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또래 거부를 경험한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예담 ( Lee Yeah Dahm )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놀이치료(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가 또래 거부를 경험한 아동의 대인관계 문제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인지행동놀이치료는 인지적 재구성 및 행동수정(역할극 등)에 초점을 두어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은 또래로부터 거부를 경험한 만 13세의 여자 아동으로 서울에 위치한 I센터에서 2019년 09월 25일부터 2020년 01월 22일까지 주 1회, 회기당 50분씩 총 14회기를 진행하였다. 내담아동의 부모는 방문이 어려워 간략히 전화로 부모상담이 진행되었다. 연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 내 내담아동 보고를 통한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 관찰, 내담아동 모의 보고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내담아동은 또래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진술(‘또래들과 놀러 갈 계획을 짜고 있다.’, ‘교내에서 점심을 먹으며 이야기한 것이 재미있었다.’ 등)을 보였다. 이는 지속적으로 보고되었으며 내담아동 모의 보고 또한 일치한다. 둘째, 인지행동놀이치료가 내담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나는 친구가 없어.’, ‘나는 친구를 못 사귀어.’라는 부적응적 인지가 ‘내가 친구를 못 사귄 것이 아니라 사귀려고 시도해본 적이 없었던 거였네?’와 같이 적응적 인지로 변화되었고 이에 따라 우울의 정서는 회기가 거듭될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나는 친구가 없어.’라는 부적응적 인지가 ‘내가 친구를 사귀려고 시도해본 적이 없었던 거였네?’와 같이 적응적 인지로 변화함에 따라 또래와 대화 시도 및 지속하기와 같이 관계를 맺으려는 행동적 변화 또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지행동놀이치료가 또래 거부를 경험한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과 같은 사회성 증진에 적응적인 인지적 변화(친구를 사귀려고 시도해본 적이 없다는 것의 인식), 정서적 변화(우울 감소), 행동적 변화(또래와 대화 시도 및 지속하기)를 일으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problems of Child who experienced rejection from her peers, and how they affect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in dealing with this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client showed positive statements about peer relationships(I’m planning to go to play with my peers’, ‘I had fun talking about something with my friends on campus’, etc). Second,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the clien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A Specifically, the maladaptive perceptions were changed to adaptive perceptions As a result, the emotion of depression decreased as the session continued. Also, as the maladaptive perceptions change to an adaptive perceptions trying to establish a relationship such as attempting and continuing conversations with pe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use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peer rejection.

      • KCI등재

        인지행동 부부치료

        Frank M. Datillio,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4 인지행동치료 Vol.4 No.2

        본 논문은 부부치료의 인지행동적 접근에 대한 최근의 추세를 개관하였고, 이해를 돕기 위해 인지행동 치료 모델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인지, 행동, 정서에 대한 다양한 개입 방법을 소개하였다. 의사소통 훈련이나 문제해결기술 훈련과 같은 전통적인 행동적 기법과 함께 부적응적인 쉐마를 수정하는 인지재구성법을 사용하는 것이 부부치료에서 강력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부관계의 역기능을 줄여주는 인지행동 부부치료 방법의 독특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최근의 인지행동 부부치료의 연구 결과와 통합적 개입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지행동 부부치료가 실제 상담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주는 임상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인지행동치료가 부부갈등을 일으키는 사고방식을 수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배경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use of cognitive-behavioral techniques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mong couple and family therapists throughout the world.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about the uniqueness of these techniques. The power of cognitive restructuring with maladaptive schemas is discussed, along with the use of some of the standard behavioral techniques for change, namely communication trai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addition, the flexibility and integrative potential of cognitive-behavioral techniques with couples is highlighted and illustrated in a detailed case example with a couple in crisis. Lastly, the contents of the article suggest that cognitive-behavioral techniques may also be adaptive to numerous cultures because it focuses on modifying specific thinking styles that tend to cause conflict.

