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과서 단원 설계의 방향 -장르 중심 접근법을 중심으로-

        이상구 ( Sang Koo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7 청람어문교육 Vol.35 No.-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국어과 교과서의 단원을, 장르 중심 통합적 접근법에 따라, 단원의 설정과 배열 및 구성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국어과 교과서가 목표 중심·영역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고, 근래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국어교과서의 단원 구성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주제 중심 접근법에 의한 통합 단원을 설계하려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이렇게 장르중심 통합교육을 바탕으로 교과서 단원 설계에 관해 논의한 데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였다. 한 가지는 오늘날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국어과 교육에서의 변화 동향 가운데 장르 중심 교육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는 점이며, 또한 가지는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장르 중심 접근법과 관련된 색채를 짙게 띠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점검하면서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명시된 교과서 개발의 방향을 점검하였으며, 이에 터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을 어떻게 설계하고 또 개별 단원의 구성 체제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화된 텍스트 요인을 중심으로 한, 장르 중심 통합적 접근법에 따른 단원 설정 및 배열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국어 교과서의 단원을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텍스트(장르)의 유형으로 짜서 배열하는 장르 중심 통합접근법을 근간으로, 대단원을 설정, 배열하되, 소단원은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주제 중심 접근법에 따라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This study, based on revised 2007 Korean language subject curriculum announced February 2007, is about ``How to arrange`` and ``How to organization`` middle school textbook units. It investigated critic discussion of 7th Korean language revised curriculum through units creation, unit contents, learning quantity, learning activity, unit structure, leveled education. revised curriculum is not only organizes achievement standard by the context, focuse, rank emphasized on text, but also arranges content elements to improve learning effect efficiently by considering sequence and repetition of content elements. Therefore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 can set up and arrange units through genre-based integrated approach emphasized on text(genre) factor. In other words, main uni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can be set up and arranged by type of text(genre). And below units can be arranged by theme.

      • KCI등재

        장르 중심 쓰기교육의 실행 현황과 과제: 초등 쓰기교육을 중심으로

        이수진 한국작문학회 2019 작문연구 Vol.0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 the practices in Genre-based approach and find the tasks for overcoming limitations, especially in elementary school’s writing education. One trend in Genre-based approach’s research is genre awareness that is meaningful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genres. I invested the changes on curriculums to understand the practices in Genre-based approach. I found the tendency that selecting and suggesting genres is moving from national-level to school or classroom-level curriculums. I also compared textbook’s units about suggestion writing to recognize if learner’s genre awareness is occuring. As a result, I found three limitations: Curriculum doesn’t suggest compulsory genres and genre knowledges, textbook suggests usual genre knowledgs repeatedly, textbook can’t check learner’s genre awareness. To overcome limitations, I suggested the genre-based approach’s practice structure. This is connected with aspects of genre study and genre awareness study and divided with three dimension-curriculum, textbook and instruction. We have some tasks for the future: genre’s selecting and hierarchy in curriculum dimension, various genre knowledges’ reflecting in textbook dimension, instruction models and strategies’ studying in instruction dimen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쓰기교육을 중심으로 장르 중심 쓰기교육에 대한 그간의 연구 성과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찾는 것이다. 장르 중심 쓰기의 최근 연구 동향은 학습자의 장르 인식 개념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장르 교수·학습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초등 쓰기교육에서 장르 중심 쓰기교육의 실행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과정상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문서화된 교육과정에 명시적으로 장르를 제시하는 방식에서, 점차 학교나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에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교과서로의 실행 양상에서 학습자의 장르 인식이 일어나는지 파악하기 위해 제안하는 글쓰기를 주제로 한 교과서 단원이 구현된 방식을 비교하며 보았다. 한계점은 교육과정에서 구체적인 장르 유형이나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할 장르 지식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 다양한 장르 지식 중 교과서에는 잘 알려진 지식들만 반복해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는 점, 지면의 한계상 실제로 학습자의 장르 인식, 창의적 장르 활용 교육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점 등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장르 중심 쓰기교육의 실행 구조를 장르 연구와 장르 인식 연구로 이원화하고 교육과정 차원, 교과서 차원, 수업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교육과정 차원에서는 장르 유형과 장르 지식의 선별과 위계화, 교과서 차원에서는 학습자의 장르 인식이 일어나도록 다양한 장르 지식 반영, 수업 차원에서는 교수·학습 모형과 전략 연구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 KCI등재

