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산 기반 건축설계 프로세스에서의 협업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design has recently attracted renewed attention in the field of computer aided architectural design support.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design is relatively complex, handling a significant amount of design information and data input by various participants in the design proces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in internet, network and computer technologies, new methods have been furnished to improve the collaborative design environment. Digital technology for data and communication allows team members to share design resources efficiently in co-located or distributed situations. Therefore, this collaborative system allows distributed designers to accomplish a design project without meeting face-to-fa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design in architecture and to outline the basic method of the perceived requirements in the collaborative design process by the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research, first, perform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the design process in architecture and, second, defines the collaborative design and communication methods by digital tools.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factors of collaborative design in terms of connection, discussion, simultaneousness and share. These factors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ve design system for improved understanding of problems for the collaborative design phas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ollaborative design system are presented as follows:First, under the collaborative design system, participants have difficulty supporting communication from one phase to another, which presents limits in the application of data from one person to another. The collaborative design system needs to function as design tools and not just drafting tools. Second, the collaborative design system is intended to support the synchronous design collaboration, especially annotation and markup on 3D models through the internet. The synchronous system allows the designers to make the collaborative design effectively. Third, for future studies, the factors for the collaborative design will be the basis for the collaborative design system. 건축 프로젝트의 대형화로 인하여 건축설계 프로세스의 진행 과정이 복잡해지며 관련된 정보의 양도 많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설계 프로세스에서도 분산되어 있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면서 협업설계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분산된 환경에서의 성공적인 협업설계를 위해서는 설계주체들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디지털 매체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과 네트워크의 기술의 발전으로 분산된 환경에서 설계주체들의 협업설계를 지원하는 방법들이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다. 디지털 매체를 통한 파일교환과 커뮤니케이션은 분산된 환경에서도 팀원 간에 원활한 설계정보의 교환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므로 협업 시스템은 대면식 회의 없이 분산되어 있는 설계주체들이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업설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설계주체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지털 매체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협업 시스템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향후 개발될 협업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현행 협업설계 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수의 설계주체들이 프로젝트 과정에서 생성된 설계정보를 직접 수정, 보완하며 실시간 토론을 통해 의견수렴을 할 수 있는 디자인의 개발도구로 사용되기 보다는 인터넷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나 프레젠테이션의 도구로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협업시스템은 단순한 파일교환이나 프레젠테이션의 도구로써의 역할뿐만이 아니라 초기 개념 설계에서부터 디지털 매체 통해 설계자의 건축적 개념이나 사고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를 통해 협업설계를 지원하는 구성 요소로 연계성, 토론성, 동시성, 공유성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통해 현행 협업시스템의 문제점을 인식하였고 협업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성을 알아보았다. 현행 협업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협업설계를 지원하는 시스템들이 프로세스 단계 간이나 설계주체 간의 신속한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지원하지 못하고 생성된 설계정보도 즉각적인 활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협업시스템은 도면제작의 도구뿐만이 아니라 설계과정에서 디자인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둘째로, 협업설계 시스템은 동기적 협업설계를 지원해야 한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3차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정하고 제안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동기식 시스템은 설계주체들의 효과적인 협업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 셋째로, 본 연구에서 도출해낸 협업 시스템의 구성 요건을 토대로 향후 진행되는 협업설계에 관한 연구나 시스템에서 특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분석의 틀이 될 것이다.

