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인 유학생이 겪는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분석

        임수진,한규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6 No.3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re on rapid rise for several years. The current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ir life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they experience and their relevant factors. Two subscales of SCL-90-R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We also investigated socio-individu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Socio-psychological factors were age, sex, duration of stay m Korea, economic status of family, self- reported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residential type, and health condition. Psychological factors were self-esteem, self-efficacy, and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upport.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were health condition and self-efficacy. Surprisingly, many relevant factors did not show meaningful influence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Further analysis indicates that Chinese students tend to maintain a cultural island where Chinese students mingle mainly with other Chinese. Those living in the cultural island tend to report high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본 연구는 한 지방의 국립대학에서 유학생활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겪는 심리적 부적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부적응은 우울척도와 불안척도를 갖고서 측정하였으며,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및 심리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소속, 거주기간, 가족의 경제적 수준, 한국어 실력, 주거형태, 건강상태를, 심리적 요인으로는 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를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예측 변인으로는 개인적 요인에서는 건강상태만이, 심리적 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만이 유의미하 게 나타났다. 한국어 사용능력, 거주기간, 친한 한국인의 숫자 등과 같은 현지 문화적응에 도 움이 되는 변인들이 별 다른 예측력을 지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관련된 변인들의 분석은 이들 유학생들이 한국사회 문화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많이 보이지 않고, 유학생끼리 어울리는 섬 생활을 하는 영장을 보이며, 섬 생활을 보이는 경우에 더욱 심리적 부적응을 겪 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다차원적 자기조절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목표추구 요인과 충동통제 요인의 변별적 기능을 중심으로

        이슬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3 인지행동치료 Vol.23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spects of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To achieve this, the study exm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ladjustment (depression, anxiety, internet addic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Comprehensive Self-Regulation Scale and other self-reported scales assessing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were administered to 296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negatively related to maladjustment variables, and significantly predicted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variables, and significantly predicted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Each subfactor of self-regulation showed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th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Specifically, the goal pursuit factor explained life satisfcation, psychological well-being(life purpose and personal growth), and the impulse control factor explained maladaptive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internet addic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However, the effects of the cognitive reflection factor on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were weak or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엄현정 ( Hyun-jung Eom ),민경화 ( Kyung-hwa Mi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7 人間理解 Vol.38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인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8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매개변인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경험적 회피가 완전매개하는 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경험적 회피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어 심리적 부적응을 심화시키는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로 인한 우울 및 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의 상담적 개입에 대한 자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hile also examining the mediating role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data from 382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indicated that the link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fully mediated by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Specifically,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college student`s maladaptive perfectionism, which, in turn, influenced experiential avoidance and eventually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basic directions for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counseling.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기격려 및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

        기채영 ( Chae Young Kee ),신현숙 ( Hyeon Sook Shin ),홍경자 ( Kyung Ja Ho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0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남녀집단을 분류하여 아동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732명(남자: 349, 여자: 383)을 대상으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아동의 자기격려 척도, 아동 정서·행동평가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녀 집단 모두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부분매개 모형이 완전매개 모형보다 적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subjects were 732 students (male: 349, female: 383) in 4th to 6th grades. The Children`s Stress Scale, the Self-Encouragement Scale, and the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Scale were administered. In order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Of the relational models with self-encouragement as mediator, stress as predictor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s outcome variable, it was proved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in both male and female groups.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not only children`s stress directly affect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but also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s mediated by their self-encouragement. Thus, even if children`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creased due to their life stress, their self-encouragement could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stres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Therefore, self-encouragement could be regarded as an effective variable in reducing children`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could be emphasized as a therapeutic variable in children`s counseling. Self-encouragement could be emphasized in parenting and child rearing. Last,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화(Jiang, Hua),배은경(Bae, Eun-Ky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주 · 전남 지역 거주에 거주하는 9-20세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종교가 없는 경우, 한국어능력을 낮게 인식할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적응유연성 수준이 낮을수록 심리적 부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적응유연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 때 심리적 부적응이 완만하게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지만, 적응유연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 때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적응과정상의 스트레스와 차별스트레스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차별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적응유연성 변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적응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experienced by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he role of resilience as a moderator.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6 adolescents aged 9 to 20 years ol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o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d no religion, the lower the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they perceived, the higher their levels of acculturation stress, the lower their levels of resilience, and the higher their levels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y reported. Second, resilie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other words, in the group of adolescents with high levels of resilience, as the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gradually increased. However, in the group with low levels of resilience, as the acculturation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ramatically increased. Third, resilie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stress (a subcategory of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ilience can be a protective factor that can lower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ven in an environment with a high level of stress from discri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와 심리적 부적응 및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김유나(Kim, Youna),설경옥(Seol, Kyoungok),박선영(Park, Sun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경쟁과 성취결과가 강조되고 내적 동기 추구가 좌절되기 쉬운 학업환경에서 청소년의 물질주의 가치 추구와 이들의 심리적 그리고 학업적 적응과의 관계를 밝히고 각각의 관계를 설명하는 매개변인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청소년들이 물질주의 가치를 추구할수록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 좌절을 더 경험하며 이는 곧 심리적 부적응과 학업성취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한 물질주의 추구가 여성의 심리적 적응에 더 해가 된다는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물질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성차를 예상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제주지역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청소년 195명과 여자 청소년 142명의 총 337명을 대상으로 물질주의, 기본심리욕구, 심리적 부적응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학업성취는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물질주의는 심리적 부적응을 정적으로, 학업성취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각각의 관계를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 분석을 통해 성차를 검증한 결과 물질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유의한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물질주의와 같은 외적 가치의 지향이 내적 만족에 중요한 가치들을 대신함으로써 심리적 적응과 학업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고 결과만이 중시되고 경쟁을 부추기며 통제적인 내적 동기를 낮추는 국내의 교육환경에서 인간의 기본적 심리 욕구를 충족하는 물질적인 것 이전의 본질적인 가치가 무엇이었는지 재고할 필요성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 정책 및 상담에 갖는 함의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tic value, basic psychological need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n adolescents.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that the adolescents’ materialistic value would predict increase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decreased academic achievement,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would mediate these relationships respectively. We further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number of gender related differences between materialistic valu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337 adolescents(boys:195, girls:142) were surveyed on their attitudes to materialistic value, basic psychological needs, depression and anxiety. Data related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collected from nationwide scholastic aptitude test scores.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tic valu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tic value and academic achievemen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fully mediating effects between both relationships. There was no gender related differences between materialistic valu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terialism could result in maladjustment among adolescents through frustration of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combined with the Korean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정긴급성의 매개효과

