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전환경 진단결과 근본원인 분석 및 개선을 위한 RCAI 시스템 개발

        강길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71

        A-Electronics operates a number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duction sites, and continuously conducts safety environment audits for the safe operation of these sites. In the annual audit, in the case of overseas business sites, among the results of safety and environment audits due to various issues, the same issue is recurring. Accordingly, three overseas business sites by region were selected, and the results of safety and environment diagnosis for about 5 years were analyzed to find the root cause of recurring issues, and through fundamental improvement to prevent further recurrence, Company A-Electronics Overs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factory safety and fire accidents. Overseas work places in China, Mexico, and Thailand were selected to conduct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selection was that the members of the safety and environment organization worked for a long time and were fluent in the relevant workplace and the laws and regulations of the relevant country, A high corporation was selected. The number of recurrences and recurrence rates in each country is 68% at the Thai plant, 35% at the China (Yantai plant), and 56% at the Mexico (Monterey plant). It was found that the recurrence rate was higher than 20%. The background is that in the case of the Yantai plant in China, the safety and environment organization's tenure rate is more than 15 years, and with a stable organization structure in Thailand (average 5 years) and Mexico (average 2 years), the audit results are actively improving and preventing recurrence, Confirmed.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the safety and environment audit of target overseas business sites, the recurrence rate of issues slightly differed, but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same issues were recurring at 40% to 50% level. In this study, a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the root cause and establish fundamental recurrence prevention measures. In order to find out recurrence issues and additional issues, and categorize the issues from the beginning, COPEM (Construction, Occupancy, Protection, Exposure), Management field, the issue was discovered, the root cause analysis method was selected as a methodology with 5Why, and Root Caus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oot cause of the analyzed issue was Engineering (ENG),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OP), Moment Of Change (MOC), Maintenance & Inspection (M&I). As a result of the mapping, the Thai plant was classified into ENG (30%), SOP (76%), MOC (18%), and M&I (15%), and the Yantai plant in China was classified as ENG (15%) and SOP (75%), MOC (4.6%), M&I (4.6%), and Mexican plants were classified as ENG (26%), SOP (52%), MOC (6%), and M&I (16%). In each country classification, when the SOP field is 52%~76%, analyzing the cause of many risk factors, the standard/standard procedure that can reflect the engineering standards from the initial design was insufficient, and when a change occurs (MOC ) The risk of SOP has emerged due to overlapping causes throughout the field items, such as the absence of a standard/standard procedure for reviewing changes in advance, and the absence of a standard/standard for regular inspection and maintenance (M&I).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absence of standard/manual (SOP) procedures occurs multiple times because one or two or more root causes are derived instead of one. The root cause, which was derived as a whole, is inventory in each risk category and recorded, and immediate improvement is possible: Direct improvement, long-term, cost review, and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etc. In order to increase the execution power of improvement, a master chart was configured and managed. In the case of L Electronics' overseas business sites and overseas business sites with many domestic parent companies, the Root Cause Analysis and Risk Category present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due to the shortcomings of frequent employee turnover and poor competency management in the field of safety and environment. Mapping, Master Chart, etc. are directly configured and there may be a problem in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 so RCA Work Sheet was developed. RCA Work Sheet allows you to select