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 제시된 텍스트 특성 연구

        이은희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한국어능력시험은 공신력 있는 대표적인 한국어 능력 평가 수단으로서 다양한 평가 영역을 통해서 학습자들 의 한국어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왔는데, 그동안 한국어능력시험 평가의 틀에서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이 중심을 이루어 왔다. 그렇지만 언어활동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기에 한국어 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 해서는 언어활동의 대상으로서 텍스트가지닌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고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능 력시험에서 텍스트 특성을구현할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 그동안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서 텍 스트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를 검토해 본 것이다. 2장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틀과 평가 기준을 검토해 봄으로써, 한국어능력시험 평가문항을 구성하는 평 가 틀에서 텍스트 요인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틀에 나타난 텍스트 관 련 기술은 텍스트 종류, 텍스트 내용, 텍스트 형태의 세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이 중 전체적으로 의미 를 지니는 요인은 텍스트 종류뿐이며,텍스트 종류들이 제시된 방식을 보면 개념 규정 및 체계성과 관련된 문 제점이 드러난다. 3장에서는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을 대상으로, 평가 문항에서 텍스트 특성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텍스 트 체재와 텍스트 유형이라는 두 가지 범주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서 나타나 는 텍스트 체재는 언어자료형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방식을 보이며, 텍스트 유형은 등급별 영역별로 일부 유 형에 편중된 모습을 드러내면서 언어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텍스트의 다양한 모습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 고 있다. TOPIK, as the most authoritative Korean proficiency test, has beenevaluating learners' proficiency of Korean comprehensively through the variousevaluation domains. Its grading system has been made mostly in focusing onlearners’ cognitive ability. However, to test Korean proficiency properly,considering text is the basis of linguistic activities, it is essential that thecharacteristics of the text should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As a process forsuggesting a possibly ideal way for the text characteristics to be appliedsuccessfully in TOPIK, this study reviews how the characteristics are containedin the previous TOPIK evaluation questions. Analyzing question framework and evaluation criteria, chapter 2 examinesthe way in which text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theoretical framewhich comprises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OPIK. The descriptions regardingtext, shown in the TOPIK evaluation framework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kinds of text, contents of text, and forms of text. Among these, only kinds oftest can be regarded to some extent as a significant factor in overall situation. Despite the meaningful existence of the kinds of texts in TOPIK, in the waysthey have presented, many problems are found out related to their conceptsand structures. Chapter 3 investigates in terms of text types and structures how the text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he 34th TOPIK. Theinvestigation can be concluded as follows. The text structures of TOPIK aresimple, largely based on linguistic data types. As to text types, they do notreflect thoroughly diverse tex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process oflanguage use, in that they are given too much biased weight on certain types.

