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민국가의 카오스 : 한국전쟁 참전국 '에티오피아'의 형성과 균열하는 상상의 지리

        김승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633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한국전쟁 참전용사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고, 담론의 질서 안에서 나타나는 ‘냉전’과 ‘국민국가’의 (재)구성 과정을 살핀다. 에티오피아의 참전과 관련된 다양한 언표들은 독특한 구조와 규칙을 가진 하나의 담론으로 자리 잡는다. 참전용사 담론은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를 생산하고, 이는 냉전 기억과 두 나라의 관계가 구성되는 데 영향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전용사 담론과 냉전 지형의 관계를 규명하여, 참전의 맥락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상상되는 냉전의 역사를 재구성한다. 또한, ‘국민국가’를 동질적이고 통합적인 공동체로 상상하는 강고한 믿음을 논파하려 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던진다. 첫째,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담론이 참전의 역사에 관하여 말하는 대상과 방식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가운데 어떤 역사가 밀려나는가? 둘째, 참전용사 담론이 생산하는 상상의 지리 “에티오피아”는 냉전을 기억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과 효과를 발휘하는가? 셋째, 참전용사 담론이 전제하는 “에티오피아”라는 국민국가 단위는 어떤 방식으로 성립되고 구체화하는가? 연구의 주요 현장은 춘천과 서울이다. 춘천은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의 주요 전투지역으로, 현재 에티오피아의 참전에 관한 기념관과 관련 단체가 소재한 곳이다. 연구자는 춘천을 방문하여 인터뷰와 자료조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서울 노량진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식당에서 일하며 약 10개월간 현장연구를 수행했다. 본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은 참전용사 담론의 구체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담론의 지형도를 그려낸다. 한국 사회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기억하는 방식은 두 나라 현대사의 변곡점들과 맞물리며 구성되어왔다. 1990년대부터 형성된 참전용사 담론은 신화, 상상, 발전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공산 진영에 맞서 한국을 지켜줬지만 결국 악에게 패배해버린 “자유의 수호자” 에티오피아의 이야기는 비극적인 영웅 신화의 형태로 기억되고 있다. 신화 속 영웅들의 땅“에티오피아”는 연속적인 하나의 역사를 토대로 형성된 국민국가라는 상상의 지리로 재현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도움에 보답하려면 한국이 나서서 그들의 개발을 도와야 한다는 ‘보은과 발전’의 서사가 자리 잡는다. 3장은 한국과 에티오피아가 제3세계 비동맹주의와 관계하는 양상에 주목한다. 한국전쟁과 참전의 역사를 기억하는 방식은 전쟁과 냉전에 대한 두 나라의 인식과 태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냉전을 자유/공산의 이분법적 대결로만 이해하는 기존의 관점은 제3세계 비동맹주의를 경유한 복잡다단한 역사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특히, 에티오피아는 적극적으로 비동맹의 조류에 동참했다. 그중에서도 에티오피아와 쿠바가 보여준 제3세계 사회주의 연대의 역사는 한국의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형상과 사뭇 다른 결을 드러낸다. 이처럼 냉전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펼쳐진 ‘지구사’였고, 기존의 인식론은 한국전쟁과 냉전의 중층적인 맥락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다. 4장은 노량진의 에티오피아 식당 ‘셀람’에서 진행한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국민국가 “에티오피아”를 재검토한다. ‘셀람’은 한국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에게 자국어를 사용하면서 익숙한 음식을 먹고 에티오피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집과 같은’ 장소다. 하지만 이곳은 국민국가 에티오피아가 처한 곤경, 즉 역사적으로 복잡하게 뒤얽힌 종족 갈등의 단층선이 드러나는 곳이기도 하다. 에티오피아 이주민들이 경험하는 균열은 ‘셀람’의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 순간적으로 나타난다. 음악은 정치적 이슈와 맞물리며 미묘한 긴장을 조성하고, 이 과정에서 담론이 재현하는 동질적인 “에티오피아”라는 범주가 해체된다. 한편, 에티오피아라는 통일적인 단위는 거대한 인프라스트럭처, 그리고 여기에 관계된 이집트 같은 외부의 ‘적’이 있을 때 일시적으로 성립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면은 오히려 ‘국민국가’라는 범주가 매우 유동적이고 불안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줄 뿐이다. 5장은 국민국가 범주 바깥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출신 난민의 활동 과정에서 참전의 의미가 전유되는 장면을 발견한다. 난민은 국민국가의 테두리 바깥에 위치한 ‘적’이자 ‘다른 인간형’으로 간주되지만, 한국의 에티오피아 난민은 참전의 역사를 통해 ‘고마우면서 불편한 존재’라는 독특한 위치를 점한다. 참전용사 담론은 에티오피아의 참전을 되갚아야하는 ‘선물’로 구성하고, 포괄적인 국제개발의 형태로 이를 되돌려준다. 하지만 국내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 난민은 한국의 ‘환대’를 다시 상환하여 양측의 관계를 연장한다. 또한, 그들은 한국 정부의 난민 심사제도를 비판하며 “참전을 기억하라”고 요구한다. 이처럼 에티오피아 난민이 발휘하는 정치적인 행위자성은 참전용사 담론이 상상하는 “에티오피아”의 허구성을 증명한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에티오피아를 연결하는 참전용사 담론은 하나의 서사로 모든 이야기를 환원한다. 담론은 한국 사회가 받아들이는 상상된 “냉전”의 세계사를 구성하는 데 요긴한 역사와 기억을 끌어당기고, 그렇지 못한 서사를 말소시킨다. 그러나 완벽한 질서를 구축한 것처럼 보이는 담론은 늘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어긋나버린다. 본 연구는 단일한 거대서사로 상상되어 온 20세기 냉전사를 복수의 서사들이 중층적인 맥락에서 상호작용하는 역사들로 재구성하는 작업의 결과물이다. 