      • KCI등재

        사회불안장애의 인지행동치료효과; 주의편향과 암묵적 자존감을 중심으로

        윤혜영,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이 인지적 취약성의 ‘의지적/통제적인 정보처리 수준(top-down process)’에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암묵적/자동적인 정보처리 수준(bottom-up process)’에서의 변화를 함께 유발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암묵적/자동적 정보 처리 수준을 전주의적 주의 편향, 암묵적 자존감과 관련된 자기 지식으로 세분화하여,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으로 유발되는 변화의 수준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구조화된 진단면접(SCID-I)에서 사회불안장애 진단기준을 충족하는 49명의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이었다. 그 중 30명은 12회기 인지행동치료집단, 19명은 비처치통제집단에 속하였다. 두 집단 모두 치료 전, 후에 자기 보고식 증상 심각도 평가, 일반적인 불안 및 우울 수준 평가, 얼굴 표정에 대한 탐침 탐사과제(Dot Probe Task; MacLoed, Mathews, & Tara, 1986)와 암묵적 연합 과제(Implicit Association Task, IAT;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를 이용한 암묵적 자존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증상 심각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가의 면접도구인 간이 사회공포증 척도(Brief Social Phobia Scale, BSPS; Davidson et al. 1991)도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 보고식 척도 및 임상가 평정으로 측정했을 때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사회불안장애집단의 증상 심각도, 일반적인 불안 및 우울 수준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3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둘째, 사회불안장애 환자의 경우 IOR(Inhibition of Return)이 발생하기 이전인 초기 주의 과정에서 나타났던 위협적 얼굴 표정에 대한 선택적 주의 편향이 인지행동치료를 통해서 변화하지 않았다. 셋째,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집단의 경우 자신-긍정 형용사의 연합 속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인지행동치료가 정보처리 초기에 나타나는 전주의적 과정의 주의 할당까지는 변화시키지 못하였지만, 상황에 대한 반복적 재평가나 위협 상황에 대한 노출, 행동 실험과 같은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이 보다 깊은 수준의 자기 지식을 암묵적 수준에서 변화시켰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would result in correcting biases in both the implicit/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g level (bottom-up process) and the volitional/controlled information processing level (top-down proce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orty-nine patients diagnosed with Social Anixety Disorder according to their responses on the SCID-I. Thirty patients participated in twelve session CBT group and nineteen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 assessing self schema, and Emotional Face Dot Probe Task (MacLoed, Mathews, & Tara, 1986) assessing selective attentional bias,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prior to and after treatment. Participants also completed the social anxiety measures (i.e., SDAS, B-FNE, SIAS, SPS and SISST), the other emotional measures (i.e. BDI, BAI) prior to and after treatment. In order to objectively assess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an independent assessor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via a semi-structured interview scale, Brief Social Phobia Scale (BSPS; Davidson et al., 1991) prior to and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were treated for twelve weeks in a group therapy with one booster week after three months of treatment completion. The treatment protocol was based on Heimberg's CBG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1991). Results were as follows; (1) At the post-treatment assessment, patients who received CBT had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control group patients on self-report measures and independent assessor ratings. The effect sizes ranged from -.56 to 1.71 (mean=1.09). These positive gains after treatment were maintained for three month follow-up. (2) Selective attentional bias for angry facial expressions (subliminal threshold 80msec presenting) has not changed over the course of CBT. (3) In treatment group, response rates to associate the 'self and positive words' were improved after CBT. It means that the deeper level of implicit self-knowledge changed over the course of CB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through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eutic interventions such as the repetitive reappraisal about the circumstances, the exposure to threatening situations, behavioral experiments.

      • 성인 남성의 분노 사고 및 분노 표출 행동 변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사례연구

        유경아 ( Yu Kyounga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23 아동가족치료연구 Vol.21 No.0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가 성인 남성의 분노사고 변화와 분노 표출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인지행동치료는 인지적 재구성 및 행동수정에 초점을 두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분노 조절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만 36세 성인 남성이며, 2022년 6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회 50분 동안 총 18회기의 인지행동치료가 제공되었다. 처음 3회기는 예비 회기로 초기면접과 심리 평가 실시 및 상담목표를 정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후 본 회기는 15회기이며 초기, 중기①, 중기②, 말기로 총 4단계로 구성하였다. 초기 단계는 분노 인식하기 과정으로 분노의 의미를 이해하고 분노 표현양상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중기① 단계는 분노 관리 과정으로 자신의 분노 표현 방식을 이해하고 자기 감찰과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해 분노와 관련한 부적응적 사고를 적응적 사고로 수정하도록 하였다. 중기② 단계는 분노 조절과정으로 이완훈련, 감정표현 훈련, 의사소통 훈련 등 분노 조절을 위한 다양한 훈련으로 구성하였다. 말기단계는 문제해결하기 과정으로 분노 경험 쪼개기, 분노 차단 성공기 쓰기 활동을 통해 분노 조절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인식하는 회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별 기술을 바탕으로 인지적, 행동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치료는 성인 남성의 분노 사고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지행동치료는 성인 남성의 분노 표출 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가 성인 남성의 부적응적 분노 사고와 분노 표출 행동을 적응적 사고와 행동으로 변화시켰다는 것을 확인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the changes in anger thinking and anger expression behavior of adult males. For this purpose,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cusing on cognitive restructur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year-old adult males who complained of difficulty in anger control, and 18 session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ere provided for 50 minutes once a week from June to October 2022, consisting of four stages: early, middle 1, middle 2, and late s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ger awareness, anger management, anger control and training, and problem solving. Firs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ad an effect on the anger-out behavior of adult ma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a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hanged maladaptive anger thought and anger expression behavior into adaptive thinking and behavior in adult males.

