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원상 수행에서 `사실적 도덕의 훈련`의 의미와 실제

        이진수(李鎭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종교 수행의 구경처는 깨달음을 얻자는 것으로 종교마다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밝히고 있다. 일원상 수행은 마음의 원리를 알아 실지 훈련을 통해 일원상 진리에 합일하자는 것이다. 일원상 수행의 핵심은 깨달음의 내용은 무엇이며 어떠한 경로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일원상 수행의 키워드인 일원상은 삼학으로 세분되며 삼학은 훈련법으로 단련된다. 이 같은 일원상-삼학-훈련법의 구조는 일원상 수행의 내용, 과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 일원상 수행의 내용과 방법은 ‘사실적 도덕의 훈련’의 개념으로도 접근할 수 있는바, 본 연구는 이 두 가지를 통해 일원상 수행의 의미와 실제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일원상-삼학-훈련법의 구조를 조명하고, ‘사실적 도덕의 훈련’과 관련하여 일원상 수행의 내용과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원상-삼학-훈련법의 관계는 일원상 수행의 사실성을 어떻게 전개하는가. 둘째, 일원상과 도덕의 관계는 어떠하며 도덕은 훈련 가능한 것인가. 셋째, 도덕을 사실적으로 훈련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은 일원상 수행의 사실성과 도덕적 속성 그리고 훈련의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여준다. 소태산의 도덕은 인간에게 가능성으로 존재하고 유교의 인간 윤리를 흡수한 점에서 훈련의 대상이 된다. 훈련은 마음의 작용을 일일이 주의하고 점검하고 대조하는 의식적인 노력이다. 일원상 수행은 일원상에 합일하는 삼학 훈련으로 형이상학적인 진리를 오감으로 지각하는 방법과 일상에 스며드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의식을 집중하는 일상의 수행은 우리로 하여금 어디서 왔으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묻고 종국에는 우리 스스로 그 답을 찾도록 한다. The ultimate goal of religious practice is to gain enlightenment. Therefore religion reveals the ways to enlightenment. Irwonsang practices i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mind and to unite with Irwonsang truth through training. The essence of Irwonsang practices is therefore what the content of enlightenment is and how it can be reached. The Irwonsang, which is the keyword of Irwonsang practices, is divided into Threefold study, and Threefold study is trained by The Dharma of Train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of Irwonsang practices can be approached as the concept of ‘realistic morality training’.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and practice of Irwonsang practiced through these two.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Irwonsang-Threefold study-The Dharma of Training and analyzed the content and path of the Irwonsang practices in relation to the realistic morality training. The keynot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relationship among Irwonsang-Threefold study-The Dharma of Training show the reality of the Irwonsang practice?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rwonsang and morality? And is Morality Training Possible? Third, it is about realistic and specific methods of training morality. This question is about the factuality, morality, and the way of training mechanisms. The development of Irwonsang-Threefold study-The Dharma of Training allows metaphysical truth to be a routine work in life. The practice is to make the truth of the universe, the universe order, function in morality, the foundation of human ethics, within human beings. Irwonsang is the order to rule over everything in the universe, it is the moral virtue which is human ethics in the real world. Therefore the universe and human being, Irwonsang and morality are not two. The morality of Sotaesan is a possibility for human being and it is the object of training in absorbing Confucian human ethics. Training is a conscious effort to watch, check, and contract the function of the mind. Irwonsang practices is about Threefold study training to unite Irwonsang and how to perceive metaphysical truth as the five senses and the process of infiltrating into everyday life. The daily practice of concentrating consciousness asks us where we came from and how we should live, and eventually It help us find the answer ourselves.

      • KCI등재후보

        일원상(一圓相) 신앙의 재조명(再照明)

