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국내 직무분석 연구에서 DACUM 활용 현황과 비판

        윤동열 ( Dong Yeol Yoon ),조세형 ( Sei Hyung Cho ),배을규 ( Eul Kyoo B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직업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분야에서 직무분석방법으로서 DACUM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여, DACUM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주)한국학술정보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학술논문 중에서 직무분석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DACUM를 핵심어로 선정 검색한 결과, 26개의 관련 연구들이 추출되었다. 검색된 연구 논문들은 직무분석의 목적, 절차, 책무 및 과업의 적절성 등을 기준으로 분석되었으며, DACUM 활용 현황과 그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ACUM 직무분석의 목적이 교과과정 개발이나 이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활용되는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DACUM패널은 현업 내용전문가(SME)보다 주로 대학교수나 교사 등 교육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현업 내용전문가의 참여와 협력이 실제적으로 어렵기도 하지만, 현장전문가가 아닌 교육자 중심의 DACUM 직무분석은 현장전문성이 반영되지 못할 가능성을 가진다. 셋째, 몇몇 연구에서 책무 및 과업을 추상적이고 모호하게 진술하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넷째, DACUM 직무분석의 방법과 내용이 연구마다 상이하게 적용되고 있었다. 특히 DACUM 품질평가기준에 비추어볼 때, 분석된 연구들 중에 그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DACUM 직무분석의 개선방안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int at issue of DACUM utilization and to describ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DACUM job analysis that has been widely applied in the field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In order to achieve this, we examined the goal, procedure, and appropriateness of the duty and task on the basis of the twenty-six related studies that have the key word "DACUM" by searching through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lthough job analysis is used in various ways in domestic research, some problems were detected in the proces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DACUM is mainly utilized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or provid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its development. Second, most panel members are comprised of educators such as professors and teachers rather than subject matter experts (SMEs) in the actual workplace. Third,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in stating the duties and tasks.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statement of duties and tasks was too vague and abstract. Finally, the scope of job analysis has been applied with different standards, depending on the researcher.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quality standardization of DACUM,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studies of job analysis fail to reach the standard of qualification. The article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s further study of DACUM job analysis.

      • The relationships among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transfer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Dong-Yeol Yoon(윤동열)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리더십 역량(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지식전이(Knowledge transfer)간의 관계를 국내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설문시점을 기준으로 조직에서 글로벌관련 업무와 관련되어 있거나 글로벌 이해관계자와 함께 업무를 수행하는 종업원들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었다. 그룹연수원에서 제공하는 국제화역량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140명의 설문 대상자 중에서 127명(91%)이 본 설문에 응답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결과 글로벌 리더십 역량은 이문화 적응성(Cross-Cultural Adaptability), 혁신 (Innovation), 비전과 전략(Vision & Strategy), 의사소통(Communication), 글로벌 사고방식 (Global mindset) 등 다섯가지 요소로 구분되었다. 혁신은 응답자들이 가장 높게 인지한 역량이었던 반면, 이문화 적응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인식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글로벌 리더십 역량은 종속변수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문화 적응성 및 혁신과 의사소통은 지식전이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인 자기효능감과 개방성은 종업원의 지식전이 지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리더십 역량과 지식전이간의 관계에서 설문응답자의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즉 개인이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가질수록 글로벌 리더십 역량 변수에서 의사소통과 글로벌 사고방식은 지식전이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글로벌 리더십 역량과 국제인사관리부문에 이론적 실제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transfer in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target sample of this study was mostly composed of employees who were related to global work assignments in their organizations or who were working with global stakeholders at the time of the survey.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127 (91%) out of 140 randomly selected employees from the organizations and who were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competency training programs which were provided by a corporate learning center.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ross-cultural adaptability, innovation, vision and strategy, communication, and global mindset. The dimension of innovation was the most highly perceived competency among respondents, while cross-cultural adaptability received relatively lower scores in the perceived level of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transfer. In particular, cultural adaptability, innovation, and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transfer.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and open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employees’ perception regarding knowledge transfer.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and knowledge transfer was found. That is, when an individual has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o achieve the goals, then the degree of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global mindset are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 transfer. Finall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in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and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글로벌인턴십 파견 전 학습이 현지적응에 미치는 영향: L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문현태 ( Hyun-tae Mun ),윤동열 ( Dong-yeol Yoon ) 한국생산성학회 2016 生産性論集 Vol.30 No.4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pre-departure learning, adaptation to the host country, and the level of leader-member exchange. A total of 637 participants who were working globally after supporting global internship program by Korean government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261 available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and only 111 of whom had joined four types of training programs including job-related training, host country language, English language, and cross-cultural training were used to final statistics analysis in order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ived learning satisfaction of pre-departure learn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adaptation for global internship participants to the host countries. In particular, English language training and host country language training both had positive effects on local adaptation, while job-related training and cross-cultural training had not related to adaptation to the host country. The results were not matched with precedent studies which wer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eparture cross-cultural learning and adaptation of expatriat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reason is that expatriates are having clear assignments from corporations before leaving the host country, while participants who are joined global internship program were having a role of complementary assignment rather than key tasks. Furthermore, the perceived LMX between supervisor and internship participa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daptation to the host country. This study also f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MX with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pre-departure learning and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expanded a field of global human resourc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e-departure learning being aimed at the global internship participants, not to the expatriates. We also discussed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농업인 교육훈련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미희 ( Mi Hee Cho ),윤동열 ( Dong Yeol Yoon ) 한국생산성학회 2016 生産性論集 Vol.30 No.1