the root cause such as Root Cause 1, Root Cause 2, etc. in Inventory according to the existing analyzed Root Cause when a problem in the field occurs, and the recurrence prevention method for the selected Root Caus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in Risk Category Mapping. It was configured to be able to propos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problem of recurring work places is logically analyzed/categorized/formalized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etc., and measures to improve recurring issues are not changed according to individual capabilities or organizational circumstances. It was studied as an initial version of the recurrence prevention system that induces improvement of the underlying cause, and if it is systemized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check global risk factors and recurrence factors at a glance, and to create the same issue on the web to prevent recurrence. It is the result. A전자는 국내외 다수의 생산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사업장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지속적인 안전환경 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매년 실행되는 진단에서 해외 사업장의 경우는 다양한 이슈로 인한 안전환경 진단 결과 중 동일한 이슈가 재발하고 있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해외 사업장 중 권역별 3개 사업장을 선정하고 그 사업장의약 5년간 안전환경 진단결과를 분석하여 재발되는 이슈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고, 더이상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근원적인 개선을 통해 A사 전자 해외공장의 안전사고 및 화재사고예방에 기여하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중국, 멕시 코, 태국의 해외사업장을 선정하였는데, 선정배경은 안전환경 조직 인원이 장기간 근속하여 해당사업장 및 해당국가의 법규에 능하고, 현업과 근본원인 분석을 위한 Communication 역량이 높은 법인을 선정하게 되었다. 각 해당 국가별 재발건수 및 재발률은 태국공장의 재발률이 68%, 중국(연태공장)의 재발률이 35%, 멕시코(몬테레이공장)의 재발률이 56% 로 중국(연태공장) 대비 태국/멕시코 공장의 재발률이 2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배경은 중국 연태공장의 경우 안전 환경 조직의 근속율이 15년 이상으로 태국(평균 5년), 멕시코(평균 2년) 의 안정된 조직구 성으로 진단결과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과 재발방지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의 내용과 같이 대상 해외사업장의 안전환경 진단결과 이슈 재발률은 약간씩은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40~50% 수준으로 동일한 이슈가 재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본 연구에서는 근본원인을 분석하고 근원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재발이슈와 추가적인 이슈를 찾아내고 이슈를 초기부터 Category화하기 위하여 보험측면의 C/O/P/E/M (Construction, Occupancy, Protection, Exposure, Management) 분야로 이슈를 발굴하고 근본원인 분석방법론을 5Why 선정, Root Cause Analysis (근본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이슈의 근본원인은 Engineering(ENG),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OP), Moment Of Change(MOC), Maintenance & Inspection (M&I) 의 4가지 Risk Category로 Mapping 하였다. Mapping 결과 태국공장의 경우 ENG(30%), SOP(76%), MOC(18%), M&I(15%)로 분류되었 고, 중국 연태공장의 경우 ENG(15%), SOP(75%), MOC(4.6%), M&I(4.6%)로 분류되었으며 멕시코 공장의 경우 ENG(26%), SOP(52%), MOC(6%), M&I(16%)로 분류되었다. 각 국가별 분류에서 SOP 분야가 52~76%로 다수의 Risk 요인을 차지하는 원인을 분석하여 보면, 최초 설계 시부터 Engineering 기준을 반영할 수 있는 표준/매뉴얼 절차가 미흡했고, 변경 발생 시(MOC) 변경을 사전에 심사할 수 있는 표준/매뉴얼 절차의 부재,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M&I)를 위한 표준/매뉴얼 부재 등 분야항목 전반에 걸쳐 중복된 원인으로 표준/ 매뉴얼(SOP) 부재 또는 미흡함의 위험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근본 원인으로 1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의 근본원인이 도출되기 때문에 사전심사(MOC), 표준/매 뉴얼(SOP) 절차의 부재가 다수 중복 발생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도출된 근본원인은 각 Risk Category에 Inventory화하여 기록하고 즉시 개선이 가능한 것은 즉시(Direct) 개선하고, 장기 즉 비용검토 및 국가법규 등에 대한 최적의 방법을 검토해야 하는 항목들은 개선계획을 수립하여 개선토록 하며, 개선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Master Chart를 구성하여 관리를 하였다. 안전환경 조직인원의 이직이 잦고 역량관리가 잘 되지 않는 단점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물로 제시되는 Root Cause Analysis, Risk Category Mapping, Master Chart 등을 직접 구성하고 분석한 결과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어, Root Casuse Analysis Work Sheet(이하 RCA Work Sheet라 함)를 개발하였다. RCA Work Sheet는 현장의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기존의 분석된 Root Cause 에 따라 Root Cause 1, Root Cause 2 등, 근본원인을 Inventory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선택된 Root Cause에 대한 재발방지 방안을 Risk Category Mapping에서 자동으로 제안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재발되는 사업장의 문제점을 ‘근본원인 분석-카테고리화-재발방지대책의 정형화’ 등으로 Logic화 하여 개인의 역량 또는 조직의 상황에 따라 재발되는 이슈의 개선방안이 달라지지 않도 록, 근본적인 원인을 개선토록 유도하는 재발방지 시스템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RCAI(Root Cause Analysis & Improvement)로 명명하였다. 향후 이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 하여 위험요인과 재발요인들을 한눈에 확인하고, 동일 이슈를 웹상에서 재발방지 대책까지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활용하게 될 것이다.

