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장논리에 의한 대학교육 개혁의 가능성과 한계

        이명균(Myung-Kyun, Lee)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미래교육학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higher education reform by the Neo-liberalism logic in knowledge based society.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igher education reform through the market approaches as the main logic of the Neo-liberalism and researches on knowledge based society.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sibilities of higher education reform by the logic of market approach could define that the recovery of demander based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by evaluations, and the enlargement of educational diversity and special qualities of higher education. Second, the limitations of higher education reform by the logic of market approach could define that the depreciation of educational pubicity, the unbalanc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 lowering qualities and partnership of higher education, and the hindering autonomy of faculti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that the enlargement analyses and arguments on the higher education reform by the market approaches. 이 논문은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신자유주의 논리에 의한 대학교육 개혁의 가능성과 한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자유주의 논리와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 변화의 특정을 검토하였으며, 주요 외국과 국내의 대학교육 개혁 동향을 검토함으로써 시장논리의 대학교육 운영에의 적용 실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서 시장논리에 의한 대학교육 개혁의 가능성으로는, 수요자 중심 교육의 활성화, 대학 및 교수 평가를 통한 경쟁과 정보의 제공, 대학교육의 다양성 추구, 대학교육 서비스의 특성화 도모를, 그 한계로는, 교육의 공공성 저하, 교육기회의 불균형 초래, 대학교육의 양적 비대화와 질적 약화, 대학운영에 대한 공동 노력의 저해, 교수의 자율권 위축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시장논리에 의한 대학교육개혁의 방향과 그 정책적 과제를 가늠하고 향후 이에 관한 분석과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정책지원을 통한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소프트웨어 교육 효과연구

        이승우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1 대학교양교육연구 Vol.6 No.2

        본 논문은 대학 교양 교육을 통한 소프트웨어 기초 소양 및 컴퓨팅사고(computational thinking)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정부정책의 효과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의 대학 지원사업인 소프트웨어중심대학 프로그램의 참여 대학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지원 프로그램은 대학의 소프트웨어 전공 교육의 강화와 함께 전교생에 대한 소프트웨어 기초교육과 타 전공과 소프트웨어 교육을 융합한 융합 교육 체계마련을 지원하는 재정지원 프로그램이다. 참여관찰자로서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지원 프로그램의 대학별 연도별 주요 현황자료와 각종 계획안, 정책연구 보고서 등을 검토하고, 대학 관계자들과의 면담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2015년∼2018년 기간동안 참여한 30개 대학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각 대학은 전교생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과 소프트웨어 융합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양 교과목을 개설하고 체계적인 교육체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대학별 소프트웨어 기초 교양 교과목과 소프트웨어 융합 교과목 이수학생은 연도별로 크게 증가하고 있어, 소프트웨어 기초 교양 교과목은 전체 재학생의 약 30%, 소프트웨어 융합 교과목은 전체 재학생의 약 9%가 수강하고 있다. 질적 성과 측면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양 교육을 체계화 하고 다양한 학제와 융합을 촉진하고 있으며, 교육 이수 학생의 기초 소양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수 학생 대상의 동시적이고 광범위한 교육에 따라 학생 수준별, 전공별 교육과정 마련이 미흡한 한계도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대응책이 마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 재정지원을 통한 교양 기초교육 개선 정책으로서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소양과 컴퓨팅사고(computational thinking)력 향상에 기여하여 정책적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대학수학의 메이커수업 요인이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률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0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 메이커수업 특성의 요인인 강사역량, 교육프로그램, 교육서비스, 물리적 교육환경 요인과 대학생 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 및 태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이공계열 남녀 대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수학 메이커수업 특성 요인 중 강사역량(β=.349, t=6.380, p<.001), 교육프로그램(β=.361, t=5.650, p<.001), 물리적 교육 환경(β=.196, t=3.281, p<.01) 요인이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흥미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수학 메이커수업 에 대한 흥미(β=.349, t=6.380, p<.001) 요인은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수학 메이커수업 특성 요인 중 강사역량(β=.340, t=6.365, p<.001), 교육프로그램(β=.352, t=5.559, p<.001), 물리적 교육환경(β=.226, t=3.537, p<.01) 요인이 대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수학 메이커수업의 교육프로그램 수준과 강사역량이 높고, 물리적 교육환경이 뛰어날 때, 대학생의 수학 에 대한 태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In this stud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between lecturer’s capability, education program, education service, and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and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in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 survey was conducted on 228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attending universities in the Pusan metropolitan area,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mathematics maker classes, instructor competency (β=.349, t=6.380, p<.001), educational program (β=.361, t=5.650, p<.001), and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β=.196, t=3.281, p<.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Second, the factors of interest (β=.349, t=6.380, p<.001) in college mathematics maker class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mathematics maker classes, instructor competency (β=.340, t=6.365, p<.001), educational program (β=.352, t=5.559, p<.001),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β=.226, t=3.537, p<.01)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when the level of education program and teaching ability of the university mathematics maker class are high and the phys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s excellent,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not only on th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but ultimately on the attitude of mathematics.