        이슬,정윤주,강진령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whether negative urgen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Methods For this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54 college students nationwide using the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BI),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Impulsivity Scale (UPPS-P),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and Beck's Anxiety Inventory (BAI).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role of negative urgency in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 research model was set up that parenting attitudes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administered and finally, SPSS PROCESS MACRO No. 4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parenting attitude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urgency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ollege student children. The negative urgency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ollege student children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ir negative urgency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Conclusions The conclusions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At a time when the need for parents' education is emphasized i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renting attitude experienced by children can affect their adulthood.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ocial safety net for not only teenagers but adults.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at the negative urgency is a predicting variables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t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ctive attention to prevent problematic behavior.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부정긴급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전국의 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PBI), 한국판 다차원적 충동성척도(UPPS-P), 우울 증상 척도(CES-D), Beck의 불안 척도(BAI)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적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긴급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적 부적응에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모두 갖는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4번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대학생 자녀의 부정긴급성 및 심리적 부적응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학생 자녀의 부정긴급성과 심리적 부적응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자녀의 부정긴급성은 부모양육태도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녀의 문제행동에 있어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를통해 자녀가 경험한 부모양육태도가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 뿐 아니라 성인기까지도 사회적 안전망이 갖추어져야 하는 것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부정긴급성이 심리적 부적응의 예측 변인이라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개인적, 사회적으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부적응학생 심리 상담과 그림 특징 사례연구 및 제언

        백중열 한국도자학회 2021 한국도자학연구 Vol.18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for maladjusted students to overcome their school maladjustment by provid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o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ir drawings. The research subjects were total five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2-4.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nnecting total 12 session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once a week from March 2020 to June 2020 and the characteristics of drawing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psychology of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first, they felt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peers. Second, some of them showed tic symptoms. Third, if they did not like the conversation partner, they sometimes kept silent or talked to themselves. Fourth, the students’ thinking was expressed into drawings. Fifth, some of them had unique and creative thinking compared to peers. Sixth, they showed strong self-assertiveness. In the characteristics of drawings, first, the theme of drawings was unique. Second, the contents of drawings were complicated or simple. Third, they were more obsessed with contents of drawings rather than the form. Fourth, they did not care about coloring. In suggestions, first, th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need an assistant who can empathize with and attentively listen to their thinking. Second, those students need time and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express the themes or knowledge they are obsessed with. Third, the drawings by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need to be interpreted. Fourth, the teacher training related to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is needed. Fifth, the administration system need to be simplified. Sixth, the teachers’ rights and classroom should be protected. Seventh,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ystematic support in the national level.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teachers to analyze the psychology or draw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also to select and educate the stud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 학교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 음악활동 프로그램의 심리정서적 효과성

        탁주영(Tak, Ju-Young),제미자(Je, Mi -Ja)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9 사회복지상담연구 Vol.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아동이 경험하는 심리현상 중 우울, 공격성, 낙관성의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이미 효과성이 검증된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여러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추천으로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아동을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우울, 공격성이 감소되고 낙관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학교부적응의 아동 삶의 변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심리정서적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부 적응 아동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한 프로그램이 추가되고 개발되어 사회적 문제로 발전하고 있는 학교 부적응 현상에 음악치료가 기여하여 학교부적응 아동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심리치료의 방법으로 사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group music activity program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o as to solve the school maladjustment psychological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experienced by the child, we conducted a program of 10 sessions that was already proven effective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change of depression, aggression, and optimism. Childr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with the recommendation of social worker at various local children s cent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whereas in the working group, depression, aggression decreased and optimism improve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mpetence to improve the change of the life of the child who is school maladjustment. The program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desires of the maladjusted children is added and develope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method of psychological treatment that positively affects maladjustment children and society.

      • KCI등재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전희정,이정상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3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3 No.1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ult working wome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ing adult women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258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abili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maladapta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ability and psychological maladapt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ult employed women.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 취업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대인관계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심리적 부적응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 부적응 간의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부적응의 영향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