      • 변혁적리더십이 협업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남기매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변혁적리더십이 협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세일즈매니지먼트전공 지도교수 송재준 본 연구는 최근 인사조직분야에서 주요 이슈인 변혁적 리더십과 협업과의 관계를 실증분석으로 검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이 협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자기효능감이 협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마지막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협업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역할을 수행하는지에 관한 실증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과 협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협업의 4개의 하위요인인 공유된 목표, 명확한 책임과 역할, 보상의 균형 및 구성원의 솔선수범 등과 유의한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가 부하들에게 조직목표를 추구하고 그 성과를 성취하도록 용기를 불어넣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경우 구서원들 간의 협업이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조직운영의 성과를 강화하기 위한 협업을 강화시키고자 한다면 변혁적 리더십을 활용되어야 한다. 둘째, 구성원들의 목표달성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하는 자기효능감과 협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협업의 4개의 하위요인인 공유된 목표, 명확한 책임과 역할, 보상의 균형 및 구성원의 솔선수범 등과 유의한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성원이 자신의 환경을 통제가능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자신을 의미하는 자기효능감이 협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협업을 강화하려면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협업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변혁적리더십과 협업의 4개의 하위요인인 공유된 목표, 명확한 책임과 역할, 보상의 균형 및 구성원의 솔선수범 등 사이에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과 같은 실증분석 결과는 협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조직운영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조직운영자들은 협업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혁적리더십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즉 부하들에게 목표를 성취하도록 용기를 불어넣어준다면 협업이 향상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조직성과의 개선도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둘째, 구성원들의 자신에 대한 자신감, 즉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자신감 내지는 난관에 직면해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은 협업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조직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협업강화를 위해 구성원들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북돋아 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협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변혁적리더십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도 협업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만 변혁적 리더십과 협업사이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변혁적 리더십과 협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m collaboration.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Nam, Gi-Mae Advised by Professor Song, Jae Ju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ctual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which became a main topic of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followings. First, this research is trying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Second, this research is trying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self-efficacy to collaboration and finally, tri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iveness of self-efficacy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s. First, throughout the result of actual analysi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iveness to the four sub variable of collaboration such as shared vision, role and responsibility, balance of incentive and lead by example. This result show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ffects to employees to achieve organization objectives by encourage and enhance them. This also indicates that management must leverage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enhance the level of collaboration. Second, the self-efficacy of employees which means the self-belief for achieving organizational objective, has positive effects to all sub variable of collaboration such as shared goal, role and responsibility, balanced incentive and lead by example. This means that employees can control the environment and the belief of them for achieving organizational objective can effect collaboration. So, if organization wants to improve the level of collaboration, they must increase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employees. Lastly, there is no such big moderate effectiveness of self-efficacy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s. First, managers of organization need to enhance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improve the level of collaboration. It means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managers can enhance the employees to achieve organizational objectives and it might effects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self-efficacy which give more self-belief of employees that they can overcome any barriers will effect to better collaboration. For that reason, managers need to encourage self-efficacy of employees to improv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Lastly, no big moderate effectiveness of self-efficacy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means that managers may not need to put attention to self-efficacy to improve collaboration level of small and medium sized organization.

      • 협업동기와 사업환경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윤은자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 록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를 계기로 국내·외 사업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의 지속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경영 패러다임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21세기에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융합(convergence)과 협업(collaboration)이 기업의 경영환경에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시대가 된 것이다. 동태적이고 경쟁적인 사업환경에서 기업은 개방형 혁신활동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연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집중한다. 이는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핵심역량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협업동기와 사업환경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및 외국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협업동기(공유가치, 유용성)와 사업환경(시장동태성, 기술동태성, 경쟁정도)을 각각 도출하였으며, 협업동기와 사업환경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에서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을 위해 연구모형과 함께 7가지 가설들을 제시하고 조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중소기업의 협업 담당자, 대외 협력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책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 협업동기의 공유가치와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유용성과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가 유의적인 영향력 관계로 확인되었다. 