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요구분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춘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1

        모든 국가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실시하는 것이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요구분석이다. 요구분석이란 현재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의 격차를 결정하고 그것의 본질과 원인을 점검하여 미래 행동을 위한 우선순위를 찾는 일이다. 이 글에서는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시 실시한 요구조사와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위하여 실시한 기초조사를 분석하여 요구분석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요구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요구분석의 모형을 검토하여 공통적으로 추출해낼 수 있는 요구분석의 요소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요구분석의 절차를 정립하여 활용하고, 요구분석의 내용적 측면에서 사회 변화의 모습과 방향 그리고 미래 사회의 요구에 대한 폭넓은 조망이 필요하다. 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외교 등 각 분야의 석학, 각 분야의 실천가, 정부, 지역사회 전문가, 교육학자, 교과교육 전문가, 학부모 등 다양한 요구분석 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며, 요구분석 내용과 대상 집단에 따른 요구분석 방법을 다양화하고 주기적·장기적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끝으로 요구분석 결과는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요구분석 결과가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우선순위 결정 준거인 중요도와 실현 가능성을 토대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Every nation carries out needs analysis for curriculum revision before developing a national curriculum. Once needs for curriculum revision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revision. In conducting needs analysis, they define the gap between what it is and what should be is defined, the nature and causes are identified, and priorities for future actions are decided.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needs survey taken when developing the Seventh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preliminary research conducted for another revis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also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needs analysis,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it,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a. Needs analysis should be improved as follows in terms of procedure, content, subject, and group method so that needs for social studies can be widely accepted in the revision process and reflected in a revised curriculum: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odels of needs analysis in the procedure of needs analysis, set up a common procedure for needs analysis based on the common elements of needs analysis, and make use of it when revising the old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a broad perspective should be taken of the aspects and directions of social changes and the demands for future society in respect to the content of needs analysis for social studies. Third, a wide variety of individuals should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a social studies curriculum including distinguished scholars and practitioners of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diplomacy, the government, community experts, pedagogists, curriculum experts, and parents. Fourth, the methods of needs analysis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subject groups and furthermore be regular and long-term to constantly examine social needs. Finally, the results of needs analysis should be presented according to priorities. Those who conduct needs analysis need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importance and feasibility, which are the reference to determine priorities, so that the results can serve as useful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In a country like Korea where a national curriculum is regarded as holy scripture, partial revisions are preferred to all-out revisions when deciding 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 In addition, it's important to have research institutes conduct constant research, required personnel, enough applications in the field, and works of revision before making the final decisions.

      • KCI등재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

        윤규원,김문섭,김진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odel of needs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verify social needs as well as personal needs. The overall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 questionaire based on six mode class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invented in order to apply to program development. Secondly, a questionaire was designed to evaluate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simultaneously. Thirdly, t-test, needs analysis of Borich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conducted with a view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 needs and social needs. As a result, there showed the categories of education which are high in both personal and social needs, whereas a category like certification program is higher in social needs rather than in personal needs. The results represent the necessities of promoting programs which are high in social needs even if there is no personal needs. Therefore the needs survey and the needs analysis need to be conducted to find out not only personal needs but also social needs. 본 연구는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 중 요구분석 단계에서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 사회적 요구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의 주요 과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평생교육 6진 분류체계에 근거한 질문항목으로 설문지를 만들어 요구도 조사의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개인적 요구와 사회적 요구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셋째, 재구성하여 개발한 요구분석 설문지를 사용하여 평생교육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t-검정, Borich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를 모두 고려한 요구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개인적 요구도와 사회적 요구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자격인증과 같은 개인적 요구도는 낮지만 사회적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인의 요구는 없지만 사회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대변해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요구 조사 설문방법과 요구분석 우선순위 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개별 평생교육기관들이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한다면 사회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개설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social service needs types of young adult and influencing factors

        하태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9 No.-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the social service needs of young adults,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types of needs. To this end, latent class analysis(LCA), basic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2021 Youth Socio-Economic Survey data. The analyses classified the youth’s needs for social services into four groups: employment, health, and housing needs-intensive(26.7%), high even level in all needs (27.7%), low-level needs(23.1%), and culture and leisure needsoriented( 22.5%).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ypes of social service needs of young people differ between group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residence area, and household type. Finally, by the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it was examined that among the types of social service need of young people, common predictive factors for distinguishing between groups with two or more complex needs based on low-level need were household type and residential area. In addition, young people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difficulties tended to pursue high-level, complex needs, while those who are job seekers, unemployed, or irregular workers showed a tendency to place their needs on employment, health, and hous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service policies for young peopl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youth group as well as their social service needs.

