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노인인권옹호행동 영향요인: 개인의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을 중심으로

        김민경(Kim, Min-Kyoung),김미혜(Kim, Mee-Hye),김주현(Kim, Ju-Hyun),정순둘(Chung, Soon-Dool)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의 정착에 따른 노인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보편화됨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욕구에 기반을 둔 서비스(need based service) 제공의 원칙으로부터 인권에 기반을 둔 서비스(human rights based service) 제공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은 요양시설 인권실천의 최전방에 있는 주체로 이들의 인권옹호행동이 질 높은 서비스 전달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들의 인권의식이 인권옹호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그 과정에서 환경요인인 조직의 효과는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기관은 2014년 7월 현재 등록된 전국 장기요양기관(정원 30인 이상) 3,983개소 중 사회복지법인 등 비영리법인이 운영하는 782개 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노인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개인수준에 해당하는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환경으로 조직수준의 서비스 지향성이 인권옹호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인권의식(개인)과 인권환경(조직)의 상호작용 효과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개인수준과 조직수준 효과 검증을 위해 분석방법은 다층모형(multi-level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수준의 인권의식이 인권옹호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수준의 서비스 환경에 해당하는 서비스지향성(리더십/태도/인적자원관리/시스템)은 세부 요소에 따라 영향은 다르지만, 인권옹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인권의식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권옹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서비스 지향성구성요소 중 ‘인적자원관리’는 인권의식과 상호작용을 통해 인권옹호행동에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인권옹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요인과 조직 요인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노인장기요양기관 인권 증진을 위해 요양보호사와 장기요양보호기관에 어떤 정책적, 실천적 개입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As the provision of long-term care policy takes root and with a gradual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the use of elderly care service has become a growing norm. More than ever, there exists an urgent need for a paradigm shift in the building of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care service, from the prevalent practice of ‘need based service’ towar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based service’. A great focus is being shed on care-workers, at the front line of advocating human rights, as their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ur is seen as a key variable in providing high quality care service for elde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are-workers individual human rights awareness levels, and the influence of their respective organizations, a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 their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ur. The study inclu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regulatory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service orientation?) on an organizational level, human rights awareness (individual level) and the serv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The analysis sample consisted of 782 registered non-profit corpor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ll over the country in 2014. The findings of the thesis suggest that human rights awareness at individual level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uman rights advocacy behavior. The interaction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service orientations was also found to influence human rights advocacy on a significant level. Both human rights awareness at individual level and service orientations at organizational level were thus determined as key variables for improving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care worker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인권보호 실천과의 관계: 노인인권의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

        남현주,이현지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인권의식, 인권보호실천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노인에 대한 지식과 인권보호실천과의 관계에서 노인인권의식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K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시설 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인권의식, 인권보호실천의 수준은 평균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인권의식, 인권보호실천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인인권의식은 인권보호실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노인인권의식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셋째, 시설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노인인권의식과 인권보호실천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노인인권의식은 노인에 대한 지식과 인권보호실천과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요양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 및 인권보호실천의 강화를 위한 방안과 후속 연구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of the old, awareness of elder’s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among care provid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elder’s human rights. For the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care providers in residential care for the elderly located in K province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re providers showed high level of knowledge of the old, elder’s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and those three variables were positively related. In addition, knowledge of the old was a significant factor in explaining elder’s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while elder’s human rights was not significantly moderating. Finally, elder’s human rights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the old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among care provider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improving knowledge of the old, elder’s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protecting practice among care providers in residential care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

        嬰幼兒權利尊重保育의 實際에 대한 小考: 예비보육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윤호열(Yoon, Ho-Yeol)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3 No.-