      •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에 관한 혼합 방법 연구

        김규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

        한국 사회는 점차 다양한 문화가 소통하며 확장되고 있다. 여러 문화권과의 교류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과 자의적 또는 타의적으로 일상 생활에서 만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대처하는 ‘문화 능력’이 필요한데 한국어 교육도 문화 교육과 문화 능력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 나가고 있다. 세계 각지에서 한국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배우려는 학습자가 해마다 증가하면서 이들을 언어적인 기술 향상 면에서 끌어들여야 함과 동시에 그들에게 지닌 고유 문화 배경과 다른 문화가 공존하고 교류할 수 있는 능력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한국어 교육을 통해서 한국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배우며 더 나아가서는 현대 사회와 세계 시민으로서 필요한 능력까지 배양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유용한 문화 지식과 문화를 대하는 유연한 태도와 인식, 원활하고 자연스러운 문화 적응과 행동까지‘문화 능력’을 고려한 요소가 한국어 교육과정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한국어 교육에서 한 단계 발전된 형태로 문화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바 본 연구는 의미 있는 시도라고 본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문화 능력 간의 관계 그리고 이에 대한 특징을 탐색하기 위해 학습자의 문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양적 연구와 학습자와 교육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면접법인 질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 방법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들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외국어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에 근거를 두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문화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한국어 능력과 문화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중 회귀 분석 방법을 통하여 문화 능력 간의 요소들이 어떻게 작용하는 지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고 양적 연구를 통하여 밝히지 못한 부분을 질적 연구 방법인, 면접을 통해 문화 능력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요인들을 살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외국어 학습 공간, 즉 새로운 문화를 접하는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습득될 수 있도록 문화 능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문화 능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각도에서 검토해 보려고 하였다. 또한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함께 문화 능력을 상호 연계하여 실질적으로 교육과정 안에서 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제안을 한 부분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문화 능력을 한국어 교육에서 제안하고 중요성과 필요성을 부각하고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적절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 접근한 점에서 가치를 지닌 연구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문화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못한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분야의 문화 능력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문화 능력을 논의해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문화 능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짚어보고 이를 위해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성과는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체계와 내용을 갖추기 위해 교육 현장에 실질적인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Cultural Competenc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South Korea becoming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more individuals have come to acknowledge the value of Cultural Competence as an indispensable day-to-day and transferrable professional skill. Since the language classroom is a learning space and time for targeted linguistic and cultural encounters, it is important to integrate Cultural Competence in language learning settings, and consider it as a skill to achieve. Using a mixed methods design, the research uses data collected from surveys with 150 learn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25 learners and 15 educators in Korean language. In this study, I assess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Competence in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in South Korea, and developed a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 following the official Korean national measuring standar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Results from the survey show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Competence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hen Cultural Competence improves, language ability also improves. Interviews shed further light on the varying importanc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Knowledge, Attitude, Awareness, and Practice) to achieve high proficiency levels. Three out of the four components (Knowledge, Attitude, and Awareness) show sta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sults. However, data also reveals that the Practice component does not show the same level of improvement as the other three. This demonstrates that the four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are not tightly linked with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By exploring the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Competence and the journey to achiev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 research shows that current Korean language teaching practices mainly focus on the Knowledge component and tend to neglect Cultural Competence as a who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thus leads to a highly imbalanced progress in the four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whereby learners’ improvement is mostly focused on Knowledge component progress at the expense of the other three components, hence failing to achieve Cultural Competence as a whole. This research hence highlights the crucial role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recommends that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ncorporates more cultural elements and other related activities in and outside of the language classroom, that educators have the opportunity to train in more international settings, and that learners be encouraged to practice independent learning through socio-cultural activities outside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현황과 과제 -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의 특징 분석을 중심으로 -

        유소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학 Vol.16 No.1

        이 논문은 헝가리에서 실시되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시행 현황과 응시자들의 특징 분석을 통해 헝가리 응시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헝가리에서 시행되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은 2011년을 시작으로8회가 시행되었다. 이 지역의 응시자 수는 전체 응시자의 0.1% 이내로그 수가 극히 적지만, 응시자 분석 결과, 지원 목적 등에서 아시아 지역의 응시자들과는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응시자들의 성별이나 연령별 분포는 전체 응시자들과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응시자의 직업은 학생이 65%, 회사원을 비롯한 직장인이 30%로, 전체 응시자의 대부분이 학생인 것에 비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응시 목적도 전체 응시자의 대부분이 한국 대학이나대학원 진학이 목적인 데에 반해, 헝가리 응시자들은 한국 유학 목적이 33% 정도이고, 자신의 실력 확인이나 학술 목적과 한국문화 이해, 취업 등이 더 많았다. 또한, 응시 동기의 98%가 한국어 교육기관과 인터넷, 지인을 통해서 지원한 것을 보면 헝가리 지원자들이 응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도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한 시험 시행 상황과 응시자들을 고려해볼 때, 시험 주관 기관에서는 실시 지역에 맞는 홍보와 시행 회차 증설등의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는 헝가리 지역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수업 방향을 개선할 수 있는 단초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1, 241-260.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quirements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pplicants in Hungary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OPIK in Hunga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nts. TOPIK has been conducted in Hungary for 8 times since 2011. Examinees from Hungary account for only 0.1% of all applicants. Regardless of their small percentage, analysis in this study shows that they have distinctive factors compare to Asian applicants, in terms of professions and purposes of taking TOPIK. Most of the Asian applicants are students and their purpose of taking TOPIK is to enter a university in Korea. However there are only 65% of students among the applicants in Hungary, while 30% are employed. Moreover, their purpose of taking TOPIK is more about measuring their own Korean-language skills and Korean culture understanding, getting a job, or other academic purposes. Only 30% of applicants aim to enter a university in Korea. Consider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OPIK applicants in Hungary, as verified by the result of this study, I propose that the exam board consider extensive promotion and implementation of TOPIK, duly reflecting local and cultural distinctiveness.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과 초급 단계의 문화 능력 평가 도구 개발

