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어촌표준형주택 단위세대와 실의 규모 및 치수구성 특성 연구 - 1995년 이후 보급되고 있는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를 중심으로 -

        최일,조성진,유창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1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는 설계비의 절감과 건축허가절차 간소화 그리고 부재규격화 및 부품 화를 통한 시공 표준화를 기함으로써 농어촌 주택의 경제적 이익과, 질적 향상을 기하고 있 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급된 농어촌 표준형주택은 명확한 설계기준 없이 개발되어 단위세대 의 규모나 및 개실 규모가 규격화 내지는 부품화에 유리하지 않다는 새로운 문제점을 보이고 있어,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농어촌표준주택 설계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5년 이후 보급되고 있는 79개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의 단위세대와 각 실의 규모 및 치수구성 특성의 조사·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합리적인 현대 농어촌표준형주 택 설계기준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농어촌표준형주택의 단위세대와 각 실 규모의 출현 빈도분석 하고 둘째, 단 위세대 규모별 실별 치수구성의 특성분석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도출된 결과를 제도화 되어 있는 ‘주거기준’ 및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 주거수준과 상호 비교분석을 통해 농어촌표준형주 택의 주거수준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rural-house standard design is designed for economic and qualitative betterment of housing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by inducing frame standardization and modularization and pursuing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However, the current standardized housing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is not being used actively because there is no fixed design standar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basic design data that can be used as a helpful reference in preparing the design standard of standardized rural housing through characteristic research on the unit plan characteristics of the rural-house design standard that came into wide use in South Korea since 1995. To do so, Firstly this study categorized 79 housing units into 10 type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loor planning by calculating average, smallest, and largest total floor area by type. Secondly, this study calculated the area of living room, kitchen, master bedroom, bedroom, entrance, bathroom, utility room, and boiler room by type and the side measurement data of long and short sides. The smallest, largest, average, and mode values of calculated data found, and these measurements, area distribution, and floor plann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lso, this study verified the propriety by comparing the housing standard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prepared a framework of basic design data for setting the design criteria of rational standard housing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 KCI등재

        천화분(Trichosanthis Radix ext.)추출물이 육계 병아리의 혈액 내 생화학적 성상, 생물학적 수치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최일,장형수,이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3

        Effects of Trichosanthis Radix ext. on anti-oxidation, biochemical and biological values of blood were investigated in broiler chicks. In 14 days feeding period,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reatment groups. In Trichosanthis Radix groups, Plasma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showed tended to decrease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ere higher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However, these values were not significantiy different in all Trichosanthis Radix groups. Plasma TG concentrations in 0.2% and 0.3% Trichosanthis Radix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nd plasma glucose concentra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groups. Plasma free fatty acids concentration seemed to decrease with increased Trichosanthis Radix. In Trichosanthis Radix groups, activities of serum AST, ALT, ALP and LDH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however these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ichosanthis Radix groups. Concentration of albumin, globulin and total protein in plasm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p>0.05). Concentration of liver total cholesterol in 0.2% and 0.3% Trichosanthis Radix group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however these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p>0.05). Concentration of TBARS in plasma and liver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nd activities of SOD and CAT in liver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ed Trichosanthis Radix . 천화분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화 직후, 육계병아리에게 천화분추출물을 급여한 후, 혈액의 생화학적 성상 및 항산화능을 비롯한 각종 생체기능에 관여하는 생물학적 수치들을 검토했다. 시험사료 급여 14일간의 각 처리군 별 사료섭취량, 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otal cholesterol농도는 천화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했다. HDL-cholesterol농도는 천화분 0.2% 및 0.3%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LDL-cholesterol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천화분 첨가군 모두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천화분 처리군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장 TG농도는 0.2% 및 0.3% 천화분 첨가군 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glucose농도는 전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FA농도는 천화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하였다. 혈장 AST, ALT, ALP 및 LDH의 활성치는 천화분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천화분 처리군들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처리군 별 혈장 Albumin, Globulin, Total protein의 농도는 전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장 total cholesterol은 천화분 0.2% 및 0.3%군들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량은 천화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천화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SOD 및 CAT의 활성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화 직후의 육계 초기사양에서 천화분 추출물은 에너지이용과 체내 산화물질의 제어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육계 병아리의 질병예방과 성장촉진을 위한 프로그램에 응용가능성을 시사해준다.