        Recently, farmers` training has been expanding to ensure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and enhance their expertise in the agricultural workfo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rmers` training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being to be a major variable factor in the educational effect. Therefore, a survey was distributed to 250 farmers in Ulsan area. From April 1, 2015 the survey was conducted up to 14 days. Excluding defective data, 155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training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such as crops (animal feeding) technology,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technical experts, agricultural management, information, and culture training.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training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In Previous studies, either educational participation or training expenses of employee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But in this case, crops (animal feeding) technology,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technical experts, agricultural management, and information training do not affect on job satisfaction. However cultural training is satisfied cultural needs and assists founding of female farmers. And an intensive cultural training program increases intimacy among students. These things can be considered for such a reason. Second, psychological capital such as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t means that running a course or program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farmers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farmers. Third, psychological capital plays the moderating role on the agricultural technical training between job satisfaction. The technical training is similar to that on the type of hands-on training of enterprise. Farmers believed in themselves and looked to the future with a view to positive are the more educational participation, the higher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farmers` training with the process of improving psychological capital are abl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farmers.

      • 무형식 학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준(Jo, Joon),윤동열(Yoon, Dong-Yeol)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2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ew employee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rough empirical study. In this regard, survey dat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00 new employees from various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in Republic of Korea. As the result, external scanning, in particula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fact, external scanning that constitutes informal learning inspires new members in a workplace to develop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that these employees will more likely to be immersed in their tasks for better performance. In addition to external scanning, learning with others and self-experimentation were also identified as significant elements for develop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can be seen, self-efficacy served as a complete mediation factor that increas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more, implications on above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work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진성리더십이 구성원의 적응성과에 미치는 영향 : 관계적 에너지와 향상초점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재영(Jae-Young Kim),윤동열(Dong-Yeol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2

        AI 기술의 발전 등 4차 산업혁명으로 상징되는 오늘날의 경영환경에서 새로운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직무환경 변화에 빠른 적응과 대처할 수 있는 행동역량으로서의 적응성과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변화하는 직무상의 요구에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성과준거로써 적응성과에 대한 관심과 관련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구성원에 대한 긍정적 사기 진작을 통해 조직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태도와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리더십 발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리더십 이론 중 리더의 진정성 있는 행동을 통해 구성원의 변화 대응력과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진성리더십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 공공기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진성리더십에 대한 인식이 관계적 에너지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경험하는 관계적 에너지를 통해 공공기관 구성원의 적응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진성리더십이 관계적 에너지를 매개하여 적응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향상초점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진성리더십 효과에 대한 경계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348명으로부터 수집된 유효한 설문을 분석한 결과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적응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성리더십은 관계적 에너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관계적 에너지는 구성원의 적응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관계적 에너지가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적응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자기조절 동기로서의 향상초점이 진성리더십과 관계적 에너지 간의 관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진성리더십이 관계적 에너지를 매개하여 구성원의 적응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symboliz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AI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have the ability to respond to new changes. Adaptive performance is also required to handle or adapt quickly to such changes. In recognition of this fact, related research on adaptative performance is increasing along with performance standards for coping actively and effectively with changing job demand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areas of related study by confirming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f leading members in the proper behavior and actions needed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by conveying positiv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boundary conditions for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in organizations. It verifies the effects of recognition of authentic leadership on adaptive performance through the relational energy experienced in interactions with leader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promotion focus on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adaptive performance with the mediation of relational energy. This study uses data collected from 348 public institution member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of the data show that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daptive performance of institution members. In addition, we found that relational energy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member adaptive performan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promotion focus ha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influential process of authentic leadership on member adaptive performance.

