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 농촌 소규모학교를 중심으로

        최예람 공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학급응집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과 <가설 2>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예산군 B 초등학교 3학년 5명의 학생을 실험 집단으로, 동일 지역의 Y 초등학교 3학년 5명의 학생을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11월 초에 실험 및 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8주간 12회기에 걸쳐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실험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처치가 끝난 뒤 실험 및 통제 집단 모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는 SPSS WIN 21.0을 활용하여 각 검사에 대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참가자들의 자기조절능력 사전․사후 검사 결과 및 회기별 변화 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조절, 충동성과 관련된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 및 태도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의 학급응집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참가자들의 학급응집력 사전․사후 검사 결과 및 회기별 변화 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학급 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과 관련된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태도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통계적 검증으로 알 수 있는 눈에 띄는 변화는 아니었지만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중학년의 자기조절능력 및 학급응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앞으로 역할놀이를 활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적용 대상과 처치 기간의 확대, 상담가의 역량 개발, 초등학교 중학년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한 프로그램 및 객관적인 다면적 검사 도구의 개발 등의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a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 on the self-regulation and classroom cohesiveness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t up hypothesis Ⅰ,Ⅱ-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 improves self-regulation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role-play improves classroom cohesiveness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then verified them. The study subjected to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5 children of 3th grade from B elementary schools and controlled group composed of 5 children of 3th grade from Y elementary schools in Y district.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experiment with two group at the beginning of Novemb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erienced the REBT group counseling Using role-play for twelfth anniversary during 8 weeks, on the other hand, another group didn't anything. after concluding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carried out the post experiment at the same time. A self-regulation test and a classroom cohesiveness test is used as test tool. The spsswin 21.0 is utilized for dealing with test result and the paired samples t-test is employed to find differences among two groups about each tests. The main results of a study is as follows. 1. The REBT group counseling using role-play did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elf-regulation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But case analysis result about changing process of participants show detailed improvement on irrational belief and attitude related self-regulation and impulsivity. 2. The REBT group counseling using role-play did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classroom cohesiveness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But case analysis result about changing process of participants show detailed improvement on irrational belief and attitude related classroom atmosphere, mutual trust, morale, sense of unity, communication. The conclusion of the result wasn't striking change but the program had good effect on self-regulation and classroom cohesiveness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For the more generalization of REBT group counseling using role-play, we may need expansion of experimental subject and period, development of consultant's capability, the study on program considered interest and level of middle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objective multiphasic test tool and so on.

      • REBT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수용, 문제 해결 능력 및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정애 건국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effects of REBT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group counseling.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is based on the theory that there are man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thinking skills and emotional stabi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ssump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REBT will enhance self-acceptance,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for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based on the study objectives: Question 1. Does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 self-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 2. Does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 3. Does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motivation for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r this study,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composed of 36 students in total, were organized and treatment was conducted on thes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composed of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ed group REBT group counseling. Experimental group 2 composed of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eived mind training method group counseling.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not given treatment. Experimental group 1 had a total of 12 counseling sessions(twice a week for 6weeks). Each session was 90-100 minutes in duration. Included in that time period was a confidence game and a stretching/movement time becau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quire periodic exercise and variation in activity. These three groups turned out to be all homogeneous by F-test pretesting. Self-acceptance scale, scale of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for learning scale were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The t-test was employed to find differences among groups after treatments. The experimental group o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two and control group in self-acceptance scale, scale of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for learning scale. The study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atistics show a difference in self-acceptance factors(F = 14.393, p< .001)between groups 1 and 2 and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1(M = 97.75), experimental group 2(M = 74.08), control group(M = 77.33). These statistics prove that experimental group 1 had higher positive self-acceptance