        박은하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학 Vol.13 No.3

        언어를 가르치는 데에 있어서 문화의 중요성은 예전부터 강조해 왔다. 그런데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능력이 무엇이며 문화 능력을 위해 무엇을 가르칠지, 그리고 문화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이에 본고는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은 무엇인지를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재에 문화내용과 문화 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한 후에 문화 능력의 평가 내용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의 기존 문제로 문화능력 평가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문제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문화 능력에 대한 연구가많지 않다는 점, 문화 능력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는 점, 그리고 언어와 문화를 분리해서 바라보는 관점이 아직 더 지배적이라는 점 등을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 능력의 개념을 정리하여 문화 능력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를 정립해 보았다. 그리고 문화 능력을언어와 문화를 따로 보는 문화 교육에서의 문화 능력을 볼 것이 아니라 한국어 교육 측면 즉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이라는 목표에서 문화능력을 바라보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 관계 속의 문화 능력을 보아야함을 논의하였다. 문화 능력의 내용은 넓은 의미의 일반 문화를 다 포괄하는 것이 아닌 언어 문화의 문화 능력 내용으로 설정하여야 하며이에 대한 평가를 하여야 한다. 문화 능력의 내용의 표준화는 아니더라도 초급 단계에서의 문화 능력의 내용의 합의는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최근에 개정된 한국어 교재에서도 문화 내용이 동일하지 않고 문화 능력에 대한 내용도 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어 평가 중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문화 내용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평가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이 평가 내용을 중심으로 초급 단계의 문화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much emphas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language teaching in Korea. However, to our knowledge, no study has attempted to define cultural competence in teaching Korean, what to teach in cultural competence, and how to test cultural competence. We also have to recognize that not many studies exist about cultural competence, that the perspectives of researchers are diverse, and that the dominant view still regards language and culture as separate ent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efinitions of cultural competence in literature and thereby understa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only by considering cultural competence as part and parcel of cultural and language education can we meet the objective of increas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contents of cultural competence testing, it is suggested, must not embrace general culture only in a broad sens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we come to a general agreement about the standard contents in cultural competence testing. Moreover, the present Korean textbooks do not adequately reflect the objectives of teaching and testing of cultural competence. This study finally raises several questions related to the contents and their relevance to cultural competence i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어문 규범’ 영역 문항 분석 연구

        조남현 ( Cho Nam-hyeon ),이선미 ( Lee Seon-mi ),남경영 ( Nam Kyeong-yeong ),강미영 ( Kang Mi-y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어문 규범 문항이 예비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높은 내용 타당도를 갖추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6년 1회부터 2019년 14회에 걸쳐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항 가운데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을 추출하고, 추출한 문항이 어문 규범 세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더 나아가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의 분석 틀을 마련하여 어문 규범 관련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항이 한국어 교사의 자격을 평가하고 이를 선발하는 데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검토 결과 거시적 영역에서는 회차별 출제 비율의 변화가 매우 컸고, 미시적 영역에서는 각 어문 규범 조항들의 출제 빈도의 편차가 클 뿐 아니라,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출제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문항들이 다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에 대한 연구는 문화, 발음, 문법 등의 체계, 방안, 모형 등에 대해 이루어지거나 이에 대한 개선 사항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어문 규범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어문 규범 관련 논의를 제외하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을 온전히 검증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1회부터 14회까지의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을 어문 규범 영역을 중심으로 관련 문항을 추출하고 이를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으로 나누어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이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합한지 정밀하게 검토한 후 개선점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 자격 시험의 평가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한국어 교사 양성을 통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language norms of the Korean teaching ability test have high content validity as a tool to measure the expertise of prospective Korean teachers. To this end,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norms of language were extracted from the questions of the test from 1st in 2006 to 14th in 2019 and analyzed how the questions were related to the rules of language norms. Furthermore, the analysis framework of macro and micro perspectives was prepared to critically examine whether the test related to language norms consisted of questions suitable for evaluating and selecting Korean teachers' qualifications.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variation in the ratio of the questions was very large in the macro area, and that in the micro area, the variation in the frequency of the questions of each language norm was large, and that there were many questions that did not meet the intention of the test. So far, research on the test has been mainly conducted on systems, methods, and models such as culture, pronunciation, and grammar, and it is hard to say that the Korean teaching ability test has been fully verified except for discussions on language norms, given the importance of language norms.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test, which was conducted from 1st to 14th, was extracted based on the language norm area and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s, carefully examined whether the language normative area was suitable as a tool to measure the expertise of Korean teachers, and suggested improvements. The study is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evaluation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fication tests as well as boost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fostering excellent Korean language teachers.

