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과정 모델 설정을 위한 실증적 연구 - 경영정보계열의 교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찬곤,이종성,황성윤 東國專門大學 2002 金龜論叢 Vol.9 No.1

        현대의 교육은 학생 개개인의 기본 능력을 함양하는 동시에 수준별, 직업과정별, 전공별로 각자가 지닌 소질과 적성, 창의력을 최대한 신장시켜주는 것이 필요할 것인 바, 따라서 사회적 변화와 다양한 문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설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과 내용학적 측면'의 변수들과 '교과 교육학적 측면'의 변수들이 '교육의 목표 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상업교육, 경영교육 등의 진공분야인 상업·정보에 대한 교육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지식정보화사회에 부응할 수 있고 사회의 상황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교육과정의 모델을 제시하여 그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과내용학적 측면의 변수와 교과 교육학적측면의 변수들은 교육의 목표달성에 정(+)의 영향을 내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웠다. 연구결과, "교과 내용학적 측면의 변수들은 교육의 목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교과 교육학적 측면의 변수들은 교육의 목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모두 채택이 되었으며, 특히, 교과 교육학적 측면의 변수들과 교육의 목표간 서로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교과 교육학적 측면의 변수들과 교육의 목표간의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교과 내용학적 측면의 변수들보다 상호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과 교육학적 측면의 변수들은 '직업과정별 교과교육'이 교육의 목표 달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나 효율적인 교과 과정의 문제에 대하여는 이 변수에 대한 교육학적 배려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육과정개발 설정에 대한 소수의 응답자들의 응답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따른 보편적인 문제와, 응답결과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이 선행되지 못함에 기인하는 일차적 오류의 가능성을 지적할 수 있으며, 특정시점에서의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한 것임으로 인한 통계적 결함도 있을 수 있는 바, 앞으로는 보다 정교하고 세련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유성열 ( Sungyeol You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의견을 종합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연구한 총 20편의 학술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삼고, 연구대상, 연구내용, 제언 측면에서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은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할 수 있었다. 첫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위로는 3-4학년군 교과 교육과정과 아래로는 누리과정과의 계속성 및 계열성 확보를 위한 종적 연계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둘째, 통합교과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 측면에 해당하는 원천교과 내용과 비교과 측면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요구와 관련한 내용과의 횡적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셋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한편으로는 교과로서의 정체성을 다른 한편으로는 학습 논리에 기반한 통합교과 고유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드러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상의 접합성 확보, 통합교과 고유의 교육과정 구성원리 구축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evaluation opinions on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To this end, in this study, a total of 20 academic papers with the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as a direct research subject were analyzed and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contents, and sugges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three major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First, it was a study that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vertical connection in order to secure continuity and sequence between the integrated subjects and 3-4 Grades curriculum at the top and the Nuri curriculum at the bottom. Second, it was a study that it was necessary to secure the horizont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of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and the content related to the various social and cultural needs corresponding to the non-curricular aspect and the content of the original subject, which is the subject aspect. Third, the study was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on the one hand and the unique identity of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based on the learning logic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직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개관

        이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이 연구는 1차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 직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 및 편제상 특징을 중심으로 변천 과정을 개관하였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 탑재된 고등학교 교육과정 원문을 수집하여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시기별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전문 교과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산업 구조 및 직업 세계의 변화에 따라 전문 교과를 중심으로 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을 일관성 있게제시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산업 수요 및 인력 양성 유형,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 역량과 경력 개발 등을 고려하여전문 교과 편제를 개편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역사회 및 직업계 고등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전문 교과의 시간 배당 기준을설정하고, 이수 시간을 제시함으로써 시간 계획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첫째,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변화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평생 직업 준비를위한 교육 차원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을 보다 유연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산업기술 및 직업 세계의 직무 변화에 따른인력 양성 유형, 직업계 고등학교의 특성, 학생의 진로와 발달 수준, 전문 교과의 학습 위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문교과목을체계적으로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직업계 고등학교 학점제 운영으로 교육과정 이수 기준을 단위에서 학점으로 전환함에따라 전문 교과의 시간 배당 기준 및 이수 시간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차기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기저로서 만하임의 지식 사회학, 듀이의 교과의 진보적 조직,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정체성 연구물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지식사회학이 추구하는 지식은 객관과 주관을 상호 연계한 간주관성으로 교육과정 지식 선정의 기저를 제시하였다. 교과의 진보적 조직이란 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가장 정합성 있는 교과 조직의 형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초등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은 이웃하는 유치원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하면서도 독자적인 교육과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초등학교교육과정이 학생이 교과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교과에 호감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관점을 취하며, 따라서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이런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동일한 방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이 기저를 중심으로 차기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지식의 간주간성, 상관성을 기저로 지식의 사회적, 집단적, 대중적 협의 과정을 전제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심리사회적 방식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교과의 점진적 조직을 기초로 할 때, 저학년에서는 통합교과형이, 고학년에서는 교과통합형이 적절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마지막을 이를 위해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교과, 개인, 사회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제의 원천을 구비하고,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대주제를 통일할 때, 향후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보다 개선된 형태로 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ing. In order to this aims, this study researc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On the based them, this study suggested two viewpoints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ould developed on basis the sociology of knowledge,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matter, and school curriculum study. Second, It was a statement of mutual agreement dating with a social, a group, and a mass for the futur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development. And It is appropriated integrated curriculum approach for lower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d in higher level curriculum integration approach. Finally, the future integrated curriculum needs to create a curriculum source study and united the big themes of the current thre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 KCI등재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하영역 분석