factor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Second, the statistics show a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ies factors(F = 5.449, p< .001)between groups 1 and 2 and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1(M = 196.17), experimental group 2(M = 160.54), control group(M = 166.92). These statistics prove that experimental group 1 had higher posi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Third, the statistics show a difference in motivation for learning(F = 12.273, p< .001)between groups 1 and 2 and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1(M = 101.17), experimental group 2(M = 80.62), control group(M = 73.92). These statistics prove that experimental group 1 had higher positive motivation for learning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In general, these results imply that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enhances self-acceptance,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for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두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시험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Ⅰ: REBT 집단상담은 초등학생의 시험불안을 감소시킬 것이다. Ⅰ-1. REBT 집단상담은 초등학생의 인지적 시험불안을 감소시킬 것이다. Ⅰ-2. REBT 집단상담은 초등학생의 정서적 시험불안을 감소시킬 것이다. 가설 Ⅱ : REBT 집단상담을 받은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시험불안 점수 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부산광역시 Y초등학교 5학년 4개 반 학생들 중에서 불안이 높은 상위 25%에 해당하는 남녀아동 각각 16명씩 총 3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만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12회기 동안 실행한 후 사전·사후·지연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오미향과 김성희(1987)의 중고학생용 합리적·정서적 상담(RET)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용한 도구는 Sarason 등(1952)이 제작한 30개의 문항으로 변형된 리커르트식 척도의 아동용 시험불안척도(The Test Anxiety Scale for Childern : TASC)를 신뢰도 검증을 통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위 검사의 통계적 분석과, 실험집단 아동들에게 4차례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교사 체크리스트, 아동 소감문 내용을 개별분석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시험불안의 사전검사 점수 및 시험불안 하위요소인 인지·정서요인을 공변인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고 실험집단의 시험불안 점수의 사전·사후·지연검사 점수간 차이를 반복측정식 일원변량분석 하였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지연점수 간의 개별비교는 Scheffe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남녀 학생의 시험불안 점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의 남녀 시험불안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실험집단의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고 실험집단의 남녀 시험불안 점수의 사전·사후·지연검사 점수간 차이를 반복 측정식 일원변량 분석 하였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지연점수 간의 개별비교는 Scheffe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에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시험불안 척도와 시험불안의 하위요소인 인지·정서요인의 총점을 사전·사후 검증한 결과 사전보다 사후가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 지연검사에서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에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남·녀 초등학생 시험불안 척도의 총점을 사전·사후 검증한 결과 남·녀 초등학생 모두 사전보다 사후가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으며 지연검사에서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의 시험불안 감소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REBT group counseling on the reduction of the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built. Ⅰ : REBT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the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Ⅰ-1. REBT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the cognitive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Ⅰ-2. REBT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the emotional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Ⅱ : REBT group counseling is different on the reduction of the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oys and girl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 selected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rom students of 4 five-grade classes at Y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Busan. Then onl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pre-, post- and follow up tests after participating in 12 sessions of the program.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the reconstruction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RET Program for junior high school boys developed by Oh Mi Hang and Kim Seong Hee(1987). The measurement device used for the verification was The Anxiety Scale for Children of 30 questions developed by Sarason(1952). It was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made here. While, 4 time of the test and teacher's checklist, written impressions by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dividually analy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COVA was carried out to compare result of post-tes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those of pretest for test anxiety and cognitive·emotional test anxiety as covariances; repetitive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marks for test anxiety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the pre- to post- and follow up tests. Comparison among scores for the two measures the same group obtained from the preto post- and follow up tests were made using Scheffe test. Besides as for verification of difference on the reduction of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oys and girls, ANCOVA was carried out to compare result of post-tes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those of pretest for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oys and girls as covariances; repetitive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marks for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oys and girl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the pre- to post- and follow up tests. Comparison among scores for the two measures the same group obtained from the pre- to post- and follow up tests were made using Scheffe test.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REBT group counseling showed a meaningful decrease in the total of marks from the test anxiety and cognitive·emotional test anxiety in post-test; the follow up test showed that the effect lasted.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REBT group counseling showed a meaningful decrease in the total of marks from the test anxiety elementary school children boys and girls in post-test; the follow up test showed that the effect lasted. Besides the reduction of the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oys and gir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허현자 진주교육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에 근거하여 재구성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검증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기표현력의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1.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2.