      • KCI등재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백은숙(Paik, Eun-Sook),장원형(Jang, Wonhyeong),홍훈기(Hong, Hun-G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의 실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 교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하여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을 실제로 경험한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일반화학 강의를 수강한 대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의 학생들은 ‘점수를 잘 받기 위해서’ 혹은 ‘고등학교에서 수강인원이 적은 과목을 개설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화학Ⅱ를 선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대학교의 일반화학을 학습하는 데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은 의도된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 반면, 실행된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 사이의 화학의 연계성은 부족한 것으 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은 문제풀이 위주의 학습을 하던 고등학교와 개념 중심의 학습을 하는 대학교 사이에서 큰 괴리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고등학교과정 중에 심층적인 개념학습이 필수적임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 과 교육과정에 대한 화학과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을 뿐 아니라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내용에서 대학생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단원을 수직적 연계성과 수평적 연계성 측면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eight university students who had studied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And responses from 75 university studen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s a result, many high school students do not choose Chemistry Ⅱ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because they try to get good scores and high school did not support classes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iculty in learning general chemistry at universities. Also,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intended curriculum, whil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implemented curriculum. Finally, university students felt a big gap between high school with problem-solving learning and university with concept-focused learning, and mentioned that in-depth conceptual learning is essential during high school cours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chemistry students o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also analyzed the units that university students find difficult in the content of high school chemistry and university general chemistry in terms of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

      • KCI등재

        독자의 자아 확립 교육 방향 고찰: 『대학(大學)』의 8조목을 중심으로

        김도남 ( Kim Donam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이 연구는 『대학(大學)』의 8조목을 중심으로 독자의 자아 확립을 돕는 읽기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논의는 읽기 교육에 대한 접근의 다양성과 읽기 교육의 지향을 다양화하기 위한 하위 목표도 갖는다. 『대학』은 유학의 주요 경전 중의 하나이다. 이 『대학』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이 논의에서는 사람이 공부를 하는 목적을 규명한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대학』의 8조목은 공부하는 사람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하고, 지향하는 바를 이루기 위하여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단계별로 제시한 것으로 논의하였다. 『대학』의 8조목을 읽기 교육과 관련지어 독자가 자아를 확립하는 논의의 토대로 삼은 것이다. 그래서 『대학』의 8조목은 독자가 자아 확립을 위한 실행의 단계를 구분하는 근거가 됨을 살폈다. 이 논의에서는 8조목의 내용을 반영하여 자아의 확립을 자아의 발현과 자아의 정립으로 구분하고, 8조목을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자아의 발현 단계에 ‘격물·치지·성의·정심’을, 자아의 정립 단계에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안배하였다. 그리고 다시 두 조목씩 묶어 발현의 단계를 ‘형성’과 ‘구현’으로 나누고, 정립의 단계를 ‘체현’과 ‘지향’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그리고 8조목의 실현 양상이 순환적이라는 『대학』의 설명 논리에 따라, 독자 자아의 발현과 정립도 순차적이기보다는 순환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자아를 확립함을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독자의 자아 확립을 위한 읽기 교육의 방향을 세가지로 제시하였다. 독자의 자아 확립의 지향적 목적에 대한 안내, 독자의 자아 발현과 정립 위한 실천, 독자 자아 확립의 읽기 방법 제시가 그것이다. 이 논의에서는 『대학』에서 제시한 사람이 공부하는 논리를 독자의 자아 확립을 위한 읽기 교육으로 해석을 하였다. 『대학』의 내용과 읽기 및 읽기교육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논의는 물론, 독자의 자아 확립을 돕는 읽기에 대한 다양하고 심도 깊은 논의가 더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diversify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reading education. The study focused on eight topics in "Daehag(大學)" and looked at reading education to help reader‘s Self-establishment. Daehag is one of the major scriptures of Confucianism. This Daehag can have many meanings, but in this study, it was viewed as explaining the purpose of human studies. Therefore, Daehag's 8 items were considered to present the student's study purpose and how to achieve that goal step by step. In this discussion, these 8 items are viewed as a stage in the self-establishing activity of the reader from the perspective of reading education. So, Daehag's 8 items become a practice method for the reader to establish self. In this study, reflecting the meaning of 8 items, the reader's self-establishment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self-expression and self-settlement. And I divided the 8 items into two parts. In the stage of self-expression,'格物, 致知, 誠意 and 正心' was arranged, and in the stage of self-settlement,'修身, 齊家, 治國, and 平天下' were arranged. And then grouped two items again and divided the stages of expression into “becoming” and “substance”, and discussed the stages of settlement by dividing them into “embodiment” and “pursuit”. And according to Daehag's explanation logic that the execution of the 8 items is cyclic, the expression and establishment of the reader's self is also a cyclical interaction. Based on this, four methods of reading education for self-establishment of readers were suggested. First, guidance on the oriented purpose of self-establishment of readers, second, practice for self-expression and settlement of readers, third, change of reader's ego through the cycle of expression and settlement, fourth, suggestion of reading method of self-establishment of readers. In this discussion, the logic of man's study suggested by Daehag was interpreted as reading education to establish the reader's self. In addition to discussion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aehag and reading, further discussion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reader's self.

