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천일국의 주권 개념에 관한 연구

        임현진 통일사상학회 2018 통일사상연구 Vol.15 No.-

        통일신학의 하나님은 인간과 함께 주권을 행사하신다. 하나님은 신인협동을 통해 주권을 행사하고자 한다. 하나님의 이상은 인간의 책임분담 수행을 통해 완성된다. 인간의 행위에 하나님은 영향 받을 수 있는 존재다. 전능한 하나님의 권능만을 강조 하는 기독교 신학의 주권 개념과는 차이를 갖는 독특한 주권론이라고 할 수 있다. 기독교의 주권 개념에 따라 초월적인 하나님의 전능만을 강조한다면, 인간의 의지와 행동에 자율성이 담보될 수 없다. 수동적인 인간의 응답만이 요구될 뿐이다. 반면 통일신학은 하나님의 창조이상을 목표로 신인협력을 통해 공유된 주권을 펼쳐나가 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인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민주주의 주권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또한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는 최종 적 주체다. 현대 민주주의는 초월적인 신적 존재를 배제하고 순수한 인간의지의 결 집으로서 주권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천일국의 주권은 하나님과 참부모님으 로부터 나온다. 피조세계의 창조주인 하나님과 그 이상을 모델적으로 성취한 참부모 를 주권의 원천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민주주의의 정의처럼, 주권 행사의 최종 적 주체는 천일국 국민이다. 통일신학은 주권의 원천과 행사의 주체를 분리하여 규 정하고 있는 것이다. 천일국의 주권 개념은 인간세계의 죄악과 무관하게 고고하고 절대적인 하나님 주권개념을 변화시킨다. 인간과 더불어 작정을 바꾸어 가면서라도 하나님은 뜻을 최 종적으로 실현하시려 한다. 또한 하나님은 주권의 원천을 흔들리지 않는 절대가치의 기반 위에 세운다. 하나님은 평화이상세계를 실현할 주권행사의 최종적 책임을 국민 에게 묻고 있는 것이다. The God of Unification Church is God who exercises sovereignty with man. God exercises sovereignty through cooperation with man. The Sovereignty of God are completed by the performance of human responsibility. The concept of sovereignty of Unification Church is a unique sovereignty theory comparable to that of sovereignty as God Almighty of Christian theology. Democratic sovereignty comes from the people. The people is the final subject of the sovereignty. On the other hand, the sovereignty of Cheonilguk comes from God and True Parents. The people of Cheonilguk is the final subject of their sovereignty. The Unification Church separates the source of sovereignty from the subject of sovereignty. The concept of sovereignty in Cheonilguk changes the idea of absolute God who is regardless of the sins of the human world. By changing mind, God tries to finally realize his will. Even if God changes mind according to human being's actions, God tries to finally realize his will. God also sets the source of sovereignty on a basis of absolute value that does not shake. God is asking the people to take th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the exercise of sovereignty to realize the world of peace.