사업환경의 신규성 요구는 커뮤니케이션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어 가설을 지지하였고, 경쟁정도의 전반적 경쟁도 역시 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결과였으나 음(-)의 관련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사업환경의 선호도 변화와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기술동태성과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경쟁정도의 경쟁자 대응과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는 유의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지 않아 모두 기각되었다. 결론적으로 급변하는 환경에서 신패러다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기업들에게 사업환경과 협업동기가 파트너 기업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해 확인된 내용을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시사해 주고자 한다. 첫째, 협업을 통한 기업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파트너 기업과의 협업동기, 사업환경, 커뮤니케이션의 관계가 일차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협업동기인 공유가치와 유용성이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데 의미를 지닌다. 기업의 협업동기가 기업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아직까지 협업 활동을 수행하지 않고 있는 기업들에게 이러한 활동이 매우 중요함을 알려주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사업환경인 시장동태성의 신규성 요구는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신제품 개발 등과 같은 신규성 요구가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사업환경인 경쟁정도의 전반적 경쟁도는 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결과였으나 음(-)의 관련성을 가진 것으로 볼 때 기술이 경쟁과는 연관성은 높으나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그다지 높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전반적 경쟁정도에 있어서 기술적 부분은 커뮤니케이션 보다 중요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는 실증분석에 있어서 기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협업동기와 사업환경의 변수를 더욱 강조하여 사업환경과 협업동기의 요인들이 커뮤니케이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바로 이런 점이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실제 기업 간 협업에 적용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기업의 성과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사업환경, 협업동기, 커뮤니케이션

      •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구성원의 관계특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재송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기업들은 경쟁력과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다수의 기업들이 정보시스템을 도입한 후 조직 구성원들이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기업에서 정보시스템을 도입한 후 정보시스템의 품질 문제와 과업-기술 적합도의 불일치로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가 낮은 경우도 있지만, 조직 구성원들이 정보시스템의 기능을 제한적이고 소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활용성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는 조직 구성원들의 관계적 특성이 정보시스템의 활용도 향상과 기능 개선의 적극적인 요구 등을 통하여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조직 구성원의 관계적 특성의 차이가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품질과 과업-기술 적합 등의 정보시스템 성과의 영향요인을 독립변수로 한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 구성원의 관계특성 요인을 독립변수로 한 정보시스템의 성과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를 조직 구성원의 개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의 관계특성 요인들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조직 구성원들의 관계특성은 어떠한 변수로 구성되는가? 기존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토대로 한 기업의 비자발적인 정보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연구모형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관계특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도, 개인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무엇인가? 상기의 연구 문제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조직 구성원의 관계특성 요인(커뮤니티 지향성, 의사소통성, 정보공유성, 협업성)을 발굴하였다. 둘째, 기업의 비자발적인 정보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가설 설정을 하였다. 셋째,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관계특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도,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넷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조선업종의 D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효 데이터 160개를 통계 분석에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조직 구성원의 관계특성 요인과 매개변수(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커뮤니티 지향성과 의사소통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구성원의 관계특성 요인인 정보공유성과 협업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변수 간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이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수와 업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도가 개인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시스템 사용경험과 매개변수, 업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개인성과에서 정보시스템 사용경험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 만족도에서는 정보시스템 사용경험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정보시스템 성과의 영향요인으로 조직 구성원의 관계특성 요인을 발굴하여 독립변수로 적용하였다. 정보시스템 성과의 영향요인으로 조직 구성원의 관계특성 요인을 발굴하여 독립변수로 적용하였다는 점은 새로운 시각에서의 연구라는데 큰 의의가 있다. 둘째, 기업의 비자발적인 정보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에서 사용도(Use) 대신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으로 정보시스템 성공을 측정하는 Seddon(1997)의 연구를 토대로 한 연구모형의 틀을 적용하여 본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환경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관계특성이 지각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도,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정보시스템의 성공적 활용을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품질과 과업-기술 적합 등을 고려한 설계 및 도입과 지속적인 개선 관리가 중요한 요소이며, 또한 도입 후 정보시스템의 활용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평가가 있어야 한다. 둘째, 커뮤니티 지향성과 의사소통성은 정보시스템의 사용자들이 유용하다고 지각하면 사용자 만족도와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조직 구성원들에게 커뮤니티 참여 및 상호교류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근무환경 및 정보시스템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셋째, 정보공유성과 협업성은 정보시스템의 사용자들이 만족하면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동료들 및 부서 간에 적극적인 정보교환을 위한 기반구축 및 확대가 필요하며, 또한 부서 및 동료들 간에 협업을 제고할 수 있도록 협업 환경의 조성 및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상기의 내용을 종합하면 조직 구성원들의 관계적 특성의 차이가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직 구성원들의 관계특성 요인들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협업 환경에서 정보시스템의 성공적 활용과 업무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조직 구성원들의 정보시스템 활용에 대하여 지속적인 평가와 보완 조치를 수행해야 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관계특성을 높일 수 있는 조직의 지원과 조직문화 조성 등의 다양한 노력을 강구할 것을 제안한다.