      •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경화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하는 청소년지원센터에 의뢰된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 가운데 해당기관 사회복지사의 추천과 학교생활 부적응 검사 척도 50~70미만으로 부모의 동의를 받은 남아 4명이다. 연구는 2009년 9월 첫째 주부터 2009년 12월 마지막 주까지 주1회, 50~90분간 경기도 K시에 소재한 청소년지원센터의 미술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미술치료는 도입단계(1~3회기), 실행단계(4~13회기), 종결단계(14~15회기)로 3단계를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학교생활부적응 아동들의 사회성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상 아동들은 사회적 기술훈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그림 그리기, 돌려 그리기, 공동화 등을 하며 함께하는 즐거움과 상호작용을 알고, 규칙을 지키고 결과를 받아들이며, 친구와 이야기하고 발표함, 경청하는 과정을 통해 친구와 교류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갈등다루기와 배려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은 친구를 놀리거나 다투는 등, 친구들과의 교류보다는 혼자 맴돌던 행동이 많이 줄고 공동화, 돌려 그리기 등 서로 협동하는 작업도 잘 수행하는 모습들을 보이게 된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Yale의 행동평가척도 중 주의력결핍의 7문항의 하위영역의 사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전에 비해 점수가 높아졌으므로 주의집중력의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통해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아동들은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집중하기, 피드백을 통한 통찰, 인지행동 치료기법을 통한 수정 및 통제 훈련을 받으며 친구의 말에 끼어든다거나, 방해한다거나, 책상 밑으로 기어 들어가는 등 과제를 중도에 포기하고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부적절한 행동 빈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치료시간 동안에 집중하여 과제를 마치고 친구의 이야기를 적극 경청하며 끼어들지 않으며 배려하는 마음이 생긴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론에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본 연구가 단일사례이며 대상아동 선정에서 성별이 남아에게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한계점을 갖고 있으므로 여아를 포함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의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후속연구로 지속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affect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called in the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ose four children were recommended by social workers of the center and their parents agreed to the research. All the children showed under school life maladjustment test scale 50~90. The research took place once a week for 50-90 minutes each session from first week of September 2009 to the last week of December 2009 at the art therapy room in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is art therapy were composed of 15 sessions of 3 stages: Introduction stage(1~3 sessions), Practice state(4~13 sessions), Termination stage (14~15 sess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result examining sociality measure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core from post-research is improved significantly. It means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social skill training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painting, painting in turn, collaborative painting together. They acquired pleasure of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s well as learning how to interact with friends by abiding rules, accepting the results, talking with friends and making presentation and listening attentively. Thus, with the result showing reduction on the behavior of wondering about by oneself rather than interact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as well as improvement on conducting co-operative tasks such as collaborative painting and painting in turn, it can be concluded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the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Secondly,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on the subcategory of 7 questions on inattention of Yale's Child Behavior Checklist between pre-research and post-research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n att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During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the children received amendment and control training by concentration, insight from feedback,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ools. They showed the reduction of frequency of the negative behaviors which include quitting tasks midway and showwing inattentive behavior such as interrupting friends talking, distracting others, crawling under the desks.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finish assignments with concentration during the sessions and also able to listen actively with attentive attitude, not interrupting. This shows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effects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But,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with the research being a single case and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biased to male children. Thus, it is expected to be extended to be follow-up research by developing efficient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hich including female children as subjects.