      • KCI등재

        사도행전에 나타난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순종

        김현광 ( Hyun Gwang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7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pattern of God`s sovereignty and human`s obedience in Acts. The God Luke describes in Acts is the sovereign God who leads the progress of gospel for the salvation of the world. However, God`s sovereignty in evangelism goes along with human`s obedience according to Luke. What Luke repeatedly emphasizes is that God`s sovereignty and human`s obedience work together to fulfill the will of God. The key texts examined in this article for the pattern of God`s sovereignty and human`s obedience are Acts 8:26-40, 10:1-11:18, 16:6-10, in which Philip, Peter and Paul obey God`s sovereign orders respectively. Sometimes they obey even when they do not know the result of their obedience. Their obedience was prompt and collective(" we" ) as Luke describes. In Acts, God`s will is revealed by various means, such as the angel of the Lord, the Spirit, the Spirit of the Lord, the angel of God, the vision, the voice, the Holy Spirit, the Spirit of Jesus, and God. Luke shows that the triune God directs people for the gospel ministry. The pattern of God`s sovereignty and human`s obedience in evangelism can be repeated in the present gospel ministry worldwide. 사도행전에서 누가가 보여주는 삼위 하나님은 주권적으로 복음전파에 개입하시는 살아계신 하나님이다. 누가는 이러한 주권적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인간이 전적으로 순종함으로써 복음의 확장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사도행전에서 반복해서 강조한다. 그러므로 누가가 사도행전을 통해 보여주려는 복음의 진보는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순종이 협력하여 이루어 가는 역사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도행전에 등장하는 대표적 인물들인 빌립, 베드로, 바울의 사역을 누가가 기술할 때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순종을 매우 강조해서 드러내고 있음을 사도행전 8:26-40, 10:1-11:18, 16:6-10을 분석하며 밝히고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순종이 나타나는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하나님은 가사로 내려가는 길까지 빌립을 가게 하시고 에디오피아 내시를 만나 복음을 전하게 하신다. 하나님은 고넬료에게 베드로를 청하도록 지시하시고 베드로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고넬료의 집에 가서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한다. 아시아로 향하는 바울의 발길을 막고 유럽으로 가게 하는 주체도 하나님이다. 하나님은 단계별로 그의 뜻을 알리시며 주권적 명령을 내리신다. 인간은 하나님의 뜻을 완전히 알지 못할지라도 단계적 순종을 요구 받는다. 인간의 적극적, 즉각적 순종을 통해 완전히 드러나지 않았던 하나님의 주권적 뜻이 더욱 분명해지며 하나님의 뜻은 성취되어 간다. 하나님의 단계적, 주권적 명령에 순종하는 인간의 모습이 누가의 내러티브를 통해 반복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누가는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순종으로 복음이 확장되어 가는 것을 오늘 우리에게까지 하나의 패턴으로 제시하고 있는 듯하다.

      • KCI등재

        “칼빈과 머리카락 하나 차이” : 존 웨슬리의 하나님 주권 사상

        장기영 한국교회사학회 202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9 No.-

        웨슬리는 자신과 종교개혁 신학의 차이만 지나치게 강조하는 부적절한 이해에 반대해 존 뉴턴에게 자신의 신학은 “칼빈과 머리카락 하나 차이” 밖에 없음을 밝힌 바 있다. 그 차이는 무엇을 말하는가? 웨슬리는 설교 “값 없이 주시는 은총”(1739)에서 “구원의 원천이 되는 하나님의 은혜”의 특성을 “받는 모든 사람에게 값없고(free in all), 모든 사람을 위해 값없다”(free for all)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설명했다. 그중 “free for all”은 그리스도는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으나 믿는 자에게 그 은혜가 적용된다는 보편 속 죄론 주장으로, 웨슬리가 칼빈주의 TULIP 교리에 반대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free in all”은, 하나님의 은혜는 “그것을 받는 모든 사람에게 값없 이” 주어질 뿐 “사람의 능력이나 공로 … 선행이나 의로움 … 이룩한 것이나 됨됨이 … 에 달려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주장에서 웨슬리는 종교개혁자들의 가르침을 온전히 계승한다. 웨슬리가 “free for all”의 주장에서 종교개혁 신학과 다름을 지나치게 강조해 “free in all”에서의 동질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Against an improper understanding that over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his own theology and the reformation theology, John Wesley asserted to John Newton that his theology is only “a hair’s breadth” with Calvin. What does “a hair’s breadth” mean? In his sermon, “Free Grace”(1739), Wesley explained that “the grace … of God, whence cometh our salvation, is Free In All, and Free For All.” By “Free For All,” he expressed objections against the TULIP,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However, by “Free In ALL,” he meant that the grace of God is “free in all to whom it is given,” not depending on “any power or merit … the good works or righteousness … anything he has done, or anything he is.” This shows that Wesley inherited the reformer’s view of God’s sovereign grace. We should not overlook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ormation theology and Wesley’s theology in the sense of “Free In ALL,” because of the difference by “Free For ALL.”

