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민주주의의 의미와 본질에 대한 고찰: 대의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심의민주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장희 헌법재판소 2018 헌법논총 Vol.29 No.-

        대의제는 민주주의의 불가피한 원칙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동시에 대의제만이 유일무이한 민주주의의 실현 방법일 수도 없다. 민주주의의 본질이 ‘국민의 자기 지배’의 이상에 있는 이상 민주주의의 실현 방법은 끊임없이 이러한 본질에 다가가려는 노력으로써만 정당화될 수 있다. 대의민주주의가 단지 엘리트주의를 정당화하는 데 그친다면 그것은 민주주의의 타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민주적 ‘참여’와 ‘심의’는 원칙적으로 의사결정의 민주적 정당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으며 그것은 대의제의 보완제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국민의 민주적 참여를 민주성의 ‘양적 보완’으로, 국민에 의한 ‘심의’를 민주성의 ‘질적 보완’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다만 국민의 ‘참여’에 있어서는 참여자의 대표성이 문제 될 수 있으며, 또 국민에 의한 심의에서도 그 심의 결과에 법적 구속력이 있는지가 문제로 남는다. 그래서 대의제 하에서 참여와 심의는 한편으로는 의사결정의 민주성을 강화하기 위한 불가결한 요소로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 그것은 결국 대의제 하에서 대표에 의한 구속적 결정을 통제하고 민주성을 보완하는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This essay has dealt with the meaning and essence of democracy in the constitu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relation among representative democracy, participatory democracy and deliberative democracy. As we know, a representative system is an inevitable principle of democracy. At the same time, however, it cannot be the only way to realize democracy. The essence of democracy is ‘people's self-dominance,’ so how democracy is realized can only be justified through the continuous efforts to get close to it. If representative democracy only means elitism, it will inevitably lead to the fall of democracy. Thus,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can, in principle, be an alternative to enhance democratic legitimacy of decision-making, which can have meaning as a supplement to representative system in the constitution. However, we can understand the democratic participations of the people as a “quantitative supplement” of democracy and deliberations by the people as a “qualitative complement” of democracy. But some questions remain such as to whether the participant can be granted the qualifications as a representative or whether the outcome of deliberations is legally binding. Thus, on one hand, participations and deliberations by people under a representative system may be understood as indispensable components to strengthen the democratic nature of decision-making. At the same time, it will inevitably have the meaning of controlling binding decisions by representatives and supplementing democracy under a representative system.

      • KCI등재

        자유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자유민주주의

        조한상(Cho Han Sa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圓光法學 Vol.31 No.2

        Liberal-Democracy is one of the basic ideals which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dopts. Liberal-Democracy is very important, but controversy over it is not decreased. Above all, it is worring that skepticism about liberal-democracy is increasing on all sides. This paper attempted reinterpretation of liberal-democracy, and wanted to contribute to the loyalty of nation towards liberal-democracy. Liberalism is the ideology that is used for guarantee individual freedom. For possession of freedom,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interference or coercion of others. So individualism inheres in Liberalism. The ideology of liberalism says rationality and justification will be unfulfilled with conversation and discussion between rational citizens. It is the tendency to rationalism. However, there is a limit to liberalism to neglect participations of political groups, and non-political nature inheres in liberalism. Democracy is still uncertain idea, although its value is generally approved. With comparison with so called guardianship idea, it is a self-evident truth that democracy is most profitable political order for people. However, it is also a classical criticism that democracy may be vulnerable to guaranteeing freedom of people, and has tendency to totalitarian democracy. Both liberalism and democracy has its own value, but its own limitation. This paper want to maintain the paradoxical combination of liberalism and democracy. This combination means that liberalism and democracy coexist in conflicting context, and One should not make the other impotent. It is so-called antagonism state. With this combination and state, pluralistic competition around liberal-democracy as constitutional basic idea is possible.

