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모효능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지애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3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marriage migrant women’ acculturative stress on children’ acculturative stress. Al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migrant women’ and children’ acculturative stress.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Wave 1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Ⅱ) of fourth-gra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of 2,224 respondents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rriage migrant women’ acculturative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 acculturative stress. Second, marriage migrant women’ acculturative stress was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 by parental efficacy on children’ acculturative stress. Specifically, the greater the level of parenting efficacy, the smaller the infl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on children'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contrary,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level of parenting efficacy efficacy, the stronger the degree of influence of marriage migrant women's acculturative stress on their children's acculturative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measures were discussed to lower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and to increase parental efficacy.

      •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Acculturation-Depression Relationship among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Yunjin Oh,Jee-Sook Lee 호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인간과사회 Vol.30 No.-

        본 연구는 재미 한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우울증의 관계를 조사하고, 또한 문화적응정도와 우울증사이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들에게 가장 높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난 항목은 그 중요도에 따라 학업실패에 대한 두려움, 학과 경쟁, 영어능력, 미래직업에 관한 항목들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정도가 낮을수록 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화적응정도와 우울증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재미 한인유학생의 우울증 예측에 있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재미 유학생의 문화적응 정도와 우울증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높은 문화적응은 낮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야기하게 되고 이는 다시 재미 유학생의 우울증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된 연구한 계에도 불구하고 재미 한인유학생의 미국문화적응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서비스제언을 포함하고 있다.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level and depression was tested Findings included: (1) most identified stressors were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fear of academic failure, academic competition, English proficiency, and future career: (2) students with less acculturation experienced high acculturative stress, wherea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cculturation and depression: (3) acculturative stress strongly predicte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students: and (4) acculturative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high acculturation may result in less acculturative stress, thereby decreasing the likelihood of Korean students experiencing depressive symptoms. Although the study presents some limitations, it provides a rar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acculturation process of Korean students in the U.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providing the specialized services so that the students can better cope with acculturative stress.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문화 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의 관계

        김현실 한국보건사회학회 2012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Daegu and Kyungpook area, and to identify the impa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pattern of acculturation on their depression in this population. Methods: Research objectives were accomplished by conducting an anonymous questionnaire survey with 173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8.0. Results:Women who received higher monthly income and perceiv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reported less depression compared to women receiving low monthly income and perceiving low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Women who perceived low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reported also highe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n women perceiving higher level of recognition about their mother country and their culture by Korean. The patterns of acculturat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Daegu and Kyungpook area appeared separation, marginalization,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in that order.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among the patterns of accultur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ulturative stress, but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ulturative stres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ose who reported greater acculturative stress tended to report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were acculturative stress and acculturation showing 44.6%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 the author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ocial service program based on the women's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nd the patterns of acculturation. 본 연구에서는 대구ㆍ경북지역에 거주하는 173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우울, 문화 변용, 문화 적응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대상자의 국적은 베트남, 평균연령은 20-29세, 한국 거주기간은 2년 이상 4년 미만, 학력은 중학교 졸업, 종교는 불교, 가족 월수입은 100-200만원, 결혼 동기는 ‘잘 사는 나라에서 살고 싶어서’, 남편 소개 경로는 결혼중개업체를 통하여, 자녀 수는 한 자녀가가장 많았다. 사회 인구학적 변수 중 월수입이 높을수록, 자신의 모국과 모국문화에 대하여 한국인의인지도가 높다고 지각할수록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국과 모국 문화에 대한 한국인의 인지도가 낮을수록 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우울정도에 따른 문화변용 유형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의 평균 차이 분석 결과 정상집단은 우울집단 보다 통합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주변화는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우울집단은 정상집단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 지역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 변용 유형은 분리, 주변화, 동화, 통합의 순으로 높은점수를 보였다.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문화변용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포함시켰을 때 설명력44.6%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향후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 및 문화적응 유형별 사회 지원 및 사회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있었다.

