", "curved line and asymmetry" is connected to "Saenggi theory (生氣論, theory of vitality)". Sakuteiki explains the right flow of Chi (氣) through the proper flow and the reverse flow of the garden stream and also suggests the curved line of the garden stream, asymmetric arrangement of bridges and stones in the garden, and indented shape of pond edges, which are ways of accumulating Chi (氣) and therefore lead to "Saenggi theory" of the Fungsu theory. The last design principle, "mountain is the king, water is the people", is related to "Hyeongguk theory (形局論, theory of form)" of the Fungsu theory. Sakuteiki explains the meaning of garden through a metaphor, which views mountain as king, water as the people, and stones as king's retainers. It compares the situation in which the king governs the people with the help of his retainers to the ecological phenomena in which mountain (earth) controls water with the help of stones. This principle befits "Hyeongguk theory (形局論, theory of form)" of the Fungsu theory which explains landform on the analogy of social systems, people, animals and things. As above, major garden design principles represented in Sakuteiki can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Sansu and Fungsu theories,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s in East-Asia. Therefore, we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Sakuteiki in that the wisdom of ancient garden culture in East-Asia was integrated in it, although it described the knowhow of a specific garden style in a specific period of Japan. 본 연구는 11세기말경 일본 헤이안 시대에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 조원고서 『사쿠테이키(作庭記)』를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고찰한 것이다. 『사쿠테이키』는 동아시아에서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가장 오래된 조원이론서라 할 수 있는데, 대륙(한국과 중국)에서 연원한 일본 고대 정원문화의 지혜가 축적되어 있다. 정원문화와 관련된 동아시아의 전통 지식체계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아름다운 자연산수를 향수하는 문화에서 형성된 산수론(山水論)과 건강하고 복된 거처를 찾는 문화에서 형성된 풍수론(風水論)이다. 산수론은 현대 조경이론의 풍경론(미학)에 해당하고 풍수론은 생태론(과학)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두 전통 지식체계는 사회사상체계와 혼재되어 있어 명확히 분리되기는 어렵다. 이 두 전통지식체계는 모두 고대 중국에서 연원한다. 산수론은 중국 육조시대에 확립되어 산수화, 산수시, 원림(정원)의 문화와 연결되었고, 풍수론도 한나라 때 음양오행론과 함께 형성되어 정원을 포함한 인간의 거처 조성에 폭넓게 활용되었다. 이 전통은 한반도를 통하여 일본에 전래되고 또 중국과의 직접 교류를 통해 일본 문화에 통합되었다. 역시 대륙에서 전래된 정원문화는 아스카, 나라 시대를 거쳐 헤이안 시대에 일본적인 변용이 이루어지고 헤이안 시대 귀족들의 신덴즈쿠리(寢殿造) 정원에 이르러 그 작정원리들이 『사쿠테이키(作庭記)』라는 비전서(秘傳書)에 기록되게 된다. 명칭과 저자가 불명인 비전서로 전해지다 에도시대에 『군쇼루이주(群書類從)』라는 역사문헌선집에 포함되어 목판으로 간행될 때 『사쿠테이키』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 『사쿠테이키』의 성립 연대와 저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었으나 『사쿠테이키』에 등장하는 가야노인(高陽院) 개수에 저자가 참여하였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헤이안 시대에 수리대부(修理大夫)를 역임했던 다치바나노 도시쓰나(橘俊綱)가 선대의 지식을 바탕으로 편찬했다 설이 확립되었다. 