      • KCI등재

        자유민주주의의 위기와 민주주의의 두 가지 대안: 숙의민주주의와 급진민주주의 연구

        이상환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101 No.-

        This article diagnoses the crisis of liberal democracy and seeks alternatives to overcome it. Since real democracy adopts liberal democracy, the crisis of democracy is a crisis of liberal democracy. Liberal democracy methodically adopts ‘individualism’ and ‘representation’. For this reason, liberal democracy simply collects individual poltical opinion aggregatively and selects a specific citizen as a representative, but the representative acts relatively freely from the citizen, resulting in a ‘crisis of representation’.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risis of liberal democracy include deliberative democracy and agonistic democracy. Deliberative democracy has limitations that it is difficult to overcome the crisis of liberal democracy because it is too trusting in rationality, ambiguous whether it is opinion formation or decision-making, and difficult to respect individual or group diversity. Agonistic democrac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creas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respect the diversity of individuals or groups. This paper seeks theoretical possibilities to overcome the crisis of liberal democracy through a agonistic model of equal participation that can respect various identities of citizens beyond the ‘agreement without exclusion’ of deliberation model. 글은 자유민주주의의 위기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한 논문이 다. 현실 민주주의는 자유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민주주의의 위기는 곧 자유민 주주의의 위기라고 하겠다. 자유민주주의는 방법론적으로 개인주의와 대의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유민주주의는 개인의 정치적 의사를 단순히 선호집합적으로 취합해서, 특정 시민을 대표자로 선출하지만 대표자는 시민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게 행동하기 때문 에 ‘대표성의 위기’를 낳는다. 자유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는 숙의민 주주의와 경합민주주의가 있다. 숙의민주주의는 합리성을 지나치게 신뢰하고 있고 또한 의견형성인지 의사결정인지 모호할뿐더러, 개인이나 집단의 다양성을 존중하기 어렵기 때 문에 자유민주주의의 위기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경합민주주의는 경합성 또는 다양성의 존중으로 말미암아 정치적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개인이나 집단의 다양성 을 존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다. 이 논문은 숙의 모델의 ‘배제 없는 합의’를 넘어 시민들의 다양한 정체성을 존중받을 수 있는 평등한 참여라는 경합 모델을 통해 자유민주주의의 위 기를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 SSCISCOPUSKCI등재

        The Clash over Democrac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Korean Liberation Period, 1946-1947

        Joonseok Yang 한국학술연구원 2020 Korea Observer Vol.51 No.3

        This study analyzes conflicts caused by the different perceptions hel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bout the democratic subjects and the problem of selecting the representatives of the democratic subjects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World War II. American democracy was based on freedom, exceptionalism and moralism, whereas Soviet democracy was based on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for the real working class. These two conceptions of democracy collided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World War II. During the First U.S.-U.S.S.R. Joint Commission, the heart of American democracy was conveyed as the freedom to express opinions. The Soviet Union, on the other hand, argued that true democracy should represent the workers and peasant. With respect to what kind of democratic government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United States tuned the concept of American democracy and prepared more concrete ideas for a national system and electoral methods based on American democracy. The Soviet Union envisioned election based on the People s Committe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 s Congress in the North.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did not agree on the democratic subjects and the form of democratic government in the Korean peninsula. Consequently, a Communist government of the democratic people was established in the North. In the South, a democratic government far from the application of the authentic American democracy was established after the failure of integrating the left and the right groups. For the Republic of Korea, but it was an urgent matter to make room for securing various voices against the threat of independence and communism.

