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혜원(Hye-Won Lee),이수정(Soo Jung Lee),박찬호(Chanho Park),김형렬(Hyungryeol Kim)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학습주제와 내용들이 언급된 문헌들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을 선정하는 데 있다. 최근 미래사회 대비 및 세계시민성 함양의 측면에서 글로벌 역량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 세계적으로 공유됨에 따라 글로벌 역량 교육의 이론적 체계화를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반면, 글로벌 역량 교육의 실천과 관련하여 글로벌 역량 교육을 통해 무엇이 다루어져 왔고 또 다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학술적인 관심과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역량의 함양이 이론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교육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글로벌 역량 교육의 내용과 범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학습주제와 내용들을 다룬 문헌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qualitative meta-analysis)을 진행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문헌은 2006년과 2017년 사이에 출판된 80개의 영어 또는 한국어로 작성된 연구 보고서와 논문들이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의사소통 기술, 창의성, 비판적 사고, 문화적 다양성, 공감,양성평등, 글로벌 정체성, 건강과 웰빙, 인권, 상호연계성과 상호의존성, 다중적 관점, 참여, 평화와 비폭력, 책임감, 사회 정의, 지속가능성, 행동하기의 글로벌 역량 교육의 17개 핵심 학습요소와 개인, 공동체, 인간, 환경, 시간의 5가지 영역이 선정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역량 교육의 내용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글로벌 역량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안해 줄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key learning components and dimensions in Global Competence Education (GCED). With a resurgence of interest in GCED in recent years, a growing number of scholars have conducted systematic conceptual reviews of theories and studies dealing with GCED. By contrast,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research on what has been and should be taught in practices. [Method] To this end,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ology (Levitt, 2018). We analyze 80 studies dealing with learning themes and contents of GCED, which have been written in English or Korean and conducted between 2006 and 2017. [Results] A unified framework of key learning components and dimensions in GCED emerges from our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and includes a total of 17 key learning component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ultural diversity, empathy, gender equality, global identity, health and well-being, human rights, interconnectedness and interdependence, multiple perspectives, participation, peace and non-violence, responsibility, social justice, sustainability, and taking actions) and 5 dimensions (individual, community, humanity, environment, and time).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for GCED policy,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글로벌 역량 교육 강화를 위한 PISA 2018 평가 체제 분석

        홍수진(Su jin Hong),김천홍(Chun h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글로벌 역량 평가 체제와 특징을 분석하여 글로벌 역량 교육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PISA 2018은 글로벌 역량을 새로운 평가 영역으로 도입하여 지역 및 글로벌 이슈 간 상호 연관성에 관한 지식과 이해, 타문화 사람들과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기술, 글로벌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측정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역량 평가를 본격적으로 논의한 2014년부터의 PISA 주요 문헌들과 관련 문헌을 활용하여 PISA 2018 글로벌 역량 평가의 개념, 구성 영역, 평가 틀, 예시 문항과 학교 및 학생 설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ISA 2018 글로벌 역량 평가는 첫째, 내용 측면에서 인간 존엄과 문화 상대성을 인정하는 가치 영역을 바탕으로 글로벌 이슈에 대한 지식 및 이해, 기술, 태도로 평가 틀이 구성되어 있다. 둘째, 컴퓨터 기반의 선다형 및 구성형 문항을 통해 실제 삶의 맥락에서 글로벌 역량 관련 지식을 적용하는 복합적인 수행 과제를 평가한다. 셋째, PISA의 읽기, 수학, 과학 소양 영역 및 OECD와 IEA가 주관하는 다른 평가와 함께 예시 문항과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연계 분석함으로써 평가 결과 분석의 타당성과 정책적 시사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PISA 2018 글로벌 역량 평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글로벌 역량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학교교육과정 측면에서 다양한 글로벌 역량 관련 주제를 재구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모델을 구안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또한 교사의 글로벌 역량 관련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해 교수·학습 방법 및 학습목표와 부합하는 평가 전략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과 글로벌 역량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제고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Schools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young people to learn about global development, appreciate value of the diversity of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 and cultures, and engage in international and interconnected world. The OECD is developing a new test in PISA 2018 to measure young peopl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s, attitude and values on global issues in this regards.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proposed PISA 2018 global competence on aspects of dimension, framework, sample test item and questionnaires using different sources of global competence by OECD since 2014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sation such as IEA and Oxfam. Major finding shows that global competence in PISA 2018 is comprised of comprehensiv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global and cross-cultural issues, the attitudes and values necessary to interact respectfully with others on the basis of a shared respect for human dignity. PISA 2018 also measures knowledge-based factors of global competence, assess students dispositions, attitudes, and the application of skills of it in various contexts with computer-based multiple choice items and constructed response items of performance- or scenario-based tasks. Additionally, the result of PISA 2018 global competence will be analysed in combination of other international surveys and data collection, such as TALIS and ICCS to provide more coherent information about glob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raw out lessons in the areas of school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s and teacher education that a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global competence in Korean school education, including further in-depth research areas.