성립연대는 11세기말경으로 추정되며 대를 이어 필사․전승되는 과정에서 약간의 가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쿠테이키』의 내용은 작정의 요지, 정원 양식, 섬, 폭포, 계류, 돌 놓기, 금기, 나무, 샘, 기타 등 10개의 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실제 다루어진 내용과 분량을 보면 돌과 물로 경관을 만드는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나무(식재)와 건축물에 관한 내용은 별로 없다. 『사쿠테이키』보다 약 600년 뒤 명나라 때 편찬된 중국의 조원고서 『원야(園冶)』와 비교하면 자연 풍경을 본받아 지형에 맞게 작정한다는 기본원리는 서로 상통하는 바가 있다. 작정의 기본원리는 『원야』가 더욱 정치하고 경관을 만드는 방법은 『사쿠테이키』가 더 자세하다. 그리고 『원야』의 중요한 부분인 차경원리가 『사쿠테이키』에는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사쿠테이키』에 나타난 작정원리들을 위에서 말한 동아시아의 산수론과 풍수론에 따라 개념어들을 각각 다섯 가지씩 추출하여 재해석하였다. 산수론에 따른 작정원리는 “생득의 산수”, “풍경 양식”, “풍정(風情)”, “돌의 요청”, “삼존불석”이고, 풍수론에 따른 것은 “사신상응의 땅”, “사방에 나무심기”, “기의 흐름”, “곡선과 비대칭”, “산은 제왕 물은 신하”이다. “생득(生得)의 산수”와 “풍경 양식”은 산수론의 “사법자연”(師法自然, 자연을 본받음)과 “축경(縮景)” 원리에 해당된다. 『사쿠테이키』에서는 실제 자연풍경인 “생득의 산수”로부터 탁월한 부분을 추출하고 그 이상적인 모습을 양식화 하여 정원에 재현하는 법을 논하고 있다. 양식화된 풍경은 바다 양식(大海 樣), 큰 강 양식(大河 樣), 산 계류 양식(山河 樣) 등이다. 장소의 특질이자 작정자의 예술적 감각인 “풍정(風情)”과 입석법(立石法)의 요체인 “돌의 요청에 따르라”는 원리는 산수론의 “의경론”(意境論)과 연결된다. 의경론은 작정자의 주관과 경물의 객관, 그리고 정(情)과 경(景)이 일치하는 예술적 경지를 뜻한다. 다음 “삼존불석(三尊佛石)”은 세 개의 돌을 미적으로 아름답고,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축조하는 방법이다. 이 삼존불석은 석조의 기본단위로서 “수미산 석조”나 “폭포석조(瀧石組)” 같은 좀 더 복잡한 석조로 확장될 수 있다. 이 삼위일체의 석조법은 동아시아의 삼재(三才) 원리와 상통하며, 동아시아 삼국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축산석조(築山石組)의 문화와 연결된다. “사신상응(四神相應)의 땅”과 “사방에 나무심기”라는 작정원리는 풍수의 “명당론(明堂論)”에 해당된다. 『사쿠테이키』에서 말하는 사신상응의 땅은 동쪽에 유수(流水), 서쪽에 대도(大道), 남쪽에 연못(池), 북쪽에 언덕(岡)으로 둘러싸인 지세를 말하며 중국의 양택풍수서인 『택경(宅經)』에 기원한다. 이 원리에 따라 도시가 계획되었고 그 축소 모델로 귀족의 저택이 만들어졌다. 인공으로 조성된 사신(四神)인 계류와 연못이 있는 정원(南庭)은 명당자리에 해당된다. 『사쿠테이키』에서는 또한 이와 같은 사신(유수, 대도, 연못, 언덕)이 없을 경우 사방에 나무를 심어 대신하는 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식재법은 『택경』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6세기 중국의 농서인 『제민요술(齊民要術)』에도 유사한 내용이 있다. 또한 식재하는 나무의 숫자를 추적한 결과 고대 역(易)의 원리인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숫자와 관계가 있고 한국의 『산림경제』에 나오는 용도서(龍圖墅: 河圖의 원리에 맞춘 별장)의 식재원리와 연결된다. 다음 “기의 흐름”과 “곡선과 비대칭”의 원리는 풍수의 “생기론(生氣論)”에 해당된다. 『사쿠테이키』에서는 순류와 역류 방향을 통해 기의 올바른 흐름이 제시되고 있으며, 『사쿠테이키』에서 제안하는 구불구불한 계류의 곡선, 다리와 돌의 비대칭적 구성, 그리고 연못의 들쭉날쭉한 가장자리선 등은 모두 기가 모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풍수의 생기론과 상통하는 원리이다. 마지막 원리인 “산은 제왕 물은 신하”는 풍수의 “형국론(形局論)”에 해당된다. 『사쿠테이키』는 정원을 만드는 의미를 산은 제왕, 물은 신하, 돌은 보좌신(輔佐臣)에 비유하여 설명한다. 왕이 보좌신의 도움을 받아 백성을 잘 다스리는 상황을 돌의 도움으로 산(흙)이 물을 조절하는 생태적 현상에 비유한 것이다. 이는 자연 지형을 사회체제나 인물, 동물, 사물 등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풍수의 형국론과 통한다. 이상과 같이 『사쿠테이키』에 나타난 주요 작정원리들은 동아시아 전통인 산수론과 풍수론의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쿠테이키』는 일본의 특정시대에 특정한 정원의 작정법을 기술한 책이지만 거기에는 일본 고대의 정원문화, 나아가 동아시아 고대 정원문화의 지혜가 종합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그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다.