      •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요인 연구

        박연희(Park Yeon hee) 한국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5 No.1

        결혼이주여성들은 자신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국제결혼을 결심한다. 이들은 결혼과 함께 이주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족의 구성원으로 적응하는 단계에서도 가족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남편과 시부모, 자녀와의 관계, 경제적 어려움, 건강상의 문제 등 가족적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결혼이주 여성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혼이주여성의 낮은 수준의 가족건강성은 그 가족 구성원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는데 기본적인 관심을 가진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가족관계 스트레스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을 위한 가족복지와 다문화복지의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바람직한 다문화 가족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필요성을 바탕으로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최종 289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가족관계 스트레스, 문화적응 스트레스 그리고 가족건강성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게 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고 높음의 차이가 가족관계 스트레스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가족관계 하위요인인 남편관계 스트레스, 자녀관계 스트레스, 시부모관계 스트레스와 경제관련 스트레스 그리고 건강관련 스트레스 모두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게 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낮고 높음의 차이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게 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가족건강성에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게 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가족건강성에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가족건강성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문제해결능력, 대화기술, 가족원간의 가치체계공유들은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원과의 유대 요인은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간적 범위의 제한을 가지고 시작하여 우리나라 전체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전체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arried migrant women decide the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ir happy lives. They face acculturative stress as they move with their marriage and adapt themselves to new environments. Addi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have family problems also in the procedure of adapting themselves as a family member. These problems are closely related with various family factors including the relationships with husband, parents-in-law and children, economic difficulties and health problems. In other words, family stress and acculturative stress give influences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Low level of family strengths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gives serious influences on all family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has a basic interest to improve the family strengths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For this,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are to be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strengths are to b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the areas of family welfare and multiple culture welfare to maintain and improve family health of married migrant women and at the same time, to develop the desirable family welfare program. Based on this necessity, married migrant women who are current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targeted as study subjects. 289 final survey paper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rried migrant women were identified to have influencing relationship influences in family stress,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strengths. Second,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levels of differences in acculturative stress which the married migrant women are aware on the influencing levels of family stress. Study results showed there are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of the relationship stress with husband, children and parents-in-law and economic and health stress which are all subcategories of family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the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Third,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Study results showe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Fourth,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Study results showe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Fifth,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Examining the subcategories composing the family strengths, study results showed that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communication skills and value system sharing between family members ha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However, boding factors between family members were identified to have no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is study starts with the spatial range limit, so there are limits to generalize the country-wide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put all the married migrant women in the future long-term study.

      • 다문화가족여성의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섭(Jung, Shin Sub) 한국복지실천학회 2021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여성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을 증진시키는데 기본적인 관심을 가진다. 이를 위해 가족건강성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가족관계 스트레스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을 위한 가족복지와 다문화복지의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바람직한 다문화 가족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데 있다. 서울 ․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가족관계 스트레스, 문화적응 스트레스 그리고 가족건강성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고 높음의 차이가 가족관계 스트레스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가족관계 하위요인인 남편관계 스트레스, 자녀관계 스트레스, 시부모관계 스트레스와 경제관련 스트레스 그리고 건강관련 스트레스 모두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낮고 높음의 차이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가족건강성에 영향 정도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제해결능력, 대화기술, 가족원간의 가치체계공유들은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원과의 유대 요인은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고 낮음에 따라 통계적으로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arried migrant women decide the international marriage for their happy lives. They face acculturative stress as they move with their marriage and adapt themselves to new environments. Additionally, married migrant women have family problems also in the procedure of adapting themselves as a family member. These problems are closely related with various family factors including the relationships with husband, parents-in-law and children, economic difficulties and health problems. In other words, family stress and acculturative stress give influences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Low level of family strengths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gives serious influences on all family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has a basic interest to improve the family strengths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For this,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are to be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strengths are to b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the areas of family welfare and multiple culture welfare to maintain and improve family health of married migrant women and at the same time, to develop the desirable family welfare program. Based on this necessity, married migrant women who are current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targeted as study subjects. 289 final survey paper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rried migrant women were identified to have influencing relationship influences in family stress,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strengths. Second,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levels of differences in acculturative stress which the married migrant women are aware on the influencing levels of family stress. Study results showed there are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of the relationship stress with husband, children and parents-in-law and economic and health stress which are all subcategories of family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the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Third,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Study results showe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Fourth,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Study results showe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Fifth, difference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influencing level of family strength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at married migrant women understand. Examining the subcategories composing the family strengths, study results showed that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communication skills and value system sharing between family members had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However, boding factors between family members were identified to have no statistical influenc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stress. This study starts with the spatial range limit, so there are limits to generalize the country-wide targeting married migrant wo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put all the married migrant women in the future long-term study.