      • KCI등재후보

        글로벌 역량 개발을 위한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 탐색

        김정덕(Kim Jungdeok),이은경(Lee Eunkyung),송선영(Song Sunyou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0 핵심역량교육연구 Vol.5 No.1

        세계가 연결된 글로벌 시대에서 글로벌 역량이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상당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으나, 그 역량이 어떻게 형성되고 개발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 이 연구는 점차 분화되는 글로벌/다문화 관련 요소에 대해 보다 면밀하게 고찰하고 글로벌 역량 개발에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먼저, 글로벌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사회심리적 요인으로 다문화수용성을 상정하고, 다문화수용성의 어느 요소가 글로벌 역량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글로벌 역량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서울 시내 대학 3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라 다문화수용성과 글로벌 역량이 달라지는지 확인한 후, 다문화수용성의 세 영역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이 각각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은 성, 어머니의 학력, 가정계층적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안전에 관한 우려를 이유로 다문화 관계에서 거부나 회피의 경향이 높았고,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일방적으로 동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낮았으며, 자신이 속한 가정의 사회계층을 높게 인식할수록 세계시민 행동의지가 커져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다문화 수용성과 글로벌 역량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영역 중 글로벌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관계성이었다. 특히 관계성의 하위 영역 중 거부·회피 현상과 상호교류행동의지가 글로벌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과의 관계를 인식하는 정도나 희망하는 교류 형태, 낯선 세계에 대한 반응 등을 표현하는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성 정도와 의지는 글로벌 사회에 대한 태도, 지식, 적응 능력 등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사회 안에서의 다문화 현상과 관계에 대해 좀 더 구체화된 형태로 경험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이와 관련된 요소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특히 대학생들이 외국인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태도 형성과 긍정적 상호교류를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는 정도와 범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대학교육 과정에서 다문화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eful contents and method for global competence developm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tural acceptability and global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cutural acceptability on global competence. In accordance with such purposes, data was collected from 203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urvey and global competence test of K-CESA(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Among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sex, level of mother’s education, and social class of family were identifie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onsists of three factors(diversity, relationship, universality). Relationship factor among thre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global competence. In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voluntariness for interchange’ and ‘avoidance and evasion’ had most significant effect on glob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ontents dealing with interpretation on students’ multicultural relationship and experience.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다문화 경험과 글로벌 역량의 관계