      • 아파트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수원지역을 대상으로

        김승윤 용인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on stability of the apartment housing market by giving valuable informations to not only demanders but also suppliers of apartment houses by investigating the comprehensive factors influencing on an apartment house pric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vious literatures and studies on factors influencing on an apartment house were thoroughly reviewed and empirical data were analyzed. To find out comprehensive factors, this study conducted survey by circulating over five hundreds questionnaires to the persons who are seeking apartments in the Suwon city. After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s, macroeconomic factor, social location factor and natural environment factor are chosen. Each factor was classified into sub-factors and each question was made to be answered by five levels according to their significance degrees. In addition, respond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ex, age, income level, house ownership, and forms of residence. The answers were compared with one another to find out whether the results are influenced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in macroeconomic factor, government policy was the leading subfactor and in social location factor, educational environment subfactor, and in natural environment factor, surrounding landscape subfactor including green area accordingly. Respondents determined the ranking as social location factor first, natural environment factor second, and macroeconomic factor thir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alysis, most of th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ew sub-factors in macroeconomic factor and social location facto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거주용 부동산인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아파트를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의향자에게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급자에게는 수요자들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요소들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를 아파트 공급과정에 반영하여 수요자가 선호하는 아파트를 공급함으로써 적정 분양가격의 산정과 미분양 해소를 위한 공급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아파트 시장의 안정화에 기여하는데 있다.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기존연구는 거시경제, 입지적 특성, 자연환경 등 특정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요인과 아파트 가격과의 관계에 대한 계량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수요자의 입장에서 아파트 가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을 크게 거시경제적 요인, 사회입지적 요인, 그리고 자연환경적 요인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 영역에서 아파트 가격에 유의한 영향이 있다고 밝혀진 요인들을 세부적으로 정리하고 이들 세부요소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각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그 중요성을 답하도록 하였다. 추가적으로, 응답자를 성별, 연령별, 소득수준별, 주택의 소유 및 거주형태 별로 구분하여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응답 결과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비교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거시경제적 요인으로는 아파트 관련 규제, 공급 및 금융정책 등 정부정책관련 요소의 중요성이 높았다. 사회입지적 요인 중에는 교육 환경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으며 자연환경적 요인으로는 주변경관, 녹지면적 등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을 구성하는 세부항목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였을 경우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요인에 관한 총 응답자의 응답결과는 사회입지적 요인, 자연환경적 요인, 거시경제적 요인 순으로 중요도에 대한 순위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중요도 인식의 차이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거시경제환경 및 사회입지적 요소의 몇몇 항목에서 응답자 특성에 따른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대다수의 항목에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는 않았다.

      • 청소년의 자기긍정 편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승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긍정 편향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고등학교 세 곳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 494명(남학생 237명, 여학생 257명)이었다. 청소년의 자기긍정 편향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Lee, Kim과 Uhlemann(2002)의 척도를 김혜영(2002)이 청소년용으로 번안한 성격묘사에 관한 질문지(Rating of Self and Others: RSO)와 사건 가발성(可發性)에 관한 질문지(Positive and Negative Events Checklist: PNEC)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Folkman과 Lazarus(1984)의 척도에 기초하여 김정희와 이장호(1985)가 요인분석하여 개발한 척도를 바탕으로 김은정(1999)이 수정하여 축소한 것을 사용하였다. 학교적응은 김용래(1993)가 제작한 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자기긍정 편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의 일반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산출하였으며, 자기긍정 편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긍정적 착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에 대한 지각과 미래에 대한 기대에서 청소년의 자기긍정 편향이 발견되었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청소년은 소망적사고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문제중심 대처방식, 사회적지지 추구방식 그리고 감정완화 대처방식 순으로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중간 수준이었으며 하위영역 별 적응 수준은 학교생활, 학교친구, 학교환경, 학교교사, 학교수업 적응 순이었다.둘째, 청소년의 자기긍정 편향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문제중심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학교적응을 잘하였고, 하위 영역별 학교적응 중 학교환경, 학교교사, 학교수업, 학교친구, 학교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정완화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학교친구적응을 잘했으며 소망적사고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학교친 구, 학교생활적응을 잘했다. 그러나 감정완화 대처방식과 소망적사고 대처방식은 전체 학교적응과는 관련이 없었다. 넷째,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인들은 자기고양 편향, 낙관주의 편 향, 문제중심 대처방식이었으며 상대적인 영향력은 낙관주의 편향, 문제중심 대처방식, 자기고양 편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자기긍정 편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의 낙관주의 편향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기고양 편향이 높을 수록 청소년은 학교에 잘 적응한다.