        조명현,김부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12종의 기하영역을 이전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구성 방식과 순서, 내용 서술의 변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생의 이해 수준에 따른 정당화와 수학적 과정(수학적 추론, 수학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 소통)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삼각형의 결정 조건에 대한 교육과정의도 해석의 차이로 인하여 교과서 서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삼각형의 무게중심, 각의 이등분선, 할선, 수직이등분선, 원주 각의 성질, 닮음의 중심, 닮음의 위치, 삼각형의 중선 연결정리 등에 대한 제시 순서와 내용 서술은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당화에 대한 교과서 분석 결과,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12 종 모두 가정, 결론, 증명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뿐 2007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증명서술 방식과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적 과정의 특징에 따라 중학교 수학② 교과서 12종의 기하영역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 소통의 문항수와 문항의 적합도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nalysed the changes in the geometry area between the junior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ose based o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also analysed how junior high school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underst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cesses’ in the revised content of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twelve mathematics textbooks, the introduction to timing, and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definition of a vertical bisector of a line segment, the bisector of an angle, and a chord differ betwee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section dealing with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and ‘understanding the congruence conditions of a triangle by construction’, nine textbooks show triangle congruence by specific conditions(SSS, SAS, and ASA) in the main text with examples and questions. Three textbooks do not deal with congruence conditions using construction in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chapter sections: ‘exploratory activity’ or ‘open thinking’.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twelve junior high school third grade textbooks, all twelve integrate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circumference angle’ in the ‘application of circumference angle’ section. In addition, the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do not seem to underst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i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athematical processes, each textbook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이재란,승윤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제1차 교육과정부터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을 고찰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고,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육과정기별로 음악 교과서의 특징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음악 교육과정 분석은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과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음악 교과서 분석은 총 11권의 분석 대상교과서를 ‘음악 영역 및 활동’, ‘음악 개념 및 요소’의 두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음악 영역 및 활동 분석에서는 영역별, 활동 유형별비율을 분석하였고 음악 개념 및 요소 분석에서는 학습 내용과 학습 내용의 학년별 위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음악 교육과정 분석 결과, 내용 및 내용 체계는 2011 교육과정부터 일반 교육과정과 형식 및 내용이 연계되어 구성되고 있었다. 음악 요소는 2008과 2011 교육과정에서 ‘소리’를 중심으로 제시되다가 2015와 2022 교육과정에서 대부분 음악 용어로 대체되었다. 음악 교과서 분석 결과 첫째, 음악 영역별 비율은 2008 음악 교과서와 2011 음악 교과서에서는 ‘감상’ 영역, 2015 음악교과서에서는 ‘가창’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 활동 유형의 비율은 가창, 기악, 감상 영역 전반에 걸쳐 2008 음악 교과서에서는 ‘소리’ 관련 활동이 높게 나타났고, 2011 음악 교과서와 2015 음악 교과서에서는 ‘음악 개념 및 요소’ 관련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창작 영역에서는 ‘소리 만들기’와 ‘가사 바꾸기’ 활동이 주로 나타났으며, 생활화 영역에서는 전 교과서에서 ‘놀이’ 활동의 비율이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 개념 및 요소 분석에서 2008 음악 교과서는 다른 교과서의 저학년 수준의 내용으로 구성된 것으로나타났다. 2011 음악 교과서와 2015 음악 교과서는 ‘리듬, 형식, 빠르기, 셈여림’ 학습 내용의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가락’과‘음색’ 학습에서는 학년별 연계 및 위계성이 불분명하게 나타났다. ‘화성’ 학습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고, 소리의 특성과 관련된 활동에서는 음악 개념과의 연계에서 지도상의 오류가 나타났다. 결론 특수학교 음악학습 내용의 범위와 수준은 재고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체계적인 교수⋅학습 연구가 요구된다. 교육과정의흐름과 교과서 분석 결과를 제시한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의 음악 교육과정 개발과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집필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 탐색