      • KCI등재
      • 공공기관의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손종배(Son Jong Bae),윤동열(Yoon, Dong-Yeol) 한국경영학회 2018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8

        공공기관은 영리추구를 우선한 민간 기업에 비해 공익의 이익을 기본 목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국가 예산 의존이 높고 시장의 노출이 낮으며, 경영의 효율성보다는 효과성을 중시하는 특징이 있다. 기존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도입되었고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재무적 성과를 향상시켰는지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공익적 특징으로 재무적 성과 보다는 인적자원 성과인 조직원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고성과 작업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시민행동을 간의 관계에서 노사관계분위기와 조직공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첫째,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조직공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둘째,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다. 셋째,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확인하다. 넷째, 조직공정성이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확인한다. 다섯째, 노사관계분위기가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공정성에 조절된 효과를 확인한다. 여섯째, 노사관계분위기와 조직공정성이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역할을 확인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구성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

        조세형 ( Sei Hyung Cho ),윤동열 ( Dong Yeol Yoon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기본 목적은 한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팀 리더의 감성리더십이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20개 중소기업의 315명으로부터 수거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관행 중에서 교육훈련, 공정한 보상, 평가공정성, 고용안정성 등은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리더의 감성 리더십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관행 중 평가공정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발견들은 기업 내 구성원들이 평가의 공정성을 인식할수록, 팀 리더의 감성리더십의 정도가 높을수록 조직에 잔류하고 싶은 의도를 높인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팀 리더의 감성리더십을 연구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중소기업에서 팀 리더십을 통한 조직구성원들의 부정적인 감정을 완충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중소기업연구를 위한 연구과제 및 미래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practices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HRM and turnover inten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nalysis of research was don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315 samples from 20 different business organizations after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Finding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raining, fair compensation, fairness in evaluation, and employment security affecte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in negatively. Second,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emotional leadership of a team leader reg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rness in evaluation of strategic HRM practice and turnover intention.

      • 외국인근로자의 이문화 학습 만족도, 적응, 그리고 직무열의의 관계 : 사회적 후원인식의 조절효과

        우봉우(Woo, Bong-woo),윤동열(Yoon, Dong-yeol)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3

        외국인근로자 도입제도인 외국인고용허가제 운영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기업의 효율적인 외국인근로자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우리나라에 근무하고 있는 캄보디아 등 6개 국가 691명의 외국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통해 이문화 학습 만족도, 적응, 직무열의 그리고 사회적 후원인식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근로자의 사전 이문화 학습 만족도 및 현지 이문화 학습 만족도는 적응의 하위요인인 직무적응, 일반적응, 문화적응에 각각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근로자의 사전 이문화 학습 만족도는 활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현지 이문화 학습 만족도는 활력과 헌신·몰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 이문화 학습 만족도가 헌신·몰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외국인근로자의 직무적응은 활력과 헌신·몰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일반적응은 활력과 헌신·몰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문화적응은 헌신·몰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적응은 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국인근로자의 사회적 후원인식의 하위요인인 동료후원인식, 상사후원인식, 조직후원인식은 활력과 헌신·몰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국인근로자의 사전 이문화 학습 만족도는 활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직무적응 및 문화적응을 매개로 활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이문화 학습 만족도는 헌신·몰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직무적응, 일반적응, 문화적응을 매개로 헌신·몰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상사후원인식 및 조직 후원인식이 외국인인근로자의 직무적응과 활력의 관계를 약화하고, 일반적응과 헌신·몰두의 관계를 조직후원인식이 약화하는 조절효과가 있으며, 문화적응과 활력 및 헌신·몰두의 관계를 조직후원인식이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o derive improvements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EPS), a foreign workforce importation system, and to seek efficient foreign workforce management practices of private firms, an empirical analysis of cross-cultural learning satisfaction, adapta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job engagement, was conducted among 691 migrant workers, from 6 different countries including Cambodia, working under the EPS.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migrant worker’s per-departure cross-cultural learning and on-site cross-cultural learning satisfaction each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adaptation, including job adaptation, overall adapt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Second, migrant workers’ pre-departure cross-cultural learning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vigor, and on-site cross-cultural learn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However. pre-departure cross-cultural learning satisf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dication and absorption. Third, migrant workers’ job adapt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overall adaptation had significant impact on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and cultural adapta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dedication and absorption. However, cultural adapt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vigor. Fourth, the subfactors of migrant workers’ perceived social support, including perceived colleague support, perceived boss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Fifth, migrant workers’ pre-departure cross-cultural learning satisfaction had direct impact on the vigor, an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vigor with job adapt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as the media. On-site cross-cultural learning satisfaction had direct impact on dedication and absorption, an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dedication and absorption with job adaptation, overall adapt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as the media. Sixth, perceived boss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eakens the relationship between migrant workers’ job adaptation and vig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controlling impact of weak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adaptation and dedication and absorption, and the controlling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paper presents their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