        이은경(LEE Eunkyung),김정덕(KIM Jungdeok),송선영(SONG Sunyou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9 핵심역량교육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global competencie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206 students from universities with or with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ed program. The types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were derived from their formal/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s through the method of cluster analysis. Five types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were named as educational service type, class and travel type, foreign friend type, foreign travel type, half-hearted type. The level of global competence of student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cultural experience. The level of global competence of foreign friends students, study and tour students was relatively high. Among the sub-domains of global competence, flexibility was influenced by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types. The level of flexibility was higher in the types of foreign friends and foreign travel than in other types. The change of global competence level according to 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 (for example, multi-cultural classes) was not recognized. On the contrary, informal multi-cultural experience (foreign friends and foreign travel) increased global competency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discussed the issue of tim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erience-based program for global competence education 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글로벌 역량에 대한 관심과 글로벌 역량 향상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그 동안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역량과 관련된 요소들 중에서 태도와 관련된 요소들이 어떻게 학습되고 교육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고, 관련 연구결과 수렴도 미비하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교육과정과 같은 형식적 다문화 경험과 친구관계와 같은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이 글로벌 역량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다문화 교육과정이 있는 대학(A대학)과 그렇지 않은 대학(B대학, C대학)의 대학생 206명으로 하였다. 대표적인 형식적 및 비형식적 다문화 경험 요소에 따라 군집분석을 시도한 결과, 대학생의 다문화경험 유형을 ‘교육봉사형, 수강및여행형, 외국인친구형, 외국여행형, 소극적관심형’의 다섯 가지로 도출하였다. 대학생의 다문화 경험 다섯 유형에 따라 글로벌 역량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 중 외국인친구형과 수강및여행형의 글로벌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경험 유형에 따라 글로벌 역량의 하위 영역(유연성, 다문화이해 및 수용 능력, 글로벌화 및 글로벌 경제에 대한 이해)별 차이도 다르게 나타났다. 3개의 글로벌 역량 영역 중 유연성 영역에서만 다문화 경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특징적으로 외국인친구형과 외국여행형의 유연성이 높게 나타났다. 개인 배경변인 중에는 성별 및 학교별로 따라 유형별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은 교육봉사형과 외국여행형에서 비율이 높고, 남학생은 외국인친구형과 소극적관심형에서 비율이 높았다. 다문화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대학에서는 수강및여행형, 소극적관심형, 외국인친구형의 비율이 컸고, 그 외 대학에서는 외국여행형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연구에서 교과목과 같은 형식적 다문화 경험에 따른 글로벌 역량 수준의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외국인 친구나 외국 여행과 같은 비형식적 경험들이 글로벌 역량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높이고 학생들이 다문화 관련 경험을 보다 의미있게 체득할 수 있도록 다문화 교육과정 중점 제공 시기와 경험중심의 교육과정 구성 탐색 등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역량

        이영주,윤동진 한국국제경영학회 2015 國際經營硏究 Vol.26 No.2

        한국의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역량이 필요한가? 본고에서는 자원기 반관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혁신역량과 글로벌 시장역량을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 제시 하고 있으며, 이들 역량이 제품개발전략과 시장선택전략을 통해 글로벌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글로벌 강소기업과 후보기업 400개를 설문조사하고 회귀분석을 바탕으로 글로벌 혁신역량과 글로벌 시장 역량이 이들 기업의 글로벌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인지, 어떤 역량이 보다 중요한 요인인지를 분석하였다. 이 어서 경로분석을 바탕으로 이들 역량이 제품개발전략과 시장선택전략을 통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였다. 또한 글로벌 시장진입장벽이 글로벌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역량과 함께 이론적이고 전략적인 시사 점을 제시하였다. What factorsmake Korean SMEs globally competitive companies, also known as global hidden champions? The survey conducted on 400 Korean SMEs showed that global innovation capability and global market capability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a firm's performance, and that global innovation capability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global market capability.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both capabilities affect the performance through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but not through market selection strategy. Barriers to global market entry was found to be a negative factor. This study suggests that a firm's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the managerial ability as well as the resources, and that the resource-based view can be applied not only to big companies with abundant resources but also to SMEs that have limited resources. Several strategies are proposed for Korean SMEs in becoming a global hidden champion; 1)being born global rather than gradual global for a quick export expansion, 2)obtaining and utilizing RandD resourc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nd 3)training regional specialists to overcome barriers to global market entry.

      • KCI등재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역량

        이영주(제1저자) ( Young Joo Lee ),윤동진(교신저자) ( Dong Jin Yoon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5 國際經營硏究 Vol.26 No.2

        한국의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역량이 필요한가? 본고에서는 자원기반관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혁신역량과 글로벌 시장역량을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들 역량이 제품개발전략과 시장선택전략을 통해 글로벌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글로벌 강소기업과 후보기업 400개를 설문조사하고 회귀분석을 바탕으로 글로벌 혁신역량과 글로벌 시장역량이 이들 기업의 글로벌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인지, 어떤 역량이 보다 중요한 요인인지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경로분석을 바탕으로 이들 역량이 제품개발전략과 시장선택전략을 통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글로벌 시장진입장벽이 글로벌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역량과 함께 이론적이고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hat factors make Korean SMEs globally competitive companies, also known as global hidden champions? The survey conducted on 400 Korean SMEs showed that global innovation capability and global market capability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a firm`s performance, and that global innovation capability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global market capability.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both capabilities affect the performance through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but not through market selection strategy. Barriers to global market entry was found to be a negative factor. This study suggests that a firm`s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the managerial ability as well as the resources, and that the resource-based view can be applied not only to big companies with abundant resources but also to SMEs that have limited resources. Several strategies are proposed for Korean SMEs in becoming a global hidden champion; 1)being born global rather than gradual global for a quick export expansion, 2)obtaining and utilizing RandD resourc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nd 3)training regional specialists to overcome barriers to global market entry.