        멀티미디어 활용 쓰기 유형의 연구 동향-한국어교육 중심으로

        이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쓰기의 유형을 살펴보고 발전적인 수업의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2편의 관련 논문을 목적표집하여 해당 연구들에서 활용되고있는 매체 유형과 상호작용 대상, 글쓰기 양식 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장르 매체와 도구매체를 분류하여 적용하고 해당 연구들을 장르, 도구, 장르와 도구라는 활용매체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민요, 전래동화, 영상자료, 홈페이지 프로필 등의 장르매체 그리고 이메일, 인스타그램, 영상편집기, 스마트폰, Zoom 등의 도구매체들이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호작용역시 컴퓨터의 프로그램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쓰기, CMC를 통한 네트워킹 활용 타 사용자와의 소통적쓰기, 교수자 및 타 학습자와의 면대면 쓰기 등의 쓰기 양식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글쓰기 양식으로는장르매체를 읽기자료로 활용한 후, 문자 쓰기를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타 장르나 활용 장르매체와동일 장르로 창작활동을 실시하는 경우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성 있는 각 매체 쓰기에관한 리터러시 교육을 선행시키고 학습자들이 각 장르에 적합한 글쓰기를 하도록 지도하는 장르중심접근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는 창작중심 미디어교육 관점을 투영한 것으로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가외국어교육인 한국어교육에도 깊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장르 중심 국어 교육의 전망과 과제

        이상구 ( Sang Koo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3 청람어문교육 Vol.48 No.-

        이 연구는 우리의 현행 2009개정 교육과정의 바탕이론이자 오늘날 가장 영향력이 큰 언어교육 패러다임인 장르 중심 접근법의 개념과 특성, 교육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전망을 바탕으로 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어졌다. 장르 중심 접근법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은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부터였다. 처음에는 쓰기영역에서 시작되었으나 2007개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부터 교육과정의 바탕이론이 되었다. 장르 중심 접근법은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언어 형태를 "장르"라 하고, 장르에 관한 지식 즉 장르지식을 가르침으로써 장르의 이해와 생산 능력을 길러 주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따라서 교육 내용은 장르 지식이며, 교육 방법은 비고츠키의 근접발달 영역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장르가 사용되는 맥락을 점검하고, 그 맥락에서 사용되는 장르의 시범을 보고,교사와 함께 그 장르의 글을 구성하면서 익힌 후에 학생이 독립적으로 구성해 나가는 절차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장르의 유형 구분 및 배열(sequence)의 문제, 각 장르의 장르 지식의 개발 문제,교육 방법의 구체화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genre-based approach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in early 2000. It started with the writing(composition) area, but it soon became the background theory of 2007 revised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similarly repeated type of language in certain circumstances is called "genre" in genre centered approach. It aims to make better understanding of genre, and the productivity by teaching the usage of different genre. So, the content of education is the "genre knowledge", and the teaching method is based on Vygotsky`s ZPD theory. The process of education is as follows : After examining the context usage of genre, demonstrating of genre in that context, and composing the text in that genre, the student composes independently. The genre-based approach is expected to affect more on our Korean education continuously. Therefore, we need to discuss listening· speaking, reading, literature area, besides the writing(composition) area.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both method and strategy of teaching for each area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내용 중심 교육과 장르 중심 교육을 통합한 한국어 쓰기 수업 구성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

