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Acculturation-Depression Relationship among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Yunjin Oh,Jee-Sook Lee 호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인간과사회 Vol.30 No.-

        본 연구는 재미 한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우울증의 관계를 조사하고, 또한 문화적응정도와 우울증사이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들에게 가장 높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난 항목은 그 중요도에 따라 학업실패에 대한 두려움, 학과 경쟁, 영어능력, 미래직업에 관한 항목들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정도가 낮을수록 문화 적응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화적응정도와 우울증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재미 한인유학생의 우울증 예측에 있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재미 유학생의 문화적응 정도와 우울증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높은 문화적응은 낮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야기하게 되고 이는 다시 재미 유학생의 우울증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된 연구한 계에도 불구하고 재미 한인유학생의 미국문화적응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서비스제언을 포함하고 있다.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level and depression was tested Findings included: (1) most identified stressors were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fear of academic failure, academic competition, English proficiency, and future career: (2) students with less acculturation experienced high acculturative stress, wherea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cculturation and depression: (3) acculturative stress strongly predicte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students: and (4) acculturative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high acculturation may result in less acculturative stress, thereby decreasing the likelihood of Korean students experiencing depressive symptoms. Although the study presents some limitations, it provides a rar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acculturation process of Korean students in the U.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providing the specialized services so that the students can better cope with acculturative stress.

      • KCI등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Uveitis in Patients with Psoriasis in Korea: A Retrospective Multicenter Case Series

        Yunjin Lee,Baek-Lok Oh,Hyeong Gon Yu,Sang Woong Youn,Se Joon Woo 대한안과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35 No.1

        Purpose: To describ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of uveitis in patients with psoriasis in Kore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0 patients (27 eyes) with psoriatic uveitis in two tertiary hospitals were retrospectivelyreviewed. We analyzed data about patient demographics, uveitis types, laterality, onset of disease, human leukocyte antigen(HLA) types, intraocular pressure, visual acuity, comorbidities, and medical treatments and outcomes for uveitis and psoriasis. Results: The cohort comprised 11 males and nine females (age of onset, 50.1 ± 13.2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was 3.9 ± 4.0 years. Types of uveitis included anterior (85%), intermediate (10%), and panuveitis (5%). A total of 13 (65%)cases presented with unilateral involvement and 12 out of 18 patients (66.7%) were positive for HLA-B27. The average intraocularpressure of affected eyes was 11.6 ± 3.6 at the first visit and 13.8 ± 3.6 mmHg at the final visit. The average logarithm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visual acuity of affected eyes at the initial examination was 0.16 ± 0.52 and 0.27 ± 0.71 atthe last examination. Most common comorbidity (13 patients, 65%) was psoriatic arthritis (PsA). All cases underwent topicalcorticosteroid treatment; however, 11 (55%) required systemic corticosteroid and immunosuppressants for the treatment ofuveitis. Notable deterioration in visual outcome was found in two cases (10%) due to severe intraocular inflammation and itscomplications (uveitic glaucoma and bullous keratopathy). Recurrent uveitis was observed in 57.9% of patients. Patients withPsA tended to have higher positive rate of HLA-B27 (83.3%).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isualprognosis and location of psoriatic uveitis, presence of PsA, and HLA-B27 positivity. Conclusions: Psoriatic uveitis in Koreans usually presents with anterior uveitis with unilateral involvement. PsA was the mostcommon comorbidity. In majority of patients, visual outcomes are satisfactory with appropriate topical or systemic immunosuppressivetreatment.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와 스트레스 및 불안 간의 관계

        윤기봉(Kibong Yun),오윤진(Yunjin Oh),오충원(Chungweon O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3