        본 소고(小考)는 영유아권리존중보육과 관련하여 보육교사 윤리강령에 포함된 아동권리의 개념을 탐색하고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嬰幼兒 보육현장에서의 嬰幼兒權利尊重保育의 필요성과 그 실행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육교사 윤리강령에 포함된 아동권리의 개념이 사용된 단어들과 주제어 유목화를 통해 추출되었으며 2018년부터 2019년까지 K시와 P시에서 진행되는 보육교사양성과정에 등록한 총 244명의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嬰幼兒 보육시설에서 嬰幼兒權利尊重保育이 시행되어야 할 필요성, 그 실행과정에서의 장해(障害)요인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비구조화된 서술식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수집된 서술자료로부터 아동권리 전문가 2인의 토론을 거쳐 유목화된 주요 단어들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단어들은 빈도분포와 워드클라우드(word cloud)를 통하여 제시되었다. 보육교사 윤리강령에는 아동권리 및 보육교사 책무와 관련된 개념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들 대부분은 嬰幼兒權利尊重保育이 當爲的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서 교사, 알아야하는 것, 인식해야하는 것을 가장 많이 서술했다. 嬰幼兒權利尊重保育을 방해하는 장해 요인으로는 교사의 과도한 업무와 인력부족 등 교사의 복지 및 처우에서의 미흡함, 부모관련 변인, 그리고 교사의 전문적 기술 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嬰幼兒權利尊重保育과 관련된 선행연구들과의 관계 맥락에서 연구의 한계점과 함께 논의되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cept of child Rights included in the Code of Ethics for Child Care Teachers in relation to Child Care with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and aims at preliminary child care teachers in ‘Child Care with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I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nd the difficulties in its implementation. First, as included in the Code of Ethics for Childcare Teachers, the concept of children’s Rights was extracted through classification of used words and main words. Secondly, a survey was conducted of a total of 244 preparatory child care teachers enrolled in the childcare teacher training courses held in K city and P city from 2018 to 2019. The two questions for the rest of the study goal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need to implement ‘Child Care with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in infant care institutions? 2) What are the obstacle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hild Care with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An unstructured narrative survey was conducted to freely describe the above two questions. From the collected narrative data, through discussions of two experts on child rights, nomadized main words wer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words were presented through frequency distribution and word clou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de of Ethics for Childcare Teachers’ contains many concepts related to child Rightsand responsibility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most of the preparatory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d that ‘Child Care with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should be carried out naturally, and they most often described ‘teacher’, ‘what you need to know’, and ‘what you need to recognize’ in respect for infants’ rights. Third, obstacles that hinder ‘Child Care with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include ‘excessive work of teachers’, ‘lack of teacher manpower’, ‘insufficiency in the welfare and treatment of teachers’, ‘parent-related variables’, and ‘teacher’s professional skill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s of the study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wit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hild Care with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 KCI등재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의 기대불일치 교권의 기대 -현실 수준 차이를 중심으로-

        김보현(Kim, Bo-Hyun),최양미(Choi, Yang-Mi),이홍재(Lee, Hong-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 기대수준과 현실수준의 인식 및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권영역별 기대수준과 현실수준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t-검 증을 통한 기대불일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교육할 권리, 신분권, 재산권, 근로권에 관한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이 현실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권에 관한 기대-현실 수준 간의 부정적 불일치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러한 결과는 보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보육교사 권리에 대한 기대수준과 현실수준 간에 차이를 좁혀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권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높여주어야 함은 물론 보육교사 권리 존중을 위한 보육기관의 노력 및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level and reality level of teaching right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To this end,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were surveyed to collect data on expectation-level and reality-level by teaching area and to analyze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rough t-test. As a result, the recognition of child care teacher s right to education, identity rights, property rights, and working rights was higher than the reality level, indicating that there was a negative mismatch between the expectations and the reality levels of teaching rights. These results show that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upport is need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expectation and reality levels of child care teaching rights. This implies that the right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 s rights should be raised and that the efforts of child care institutions to respect child care teacher s rights and the government s policy support should be integrated.