        김성장(金成長)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7 No.-

        교리도(敎理圖)에 나타난 이상적 종교모형을 살펴보면, 첫째 신앙 수행의 조화와 자타력 병진신앙이며, 둘째 성리에 근원한 종교 신앙과 수행이며, 셋째 일원상은 이상적인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이며 종교적 상징으로 깨달음과 성리의 대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0년 역사도 못되는 원불교의 종교현상은 교조 소태산이 구상한 이상적 종교모형과는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 우려할만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첫째 기복신앙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둘째 교화정신의 본질이 쇠퇴하고 물량중심의 교세확장에 치중되고 있으며, 셋째 신앙 수행 성리의 체험 없는 문자 중심의 분석적 교리해석이며, 넷째 차별적 형식주의와 권위주의적 풍토가 확산 되고 있다. 여기서 보완되어야할 중요한 과제로 일원상 성리에 근원한 신앙과 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없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일원상 신앙 수행 성리는 일원상 진리를 깨달아가는 세 가지 방법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일원상 서원의 삼 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원상 신앙은 신앙이라고 하는 독립된 행위가 아니라, 수행과 성리공부도 아울러 함께해야하는 것이다. 일원상 신앙 수행 성리 공부를 아울러 함께 하는 것을 시 공간적으로 볼 때, 일원상 서원 삼 속성의 동시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상적 종교모형으로서 법신불 일원상 신앙은 본래의 모습으로 회복되어야 한다.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과 깨달음과 성리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미래의 새 시대에 원불교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발전할 것이라는 희망의 빛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일원상 성리에 근원한 신앙과 수행의 조화로운 실천과 체험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법신불 일원상 신앙은 일원상 서원의 삼 속성 신앙으로, 진리적 종교의 신앙인 사사불공과, 사실적 도덕훈련의 수행인 무시선이, 모두 성리에 근원하여 살아가는 생활 속의 마음공부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일원상 신앙의 본래 모습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신앙 수행 성리 공부가 서로 동시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어우러지는 마음공부로서 삶이 일원상 신앙이 되어야한다. 성리에 근원한 마음공부 중심의 신앙 수행 깨달음의 일원주의(一圓主義) 종교를 지향하면, 밝아지는 시대에 인천대중이 환희봉대(歡喜奉戴)할 것이다. 일원주의는 종교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21세기가 지향하는 사상적 조류이며 정신개벽의 모토이다. According to the doctrinal chart(敎理圖), the ideal religious model is, firstly, the harmony of faith and practice, and combined faith of self and other’s powers; secondly, the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based on principle nature(性理); thirdly, that Il-Won-Sang(一圓相) is the object of faith and model of practice, as well as the religious symbol and the object of enlightenment and principle nature. The faith in Il-Won-Sang(一圓相信仰), practice of Il-Won-Sang(一圓相修行), and principle nature of Il-Won-Sang(一圓相性理), these are three methods to enlightening Il-Won-Sang(一圓相), and three qualities of reaching enlightenment of Il-Won-Sang(一圓相). Therefore, the faith in Il-Won-Sang(一圓相信仰) is not an independent behavior of faith itself, but is combined progress with the practice and the study of principle nature. For recovering original feature of the faith in Il-Won-Sang(一圓相), a life has to be the faith in Il-Won-Sang(一圓相信仰) by mind study of that those, the faith, the practice, and the study of principle nature have to be simultaneously harmonized and mingled. The doctrine of Il-Won(一圓主義) is the ideological current and the motto of the Great Opening of Spirit(精神開闢) which 21st century aims at not only in religion but in every field.