      • KCI등재

        대학교육의 환경변화와 대학정책의 과제

        이제봉(Lee Je bong) 한독교육학회 200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9 No.1

        이 글은 우리나라 대학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변화요인과 대학정책의 방향을 설명하였다.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산업화시대에 형성된 교육모형에 대한 국내외적인 도전으로부터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지식정보화는 전통적 지식관, 교육내용, 교수방법의 변화를 불가피하게 하다. 무한경쟁 체제의 국제경제시스템은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대학은 스스로 혁신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대학의 정원정책은 인력수급 계획적 관점에서 재고되어야 한다. 대학은 또한 기능별 특성화를 이루어 전략적 육성분야, 학문간, 지역간 특성에 맞는 비교우위를 갖도록 구조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평생교육 사회에서 대학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체제 정비가 되어야하며, 각 대학은 연구여건 강화, 교육의 질 관리, 행정 서비스 개선, 학생 중심 교육 등이 이루어지도록 경영혁신을 이루어야 한다. As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enters the 21th century it is facing a wide range of educational issues and difficult policy choice. Inevitably the extremely rapid enrollment sacrificed quality. The universalization of college education has perhaps provided Korean people with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But these trends have made the identification and nurturing of talent and creativity difficult. Quality and efficiency concerns are involved in policy pertaining to the admission, administration, teaching,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finance. The demand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be changed into “an information society” also began to ask change in college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nd administration. The role of state in education could no longer maintain its legitimacy. The state’ strong control into higher education became a target of students, professors and parents’ criticism. The self-innovation of colleges and the private sector’s effort for college reform have been more efficient and fitter to adjust to the newly-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One of the direction of college reform to gain autonomy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tudent admission and college administration. The Korean universities have to make efforts to be changed into student-centered, continuous, process-focussed, and practical education. The highly-fragmented majors should be also integrated-academic ones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efficient and practical education. The universities need to be changed to keep up with the demands of local industry. The colleges’ cooperation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could contribute to local economy and educational development. The universities should change their educational framework to implement on-line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to cope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demands.

      • KCI우수등재

        대학 인권교육의 실제 및 발전방안 탐색: P대학 프로그램 구성원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미호(Kim, Mi Ho),김선정(Kim, Seon Jeong)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인권교육에 참여해 본 구성원들의 인식을 통해 현행 대학 인권교육의 실제를 이해하고 미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P 대학 인권센터의 2020년도 인권교육 프로그램 이수자인 학습자 4인, 그들을 지도한 교수자 2인 및 운영자 1인과의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구조화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인권교육의 현실 측면: 대학생들에게 인권교육은 가치있는 교육으로 인지되면서도 현실적 우선순위에 밀려 등한시되고, 대학에서도 인권 관련 강의를 부분 개설, 자율 수강에 맡기고 있어 대학 인권교육이 활성화되기에는 상황적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둘째, 교수-학습 측면: 대학 인권교육은 교육대상자의 삶과 밀접한 교육 소재 및 실질적 인권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교육내용, 오프라인에서 자유롭게 소통·공감·토론하는 소그룹 형태 교육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셋째, 제도 및 운영 측면: 인권친화적 대학 문화 형성을 위해 교과교육 차원에서 대학생들이 인권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교과목 선택의 폭을 확대하거나, 대학공동체 내 모든 구성원들(학생, 교수, 직원, 환경미화원 등)이 인권교육을 의무 이수토록 장려하는 제도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한 개 대학의 인권교육 사례에 국한된 한계가 있지만, 인권교육 현장의 다양한 유형의 참여자들의 인식을 종합하여 대학 인권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대학 인권교육 발전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current human rights education at a university and to explore ways to develop it in the future. To this en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learners, two professors, and one operator, who completed the 2020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at a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tructured using the subject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a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univers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s neglected as a realistic priority even though it is recognized as valuable education, and universities also partially open human rights-related lectures and leave them to be self-taught. Second, as for the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human rights education was recognized and preferred as effective in educational content in that it can foster educational materials, practical human rights capabilities, and small group-type educational methods that communicate, sympathize, and discuss offline. Third, to create a human rights-friendly university culture, various measures were proposed, such as expanding the choice of subjects for college students to experience human rights education and encouraging all member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students, professors, administrative staff, janitorial staff, etc.).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ase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one university, it can be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general in that it presents future development plans by aggregating the perceptions of various types of participants.