      • KCI등재

        표준보육과정에 나타난 영아권리에 대한 분석 및 보육교사의 인식

        박고은(Go-Eun Park),장명희(Myung-Hee Ja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2

        이 연구는 표준보육과정의 영아권리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영아권리에 대하여 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천정도는 어떠하며, 이들의 배경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표준보육과정 영아권리 내용을 분석하고 문헌고찰과 내용분석 결과를 활용한 설문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의 영아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무선 표집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5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집단간 차이분석(t검정 및 one-way ANOVA), 사후검정( Scheffe"s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권리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생존권 6개(13.6%), 보호권 6개(13.6%), 발달권 26개(59.2%), 참여권 6개(13.6%)의 총 44개로 분석되었으며, 발달권의 내용 분석 결과가 다른 3개 권리에 비해 4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권리 인식 중요도는 생존권에 대한 권리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격과 경력, 보육시설 유형에 따라 중요도 인식에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반영된 영아권리 실천정도는 중요도 인식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학력, 전공, 경력, 보육시설 유형에 따라 실천정도 인식에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ant rights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examine the importance of infant rights that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and their in the curriculum, and find ou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s where they work. The content of infant rights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as analyzed, and a survey tool utilizing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is results was developed. A random sampling was conducted targeting infant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53 of these were used for the analysis. SPSS 21.0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between-group gap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d post-hoc(Scheffe’s test)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nalysis of infant rights reflected in standard child-care showed that there was a total of 44 infant rights ―6 rights to live (13.6%), 6 rights to be protected (13.6%), 26 rights to develop (59.2%) and 26 rights to participate. The right to develop was four times higher than the other three rights. Second, in terms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fant rights reflected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right to live was found to be highest, and th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ch righ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qualifications, career, and the type of places where they worked. Third, the child-care teachers’ level of practice in infant rights reflected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as lower than their level of awareness, and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actice differ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jor, career and the type of place where they worked. The study results can help with understanding infant rights reflected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child-care teachers, and follow-up studies on content analysis, expansion of research subjects, and diverse variables are needed.

      • KCI등재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김수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and level of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perceived by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using concept map. A total of 222 subjects were selected, including 103 in-service and 119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23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The in-service teachers were 21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and they drew up the right to protection at the most. And pre-service teachers were 19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and they drew up the right to survival at the most. Second, In the subcategories of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in-service teachers made out the right to protection systematically. While pre-service teachers drew up the right to survival systematically.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concept level ranged from 1.00 to 4.15. In-service teachers showed 3.16, and pre-service teacher 2.23 in average on the understanding level of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on the understanding level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with mor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 showe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education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를 사용하여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내용과 그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보육교사 103명과 예비보육교사 119명으로 총 222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상위개념은 총 23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보육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21개로 보호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19개로 생존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의 하위내용에 대한 개념형성은 보육교사는 보호권이, 예비보육교사는 생존권이 체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개념 수준의 분포는 1.00~4.15로 나타났고, 보육교사는 평균 3.16, 예비보육교사는 2.23으로 보육교사가 예비보육교사 보다 개념 수준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는 교육경력이 많고, 연수경험이 있을수록 개념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육과 제도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인권의식이 돌봄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

        김진학,송민선 한국가정간호학회 2020 가정간호학회지 Vol.27 No.1

        Purpos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worker’s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the compliance of caring behaviors among long-term care worker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ompliance with caring behaviors. Method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from 153 long-term care workers between October 4th and October 20th, 201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Results: The data indicate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human rights according to: the careers of care workers, the possession of other health care-related licenses, and the perceived need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data also indicate a difference in the compliance of caring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family care experience, and dementia care experience. The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of car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udy, are gender (β=.19, p=.009), family care experience (β=.19, p=.023), and human rights (β=.38, p<.001). It was found that 23% could explain the compliance of caring behaviors. Conclusion: Long term care worker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the compliance of caring behaviors as their awareness of human rights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liance of caring behaviors among long-term care workers, more educational programs on human right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초등 돌봄 서비스에 대한 분석 -돌봄 민주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장수정 ( Jang Soo J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67 No.1