      • KCI등재

        『불교정전』「 일원상」장 성립의 의의

        조성훈(趙成勳)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7 No.-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은 사상의 뿌리를 ‘○’에서 찾았다. 소태산이 깨달음을 형상화한 ‘○’은 곧 일원상이다. 일원상은 교리 체계로서의 신앙과 수행을 통합한 상징이며, 그 자체로 깨달음에 근거한 삶의 원리를 품고 있다. 이러한 원리와 내용을 『불교정전』의 「일원상」장에서 제시한 후 소태산은 열반에 들었다. 따라서 「일원상」장의 연구는 소태산의 사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초가 된다. 본 연구는 소태산 사상의 근원이 되는 『불교정전』의 「일원상」장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 동안의 선행연구와 원불교 초기 사료를 중심으로 1935년부터 1943년까지의 8년여 기간 동안 「일원상」장에 나타난 변화와 심화 과정을 짚었다. 구체적으로는 「일원상」장 성립의 실마리를 찾는 데에 주력했다. 이를 위해 『수양연구요론』, 『육대요령』, 『삼대요령』, 『조선불교혁신론』, 『예전』, 『불교정전』 등의 교서와 『월말통신』, 『월보』, 『 회보』 등의 정기간행물에서 소태산과 그 당시 제자들의 글을 주로 참조했다. 이러한 분석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원상」장 성립을 일원상 봉안, 서원문 단일체계, 서원문·법어·게송의 3체계, 「일원상」장의 완성이라는 네 단계로 제시했다. 더나아가 소태산이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를 「일원상」장 체계의 완성과정에서 고찰했다. 그 결과 「일원상」장 성립이 가지는 역사적 의의로 진리적 종교의 선언, ‘일원상’의 보편화, 대승정신의 계승을 제시했다. The doctrinal system of Won- Buddhism as set forth by Sot’aesan, its Founding Master, is based on the concept of Irwŏnsang [‘○’]. This circle symbol, ‘○’, is the visualization of his enlightenment. It embodies the principle of life rooted in the enlightenment and expresses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practice as a doctrinal system. Sot’aesan passed away not long after setting up these principles and contents in the chapter of Pulgyo chŏngjŏn entitled “Irwŏnsang.” For students and scholars of Won- Buddhism today, the study of the Irwŏnsang chapter can provide significant clues to the right understanding of his teachings.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hapter on Irwŏnsang of Pulgyo chŏngjŏn was established. Referencing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historical material on Won- Buddhism during the eight-year period from 1935 to 1943,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in the chapter on Irwŏnsang are analyzed. In detail, the analysis focuses on clu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hapter. Many writings from Sot’aesan and his disciples are referenced from the early scriptures: Suyang yeŏnku yollon, Yuktae yoryŏng, Samdae yoryŏng, Chosŏn pulgyo hyŏksillon, Yejŏn and Pulgyo chŏngjŏn and three periodical journals: Wolmal tongsin, Wolbo and Hoebo. Based upon analytic research on these references and the previous studies by Won- Buddhist scholars, the progr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Irwŏnsang chapter is described in four stages: 1) the enshrinement of Irwŏnsang, 2) the uni-structure of The Vow to Irwŏnsang, 3) the triple structure of The Vow to Irwŏnsang, The Dharma Words of Irwŏnsang and The Verse on Irwŏnsang, and 4) the completion of the chapter. As a further addition to the research, the messages that Sot’aesan would have conveyed to the people during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Irwŏnsang chapter are considered. As a result, the completion of the chapter is found to have three major historical points of significance: the declaration of a religion based on the Truth, universalization of Irwŏnsang, and the success of the Mahāyāna spirit.