        정다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학 Vol.8 No.1

        Da-Woon Chung. 2011. A study of integrated writing instruction of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genre-based approach - focusing on korean learners in academic contex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8-1. 131-158. This article aims to study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 for writing using integrated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genre-based approach to enhance learner's writing ability. Most of advanced korean learners nowadays study KAP. For this reason, writing ability is an important ability that they have to acquire. Most learners and teachers, however, find it difficult because they have to know writing knowledge and how to use of that. Especially, learners who study KAP need to learn academic content knowledge and Genre specific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teach korean writing using integrated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genre-based approach. And it showed that how to make syllabus for the integrated instruction and how to progress writing instruction in the class for graduate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posed integrated writing method which combine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genre-based approach. There is, however, a limitation in that the effect of this method have not proved yet. Further studies on integration method need to be conducted as well as how to use this method in the korean writing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nee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KCI등재

        장르의 작문 교육과정 실행 방안

        김혜선 ( Hye Sun Kim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4

        작문 교육에서 장르에 대한 인식은 그 경중을 달리하면서도 항상 논점이 되어 왔다. 작문 과정은 글을 쓰는 목적과 그 글의 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장르의 중요성을 감지하고 작문 교육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 왔던 장르 인식을 분석하고 실행 방안을 살펴보았다. 장르는 글의 목적과 형태를 결정하는 텍스트 기반 요소이면서 사회적으로 따라야 할 규칙이며 관습이다. 이러한 작문의 인지적, 사회적 특성은 장르중심 작문교육에서도 적극 반영되어 예시 글을 분석하여 장르의 일반적 특성을 배운 후 자신의 주제와 목적에 맞는 글을 생산하게 하는 역동적, 창조적 과정까지 포함하였다. 작문 교육과정에서 장르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한 것은 2007 개정 교육과정기 부터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장르의 작문 교육적 접근 방향을 모색하고 인지적 장르의 인식과 사회적 장르의 표현 측면에 따른 작문 교육의 실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현재 적용 중인 2007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작문 교육의 실천적 장면에서 발생하는 장르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단계적 작문 교수 학습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It is very important that writing education the recognition about genre. The writing course to decide the form and the goal. This paper investigate understanding and direction of genre in writing education and curriculum. The genre is the text base element which decides the goal and a form of the writing. And a convention is a rule which will do to follow cognitive and social quality. Became like this composition, social quality genre central writing education the active reflection stamp. Analyzes the adumbration writing and learns the general quality of genre. It makes the writing produce which hits to the subject and an intension of oneself afterwords that easy movement. Introduces a genre concept actively from writing curriculum, the fact that starts is 2007 revision curriculum. The genre have to do and importance in the expressive side of cognitive and social genre of genre, must be applied. Specially, currently 2007 revision textbooks which are in the process of applying diagnosed the genre problem which in the center occurs from practical scene of composition education and the plan of phased composition professor studying which follows hereupon presented.

