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전이성에 관한 연구의 문제점

        허종희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2000 영어영문학 Vol.19 No.2

        In the traditional grammar, we classify the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by dichotomy in passive sentence. But transitivity is not defined by property of verbs but by the entire situation considering the whole sentence as a unit. And we have many insights about subcategorization and selectional restric-lion in the case grammar. But case grammar limits to the explanation of tran-sitivity by ignoring the discourse-effect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effects of sentence such as topic-comment, pronominalization and definiteness. In the transformational approach, in spite of the Burzio's generalization it is difficult to avoid the criticism for circular argument. Furthermore if circumstances require, the notion subject and object can not be used in the rule system. At any rate transitivity changes currently by the cognitive operation and can not formalize syntactically.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동기 및 희망의 구조적 관계

        허종희,조한익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others'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hope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4 male and 449 female students, totaling 823 students at two high schools in G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mothers’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hope. As a result, mother's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identification, and hope, but negatively effected on external motivation and amotivation of adolescents. Mother's performance goal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ojection and external motivations.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hope, but introje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hop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goal orientation and hope, mother's mastery goal had a positive effect on hope through the intrinsic motivation of adolescents. The mother's performance goal has a negative effect on hope through introjection. In this study,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of mother's mastery goal orientation on identification motivation and hope, and mother's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n introjection moti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amine how mother's goal orientation affects motivation and hope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동기 및 희망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인 남학교와 여학교를 대상으로 하 였으며 남학생은 374명이고 여학생은 449명 총 823명이다.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목표지향성, 청 소년의 자기결정성 동기, 희망 척도이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숙달목표는 청소년의 내적동기, 동일시 동기, 그리고 희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외적동기와 무동기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어머니의 수행목표는 내사동기와 외적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내적동기는 희 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내사동기는 희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어머니의 목표지향성과 희망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숙달목표는 청 소년의 내적동기를 매개로 희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어머니의 수행목표는 내사동기를 매개로 희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어머니의 목표지향 성, 자기결정성 동기 및 희망의 구조적 관계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숙달목표 가 동일시 동기와 희망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수행목표가 내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목표지향성이 청소년의 동기와 희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원불교 신앙관 모색

        허종희(許鍾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1 No.-

        본 논문은 불교의『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진여사상과 신란(親鸞)의 정토사상을 통해 원불교의 법신불 및 사은 신앙에 대해 법신 부처님 신앙으로 통일하자는 것이다. 현재 원불교 신앙은 법신불과 사은이 혼용 또는 병용되고 있다. 대상은 법신불이지만 그 내용은 사은으로 불일치를 보이면서 교학상으로나 신앙상으로나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 원불교의 신앙은 법신불 일원상 진리에 대한 믿음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그 내용에 들어가서는 사은 신앙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법신불일원상과 사은이 신앙의 측면에서 동일한 선상으로 이해 가능한지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오늘날 법신불 사은으로 부르는 신앙의 호칭이 충분히 정당할 수 있는지, 앞으로의 종교적 신앙감을 형성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지 검토하는 논의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필자는 원불교의 신앙의 문제에 있어서 세 가지로 제시할 것이다. 첫째, 법신불의 이법적 해석, 둘째, 사은의 현상에 기반한 방편적 해석, 셋째, 법신불과 사은을 내역이라는 범주적 관계로 바라보는 문제다. 원불교의 신앙에 대한 논의와 해석을 확장하기 위해 불교 사상 가운데 『대승기신론』의 진여사상과 신란의 정토사상에 나타난 불타관을 눈여겨 볼 수 있다. 이 두 사상에서 말하는 법신·보신·화신의 불타관에 보이는 위상과 작용 등 진리관은 원불교의 법신불 신앙에 대한 정체성 및 사상적 깊이를 더해줄 것이다. 원불교의 법신불은 절대적이며 언어도단의 진리지만 동시에 공적영지의 광명과 진공묘유의 조화로서 작용하여 무량한 은혜로 현현하고 있다. 사은은 이 과정에 나타난 법신불의 속성인 무량한 은혜이다. 이에 우리는 사은에게 보신불의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법신불의 속성이 발현되어 무한한 은혜로 현현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은 이들이 일체의 화신불인 것이다. 원불교의 법신불과 사은을 통해 법신·보신·화신의 불타관을 정립한다면 신앙의 대상과 호칭은 이 모두를 담고 있는 ‘법신 부처님’, ‘일원 부처님’, ‘은혜 부처님’으로 통칭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법신불의 존재론적 위상과 그 속성의 관점에서 사은을 바라봄으로써 법신불과 사은을 사상적으로나 신앙적으로 통일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ntends to unify the Dharmakaya of the Won Buddhism and the Fourfold Grace faith into the Dharmakaya Buddha faith through the Tathata idea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and the Pure Land Buddhist ideology of Shinran of Buddhism.At present, regarding the Won Buddhism faith, the Dharmakaya and the Fourfold Grace have been mixed and used or used jointly. Although the subject is Dharmakaya, the details are the Fourfold Grace. The confusion has been brought forth in teaching and learning or in faith while showing the discords. Although the faith of the Won Buddhism has been explaining centered on the belief regarding the truth of the Dharmakaya Il-Won-Sang , inside the details, the Fourfold Grace faith has been the core. Meanwhile, the problem of whether the Dharmakaya Il-Won-Sang and the Fourfold Grace can be understood collinearly in terms of the aspect of the faith has been raised. There have been the discussions that examine whether the appellation of the faith that is called the “The Fourfold Grace” of the Dharmakaya today can be sufficiently justified and whether there are no problems in forming the sense of the religious faith in the future. With regard to the issue of the faith in the Won Buddhism, I, the writer, will present three things. First, they are the interpretations of the Dharmakaya according to the principles and the laws. Second, they are the expediential interpretations based on the phenomenonof the Fourfold Grace. And, third, it is the issue of looking at the Dharmakaya and the Fourfold Grace as having the category relationship called the “breakdown”. In order to expand the discussions and the interpretations of the faith of the Won Buddhism, the Tathata Dharmakaya ideas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among the Buddhist ideas can be taken a look at carefully. And, among the Shinran Pure Land ideas, the views of Buddha can be taken a look at carefully. The view of truth, including the status, the actions, etc. that appeared in the views of Buddha of Dharmakaya, the self-preservation, and the incarnation that are talked about in these two ideas will add to the depth of the identity and the ideas of the Dharmakaya faith of the Won Buddhism. The Dharmakaya of the Won Buddhism is absolute. And, although it is the truth of the unspeakable,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incarnated as a measureless grace by acting as a harmony between the bright future of the public land and the wondrous being of true emptiness. The Fourfold Grace is a measureless grace, which is an attribute of the Dharmakaya which appeared in this process. We can give the status of the self-preservation Buddha to the Fourfold Grace. And it is the one-body, incarnated Buddha of the people who realized the fact that the attributes of the Dharmakaya were manifested and have been incarnated as the infinite grace. If the views of Buddha of the Dharmakaya, the self-preservation, and the incarnation is established through the Dharmakaya and the Fourfold Grace of the Won Buddhism, regarding the subject and the appellation of the faith, they can be commonly named as the ‘Dharmakaya Buddha’ or the ‘Il-Won Buddha’ or the ‘Grace Buddha’, which contain all of these. By looking at the Fourfold Grace from the viewpoint of the ontological status of Dharmakaya and from the view point of the attributes, it will be possible to unify the Dharmakaya and the Fourfold Grace either ideologically or religiously.