      • KCI등재

        정산 송규 종사의 「일원상에 대하여」와 일원사상 고찰

        허석(許錫)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산 송규 종사가 1937년 9월 『회보』에 발표한 「일원상에 대하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 논서가 갖는 역사적, 사상적 의미를 원불교 교리 형성과정과 근대 동아시아 사상의 흐름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서는 일원상(一圓相)을 ‘전달력 있고 알기 쉬운 용어와 구성’을 통해 소개함으로써 일원상 교리를 명료화하고, 그 보편적 이해를 확산시키려는 목적으로 저술되었다. 주요 내용은 일원상진리의 내역과 성격을 철학적으로 개념화 하고, 일원상을 중심으로 한 자력과 타력의 병진구조를 제시하였다. 또한 일원상을 생활 속에서 활용하는 방법으로 신앙·숭배·체득·이용을 제시함으로써 실천적인 교리체계를 구성하였다. 불법연구회는 『조선의 유사종교』 발간 이후 유사종교로 분류되었고 총독부의 본격적인 감시를 받았다. 이에 따라 불법연구회 설립 이전에 초안된 『조선불교혁신론』을 1935년 발표하여 불교혁신 사상과 제도의 틀을 정리하고, 불성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공식화하였다. 그 후 정산은 「일원상에 대하여」를 발표하여 일원상교리 체계를 확립해 나갔다. 불법연구회는 일원상 교리의 확립을 통해 『육대요령』의 교리체계에서 일원상을 중심으로 한 『불교정전』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일제의 식민지배로 인한 폭력과 불평등의 모순적 현실로부터 민중들의 정신적 주체성을 수호하고 현실적 억압에 맞서 평등하고 평화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종교사상적 대응을 펼친 것이다. 이 논서는 일원상의 진리를 불교뿐만 아니라 유가의 진리관에 연결시켜 설명하였다. 이는 일원상이 제(諸) 종교의 세계관을 회통하는 상징이라는 의미를 보여준다. 또한 유교에서 주로 밝힌 세간 도덕과 윤리를 불교의 궁극적 진리관과 통합함으로써 불법을 생활화 한 생활종교의 이념을 확립하고자 했다. 또한, 일원상 신앙의 정체성을 전체신앙·진리신앙·사실신앙의 세 가지 측면으로 밝힘으로써 과거의 불합리하고 미신적인 신앙을 일대 혁신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일원상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과 그 교리체계를 관념적이고 사변적 개념 안에 가두지 않고, 신앙과 숭배, 체득과 이용이라는 양 측면의 실천방법에 연결함으로써 우주론과 심성론, 그리고 실천론을 하나의 체계로 밝힌 점이 사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structure and contents of 「On Il-Won-Sang」, whic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Il-Won-Sang. I examine the text’s meaning 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doctrine in Won-Buddhism. Written in an academic style, this text represents the initial dharma teachings of Master Chongsan, which summarize his perspectives on Il-Won-Sang. 「On Il-Won-Sang」 consists of 7 chapters which was first issued in Won-Buddhist Newsletter during 1937. It outlines the doctrine of Il-Won-Sang,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he “Image of One Circle" in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my examination of 「On Il-Won-Sang」 and its formation of the initial doctrine of Il-Won-Sang. Abstractly and fragmentarily introduced in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On Il-Won-Sang」 summarizes the Il-Won Sang theory with easy-to-understand terms and composition while concentrating and clarifying Il-Won Sang. The purpose of this text focuses not only on finding the identity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by establishing the ideological system of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 but this text also assists people who were in a crisis of losing their spiritual identity during Japanese colonialization to recover their own true nature and make a world of equality and peace. This text greatly enhances the doctrine of Il-Won-Sang by defining the philosophy and structure of its doctrines, including the truth, faith, worshiping, the modeling on and utilizing Il-Won-Sang. By linking the Dharma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especially through concepts such as Ki, 「On Il-Won-Sang」 clarifies the stance of Won-Buddhism which is tolerant of all religious philosophies while centering the dharma of Buddhism. Additionally, the tex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ality and social reformation by explaining how the Il-Won-Sang and its doctrine combine the realm of ultimate truth with human life. The truth and religious doctrines are not based n ideological or speculative theories but rather pursuing Mahayana and pract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s by presenting more applicable methodologies to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harmonization with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 KCI등재

        대산의 일원주의와 세계주의

        이찬수(李贊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1 No.-

        원불교는 ‘법신불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다. ‘전체로서의 하나’를 의미하는 ‘일원’을 우주 만유의 본원으로 규정하면서도, 그것을 ‘일원’의 특징 혹은 모양이라는 의미를 지닌 ‘일원상’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법신불’과 ‘일원상’을 과연 동일시할 수 있는가의 문제, 그리고 ‘일원’과 ‘일원상’은 같은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답변은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법신불’과 ‘일원상’의 관계 및 ‘일원’과 ‘일원상’의 개념을 좀 더 분석적이고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특히 ‘법신불’과 ‘일원’은 신앙의 대상이기 이전에 도리어 신앙의 주체에 가깝다는 인식을 확립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이어서 대산 김대거종사가 ‘법신불 일원상’ 신앙을 계승하되, 그것을 ‘일원주의’와 ‘세계주의’의 차원으로 확장 전개해온 과정도 살펴보고자 한다. 대산은 ‘세계 는 근원적으로 하나’라는 사실을 “진리는 하나, 세계도 하나, 인류는 한 가족, 세상은 한 일터, 개척하자 하나의 세계”라는 문장으로 정리하면서, ‘진리의 하나됨’ 혹은 ‘일원의 진리’를 구체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그 누구보다도 진정성 있게 수행해온 종교지도자이다. 그 과정에 대산이 사용하는 자력이나 타력과 같은 종교 언어가 좀 더 엄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그의 언어 몇 가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이것은 모두 ‘법신불 일원상’의 신앙의 논리적 엄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일원주의’와 ‘세계주의’가 세계 종교 사상사적 차원에서는 어떤 위치에 있는지 그리스도교권에서 최근에 전개되어 오고 있는 ‘범재신론’(panentheism)이라는 사유틀과 비교하면서 알아보고자 한다. “모든 것(pan)이 신(theos) 안에 있다(en)는 이론(ism)”이라는 ‘범재신론’은 법신불 일원상 신앙 혹은 일원상의 진리의 고유성과 서양 사상과의 차별성을 분명히 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개념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Won-Buddhism uses DharmakayaBudda Ilwonsang(法身佛 一圓相) as their object of faith. While Il-Won(一圓), meaning “one as all”, is defined as the original nature of universe, DharmakayaBuddha Ilwonsang is often interchangeably understood with Il-Won-Sang(一圓相), where Il-Won-Sang actually means the character or shape of Il-Wo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DharmakayaBuddha may be considered the same as Il-Won-Sang, and whether or not Il-Won and Il-Won-Sang are the same has not yet been answered enough. As far as the problematic usage of the two ideas goes, this paper will analytically and crit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harmakayaBuddha and Il-Won-Sang, and then what Il-Won and Il-Won-Sang truly mean. Especially this paper will solidify the understanding that DharmakayaBuddha and Il-Won are the subject of faith, rather than the object. Further, the paper will look into the Master Daesan(大山宗師)’s historical footsteps because he has not only incorporated the values of DharmakayaBuddha Ilwonsang, but also further developed them based upon Il-Won-centered-doctrine and cosmopolitanism. Master Daesan asserted that “the world is originally one” in a slogan “there is one truth, one world, one family, one place of work in the world, let us develop the One’s world.” Through his slogan, the Master Daesan constructed the idea of Oneness of Truth, or the Truth of Il-Won, by putting hard efforts more than anyone. Meanwhile, the paper will critically challenge Master Daesan’s religious jargons so that religious jargons that he used such as ‘self-power’ and ‘other power’ will make more concrete sense. Thu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construct a logical sense out of the faith of DharmakayaBuddha Ilwonsang. Finally, the paper will utilize panentheism, the idea that has recently gained popularity in Christianity, in order to discuss what positions Il-Won-centered doctrine and cosmopolitanism have in construction of religions around the world. Panentheism, which means the “idea(-ism) that All(pan) is in(en) God(theos),” is incorporated because it will help differentiate faith of Dharmakaya Buddha Ilwonsang, or the inherent truth of Ilwonsang from western ideas.

