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C/MS/MS, GC/MS/MS를 이용한 국내유통 다소비 농산물의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 평가

        박영주 부경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511 agricultural chemicals and verified the multicomponent analysis method. Brown rice and citrus were selected from the representative agricultural products, and 511 pesticides were analyzed by using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EN method and LC/MS/MS and GC/ㅌMS/M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component analysis method, a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at 6 concentrations in the range of 0.005-0.2 mg/kg containing 0.01 mg/kg of PLS level using an untreated sample solution. In all specime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pesticides was (R2) 0.8 or higher, showing high linearity, and the quantitative limit of each component was 0.01 or les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covery rate at the LOQ level in the sampl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overy rate was 60-120% for most pesticides, and the relative quasi-deviation was less than 31%.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e multi-component analysis method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a survey on residual pesticides among agricultural products. In addition, a total of 511 pesticides (577 ingredients) were analyzed using GC/MS/MS and LC/MS/MS for 280 agricultural products of 15 kinds, and 159 pesticides of 95 kinds were detected from 12 kinds, all below the acceptable residual standard.

      • 만 4, 5세 유아의 로봇에 대한 인식 : 생명현상 추론 및 생명성, 외양, 역할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박영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robots in young children of 4 and 5 years old focusing on the inference of life phenomena, vitality, appearance, and rol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differences are there about the perception of inference of life phenomena and vitality of robots depending on the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appearance of robots depending on the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3. What differences are ther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robots depending on the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200 who were attending nursery schools located in I and J city, Jeollabuk-do. 100 of them were 4-year-old (50 boys, 50 girls) and another 100 were 5-year-old young children (50 boys, 50 girls). Seven institutions were randomly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50 children in each gender and age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a total of 211 young children from 15 classes, 7 classes of 4-year-old and 8 classes of 5-year-old. The inference of life phenomena of the robot was studied using the question of the life phenomenon inference task of Min-Kyung Kim(207). To study the perception of the vitality of robots, the Picture Sorting Task of Kory-Westlund & Breazeal (2019) was used. To study the perception of similarity with a human in appearance, three questions about shape, behavior, and communication were used, based on the Cogniron Final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of Dautenhahn et al. (2005). To study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robots, the role recognition questionnaire of Yoo Jung-hwa and Kim Young-sil(2020) was us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th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each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to study inference of the life phenomena of robots 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independent two-sample t-tes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vitality of the robot, the entity mean positions were calculated by the average of each object rank, and the entity mean distance from Nao robot scores were calculated by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Nao robot to each photo. Second, χ2-tes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perception of the appearance of robots 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referenc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for the response to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preferred and hated robo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imilarity with humans in appearance. Third, χ2-tes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robots 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of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bout the inference of life phenomena of the robot, inference of biological phenomena was higher in 4-year-old young children than in 5-year-ol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ference of psychological phenomena between 4- and 5-year-old.