      • KCI등재후보

        장르 기반 환경적 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원진숙 ( Jin Sook Won ),황정현 ( Cheng Hyeon Hwang ),이영호 ( Young Ho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이 연구는 현행 초등 쓰기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소위 장르 중심의 쓰기 교육을 표방하고 있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현행 초등학교 쓰기 교육 방법에 대해 교과서 단원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장르 중심 쓰기의 전형적인 3단계 모형을 적용하고 있으나 학습활동의 단순성, 초등 필자의 특수성 등으로 인해 교실 수업으로 실행될 때는 왜곡될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교실 현장의 교수,학습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현행 장르 중심 쓰기 교수법에 대해 재검토하면서, 예시문을 단순히 ‘읽기 자료’로만 활용하고 정작 ‘맥락과 텍스트의 모형화’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예시글 모방에만 치우쳐 상투적인 내용만을 단순 재생산하고 있는 경우, 장르를 형식적 틀로만 인식하는 오개념을 학생들에게 확산하는 경우, 학생들이 필자로서 쓰기 과정을 온전히 경험하지 못하는 경우 등의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환경적 교수법’을 방법적 대안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어 환경적 교수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학습을 지원하고 유도하는 ‘환경’과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관문 활동’이라는 특성에 주목하여 ‘장르 기반 환경적 교수법’이라는 대안적 교수법을 제안하고, 교수,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장르 기반 환경적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은 ‘관문 활동을 통해 장르의 특징 탐구하기 → 교사와 협력해서 텍스트 구성하기 → 학습자 스스로 텍스트 구성하기 → 텍스트 공유하기를 통해 독자의 반응 경험하기 → 글 고쳐쓰기’ 등의 절차를 통해서 구체화된다. 학습자는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통해서 장르에 관한 지식을 익히고, 일련의 쓰기 과정을 통해서 한 편의 글을 직접 써 보고, 이 글을 매개로 쓰기 공동체의 동료 학습자들과 소통하는 경험을 통해 반성적이고 성찰적인 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아울러 이를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교육적 가능성과 효율성을 검증해 본 결과 본 교수,학습 모형이 쓰기 능력 신장에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have attempted to suggest the genre based environmental teaching method for fostering elementary students` writing competence in the frame of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 review the writing education methods through the 200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investigate genre based teaching, environmental teaching. We suggest the genre based environmental teaching method and instructional model for fostering elementary students` writing competence. Genre based environmental teaching method aims to help student`s writing growth by establishing authentic writing environment, providing meaningful writing task, and offering scaffolder in ZPD space. Genre based writing environmental instructional model is realiz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investigating the genre`s features through gateway activity→joint constructing texts with teacher→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ext→ experience response of audience by sharing text→revising text. In this study, we applied this writing instructional model to the real classroom situation and verified the meaningful education effect.

      • 조사보고서 쓰기의 지도 절차

        정미숙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9 No.-

        이 논문은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장르중심 작문 교육의 한 모습을 담고 있다. 정보전달하기라는 거시 장르 속에서 ‘조사보고서’라는 미시 장르의 글쓰기 지도 절차를 제안함으로써 천편일률적인 작문교육에 의해서는 다양한 글쓰기 상황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장르의 텍스트 생산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말하고자 한다. 우리는 학교 교육에서 여러 장르의 텍스트를 접한다. 그러나 장르마다의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작문교육에서는 이렇다 할 차이점이 없는 것이 학교교육의 현실이다. 글쓰기의 일반적인 과정에 따라 학습자는 글쓰기를 계획하고, 글감을 선정하고, 이를 조직하여, 표현하는 절차를 거쳐 한 편의 텍스트를 생산해 낸다. 각기 다른 장르의 텍스트를 생산하여야 함에도 똑같은 지도 내용과 절차에 따라 작문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각 미시장르마다의 특성들을 파악하고 그것을 내용요소로 하는 작문지도절차의 제안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분명 작문교육은 글을 쓰고 생산해 내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이 과정은 많은 공통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다양한 장르마다의 지도내용에 차별화가 없이는 학습자는 막연히 작문교육이라는 학습의 장에 방치될 뿐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조사보고서’ 가 다른 장르의 텍스트와는 차별화되는 내용요소가 무엇인가를 검토하고 이를 포함하는 ‘조사보고서 쓰기 지도 절차’를 제안하여, 다양한 상황 맥락 속에서 차별화된 장르적 글쓰기의 한 부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nstructing procedure of writing investigating report as a mean of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a genre. In fact, in spite of differences of traits per genre, there is no difference in writing education in many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At this, I think, this can be overcomed through which the perception of trait of macro genre, and the proposal of writing instruction model based on the trait of genre. In this paper, I examined as followings. First, I showed how investigating report has differentiating factor compared with the text of other genre. Second, For suggesting detailed contents of the first, the author proposed 10 stages of 'writing instructing procedure of investigating report'. Here, 10 stages of instructing procedure are: 1) perception of reader 2) specification of subject 3) specification of method 4) data collection 5) data analysis 6) building contents and sub-titles 7) writing drafts of subject 8) proofreading drafts 9) writing preface and conclusion 10) revision and proofreading of the entire text.