      • KCI등재

        심우도(尋牛圖)의 일원상(一圓相) - 추상성(抽象性)과 메타포(Metaphor)로서의 일원상(一圓相) -

        신지하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The 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一圓相) of the Ten Ox Herding Pictures(尋牛圖). The subtitle of this paper is the One Round Circle as Abstractness and Metaphor. The Ten Ox Herding Pictures is the process of Seeing One's Nature and Becoming Buddha(見性成佛). In the process of practice, the practitioner seeks the gate of the Prajñā that is the gate of the enlightenment. This gate of the Prajñā is expressed in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In the step of appearing of The One Round Circle, the Ox is disappeared into the shape of the gate of the Prajñā. The Buddha-Nature of Ox is changed into the light of the Prajñā with the image of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The One Round Circle of Ten Ox Herding Pictures expresses enlightenment. The One Round Circle in the Eastern Asian Seon Culture is the typical symbol of Seon. The meaning of symbol in the One Round Circle is clearly expressed in the process of ten step in Ox Herding Pictures. The world of Prajñā(般若) is outside of letter. The world of Prajñā is the world of Seon. In the world of Seon, the meaning of symbol in the One Round Circle has the function of enlightenment and Prajñā as the Abstractness and Metaphor. There are many research and paper in the field of Ox Herding Picture. There is, however, no research to investigate to connect the idea of Seon and meaning of image about the One Round Circle in view point of the Ox Herding Picture. The More studies about One Round Circle to lead image and symbol in this societies is required. 이 글은 심우도의 일원상이 지닌 추상성과 메타포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 글이다. 심우도는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의 과정을 추상적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동아시아 선문화의 일원상은 선의 대표적 상징체이다. 일원상이 지니는 상징성의 의미는 심우도의 전개과정 속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문자를 벗어난 반야의 세계를 선화로 그리는 선의 세계에서 일원상이 지니는 의미는 깨달음과 반야의 의미로서 추상성과 메타포의 기능을 하고 있다. 십(十)은 완성을 의미하며 일원상의 완결성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심우도가 추상성이면, 일원상은 추상성의 완성이다. 심우도에서 깨달음의 완성은 일원상으로 표현된다. 선종 수행의 목적은 견성성불이다. 심우도에서 일원상은 불성을 통해 반야 지혜가 드러났음을 의미한다. 오늘날 널리 알려진 심우도는 2가지이다. 하나는 곽암의 십우도, 다른 하나는 보명의 목우도이다. 어려운 선의 깨달음의 세계를 추상적으로 이미지화하여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이미지의 공통성과 추상성에 불성과 반야의 세계를 담은 것이 일원상이다. 이 글에서 일원상에 내재된 이미지의 무한한 가능성과 긍정성, 깨달음의 세계에 대한 본질적인 측면과 심우도의 일원상이 지니는 추상성과 메타포의 기능을 조명하였다. 더 나아가 일원상이 제시할 수 있는 이미지로서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현대적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원불교의 일원상 신앙 : 진리적 종교의 신앙성