      • KCI우수등재
      • Effects of High Doses of $^{60}Co$ Gamma Irradiations to the Head of Rat on the Gamma-Aminobutyric Acid, Glutamic Acid and Nucleic Acid Contents in Brain Tissue

        최일,Choi, Il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69 한국생화학회지 Vol.2 No.1

        Studies were done to see the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s to the head of experimental animals on the brain GABA, glutamic acid and nucleic acids (DNA and RNA), which are all important in brain biochemistry. and on the brain and serum total free amino acid nitrogen. Six, 24, 48, and 72 hours after a single dose of 6,000 or 10,000 R $^{60}Co$ gamma ray application to the head, with the body shielded, 3 rats for each group were sacrificed. and the brains rapidly removed; GABA and glutamic acid were determined paper chromatographically, the nucleic acids by Schmidt-Thannhauser's method, and total free amino acid nitrogen using the reaction with naphthoquinone sulfonic aci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Except for rat group sacrificed at 72 hours after 10,000 R irradiation, in which only 3 out of 8 rats remained alive, all other animal groups survived through irradiations until time of sacrifice. 2.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s observed, marked elevation of serum free amino acid nitrogen was sustained by the irradiations, irrespective of doses used. 3. The brain total free amino acid nitrogen was discriminative in its response to the two irradiation doses used, Showing increase by 6,000 R and decrease by 10,000 R radiation, the deviation from the control being most marked at 6 hours postirradiations in both cases. 4. Brain DNA with 10,000 R decreased significantly at 6 hours postirradiation, recovering to the control level thereafter, except at 72 hours when marked drop occurred. With 6,000 R radiation brain DNA increased at 24 and 48 hours, tending to decline toward normal range at 72 hours after irradiation. Brain RNA showed the least fluctuation by the irradiation on the head, both with 6,000 and 10,000 R $^{60}Co$ gamma rays. 5. With both radiation doses the brain GABA and glutamic acid fluctuated much independently during the course of postirradiation periods observed, while the ratios of these two amino acids to the brain total free amino acids varied roughly in parallel to each other; thus the molar ratio of these two amino acids was kept relatively constant. 방사선조사가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여려 모로 방대하나 특히 두부조사가 대뇌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것은 희소하다. 한편, 대뇌기능상 유리아마노산, 특히 화학전도 및 억제물질로서의 glutamic acid 및 GABA의 의의, 또 대뇌기억활동상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핵산의 의의 등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흰쥐두부만의 대량 방사선조사가 이들 대뇌생화학적 중요대사 물질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살펴 보았다. $^{60}Co$ 원(源)으로부터 6,000 R 및 10,000 R의 감마선을 흰쥐에 두부조사한 후 각각 6, 24, 48 및 72 시간에, 그리고 조사하지 않은 대조흰쥐를, 각군에서 8 마리씩 도살하고 대뇌를 적출, GABA 및 glutamic acid 는 여지크로마토그라피법, 핵산(DNA 및 RNA)은 Schmidt-Thannhauser 법, 대뇌 및 혈청유리아미노산질소는 aphthoquinone sulfonic acid 법으로 각각 정량하였다. 실험결과 얻은 지견은 요약 다음과 같다. 1. 10,000 R 조사 후 72 시간 도살군 흰쥐 8 마리 가운데 5 마리가 사망한 것을 제외하고 각 동물군은 모두 살아 남았다. 2. 감마선을 조사한 모든 동물군에서 조사선량에 관계없이 혈청유리 아미노산질소량의 지속적인 상승이 있었다. 3. 대뇌 유리아미노산질소량은 대체로 6,000 R 조사로 상승, 10,000 R 조사로 하강하였는데, 특히 조사 6 시간 후에 각각 가장 심한 상승 하강을 보이고 그 후로는 차차 대조치에 가까와 지려는 경향을 보였다. 4. 대뇌 DNA 는 10,000 R 조사 후 6 시간에 하강을 보이다가 그 후 곧 대조수준으로 회복하였으나 6,000 R 조사로는 6 시간 후서부터 이미 상승치를 보이기 시작, 48 시간 후까지 지속되다가 72 시간 후에 대조치에 가까와지려는 경향을 보였다. RNA 량은 관찰기간중 조사선량에 관계없이 별 변동상을 보이지 않았다. 5. 대뇌 GABA 및 glutamic acid 는 조사선량에 따라, 그리고 조사 후 관찰시간에 따라, 각각 심한 절대량치의 변동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절대량변동치를 양(兩) 아마노산질소량으로 환산하고 각 해당관찰시간의 대뇌총(總) 유리아미노산질소량비(比)로 감안하였을 때 양자는 대략 일정치를 견지하였다. 즉 양아미노산의 분자비는 대조치와 크게 다른 변화상을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