      • 청소년범죄 재발방지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사회 내 처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상형 동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4

        In order to research ways to mitigate or reduce an increase in serious crimes by youths as well as the phenomenon that the recurrence rate of crime does not decrea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e and reality of juvenile crime, analyze the problems of juvenile crime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s in society, and propose remedies for those problems. In fact, many juvenile crimes are concerned with property and violence. Given that most adult criminals were juvenile criminal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criminal policies that will propose problems and subsequent solutions through the protective observation system, the social volunteering and mandatory class system, the parole and temporary discharge from hospital system, and the rehabilitation protection system, all of which are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s focusing on treatment in society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crimes, concerning how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juvenile crimes.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In Chapter 1, the study described the need for,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the research and a summary of terminologies. In Chapter 2, the study deline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ten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juvenile crimes, and described the causes of those crimes by classifying them into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ies, the appearance of a single-parent or parentless family, the rise of families in poverty, and the occurrence of conflicts in the family), school environment factors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focused on prepar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the increase of delinquent friends, and the rise of dropouts), and social factors (mass media, copycat crimes). In Chapter 3, the study described the current juvenile crime condition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juvenile crimes. Concerning their contents, the study explained the pattern of juvenile crimes, the motivation by pattern, the current condition and reality of crime treatments, and the tendency for criminals to be younger. Then, the study analyzed these by showing them in a table. Also, the study described preventive measures for juvenile crimes and the definition of the protective observation system, the social volunteering and mandatory class attendance system, the parole and temporary discharge from hospital system, and the rehabilitation protection system, which are juvenile crime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s in society, as well as their main contents and methods. In Chapter 4, the study described the problems and remedies for juvenile crime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s in society. Concerning problems, the study described them in the operation of the protective observation system, the social volunteering and mandatory class attendance system, the parole and temporary discharge from hospital system, and the rehabilitation protection system; and, also, described their improvement plans in the above order. In the final Chapter 5, the study summarized this research and its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for the adult generation to understand the thinking and behavioral patterns of youths and to live in harmony with the youth generation. Also, parents should be trained and educated to understand their children, converse with them in a way their children feel affection, and lead them on the right path. Preventive activity for the recurrence of criminal youths is not only made by the efforts of national agencies. Only when both schools and society forgive the actions of criminal youths and help them to return to and be established in society in a sound manner will it be possible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ir crimes. Furthermore, we need to endeavor to re-establish their damaged ethical views and views toward the world. No human being is perfect; however, only when a person repents his past wrong doings and never commits crimes again, then the person, society, and the country will all be purified together. Just as we are only able to establish the Bulgokto (the land of Buddha) when we are pure-minded, those who overcome themselves will be reborn as healthy members of society.