      • KCI등재

        민주주의 비판으로서 ‘계급적 민주주의론’

        채장수 한국동북아학회 2013 한국동북아논총 Vol.18 No.3

        Cleary, marxist democracy has tendency to overset ‘common senses of democracy’ and provides ‘the limited but fundamental’ critic viewpoints on realistic problems caused by capitalism. Defining marxist democracy as ‘class democracy’, this study examined its radical arguments over the contemporary democracy. First, this study critically evaluated ‘the present democracy’ focused on neoliberalism and social polarization. And it tried to find theoretical weaknesses and partial validities of class democracy. Second,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rete meaning of class and basic points to be realized ‘class’ democracy in the class society. And it examined the claim on ‘proletariat as a universal emancipator.’Third, this study reviewed the assertion of class democracy on impossibility of ‘democracy for everyone’ through reviewing theories of ‘state type and state form.’ In the view of class democracy, state is only defined the political means of economic ruling class that support their class interests. And ‘democracy as state form’ restrained by ‘dictatorship as state type’ is unavoidably classified. 이 글은 마르크스주의 민주주의론을 ‘계급적 민주주의론’이라고 규정하면서, 민주주의 현재에 대한 비판으로서 이것의 급진적 논리를 살펴보았다. 민주주의의 ‘상식’을 전도하는 계급적 민주주의론은 ‘자본주의적 민주주의’가 야기하는 현실적 문제에 대한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냉정한 비판의 논리를 제공한다. 첫째, 신자유주의와 양극화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의 현재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계급적 민주주의론의 이론적 한계와 부분적 적실성을 모색하였다. 둘째, ‘계급(투쟁)’의 구체적 의미를 중심으로, 계급사회에서 민주주의가 ‘계급적’ 민주주의로 현실화되는 논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프롤레타리아트=노동자계급’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중심으로, ‘보편적 해방자’로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정체성에 대한 주장을 살펴보았다. 셋째, ‘국가 도구론’과 ‘국가 유형론-국가 형태론’을 중심으로, ‘모두를 위한 민주주의’의 실현 불가능성을 부각시키는 계급적 민주주의론의 주요한 논리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국가는 경제적 지배계급의 이해를 정치적으로 실현시키는 지배도구로 규정되며, ‘독재’(국가 유형)의 규정을 받는 ‘민주주의’(국가 형태)는 필연적으로 ‘계급화’된다.