      • KCI등재

        창업자의 글로벌 역량이 기업의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창업생태계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남현,남정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perception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government support, investment environment), and how they influence global business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reviewed existing research and theorie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urces on topics such as global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entrepreneurial ecosystem perceptions, and business competencies. Based on this review, the study developed a research framework and hypotheses.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ntrepreneurs of domestic companies planning to enter or already operating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for empirical verificatio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key findings emerged: Global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perception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Furthermore, perception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business competencies. Specifically, it was analyzed that global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global business competencie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the factor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that influence global business competencies. Among these factors, entrepreneurial mindse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global business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ization experience, internationalization intention, and vision were validated as factors that contribute to global business competencies in that order. Therefore, for domestic companies to successfully enter global markets, this study suggests that entrepreneurs' internationalization experience plays a crucial role in shaping their internationalization intention and vision.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erceiving a stable government support environment and investment environment to enhance the global business competencies of companies. 본 연구는 창업자의 글로벌 역량과 기업의 글로벌 역량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창업생태계 인식(정부지원, 투자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창업자의 글로벌 역량, 창업생태계 인식, 기업의 글로벌 역량 등 연구주제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와 이론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 중 해외 시장 진출 예정이거나 진출 중인 기업의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3.0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창업자의 글로벌 역량은 창업생태계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생태계 인식은 기업의 글로벌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업자의 글로벌 역량은 창업생태계 인식을 매개로 기업의 글로벌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으로 창업자의 글로벌 역량이 기업의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창업자역량 구성 요인을 검증했다. 구성 요인에서 기업가정신, 국제화의지 및 비전, 국제화경험 중 기업가정신은 기업의 글로벌 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화경험, 국제화의지(비전) 순으로 기업의 글로벌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창업자의 국제화 경험을 통한 국제화 의지 및 비전이 중요하며, 안정적인 정부지원환경 및 투자환경 인식 조성을 통한 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PISA 글로벌 역량 성취와 교사의 글로벌 교육역량 매개효과 분석

        김유아,홍후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OECD PISA 2018 글로벌 역량 평가 중 학생의 자기보고식 설문 결과를 활용하여 한국 학교에서의 세계시민교육(GCED)이 글로벌 역량 평가의 지표인 학생의 적응능력과 협력적 학교풍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교사의 글로벌 교육역량의 간접효과와 각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고 학교 교육에서의 GCED 확대와 교육과정화 노력이 계속 필요한지 당위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PISA 2018 글로벌 역량 평가 데이터의 한국 학생 6,650명의 답변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채택하고 가설검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학교에서의 GCED 실천이 학생의 적응능력 부재에 미치는 직접효과 -.845(간접효과 .011, 𝑝≤.001), 협력적 학교풍토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998(간접효과 -.017, 𝑝≤.001)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교사의 글로벌 교육역량이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GCED 실천은 학생들이 타인과의 협력적 관계에 가치를 두고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학교풍토와 낯선 상황에 대한 학생의 대처능력 또는 행동변화, 스트레스를 받는 압박적인 상황에서의 적응, 새로운 문화에 대한 적응능력 등 비인지적 글로벌 역량 측면에 명확한 효과성이 확인된다. 그리고 이를 가르치는 교사의 글로벌 교육역량 정도가 정적인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가교육과정기준에 세계시민의식과 글로벌 역량의 개념을 인간상과 핵심역량, 교육목표 등에 반영하고, 인지적·비인지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GCED를 순차적으로 중학교 선택 교과(군)에 포함하여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에서 이를 교수·학습할 수 있는 근거와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The study examines how GCED in schools of the Republic of Korea(ROK) affects 'students' adaptability' and 'cooperative school climate' using the indicators of PISA 2018 Global Competence Assessment, delving into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eachers' global teaching competence, validating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ith a view towards finding whether GCED needs to be expanded and incorporat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responses of 6,650 students from 188 schools of the ROK,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dopted to test the hypothe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direct effect of GCED at schools on the lack of students’ adaptability was -.845(indirect effect .011, 𝑝≤.001) and the effect on the cooperative school climate was .998(indirect effect -.017, 𝑝≤.001), indicating that misconception towards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groups held by teache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GCED in schools, therefore is clearly effective in building cooperative school climate and teaching a sense of community, and manifest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global teaching competence. In addition, it is noteworthy that GCED in schools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students' ability to cope with unfamiliar situations or changes in behavior, adapting to stressful situations, and ability to adapt to new cultures upon which one finds meaningful mediating effect of global teaching competence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ompete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human image, core competency, and educational goals. In addition, recommendation presented herein suggests that GCED, having positive cognitive and non-cognitive effects, should be gradually incorporated in the elective subjects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grounds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s part of the middle school's regular curriculum.