      • KCI등재

        교사들이 구성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

        정선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구성하고 있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 의미를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발화 장르인 언어와 관련지어 맥락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개 유아교육기관 각각 5세반의 전형적인 수업관찰과 3인의 교사 인터뷰를 통하여 이루어진 질적 연구이다. 교사들이 사용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는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언어에 담긴 생각을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의미로 재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전문가들이 공유하는 아동의 개별성을 강조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에 교사들은 문제중심개입, 놀이중심, 목표 지향적 교육의 의미를 보태고 있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를 구성하면서도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리한 갈등은 아동중심교육이 어떠해야 할지에 대한 자신들의 변화를 모색하는 계기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실천으로 살아있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갈등과 변화를 요구하는 용어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plores teachers' narratives on child-centered education and contextualizes their narratives into the speech gen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study, 2 classrooms were observ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Teachers' narratives about child-centered education are alive with ideas, perspectives, and language, all within the speech gen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at the same time teachers are reconstructing different and varied meanings of child-centered education within that genre. Specific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teachers add considerations of problem-based intervention, play-centered education, and objective referent education into their meaning of child-centered education. Their articulated struggle to understand what their narratives mean and, so, with what child-centered education means,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to change their practices. The meaning of child-centered education thus develops through adding considerations and struggling to accommodate those considerations by changing practices.

      • KCI등재

        실무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설계 : 일반 사무용 업무 문서를 중심으로

        함계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3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tinued for a long time, but the field of research has not been specified and subdivided. There is an employer who is involved in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y play a crucial role in recruiting Korean language learners. However, it has not been noticed in the needs research or curriculum development research, so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curriculum and textbooks that actively reflect the needs of employers. Therefore, they demanded that the recruiters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and write work documents. I argued that in order to educate the writing of business documents, the category of practical business Korean should be set. Practical business Korea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business Korean in the subject, method, and period of education. The method of writing business documents in practical business Korean writing was selected by combining the elements of process-oriented writing partially with genre-oriented wri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reated a practical business Korean writing curriculum that extends to the detailed area of “Writing”, reflecting the opinions of employers who have not been the center of the study. I hope that related textbooks will be written based on this curriculum in the future.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연구가 오랜 시간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비즈니스 한국어 연구 분야는 타 영역에 비해 구체화, 세분화 되지 못한 상태로 머물러 있는 현실이다.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는 교사와 학습자 이외에 중요한 영향을미치는 고용인(雇⽤⼈)이라는 주체가 있다. 그들은 한국어 학습자를 채용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동안 요구조사나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 이들의 요구사항은 주목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용인(雇⽤⼈)의 요구를 적극 반영한 교육과정과 교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각종 조사 결과 고용인들은 한국인들이 다시작업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업무 문서를 작성하는 것을 채용인들에게 요구하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업무 문서 쓰기에 대한 교육을 위해서는 실무한국어라는 범주를 설정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실무한국어는 이전의 비즈니스 한국어와 교육대상, 방법, 시기가 다르다. 실무 한국어 쓰기에서 업무 문서 쓰기 수업 내용은 장르중심 쓰기를 중심으로 하고 부분적으로 과정 중심 쓰기의 요소를 결합하는 교육 방법을 사용할 것을 개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교육과정 개설에서 중심이 되지 못했던 고용인(雇⽤⼈)의 의견을반영하여 ‘쓰기’라는 세부영역으로 확장된 실무한국어 쓰기 교육과정을 만들었다는 데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관련 교재도 집필되기 바라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