이는 결국 ‘국민국가’라는 범주의 예측 불가능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을 근거로, ‘국민국가’라는 일반 범주를 질서 있게 배치된 코스모스가 아닌, 예측 불가능하게 충돌하고 결합하며 새롭게 생성되는 카오스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리고 에티오피아의 참전이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국민국가가 상상되고 구성되는 카오스적인 방식들을 따라갔던 이러한 시도가 인류학적 현장을 물리적 실체로 환원하지 않는 연구의 한 사례로 읽히길 기대한다. This thesis analyzes (re)structuring courses of the ‘Cold War’ and ‘nation-state’, with examining the topography of discourse about Ethiopia’s war veterans in the Korean War. Various statements relating to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become a discourse that has a unique structure and rule. The discourse of war veterans produces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that could influence on constructing the memory of the Cold Wa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Ethiopia. Thus, this thesis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the discourse and Cold War terrain and tries to restructure a history of the Cold War that is imagined in a specific way in the context of war participation. Also, It confutes a strong belief which considers a ‘nation-state’ as an identical and unitive community. Following these objects, I make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ubject and method in which the discourse talks about the history of the war? And what kind of history is being pushed aside? Second, How does the imagined geography as “Ethiopia” produced by the discourse affect the way of memorizing the Cold War? Third, How is the unit of nation-state “Ethiopia” assumed by the discourse established and embodied. The Fields of this thesis are Chuncheon and Seoul. Chuncheon, the main battlefield of the Ethiopian army in the Korean War, is now the place where the memorial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and relating organization locates. I visited several places there and conducted interviews and researches. Furthermore, I did fieldwork for 10 months in an Ethiopian restaurant which is placed in Noryangjin, Seoul. In Chapter 2, I figure out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and describe its topography. The way which Korean society memorizes Ethiopi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has been interlocked with turning points of modern histories. The discourse, being built from the 1990s, consists of myth, imagination, and development. The story about Ethiopia as “Guardians of Freedom” which protected South Korea against the communist camp but had been defeated by ‘evil’ is now memorized as a kind of tragic hero myth. “Ethiopia” which is the land of a hero is represented as imagined geography which means a nation-state based on a unilinear history. Then, the narrative of ‘Repaying and Development’ establish, calling for Korea to help Ethiopia’s development to appreciate their sacrifice. In Chapter 3, I focus on the aspect that Korea and Ethiopia connected with the Non-alignment movement of the Third World. The way of memorizing the Korean War history could show how do both two countries cognize and have attitudes about the Korean War and Cold War. But, the existing viewpoint, which understands the Cold War only as a dichotomy of liberalism/communism, fails to explain complicated histories related to the Non-alignment movement. In particular, Ethiopia joined the current of Non-alignment actively. Above all, the history of the third world socialism solidarity between Ethiopia and Cuba reveals a quite different side with a shape of imagined “Ethiopia”. In this way, the Cold War has been a ‘global history’ that spread worldwide, and the conventional epistemology cannot handle the multi-layered context of the Korean War and Cold War enough. In Chapter 4, I reexamine the nation-state “Ethiopia” which is imagined by the discourse based on fieldwork data about the Ethiopian restaurant ‘Selam’ in Noryangjin. This restaurant is a place like ‘home’ for Ethiopian migrants living in Korea. Because they could use their language, enjoy familiar food, and listen to Ethiopian music there. However, this is the place where the predicament of nation-state Ethiopia comes out. In other words, a fault line of ethnic conflict, which is historically intertwined with each other, shows its existence. Ruptures experienced by Ethiopian migrants appear through the ‘soundscapes’ of ‘Selam’ in a moment. Music interlinked with political issues fosters subtle tensions. In the meantime, the category which is represented by the discourse as identical “Ethiopia” is deconstructed. Withal, this unitary unit temporarily constructs when the mega infrastructure project regarding with ‘enemy’ of the nation-state, such as Egypt, exist. This phenomenon, though, only confirms the fact that the category of ‘nation-state’ is very fluid and precarious. In Chapter 5, I capture scenes that refugees from Ethiopia, who stand outside of the nation-state, appropriate the meaning of war participation during their activity in Korea. Refugees are usually considered ‘enemy’ who locates outside