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 J초등학교와 M초등학교 6학년 한 반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여, 이 자아존중감 점수를 기준으로 비슷한 점수의 학생들을 선발하여 ‘짝-배정’의 방법으로 J초등학교 학생 10명은 실험집단에, M초등학교 학생 10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고, 실험집단에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 향상을 위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매회 40분 동안, 일주일에 두 번씩 10회기(총 5주)를 실시했으며, 훈련이 끝난 직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측정도구는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를 번역하여 재작성한 전규혁(1999)의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자기표현 검사는 Gallassi와 Delo(1974) 등이 만든 것을 적용하였다. 이 검사는 대학생들의 자기표현을 측정하는 것이나, 이를 반만점(1993)이 아동용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해 t검증과 차이 효과(사후 검사 점수 - 사전 검사 점수)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이 부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가정적 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 향상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면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in doing so, the effects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ould be verified. 1. How influential is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2. How influential is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ssuming that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re the following: 1.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increases self-esteem of the experiment group. 2.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s self-expression of the experiment group. Self-esteem tests were conducted to 6th grade students in two elementary schools(each of them is called J & M here in after) in Jinju.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20 students who recorded similar scores were selected; put 10 students from J in the experiment group and 10 students from M into the control group through pair-assignment. And then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acticed to the experiment group. The experiment was practiced two times a week for five weeks (total 10 times) and each performing time is 40 minutes. The participants,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ere given post-test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Questionnaires" by Jeon, Gue Hyek(1999), who reorganized "Questionnaires of children's self-esteem" made by Coopersmith(1967) and "Self-expression test" written by Gallassi & Delo(1974). The latter was originally aimed at University students' self-expression test, but in this study the reorganized form for children by Ban, Man Jeom (1993)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understoo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test(a scale of pre and post test score toward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s a result, pre- and post-test score on the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showed meaningful significance.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increas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significantly. Second,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experiencing group's self-esteem had partially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some sections.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more different than others. However Family self-esteem was not esteemed positively. Third,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significantly.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result in the enhancement of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합리적정서행동치료(REBT)기반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안희수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8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rational emotive behaviortherapy (REBT)-based group therapy programs on anxiety and self-esteem in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 fifth and sixth graders were recruited for thestudy, and the group for the REBT program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six11-year-old children and four 12-year-old children. The children participants andtheir parents in the REBT group program conducted self-report andparent-report questionnaires as a pre-evaluation to assess anxiety levels andself-esteem before the program started, and a post-evaluation of the sameconfiguration was conducted after the program ended.The REBT-based group therapy programs applied to this study were plannedand reconstructed to a level targeted at old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basedon prior studies and examination of related materials, aimed at reducingparticipants' anxiety levels and enhancing self-esteem. The configured REBTprogram was implement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with a total of sixsessions per week over six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a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of changes in the level of anxiety andself-esteem of participants evaluated pre- and post-evaluations was conducted.We also conducted further analysis of changes in participating childrenthroughout the program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of materials related to theREBT program, including various worksheets written directly by childrenparticipants within the program, session records by researchers as a groupleader and a co-leader of the program, and program satisfaction questionnairesconducted on participating children and parents.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REBT-based group therapyprogram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reducing anxiety and promotingself-estee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further clin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and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합리정서행동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REBT) 기반으로 내용을 구성한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10명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모집하였고, 11세 아동 6명으로 구성된 집단,12세 아동 4명의 임상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에 불안 수준과 자아존중감을 평가하는 사전검사를 시행하였고, 동일한 구성의 사후 검사를 프로그램 종료 후에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 적용된 REBT에 기반한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내용은 선행연구들과관련 자료들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수준으로 기획 및 재구성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불안 수준 감소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을 위한 REBT 프로그램을 90분씩 매주 1회 총 6회기로 6주에 걸쳐 시행하였다. 연구자는 이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사전 사후 검사에서 평가된 참여자들의 불안 및 자아존중감 수준의 개인 내적 및 집단내 변화에 대한 비모 수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자료로 프로그램 참여자가 프로그램 내에서 직접 작성한 다양한 워크시트, 연구자 및 보조 연구자의 회기별 평가 기록, 참여 아동 및 보호자 대상으로 실시된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 등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참여 아동들의 변화 측면에 대한 추가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REBT기반 집단프로그램이 아동의 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REBT 프로그램을 아동에게 활용하는 것에 대한 치료적 프로그램의 근거를 제시하고 후속 연구 개발을 위한 논의 및 제언하였다