        염승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1 No.-

        In the Won-Buddhist scholarly circle, several arguments have been put forth to re-name the object of faith of Won-Buddhism as Wonbulnim(圓佛님) instead of Il-Won-Sang, the Dharmakya Buddha. Those who hold this position argue that changing the name will strengthen the faith of Won-Buddhism. However, these claims uncritically reflect a Christian perspective on religion and faith and overlook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faith of Il-Won-Sang.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title, Wonbulnim by discuss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n based on truth. As such,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four topics: First, in the chapter on Matteo Ricci’s Principle and Wonbulnim, logical similarities between Wonbulnim and the Christian perspective on faith are discussed. Second, in the chapter on religion based on Truth and transcendence, religious transcendence and absoluteness are prov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Way (to) that is free from arising nor ceasing and the principle of the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 effect. Third, the chapter on the manifestation of faith in truth based on religion, highlights that faith in Il-Won-Sang has an immanent transcendence by internalizing the principle of Il-Won-Sang, which can be different from unidirectional worship for an external object. Fourth, the chapter on the sublime and wonder in the Truth based on religion identifies the emotional aspects of Il-Won-Sang by reviewing how the feelings of the sublime and wonder are expressed in the Fourfold Grace (四恩). This study is meaningful in finding out the limitations of using a title that reflects a Christian position, and analyzing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ith of Il-Won-Sang within the system of Won-Buddhist doctrine. 원불교의 신앙심을 강화하기 위하여 ‘법신불 일원상’ 대신에 ‘원불님’으로 신앙의 대상에 위격을 부여하자는 논의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호칭에 관한 논리는 신앙에 관한 기독교적 관점이 무비판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진리적 종교로서 일원상 신앙의 개체적 특징을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격 호칭에 관한 주장의 한계를 밝히고, 이에 대한 반증으로 진리적 종교로서 일원상 신앙의 개체적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주제를 단계적으로 논의한다. 첫째,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이법성과 원불님’에서는 신앙의 호칭에 위격을 부여하자는 주장과 신앙의 대상에 관한 기독교적 관점의 논리적 유사성이 논의된다. 둘째,‘진리적 종교와 초월성’에서는 일원상의 ‘생멸없는 도’와 ‘인과보응되는 이치’의 상호작용을 통해 종교적 초월성과 절대성을 확인한다. 셋째, ‘진리적 종교의 신앙성 발현’에서는 일원상 신앙이 일원상의 도를 체득하는 내적초월주의의 특성으로, 외적 대상에 대한 일방적 숭배와 차이가 있음을 밝힌다. 넷째, ‘진리적 종교의 숭고와 경이’에서는 사은신앙에서 숭고와 경이의 감정이 어떻게 표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일원상 신앙의 정서적 측면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호칭문제의 기독교적 관점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일원상 신앙의 본질과 특성을 원불교 교학의 체계에서 해석한 것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원불교 진리관 연구의 종합적 검토와 과제: ‘일원상의 진리’를 중심으로