of the nation-state’s boundary, or ‘a type of person’. But Ethiopian refugees in Korea occupy the distinctive position that is ‘thankful but uncomfortable being’ on account of war participation history. The discourse transforms the devotion of Ethiopia into a ‘gift’ that should be repaid, then gives it back with a form of comprehens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Nevertheless, Ethiopian refugees ext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repayment for Korea's ‘hospitality’. They, also, request to “Remember war participation”, criticizing the refugee screening system of Korean governments. On this account, their political activity proves the fabrication of imagined “Ethiopia”. In conclusion, the discourse about war participation, which connects Ethiopia and Korea, reduces every kind of story to one single narrative. It pulls some history and memory which are useful for constructing the world history of imagined “Cold War”, acceptable for Korean society. It, on the other hand, erases unuseful narratives. But the discourse, seeming like forge the perfect order, is always disjunctured in unexpected places. This thesis is an outcome of reconstruction that tries to rewrite the Cold War history imagined as a single ‘Master Narrative’ to ‘histories’ which consist of multiple narratives in multi-layered contexts. As well, the thesis ends up describing the unpredictability of the ‘nation-state’ category. On the basis of this thesis, I argue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fact that a general category ‘nation-state’ is not the cosmos which is arrayed in orderly, but the things of chaotic which collide, combine, and create with each other unpredictably. I, finally, hope that this thesis, which follows the chaotic way in which the nation-state is imagined and constructed in the specific context of Ethiopia’s war participation, will be read as an example of research that does not reduce anthropological fields to a physical entity.

      • 해방기 38선 서사 연구

        조강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84

        이 논문은 38선 서사로 정의할 수 있는 해방기 소설 및 기행문, 잡지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38선 인식과 그 경계를 둘러싼 두 개의 공간 인식의 특질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방기에 새롭게 탄생해야만 했던 국가를 향해 서사가 창출했던 서사적 정체성을 규명한다. 나아가 38선과 두 공간에 대한 심상지리적 인식이 자기 인식과 맺는 연관성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우선 38선이라는 경계가 두 공간의 자기 구성 과정을 고찰하게 하는 지점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하였다. 38선은 해방 이후 민족 재건과 자주적 통일국가의 건설이라는 탈 식민의 과제를 좌절하게 만든, 외부적 세력에 의해 만들어진 민족적 비극의 경계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경계는 냉전의 세계적 질서와 맞물려 강화되는 흐름 속에 놓여있으면서 그 이면에는 단순히 외부에 의한 민족적 분절이라는 시각만으로 모두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을 갖고 있다. 한반도에 그어진 이 경계는 두 공간의 접촉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두 개의 공간은 각기 서로의 존재를 통해 자기를 규정해왔고, 이 과정의 출발점 한가운데에 38선이 존재한다. 경계는 국가의 실체를 대변하는 하나의 상징으로 존재한다. 경계는 분명하게 공간을 구분하며, 구분된 각 공간의 사회적, 정치적 시스템은 공간 내부의 사람들을 특정한 질서 안으로 편입시킨다. 경계를 넘는 것은 자기 인식의 근거가 되는 공간을 정하고, 특정한 질서와 관련하여 자기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하는 일이 된다. 공간의 이해는 곧 자기인식에도 영향을 끼친다. 인간의 자기 이해는 선천적으로 공간적 사고와 연관되어 있다. 2장에서는 염상섭의 소설을 중심으로, 해방된 식민지인들이 38선이라는 새로운 경계를 인식하는 방식과, 그들이 경계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경계 안쪽의 자기 공간을 채우는데 있어 경계 너머는 본질적으로 계속해서 감각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경계의 탄생은 곧 경계 너머의 탄생이었다. 경계 너머에 대한 호기심은 분절의 상황으로 인해 충족되지 못하고 있었다. 경계 너머를 확인하는 일은 자기 공간을 이해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이었기에 이 호기심은 지속되었다. 서사가 제시하는 경계 너머 이북의 풍경과 경험은 경계 안쪽의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된다. 이 장에서는 그러한 전제 조건으로서 이북과 경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3장에서는 서광제의 기행문을 중심으로, 서사가 경계 너머 이북을 어떻게 규정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38선이 이북의 심상지리와 연관하여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함께 살펴보았다. 경계 너머 이북의 심상지리를 형성했던 38선 서사는 이남의 구성원들을 향해 특정한 위치에 서며, 구성원들로 하여금 특정한 위치에 서게 한다. 주체의 내면에 상상되고 인식된 지리적 감각은 단순히 주체로 하여금 공간에 대한 규정만을 내리게 하지 않았다. 