        본 연구는 Tronto의 돌봄 민주주의 이론에 기초하여 초등 돌봄 서비스를 부모의 돌봄권과 아동의 돌봄수혜권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 돌봄 정책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초등 돌봄 정책의 가치를 중심으로 규범적 정책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 돌봄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기존 문헌, 연구보고서, 통계 자료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초등 돌봄 서비스는 Tronto의 돌봄 민주주의 관점에서 볼 때 부모와 아동의 기회 제한, 불평등한 돌봄/돌봄 수혜, 부정의한 돌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현재 초등 돌봄교실은 부모나 돌보는 사람들의 돌봄권과 노동권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돌봄교실 서비스가 제한된 대상과 시간에만 제공되어 돌봄이 필요한 아동의 돌봄 받을 권리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초등 돌봄 교실은 돌봄 교사만 책임지고 있고,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도록 제도화 되어 있지 않다. 비공식 자원 및 시장 의존이 높아 아동은 부분적이고 단절적인 돌봄을 받게 된다. 마지막으로, 시장을 통한 돌봄이 확대되고 있고, 돌봄의 질과 신뢰는 불투명하다. 보편주의적인 초등 돌봄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구의 경제적 여건과 자원에 따라 아동의 돌봄 격차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돌봄 민주주의에 기초한 보편적인 초등 돌봄 서비스 패러다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With the growing gap in car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re are growing concerns over the rights of the children to be cared for and the labor rights of the parents. Based on Tronto’s care democracy,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primary care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and parents’ (or guardians’) rights. The research method utilized normative policy analysis focusing on the value of primary care policy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policy. This study used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reports, and statistical data for analysis. Analysis shows that the current primary care service is quite limited based on Tronto’s perspective on care democracy. First, primary care service are provided to conditional children by 5 p.m., which does not guarantee the right to care for children who need care. It also does not support parents’ (or guardians’) right to work and care. Second, primary care service are only responsible for care teachers, and systems involving various subjects are not institutionalized. In the case of primary care, due to the high level of informal resources and market reliance, children receive partial and disconnected care. Finally, care is being extended through the market, and the quality and trust of care is unclear. There is a gap in child care depending on the economic situation. This study presented an alternative based on the universal elementary care policy paradigm to realize care democracy.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노인인권에 대한 태도와 직업의식

        소성섭 ( Seong Sup So ) 부산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4 글로벌 건강과 간호 Vol.4 No.2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 elderly human rights and occupational awareness in long-term care givers.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119 long-term care givers who worked at three long-term care facilities located in one city and one gun.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 report questionnaires from October 28 to November 21, 2010. Method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WIN 17.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sub-region sections including the physical and mental freedom of actions was the lowest of all with a score of 2.04, and they appeared to be pro-human rights. The subject’s degree of professionalism scored the average of 3.07 out of 5 points which is more than half having professionalism. As a result, geriatric care workers taking care of elders can both be defenders of human rights and subjects of human right abuse. In attitude to elderly human rights were relatively pro-human rights. Particularly attitude to right for physical freedom and freedom for privacy were relatively negative. The occupational awareness was also relatively high. Particularly scores for business desired and work satisfaction were high whereas scores for satisfaction to salary and promotion were relatively low. Conclusion: The attitude to elderly human rights of the long-term care givers is important to guarantee humanistic lif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y. Education on human righ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for long-term care givers and should be regularly provided as continuing education.

      • KCI등재

        보육실습과 아동권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덕순 ( Duk Soon Kim ),유경애 ( Kyung Hae Yuh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2 열린부모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목적은 보육실습과 아동권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101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보육실습 전/후에 아동권리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보육실습 전에 아동권리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제집단은 보육실습 전보다 후에 아동권리인식 수준이 낮게 나옴으로서 보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실험집단은 보육실습 후에 아동권리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남으로서 보육실습 전의 아동권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hild care center practice and children`s rights education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children`s rights. For this purpose, specific topics are as follows. 1. Did the child care center practice hav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children`s rights? 2.Did the children`s rights education before the child care center practice hav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children`s right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pre-service teachers on junior of 3 year college inKyenggi Province. The subjects were separat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49) and the comparison group(52). The collected datawas analyzed by SPSSWIN15.0. Then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was oper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hild care center practice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children`s rights perception of child care pre-service teachers. 2. The children`s rights education before the child care center practice have positiv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hildren`s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