      • KCI등재

        Investigating Students`` Perceived Language Needs for Curriculum Review

        ( Dennis Martin Balint ) 범태평양응용언어학회 2005 범태평양응용언어학회지 Vol.9 No.1

        Demographic and situational changes have led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reviewing the curriculum of English language programs in Japan in recent years. This article will describe a study investigating the perceived English language needs of students at a university in Western Japan as part of a curriculum review. In a curriculum review, students`` perceived English language needs are often collected and taken into consideration toward any curriculum revision of a program``s goals and objectives.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of data from a needs analysis survey completed by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ir perceived English language needs. Of particular importance for the study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hich show that caution must be taken into how needs analysis survey data is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more complex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perceptions which differed from those identified by looking only at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allowed for more fruitful discussion of the process toward determining the goals or objectives of EFL programs.

      • KCI등재

        McClusky 노년교육요구에 기초한 노인복지관 교육프로그램 분석

        최수연,최일선,박민정 한국노년학회 2024 한국노년학 Vol.4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McClusky 노년교육요구’에 기초하여 노인복지관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해서 노년교육프로그램이 노년기삶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는 교육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McClusky 노년교육요구의 다섯 가지 범주-대처의 요구, 표현의 요구, 공헌의 요구, 영향력의 요구, 초월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교육프로그램 유형을 설정한 후, 경기도지역 12개노인복지관에서 제공되는 교육프로그램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표현의 요구를 충족하는 교육프로그램이 60.2%로 가장 높은비중을 차지하였고, 대처의 요구(30.6%), 공헌과 영향력의 요구(8.1%), 초월의 요구(1.1%) 순으로 나타나 요구범주에 따른 교육프로그램의 분포가 매우 불균형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포의 양상은 12개 노인복지관에서 모두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교육요구별로살펴보면 대처의 요구를 충족하는 교육프로그램은 디지털⋅정보화, 운동⋅체력관리, 표현의 요구를 위한 프로그램은 스포츠⋅레저, 음악, 미술, 외국어, 공헌과 영향력의 요구는 자원봉사와 사회변화 리더십을 위한 봉사단 프로그램, 초월의 요구와 관련해서는 주로웰다잉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었다.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는 노인의 주체성, 사회적 참여, 생산적 공헌 등의 요구를 증가시키고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고 노년기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구하며 자아통합을 통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대처와 표현의 요구에편중된 교육프로그램의 균형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요구범주 내에서도 다양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최근의 요구수준이높아지고 있는 직업능력 향상 교육이나 생애전환교육, 또는 노년기 삶의 이해 등 다양한 노년층의 요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베이비붐 세대가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교육프로그램 운영 전환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programs of senior welfare centers based on McClusky’s Educational Needs of the Ageing to assess their coverage of various aspects of older adults’ needs.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coping, expressive, contributive, influence, and transcendence needs. Th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imbalance in program distribution across these categories, with expressive needs-related programs comprising the highest proportion(60.2%), followed by coping needs(30.6%), contributive and influence needs(8.1%), and transcendence needs(1.1%). Although there are variations among centers,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Looking at the main types of programs for each category of need, coping needs programs included digital literacy and exercise; expressive needs featured sports, music, art, and foreign languages; contributive and influence needs were met through volunteer work and leadership programs; and transcendence needs were addressed by well-dying programs.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landscape are increasing older adults' need for agency, social engagement, and productive contributions. It is necessary to rebalance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biased towards coping and expressive needs with those that not only reflect these needs, but als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old age and continue to grow through self-integration. In addition, within each category of needs, diversity must be expanded to reflect the wider range of older adults.