타자의 공간에 대한 규정은 곧 자기 자신의 규정과 연관되어 있었다. 4장에서는 온낙중의 기행문을 통해, 서사가 이북을 언급하면서 동시에 경계 안쪽의 이남을 어떻게 인지하게 했는지, 이때 독자를 향해 서사가 창출하는 서사적 정체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38선은 한반도 내부의 분단선으로 분석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확대된 시선을 통해 더 큰 지역적 범주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확대된 범주에서 38선은, 단순히 미국과 소련으로 대표되는 ‘세계적 질서로의 편입’으로만 분석되지 않는다. 5장에서는 잡지 『이북통신』을 중심으로 아시아의 지역적 경계로서 38선이 산출하는 심상지리적 인식과 서사가 창출하는 정체성에 접근한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38th parallel inherent in the novels, travel essays and magazine texts publish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at could be defined with the narratives of 38th parallel,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wo spatial perceptions surrounding the borderlin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also aimed to identify the narrative identity created by the narratives toward a nation-state that had to be born anew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further examine connections between the imaginative geographical perceptions of 38th parallel and two space and self-awarenes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first considered that the borderline of 38th parallel could be a point to think over the self-organizing processes of two spaces. The 38th parallel has been regarded as the borderline of national tragedy established by external forces to frustrate the postcolonial tasks of national reconstruction and foundation of independent, unified nation after liberation. Situated in the flow of being reinforced in line with the global order of Cold War, however, the borderline has something that cannot be fully explained only with the viewpoint of ethnic segregation by external forces in its hidden side. Drawn across the Korean Peninsula, the borderline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tact surface between the two spaces, which have defined themselves each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other. The 38th parallel stands at the center of starting point of this process. A borderline exists as a symbol to represent the true nature of nation-state. As a borderline clearly distinguishes spaces, the social and political system of each distinguished space incorporates people inside the space into certain order. Crossing a borderline, thus, means determining a space that will be the grounds of self-awareness and solidifying one's own identity in relation to certain order. The understanding of space immediately affects self-awareness. Man's self-understanding is by nature connected to spatial thinking. Chapter 2 examined the ways people perceived a new borderline called the 38th parallel in the liberated colony and the experiences they had via the borderline with a focus on novels by Yeom Sang Seop. People could not help continuing to sense what was beyond the borderline essentially when filling up their own spaces inside the borderline. The birth of a borderline was thus that of what is beyond the borderline. Their curiosity about what was beyond the borderline was not fulfilled due to the situation of segregation. Their curiosity lasted since checking what was beyond the borderline influenced the ways they understood their own spaces. The sceneries and experiences of the north beyond the borderline presented by narratives became preconditions to check our identity inside the borderline. The chapter tried to figure out the north and the borderline as such preconditions. Chapter 3 looked into how narratives defined the north beyond the borderline and what meanings the 38th parallel had with regard to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the north with a focus on travel essays by Seo Gwang Je. Forming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the north beyond the borderline, the narratives of 38th parallel stood in a special place toward the members of the south and had its own members hold a particular place. The geographic senses imagined and perceived inside the subjects did not just lead them to define spaces. The definition of spaces owned by others has something to do with that of oneself. Chapter 4 examined how the narratives had people perceive the south over the borderline while mentioning the north and how the narrative identity created by those narratives toward readers was manifested through travel essays by On Nark Chung. The 38th parallel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a bigger geographical category through an expanded vision instead of being analyzed as a dividing line across the Korean Peninsula. An approach in an expanded category did not just result in incorporation into a global order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and Soviet Union. Chapter 5 approached the imaginative geographical perceptions generated by the 38th parallel as a geographic borderline in Asia and the identity formed by the narratives with a focus on a magazine titled North report.