      •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평가 문항 유형별 분석 - 중급 읽기 중심으로 -

        최일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15 중한언어문화연구 Vol.9 No.-

        外語能力可分爲聽說讀寫四個方面。其中聽和讀可視爲理解能力,說和寫可視爲表達能力。閱讀作爲外語能力中理解能力的一個重要組成部分,在韓國語敎學中必然成爲了不可缺少的重点。同時,隨着韓國語能力考試(TOPIK)的發展和其外延的擴大,在學校韓國語敎育中該考試所占的比重也隨之增加。其中,閱讀能力起着擧足輕重的作用。因此,本硏究以韓國語閱讀能力及其評价的理論爲基礎,以韓國語能力考試(TOPIK)中級閱讀題爲硏究對象進行了分類型分析硏究,旨在爲學校韓國語敎學過程中的韓國語能力考試的相關敎育提供理論及硏究的基礎。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법 영역 문항 개선 방안 연구

        장준영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1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문법 영역 문항이 예비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 할 문법 교육 역량을 평가하기에 타당한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문법 영역 문항의 개선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제1회(2006년)-제18회(2023년)까지의 시험 문항에서 한국어 문법 영역과 관련이 있는 한국어어휘・형태론, 한국어통사론, 한국어규범, 한국어문법교육론 과목 623개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이론적인 문법 지식을 묻는 문항으로 출제가 되는 경향이 많았다. 그렇지만 한국어 교사에게는 교실 현장에서 외국인 학생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가르치기 위한 지식’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문법 영역에서도 예비한국어 교사들이 한국어 교실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접하게 될 교실 현장과 관련이 있는 문항으로 출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예비한국어 교사의 한국어 문법 교육 능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whether the grammar area questions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appropriate to evaluate the grammar education competencies that a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 should have, and to specifically seek ways to improve the grammar area questions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a research method, the questions in the subjects of Korean vocabulary and morphology, Korean syntax theory, Korean language norms, and Korean grammar education related to the Korean grammar area were analyzed from the 1st (2006) to the 18th (2023)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tendency to be asked about theoretical grammar knowledge as a whole. However,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t is important to have 'knowledge to teach' that can be easily and interestingly taught to foreign students in the classroom. Therefore, in the grammar area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questions related to the classroom field that a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 will actually encounter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field should be presented. This will be the way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a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

      • KCI등재후보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미혜(Lee, Mi-hy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본 연구는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근로자 대상의 한국어 능력 평가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의 기능과 역할 수행상의 문제점이다. 이 시험은 외국인 구직자의 명부를 작성하기 위해 실시하며 합격 점수와 합격자 수가 외국 인력 정책에 좌우된다. 그 결과,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려는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의사소통능력을 목표로 한국어를 학습하도록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특별한국어능력시험의 구성과 응시자 선정의 부적절성이다. 고용허가제를 시행하면서 정책적 필요로 새로 개발한 특별한국어능력시험에는 한국어 문제로 볼 수 없는 직무 관련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근로자의 특성, 한국어 수준 등을 고려하지 않고 근로자의 조기 귀국을 유도하려는 정책적 목적으로 시험 응시자를 제한한다. 셋째,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이 공인된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연계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이다. 모든 이민자들의 한국어능력평가에 한국어능력시험(TOPIK) 점수가 활용되지만 외국인 근로자 평가에는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만 인정하고 있다. 평가 도구의 타당도를 높이고 응시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과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연계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Employment Permit System-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EPS-TOPIK) and identify problems with the Korean proficiency test for workers. The study reviewed the EPS-TOPIK critically in three aspects: first, it examined problems with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EPS-TOPIK. The test is administered to make a list of foreign job seekers, and the passing scores and the number of successful applicants depend on the foreign workforce policies. As a result, the test fails to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which is to assess foreign workers in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encourage them to learn Korean as a communication skill. Secondly, there is an inappropriateness in the organization and selection of examinees for the Special Korean Proficiency Tes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Special Korean Proficiency Test was developed to meet policy needs; and thus, contains job-related questions in addition to Korean ones. The number of its examinees is restricted only according to the policy goals with no consider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and Korean skills of the workers. Finally, the EPS-TOPIK is not connected to the official TOPIK exam. While TOPIK scores are recognized in all the Korean proficiency assessment of immigrants, only EPS-TOPIK is used to assess foreign workers. There should be a plan to connect the EPS-TOPIK and TOPIK exams to increase the validity of assessment tools and promote the convenience of examinees.