      • KCI등재

        삼위일체적 자유의지론

        신문철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3 조직신학연구 Vol.43 No.-

        This paper sheds light on human free will, which has been greatly discussed in Christian theology, from a trinitarian perspective. Since human free will was discussed together with important theological doctrines such as the origin of sin and the original sin, God's sovereignty, and human salvation, it was a very difficult problem to organize the concept of free will in theology. Theologians who emphasize God's grace and sovereignty have maintained a negative position on the free will of humans which was completely corrupted through the original sin. On the other hand, theologians who think that human free will is important in human salvation and Christian life have rather weakened God's grace and sovereignty. A rather strange phenomenon has emerged in Christian history in which an emphasis on God's sovereignty weakens human free will, and an emphasis on human free will weakens God's sovereignty. A theological alternative that can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God's sovereignty and free will from a relationship of confrontation and debate to a relationship of harmony and cooperation is a trinitarian free will. A trinitarian free will first examines the debate on free will in church history. Through the theology of Augustine, Luther, Calvin, and Wesley, I will analyze what theological connection human free will has with the origin of sin (original sin), God's sovereignty, and human salvation. Second, I will study from a trinitarian persp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 will and the sovereignty of God the Father, the redemptive work of the Son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s sanctification. Finally, just as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exist in a relationship of co-relationship and cooperation, this paper will come to a conclusion that God's sovereignty and human free will are not a relationship of confrontation and separation, but a relationship of harmony and cooperation. 본 논문은 기독교 신학 안에서 뜨겁게 논의되어 왔던 인간의 자유의지를 삼위일체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죄의 기원과 원죄, 하나님의 주권 그리고 인간의 구원과 같은 중요한 신학적 교리들과 함께 논의되었기 때문에 자유의지에 대한 개념을 신학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였다. 하나님의 은혜와 주권을 강조하는 신학자들은 원죄 가운데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해 왔다. 반면에 인간의 자유의지가 인간의 구원과 그리스도인의 삶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신학자들은 오히려 하나님의 은혜와 주권을 약화시켜 왔다.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면 인간의 자유의지가 약화되고,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하면 하나님의 주권이 약화되는 기현상이 기독교 역사 안에 나타났다. 하나님의 주권과 자유의지의 관계를 대립과 논쟁의 관계에서 상생과 조화의 관계로 변화시킬 수 있는 신학적 대안이 바로 삼위일체적 자유의지론이다. 삼위일체적 자유의지론은 첫째, 교회사 속에 나타난 자유의지 논쟁을 살펴본다. 아우구스티누스, 루터, 칼빈 그리고 웨슬리의 신학을 통해 인간의 자유의지가 죄의 기원(원죄), 하나님의 주권 그리고 인간의 구원과 어떠한 신학적 연계점을 함유하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둘째, 교회사 속에 나타난 성부 하나님의 주권사상,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사역, 그리고 성령의 성화사역과 자유의지와의 관계를 삼위일체적 관점에서 연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삼위일체적 자유의지론을 통해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상생과 협력의 관계로 존재하듯이,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의지도 대립과 분리의 관계가 아닌 조화와 협력의 관계라는 결론을 얻게 될 것이다.