      • 번역 출판의 문화정치와 사회적 상상 : 1950년대 후반-1970년대 번역서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채웅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84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social imaginaries and the cultural politics surrounding rans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analyzing the practices and institutions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This study describes the media socio-cultural history of translated books regarding the translation a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product beyond the textual and the intellectual. It focuses on two goals. One is to explore how the national imaginaries were related to cultural practices, cultural legitimacy, and cultural politics. The other is to identify how worldhood affected the process of cultural modernization of translation publishing. This study uses social imaginaries as a theoretical framework. Social imaginaries are vague understandings, connotations, and expectations of things interior and exterior of a society, shared among members of it. It constitutes a sense of cultural legitimacy and the repertory for legitimate collective actions. Translation has a mutually constitu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imaginaries in that it is a con-figuring of the other and the self, and the work of imagining and bounding the world in which a society exists in specific ways.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onward was driven by its imagined contribution to modernizing national cultures. In this sense, the yang-seo, the books given cultural legitimacy, became a drive for cultural practices. In particular, the World Literature Anthologies crystallized the vague imaginaries of the yang-seo. As competition for yang-seo intensified,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attempted to institutionalize translation publishing in the mid-1960s.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rationalized rules of the field to ensure that the yang-seo was aligned with the practices of reading public. In the national imaginaries, the yang-seo was not only a stake for which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struggled to earn, but also a cultural political object for the government to mobilize the people and a subject that constituted the discourse of the elite group. Accordingly, the center of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the government, and the intellectuals formed a conspiratorial relationship for the cultural project of the yang-seo. The ak-seo were referred to the books stripped of their cultural legitimacy, that fell outside the standards of the time. These included books with popular genre novels, books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unethical ways, and translations of Japanese novels. The ak-seo survived in the face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yang-seo and illegalization of the ak-seo, because the foundation and logic of the yang-seo were too unstable. The promoters of yang-seo experienced discord on cultural legitimacy. In addition, as the symbolic authority and economic expectations from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recognition of yang-seo grew, the producers of yang-seo also made books for the struggle using the methods of ak-seo. These results reveal the limits of the dichotomous logic of the cultural project of yang-seo that separates the cultural from the economic. Meanwhile,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popular ak-seo deprived of cultural legitimacy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ultures outside the national imaginaries and a view of cultural pluralism. The process of cultural modernization was not just a domestic phenomenon but accompanied by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world was imagined as a competitive field for symbolic struggle. The yang-seo was a symptom of this imaginative geography and a weapon u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in the unequally structured world system of translation publishing. This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or participation in the world system of translation publishing, was inextricably linked to the globalization of geopolitical power. Korea, a peripheral country, endors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et by the West, sutured some critical opinions into the logic of modernization. In Korea, the connotations of translation were obsessively reduced to developing and promoting national culture.