      • 초등학생의 월경태도개선 및 또래관계향상을 위한 북아트활용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유태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16

        이 연구의 목적은 북아트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월경태도 개선과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경태도 개선과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북아트활용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 어떤 내용으로 구안되어져야 하는가. 둘째, 북아트활용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월경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소재하고 있는 1개 초등학교 고학년인5, 6학년 여학생 중 초경을 경험한 아동으로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1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배치하였다. 구체적인 실험을 위하여 허승희(2001)가 번역한 Rosemarie의 초등학생을 위한 집단상담-삶의 기술의 집단상담프로그램, 박은경(2004)의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정을순(2004)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 강태심 외(2004)의 우리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프로그램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북아트를 활용한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지, 정서, 행동영역으로 나누었으며, REBT이론의 집단상담 준비회기(1~3회기), 월경태도변화를 위한 회기(4~6회기),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회기(7~9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도구는 월경태도검사와 또래관계검사를 두 집단에 각각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Window 11.5에서의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한 통계적 분석을 하였고,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 후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에게 프로그램에 관한 평가를 실시하여 평가 내용을 정리하여 질적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아트를 활용한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경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월경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다. 둘째, 북아트를 활용한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경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 분석 결과에서 실험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북아트를 활용한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월경태도 개선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경을 시작한 초등학생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기존의 인지적 측면만을 고려한 것이 아닌 인지, 정서, 행동면에서 월경태도와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안하고자 한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인지적 상담이론인 REBT집단상담에 직접 만들며 쉽게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북아트를 활용함으로써 인지발달이 형식적 조작기 이전의 아동들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월경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에게 발달에 적응하기 위한 상담프로그램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적 측면의 활용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놀이나 미술, 음악 등을 포함시켜 연구한 연구들은 많았으나 북아트를 활용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어 북아트를 활용하여 상담프로그램을 구안한 후속연구들이 필요하다. 둘째, 북아트를 만드는 프로그램이므로 충분한 시간과 장소가 확보되어야 하며, 북아트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북아트과정 연수를 받고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효과를 비교할 수 있도록 초경전 아동이나 학급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REBT집단상담 프로그램 내용구성에 있어서 또래관계의 향상을 위해 부정적 기능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후속연구의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a program for enhancing the menstruation attitude and the peer relation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by utilizing book art.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that were specifically established depending on this research objective. First, aiming at the menstruation attitude change and the peer-relation enhancement, with which contents the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utilizing book art needs to be constructed? Second, which effect the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utilizing book art has on menstruation attitude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Third, which effect the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on peer relation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children who experienced menarche among the 5th and 6th female graders at one elementary school where is located in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18 applicants, who desired to participate in a program, were selected, and were distributed with 9 persons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9 persons for the control group. For the specific experiment, the researcher again formed in line with the objective of a program by referring to Rosemarie S. M's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he group counseling-life technique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translated by Heo Seung-hui(2001), Park Eun-gyeong(2004)'s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Jeong Eul-sun(2004)'s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sociality, and Gang Tae-sim, et al(2004)'s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our class. The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utilizing book art was divided into sphere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nd is composed of the preparatory session for the group counseling based on REBT theory(1st~3rd session), the session for menstruation attitude change(4th~6th session), and the session for peer-relation promotion(7th~ 9th session). As for a test tool, the menstruation attitude test and peer-relation test were carried out pre-and-post test, respectively, in two groups. The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the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 multiple analysis of covariance(MANCOVA) by using SPSS/Window 11.5. And, in order to supplement limitations to reliability that the quantitative result has, the evaluation on the program was carried out targeti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fter testing, and the evaluation contents were arranged to be utilized in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utilizing book art has the effect on menstruation attitude improvement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menarche. Second, the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utilizing book art has the effect on peer-relation enhancement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menarche. Also, in the result of analyzing contents, it wa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experiment showed positive response to the effect of program. Given seeing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utilizing book art has the effect on the menstruation attitude improvement and the peer-relation enhancement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attempted to design a program for enhancement