      • KCI등재후보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관한 영유아교사의 요구도 분석

        송윤나 ( Song Yun-na ),김새로라 ( Kim Sae-lo-ra ),박희숙 ( Park Hee-su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4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관한 요구도를 분석하고 요구에 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와 C도 소재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 203명이며, 분석 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분석,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 교사들은 민주적인 학급경영의 하위 영역 중 교사와 영유아와의 관계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관한 하위영역별 요구도 분석결과 ‘교육과정 운영’ 영역에서는 영유아의 관심사반영, 교육과정 개발·편성·운영,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수·학습자료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영역에서는 영유아의 필요에 의한 환경 재구성, 유아의 흥미를 고려한 물리적 배치, 영유아의 의견에 따른 작품전시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와 영유아의 관계’ 영역에서는 교사의 지시적인 통제 지양, 영유아와 동등한 의견교환, 함께 만드는 학급규칙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과 안전’ 영역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안전교육 요구, ‘지역사회 연계 및 협력’ 영역에서는 자율적인 직무수행, 동료 교사와 협의, 자율장학,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for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determine priorities for need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D City and C Province. The analysis method used SPSS 22.0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t-test, Borich deman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the highest nee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mong the sub-area of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sub-area for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are as follows. In the area of ‘curriculum operation’, needs were high in order of reflecting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developing·organizing·operating th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the area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needs were high in order of reconstruction of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needs of young children, create a physical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of young children, exhibit the children's works reflect their opinions. In the area of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needs were high in order of avoidance of direct control by teachers, exchange of opinions equally with young children, and class rules created together. In the area of 'Health and Safety', needs were high for safety education in daily life. in the area of 'Community connection and cooperation', needs were high in order of Autonomous job performance, consultation with fellow teachers, self-supervision, and community-related program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기계계열 학과 직업기초능력 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 분석 - 충남 소재 기업 규모별 접근

        우혜정,배광민,윤관식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ing training needs analysis to suggest educational curriculum for basic job skill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alysing level of basic job skill for workers who graduated from specialized high school, and deciding the training needs priority of the basic job skill in the field of mechanic.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about NCS, basic job skill, and training needs analysis. To confirm industrial needs about basic job skill of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in Chungnam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the survey has been distributed to supervisors and personnel managers of machinery business where graduates of specialized high school in Chungnam are working in, and 344 has been collected.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sed using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hrough these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gaps of the recognized present basic job skill and importances, the order of priority of training needs about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basic job skill has been deduct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Large companies had shown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resent level for all 34 subordinate fields of basic job skill excluding fundamental calculation skill, fundamental statistical skill, graphical analysis skill.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had shown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r all 34 subordinate fields of basic job skill. Second, 5 fields including document making skill, listening skill, language skill, career development skill, time management skill were appeared as the highest priority in common. According to company size, In large companies, 12 fields including document making skill, listening skill, language skill, thinking skill, problem solving skill, self development skill, career development skill, time management skill, material resource management skill, teamwork skill, computer application skill were confirmed as the highest priority, and basic foreign language skill, conflict management skil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 technology understanding skill were indicated as secondary priority.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9 fields including document making skill, listening skill, language skill, self development skill, time management skill, conflict management skill, technology application skill, task understanding skill, community ethic skill were appeared as the highest priority, and thinking skill has appeared as secondary priority.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으로 기업분야 중 기계계열 영역의 기업체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현재수준과 중요도를 파악하고, 교육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요구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충남 소재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이 근무하고 있는 기계분야 산업체를 위주로 산업체의 관리자와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총 344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체에서 인식하고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을 확인하고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에서는 직업기초능력 34개 하위영역 중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을 제외한 31개 영역에서, 중소기업에서는 모든 직업기초능력 34개 하위영역에서 중요도와 현재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에서 공통적으로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의 교육요구가 최우선순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대기업에서는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팀웍능력, 컴퓨터활용능력, 근로윤리 등 12개 항목이 최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중소기업에서는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자기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갈등관리능력 기술적용능력, 업무이해능력, 공동체윤리 등 9개 항목이 최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 KCI등재