      • 태양광 에너지 사업의 효율적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김승윤 용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의 에너지 사용은 지난 40여 년간의 경제개발 개혁과 맞물려 급속도로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화석연료로부터 발생되는 온실가스(Green House Gas)가 지구 온난화의 한 요소로 지목되면서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지구 온난화 대비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기구를 조직하기로 한 국제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되었다. 최근 우리사회는 에너지 절약 시책의 지속적인 추진으로 에너지 저소비형으로 전환되고 있으나, 산업구조가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로.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부가가치 창출력이 미흡하여, 국가 전반적으로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국제 유가의 폭등과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국제적인 규제 움직임 속에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화석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고, 새로운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국가에서 현재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신·재생 에너지에 대하여 그 종류와 기술개발의 동향분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개발이 가능한 태양광 에너지 부문에 대한 효율적 추진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 개발전략을 제시하는데 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우리나라 태양광 에너지 개발의 효과적 추진 방안을 모색해 보았으며, 그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태양광 에너지 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개발과 시장 확립이 필요하다. ② 태양전지의 대량생산과 태양광 시스템의 저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과 시장 확립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저가형 태양광 시스템 실현을 위한 태양전지 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시장 확충을 위해서는 개발의 주체가 되는 생산업체의 꾸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④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장려정책을 통한 시장의 확충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나타난 생산원가가 다른 에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내고 있는 문제는 향후의 연구 대상이 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다는데 그 의미를 둘 수 있다. The use of energy has rapidly increased along with the economical development for the last 40 years. As pointed out as one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global warming Green House Gas produced by Fossil fuel,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hich consist of every global organization preparing for global warming was adopted at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held in Rio, Brazil in 1992.While our society has recently changed to energy low-consumption owing to continuous promotion, our country itself lack of overall knowledge of energy savings considering that our industrial structure are energy high-consumption and low-value added for energy savings. Thus, we should reduce the use of fossil fuel to secure energy we need and develop new alternative energy in accordance with global regulation relative to soaring prices of global oil and the production of greenhouse gases.Therefore, the objective of following study is that we are addressing the development strategy and looking around efficient promotion schemes of solar energyour country is able to develop based on analysis of technical development trends and all kinds of new and regenerated energy our country and foreign are currently interested in.To achieve the objective, I try to find schemes for the efficient promotion of solar energy development in our country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y. The abstract of results is as follows: ① We need to develop the following technical development and establish markets to promote solar energy business strategically. ② It is desirable that at once we should promote market establishment and technical development to realize low priced solar system and mass production of battery. ③ We need a development program for solar battery to realize low pried solar system. The subject of development, manufactures should constantly study to establish markets. ④ We need to expand markets through the policy of government encouragement for solar energy. The problem that the cost of production indic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energy can be the cornerstone of an object of study in the future.

      • 롤러 전압 콘크리트 포장에 대한 Vebe Test와 Proctor Test의 기초연구

        김승윤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CO2 have encouraged all over the world, in the pavement field, the importance of green building construction is being emphasized. Roller compacted concrete is environment-friendly paving technique and this is machinery construction with asphalt paver and vibration roller compared to conventional concrete pavement. Roller compacted concrete pavement have good features, such as simple construction process and low costs, high structural performance due to internal aggregate interaction by compaction as well as hydration. Roller compacted concrete which are economical and durable, are investigated use as road pavement. The properties of roller compacted concrete examined by exploring strength test with various mixture ratio and compaction level. In case of the roller compacted concrete, two types of Vebe Test and Proctor Test was applied. In this study, in an effort to verify applicability of pavement with roller compacted concrete method, analysis of Vebe Test and Proctor Test was performed.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중 CO2 저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로 분야에서도 점차적으로 환경 친화적 건설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롤러 전압 콘크리트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포장기술로써 일반 콘크리트 포장 공법과는 달리 아스팔트 페이버와 진동롤러를 이용하여 기계화 시공을 실시하는 공법이다. 롤러 전압 콘크리트 포장은 시멘트 수화 반응뿐만 아니라 다짐으로 인한 골재 맞물림 효과로 인해 사용되는 재료특성에 비하여 높은 구조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 전압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 콘크리트의 배합이 굳지 않은 상태에서 다짐하는 동안 롤러를 지지해야 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콘크리트가 필요로 하는 슬럼프 방법을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측정하게 된다. 롤러 전압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Vebe Test와 Proctor Test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롤러 전압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로 포장에 적용하기 위한 국외에서 적용하고 있는 Vebe Test와 Proctor Test 비교⋅분석을 실시하고, 롤러 전압 콘크리트 공법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서로 다른 캐비테이션 모델에 따른 실린더 주위의 공동유동현상 전산해석

        김승윤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Engineering interests of submerged bodies and turbomachinery have led researchers to study various cavitation models for decades. The governing equations used for the present work are the two-phase Navier-Stokes equations with homogeneous mixture formation. The solver employed on implicit dual time preconditioned algorithm in curvilinear coordinates. The computation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cylinders with 0-caliber, 1/2-caliber forebody and then compared with experiments and other numerical results. In addition three different cavitation models were applied to two axisymmetric cylinders and compared with experiments. It is concluded that the Merkle's new cavitation model has successfully accounted for cavitating flows and well captured the re-entrant jet phenomenon over the 0-caliber cyli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