      • KCI등재

        니체의 민주주의 이념 비판- 자유, 평등, 박애 비판을 중심으로

        최순영 한국니체학회 2014 니체연구 Vol.26 No.-

        Democracy has developed in Western Europe, and it prevailed in this world, as English Chartist Movement started. After very end of World War Ⅱ, democracy has begun to spreaded over the colonial countries, including Korean democratic republic. Liberal Democracy has confronted to people's democracy in the era of cold war. And the socialist countries has fallen down. The latter has been defeated by the former. F. Fukuyama has declared the victory of liberal democracy as the end of history. Liberal democracy has been transforming to neo-liberalism. But financial crisis of USA in 2008 has revealed the limit of neo-liberalism. In first decade of 21C, we have observed the Jasmin Revolutio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african countries. The political meanings and institutional forms of democracy has been changing, as democracy has been developing in the whole world. Democracy became a universal value of mankind nowadays. By the way, democracy has lost the critical meaning in the course of its universalization. As S. E. Bronner pointed out, democracy has lost its critical character and function, as it becomes cure-all for political problems. It proved to be obscuration and abstraction of democracy, as long as the concept of democracy has been extended. It is worthy of listening to Nietzsche's unreserved critique of democracy. In this paper Nietzsche's critique of liberty, equality and fraternity has been critically analyzed. The meanings and limits of Nietzsche's critique of democracy are described. The desirable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is disputable till today. It results from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of will to power, which is Nietzsche's most important philosophical concept. I tried to compare, and to analyze various interpretations of will to power. In this way, I do philosophical endeavors to clarify the merits and faults of each interpretation. Nietzsche's philosophical contributions should be succeeded, on the contrary, his limits should be overcome. First of all, the political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should be done to approach this goal. I hope that this paper could contribute to the philosophical researches of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and of contemporary democracy. 민주주의는 19세기 영국의 차티스트 운동을 기점으로 유럽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2차 대전 직후 민주주의는 한국을 포함한 구식민지 국가들에게 확산되었다. 냉전 시기 동안 민주주의는 자유민주주의와 인민민주주의의 대결국면을 맞았다. 결과는 사회주의의 몰락과 자유민주주의의 승리였다. 후쿠야마는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를 역사의 종말이라고 환호하였다. 이후 자유민주주의는 신자유주의로 변화해갔다. 그러나 2008 미국발 금융위기는 신자유주의의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2010년대 우리는 아랍과 북아프리카에서 민주주의의 제 3의 물결 ‘쟈스민 혁명’을 목격하였다. 역사 속에 민주주의는 전 세계로 확산되어간다. 그리고 민주주의의 의미와 제도 또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민주주의는 이제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되었다. 20-21세기 민주주의가 보편화되는 과정에서 민주주의는 그 비판력을 많이 상실하였다. 브론너의 지적처럼 ‘민주주의가 모든 문제들의 해결책이 됨에 따라 그 비판적 특성과 기능은 상실되었다.’ 이는 민주주의 개념의 외연적 확장에 따른 민주주의 개념의 내포, 즉 민주주의 개념의 모호화로 드러나고 있다. 민주주의의 외연이 확장되면서 그 내포가 추상화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상황에서, 우리는 니체의 거리낌 없고 솔직한 민주주의 비판에 정치철학적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민주주의의 핵심적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분석하고, 그 의의와 한계를 서술하였다. 니체의 정치철학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논쟁적이다. 이는 니체의 가장 중요한 철학적 개념인 힘에의 의지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필자는 니체철학에 대한 다양한 정치철학적 해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각각의 해석이 갖는 장단점이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논문을 서술하였다. 우리는 이 과정을 통하여 니체 정치철학의 공헌은 계승, 발전시키고, 그 한계는 시대의 정치적 맥락에 맞추어 극복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학문적 노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니체철학에 대한 엄밀한 정치철학적 독해를 해야 한다. 본 논문이 니체 정치철학 연구과 현대민주주의 연구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Reinhold Niebuhr's Theory of Democracy and Its Relevance to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Nahm, Jay-Hyo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2003 신학논단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Reinhold Niebuhr's theory of democracy to democrat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 shall do so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political ideology of "Koreanized Democracy"("한국적 민주주의") of the Third Republic of Korea. In the first section of the paper, Niebuhr's theory of democracy is summarized. In Niebuhr's view, a political theory in general and the concept of democracy in particular are held in organic and inseparable relation to one 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He contends that social and political organizations must be informed by, and do justice to, a realistic estimate of human nature to achieve political-ethical goals for society. Niebuhr is convinced that the Christian view of human nature best describes both the moral capacity and the limitations of human nature, and that it is therefore the most adequate view for provid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democracy. Accordingly, Niebuhr's intellectual justification of democracy is based on his interpretation of the Christian view of human nature. In regard to the institutional structure and strategy of democracy, Niebuhr emphasizes two principles of democracy, i.e., the organization and the balance of power. The former is to establish the basic social order for survival and integrity of the society; the latter for creating necessary conditions for justice. In the second section of the paper the concept of "Koreanized Democracy" is scrutinized in the light of Niebuhr's theory of democracy. We must admit that there is no explicit and systematic exposition of anthropological foundation of "Koreanized Democracy". However, we may draw a conclusion that there is neither a serious consideration of deficiency nor admission of corruption, of human nature in the concept of "Koreanized Democracy". It is positively presumed that the "revolutionary soldiers" of the Third Republic were equipped with so high a moral capacity and integrity as to be immune to corruption and immorality. It was evidenced that the government came to be evermore corrupt and repressive due to the total concentration of political power. Thus, the equilibrium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forces was totally lost. We may here affirm the validity of the Niebuhrian thesis: Irresponsible and uncontrolled power is the greatest source of injustice; therefore, justice is as dependent upon the responsible control of governmental power as it is upon the power of arrangements to redress the disbalance of power throughout society.