        황명희,허석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3 No.-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research on the truth of Il-Won-Sang and presented new tasks in the academia of Won-Buddhism. Sotaesan,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symbolized the truth that he attained the great enlightenment. Core doctrine on the truth of Il-Won-Sang was almost completed when Sotaesan was alive. Since then, the truth of Il-Won-Sang has been a central theme in the academia of Won-Buddhism. In addition, an hermeneutical debate on the truth of Il-Won-Sang was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cademic research inside and outside Won-Buddhism academia on the theme of the truth of Il-Won-Sang , and summarized its research flow. The development process of Il-Won-Sang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is when the doctrine of Il-Won-Sang was established(1916-1947). In this study, the article on 'the truth of Il-Won- Sang published by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 was categorized from an hermetic perspective. The second is the academic concept formation and settlement period(1948-1989). This period was a process of establishing an academic system on Il-Won-Sang doctrine. The third is the period of formation of issues in Il-Won-Sang research(1990-2022). I analyzed the debat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ruth of Il-Won-Sa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and its phenomenon' or 'the Il- Won and the Fourfold Grace'. Finally, based on this comprehensive review, I proposed what new tasks are in the study of the truth of Won-Buddhism. In conclusion, 'the truth of Il-Won-Sang' research should actively face the problems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 horizon of a new discussion should be opened by meeting the view of truth and reality.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의 진리관인 일원상에 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 하고 원불교학의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였다. 일원상은 원불교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의 깨달음을 상징한 것으로 일원상 교리에 관한 대체는 소태산 생전에 완성되었다. 이후 일원상은 원불교학 연구의 중심과제였고 ‘일원상의 진리’에 관한 해석학적 논쟁이 진행되었다. 이에 ‘일원상의 진리’를 중심으로 원불교 초기교단인 불법연구회의 일원상 관련 자료부터 해방 이후의 원불교학계 안 팎에서 발표된 연구자료를 분석하여 연구의 흐름을 개괄하고 주요 쟁점을 정 리하였다. 일원상 연구의 발전과정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일원상 교리 성립기(1916-1947)다. 1916년 소태산의 대각 이후 불법연구회에서 발표된 제자들의 ‘일원상의 진리’에 관한 해석학적 글들을 유형화하여 교리화의 관계성 을 살펴보았다. 둘째, 학문적 개념형성과 정착기(1948-1989)다. 이 시기에는 본격적인 일원상 교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1948년부터 일원상 연구의 결집서인 『일원상진리의 제연구』(1989)가 발간되기까지 발표된 글들을 분석했 다. 셋째, 해석학적 쟁점기(1990년 이후)다. 이 시기에는 ‘일원상의 진리’ 해석에 관한 논쟁, ‘본원과 현상’ 또는 ‘일원과 사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종합적 검토의 결과, ‘일원상의 진리’ 연구는 인류문명의 문제들과 적극적으로 대면해야 하고, 진리관과 현실이 만남으로써 새로운 논의의 지평 을 열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 일원의 법륜에 대한 이미지 표현

        이영숙 한국꽃예술학회 2017 한국꽃예술학회지 Vol.19 No.-

        원불교의 경문 일원상 서원문을 뜻하는 일원의 법륜이미지를 수레바퀴의 형상으로 상징하 여 표현하고 상징성, 구조, 공간, 질감, 색채 등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혜와 자비의 실천 공부를 서원하는 일원의 진리를 집대성한 일원상 서원문은 수레바퀴의 형상의 상징적인 시각형태로 강조되어 창출되었다. 수레바퀴의 형상에 의하여 원불교의 교화와 교법이 안정된 기반 위에 강력한 원력으로 균 형을 취하고 역동성과 성장성이 강조된 수직구조로 구현되었다. 단순한 기하학적인 원형공간에 의하여 원불교의 일원의 진리를 향한 신앙과 수행에 대한 자극이 극대화되었다. 화강석, 분재나무, 잎, 꽃 등의 질감대비에 의한 생동감에 의하여 생명성이 표현되었고 중앙 부의 일원상이 강조되었다. 화강석의 연하고 밝은 회색과 꽃의 흰색에 의한 양감의 확산과 초록색 잎과 주황색 꽃에 의한 보색 계통의 대비에 의하여 화려하고 경쾌한 생명성이 표현되었다. 이와 같이 일원의 진리를 집대성한 일원상 서원문을 상징한 수레바퀴의 형상을 강조함으로 써 원불교의 일원의 법륜에 대한 이미지가 창출되었다. The results of emblematizing Il-Won's Dharma Cakra image meaning ‘The Il-Won-Sang Vow' in Won-Buddhism, in the shape of a wagon wheel and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structure, space, texture, color, etc., are as follows. The Il-Won-Sang Vow which Il-Won's truth to vow the practice study of great wisdom and great loving-kindness was compiled into a book was created by emphasizing the shape of a wagon wheel in a symbolic visual form. The shape of a wagon wheel caused the edifying and teaching of Won-Buddhism to be balanced with earnest vow on the stabilized base, and to be enlightened in such vertical structure that dynamism and growth were emphasized. The simple geometric circle shape caused stimulation for faith in Il-Won- Sang and practice of Il-Won-Sang toward the truth of Il-Won-Sang to be maximized. Lifelikeness under texture comparison of granite stone, bonsai tree, leaf, flower, etc., expressed liveliness and emphasized Il-Won's image in the central part. The diffusion of quality caused by the soft and bright gray color of granite stone and the white color of flower, as well as complimentary contrast caused by a green leaf and a red-yellow flower expressed splendid and cheerful liveliness. As such, image for Il-Won's Dharma Cakra of Won-Buddhism was created by emphasizing the shape of a wagon wheel as the symbolic visual form of The Il-Won-Sang Vow's in which Il-Won's truth was compiled.