      •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평가 유형 연구 :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김민경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0 No.-

        표준화된 한국어 능력 평가도구로서 시행하기 시작한 한국어능력시험(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은 그동안 꾸준히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성장을 거듭해왔다. 증가하는 응시자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특히 유학이나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과 재외 동포의 수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우수 유학생을 선발하고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에서의 수학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시험(Academic TOPIK: A-TOPIK)의 시행을 준비 중에 있다. 한국어의 학습 목적이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문을 익히는 것에 있다면 적정 기준을 충족한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은 마땅히 학업 성취에 별다른 지장이 없을 정도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유학생의 입학과 졸업의 자격 기준이 되고 있는 일반 한국어능력시험(S-TOPIK)은 이러한 사실이 반영된 평가 결과를 내어 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것은 언어활동에 있어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수준을 넘어 학업 수행이라는 특수성과 유용성이 고려되지 않은 평가 유형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하여 현행 일반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쓰기 영역 문항 유형을 분석하여 본 결과 기본적으로는 평가 영역 간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드러났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 목표의 특수성과 유용성을 고려한 쓰기 능력을 직접 평가할 문항이 부족하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업 수행 상황에서의 유용성을 고려하여 쓰기 평가 영역에서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는 문항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이 평가 취지에 맞는 타당하고 유용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이 자녀의 한국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현욱 ( Hyun Wook Choi ),황보명 ( Bo Myung Hw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능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한국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어머니인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과 기타 관련변인들(부모의 교육수준, 가족의 월 소득수준, 아동의 연령, 가족형태)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결혼으로 인하여 한국으로 이주한 이주여성 24명과 그 자녀 24명(생활연령 M=5세 2개월, SD=9.08개월, 남아 10명, 여아 14명)이었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은 그림어휘력검사, 구문의미이해력검사,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 우리말 조음ㆍ음운평가를 이용하여 수용언어능력 측면에서 수용어휘력과 구문의미이해력을, 표현언어능력 측면에서 표현어휘력과 자음정확도를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능력은 그림어휘력검사, 아동용한국판보스톤이름대기검사, 우리말 조음음운평가를 이용하여 수용언어능력 측면에서 수용어휘력을, 표현언어능력 측면에서 표현어휘력과 자음정확도를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과 함께 기타 관련변인들이 그 자녀의 한국어능력과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 중 수용어휘력은 4세 ~ 4세 5개월 수준으로, 구문의미이해력은 5세 수준으로 나타났고, 표현어휘력 또한 5세 수준이었으며 자음정확도는 94.98%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능력 중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은 4세 ~ 4세 5개월 수준, 자음정확도는 89.02%로 생활연령에 비교하여 1세 정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과 그 자녀의 한국어능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자음정확도는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표현어휘력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용어휘력과는 낮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표현어휘력은 아동의 표현어휘력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구문의미이해력은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기타 관련변인들 중에는 아동의 연령이 아동의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자음정확도와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며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아동의 수용어휘력, 자음정확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능력 이해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variables(mother’s Korean abilities and association variables) related to Korean abilitie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children(mean of chronological age: 5years 2month and boy 10, girl 14) and 24 their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y. We used for all subjects the questionnaire and formal language tests to identify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abilitie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very low. And the Korean abilitie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lower than that of children in single-cultural family. Second, the Korean abilities(receptive vocabulary ability, expressive vocabulary and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in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Korean abilities(understanding about syntactic meaning and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of mothers. Third, the chronological age and father’s educational level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in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Korean abilities(understanding about syntactic meaning and percent of correct conson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