      • 팀구성원의 협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진희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기업의 경쟁력은 기업을 구성하는 인재육성에서 출발한다는 마인드가 경영의 트렌드로 자리매김 되면서 기업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에 대한 중요성이 다시금 인지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인재육성 활동으로 구성원 개개인들의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서 조직과 기업에 양질의 성과창출을 위한 구성원간의 협업 환경을 구축하여 협업을 통한 단순 성과창출이 아닌 시너지 성과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구성원 개개인의 역량 강화는 조직과 기업 내에서 성과창출을 위해 얼마나 기여되어질 수 있는 지로 연결되어지며 이러한 기업의 기대치는 구성원 개개인들에게는 개발된 역량을 가지고 얼마나 스스로 조직과 기업의 성과창출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자기효능감과 협업의 관계, 협업을 통한 직무만족과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협업과 직무만족에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고자한다. 협업을 활성화시키는 요인으로 “팀 협업과 정보교류체제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재준, 2013.)” 논문에서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빈도와 중요도를 고려하여 선별된 ”공유된 목표, 명확한 책임과 역할, 보상의 균형 및 솔선수범으로 적용 하였으며, 이러한 각각의 협업 활성화 요인들이 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상관관계를 가설을 설정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구성원간의 협업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협업 활성화 요인별로 상관관계를 가설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가설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 협업 활성화 요인들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보인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반면에 자기효능감은 협업 활성화 요인들과 직무만족도간에 조절효과로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원인으로는 첫째, 병원은 인명을 다루고 치료와 예방을 주요 과업으로 하는 특수산업이므로 구성원 모두가 분명한 과업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관리자뿐만 아니라 현장의 의사, 간호사 등 병원의 종업원의 경우도 동일하게 공동된 목표의식과 분명한 비전을 가져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유사하게 병원산업의 특성상 구성원 각각의 역할이 매우 분명하게 정해져 있고 또한 과업의 결과에 대한 책임소재, 과업의 특성 등 일반 사기업과의 차이가 분명한 곳으로서 과업의 책임과 역할이 부여된 상태에서 구성원이 스스로 잘할 수 있다는 믿음 보다는 업무흐름(Work flow)과 업무프로세스(Work Process)에 의한 영향이 더 크기 때문이다. 셋째, 병원은 일반기업과 달리 공공기관과 같은 유연하지 않은 급여체계(정규직, 비정규직, 의사, 간호사, 보조원 등)가 존재하며 이로 인해 과업결과에 대한 별도의 보상이 주어지기 어려운 구조이다. 그리고 각자의 역할에 따른 급여가 근무 연수에 따라 대부분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보상의 개념이 작용하기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협업의 하위요인인 솔선수범은 명확한 책임과 권한과 연관하여 스스로 조직시민행동을 발휘하기 보다는 정해져 있는 과업의 범위에서 자발적인 행동동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으로 추론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협업을 통해 얻어지는 직무만족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구성원들 간의 협업이 양질의 성과로 이어 질 때, 높은 직무만족도와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는 것이다. 둘째,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셋째. 병원과 같은 특수한 조직의 구성원에게 조직의 목표달성과 성과창출을 위해 구성원 스스로 준비하고 인지해야 하는 다양한 변수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협업과 직무만족도간의 조절효과로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단기간 내에 특정대상을 상대로 횡단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므로 향후 보다 다양한 대상으로 조사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장시간동안의 연속적 반응을 살피는 종단적 분석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응답을 분석하여 사용하는 자기 주도 분석으로 진행되었고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므로 응답내용이 다분히 주관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특정지역에 있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므로 향후 보다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조사대상자가 속한 직종에 따른 분석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SNS 기반 협업 오픈 소스 개발

        방대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협업은 조직의 규모와 상관없이 모든 기업에서 중요한 성공의 열쇠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예산의 제약 및 제한 된 기술지원 환경으로 인해 가능한 효율적으로 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대적으로 적은 인원으로 더 많은 일을 더 잘하기 위한 중요한 첫 단계는 업무 관리를 조금 더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기존의 오픈 소스 협업 툴이나 노후화된 그룹웨어 방식의 협업 툴은 PM에게 집중된 권한으로 인해 협업을 하기 어려운 구조와 지연을 야기하는 절차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내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프로젝트 전체 진행 상황이나 개인의 임무 진행 상황 등을 한 눈에 파악하기 힘들고 프로젝트 관리나 일정관리에만 초점을 두어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부족하다. 또한 이 메일 방식의 협업은 실시간성에 있어 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적절한 타이밍에 서로 간 의사소통이 쉽지 않으며 나중에 관련된 내용이 메일함에 쌓이게 되면 관리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고 중소기업의 업무와 일정 관리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해 프로젝트 관리 기능과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통합한 SNS 기반 협업 오픈 소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우선 협업 오픈 소스의 주요 기능들을 Use Case Diagram으로 도출한 후 각 기능들에 대한 상세 요구사항을 명세하였다. 