      • KCI등재

        공황장애의 인지행동병합 치료와 약물 치료의 효과 비교

        조우현,최영희,박기환,곽욱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4 인지행동치료 Vol.4 No.2

        본 연구는 공황장애에서 인지행동병합 치료와 약물 치료의 효과를 살펴보고, 두 치료법 중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인 치료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인지행동병합 치료 집단에 참여한 38명의 환자들은 12주간 약물 치료와 집단인지행동치료를 받았고, 약물 치료 집단에 참여한 42명의 환자들은 12주간 약물 치료와 지지치료를 받았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환자들은 주 치료제로 paroxetine, 보조 치료제로 clonazepam 혹은 alprazolam을 처방받았다.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치료 전후로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Beck 우울척도(BDI), 광장공포증에 대한 인지질문지(ACQ), 신체감각질문지(BSQ), 불안 민감성 척도(ASI)를 실시하였다. 인지행동병합 치료 집단과 약물 치료 집단의 치료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두 집단의 모든 공황관련 측정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두 치료기법의 상대적인 효과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인지행동병합 치료 집단이 약물 치료 집단보다 ACQ, BSQ, ASI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1개월 동안의 공황 수, STAI, BDI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치료 종결 시 인지행동병합 치료 집단의 55%, 약물 치료 집단의 5%가 약물을 완전히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의 치료에서 인지행동병합치료와 약물 치료 모두 효과적이지만, 인지행동병합 치료가 공황장애의 특정 증상 개선에 더 효과적이며, 약물을 끊는데도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authors compared the relative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combined therapy and pharmacotherapy for panic disorder. Eighty panic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mbined therapy or pharmacotherapy. 38 patients in combined therapy group received group cognitive-behavior therapy (GCBT) for 12 weeks with medication. 42 patients in pharmacotherapy group received medication with supportive therapy for 12 weeks. Medication was mainly maintained with paroxetine, and supplementary with clonazepam or alprazolam. along with dosing schedule.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was measured by Frequency panic attacks per month,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aire(ACQ), Body Sensation Questionnaire(BSQ), Anxiety Sensitivity Index(ASI) at the pre-and post-treatment. In this study, Both groups significantly reduced on all outcome measures after 12 weeks. Combined therapy group was better reduced than pharmacotherapy group on ACQ, BSQ, ASI, but Panic Frequency, STAI, BDI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ddition, 55% of combined therapy group discontinued medication after 12 weeks, but only 5% of pharmacotherapy group discontinued medication afte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combined therapy and pharmacotherapy provide effective outcome for panic disorder, combined therapy is better effective for specific symptoms of panic disorder and discontinuing medication.

      • KCI등재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과 디지털치료도구의 효과성 검증

        김진아,최연실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4

        Objectives: The effect of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and the effect of adding digital treatment tools to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were compared and verified through a multi-faceted measurement method. Methods: For the duration of 10 weeks, pre- and post-measurements were conducted and eight programs were provided individually to each couple once a week for 90 minutes. A total of 15 couples with infant children aged 4 to 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Five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only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hereas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other 5 couples.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remaining 5 couples in the waiting group during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the areas of cognitive, behavior and emotion were classified, respectively, and marital relations were measured in multiple ways using self-report, interaction observation, physiological measurement, and treatment process analysis using interviews. Results: First,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as effective in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 in the cognitive doma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in the behavioral domain, marital interaction observation, and empathy for spouses in the emotional domain, but did not affect heart rate variation. Second, when digital therapy tools were additionally involved in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t was effective in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in the cognitive doma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arital interaction observation, empathy for spouses, and heart rate variation. In addition, the change was more powerful when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used compared to when only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as conducted alone. Third, the cognitive changes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led to behavioral changes, and became an opportunity for self-change while watching the behavioral changes of the spouse. Conclusions: The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reatment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treatment effect was stronger when additional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util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faceted aspects of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and explored the field potential of digital treatment tools. 연구목적: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의 효과와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 개입하였을 때의 효과를 다면적측정방식을 통해 비교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사전⋅사후 측정을 포함해 총 10주가 소요되었으며, 주 1회 90분씩 8회기의 프로그램을 각 부부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만 4세∼6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 총 15커플 30명으로, 실험집단 5커플에게는 인지행동커플치료만 처치했고, 비교집단 5커플에게는 인지행동커플치료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하여 처치하였다. 대기집단 5커플에게는 실험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지, 행동, 정서의 영역을 각각 구분하고 자기보고 방식과 상호작용 관찰, 생리적 측정, 인터뷰를 활용한 치료과정 분석을 통해 다면적으로 부부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행동커플치료는 인지영역인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행동영역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부부 상호작용 관찰, 정서 영역의 배우자에 대한 공감에 효과적이었으나, 심박변이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인지행동커플치료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 개입했을 때, 인지영역의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행동영역인 역기능적 의사소통, 부부 상호작용 관찰, 배우자에 대한 공감, 심박변이도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인지행동커플치료만 단독으로 처치하였을 때보다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하여 개입하였을 때 변화가 더욱 강력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이 보고하는 인지 변화는 행동 변화로 연결되었고, 배우자의 행동 변화를 보면서 자신의 변화 계기가 되었다. 결론: 인지행동커플치료프로그램은 부부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고,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로 처치했을 때 치료 효과는 더욱 강력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정서의 다면적 측면을 고려하여 인지행동커플치료의 접근성을 높였고, 디지털치료도구의 현장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폭식행동자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도중탈락 예측요인