      • 부흥의 원리에 관한 연구

        임영효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7 고신신학 Vol.- No.9

        The paper aims to solve numerous kinds of problems with which modern churches confronted in the 21 century, e.g. the confusion of spiritual values, the weakening of performing ability of original mission of a church, spiritual lethargy, the loss of Christians' morality, the rise of heresiesm and the withering of evangelism and missions, and to claim the need of real renewal for the revival of the proper role and function of a church, and finally to investigate this revival principles through the Bible and the church history. The meaning of revival tends to be misunderstood as referring to quantitative growth of churches or a special conference, however, the Bible defines it as spiritual awakening of churches and Christians through supernatural calling of the Holy Spirit which is done by Sovereign God. Especially, the pouring event of the Holy Spirit in the Pentecost Day written in Chapter 2 of Acts should be regarded as the original form of the authentic revival, and revival events which took place through the ages should be regarded as repetition of the Pentecost Day. The opinion that revival can be repeated by our efforts is from the Arminian's perspective. Whereas, the opinion that revivals can be repeated only by God's soveregnty is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The second perspective conforms to the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several events that took place in church history, and to the repeated pourings of the Holy Spirit shown in Acts. The true revival cannot be possible by human being, who cannot make any rules, because everything is under the control of God. Accordingly, it is wrong to say that if men sarisfy any suitable conditions, they will automatically be able to witness revival. We should also remember the fact that it is non-biblical to say that we should only wait until God works, with too much emphasis on God's sovereignty. Accordingly, the principle that God's absolute sovereignty and men's responsibility coexist without destroy each other can be applied to the realm of revival. The complete pbedience and repentance and continual and united prayer can be regarded as the prediction of the authentic revival, because these make environment of revival God sent. The purpose of revival is (1) To renew and regenerate the church as it should be by revealing God's glory and ability. (2) To make God's people capable withnesses for the Lord Jesus Christ and His salvation mission. (3) To attract the attention of people in the world and save them. (4) To prepare and encourage God's people before persecution and wars and other trials begin. In conclusion, the true revival in 21 century means to renew God's word, make saints as saints, accelerate evangelism, and change the societies. Therefore, modern churches and Christians should recognize the need and urgency of the revival, turn back from all the lives and behaviors to trouble or nullify the Holy Spirit, the fundamental agent, and equip the attitudes of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nd revival of church and Christians. 본 논문은 21세기 기독교회가 직면한 여러 가지 문제들 즉 영적 가치의 혼돈, 교회본연의 사명수행능력의 약화, 영적 무기력함, 그리스도인들의 도덕성의 상실, 사이비 이단 종교의 발호, 복음전도와 선교의 위축현상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교회본연의 역할과 기능을 회복해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진정한 부흥이 요청되어진다는 것을 말하고, 이 진정한 부흥의 원리들을 성경과 교회 역사를 통해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부흥이 교회의 양적 성장이나 어떤 특별집회를 지칭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되어지고 있지만, 성경에서 말하는 부흥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하나님의 주권적인 역사하심으로 성령의 초자연적인 부으심을 통한 영적 각성이라고 정의되어질 수 있다. 특별히 사도행전 2장의 오순절날의 성령 부으심의 사건이 진정한 부흥의 원형으로 보아야 하면 모든 시대의 부흥의 사건들은 오순절에 일어났던 것의 반복으로 보아야만 한다. 부흥은 사람의 노력에 의해서 반복되어질 수 있다는 견해는 알미니안주의적인 관점에서 나온 것이며, 이와는 달리 부흥은 하나님의 주권에 의해 반복되어질 수 있다는 것이 개혁주의적인 관점에서의 견해이다. 이 두 번째 견해는 교회 역사상에 일어났던 여러 부흥의 사건들에 대한 설명과 이해에 부합되는 견해이며 사도행전에서 언급되고 있는 계속적인 성령부으심의 사건들의 설명에 부합되어진다. 진정한 부흥은 결코 인간이 주도할 수 없으며 어떤 규칙을 정할 수 없으며 모든 것은 하나님의 주권 하에 있다. 따라서 사람이 어떤 조건을 충족시킬 때에 자동적으로 부흥이 올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주권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그리스도인들은 단순히 하나님께서 일하실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고 하는 생각은 성경적이 아님을 기억해야만 한다. 따라서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인간의 책임은 어느 한편이 다른편을 파괴함이 없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은 부흥의 영역에도 적용되어진다. 하나님에 대한 온전한 순종과 회개와 지속적이고도 연합된 기도는 하나님이 보내시는 부흥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진정한 부흥의 전조라고 볼 수 있다. 부흥의 목적은 (1) 하나님의 영광과 능력을 드러내심으로 교회를 교회답게 회복시키시고 소생시키기 위함이다. (2) 하나님의 백성들로 하여금 주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구원 사역에 대하여 능력있는 증인으로 만드시기 위함이다. (3) 세상의 관심을 끌어 그들로 하여금 구원을 받게 하기 위함이다. (4) 핍박이나 전쟁 등 다른 시련이 시작되기 전에 하나님의 백성들을 준비시키시고 격려하시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진정한 부흥은 하나님의 말씀을 회복시키며, 성도를 성도답게 만들어 주며, 복음전도를 가속화 시키며, 사회를 변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진다. 그러므로 21세기의 현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세계 복음화를 위하여 부흥의 필요성과 긴급성을 인식하고 부흥의 근본 동인이 되시는 성령을 근심되게 하거나 소멸하는 모든 삶과 행위에서 돌이켜서 성령 충만을 사모하며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영적 부흥을 열망하는 자세를 지녀야만 한다.