그 후 각 기능들에 필요한 Database를 설계하고 협업 오픈 소스의 전체 흐름을 Activity Diagram으로 도출하였으며 주요 객체의 내부 상세 흐름을 Sequence Diagram으로 분석하였다. Sequence Diagram에 표기된 주요 객체들의 연관 관계를 Class Diagram으로 도출한 뒤 각 Class를 설계하였으며 이에 따라 협업 오픈 소스를 구현하였다. 보안을 위해 기존 SNS 시스템과의 연동은 하지 않고 따로 구현하였으며 프로젝트 전체 진행상황을 원형 그래프 형태의 통계로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통계 기능은 권한에 상관없이 프로젝트 참여자라면 누구나 조회가 가능하다. 개발된 협업 오픈 소스는 데스크 탑 기반의 다양한 웹브라우저들과 안드로이드에서 매우 안정적으로 작동하였다. Collabor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keys to success in any enterpris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In most small businesses It is very important to work as efficiently as possible due to budget constraints and limited technical support environment. As a important first step to doing so with a relatively small staff,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be managed by the business more systematically. Existing open source collaboration tools or groupware tools use email as a collaboration method, but it is inefficiently in real-time communication, and they also focus on project management or schedule management. Because of this lack of communication features, collaboration with each other is not easy. In this study, Our goal is to develop the open source collaboration tool that features project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functions to help small business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ir tasks and schedules. First, we selected major features of collaboration tool by using Use Case Diagram and then specified the detailed requirements for the respective functions. We designed the database for the respective function and derived the overall flow of the collaboration tool from Activity Diagram and then analyzed the internal flow of the main objects by using Sequence Diagram. After deriving the relation of the main objects shown in the Sequence Diagram from Class Diagram, we designed major classes of collaboration tool. After this, we have implemented open source collaboration tool based on the design.

      • 협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우택규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협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우 택 규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세일즈매니지먼트전공 지도교수 김문중 계속적 영위를 위해서 기업은 여러 가지 많은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리고 그 활동의 중심에는 조직구성원들의 집합체인 팀(Team)이 자리 잡고 있다. 기업은 고성과를 추구하는데 열중한 나머지 조직구성원들의 참여 혹은 몰입을 간과하거나 만족시키지 못한 정책을 수립하였다. 그 결과 조직원의 이탈, 조직의 목표와 가치에 대한 불신 등을 초래하였다. 또한 팀제로 운영되는 조직의 특성상 전문성만을 강조하며, 성과위주의 평가 등으로 위화감이 조성되어 팀 간 협업, 조직원간의 협업이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그럼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도를 향상 시키며, 협업과 의사소통의 수준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협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의사소통이 협업과 조직몰입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관광업계 공기업 종사자 및 기업 종사자 304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 협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도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사소통은 협업과 조직몰인 간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조직 내에서 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그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도가 높아진다는 결론에 도달 하였으며 의사소통 또한 활발할수록 결과적으로 조직몰입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The Effect of Team Collabor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 WOO, TACK GYU Major in Sales Management Advised by Professor Kim, Moon Ju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The modern Enterprises are continuously trying to do many things to sustain and grow for their organization to have better performance and better achievement in competitive and fast changing management environment. And, the core concept of these organizations is the team which is fundamental level for internal organization of employees. But, management of most of organizations is not seriously consider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and commitment by employees or did not put attention the value of them to develop policy and philosophy. For that reason, those carelessness of management caused high turnover, distrust to organizational objectives and the value. Als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eam organization, it is often focused on expertise of employees and measured by performance so that the level of collaboration between teams can be negatively affected and even disconnection of collaborations happened frequently. For that reason, few questions have been raised how organization can overcome those issue, w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hat is the role of communication to which i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modern organization to increase job commitment for better achievement.