      •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이동엽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8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의학 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 및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면서 의료사고로 인한 의료분쟁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소아청소년의 경우 출산율 감소로 인해 전체 인구수는 감소하였지만 의료이용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소아청소년에서 호발하는 질환은 그 특성과 예후가 성인과 다르며 의료사고로 인한 장애는 장기적으로 개인적, 사회적 손실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의료 분쟁의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과 관련 의료소송의 판결문 분석을 통하여 소송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고 소송으로 이어진 사고에 대한 재발 방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 동안 있었던 소아청소년과 관련 142개 판결문, 96건의 사건에 대해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10건을 선정하여 질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건의 발생 시점에서 종결까지 평균 해결기간은 1,424일로 약 3.9년가량 소요되었다. 2. 원고의 성별은 남자가 35명(36.5%), 여자 34명(35.4%)이었다. 3. 5세 이전의 환자에서 발생한 의료소송이 전체의 약 80%정도를 차지하였다. 신생아에서는 다른 연령에 비해 소화기 질환, 호흡기 질환, 신경계 질환, 안과 질환에 대한 소송이 많았고 질식 사고의 1세 미만의 영아와 신생아에서는 발생 빈도가 높았다. 질환별로는 감염 질환이 24건(25.0%)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질식사고, 신경계 질환, 소화기 질환의 순서로 나타났다. 4. 수집된 판례 중 54건(56.3%)이 제1심에서 사건의 최종 판결이 이루어졌으며 항소심 28건(29.2%), 상고심이 11건(11.4%)으로 나타났다. 5. 최종심 판결의 소송 결과는 원고일부승이 44건(45.9%)으로 가장 많았고 원고패 29건(30.2%), 조정이나 합의권고결정이 22건(22.9%)이었다. 6. 의료사고의 결과로 61건(63.5%)에서 사망으로 이어졌고 뇌성마비 등의 영구장애로 이어진 경우는 32건(33.3%)이었다. 7. 주의의무 위반으로 손해배상액이 발생한 것이 38건(39.6%)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설명의무만을 위반한 사례는 2건(2.1%), 주의의무와 설명의무를 모두 위반한 사례는 4건(4.2%)이었다. 8. 원고일 부승 판결 44건에 대한 피고의 책임 비율은 평균 49.1%을 보였다. 9. 원고일 부승 판결 44건의 판례에 대한 손해배상금액 평균은 131,158,610원 (±100,276,120원)이고 최대값은 550,065,564원, 최소값은 8,008,504원이었다. 10. 2차 의료기관과 3차 의료기관에 대한 소송이 전체 소송의 75%이상을 차지하였다. 11. 피고의료기관의 위치는 서울이 35건(36.5%)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가 15건(15.6%)이었다. 질적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검토사항과 재발방지 대책은 다음과 같다. 의료인의 행위에 대한 검토사항으로 우선 소아청소년을 진료하는 의사는 환자에 대한 정확한 문진과 함께 세심한 신체검진을 시행해야 한다. 질병에 대한 보호자 교육을 강화하여 협조가 힘든 어린 소아에서 보호자를 치료의 조력자로 만들어야 하며 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검사와 처치를 시행하되 1차 의료기관에서는 장비 등의 문제로 여건이 되지 않을 경우 즉시 상급 의료기관으로 전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병원 내 의료진간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여 환자의 치료 방법에 있어 최선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의료진 개인적인 역량 강화에도 꾸준히 힘써야 한다. 의료기관의 운영체계에 관한 검토사항으로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의사와 전문 간호사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주말이나 야간 같은 당직시간에도 진료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진 비상 연락망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의료진이 병원 밖에서도 원격으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진료시스템에 접근하여 처방을 허용하는 것도 더 빠른 처치를 위해 필요하다. 또한 지역 내 의료기관끼리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검사 및 치료를 위한 전원이 원활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소아에서 치명적일 수 있는 투약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처방전달시스템과 처방검토 시스템을 개선하고 병동 내 응급상황에 대비한 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활력징후가 불안정하거나 미숙아, 저체중아 같은 특정 질환의 발생위험이 높은 환자들에서 위험요인 노출 정도를 모니터링 하는 집중관리 시스템을 시행하는 것도 의료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회·직능단체 차원의 검토사항으로는 의료사고가 호발하는 질환들에 대해 빠뜨리면 안 되는 필수적인 검사와 그에 대한 진단 및 치료에 관한 표준 진료지침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정기적인 학술세미나를 통해 의료사고 사례를 공유하여 예방대책에 대해 논의하고 보호자를 위한 교육 자료를 제작·배포해야 한다. 또한 안전한 소아 수면 마취를 위한 노력으로 마취과와 영상의학과와의 학회 차원에서 소아 수면실의 운영 확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국가·지방자치체 차원의 검토사항에서 가장 필수적인 것은 저수가 체계에서 적정진료의 기반이 되는 의료수가 개선이다. 2·3차 의료기관의 실질적인 의료 인력인 전공의에 대한 수련환경 개선 역시 진료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의료인력 확보 장치를 마련한 후에 이루어지도록 보완책이 필요하다. 특정진료과목이나 일부 지역의 의료 자원 불균형과 부족에 대한 의료인력 수급 대책도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병원 신생아실에 대한 운영 지원을 시행하고 모든 신생아실에서 신생아 전문 인력 근무를 의무화하여 저 출산으로 인해 신생아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재정적 어려움을 보조하고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 동시에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의료전달체계를 정상화 하여 1·2·3차 의료기관 사이에서 환자 치료를 위한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이루어야 한다. 소아청소년 판결문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사고 원인의 교정을 통한 의료사고의 예방이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의료진 개인부터 환자와 보호자, 의료기관 및 국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서 체계적이고 안전한 진료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 외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재발방지 대책 수립

        최유정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7

        Medical disputes steadily have been increased by medical technology advances, carrying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throughout the whole nations and increasing medical service uses. This can contributes to cause a side-effect of passive treatment and it in a long term leads private or social damage. Therefore, there should be prevention efforts to stop recurrence of medical disputes through analysis medical disputes contents and reveal basic ca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auses of medical suits and suggest an alternative for recurrence prevention. During the study, a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50 cases in the field of operation from 2010 to 2015. Among these cases, 4 were singled out for a qualitative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period of lawsuits, from the happening of the medical suits to end of the ruling, took 3.15 years. 