      • 하나님 통치 관점으로 본 하나님 형상 연구

        김학인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4 피어선 신학 논단 Vol.3 No.1

        This thesis focuses on man’ s dominion over the other creatures. The dominion is a part of the God's image, although it is not unique in its essential nature. It is merely not a result of God's image. The Bible says that God is the Lord and reigns over all things in the world. This dominion is the core of the image of God. God’s dominion is represented through the dominion of man who is created as His own image. God’s image is fatally damaged by man’s corruption of sin. It is restored by God through Christ’s redemptive work and Holy Spirit’s ministry of a new life. Believers are to be conformed to the likeness of Christ who is the perfect image of God. The complete restoration God’s image is in the future. However, believers already reign with Christ on the earth even now, and will join God’s sovereign dominion. Man's dominion is actualized in serving and loving kindness. It is holistic in its essential nature. It covers all realms of human life in the world. In these believers are to represent God’s sovereign dominion over all things in the world here and now. 본 논문은 하나님 형상의 핵심으로서 ‘인간의 통치권’의 중요성을 주장한 것이다. 인간의 통치권은 하나님 형상의 전부는 아니지만 형상의 본질적 요소이다. 단지 하나님 형상의 결과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주’이시며 , 만물의 통치자이심을 증언하고, 하나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의 올바른 통치를 통해 당신의 통치를 드러내려고 하신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의 범죄로 하나님 형상은 심각한 손상을 입었으나,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역과 성령의 중생케 하시는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형상은 회복되어 가고 있다. 그것은 하나님 온전한 형상이시며 모든 만물의 통치자이신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일이기도 하다. 하나님 형상의 완전한 회복은 미래의 일이나 이미 여기서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와 함께 왕 노릇하는 자로 살아간다. 그리고 그리스도의통치에 참여하여 세세토록 왕노릇하는 것이 하나님 형상이 최종적으로 실현되는모습이다. 통치적 하나님 형상의 현재적 실현은 하나님의 통치에 동역하는 영광을누리는 것이다. 그런데 그 다스림의 의미는 ‘군림’(domination)이 아닌 ‘통치'(dominion)이다. 왕노릇은 섬김과 사랑을 통해 실현된다. 하나님 형상이 전인적이듯이 그 형상의 실현도 전인적이며 총체적이다. 통치적 하나님 형상 이해는 그리스도인과 교회로 하여금 바로 지금 이 곳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드러낼 것을 강권한다.

      • KCI등재후보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과 『정치 강령』 사이의 신학적 인식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유태화(Tae Wha Yoo)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4 No.-

        이 논문은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과 『정치 강령』 사이의 신학적 인식의연속성과 불연속성에 관심을 기울였다. 『영역주권』은 특별계시에, 『정치 강령』은일반계시에 기반하여 제안되었기에 신학적 인식의 문제는 바로 이 문제와 직결된다. 이 논제는 다시 교회와 국가 사이의 신학적 인식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영역주권』 배후에는 교회가, 『정치 강령』 배후에는 국가가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내용상으로는 교회와 국가 사이의 관계로, 형식상으로는 특별계시와 일반계시의 문제로 논의될 수밖에 없다. 일반계시에근거하여 표현되는 국가의 건강한 모습이 군주나 민중에게 권력이 환원되는 것이아니라 의회민주주의의 형태로 구현되어야, 결과적으로 국가에 하나님의 절대주권이 구현된다고 보았다. 반면에 교회는 특별계시에 근거한 공동체로서 구원의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을 받아들여 순종함으로써 예배할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 예수로 말미암는 구원의 복음을 증언하는 일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국가와 교회의구별을 통하여 한편으로 우주의 중심이 절대적인 주권자 하나님이라는 사실이 사회에서 구현되는 길이 열리고, 다른 한편으로 교회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죄인을구원하시는 하나님이 또한 우주와 그 가운데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시라는 사실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으로 자신의 실존을 구현하는 길이 열린다. 국가는 교회의 고유한 의무를 중요하게 여기고 보호해야 하며, 일반계시에 근거하여 창조질서를 존중하는 정치를 구현하는 일에 힘써야 하고, 교회는 그런 국가를 후원하고 위하여 기도하되, 그렇지 않을 경우 국가를 교훈하고 온전한 통치를 구현하도록권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에 자신의 주권을 드러내신 주권자 하나님이 국가와 교회의 중심에 서게 된다.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present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Abraham Kuyper’s theological cognition between Souvereiniteit in Eigen Kring and Ons Program. The issue of theological cognition between two books indicates to the relationship of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 for Souvereiniteit in Eigen Kring and Ons Program depends upon special revelation and general revelation respectively. Furthermore this issue has to be regard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for church needs to be considered within the context of special revelation and state within the context of general revelation respectively. Proper status of state based upon general revelation has not to be reduced to totalitarian one as well as to popular democratic one, but to be established upon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e Creator. Rather church as the congregation formed with special revelation has not only to witness the Gospel of Jesus Christ, but also to accept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e Redeemer. With this way church in state guides people to follow moral value stemmed from God the Creator and to admit the Sovereignty of God the Creator. State should not only recognize the way of church and protect the core value of the witness of church, but also present herself in line with the natural law which is the reflection of the Law revealed in the time of creation. In this way church and state are able to go hand in hand, and to represent the Sovereignty of God which is revealed in general and special revelation.