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in the inference of life phenomena and psychological phenomena. It was found that 5-year-olds perceived the vitality of the robot better than 4-year-ol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It was found that 5-year-olds perceived the vitality of the robot better than 4-year-olds according to the entity mean distance from Nao robo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In other words, 5-year-old perceived the life phenomena and vitality of robots better than 4-year-old. Second, for the degree of preference to robot image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both 4- and 5-year-old preferred the animal-shaped robot the mos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specific perception of the preferred robot between 4- and 5-year-old. For the types of the preferred robot according to gender, boys preferred the appearance of machine-human, and girls preferred the appearance of anima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preferred robot. For the degree of hate to robot image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both 4- and 5-year-old hated the human-appearance robot the mos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specific perception of the hated robot between 4- and 5-year-old. For the types of the hated robot according to the gender, both boys and girls hated human-appearance robo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uter shape and behavior in the perception of similarity with a human in appeara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between 4- and 5-year-ol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hird, as for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robots at home, 4-year-old responded the most as playmates, and 5-year-old responded the most as housekeep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 and 5-year-old. According to the gender, both boys and girls responded the most as playmat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As for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robo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oth 4- and 5-year-old responded the most as friend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 and 5-year-old. According to the gender, both boys and girls responded the most as friend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nference the life phenomena, vitality, appearance, and role of robots between 4- and 5-year-ol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4- and 5-year-old in the perception of similarity to humans and roles among inference of life phenomena, vitality, and appear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in preference and hate according to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in the perception of appearance. By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te. 본 연구에서는 만 4, 5세 유아의 로봇에 대한 인식을 생명현상 추론 및 생명성, 외양, 역할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로봇 생명현상에 대한 추론과 생명성에 대한 인식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로봇 역할에 대한 인식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전라북도 I시와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4세 유아 100명(남아 50명, 여아 50명), 5세 유아 100명(남아 50명, 여아 50명)으로 총 2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임의선정된 7개 기관의 4세 7학급, 5세 8학급 총 15학급의 유아 211명 중에서 각 연령별로 남녀 동일하게 50명씩 임의표집 하였다. 로봇의 생명현상에 대한 추론은 김민경(207)의 생명현상 추론과제의 질문을 사용하였다. 로봇의 생명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Kory-Westlund 와 Breazeal(2019)의 Picture Sorting Task를 사용하였다. 외양상 인간과의 유사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Dautenhahn 등(2005)의 연구에서 사용된 인지로봇연구설문지(Cogniron Final Questionnaire)에서 외모, 행동, 의사소통의 3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로봇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유정화, 김영실(2020)의 역할 인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로봇의 생명현상에 대한 추론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로봇의 생명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각 개체순위의 평균(entity mean positions)을 산출하였고, 나오로봇과의 상대적인 위치(entity mean distance from Nao robot) 점수는 나오로봇 사진을 기준으로 나오로봇 사진으로부터 각 개체까지의 거리로 하였다. 