in the menstruation attitude and the peer relation in the aspect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not what considered the existing cognitive aspect, a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who started menarche. Second, it allowed the cognitive development to be possibly applied to children ahead of the form phase and the manipulation phase, by utilizing book art, which can easily arrange own thought while directly making, in the REBT group counseling that is the cognitive counseling theory. Third, as the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is the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be adapted to development in elementary-school girls who experienced menarche, a significance can be put on utilizing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the sex-education program. Given making a suggestion for a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in this study, those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researches that included the play, art, and music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ut there is almost no preceding research that utilized book art, thus follow-up researches are required, which would design the counseling program by utilizing book art. Second, as being a program of making book art, enough time and place should be secured. And, there is necessity that will be trained book-art course and will be operated program for effectively applying book art. Third, a follow-up research 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s needed, which is performed targeting children and class prior to menarche so that an effect can be compared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Fourth, a follow-up research is needed, which would consider the negative function for enhancing peer relation in forming the contents of REB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REBT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지숙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316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선별하여 예비실시한 후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주요구성 요인은 인지적 변인으로 신념 변화시키기와 행동적 변인과 정서적 변인의 구성요인으로 문제해결기술훈련과 사회기술훈련을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에 따라 접목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초기단계에서는 REBT의 이해와 신념변화 시키기에 대한 심리교육에 중점을 두고, 전개단계에서는 문화․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신념변화 시키기와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한 문제해결훈련 그리고 의사소통 기술을 포함한 사회기술훈련을 적용하였으며 매 회기마다 역할극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참여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종결단계에서는 모든 영역의 내용을 종합하여 인지적 예행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C지역 S대학교의 프로그램 홍보를 통해 지원했거나 교수에 의해 추천된 중국인 유학생을 선별하였는데 프로그램 사전에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SACQ), 우울 척도(BDI), 불안 척도(STAI), 비합리적 신념 척도(IBT)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이 중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의 결과가 140점 이상이며, 우울 척도(BDI)에서 중정도 우울 수준인 20점 이상과 불안 척도(STAI)에서 55점 이상의 중복 기준에 해당하는 9명을 대상자로 1차 선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TOPIK:Test of Proficiency on Korean)에서 중급 4급 이상을 취득하여 한국어로 일상적인 대화와 자기표현이 가능한 대상자를 최종적으로 8명 선별하였다. 통제집단은 C지역 S대학교와 W지역 S대학교의 교내 게시판을 통해 개별 지원하였거나 친구 또는 교수를 통해 추천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동일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8명의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2010년 4월 5일부터 6월 4일까지 매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전산 처리하였다. 프로그램 사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프로그램 사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프로그램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와 실험집단 사전-2개월 추후검사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2년 추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에서 나타난 검증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자가 작성한 워크시트와 과제 기록지, 연구자의 회기별 평가 및 기록지, 보조연구자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실험집단 참여자의 비합리적 신념 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BT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즉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지각된 미움, 두려움, 문화적 충격, 기타요인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EBT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학업적응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대학생활 적응 전체 점수와 학업적응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학업적응 전체 점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참여자 모두 학업적응과 관련된 비합리적 신념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REBT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사회적응 즉, 대인관계 적응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대학생활 적응 전체 점수와 대인관계 적응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적응 전체 점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참여자 모두 대인관계 적응과 관련된 비합리적 신념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REBT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우울 및 불안의 하위요인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비교에서도 우울․불안의 점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초기 사전검사에서 참여자의 우울(BDI) 지수는 19점 이상으로 중정도 우울 수준을 보였고, 불안(STAI)은 평균 47점대로 불안수준이 약간 높음의 정도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우울(BDI) 지수 10점 초반대로 떨어졌고, 불안(STAI)은 37점대로 사전에 비해 10점이 낮아져 상당한 감소폭을 보였다. 다섯째, 프로그램 종료 2개월 추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학업적응, 대인관계적응, 우울 및 불안, 비합리적 신념의 모든 변인의 전체 점수에서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명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종료 2년 추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문화적응스트레스, 학업적응, 대인관계적응, 우울 및 불안, 비합리적 신념의 모든 변인에서 전체 점수와 하위변인 각각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거나 증가하여 전반적으로 REBT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종료 2년 추후검사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지각된 미움, 기타요인(사회적 고립, 열등감, 불신, 의사소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두려움과 문화적 충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에서는 대인관계 적응은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업 적응에서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비합리적 신념은 문제회피와 의존성에서 프로그램 종료 2년 추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과 불안은 프로그램 2년 추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나타난 실험집단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비합리적 신념이 대안적이고 적응적인 사고로 대체되어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프로그램 초기단계에서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을 찾아 경험적 진술을 하고 문제해결훈련과 사회기술훈련을 통한 행동적 변화의 시도에 어려움을 나타냈던 실험집단이 REBT 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점점 비합리적 신념의 자기진술이 구체화되고, 다양한 적응 영역에서 인식의 전환 또는 수용의 적절한 대처방식이 유도될 수 있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 대상의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지 않았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을 함께 연구 목적으로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들이 유학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놓여 문화적응과 함께 심리사회적응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비롯되는 개인의 비합리적 신념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REBT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비합리적 신념의 변화 내용을 내용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의 본질을 규명함과 동시에 문제해결에 보다 적절한 개입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법으로 REBT를 활용하였다. 