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between collabor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e moderate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collabor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304 sample survey result have been collected from tourism related companies as well as government organization and actual proof analysis has been done and the result is followings. First, collaboration has great impac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ndicated that sub variable of collaboration such as shared goal, role and responsibility, balanced incentive and lead by example have lots of meaning for management to increas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and it looks directly connected to job performance and better outcomes. Second, communication is also positive effect to job commitment so that the value of communication among with employees is very important for organization. It also showed a direction how management can lead their employees for better achievement in performance.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communication has less moderate effect between collaboration and job commitment. It may deduced that communication itself can be one of core concept for better collaboration so that employees may consider the communication is sub variable of collabor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higher level of collaboration by employees can increas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ndicate the management that organization must support and prepare how they can improve the level of collaboration between members for better performance. Also, the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means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indicated that there must be support and encouragement by management to increase communication level of employees in all directions and it will directly connect to high performance of organization. In spite of these implications,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such as cross-sectional analysis, limited sample cluster, self-report and so on. The future study needs to fulfill the gap of this research so that expanding the sample target and longitudinal research will be needed.

      • 山林經營協業體의 經營實態分析 및 活性化 方案에 關한 硏究

        유영민 順天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山林經營協業體의 問題點을 파악하고, 活性化 方案을 提示하기 위하여 全羅南道 長城郡과 昇州郡 地域을 對象으로 文獻調査와 방문조사에 의하여 經營實態를 調査分析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조사는 長城郡과 昇州郡 地域 山林經營協業體 會員 中 所在山主 25인씩을 선정하여 實施하였다. 1. 山林經營協業體 地域 內 山林所有主의 比率은 長城地域이 37%, 昇州地域이 66%이었다. 2. 協業體 加入後 두 地域 모두 所在山主들은 技術改善이나 作業團利用에 있어서는 滿足을 나타낸 반면, 林業所得向上, 林産物共同販賣에 대해서는 不滿足을 나타냈다. 3. 協業體의 會員事業과 共同事業은 山主들보다는 協業經營指導員들에 의하여 經營되는 形態를 보이고 있었다. 4. 두 地域 모두 共同販賣事業은 間伐木材에 국한되어 實施되고 있었고 기타의 林産物에 있어서는 전혀 實施되지 못하고 있었다. 5. 山林經營協業體의 經營上의 問題點으로 林業勞動力의 不足이 가장 큰 要因으로 나타났다. 6. 이러한 山林經營協業體의 活性化 方案으로 다음과 같은 提案을 하였다. 1) 山主들이 協業體를 自發的이고 創意的으로 經營하도록 誘導 2) 山主들의 所得源의 多樣化를 위한 協業體 內 複合經營의 導入 3) 協業體의 地域化 4) 示範協業體의 育成 5) 不在山主의 經營參與 誘導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problems in the operation and to provide revitalization measures of Forest Management Cooperatives(FMC). Each 25 resident forest owners of the FMC members in Jangsung and Sungju area were visited and the records of the FMC in the two area were refer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residents of total forest owners in the FMC area were 37% in Jangsung and 66% in Sungju. 2. The members of the FMC in the two areas were satisfied with extension work and activities of forest working corps, but unsatisfied with increase of the income and joint sale of forest products. 3. Most of the FMC activities of study areas were carried out by the cooperative extension workers rather than through their members. 4. Joint sales activities were practiced only in the sales of the thinning products in both two areas. 5. The most difficulty in the management of the FMC in the two areas turned out to be the shortage of labor forces. 6.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itemized as follows : 1) Inducing a system of voluntary and creative management of the FMC by the members. 2) Practicing multi-production activities for diversified income. 3) Managing the FMC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characteristics. 4) Upbringing a model of the FMC. 5) Inducing non-resident forest owners to join the FMC activities.