둘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로봇 외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χ2-test를 실시하였고, 선호하는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선호하는 로봇과 혐오하는 로봇을 선택한 이유에 대한 응답에 대해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외양상 인간과의 유사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로봇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2-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의 생명현상에 대한 추론에서 생물현상 추론은 5세보다 4세 유아가 더 높게 추론하고 있었고, 심리현상 추론은 4세와 5세간에 추론하는 정도에 차이가 없었다. 생물현상 추론과 심리현상 추론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로봇의 생명성에 대한 인식은 4세보다 5세가 로봇의 생명성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나오로봇과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로봇의 생명성 인지는 4세보다 5세가 더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5세가 4세보다 로봇의 생명현상이나 생명성에 대해 더 잘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외형적 특성에 따른 로봇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는 4세와 5세 모두 동물모습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로봇에 대한 연령별 인식은 4세와 5세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선호하는 로봇 유형에는 남아의 경우, 기계-사람모습을, 여아의 경우, 동물모습을 선호하였으며, 선호하는 로봇에 대한 남아와 여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외형적 특성에 따른 로봇 이미지에 대한 혐오도는 4세와 5세 모두 사람모습을 가장 혐오하였으며, 혐오하는 로봇에 대한 연령별 인식은 4세와 5세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혐오하는 로봇 유형에는 남아와 여아 모두 사람모습을 혐오하였으며, 남아와 여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외양상 인간과의 유사성에 대한 인식은 외모와 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의사소통은 4세와 5세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가정에서의 로봇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4세의 경우, 놀이친구, 5세의 경우, 가사도우미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4세와 5세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 남아와 여아 모두 놀이친구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남아와 여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로봇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4세와 5세 모두 친구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4세와 5세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 남아와 여아 모두 친구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남아와 여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로봇의 생명현상에 대한 추론과 생명성, 외양 중 인간과의 유사성, 역할에 대한 인식은 4세와 5세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외양에 대한 인식에서 외형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와 혐오도에서는 연령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선호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혐오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靜菴 趙光祖 硏究

        박영주 단국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趙光祖는 中宗 10年(1515) 그의 나이 33歲로 관직에 나아가 38歲이던 中宗 14年(1519) 己卯士禍에 희생될때 까지 4년간이 그의 公的인 生涯의 全部일 만큼 短命한 사람이었다. 中宗反正 이후 登場한 그는 자신의 時代가 일대 道德的인 危機의 時代라고 판단했다. 土大夫들이 聖賢의 가르침에 입각한 道德的인 覺醒이 없다면 亂局을 克服할 수 없다고 斷定하였으며 이러한 信念을 具現하기 위하여 盡力한 人物이었다. 趙光祖 政治思想의 理論的 背景은 性理學이었고,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한 政治形態는 堯·舜·禹 三代의 王道政治였다. 王道政治의 實現을 위해서는 임금은 仁道를 바탕으로 仁政을 行해야 하며, 大臣은 學問에 힘쓰고 임금을 잘 보필하여 朝廷을 和合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調聖試 對策文에서 밝히고 있다. 王道政治 實現을 위한 趙光祖의 노력은 두가지 方向의 改革政治의 施行으로 具體化 되었다. 하나는 土林이 追求하던 性理學의 社會的 底邊 擴大·社會的 實踐을 强化하려는 政策들로서 昭格暑의 革罷와 小學의 普及, 그리고 鄕約의 實施가 그 대표적인 것들이다. 다른 하나는 士林의 政治的 自律性과 主導權을 提高하기 위해 勳舊勢力과 士林 사이의 勢力關係를 변동시키고저 했던 政策들로서 賢良科의 實施와 僞勳削除의 단행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이 두가지 方向의 政策들은 士林支配의 性理學的 政治秩序 수립이라는 목표를 中心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施行되었던 것이다. 趙光祖가 中宗 10年 中央政界로 進出하여 活動하던 時期는 政治的·社會的 분위기가 매우 혼란한 時期였다. 反正으로 즉위한 中宗은 新進士類를 登用하여 이러한 분위기를 刷新하고자 노력 하였다. 이와같은 時代的 분위기 속에서 趙光祖는 小學實踐運動을 展開하여 性理學의 普及을 推進하였으며 呂民鄭約 實施를 통해 改革政治 施行의 基盤을 마련하려고 하였다. 賢良科는 科擧制 自體가 지니고 있는 모순을 是正하고자 한 점도 있으나 士林派 官僚들은 이것을 週利用하여 오히려 自派의 勢力伸張을 도모하여 朝廷에 士林派가 점점 布列하여 가니 자연 詞章派의 不安을 造成한데서 己卯士禍는 싹트고 있었던 것이다. 趙光祖 등 新進土類들의 집요한 改正論議로 中宗 14年 11月에 靖國功臣 76名의 僞勳이 削除되었다. 僞勳削除는 己卯士禍를 불러 일으키는 가장 큰 要因이 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은 新進士類들의 움직임은 舊臣들과의 사이에 反目·對立을 낳았으며 獨善的인 면이 있었으며 妥協하지 않았다. 이러한 형세는 더욱 深化되어 결국 己卯士禍를 일으키게 되었다. 己卯士禍와 함께 趙光祖는 除去 되었고 〈小學〉도 凶書로 禁止되었으며 鄕約, 賢良科도 廢止되었다. 결국 趙光祖를 위시한 士林派 學者들은 革新政治를 主張함에 너무 서둘렀고 勳舊派 舊臣들을 小人視하여 士林派 以外의 勳舊大臣들과 融化할 줄 몰랐던 것이다.