      • KCI등재

        종교개혁자 칼빈의 선교

        장훈태 ( Chang Hun Tae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40 No.-

        종교개혁자 칼빈의 선교는 참된 그리스도인으로 살고자 했던 그의 생애 자체이다. 그는 내부적 관점에서 성경 중심의 설교와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을 증거 하는 것과 한 영혼에 대한 관심 속에서 복음 선포에 충실하였다. 칼빈이 선교에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이었다는 학자들의 견해에도 불구하고, 그의 신학과 신앙은 철저하게 선교 원리를 담고 있다. 그의 선교 원리는 하나님의 절대주권에 근거한 신앙과 성경관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목표로 하는 것에 근거한다. 그리고 칼빈은 이방인의 부르심, 하나님 나라의 진보, 교회를 모으는 것과 복음을 전해야 할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강조함으로써 선교의 원리를 강조한다. 그의 선교신학은 하나님의 구속사와 연관되어 한 영혼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족속과 국가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그의 선교신학의 중심은 하나님의 주권과 연관되어 구원과 선교가 하나라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하나님의 나라는 점진적으로 확장되므로, 그리스도인 공동체는 복음 선포를 통해서 이 일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며 자신들의 책임임을 분명히 해야 함을 강조한다. 물론 칼빈의 선교는 성경에 기초한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에 대한 순종에 근거한다. 그는 교회 개혁을 통한 복음전도를 강조하였으며, 내부적 개혁을 통한 영혼 구원과 세상을 향한 선교에 집중하였다. 그리하여 칼빈은 참된 복음의 회복, 교회의 회복,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성도들의 참여, 온 세상을 하나님의 나라로 건설하는 것을 선교 철학의 핵심으로 이해하였다. 칼빈은 교회의 사명을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보고, 이는 곧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는 이교도를 위한 선교와 다양한 지역 복음화를 위해 헌신적으로 사명을 수행하였으며, ‘제네바 컨시스토리’를 통해 이를 실천하였다. 칼빈의 선교목적은 철저하게 복음 설교를 통한 교회의 확장에 있으며, 그의 선교신학은 철저하게 구원론적이며 동시에 선교·목회적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사역자 개발과 훈련, 파송에 열정을 쏟았으며, 브라질 선교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종합하면, 칼빈의 선교 이해는 철저하게 하나님의 주권 사상에 근거한 것이며, 복음 선포자는 그리스도 교회의 건설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하나님의 섭리와 인류 구원에 대한 계획은 칼빈에게 있어 선교의 원리가 되었다. 그러므로 오늘의 교회들은 참된 복음을 선포하고, 성경적 세계관과 목회철학을 소유하며, 선교적 교회를 건설함으로써 선교를 실천해야 한다. 무엇보다 초대교회의 모델로 다시 돌아가 하나님의 주권을 믿고, 철저한 그리스도인으로서 성경적 사고를 통해 이를 삶에 적용하며 살아가야 한다. 즉, 칼빈이 노력했던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올바른 신앙과 삶을 살아가면서 동시에 복음 전파에 최선을 다하려는 선교적 철학이 오늘날 교회에게 요청된다. The mission of reformer Calvin is his life itself to want to live as a true Christian. With an internal perspective, he was faithful to proclaim the gospel by preaching about death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n the Bible, and having a interest in one soul. Despite some theologians’view that Calvin was negative or passive about mission, his faith and theology faithfully involve the principle of mission. His missionary principle is based on the glory of God with faith and the view of Scripture based on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In addition, Calvin emphasizes the missionary principle by focusing the call of the stranger, the extens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responsibility of Christians to collect Church and to evangelize. Theology of Mission of Calvin relates to the Redemptive History of God, and includes all races and nations from the interest in one soul. Thus, the center of his mission theology emphasizes that salvation and mission are the one because of the sovereignty of God. The Kingdom of God also is gradually expanding, so the Christian community must proclaim Gospel and make sure that this work is their responsibility. Of course, Calvin’s mission is based on the Bible and the obedience of Christ’s command. He emphasizes evangelization through church reform, and focused on saving souls and mission toward the world with internal reform. Therefore, Calvin understood that the true point of mission is the restoration of the true gospel and the church, the participation of church members in social responsibility, and building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whole world. Calvin thought that the mission of the church is to fulfill the social responsibility, that is, it is to proclaim the Gospel. Furthermore, he carried out his mission for evangelization of the pagan and various regions, and practiced them with ‘Geneva Consistency.’ His missionary purpose was the extension of the church through preaching the Gospel faithfully, and his mission theology was soteriological and missional-pastoral at the same. So, he devoted himself to the development of, training of, and dispatch of missionaries, also had interest in mission of Brazil. In sum, Calvin understood that mission was strictly based on the idea of God’s sovereignty, and he believed the evangelizer had to serv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hrist Church. Also, the plan for God’s providence and salvation of the whole humanity became the principle of mission for Calvin. Therefore, today’s churches must do mission by evangelizing the true gospel, possessing biblical worldview and pastoral philosophy, and building missional churches. First of all, the Christ Churches must go back to the model of the early church, so they must believe in the sovereignty of God, and apply it to their lives as true Christians with the biblical thought. In other words, as Calvin did his best for evangelization as well as tried to live in Christ Jesus with true faith and life, the today’s church must also have such missional philosophy.