      • KCI등재후보

        정보사회 민주주의의 이론적 재검토 : 직접민주제 구현 vs. 대의민주제 보완

        宋基福(Kibok Song) 미국헌법학회 2010 美國憲法硏究 Vol.21 No.3

        ‘다두적 민주주의론’의 주창자인 Dahl은 미국 국민이 미국 헌법에 대해 진지하게 자신의 의사를 표출할 기회를 갖지 못했고, 헌법에 대한 종교적 숭배 분위기의 극복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의 주장에는 미국 헌법의 가장 큰 결함이 지리적 소수가 정치적 평등의 이념을 위반하며 다수 국민의 의사를 좌절시키는 정치제도라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다. 그의 고민은 정치적 평등의 이념을 어떻게 구현하는가가 중점이다. Dahl의 이와 같은 고민은 보다 본질적으로 한국의 대의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위기에도 그 맥락을 연결시킬 수 있다. 한국의 정치상황은 대의민주주의의 핵심적 작동기제인 의회정치가 초래한 ‘민주주의의 불구성’, 즉 ‘민의왜곡’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이 문제는 제도의 완고성으로 인해 인민의 의사와 대표자의 의사 사이에 자유위임의 차원을 훨씬 더 뛰어넘는 괴리의 존재를 의미한다. 더구나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매개 기술이 고도화되는 정치사회 환경일수록 긴장과 갈등이 증폭될 수 있다. 이 새로운 정치사회 환경을 ‘정보사회’라고 한다면, 이에 맞는 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탐색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사회가 정보사회의 경향성을 보이기 시작한 1990년대 중반 이후 전자민주주의에 대한 논의들은 기존의 대의민주주의의 공과에 대하여 많은 문제제기를 해왔다. 즉, 전자민주주의는 민주주의의 담론과 결합하여 대의민주주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하는 보완적 측면의 민주주의 정치과정이라는 주장과, 아테네식 원형 민주주의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democratic technology)로서 직접민주주의를 가능케 할 것이라는 주장 등 크게 두 가지 논점에서 논의가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전자민주주의가 대의민주주의의 보완이론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며 주류를 이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의민주주의의 여러 한계 상황들이 노정될 때마다 전자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의 결합 또는 결사체민주주의와 숙의민주주의 등과의 결합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대의민주주의를 대체해야 한다는 논의의 궤적이 남아 있는 것 또한 현실임은 부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해법적 담론은 당연히 기존의 대의민주주의의 제도 운영과 전자민주주의적 요소들이 현실의 정치과정에서 발현되는 현상 사이에 존재하는 부정합성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찾아야 한다. 대의민주주의의 한계 극복과 직접민주주의 요소의 실현가능성에 대해 조망하면서, 한 가지 분명히 규정해야 할 사항이 있다. 직접민주주의적 요소들의 실현이 기술적으로 가능해지고 실제로 직접민주주의로 수렴해 간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자기지배를 실현하는 수준의 궁극적인 직접민주주의가 가능해진다고 말할 수는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대의민주주의는 보다 참여적이고 직접적인 매개과정을 통해 민주주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진전될 수 있고 변형될 수는 있어도, 정치과정에서 대의성이 소멸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자민주주의에 대한 논의 역시 대의민주주의를 보다 심화된 민주주의로 향하게 하는데 중요한 작용기제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A series of studies on electronic democracy have raised questions around merits and demerit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n Korea from mid-1990s when the society entered so-called ‘information society’ and thereafter revealed some characteristic trends for the informative activities. The discourses of electronic democracy in Korea, combined with talks about democratic practices, have showed debates both over the feasibilities of overcoming crisi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altering it into a new form of direct democracy. But most cases of the studies, except the early optimistic discourse of electronic democracy advocated in 1980s and early 1990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refreshing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widening the horizon of participatory democracy by adapting electronic mediation mechanism in political process, rather than replacing representative democracy itself. Participation has been a central keyword in democratic life from ancient Greek politics, and it is still a subjective issue in modern times. In this aspect, electronic democracy is considered to be a momentum for enhancing democratic development in most advanced countries. Therefore, for years, studies on electronic democracy have been especially emphasized upon application to real political process, and these efforts considerably embedded into action in the process. But they are not formulated in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so cleavage occurs between real political practices and legal institution in the application of factors of electronic democracy. If this crevice may be more widened, democratic practices will inevitably be more endangered. From this problematic reason, this study aims at introducing the practical and applicable factors of electronic democracy into the realm of law and institution.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levant meanings of information society are analyse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 of democracy in information age, and also the theoretical reconstruction is discussed on the basis of democratic transformation by adopting electronic democracy into the real political process.