      • KCI등재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성희 ( Cho Sunghui ),박소영 ( Park Soyo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청소년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청소년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에 종단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1차부터 6 차까지의 자료를 모두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주요변수에 모두 응답한 1,241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청소년 과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모두 전체적인 경향에 있어서 모두 감소했다. 둘째,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연구결과 중 하나로,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는 청소년의 문화적 응 스트레스 초기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율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가 높았고,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속도는 느렸다. 셋째,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의 속도 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속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 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원은 가족을 단위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과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초기부터 감소시키기 위해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의 활성화 등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We examined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on adolescents and the change rate of acculturative stress. For doing this, data from the first wave to the 6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1,241 responses) were analyze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culturative stress of both mothers and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decreased gradually. The importan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in the initial phase had a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s’ in the initial phase,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the acculturative stress of adolescents. The speed of the change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positively affected that of adolescent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to lower the acculturative stres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Plus, ways of invigorating th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decrease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initial phase was discussed.

      • KCI등재후보

        새터민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종국,조아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aims to support migrant North Korean adolescents' accultur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a study o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among migrant North Korean adolescents as the number of migra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to 228 migrant North Korean adolescents who are aged from 9 to 24 years. Frequency, t-test, ANOVA, Duncan test, and linear regression test were performed to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12.0k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acculturation stress by age and school type. In fear which is one of acculturative stresses, migrant North Korean adolescents by 9-13 age group and 20~24 age group showed more stress for fear than 17-19 age group.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groups in terms of fear.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acculturative stress(discrimination) by the family type. It means that migrant North Korean adolescents who stay alone or with siblings have less stress for discrimination than those who stay with adoptive parents or single parent. And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acculturative stress(fear) between migrant North Korean adolescents with South Korean friends and those without them. Third.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on acculturative(fear and safety).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새터민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차이를 조사하고, 둘째, 사회적 지지가 새터민청소년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새터민청소년 대안학교, 새터민지원센터, 상담지원센터, 교회, 대학교, 그룹 홈 등과 현재 이들을 위한 문화적응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청소년수련관, 종합사회복지관 등을 있는 9세에서 24세 새터민청소년 228명이었다. 새터민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이경주․신효식(1997)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알아보기 위하여 Sandhu와 Asrabai(1994)가 개발하여 사용한 ‘Acculturative Stress for International Student’를 번역하고 이를 새터민청소년들에게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12.0k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증, 일원분산분석 및 Duncan의 사후검증,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터민청소년들의 연령, 학교유형, 가족유형, 남한친구 여부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새터민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두려움, 차별감, 안전감에 대한 스트레스의 세 하위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정서지지, 가족지지, 사회지지, 또래지지, 교사지지의 5개 하위영역 중 정서지지와 또래지지가 두려움에 대해, 사회지지가 안전감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결정요인