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was narrowed down to adopt the Western order and obtain cultural leadership worldwide. Nevertheless, some translation practices emerged on the periphery of the domestic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to reflect on global boundaries and power relations appropriating texts across regional differences. Through a media socio-cultural history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s of the social imaginaries on the legitimacy of cultural practices and products, as well as the limits and fissures of it, and the unintende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ose deviated from it. This thesis shows that translation fulfills an ideological function as an effect of global power relations but also has the power to make us reflect on those power rel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번역서와 번역 출판 실천, 담론, 제도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상상의 작동 양상과 초국적 문화 교류를 둘러싼 문화정치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텍스트주의적·지성사적 접근에서 벗어나 번역서의 미디어 사회문화사를 기술하고자 한다. 분석의 주요 목표는 두 가지다. 하나는 사회적 상상이 문화적 실천, 문화적 정당성, 문화정치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번역 출판 장의 문화적 근대화 과정에서 ‘세계적인 것’이 가져온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글은 사회적 상상을 이론적 틀로 삼아 논의를 전개한다. 사회적 상상이란 사회 구성원 사이에서 공유되는, 사회 그리고 사회 내외부의 존재에 대한 막연한 이해, 의미 부여, 기대를 가리킨다. 그것은 집단적 실천의 틀과 문화적 정당성에 대한 감각을 제공한다. 사회적 상상은 사회 구성원에게 일반적으로 공유되지만, 균질적인 강도와 형태로 공유되지는 않는다. 한편 번역은 타자와 자기 자신에 대한 쌍형상화로서, 타자와 자기 자신, 그리고 둘이 공존하는 세계를 일정한 방식으로 상상하고 경계 지으려는 작업이자 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상상과 상호 구성적 관계를 맺는다. 1950년대 후반부터 국내 번역 출판 분야가 급격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그것에 부여된 상상적 의미 작용 덕분이었다. 민족 문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상상에 따라 문화적 정당성을 부여받은 책은 ‘양서’로 불렸고, 그것은 번역 출판 장 내외부의 실천을 이끄는 동력이 되었다. 당대 제작된 세계문학전집은 모호했던 ‘양서’에 대한 상상을 구체화했다. ‘양서’를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자 번역 출판 장에서는 1960년대 중반 제도화를 시도했다. 정부는 ‘양서’가 대중 독자의 실천과 연계될 수 있도록 장의 합리화된 규칙을 법적·제도적으로 뒷받침했다. 민족적 상상에 의거한 ‘양서’는 번역 출판 장에서 상징 투쟁의 내기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부가 국민을 동원하기 위한 문화정치적 대상이었고, 또 문인과 지식인의 담론을 구성하는 주제였다. 이에 따라 번역 출판 장의 중심부, 정권, 그리고 문인과 지식인은 ‘양서’라는 문화적 기획을 중심으로 한 공모 관계를 형성했다. 문화적 정당성을 박탈당한 책들을 가리키던 ‘악서’는 몇 가지 정당성 기준을 벗어나 있었다. 통속적인 내용을 담은 책, 비윤리적인 방법으로 출간 및 유통된 책, 일본 번역 도서가 그것이다. 제도화 단계 이후로도 ‘악서’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양서’의 토대가 불안정했기 때문이었다. ‘양서’가 무엇인지 합의되지 않은 채 진행된 제도화는 정부와 번역 출판 장의 불화를 야기했고, 정부의 제도적 인정이 주는 상징적 권위와 그에 따른 경제적 기대 효과가 커지자 ‘양서’의 생산을 위해 ‘악서’의 방법을 사용하는 부조리가 벌어졌다. 이는 문화적인 것에서 경제적인 것을 분리하려던 ‘양서’라는 문화적 기획의 이분법적 논리의 한계를 드러낸다. 그런 가운데 문화적 정당성을 박탈당했던 대중적인 번역물의 생산과 수용은 민족적 상상을 벗어난 문화의 가능성과 문화적 다원성에 대한 시야를 열어두고 있었다. 국내 번역 출판의 문화적 근대화 과정은 대내적인 것을 넘어서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양서’는 국제화와 전 지구화가 얽히며 빚어낸 효과였다. 즉 그것은 국내 번역 출판 장과 정부가 불평등하게 구조화된 번역 출판의 세계 체제에서 국제적 상징 투쟁을 위해 내세운 무기이면서, 전 지구적 정치경제적 권력 작용을 승인한 결과였다. 이데올로기적 상상 지리가 강화되면서 국내에서 번역이 지닌 내포도 민족 문화의 창달과 세계로의 진출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국내 번역 출판 장의 주변부에서는 제3세계론의 번역을 통해, 지역적인 차이를 넘어서 텍스트를 전유하고 세계의 경계와 권력관계를 성찰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번역의 정치성은 이처럼 ‘초국적인 것’에 대한 지향에서 발아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195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번역서에 대한 미디어 사회문화사를 통해 사회적 상상이 문화적 실천과 생산물의 정당성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사회적 상상의 한계, 즉 사회적 상상으로부터 벗어나는 실천이 지닌 의도치 않은 문화정치적 의미를 논의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더불어 번역이 전 지구적 권력 작용의 효과로서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권력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