      • 현상학적 관점으로 고찰한 테크놀로지 발전 양상과 사운드 아트 연구

        박영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196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던의 움직임이 문화예술계에 확산되면서 클래식 음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등장한 사운드 아트에 관해 연구한다. 특히 음악 문화로 대표되는 서양음악의 전통이 규정한 원칙들을 거부하고, 새롭게 변화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주목한다. 이를 테크놀로지의 발전 양상과 함께 현상학적 관점으로 살펴본다. 콘서트홀에서의 집중적 청취, 정형화된 작곡과 창작 소재, 악보와 작곡가의 권위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중엽에 정립된 클래식 음악의 특성이다. 19세기 말 축음기의 등장은 레코드로 대변되는 음악 산업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클래식 음악의 저변을 확대하여 음악 문화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했다. 그런데 20세기 테이프레코더, 스피커, 서라운드 시스템 등과 같은 사운드 저장과 재생 기술이 점차 발전하게 되면서 음악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려는 시도들이 생겨난다. 이때부터 클래식 음악의 전통에 기대서는 알 수 없었던 사운드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해 창작 소재, 작곡 방법, 청취 방식 등과 같이 규정된 클래식 음악의 특성을 확장시키려는 움직임으로 드러난 청각 문화의 잠재된 가능성이다. 가령 사운드 퍼포먼스, 사운드 스케이프, 사운드 설치 등의 장르를 포함하는 사운드 아트를 들 수 있다. 사운드 퍼포먼스는 완성된 작품 위주가 아니라, 음악가의 신체 및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운드를 표현하는 행위이다. 이때 다른 장르의 예술들은 서로 융합하게 되고, 연주자와 청자의 경계는 모호해진다. 이들은 서로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상호작용하게 된다. 일상 환경에서의 예술을 지향하는 사운드 스케이프는 콘서트홀을 벗어나 외부 환경으로 사운드의 청취 장소를 다변화하고, 주변의 환경 사운드와 작품의 사운드가 어우러지는 과정을 청자가 지각하게 한다. 사운드 설치는 사운드 테크놀로지를 적극 활용하여 음향 공간을 구현하고, 청자에게 입체적 청취 경험을 제공한다. 바로 이러한 시도들이 음악 문화를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를 가능하게 했다. 사운드 테크놀로지란 사운드의 녹음, 저장, 재생, 제작, 편집 등에 필요한 기술이다. 이 기술들이 점차 발전하면서 하이파이 사운드로 3차원의 공간에 입체적인 사운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더불어 청자가 사운드를 지각하여 체득하는 청취 체험이 강조되면서, 사운드 현상학이라는 인문학적 사유도 개입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운드 현상학은 그동안 클래식 음악이 작곡의 의도, 작품의 의미, 음악적 구조와 형식 등을 파악하기 위해 작품에만 집중했던 것에서 벗어나 청자의 청취 체험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사운드 지각범주의 다양성, 입체적 음향 공간에서의 청취 체험, 청자의 청각적 상상과 주관적 청취, 관객의 인지적 참여 등 사운드의 영향력에 대한 고찰은 그동안 간과되었던 청각 문화의 잠재된 가능성에 주목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작품 사례를 현상학적 관점으로 분석한다. 음악 문화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킨 사운드 퍼포먼스, 사운드 스케이프, 사운드 설치의 1세대 아티스트 작품 중, 사운드를 소재로 청각의 특성을 표현하는 작품이거나 국가의 특정 장소를 대표하는 사운드 건축물을 선정하여 사운드 현상학적 관점으로 논의할 수 있는 영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상학적 관점으로 상황과 맥락 안에서 지각 주체인 청자와 지각 대상과의 관계를 통해 청취 경험의 활동을 분석하는 과정은 작품을 초월적인 완벽한 존재로 대상화하여 수용했던 클래식 음악 문화에서 그동안 고려하지 않았던 청각 문화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청자를 둘러싼 사운드 환경과 지각 체험에 관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디지털화된 기술 환경에서 삶의 곳곳에 녹아든 사운드는 우리와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사운드는 더 이상 우리의 삶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기술 환경으로의 변화는 우리의 생활방식, 사고, 행동 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산업, 예술, 문화 등의 분야를 융합하게 한다. 또한 시공간을 초월하여 서로 간의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미디어와 기술, 사회, 개인을 연결하고 통합한다. 그렇기 때문에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사운드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클래식 음악 분야에서는 영상, 게임 혹은 광고와 협업하기도 하며, 전통적 공연 방식에서 디지털 영상, 홀로그램, VR기술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불과 몇 년 사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인공지능 기술은 빅데이터,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공지능과 목소리로 대화하는 음성인식 서비스, 청자의 취향에 따라 음악을 추천하는 서비스 등의 일상적 기술로 생활에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다. 테크놀로지가 빠르게 발전하고, 사회ㆍ문화 환경이 급변하면서 사운드의 활용 가능성은 매우 다양해졌다. 어떤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 것인지는 예측할 수 없는 일이다. 그 영향력 또한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다방면에서 시도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은 다시 한 번 우리를 음악 문화 패러다임 변화의 문턱에 서게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답하고자 하는 노력이기도 하다. 