        경찰의 치안드론 역량함양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IPA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김덕영,노성훈,최문영 경찰대학 경찰대학 2023 경찰학연구 Vol.23 No.4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과 국민의 요구에 따라 현 정부가 선정한 69번의 과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물인터넷 등 스마트 기술과 로봇 드론을 활용한 국민의 재산과 안전관리로, 이에 발맞추어 경찰청은 과학 치안 구현을 통한 선도적인 미래치안을 대비하기 위한 첨단장비(드론 등)와 전문인력 양성을 주요 전략과제로 선정하였다. 법적 규제 완화와 더불어 실종자 수색, 교통 및 인파 관리, 마약 단속 등 영상분석을 통한 과학수사, 경비, 대테러 작전 수행 등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치안서비스 현장의 영역이 크게 확대되어 치안분야의 적극적 드론 활용을 위한 전문가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안 분야 드론 활용에 최적화된 현장 중심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으로 치안드론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심층적 요구분석이 선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활용 직무 역량을 강화하여 다양한 치안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치안 드론전문가를 목표로 하는 경찰관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도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교수 요목을 설계하거나 교수 방법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IPA분석과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병행하여 도출된 결과, 최우선 개발 역량은 ‘맵핑활용 능력’(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영역, ‘드론 비행술’(회전 후 전진 비행, Atti 수동비행), ‘현장 대응능력’(문제해결 능력), ‘경찰 드론 인터페이스 활용 능력’(GCS 세팅 값 설정, 미션플래너), ‘비상시 대처 요령’(비상시 드론 조종술 포함)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찰관의 현업적용도 향상을 중심으로 한 드론전문가 교육프로그램 설계를 위해 드론에 대한 기초지식과 조종 경험이 있는 드론 인력풀을 대상으로 치안 현장에서 요구되는 드론 활용 방법과 이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측면에서 의미와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교육시스템 구축 및 교육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학습자 눈높이 맞춤형 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드론 교육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69th task selected by the current government according to the changing trends of the time and the demands of the people is the management of public property and safety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and robotic dron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line with,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has selected advanced equipment (drones, etc.) and the cultivation of specialized personnel as major strategic tasks to prepare for leading future secur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cientific policing. With the relaxation of legal regulations, the scope of areas in the security services where drones can be utilized has significantly expanded, such as searching for missing persons, managing traffic and crowds, scientific investigations through video analysis, security operations, drug interdiction, and conducting counter-terrorism operation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training of experts who can actively and effectively use drones in the field of security. In this study, an in-depth needs analysis of learners was conducted as a prerequisite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a field-centered, customized training program optimized for the use of drones in the field of security. Through this, the goal is to establish a starting point for designing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structuring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police learners who want enhance practical job competency in drone utilization. The analysis combines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Borich's educational need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st-priority competencies include “Mapping Utilization skills (various program operations),” “Drone Piloting Skills (rotational and forward flight, Atti manual flight),” “Improvement of On-site Response Skills (problem-solving abilities with case assignments),” “Police Drone Interface Usage Skills (GCS setting values, mission planning),” and “Emergency Handling Procedures (including drone piloting skills during emergencies).” for the training of experts in active drone usage in the field of security.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meaning and value in terms of propos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drone experts centered around improv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police officers. It focuses on a pool of drone personnel with basic knowledge of drones and piloting experience, aiming to target the utilization methods of drones demanded in the security field and provide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urse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and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learner needs and to become the cornerstone of drone education research that can implement customized education at the learner's perspectives.

      • KCI우수등재

        대학생의 기본적 심리 만족과 스트레스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중고강도 신체활동의 차이

        박생렬(ParkSaengryeol),이지항(LeeJihang),이재무(LeeJaemoo)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교양 체육 수업 참여자의 기본적 심리 만족과 스트레스가 잠재프로파일 집단으로 구별되는지 확인하고 구별된 집단 간 중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율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A 대학의 교양 체육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총 310명의 대학생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답변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98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참여자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분석을 사용하였고, 상관분석으로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집단을 분리하여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총 4개 집단(집단 1: 가장 낮은 만족 가장 높은 스트레스, 집단 2: 가장 높은 만족 가장 낮은 스트레스, 집단 3: 낮은 만족 높은 스트레스, 집단4: 높은 만족 낮은 스트레스)으로 분리되었다. 가장 높은 만족 가장 낮은 스트레스(집단 2)집단의 대학생들이 여타 집단의대학생들보다 중고강도 신체활동에 더욱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imed to classify individuals based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tres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engagement in 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recruit 310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university sport lectures. In total, 298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correlations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the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sed to classify individual and compare differences between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were classified in 4 different Classes (Class 1: lowest needs satisfaction and highest stress; Class 2: highest needs satisfaction and lowest stress; Class 3: low needs satisfaction high stress, Class 4: high needs satisfaction and low stres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individuals with highest needs satisfaction and lowest stress tended to engage in more levels of 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DACUM 기반 전기정비직 종사자의 직무분석 및 교육요구분석 - H사 전기정비직 종사자 중심으로 -