2. For the outcome of including decision on the accident, 38 cases (76.0%) were partial wins for plaintiffs, 23 cases (24.0%) were arbitrations. 3. Damages arose out of violations of a duty of care in 29 cases (58.0%), violations of a duty of explanation in 15 cases (30.0%), and violations of both duties in 5 cases (10.0%). 4. Damages arose out of violations of a duty of explanation in 32 cases (64.0%). Among them, 24 cases (48.0%) were accepted and 8 cases (16.0%) were not accepted. 5. The incident occurred as the path was hospitalized the 46 cases (92.0%), outpatient 3 cases (6.0%). 6. Most of the medical courses at the time of admission were surgeries (47 cases, 94.0%). 7. According to the cause analysis of medical disputes, developed to suit, surgery was the major reason found in 22 cases (35.5%), emergency treatment 14 cases (22.6%), violations of a duty to explain 11 cases (17.7%). 8. For the part of surgical site, colorectal and anus surgery was 22 cases (44.0%), gastroduodenal surgery was 9 cases (18.0%) and hepatobiliary surgery was 8 cases (16.0%). 9. For the result of accident, the highest number of cases was death (21 cases, 42.0%) and complications was second highest (20 cases, 40.0%). The following are considerations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and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First of all, by the remit of medical treatment, medical teams should try steadily to strength ability and through giving a chance to a multidisciplinary discussion, improve medical treatment. In addition, pay attention to a variety of patient’s symptoms that they complain of and active examination and treatment should be followed by. The remit in the part of medical institute management system, through quality control activity like make a standard medical guidelines, it promotes patient’s security and continue medical quality improvement in medical treatment. The medical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be h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and ensure the safety of patients. In addition, prescript examination systems should be improved and emergency training should be regularly provided. The remit in the perspectives of medical societies and functional group, it is need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in practice and share experiences. Standard guidelines for medical examinations for surgery complications with high occurrence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Finally, by the remit of the perspectiv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ajor practitioners of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various kind of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manpower so that their medical care gaps can be minimized. To do that, specialized nurses should be institutionally recognized, and the number of patients per physician should be restricted. In addition, organic relationships with tertiary medical facilities in the area should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is study, a follow up study of medical disputes is needed so it maintains cause of analysis and prepare countermeasure of predictable accident on the study. This kind of efforts can lead to change of system to improve and expects patient’s safety advance. 전국민 의료보험의 실시와 더불어 의료기술의 발달, 의료서비스의 이용 증가와 함께 의료분쟁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분쟁의 증가는 소극적 진료를 유발하는 부작용을 야기해 장기적으로 사회적, 개인적 손해를 발생시키므로 의료분쟁의 내용을 분석하여 원인 파악을 통해 재발을 방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과 관련 의료소송 판결문의 분석을 통하여 의료사고 및 의료소송의 원인을 파악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고 재발 방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사건번호가 2010년에서 2015년 사이 법원에 접수된 의료소송 판결문 50건에 대해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5건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건의 발생시점에서 소송 종결까지의 평균 소요기간은 3.2년이 걸렸고, 최장 소요기간은 8.7년, 최단 소요기간은 0.3년이 걸렸다. 2. 최종 판결의 소송 결과 분석시 원고일부승이 38건(76.0%), 조정이 12건(24.0%)이었다. 3. 손해배상이 발생된 과오로는 주의의무 위반이 29건(58.0%), 설명의무 위반이 15건(30.0%), 주의의무와 설명의무를 둘 다 위반한 사례는 5건(10.0%)으로 나타났다. 4. 판결문에서 원고가 설명의무 위반여부를 주장한 경우는 32건(64.0%)이며, 이 중 설명의무 위반을 인정한 경우는 24건(48.0%), 불인정한 경우는 8건(16.0%)이며, 설명의무 위반 여부를 제기하지 않는 경우는 18건(36.0%)이었다. 5. 사건이 발생된 경로로는 입원이 46건(92.0%), 외래가 3건(6.0%) 이었다. 6. 내원 당시의 진료과목은 외과가 47건(94.0%)으로 대부분이었다. 7. 의료 사고의 과정 중 소송으로 이어진 귀책사유의 과정을 분석한 결과, 수술 과정에서의 귀책사유가 22건(35.5%)로 가장 많았고, 응급처치가 14건(22.6%), 설명의무 위반이 11건(17.7%), 진단 및 검사가 6건(9.7%)이며 마취 관련이 5건(8.1%) 이었다. 8. 수술 부위 별 분류를 한 결과 대장, 항문 수술이 22건(44.0%), 위, 십이지장 수술이 9건(18.0%), 간, 담도, 췌장 수술이 8건(16.0%)와 갑상선, 경부 수술이 6건(12.0%)의 순으로 나타났다. 9. 의료사고의 결과로 사망이 21건(42.0%)과 합병증(후유증)이 20건(40.0%)로 많았고, 장애를 남긴 결과도 7건(14.0%)이 있었다. 질적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료인의 행위에 대한 검토사항으로 의료인의 역량 강화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다학제 토론을 통한 치료방법의 개선의 자리를 마련하거나 타 진료과목과의 교류를 강화 시켜야 한다. 환자가 호소할 수 있는 다양한 증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검사와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의 운영체제에 관한 검토사항으로 표준의료지침을 개발하는 등의 질 관리 활동을 통해 표준화된 업무 지침을 만들어 환자의 안전성 보장과 의료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적정수의 의료인력 확보를 통해 환자와 의료인의 안전을 확보한다. 