      • KCI등재

        사립대학의 교육여건 지속성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기본역량 진단’을 중심으로

        임대규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2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ducational condition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diagnostic indicators of educ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private universiti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ersistence of educational conditions of private universities on educational performance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most of the educational conditions and educational outcomes i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showed higher average values for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than for metropolitan univers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ruitment rate of new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accountability, full-time teacher acquisition rate, scholarship per student, education cost per student, number of courses by student size, and appropriateness of lecture size.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relevance in al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ruitment rate of enrolled students. Fourth, variables related to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r corporate accountability, full-time teacher acquisition rate, scholarship per student, number of courses by student size, and size. Fifth, related to maintenance employment rate, What should be noted in this study i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erformance (new student recruitment rate, student recruitment rate, graduate employment rate, maintenance employment rate) and educational conditions (teacher credit rate), and these results are taken as natural.I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competent institution to present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gnostic index of educational conditions and the diagnostic index of educational performance. 본 연구는 사립대학의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교육여건과 교육성과의 정량평가 진단지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립대학의 교육여건 지속성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특성에서 따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교육여건과 교육성과는 대부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여건의 결과는 비수도권대학이 수도권대학보다 대부분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나, 교육성과에서는 수도권대학이 비수도권대학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둘째, 신입생 충원율과의 관련성에서 법인 책무성, 전임교원 확보율, 재학생1인당 장학금, 재학생1인당 교육비, 학생규모별 강좌수, 강의규모의 적정성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학생 충원율과의 관련성에서는 모든 변수에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졸업생 취업률과의 관련성을 보인 변수는 법인 책무성, 전임교원 확보율, 재학생1인당 장학금, 학생규모별 강좌수, 강의규모의 적정성으로 나타났으며, 다섯째, 유지 취업률과의 관련성에서는 전인교원 확보율, 재학생1인당 교육비, 학생규모별 강좌수, 강의규모의 적정성에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교육성과(신입생 충원율, 재학생 충원율, 졸업생 취업률, 유지 취업률)과 교육여건(강사담당 학점 비율)은 모두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교육여건의 진단지표와 교육성과의 진단지표의 관련성에서 대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주무 기관에서는 자세히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대학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상징적 동조 현상에 대한 연구: 교수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김다은,장덕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급속히 확산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실제 대학에서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교수의 인식과대응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으로 유입된 국내외적맥락을 고찰하고, 교육과정 개편과정에 배태된 제도적․환경적 요인들과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의 인식및 대응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7개 대학 교수 9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객관적 성과관리를 앞세운 대학재정지원사업으로 인하여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보가 학내에서 두루 실패하고있었다.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과정에서 확산된 대학 내 무기력함은 교수들로 하여금 형식적 순응이라는전형적인 전략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대학의 교육과정운영체계는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고유한모델링보다는 대체로 동형화적 패턴을 보였고, 대학 안팎의 형식주의적 양상은 정책 당국과 대학, 그리고 교수로이어지는 상징적 동조 현상을 발생시키며 더욱 강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매개로 발생하는연쇄적 상징 동조(serial symbolic conformity) 현상은 대학교육의 본질인 교육과정 변화를 꾀하는 정부의 대학혁신전략에 근본적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밝혔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operated in universities practically.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embedded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rofessors from seven universities and their perceptions and confronta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terviews,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cluded in the government-funded project tends to be operated in a managerial manner, an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not shared. The sense of helplessness has pervaded universities, leading professors to adopt a decoupling strategy. The curriculum of universities has become isomorphic, reinforcing a formalistic pattern that fosters symbolic conformity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professors. This Serial Symbolic Conformity impli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to the government's university innovation strategy.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improving university education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