        서경원,배광민,윤관식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H사에 재직 중인 생산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전기정비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무를 분석하여 책무와 작업을 도출하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기술/태도/도구를 도출하며, 설문조사를 통한 교육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DACUM 직무분석을 통해 직무를 규명하고 4개의 책무와 33개의 작업을 도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작업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고 교육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는 H사 전기정비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DACUM 직무분석을 위한 위원회에는 퍼실리테이터 1명과 코디네이터 1명, 전기정비직에 종사하는 최소 19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내용전문가 7명이 참여하였다. 이후 DACUM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현업부서 관리직 전문가 5명이 참여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기정비직에 종사하는 전체 3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342부중 256부를 회수하였으나 최종분석에는 222부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기정비직 종사자의 직무는 ‘수배전 유지보수’, ‘자동제어 유지 보수’, ‘전기기기 유지보수’, ‘계측장비활용 유지보수’ 의 4개 책무와 33개의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도출된 33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기술/태도/도구를 도출하였다. 셋째, 설문결과 전기정비직 종사자 작업의 우선순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t 검정과 Borich 요구도 공식을 통한 우선순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요구도의 상위 수준을 결정하였다.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최우선 순위의 작업은 총 8개로 ‘고압판넬 차단기 유지보수하기’, ‘고압판넬 계전기 유지보수하기’, ‘고압판넬 계기류 유지보수하기’, ‘plc H/W 유지보수하기’, ‘plc S/W 유지보수하기’, ‘plc network 유지보수하기’, ‘드라이브 H/W 유지보수하기’, ‘드라이브 S/W 유지보수하기’ 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기정비직 종사자의 DACUM 직무분석과 요구분석 결과 교육적 요구가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직무교육과정 설계시 효율적이고 성과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다양한 전기관련 업무를 취급하고, 생산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전기정비를 담당하는 종사자들에 대한 인력양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우는 계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들에 대해 전략적이고,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계획수립과 운영, 평가 측면에서 본 연구결과가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recognition difference about the level of importance(priority) of task of electrical maintenance worker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H company. The way to continue the study, analyze the position, and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duties and tasks for the position. After that, find out required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tools to perform the task. And then, make a priority from the training needs analysis through a survey. To implement the project, investigate duties through the DACUM job analysis and find out 4 of their duties, 33 tasks and conducted a survey. After that, we went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ask and training needs analysis. The subjects were electrical maintenance workers at H company, and the committee for DACUM job analysis consisted of a facilitator, coordinator and 7 professionals of the field with over 19 years of experience each. Also, 5 work site management staff experts participated in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result afterwards. The survey consisted of 342 electrical maintenance workers. Only 256 out of 342 participated in the survey. However, only 222 of those were used in final analysis. The first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4 duties were ‘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on maintenance’, ‘automatic control maintenance’, ‘electric device maintenance’, and ‘measuring device maintenance’ and 33 tasks that are most important to an electrical maintenance worker’s duty. Second, deducted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tools that are required to perform the 33 tasks. Third, to detect the priorities of the tasks of electrical maintenance workers, analyze priority based on the examination,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used The Locus for Focus Model to make a decision of superordinate standard. It confirmed that the top priority has 8 tasks based on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y are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panel maintenance’, ‘high voltage relay panel maintenance’, ‘high voltage instruments panel maintenance', ‘plc H/W maintenance’, ‘plc S/W maintenance’, ‘plc network maintenance’, ‘drives H/W maintenance’, ‘drives S/W maintenance’. The training needs was confirmed through the DACUM job analysis and needs analysis of the study results for the electrical maintenance workers. Based on this study, it should develop a productive curriculum when we plan the competency curriculum.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e opportunity of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training for electrical maintenance workers that handle a variety of electrical work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involved in the productions. Also,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useful reference for planning and management, and evaluation for strategic and systematic development of electrical maintenanc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