또한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정기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하며 의료진 비상연락망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학회•직능단체 차원의 검토사항으로는 실무에 적용 가능하고 도움이 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과 의료사고 등의 경험 공유가 필요하다. 또한 고위험 약물에 대한 사용 지침과 다빈도 수술에 따른 다빈도 합병증 진단을 위한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국가•지방자치제 차원의 검토사항은 의료기관의 주 실무자인 전공의들이 다양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이 전에 그들의 진료 공백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인력의 확보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의료인 당 환자수의 제한을 두고, 전문간호사를 제도적으로 인정하여 진료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지역 내의 상급의료기관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유지해야 한다. 본 연구의 외과 의료소송 판결문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추후 의료소송 연구를 통하여 의료사고의 원인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단계에서 분석된 예방 가능한 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환자안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중학생 학교폭력 가해행동 재발방지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김지영 한국국제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nd test the effec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t school violence behavior which was designed for bullies. Sixteen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bullying other students and potential risks of recurr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eight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and eight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was treated with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t school violence behavior, but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some activities such as drawing pictures, reading books, playing games, etc.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ncluding scales such as Offending School Violence Behavior Scale, Aggression Scale, Impulsiveness Scale, and Self-esteem Sca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before and after scales. Also, we analysed the self-reports of participants and teachers after the program for suppling the limitation of a quantitative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s of offending school violence behaviors,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were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Also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statements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on the behaviors of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박종진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2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현대사회에서 각종 질병의 문제, 빈곤의 문제, 범죄 문제, 공해 문제 등 많은 사회문제를 안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청소년 문제만큼 심각한 사회문제는 없다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본 연구는 점점 심화되어 가고있는 학교 청소년 비행문제를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학교적 요인 및 사회환경적 요인이 포함된 복합적 사회문제로 바라보고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인을 분석하여 청소년 비행의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자료로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 비행의 이론적 배경을 몇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고 둘째, 주변환경과의 관계분석을 통한 요인을 분석하며 셋째, 심층면접 사례와 대안학교 사례분석을 통하여 현황과 과제를 알아보고 넷째, 재발 방지대책에 대한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비행에 관한 이념을 사회학적 이념, 심리학적 이념, 생리학적 이념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나 범죄유발요인을 사회구조적 체계 및 환경 등에서 구하는 사회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 비행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제공하여 이들이 건강하고 올바르게 성장하고 우리들이 필요로 하는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가 되도록 비행원인 제거 및 제도적 방지대책을 뒷받침하는 것이 청소년 비행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정책의 수행체계는 청소년 육성관련법 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명확한 정책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 집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그러지 못하므로 앞으로의 청소년 비행방지 및 육성을 위한 정책의 개발과 수행체제의 보완이 되어야 한다. 둘째, 지나친 입시위주의 교육병폐와 학교폭력사태 등 학교 붕괴의 문제가 우려할만한 수준이므로 청소년 인성교육과 학교 특성에 맞는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 비행으로 인한 학생들의 정규학교 미 진학자들을 위한 대안학교의 증설 및 정책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 산부인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산과 의료사고 현황파악 및 소송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조단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0