이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가지고 유학생으로서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비합리적 신념 또는 왜곡된 사고를 적응적 신념 및 행동으로 변화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방법적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 과정에서 생성된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REB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였다는데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프로그램 실시 후 2개월과 2년이 지난 시점에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심리사회적응을 위한 REBT 프로그램의 추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의 변인에서 2개월과 2년 추후검사의 효과성이 지속되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이는 기존의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적응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연구결과의 효과성과 결과의 지속 여부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들의 적응 양상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conduct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for the cultural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verify its effect. For this purpose, a survey on the demand related to the program development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 result, a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In order to construct a final therapy program, a preliminary therapy, which was tried on selected Chinese students in Korea,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for the main components, the program integrated changing beliefs as the cognitive variable and problem-solving skills train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as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variable, according to the goal of each session. The initial stage of the program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education for understanding REBT and changing beliefs. The development stage concentrated on changing beliefs concerning acculturatio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problem-solving techniques using brainstorm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s; to help participants have better understanding, every session was composed of role play. The final stage aimed to help the participants put all the contents together to promote a cognitive rehearsal. Selected subjects included Chinese students who applied through the advertisement of S University in C region or recommended by professors. In the first screening process, students received a pre-therapy test composed of acculturative stress scal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depression index (BDI), anxiety index (STAI) and irrational belief index (IBT). Of those students, 9 students who received more than 140 on acculturative stress scale, 20 on depression index (BDI) and 55 on anxiety index (STAI) were first selected. In the second screening process, of those 9 students, 8 students who were able to communicate and express their opinions in Korean language by receiving Level 4 in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Chinese students who applied through the bulletin of S University in C region and S University in W region or those recommended by professors or friends. Of those students, 8 students were selected by the same screening process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he program was offered once a week in 10 120-minute sessions from April 5 to June 4, 2010.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on SPSS WIN 12.0. Mann-Whitney U Test (non-parametric)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pre-therapy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difference in the post-therapy scor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lcoxon Signed-Rank Test (non-parametric)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herapy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2-month post-therapy scor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2-year post-therapy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lso,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more specifically,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irrational belief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rticipants’ worksheet and task records, the researcher's assessment and records and the assistant researcher's repor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REBT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overall score on the acculturative stres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other words, a significant reduction was marked in all the sub-fa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which included perceived sense of discrimination, homesickness, perceived hatred, fear, cultural shock, etc. Second, it was found that after receiving the REB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hoolwork adaptation associated with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cores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schoolwork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overall score on schoolwork adapt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all the participants were marked with significant reduction in their irrational beliefs associated with schoolwork adaptation. Third, after receiving the REB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adaptation, in other wor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associated with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cores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the scor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overall scor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all the participants were marked with significant reduction in their irrational belief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Fourth, after the REBT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sub-factors of depression and anxie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e-therapy test, participants received higher than 19 in depression index (BDI) which indicates a mid-level depression, and 47 on average in anxiety (STAI) which indicates a moderately high level of anxiety, but according to the result of post-therapy test, depression (BDI) dropped to near 10, and anxiety (STAI) dropped to 37, sharply down by 10. Fifth, according to the 2-month post-therapy test taken by the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was found to be maintained as shown