역사적, 사회ㆍ문화적 맥락에서 축음기, 테이프레코더, MP3, 스피커, 하이파이 사운드, 서라운드 시스템 등으로 발전한 사운드 테크놀로지가 우리의 문화와 생활, 생각과 행동 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는 것과 동시에 음악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음악 분야 창작자, 연주자, 관객 등이 예측할 수 없는, 매우 새로운 첨단 기술을 마주할 때 그리고 이 기술이 낳은 음악 환경의 다차원적인 변화를 마주할 때 어떻게 유연하게 대처할지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같은 맥락에서 아직도 19세기의 연구 방식을 고수하여 작곡의 의도, 작품의 의미, 음악적 구조와 형식 등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작품의 내재적 의미에만 집중하는 클래식 음악 연구의 변화 필요성도 드러내고자 한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로 다양한 음악의 형태가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하여 음악 문화를 바라볼 때, 클래식 음악은 보편 음악 혹은 고급 음악이 아니라 ‘하나의 장르’로 인식될 수 있으며, 유명 작곡가들의 작품만 소비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재기획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하는 분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다양한 관점으로 클래식 음악을 바라보고자 하는 변화는 클래식을 새로운 개념의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청소년 체형 인식 왜곡의 요인과 그 위험성 : 제15차 청소년 행태조사를 중심으로

        박영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청소년 체형인식왜곡의 실태와 요인을 확인하고 자 한다. 주관적 체형과 객관적 체형 비교하여 체형인식 과대평가군, 체형인 식 일치군, 체형인식 과소평가군으로 나누어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로써 체형인식왜곡에 영향을 주는 관련 요 인을 확인하고 위험요인들을 파악하여 청소년들의 체형 인식 왜곡을 막고 건 강한 신체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목표는 첫째, 체형 인식 일치군, 체형 인식 과대 평가군, 체형 인식 과소평가군 간의 일반적 특성 차이를 확인한다. 둘째, 카 이제곱 분석, ANOVA,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청소년 체형 인식 왜곡 에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셋째, 청소년 체형 인식 왜곡이 부적절한 건강 행태 (부적절한 체중조절, 흡연, 음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 다. 건강신념 모델을 바탕으로 청소년 체형 인식 왜곡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건강 행동 관련 연구에서 널리 사용하는 건강 신념 모델을 토대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행동 계기 요인, 식생활 요인을 체형 인식 왜곡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체형 인식 왜곡이 청 소년 비행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해보았다. 청소년기 충분한 영양 섭취와 건강한 체형 유지는 중요하다. 따라서 본인의 체형과 이상 체형을 정확히 알고 건강한 체형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체형 인식 왜곡의 요인과 그 위험성을 살펴봄으로써 학 생 질병 예방 및 관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적절한 영양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올바른 청소년 표준 체형에 대 한 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맞춤형 학생 영양·건강관리 형성에 이바지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ctual conditions and factors of body type perception distortion in Korean youth. By comparing the subjective body type and the objective body typ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ody type recognition overestimated group, the body type recognition match group, and the body type recognition underestimated group were examined. In this way, it is intended to prevent adolescents from distorting their body type perception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healthy body by identifying the related factors influencing body type perception distortion and identifying risk factors. The detaile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body type recognition match group, the body type recognition overestimation group, and the body type recognition underestimation group. Second, through chi-square analysis,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stortion of adolescent body type recognition are analyzed. Third, it is to check the effect of the distortion of adolescent's body type perception on inappropriate health behaviors (inappropriate weight control, smoking, drinking, and stres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th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distortion of the adolescent's body shape were analyzed.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widely used in health behavior-related studi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havior trigger factors, and dietary lifestyle factor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distortion of body type perception.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istortion of body type perception affects inappropriate health behavior.