      • KCI등재후보

        스티븐 차르녹(Stephen Charnock, 1628-1680)의 신적 전능과 주권에 대한 이해 ―지성사(intellectual history)적 고찰을 중심으로

        이한상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7 No.-

        The doctrine of divine power and sovereignty is the important subject as the core of the Reformed theology since the Reformat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it has been the theological subject especially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voluntas Dei.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y and late medieval thought in their ideas of the power and sovereignty of God in its intellectual context. This study would also help to understand Calvin's idea of the sovereignty and the power of God more enrichingly. Especially we have see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ir works, that William Perkins and Stephen Charnock, the two representative figures of later Reformed theology after Calvin, had firmly inherited the trinitarian doctrine of God and soteriology based upon the Calvinistic tradition. Charnock and Perkins were also the two great theologians of the English Puritanism. They substantiated the Puritan doctrine of God in terms of the theology and piety, theory and practice, and the divine sovereignty and human responsibility in order to defend the Triunity of God and the divine simplicity, which are the crucial foundation of traditional orthodox theology. The knowledge of God was the key subject in this effort. The content of the Reformed doctrine of God from Perkins to Charnock was de facto the continuous one. Nevertheless, Charnock's idea of the sovereignty and power of God was the result of the pursuit of more solid trinitarian or covenantal theological system, regardless of the formal or structural development due to the change of the historical or intellectual context.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교리는 종교개혁전통, 특히 개혁주의 전통에 있어 핵심적 표어로 제시되고 있는 커다란 주제이자 사상적 틀이다. 이는 하나님의 뜻 혹은 의지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석과 맞물려 교리사적으로 그동안 논의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 신학과 중세 혹은 중세후기적 연관성 및 칼빈 이후의 개혁파 정통주의의 견해를 함께 파악해보는 것이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정통신학의 계승과 연속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종교개혁자 칼빈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는 하나님의 주권교리의 의미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보다 풍성한 논의에도 유익을 줄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하고자 했다. 특히 칼빈 이후 개혁주의전통의 삼위일체적 신론 및 구원론의 계승의 차원에서의 대표적 인물인 초기 정통주의의 윌리엄 퍼킨스와 전성기 정통주의의 스티븐 차르녹의 하나님의 능력과 주권교리를 살펴봄을 통해 우리는 이를 확인했다. 아울러 차르녹과 퍼킨스는 영국 청교도 전통 하에서 신론을 정립한 대표적 인물들로서도 신학과 경건 및 이론과 실천, 하나님의 주권 및 능력과 인간의 책임을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단순성 교리라는 양보할 수 없는 정통신학의 전제 하에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라는 통합적 주제로서 성공적으로 변호했음을 보았다. 한편 하나님의 전능과 주권론에 있어 퍼킨스에서 차르녹의 발전과 변천에 있어서는 역사적 맥락의 변화로 인한 논의 구조의 세밀화와 복잡화 및 확대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개혁주의 신론의 내용상 본질은 변함이 없었으며, 특히 차르녹의 하나님의 전능 및 주권론, 즉 나아가 그의 하나님의 속성에 관한 논의는 초기 정통신학에서 후기 정통주의기 신학으로 나아가는 신학 장르적 발전이자 내용적 풍성함을 더욱 보여주는 대표적 증거였다. 아울러 이는 중세후기 신학 및 종교개혁의 개혁주의전통을 주로 연속선상에서 목회적 및 경건의 실제적 유익을 위해 총괄적으로 결합시킨 개혁주의 신학의 절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정정숙 ( Chung Sook Chu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3 성경과 상담 Vol.12 No.-