        의료보장제도의 실시와 건강에 대한 환자의 관심 증대로 의료행위 수진기회가 늘어나면서 의료사고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의료에 대한 환자의 권리의식과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의료분쟁 건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산부인과의 경우 전체의료소송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율 및 총 배상 금액이 타 과에 비해 매우 높다. 이는 다른 의료영역과는 달리 산모와 신생아(태아)의 생명과 안전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이며, 이러한 의료소송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의료행위 중 과실이나 사고가 발생하는지 파악함으로써 예방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재발방지 방안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산부인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해 분만과 관련된 의료소송 현황을 파악하고, 소송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귀책사유, 사고원인 및 책임제한 사유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의료인으로 하여금 주의가 필요한 법적 책임 요건 및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의료분쟁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0년 사이 제기된 분만관련 의료사고로 인한 민사사건 판결문 200건에 대해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구체적인 법원의 판단 및 귀책사유 확인이 가능한 59건에 대해 질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량분석 결과 평균 소송 해결기간은 1,435일 가량 소요되었다. 소송의 최종 판결심은 80%이상이 제1심에 종결되었으며, 최종심 판결의 소송 결과는 원고(일부)승이 68건(34.00%), 원고패가 89건(44.50%), 결정 및 화해권고결정이 43건(21.50%) 이었다. 손상 및 위해가 발생한 환자 분류에 따르면 그 손해가 신생아에게만 발생한 경우가 115건(57.50%)로 가장 많았으며, 그 손상과 장애의 정도는 신생아 사망이 79건(40.30%)으로 가장 많았다. 분만 방법의 경우 제왕절개로 분만한 경우가 78건(40.83%)으로 가장 많았다. 설명의무 위반은 18건(9%)이 인정되었다. 피고의 책임제한 인정 비율은 평균 45%로 나타났으며, 책임제한 사유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요인은 ‘최선의 조치를 다하였음’이 49건(83.05%)으로 가장 많았다. 원고일부승 판결 44건의 판례에 대한 손해배상금액 중앙값은 70,000,000원이고 최댓값은 553,939,802원, 최솟값은 500,000원이었다. 사고원인 의료행위의 경우 경과관찰이 19건(32.2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요 사고원인 진단명의 경우 신생아 가사가 25건(42.3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질적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검토사항과 재발방지 대책은 다음과 같다. 산전진찰 단계에서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필요한 처치 및 검사가 불가능할 경우 즉시 전원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경과관찰의 경우 분만진행이 정착상태에 빠졌을 때 태아심박동수 및 자궁수축 등 임산부와 태아에 대한 감시가 철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해당 검사 기록이 진료기록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기록하여야 한다. 치료처치와 관련하여서는 분만 방법 선택 시 해당 방법에 적합한지 면밀히 사정하여야 한다. 특히 흡입분만과 브이백 시행 시 주의가 필요하다. 약물 투약과 관련하여서는 자궁수축제 투여 시 투여 시점뿐만 아니라 이상 증상 발현 후 사용 중단에 대한 기록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응급처치와 관련하여서는 산부인과 의사가 기관내 삽관 술기부족으로 기관내 삽관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보수교육 등을 통해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의료기관 내 적절한 응급처치 장비 부재로 필요한 응급저치가 지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국외연구결과에서는 소송자료뿐만 아니라 환자안전보고체계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의료사고 발생원인 및 재발방지 대책마련을 위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진 바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취득가능 한 공공자료가 한정되어 있어 분석에 한계가 존재하지만, 의료사고 예방 및 환자안전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보다 다양한 자료 취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판결문 분석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료사고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방법을 개발하는 노력을 통하여 의료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진료 시스템을 만들어 나가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정형외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경향 파악과 원인 분석

        이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4

        전국민 의료보험의 실시와 함께 의료서비스 이용의 증가와 전반적인 의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80년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한 의료분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분쟁은 사회적 부작용의 급격한 증가로 이어져 피해 당사자인 환자와 가족 뿐만 아니라 의료제공자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소송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특히 평균 수명의 연장과 만성퇴행성 관절질환의 증가로 의료 수요 및 분쟁의 증가가 예상되는 정형외과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형외과 관련 의료소송 판결문의 분석을 통하여 현황과 사고의 원인이 된 과정을 파악하고 향후 검토사항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소송 시작이 2005년부터 2010년인 정형외과 판결문 343건을 SAS 9.2를 사용하여 계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4건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건이 발생한 시점에서 소송이 종결된 시점까지의 평균 소요기간은 4.23년이 걸렸다. 2. 의료소송으로 이어진 의료사고의 주요 원인이 속해 있는 과정은 수술이 159건(46.4%)으로 가장 많았다. 진단 및 검사가 85건(24.8%)으로 다음을 차지했고, 치료처치가 32건(9.3%), 투약 및 주사가 27건(7.9%)을 차지했다. 3. 사고의 원인이 된 주요 과정이 수술인 경우 수술의 종류를 살펴본 결과, 척추 수술이 78건(49.1%)으로 가장 많았고, 인공관절 수술 18건(11.3%), 골절 수술 17건(10.7%)순이었다. 4. 사고의 결과는 장애가 140건(40.8%)으로 가장 많았고 후유증(합병증)이 92건(26.8%)으로 다음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사망 62건(18.1%), (재)수술 32건(9.3%), 지속적 통증 11건(3.2%), 치료기간 연장 5건(1.5%)이었다. 5. 판결문에 제시된 의무위반을 분석한 결과, 위반 없음이 121건(35.3%), 주의의무 위반 107건(31.2%), 기타 합의권고결정이나 조정 등이 80건(23.3%)이었다. 6. 병원 내원시 원인이 된 부위는 척추가 134건(39.1%)으로 가장 많았다. 견관절, 상완, 주관절, 수부, 전완 등 상지에 관련된 사건이 53건(15.5%), 골반과 고관절, 대퇴부 관련이 44건(12.8%), 슬관절 41건(12%), 슬관절 아래 하지와 족관절 41건(12%), 복합적인 부위가 21건(6.1%)이었다. 7. 최종심 판결의 결과, 원고일부승이 139건(40.5%)이었고 원고패(기각)이 118건(34.4%), 합의권고결정이나 조정 등이 81건(23.6%)을 차지했다. 8. 감염이 발생한 사건은 90건으로 26.24%였다. 질적 분석 결과, 판결문에서 파악가능한 원인 중 인적인 기여요인은 환자의 증상에 민감하게 대처하지 않은 것이었다. 환자가 이상 증상 호소시 즉각적으로 추가 검사나 진단을 실시하였더라면 악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고 위해의 정도가 낮아질 수 있었다. 시스템상의 기여요인으로는 병원 체제의 경직화로 인해 의료진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과 타과와의 협진 지연 등 진료 체계의 미흡한 점 등이 있었다. 질적 분석을 통한 사건별 재발방지를 위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수술 후 이상증상이 나타날 시 즉각 추가 검사를 통해 원인 규명을 해야 하며, 의료인간의 인수인계 과정에서 내용이 누락되지 않도록 인수인계 서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수술 전 환자 확인시 여러 단계의 확인 작업을 거치도록 하고, 수술 후 환자의 통증 사정, 활력징후 측정, 호흡기능 사정, 수술 부위 관찰, 합병증 관찰 등 수술 후 환자관리 지침을 개발하고 제대로 시행되는지 평가·환류한다. 의료인에게 응급조치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주기적인 평가 시행과 재교육 등을 제공하며, 고위험군 환자는 타과와의 원활한 협진을 통해 수술 전·후 체계적인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추후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례를 대상으로 의료사고에 대한 근본 원인 분석이 이루어져, 예방이 가능한 사고는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하고 시스템이나 체제의 보완을 통해 보다 안전한 진료환경을 만들어나가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의료관련감염 판결문 분석 :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소송 자료를 중심으로