      • 영어토론활동이 고등학생 말하기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박영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plan to help efficiently utilize the English debate activity in the school field by measuring the influence of the English debate activit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n their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 For this study, 10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a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nd 50 students were decid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50 as the control group. After performance of the English class through the English debate activity composed of 8 times, recognition change about English debate and the changes of the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 were examin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recognition change of the students about the English debate activity all has positive synergy effects since the debate activity. Because others' opinions should be paid attention in the English debate learning and one's own insistence should be transferred within a fixed time, one's concentration was improved. There were lots of chances to utilize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frequency to speak English was increased. Furthermore,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searched for data for themselves and ha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activity to prepare for their opinion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interest, self-confidenc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anxiety to confirm the changes in the affective aspect, the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in all the four areas after the English debate activity. Interest,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were all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posterior mean value of anxiety was found low to help reduce anxiety of the students. Third, before and after the English debate activity, the changes of the students' speaking ability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performance of pre- and post-performance evaluation each one time, a total of 2 times on the first and last day, all the four aspects of assignment completion, fluency and complex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confidence levels of over 95% and positive effects that were improve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were found. At last, as a result of performance of posterior in-depth interview in order to find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English debate activity, the responses to the English class utilizing the English debate activity of the learners were positive. The learners replied that the English debate activity gives big help for the English speaking activity and improves the English writing, listening, reading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Furthermore, it is very helpful for the accuracy and fluency of English speaking and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English debate activity class onwar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English debate activity draws positive responses to the affective aspect and speaking ability of learners, preparing not for simple English conversation situations but for the practical situations to speak will be helpful. Second, the English debate activity expanded the chance to speak and frequency so that it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speaking ability. If a systematic learning course is planned and the English debate activity is performed, it will become an efficient learning utilization tool to improve the English speaking ability. At last, selection of various subjects and data utilization are required for the English debate activity. When the preliminary preparation of students is excessive, it can become learner's burden so that when planning a class, teachers should consider this and accordingly make a selection. Moreover, because it is composed of the team activity, it may be important to consider the English levels of students to decide teams. From the above findings, it can be said that the English debate activity gives positive effects on the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 and the learners' high response to and satisfaction with the class can be efficiently utilized in the English speaking fiel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들이 영어토론활동을 통해 그들의 말하기 능력과 정서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영어토론활동을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고등학교 2학년 100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50명은 실험집단, 50명은 통제집단으로 결정하였다. 8회의 영어토론활동을 통한 영어수업 시행 후, 영어토론에 대한 인식변화와 말하기 능력 그리고 정서적 영역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토론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인식 변화는 토론활동 이후로 모두 긍정적인 상승효과가 있었다. 영어토론학습 시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자신의 주장을 정해진 시간 안에 전달해야 하므로 자신의 집중력이 높아졌다. 배경지식을 활용하는 기회가 많았으며, 영어를 말하는 빈도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수업 전에 스스로 자료를 검색하고, 의견을 작성하는 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졌다고 인식했다. 둘째, 영어토론활동 후 학습자들은 정의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흥미, 자신감, 수업참여도, 불안감을 조사한 결과, 네 가지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흥미, 자신감, 수업참여도는 실험 후 모두 상향되었고, 불안감은 사후의 평균값이 낮아져서 학생들의 불안감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영어토론활동 전후로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토론활동수업을 시작하는 날과 마지막 날에 사전, 사후 수행평가를 각 1회씩, 총 2회 시행한 결과, 과제완성도, 정확성, 유창성, 그리고 복잡성의 네 가지 모든 면에서 95% 신뢰수준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처치 후 향상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어토론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사후 심화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의 영어토론활동을 활용한 영어수업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영어토론활동이 영어말하기 활동에 매우 도움이 되고, 영어 쓰기, 듣기, 읽기 및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켜 준다고 대답하였다. 더불어 영어 말하기의 정확성과 유창성 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며, 앞으로 이 영어토론활동수업에 참여하고 싶다고 대답하였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적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영어토론활동은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과 말하기 능력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고려해 볼 때, 단순한 영어회화 상황이 아니라, 실질적인 말을 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주는 것이 도움을 될 것이다. 둘째, 영어토론활동은 말할 기회와 빈도수를 확대시켜줌으로써 말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체계적인 수업과정을 계획하여 영어토론활동을 하게 된다면 영어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업활용 도구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어토론활동을 함에 있어서 다양한 주제선정과 자료 활용이 요구된다. 학생들의 사전준비가 과다하게 되면 학습 부담감으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에 교사가 수업을 계획할 시 이런 사항을 잘 고려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팀 활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들의 영어수준을 고려한 팀 결정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영어토론활동은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며,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 및 만족도가 높아서 향후 영어 말하기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