        공성숙 ( Seong Suk Kong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3

        본 연구는 폭식행동자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시행하였을 때 치료를 종결하지 못하고 도중탈락하는 대상자들을 예측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치료를 종결한 폭식행동자들과 도중탈락한 대상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폭식빈도가 두 집단간에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Blouin 등(1994)은 69명의 폭식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시행하고 치료의 예측인자를 조사한 결과 폭식빈도와 EDI의 점수가 높은 환자일수록 치료 후 폭식빈도의 감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증상이 심한 환자일수록 치료에 대한 동기가 높기 때문이거나 혹은 증상이 심한 환자는 폭식빈도가 크게 감소하지만 증상이 약한 사람은 그 낮은 빈도를 줄이기가 더욱 어렵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Bulick 등(1999)이 인지행동치료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는 ‘반응자’와 거의 효과가 없는 ‘무반응자’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에서는 반응자들이 무반응자에 비해 치료 전부터 폭식이나 구토 횟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보고했으며, Coker 등(1993)은 치료를 지속하지 못한 환자 집단과 치료를 지속한 환자 집단간에 폭식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aller(1997)의 연구에서도 도중탈락자와 치료종결자 사이에는 폭식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불일치된 연구결과는 향후 지속적인 반복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폭식빈도와 마찬가지로 식이행위의 범주에 속하는 구토빈도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폭식행동자 가운데 ‘하제 비사용형(non-purge type)``에 속하는 대상자들의 경우 폭식삽화만 반복될 뿐 구토나 하제, 이뇨제 사용 등의 보상행동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집단 내에 ’하제 비사용형‘ 대상자의 비율을 통제해야만 구토빈도가 의미있는 변수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대상자의 수가 많지 않아 이 변수를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EDI(다차원적 섭식태도) 도구의 11개 하부척도로 측정한 식이태도 변인 중에서는 대인관계 불신감만이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louin 등(1995)의 연구에서는 치료를 종결까지 유지한 환자들의 요인을 판별분석한 결과 대인관계상의 어려움 (interpersonal difficulties)만이 유일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일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즉, 집단 내에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신뢰감이 떨어지고 대인관계를 잘 맺지 못하는 대상자의 경우 더 쉽게 도중탈락을 보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인지행동 치료가 집단치료의 형태로 시행되는 경우 도중탈락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집단내의 ‘집단과정(group process)``과 ‘집단의 응집성(cohesiveness)``이 매우 중요하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대인관계에서 신뢰감이 적은 성격적 요인을 가진 대상자의 경우 집단치료보다는 인지행동 개인 치료에서 치료효과가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치료전 증상이 지속되어온 유병기간은 치료를 종결한 집단이 도중탈락자 집단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폭식빈도, 즉 증상의 정도가 심한 환자의 경우 도중탈락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즉, 증상이 지속된 기간이 길 경우 증상의 정도도 더 심하며 이러한 대상자들은 치료에 대해 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Turnbull 등(1997)은 16주의 인지행동치료와 8주의 자조 프로그램의 치료효과 예측요인을 비교한 결과, 치료전 질병이 지속된 기간이 길수록, 폭식빈도가 적을수록 치료효과가 높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Turnbull 등(1997)도 역시 유병기간이 긴 대상자일수록 치료나 회복을 향한 단계를 수행할 준비가 더 잘 되어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유병기간이 짧거나 증상의 정도가 약한 대상자의 경우 증상으로 인한 고통보다는 체중감량에 대한 열망이 더 높기 때문에, 인지행동치료에서 폭식을 유발하는 근원이 되는 다이어트를 중지해야 한다는 중재를 수용하지 못하고 도중탈락하는 경향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신체불만족이나 우울, 자아존중감 변인들은 도중탈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일치된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과 방법론적인 차이점이 많고 치료 및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에 기인한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뿐 아니라 기존의 연구에서도 대상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낮기 때문이다. 향후 폭식 행동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실시하면서 반복적인 연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개인 인지행동 치료를 받는 집단과의 비교연구가 실행된다면 그 결과가 더욱 명확해질 것이라고 본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폭식행동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실시했을 때, 도중탈락자에 비해 치료종결자는 높은 폭식빈도와 긴 유병기간, 낮은 대인관계 불신감을 갖고 있으므로, 도중탈락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상자를 선정할 때 이러한 요인들을 먼저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대인관계 불신감이 높은 대상자에게는 개인 인지행동치료나 개인정신치료를 권장하고, 폭식빈도나 유병기간이 짧은 대상자에게는 다이어트 중지에 대한 권고를 완화시키고 건강한 다이어트 방법을 교육하는 등 중재 접근방법에 수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Background and purpose : Cognitivebehavioral grouptherapy has become the most popular form of treatment for binge eaters, as it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 highly cost-effective method of treating bulimic patients. Unfortunately drop-out rate from group CBT is relatively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drop-out from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binge eaters. Prior to treatment, all subjects completed the EDI-2(Eating Disorders Inventory-2), the Rosenberg`s Self-Esteem Scale, the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interviewed the binge and purge frequency per week. In this study, among 41 binge eaters who participated 10-week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drop-out rate was 36.6%(15 binge eaters). Binge eaters were all women and mean ages of them were 24 years and 95.1% of them were unmarried. 75.6% of them were bulimia nervosa, and the remainders were anorexia nervosa and binge eating disorders.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drop-out,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The complet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inge frequency and were lower in interpersonal distrust than drop-outs, and in duration of illness the completers also tended to be longer but these univariate differences didn`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Wilk`s Lamda was .776 indicating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completers and drop-outs were significant. Th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able to successfully predict drop-outs and completers of treatment in 73.2% of cases. Predicted dropouts were correctly identified in 86.7% of cases whereas predicted completers were correctly identified in 65.4% of cases. In conclusion, binge frequency, interpersonal distrust, and duration of illness predicted drop-out from cognitive-behavioral grouptherapy for binge eaters. This results would enable clinicians to more effectively utilize pretreatment assessment information in planning treatment for binge eaters. If patients at risk for dropping out group CBT can be identified at assessment, they may be referred instead to individual CBT, where the likelihood of dropping out is lower. Further research with the larger sample size, and included family factors and personality variables was suggested.