        우연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02

        의료관련감염 판결문 분석을 통해 의료소송의 현황 및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건번호가 2011년에서 2016년까지 의료관련감염과 관련하여 법원에 접수된 의료소송을 ‘판결문 방문열람제도’ 및 ‘판결서사본 제공 신청제도’, ‘판결서 인터넷 열람제도’를 활용하여 ‘의료관련감염’, ‘병원감염’, ‘원내감염’으로 검색된 판결문 중 94건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사건의 대표하는 4건을 선정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최종 분석 된 의료관련감염 관련 소송의 평균 소요기간은 4.12년이었다. 소송 진행 현황은 1심 진행 61건(64.9%), 항소심 진행 32건(34%) 순이었다. 최종심 판결 결과, 원고 일부승이 60건(63.8%), 원고패소가 34건(36.2%)이었다. 손해배상 금액은 평균 57,498,339원(10,313,888원∼623,824,882원)이었다. 손해배상이 발생한 과오로는 주의의무 위반이 55건(58.5%), 주의의무와 설명의무를 모두 위반한 사례가 5건(5.3%), 설명의무위반이 2건(2.1%) 순이었다. 피고 의료기관 유형별 분석에서는 의원이 52건(55.3%), 병원 21건(22.3%), 학교법인 병원 20건(21.3%) 순이었다. 사건발생 당시 진료과는 산부인과가 47건(50.0%)로 가장 많았고, 신경외과 12건(12.8%), 정형외과 9건(9.6%) 순이었다. 의료관련감염의 원인이 된 주요 과정은 투약 및 주사가 50건(53.2%), 수술 29건(30.9%), 시술 9건(9.6%) 순이었고, 수술 후 의료관련감염으로 인해 재수술을 한 건은 17건(58.6%)이었다. 의료관련감염 관련 의료사고 결과 장애가 68건(72.3%), 사망 18건 (19.2%) 순이었다. 의료관련감염으로 균이 검출된 부위는 혈액 15건(13.2%), 수술부위 12건(10.5%), 배액관 7건(6.1%) 순이었고, 검출되는 균은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상구균 (MRSA)이 22건(17.7%), 녹농균 10건(8.1%), 아시네토박터균이 7건(5.7%) 순이었다. 2018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 종합대책(’18∼’22)」을 참조하여 감염관리 체계와 감염관리 인프라, 의료관련감염 발생 전·후 감염관리 활동으로 분류 하였고, 사건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4건의 판결문에 대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무면허자의 의료행위, 의료인의 감염관리 주의의무 위반, 감염관리지침 부재 등이 의료분쟁의 주요한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의료관련감염 관련 의료소송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료인의 감염관리 역량 강화 및 감염관리지침 준수, 개별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체계 및 인프라 강화가 우선적으로 이행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법적근거 마련 및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하고 학회·직능단체와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의료관련감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malpractice lawsuits related to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Korea. Methods: The Supreme Court of Korea Online database was used for judgement reports relating to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or ‘hospital acquired infection’ or ‘nosocomial infection’ from 2011 to 2016 under the system of internet pursual work. Total 94 cases were collected in the medical malpractice suits related to the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Both descriptive quantitative analysis on 94 cases and qualitative analysis on 4 cas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 1. The average duration of lawsuits from the happening of the medical suits to end of the ruling, took 4.12 years. 2. 61 cases(64.9%) were sentenced from district court(1st trial), 32 cases(34.0%) from high court(2nd trial), 1 cases(1.1%) from Supreme court(3rd trial). 3. 60 cases(63.8%) were partial wins for plaintiffs, 34cases(36.2%) were plaintiff’s lose. 4. Damages arose out of violations of duty of care in 55 cases(58.5%), violations of duty of explanation in 2 cases(2.1%), and violations of both duties in 5 cases(5.3%). 5. Regarding types of hospitals, the private clinics accounted for 52 claims(55.3%), the secondary hospitals took 21 claims(22.3%). 6. Regarding types of medical department, obstetrics and gynecology were 47 cases(50.0%), neurosurgery were 12 cases(12.8%) and orthopedics were 9 cases(9.6%). 7. The most frequent procedure of the accidents was administration and injection, 50 cases(53.2%). Secondly, operation accounted for 29 cases(30.9%). 8. Patients’ status caused by malpractice were 68 disabilities(72.3%), 18 cases(19.2 %) were death. 9. Regarding types of pathogen, MRSA was 22 cases(17.7%), pseudomonas was 10 cases(8.1%) and acinetobacter was 7 cases(5.7%). Qualitative analysis showed causes of malpractice litigations as medical conduct of the unlicensed practitioner and violations of duty of care related to the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lack of infection control system.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medical malpractice related to the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strengthening infection control capacity of healthcare providers and infection control system of the healthcare should be implemented first. Also, legal basis should be established by national level.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prepare countermeasure of predictable accident related to the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