      • 협업과 정보교류체제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성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재준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한 기업의 대응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최적의 조직 구성에서부터 과업진행 프로세스의 도입 및 성과측정 모델설정에 이르기까지 회사와 구성원 모두에게 업무의 방향성과 기준을 제공하는 제도와 실행방식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기업은 경영 환경변화에 따른 조직의 궁극적 목표달성을 위해 CRM, ERP등 시스템적인 요소를 도입, 운영하고 있으며 구성원도 이런 내외부적인 변화에 대한 선행적 대응을 요구 받고 있다. 특히, 팀제는 변화에 대한 기민한 대응과 팀 구성원 간 전문성확보 및 협조체계를 구성하여 보다 나은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체계로서 대부분의 조직에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그 적용범위는 점차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부 공공기관에서도 도입하고 있는 팀제의 효과성은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팀 내부의 협조체제에 대한 근본적 원인파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팀의 협조체제 즉 팀 협업(collaboration)은 조직의 목표달성과 고성과 팀을 구성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토대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부의 선행 협업연구는 조직과 조직 간의 SCM 차원에서 진행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조직에 대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회사의 설립목적, 사업모델, 추구가치 등이 서로 다른 것을 감안할 때 복수 조직의 협업에 앞서 가장 기본적 단위인 하나의 조직 내 팀 협업 요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일부 외국의 선행연구에서 팀 협업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발표하였지만 이는 광범위한 실증적 분석과는 달리 소수의 팀에 대한 연구이기에 적용범위의 확대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국내의 기업을 대상으로 팀 협업의 요인을 탐색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조직의 목표달성에 보다 효과적인 요인의 영향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즉, 고성과 팀을 구축하는 팀 협업의 요인을 파악하고 더불어 보다 나은 팀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정보교류체제와 성숙도에 관한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팀 협업요인 파악의 당위성과 이들 요인과 팀 성과간의 관계 및 정보교류체제와 성숙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연구방법을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복수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의 결과인 팀 협업의 요인에 대한 구체적 분류를 제시하였으며,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제시하였고 팀 협업요인과 성과 간을 매개하는 정보교류체제 및 성숙도의 조절효과에 대한 기준과 척도를 제시 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의 가설과 모형을 설정하였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조사 설계 및 분석방법을 제시 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 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였고 동시에 시사점 및 연구한계와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 하였다. 분석결과로서 독립변수인 팀 협업 요인은 공유된 목표, 명확한 책임과 역할, 보상의 균형 및 솔선수범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3년간 2차례에 걸친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찾아낸 요인에 대한 빈도수와 이를 활용하여 실시한 예비실험과 본 실험을 거쳐 검증되었다. 그리고 결과변수인 팀 성과는 사업부서와 지원 부서에 대한 구체적 성과로서 산출물의 품질과 팀 목표달성 여부 및 다른 팀과의 비교 시 성과로 구분하였으며 팀 협업요인은 팀 성과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Cannon-Bowers와 Salas(2001)가 주장한 집단 내 공유인지의 4가지 차원 중, 구성원에 대한 지식에 관한 대표적인 개념으로 Wegner(1987)와 Moreland(1999)가 주장한 정보교류체제(TMS)의 효과에 대해 파악하였으며 이는 전문성, 신뢰성, 과업조정으로 구성된 상호인지로서 팀 협업요인과 팀 성과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구성원의 경력, 지식 등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수행 성숙도는 정보교류체제와 팀 성과간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가 설정한 가설과 이의 검증을 통해 파악된 내용에 대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협업의 실질적인 요인을 파악하였고 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기업의 가장 기초적인 단위인 팀에 대한 협업요인을 검증하였고 파악된 팀 협업요인을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조직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검증된 결과를 제공하였다. 기업은 검증된 자료를 기반으로 조직최적화(Organizational Optimization)를 추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성과 팀 구축을 위한 선행요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팀제를 도입하고 있는 대부분의 기업에 적용되어 팀 활성화를 통한 성장과 수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공유인지 프로세스의 한 분야인 정보교류체제에 대한 세부적인 실험결과를 팀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제공하였다. 정보교류체제는 과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