      • KCI등재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서술과 민주주의 교육

        강화정 한국역사교육학회 2014 역사교육연구 Vol.- No.20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troversy of the Kyohaksa history textbook in 2013 with the keyword of democracy and democracy education. First, I have taken a close look at the process of how the term ‘democracy’changed into ‘liberal democracy’ in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due to the suggestions from the The Association for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ppertaining to authors of Korean history textbook. The concept of liberal democracy’ is basically unclear. Furthermore, the terminology is rarely used in other social studies education course, In addtion, this one faces manifold problems that the changing progressesof terminology are undemocratic. According to Kyohaksa history textbook, liberal democracy means ‘liberal democracy system based on anticommunism’. Following onthe Kyohaksa history textbooks contemporary history description, liberal democracy was emphasized through 5·10 general elections and founding of liberal democracy thorough founding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aspect to protect the system after the Korean War. While other history textbooks described contemporary history after 1960 under the fact of oppression and resistance between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and pro-democracy movement, Kyohaksa textbook, onthe other hand, minimizes the description of pro-democracy movement and describes that the reason why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had to damage the value of democracy was an inevitable choice due to communism. After announcing government approved textbooks, the countless factual fallacy in Kyohaksa textbooks were a big issue. After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made a statement of recommended modification. After analyzing the content of recommended modification of 7 other textbook except Kyohaksa, they all resembled the historical view of New right. Through the recommended modifi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ced other Korean history textbooks with New right’s history by aggravating regression in the awareness1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본고는 2013년 많은 논란을 일으킨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민주주의와 민주주의 교육이라는 키워드로 살펴보려 한다. 먼저,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집필자들이 속한 한국현대사학회의 건의로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민주주의’가 ‘자유민주주의’로 변경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자유민주주의는 그 개념이 불명확하고, 다른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였다. 또, 용어 변경과정이 비민주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교학사 교과서에서 자유민주주의는 ‘반공에 기초한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의미했다. 교학사 교과서의 현대사 서술에서 자유민주주의는 5.10총선거와 대한민국 수립을 통한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수립, 6.25전쟁과 체제 수호의 측면에서 강조되었다. 다른 한국사 교과서들이 권위주의 정부와 민주화운동 간의 억압-저항 구도 속에서 1960년 이후 현대사를 서술한 반면, 교학사 교과서는 민주화운동 서술을 최소화하고, 권위주의 정부가 민주적 가치를 훼손한 것을 공산주의에 의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았다. 한국사 교과서 검정 발표 이후 교학사 교과서의 무수한 사실 오류가 문제가 되었다. 그러자 교육부는 8종 한국사 교과서에 수정 권고를 발표했다. 교학사를 제외한 7종 한국사 교과서의 수정권고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는 뉴라이트의 역사관과 꼭 닮아있었다. 교육부는 수정 권고를 통해 한국현대사 인식의 퇴행을 조장하며 뉴라이트의 역사인식을 다른 한국사 교과서에 강요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