        이홍직(Hongjik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한국어능력, 사회적 지지 요인을 통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성별과 주관적 건강상태, 한국내 거주 가족 여부가, 사회적 지지 요인에 있어서는 만남의 빈도, 교수의 지지, 동료 중국 학생의 지지, 가족의 지지, 경제 및 도구적 지지, 정서 및 평가적 지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어 능력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회귀 모형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한국어 능력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남의 빈도, 교수의 지지, 동료 중국학생의 지지, 가족의 지지, 경제 및 도구적지지, 정서 및 평가적 지지 등의 사회적 지지 요인만이 여전히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완화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the chinese students in Korea. Especially, it aimed to explore how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students and the language skills and social support they had affected thei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2 chines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5 colleges in the Seoul-Gyeonggi metropolitan area. The levels of acculturative stress was measured by the 7 sub-factors item questionnaire of perceived discrimination, homesickness, perceived hate, fear, stress due to change/cultural shock, guilt, and nonspecific factors. Als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korean language skills and social support factors were introduced as predi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the chinese students in Korea. Although acculturative stress of the chinese students were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variou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factors, only social support factors, such as frequency of meeting, professors" support, fellow chinese friends" support, family members" support and economic/instrumental support and emotional/evaluation support, were still remain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to the acculturative stress in the total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us that chinese students who had meeting with others more frequently, had more supports from professors, chinese friends, and family members, and had more economic/instrumental and emotional/evaluative supports enjoyed lowe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n their counterparts. Therefore, more policy and program considerations should be took for chinese students to utilize their social supports in order to relive their acculturative stress in Korea. (Korean J Str Res 2011;19:183∼194)

      • KCI등재

        중국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유형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만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9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유형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중국 유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다변인 회 귀분석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은 개방성, 배려, 친밀감, 믿음의 하부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정보적, 정서적, 평가적, 물질 적 지지로 되어 있다. 문화적응유형은 통합유형, 동화유형, 분리유형, 주변화유형의 하위요소로 범주화하였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지각된 차별감, 지각된 적대감, 대 인관계 스트레스, 문화충격,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5개 하위요소로 되어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 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감 중 개방성 요인은 지각된 차별성, 지각된 적대감, 대인관계 스트레스, 문화충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 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배려 요인은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한국인의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적 지지는 지각된 적대감과 대학생 활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또한 정보적 지지는 지각된 차별감에, 정서적 지지는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평가적 지지는 문화 충격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이 문화적 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화 적응유형은 대인관계 스트레 스, 문화충격,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동화유형은 지각된 차 별감에, 분리유형은 지각된 적대감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trust, peceived social support, and cultural adaptation types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me significant effects of Korean trust among Chines student respondents in Korea on acculturative stress. Specially, the higher level groups in the score of Korea trust, care, intimacy, and reliance have less acculturative stress than the lower level groups. Second, Som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ceived social support on their acculturative stress are founded. Specially, the higher level groups in the score of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tend to experience less acculturative stress than the lower level groups. Third, the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types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them are analyzed. The marginalization type and the separation type have tendency to get higher acculturative stress, but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ion type and the assimilation type have tendency to get less acculturative stress.

      • KCI등재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학습 동기와 한국어 숙달도 간의 관계 연구 ― 한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강미령(Kang, Miryoung),양명희(Yang, Myunghee)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3 No.-

        본고는 한국 내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여 그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습 동기 및 한국어 숙달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한국 내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한국어 숙달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한국 내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와 한국어 숙달도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한국 내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습 동기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제기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인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숙달도가 낮으며 그 중에서도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많이 느끼면 한국어 숙달도가 낮고, 학습 동기가 높으면 숙달도가 높으며 특히 내적 동기와 통합적 동기가 높으면 한국어 숙달도가 높았다. 또한 의사소통의 어려움,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등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으면 학습 동기가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한국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유학생들의 성공적인 유학 생활을 위해 적절한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culturative stress, academic motivation, and language proficiency of 33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ree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motivation of studying Korean and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the academic motivation of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study in South Korea to study Korean?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and a combined research method were conducted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as low when the students received much acculturative stress. Particularly, when they had many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as low. Additionally, when the students had high academic motivation,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as high. When their internal motivation and integrative motivation were high,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as high.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motivation to study Korean was low when the students had much difficulty in communicatio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igh acculturative, stress such as homesick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it was critical to provide appropriate academic motivation and alleviate acculturative stress for intern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to have a successful studying abroad experienc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acculturative programs and ways to mitigate acculturative stress. Above all, it will be needed to focus on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Korea by designing a curriculum suitable for their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