in the overall scores of all variables of acculturative stress, schoolwork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rrational beliefs. Sixth, according to the 2-year post-therapy test taken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REBT program was found to be maintained in general, as the overall scores and each and every sub-factor score of all the variables - acculturative stress, schoolwork adapat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rrational belief – were marked by significant increase or redu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2-year post-therapy test taken by the control group,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marked in some of the sub-factors - sense of discrimination, homesickness, perceived hatred and other factors (social isolation, inferiority, disbelief, communication) - of acculturative stres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ear and cultural shock. Among the sub-factors of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dapt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schoolwork adap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irrational belief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voidance of problems and dependence was marked. However,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Seventh,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positive change was marked as their irrational beliefs were replaced by alternative and adaptive thoughts. Even 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gram, had difficulty identifying irrational beliefs and making experiential statements, as well as making changes through problem-solv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with further participation in the REBT, they began to express statements of irrational beliefs, and gradually made positive changes such as making cognitive change and adopting proper coping strategies of acceptance in various area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current trend of increase in the influx of Chinese students, the issues related to those students should no longer be overlooked but discussed with great importance. Second, for acculturation and psychosocial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used REBT. This can be explained as a methodological aspect cohering with the study to help the students change their irrational beliefs or distorted though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a new culture with their national identity.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way that it developed and used REBT program to help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hange their irrational beliefs, which had been formed in the process of acculturation and psychosocial adaptation, into rational beliefs. Thirds, this study conducted a 2-month and a 2-year post-REBT test for Chineses students’ acculturation and psychosocial adaptation in Korea, and what is significant is that its effectiveness was proven to be maintained as revealed the test results.

      •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REBT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기윤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316

        이 연구의 목적은 대입수험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학업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업스트레스와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의 프로그램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과 전문가의 자문 및 예비 적용의 과정을 거쳐 총 10회기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익산시 소재의 N여자고등학교 3학년 153명에게 학업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가 M+1SD 이상인 학생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희망하지 않는 학생 1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검사도구는 오미향, 천성문(1994)의 학업스트레스 검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12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양적 연구결과의 해석을 보완하기 위해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업스트레스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영역별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원의 경험보고서 및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역시 이 프로그램이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대입수험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REBT 집단상담을 개발하여 학업스트레스 전반에 관한 포괄적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대입수험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체계화된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3학년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 척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부모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크다. 셋째, 더욱 효과적인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MBSR과 REBT가 시험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MBSR) program and the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REBT) program on the decrease of test-anxiety. 246 students of 'M'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ook the TAI-K(Test Anxiety Inventory-Korea) as a pretest measure. Among them, 32 students who were ranked top 20%(n=50) with high test-anxiety were assigned to receive the following three groups, namely MBSR group (n=11), REBT group (n=11) and Control group (n=10). The MBSR group and REBT group participated in the treatment once a week for eight weeks. They took TAI-K, posttest after 8 week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the MBSR group and the REB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est-anxiet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test-anxiety decrease between the MBSR group and the REBT group. However, 'worry', a subfactor of test-anxiety,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the REBT group, and the MBSR gorup was significant decrease in 'emotionality' than the REBT group.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with comments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시험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MBSR(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프로그램과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있는 M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246명에게 사전검사로 TAI-K(Test Anxiety Inventory-Korea)를 사용하였다. 이 가운데 시험불안이 높은 상위 20%(50명) 가운데 3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선발된 학생들은 MBSR 집단에 11명, REBT 집단에 11명, 통제집단에 10명으로 할당되었다. MBSR 집단과 REBT 집단은 8주간 주 1회씩 각각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후에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MBSR 집단과 REBT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시험불안이 감소하였다. 각 집단간 차이에서, MBSR 집단과 REBT 집단간의 시험불안 감소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REBT 집단은 MBSR 집단보다 시험불안의 하위요소인 걱정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성에 있어서는 MBSR 집단이 REBT 집단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고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