      • KCI등재

        「一圓相眞理」의 本體論과 現象論 小考

        허종희(許鍾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9 No.-

        이 글은 원불교학의 과제를 제언하고 원불교학(圓佛敎學)의 심화 · 확장을 위한 단서를 모색하기 위한 출발이다. 그동안 원불교학은 본체와 현상이 일원론적(一元論的)으로 상즉하다는 측면에서 진리를 해석해왔다. 하지만, 염오(染汚)의 현상에 대한 문제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불교의 진리관 및 신행관 등의 확장이 멈춰있다. 원불교학의 바탕인 소태산의 「일원상진리」에 관한 사상은 이미 보편론적 기반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소태산이 불법(佛法)을 주체로 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원시불교 이래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불교교리 발달사와 신앙 발전사를 통해 확립되어온 법신불(法身佛) 사상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원불교는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일원상진리」에 관한 본체론과 현상론 및 신행론 등의 문제에 있어서 정치한 해석학의 체계가 완비되지 못한 점이 있다. 한편, 대승불교사상사의 총괄적 통합서라 볼 수 있는 『대승기신론』에서는 불일불이(不一不二)의 진리관을 펼치고 있다. 즉 진여(眞如)의 본체를 바탕으로 하여 생멸의 현상세계가 전개된다고 하는 여래장(如來藏)연기설을 강조하면서, 이에 근거하여 생멸현상의 중생으로 하여금 진여본체의 세계로 향하는 신행의 길을 제시한다. 즉 진여와 생멸이 하나로 통합하되 결국 진여로의 귀결을 강조하는 이일이(二而一)의 여래장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이는 초기불교의 무아론 및 대승불교의 공사상이 비어있음에 멈추지 않고, 불성 · 여래장사상을 거쳐 천태의 성구(性具)사상과 화엄의 성기(性起)사상, 나아가서는 밀교의 대일여래(大日如來)사상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상의 흐름은 원불교학의 보편화를 위한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일원상진리」의 구조적 해석에 영감을 제공할 뿐 아니라,「일원상진리」의 본체론과 현상론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2세기 원불교학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보편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해서 원불교의 종교적 정체성을 세워나가는 과제를 제언(提言)하고자 한다.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was an attempt to present challenges to be resolved the Won -Buddhist studies and to find a way to deepen and expand the influence of this religion. The Won -Buddhism studies have interpreted the truth, relying on the idea of mutualism that assumes the essence of existence is revealed on phenomena as it is. However, since this view does not fully highlight the problem of phenomena, the explanation of Won -Buddhism remains at the level of Apologeticum centering on truth and faith and practice. Sotaesan’s idea on the truth of Il-won-sang, which forms the basis of Won - Buddhism, already embraces the foundation of universalism. It is because Sotaesan declared to focus on the Buddha-dharma and the most importantly, accepted the idea of dharma-kaya Buddha,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Buddhist doctrines and faith from ancient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as the essence of the Won -Buddhist faith. However, in the short history of the religion, the hermeneutic system of Won -Buddhism is not fully stabled yet related to the problems of the truth of Il-won-sang, including the understandings in terms of essentialism, phenomenalism, and faith and practice. The idea of Buddhism has been historically developed to focus on its view of truth, called ‘neither sameness nor disparity’, utilizing the idea of Tathagatagarbha to show living beings a direction to move toward from the world of phenomena with arising and ceasing to the essence of Tathata. This flow of ideas provides us with clues how the Won -Buddhist studies could be universalized. It will provide not only inspiration on the structural interpretation but also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truth of Il-won-sang related to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phenomena. Won Buddhism, which has entered into the second century, should establish a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is universal argument and open a path toward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