        본 연구는 재난약자로서 시각장애인의 재난과 관련한 정신건강에 관심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재난대응욕구와 스트레스 및 불안 간 관계를 살펴보고 어떠한 재난대응 욕구가 충족이 되면 시각장애인의 재난상황에 대한 스트레스와 불안이 감소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5월 ~ 6월까지 서울의 시각장애인복지관 5곳의 모집문건을 통해 참여의사를 밝히고 서면동의를 한 시각장애인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난대응 욕구들은 시각장애인의 스트레스와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재난대응 욕구 중 의사소통욕구만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쳐 의사소통 욕구가 이미 충분히 충족되어 있으면 시각장애인의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난대응 욕구들은 시각장애인의 불안과도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재난대응 욕구 중 이동 욕구만 불안에 영향을 미쳐, 이동 욕구가 이미 충분히 충족되었다면 시각장애인의 불안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고려한 재난대비 훈련 프로그램 및 매뉴얼 마련의 필요성과 정책적 접근이 마련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visually impaired as a disaster vulnerable person needs attention to mental health related to disa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 need for disaster response and stress/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stress and anxiety of the visually impaired in a disaster situation could be lowered when certain disaster response special needs are satisfied. This study targeted 203 blind people from May to June 2020. Research subjec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hrough the recruitment documents of five blind welfare centers and gave written consen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pecial needs for disaster response, only the communication need affects stress. When communication needs are already sufficiently satisfied, the stress of the visually impaired is lowered. Second, special needs for disaster respons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nxiety of the visually impaired. Among the special needs for disaster response, only the move need affects anxiety, so if the move need is already sufficiently satisfied, the anxiety of the visually impaired is reduc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e necessity of preparing a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program and manual considering the mental health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at a policy approach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재난인식 및 재난대응 욕구에 대한 연구

        윤기봉(Yun, Kibong),오윤진(Oh, Yunjin),오충원(Oh, Chungw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4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각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재난 상황에서의 대응에 대한 욕구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연구대상자가 2020년 5월~6월까지 서울지역 5개의 시각장애인복지관의 모집문건을 통해 참여의사를 밝히고 서면동의를 한 후에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인이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재난유형은 감염병이었고 그 다음은 지진, 화재, 태풍 순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인의 재난대응 욕구들 중에서 충족되고 있는 욕구는 자립성유지 욕구, 의사소통 욕구, 의료적돌봄 욕구, 이동욕구 순이었으며, 슈퍼비전 욕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재난대응에 대한 이해를 높여 재난약자로서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재난관리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되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disasters and their desire to respond to disaster situations of the visually impaired in Korea. Method: This study targeted 203 blind people from May to June 2020. Research subjec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hrough the recruitment documents of five blind welfare centers and gave written consen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Results: The type of disaster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ceived most seriously was infectious disease, followed by earthquake, fire, and typhoon. Among the needs for disaster respon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need to be satisfied was the need to maintain independence, followed by the need for communication, the need for medical care, and the need for mobility, and the need for supervision was the lowest.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come a basic data suggesting the direction of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for the blind as the disaster vulnerable by enhancing the awareness of disasters and their understanding of disaster response.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의 매개효과

        윤기봉(Yun, Kibong),오윤진(Oh, Yunjin),오충원(Oh, Chungw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과 함께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263명(남자 154명, 여자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6월에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관 및 활동지원서비스 수행기관을 통해 모집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이 본인의 건강이 좋다고 인식할수록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 간 관계에서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은 각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이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재난적 스트레스와 재난적 우울감이 낮아서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생활 만족을 높이는데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이 모두 중요하다는 사실 뿐만 아니라, 그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서 시각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influence of the subjective health level of the visually impaired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indirect influence of stress and depression about disaster as a mediating role.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63 blind people (154 males, 109 females), who were recruited in June 2021 through welf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 Results: Firs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visually impaired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stress about disaster and depression about disaster each play a mediating role.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a mechanis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visually impaired.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의약품 점자표기에 대한 경험과 욕구에 관한 연구