        칼빈주의는 기독교의 단순한 교리가 아니라 하나의 독특한 사상체계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칼빈주의는 역사적으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발전되었는데 하나는 주관적 행동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영국의 청교도와 독일의 경건주의 같은 신학이다. 다른 하나는 객관적 신학체계로서 기독교 스콜라주의 신학으로 발전하였다. 산국에 소개된 칼빈주의는 이 두가지 형태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칼빈주의 신학의 특성은 하나님 중심의 신학, 성경중심의 신학 그리고 교회중시의 신학이다. 이런 특성 속에서 실천적 칼빈주의가 논의되는데 이것은 아브라함 카이퍼(braham Kuyper)의 주장에서 구체화된다. 카이퍼는 칼빈주의를 삶의 체계라고 규정하였고, 일반은총론과 영역의 주권이론을 통해 실천적 칼빈주의를 구체화하였다. 실천적 칼빈주의의 원리는 하나님의 절대주권, 성경의 절대권위, 변혁주의적 문화사명이다. 이것은 칼빈주의의 핵심을 제시하고 믿음과 행함의 일치를 통하여 하나님의 주권을 확립하는 것이다. 성경적 상담과 실천적 칼빈주의라는 말은 성경적상담은 반드시 성경적이여야 하고 실천적이어야 하며 칼빈주의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칼빈주의의 근본원리가 하나님의 주권에 있는 것처럼 성경적 상담 역시 하나님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일반상담과 기독교상담 가운데서도 성경을 인간행동의 절대원리로 받아들이지 않는 입장에서는 옳은 것과 잘못된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심리학 중심주의, 자아중심주의, 반기독교적 사고들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성경을 바탕으로 한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를 강조하는 성경적 상담은 실천적 칼빈주의의 한 형태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목적은 실천적 칼빈주의를 구체화하는 방안으로서 성경적 상담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그 근거를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의 근본원리와 목적의 동일성을 제시함으로 성경적 상담의 정체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실천적 칼빈주의를 논의하기 위해서 칼빈주의의 역사와 특성, 실천적 칼빈주의의 가능성과 실천적 칼빈주의의 원리를 살펴보고, 실천적 칼빈주의로서의 성경적 상담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했다. Calvinism is not simply a Christian doctrine but it has uniqu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Calvinism developed into two distinct forms throughout history. One, as in English Puritanism and German pietism, emphasizes subjective behaviors, whereas the other, in scholastic theology, emphasizes objective theological doctrines. The form of Calvinism introduced in Korea has influences from both branches of such theological development.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 of Calvinism centers around the concept of total and absolute sovereignty of God and the Church. Abram Kuyper (1837-1920), a Dutch theologian, defined the concept of practical Calvinism (also known as neo-Calvinism) as the fundamental way of life where God continually influences the life of believers. By elaborating on the concepts of common grace (also called efficacious grace) and the theories of sovereign grace, Kuyper advanced and gave content to Calvinism.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is a cultural mandate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ransformation. This is to define and establish God`s sovereignty through the unity of faith and action. The term “Practical Calvinism and counseling” implies that biblical counseling must be rooted firmly in the Bible and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Jus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alvinism lies in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biblical counseling also must be God-centered. Among secular and Christian counseling practitioners, there are those who do not accept the Bible as the absolute principle of human behavior and rather base their practice on psychological egocentrism and anti-Christian beliefs. It is imperative, therefore, for biblical counseling to emphasize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rough its biblical foundation. This monograph seeks to provide ways in which biblical counseling can further advance practical Calvinism. Calvinism and biblical counseling have a common goal of emphasizing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and thus a discussion of Calvinism`s history and characteristics must take place. This volume will examine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and contemplates the future prospects of practical Calvinism and biblical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