        박희경 ( Hee Kyung Park ),최진영 ( Jin Young Choi ),이경진 ( Kyung Ji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 학습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핀란드, 캐나다 퀘벡 주, 미국의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의 의미, 주제,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에 범교과 학습의 의미를 명료하게 진술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은 범교과 학습이 개인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공적인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학습이어야 하며 또한 교육과정 상의 여러 교과들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학습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역시 시대적, 사회적 요구의 반영 뿐 아니라 통합적 교육과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이를 교육과정 문서에 명료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범교과 학습의 의미에 적합하도록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범교과 학습 주제로 공동체적 시민성, 환경 교육 및 지속 가능한 발전, 개인적 발달, 문화적 정체성 및 다양성, 건강과 안전, 그리고 미디어와 기술공학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범교과 학습과 관련된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는 범교과 학습에 대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안내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주제만 나열할 것이 아니라 범교과 학습이 본래의 의미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UK. Finland, Canada Quebec, and the U.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cross-curricular themes, and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are discussed. First,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stated clearly by reflecting the needs of the nation and society and the nature of integrated learning. Th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emphasized the following two aspects: practical and meaningful learning to enable the students to be successful as individuals and members of society and integrated learning cross subjects. Secondly, cross-curricular themes should be refined. The cross-curricular themes commonly suggested by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were communal citizenship,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ersonal development, cultural identity and diversity, health and safety, and technology and media. Based on this result, cross-curricular themes in South Korea were refined. Finally,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improved, as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included detailed guidelines for cross-curricular learning.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박수련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extbook developers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extbook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with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usic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we analyzed teachers' experiences in develop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found that teachers were trying to organize content and activities for competency education and to implement the learning content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 content system table was implemented “formally and ambiguously”,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reflected as “absolute guidelines and standards”. Second, the difficulties teachers experienced in developing textbooks were as follows. They experienced the problem of the “ambiguity and regulation of the curriculum”, as well as “the restri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guidelines and the authorization system”. Also, they had difficulties in coordinating opinions due to different perspectives among the contributing developers of the textbook.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extbook development. 본 연구는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교육과정의 내용이 질 높게 구현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교과서 개발자의 경험을 분석하고, 향후 교과서 개발의 개선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음악 교과의 중등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경험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총론)의 개정사항에 따라 역량교육을 위한 내용 및 활동을 구성하고, 교과 교육과정(각론)의 학습 내용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과 교육과정의 구체화 수준에 따라 내용체계표는 ‘형식적이고 모호하게 구현’되었으며, 성취기준은 ‘절대적 지침이자 하나의 기준’으로 반영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교과서 개발과정에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교육정의 내적 모호함과 규제의 문제, 교과서 개발 지침 및 검정제도의 제약으로 인한 교과서 구성에서의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 개발 구성원 사이 서로 다른 관점으로 인한 의견 조율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경험이 갖는 시사점과 향후 우리나라 교과서 개발의 개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의 개선 과제: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박희경 ( Hee Kyung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총론과 각론 개발자들의 숙의 과정으로 보고, 이에 대한개발자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의 개선 과제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발자 11명, 각론 개발자 18명, 교육부 관계자 1명, 총 30명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개발자들이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에 대한 개발자들의 인식은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설정, 총론과 각론 개발자들 간 의사소통,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의 해석 및 적용 과정, 교과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 측면에서 분석되었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교과 교육과정개발 과정의 개선을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총론과 각론의 상시적인 소통과 협력적 연구 기회 확대를 통해 공동의 이해 기반을 마련하고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어젠다를 함께 설정해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교과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이 설정되기 위해서는 숙의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들이 보다 명료하게 드러나야 하며 이를 통해 충분한 플랫폼의 공유가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결과에 대해 총론과 각론의 공동 반성이 이루어져야하며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 또한 총론과 각론의 협력 체제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procedure for the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eliberation process of the developers of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to analyze perceptions of the deliberation proces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articipants from the general guideline 2015 national curriculum, 18 participants were from subject curricula, and one participant was from the official Ministry of Education to analyze cogn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improv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 curricula.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basis for common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in the subject by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and by expanding cooperative research opportunities.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agenda. Second, to formulate development guidelines that take into account numerous subjects, various perspectives must be clarified during the deliberation process to share the platform adequately. Third,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combining the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 고도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박은성(Park, Eun seong),최헌철(Choi, Heon Cheol)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2

        대학교육 및 사업에서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뿐 아니라 비교과교육과정의 중요성과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교과교육과정의 운영 절차 및 재학생의 인식 조사를 통해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고 고도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의 운영 절차를 중심으로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역량맵핑과 질 관리 체계를 확인하여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운영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비교과교육 과정의 핵심역량의 중요도는 직무역량과 도전성취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참여도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역량향상과 더불어 전공 학습 능력 고취, 진로 및 취업 도움, 취미나 관심분야의 긍정적 영향 등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일리지 장학제도는 학생들의 동기부여의 외적 강화 요인으로 비교과교육과정의 학생 참여의 지속 및 증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질 개선으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운영 방향성의 유용한 정보를 제시해 줄 것이다.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extra-curriculum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in university education and busi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upgrade efficiency measures through the operational procedures of extra education courses and the survey of students perception. To this e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facing the university was sought by checking the mapping and quality control system of the competency-based extra education courses, focusing on the operation procedures of the D university.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the comparative education process was the highest in job competency and challenging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as also the highest. Second, the extra education courses operated by universities have been shown to improve students competencies, as well as promote their major learning skills, help with career and employment,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hobbies and interests. Third, the mileage scholarship system has been shown to influence the continuation and increase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extra curriculum as an external strengthening factor of students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future competency-based extra cours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