      • KCI등재

        「一圓相眞理」의 本體論과 現象論 小考

        허종희(許鍾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9 No.-

        이 글은 원불교학의 과제를 제언하고 원불교학(圓佛敎學)의 심화 · 확장을 위한 단서를 모색하기 위한 출발이다. 그동안 원불교학은 본체와 현상이 일원론적(一元論的)으로 상즉하다는 측면에서 진리를 해석해왔다. 하지만, 염오(染汚)의 현상에 대한 문제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불교의 진리관 및 신행관 등의 확장이 멈춰있다. 원불교학의 바탕인 소태산의 「일원상진리」에 관한 사상은 이미 보편론적 기반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소태산이 불법(佛法)을 주체로 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원시불교 이래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불교교리 발달사와 신앙 발전사를 통해 확립되어온 법신불(法身佛) 사상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원불교는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일원상진리」에 관한 본체론과 현상론 및 신행론 등의 문제에 있어서 정치한 해석학의 체계가 완비되지 못한 점이 있다. 한편, 대승불교사상사의 총괄적 통합서라 볼 수 있는 『대승기신론』에서는 불일불이(不一不二)의 진리관을 펼치고 있다. 즉 진여(眞如)의 본체를 바탕으로 하여 생멸의 현상세계가 전개된다고 하는 여래장(如來藏)연기설을 강조하면서, 이에 근거하여 생멸현상의 중생으로 하여금 진여본체의 세계로 향하는 신행의 길을 제시한다. 즉 진여와 생멸이 하나로 통합하되 결국 진여로의 귀결을 강조하는 이일이(二而一)의 여래장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이는 초기불교의 무아론 및 대승불교의 공사상이 비어있음에 멈추지 않고, 불성 · 여래장사상을 거쳐 천태의 성구(性具)사상과 화엄의 성기(性起)사상, 나아가서는 밀교의 대일여래(大日如來)사상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상의 흐름은 원불교학의 보편화를 위한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일원상진리」의 구조적 해석에 영감을 제공할 뿐 아니라,「일원상진리」의 본체론과 현상론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2세기 원불교학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보편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해서 원불교의 종교적 정체성을 세워나가는 과제를 제언(提言)하고자 한다.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was an attempt to present challenges to be resolved the Won -Buddhist studies and to find a way to deepen and expand the influence of this religion. The Won -Buddhism studies have interpreted the truth, relying on the idea of mutualism that assumes the essence of existence is revealed on phenomena as it is. However, since this view does not fully highlight the problem of phenomena, the explanation of Won -Buddhism remains at the level of Apologeticum centering on truth and faith and practice. Sotaesan’s idea on the truth of Il-won-sang, which forms the basis of Won - Buddhism, already embraces the foundation of universalism. It is because Sotaesan declared to focus on the Buddha-dharma and the most importantly, accepted the idea of dharma-kaya Buddha,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Buddhist doctrines and faith from ancient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as the essence of the Won -Buddhist faith. However, in the short history of the religion, the hermeneutic system of Won -Buddhism is not fully stabled yet related to the problems of the truth of Il-won-sang, including the understandings in terms of essentialism, phenomenalism, and faith and practice. The idea of Buddhism has been historically developed to focus on its view of truth, called ‘neither sameness nor disparity’, utilizing the idea of Tathagatagarbha to show living beings a direction to move toward from the world of phenomena with arising and ceasing to the essence of Tathata. This flow of ideas provides us with clues how the Won -Buddhist studies could be universalized. It will provide not only inspiration on the structural interpretation but also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truth of Il-won-sang related to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phenomena. Won Buddhism, which has entered into the second century, should establish a religious identity based on this universal argument and open a path toward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