        이순민(Lee, Soon Min),오윤진(Oh, Yunji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xperiences and need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concerning Braille markings on drug packets,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s and policy of using Braille markings on drug packets. Method: Representatives of the six organization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As well, 200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participated in the needs survey for Braille markings on drug packets. We analyzed the qualitative data based on the ground theory and conducted descriptive analyses with the survey data.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ocus group interview, the following two themes were induced: the degree of experiences on Braille markings on drug packets; needs for Braille markings on drug packets. The needs survey for Braille markings on drug packets resulted in the mean 4.71 of 10 types of drug packets, which is closed to ‘very necessary’ in 5-Likert scale.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on Braille markings on drug packets were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the safe use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medicin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들의 의약품 점자표기에 관련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와 점자표기에 대한 욕구실태를 살펴봄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의약품 관련하여 점자를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6개의 시각장애인단체의 대표자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담과 200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의약품 점자표기에 대한 욕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초점집단면담은 근거이론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고, 의약품 점자표기에 대한 욕구조사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행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점집단 면담 결과, 의약품 점자표기 사용 경험 정도와 의약품 점자표기에 대한 욕구가 도출되었다. 의약품 점자표기에 대한 욕구조사에서 의약품 10종에 대한 점자표기 욕구의 전체 평균은 4.71로, ‘매우 필요하다’에 가깝게 나타났다. 결론: 초점집단면담과 의약품 점자표기에 대한 욕구조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약품 사용성, 안전성, 그리고 정보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점자표기 개선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첨가가 초소수성 실리카 나노입자의 분산 안정성 및 유변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방준식 ( Junsik Bang ),김정규 ( Jungkyu Kim ),김윤진 ( Yunjin Kim ),황성욱 ( Sung-wook Hwang ),이태경 ( Taekyeong Lee ),안경선 ( Kyung-sun Ahn ),여환명 ( Hwanmyeong Yeo ),오정권 ( Jung-kwon Oh ),곽효원 ( Hyo Won Kwak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증점제로 이용하여 초소수성 실리카 코팅용액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실리카 기반 소수성 코팅용액을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와 Hexadecyltriethoxysilane (HDTMS)를 사용하여 sol-gel 공법으로 코팅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실리카 기반 코팅 용액을 건조 시킨 후 FT-IR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실리카 나노입자가 HDTMS로 개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투과전자 현미경을 통해 100 나노미터의 크기를 갖는 구형의 실리카 나노입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제조된 실리카 용액은 짧은 시간 내에 고형분이 침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점도가 낮아서 코팅액으로 사용시에 균일한 코팅 공정을 구현하기가 어려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증점제 및 분산 안정제로 첨가하였으며 레오미터를 통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함량에 따른 유변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셀룰로로오스 나노섬유는 분산 안정제 및 증점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점도의 증가로 발림성 또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FT-IR 결과 및 투과전자 현미경 이미지를 통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표면에 실리카 나노입자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첨가 비율을 최적화한 다음, 목재 표면에 코팅 한 결과 150도 이상의 높은 접촉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낮은 sliding angle을 갖는 것을 통해 발수성 또한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activation of Nrf2 pathway is enhanced under oxidative state: Structural analysis and potential as a pathologically targeted therapeutic agent in treatment of colonic inflammation

        Kim, Hyunjeong,Kim, Wooseong,Yum, Soohwan,Hong, Sungchae,Oh, Jeong-Eun,Lee, Ji-Woo,Kwak, Mi-Kyoung,Park, Eun Ji,Na, Dong Hee,Jung, Yunjin Elsevier 2013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Vol.65 No.-

        <P><B>Abstract</B></P> <P>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is a polyphenolic natural product that possesses numer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effects. CAPE-mediated nuclear factor-erythroid 2 p45 (NF-E2)-related factor 2 (Nrf2) activation is likely responsible for some of its biological effects. CAPE was chemically modified to yield CAPE analogues that were subjected to experiments examining cellular Nrf2 activity. CAPE and the CAPE analogue with a catechol moiety, but not the other analogues, activated the Nrf2 pathway. In addition, only biotin-labeled CAPE analogues with the catechol moiety precipitated Kelch-like ECH associated protein 1 (Keap1) when incubated with cell lysates and streptavidin agarose beads. Sodium hypochlorite (NaOCl) oxidation of the catechol moiety in CAPE produced an oxidized, electrophilic form of CAPE (Oxi-CAPE) and greatly enhanced the ability of CAPE to activate Nrf2 and to bind to Keap1. Rectal administration of CAPE ameliorated 2,4,6-trinitrobenzene sulfonic acid-induced rat colitis and activated the Nrf2 pathway in the inflamed colon, and incubation of CAPE in the lumen of the inflamed distal colon generated Oxi-CAPE. However, these biological effects and chemical change of CAPE were not observed in the normal colon. Our data suggest that CAPE requires the catechol moiety for the oxidation-enhanced activation of the Nrf2 pathway and has potential as a pathologically targeted Nrf2-activating agent that is exclusively activated in pathological states with oxidative stress such as colonic inflammation.</P> <P><B>Highlights</B></P> <P> <UL> <LI> The catechol moiety in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is required for CAPE activation of Nrf2. </LI> <LI> Oxidized CAPE (most likely an electrophilic <I>o</I>-quinone form) is responsible for the biological activity of CAPE. </LI> <LI> CAPE ameliorates experimental rat colitis and generates the oxidized form of CAPE in the inflamed colonic tissues. </LI> <LI> CAPE activates the Nrf2 pathway in the inflamed colonic tissues but not in the normal colonic tissues.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