      • 해외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현태(Mun, Hyun-Tae),윤동열(Yoon, Dong-Yeol)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 인턴십 참여자를 대상으로 해외 인턴십의 특성과 글로벌 역량,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해외 인턴십 특성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하였다. 2014년과 2015년에 정부의 지원을 통해 해외 인턴십에 참여하고 있는 인턴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의 수집은 조사대상이 해외에 근무 중이라는 특성 때문에 이메일과 SNS를 통해서 실시되었으며, 총 637부가 배부되어 278부가 회수되었으나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52부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 되었다. 그리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은 고용가능성의 하위 변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고용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인인 이문화수용력과 외국어능력은 모두 고용가능성의 하위요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 중 경력개발지원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용가능성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으로부터 정(+)적인 영향을 받으면서도, 글로벌 역량 함양을 통해서 고용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글로벌 역량을 매개로 높아질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해외 인턴십이 청년들의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 었으므로 해외 인턴십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특히 각 대학에서는 재학생들의 취업준비를 위해 글로벌 역량을 함양한다는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글로벌 역량의 향상을 통해 고용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해외 인턴십은 일터학습의 일환으로 좀 더 구조화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인턴십의 현장지향성이 글로벌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인턴십의 현장학습이 구조화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이나 고용가능성은 취업 여부 등과 함께 인턴십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주요한 성과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the traits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global competencies, and employability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participant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internees who have participated or are participating in the overseas internship program operated with government s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found firstl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ve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and therefore positively affect to employability. Secondly, cross-cultural adaptability and language skills―lower factor of global competency- has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Third, global competency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supportand employability but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oritentedness of the overseas internship and employability.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employability can be increas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global competency while being positively affected b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of overseas internship.

      • 해외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현태(Mun, Hyun-Tae),윤동열(Yoon, Dong-Yeol)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 인턴십 참여자를 대상으로 해외 인턴십의 특성과 글로벌 역량,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해외 인턴십 특성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하였다. 2014년과 2015년에 정부의 지원을 통해 해외 인턴십에 참여하고 있는 인턴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의 수집은 조사대상이 해외에 근무 중이라는 특성 때문에 이메일과 SNS를 통해서 실시되었으며, 총 637부가 배부되어 278부가 회수되었으나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52부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그리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은 고용가능성의 하위 변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고용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인인 이문화수용력과 외국어능력은 모두 고용가능성의 하위요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 중 경력개발지원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용가능성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으로부터 정(+)적인 영향을 받으면서도, 글로벌 역량 함양을 통해서 고용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글로벌 역량을 매개로 높아질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해외 인턴십이 청년들의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으므로 해외 인턴십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특히 각 대학에서는 재학생들의 취업준비를 위해 글로벌 역량을 함양한다는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글로벌 역량의 향상을 통해 고용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해외 인턴십은 일터학습의 일환으로 좀 더 구조화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인턴십의 현장지향성이 글로벌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인턴십의 현장학습이 구조화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이나 고용가능성은 취업 여부 등과 함께 인턴십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주요한 성과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the traits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global competencies, and employability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participant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internees who have participated or are participating in the overseas internship program operated with government s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found firstl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ve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and therefore positively affect to employability. Secondly, cross-cultural adaptability and language skills―lower factor of global competency― has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Third, global competency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supportand employability but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oritentedness of the overseas internship and employability.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employability can be increas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global competency while being positively affected b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of overseas inter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