      • KCI등재

        우울증의 신경회로 모형과 인지행동치료의 치료 효과: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연구를 중심으로

        한규만,최영희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4

        Neuroimaging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ysfunction of neural circuits involved in emotion regulation, cognitive control, and reward processing wer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We aimed to review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tudies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and its influence on functional changes in neural circuit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fMRI studies reported that CBT was associated with functional changes of neural circuits involved in emotion regulation, cognitive control, and reward processing in depression. They found that CBT was associated with normalization of hyperactivation in the amygdala (in response to negative emotional stimuli) and increased activation of the lateral prefrontal cortex, which exerts cognitive control over negative emotion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They also observed that CBT was related to deactivation of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increased activity of the striatum in response to reward stimuli. CBT also changed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amygdala, prefrontal cortex,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striatum in depressive patients. Investigation of the neural effect of CBT using fMRI may provide clinically useful information and deep insights about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 of CBT in depression. 우울증의 뇌영상 연구들은 정서 조절, 보상 처리, 인지적 조절에 관여하는 뇌 신경회로의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우울증이 발생한다는 근거들을 제시해 왔다. 이에 따라 본 종설은 우울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를 시행한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뇌 신경회로의 어떠한 기능적 변화가 인지행동치료의 치료적 효과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런 연구들이 우울증의 신경회로 모형에 부합할지에 관하여도 고찰하였다. 우울증의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 연구들은 인지행동치료 이후에 정서 처리, 인지적 조절, 보상 처리에 관여하는 신경회로의 기능적 변화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인지행동치료는 부정적 정서 자극에 대한 편도의 과잉활성화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며,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지적 조절을 담당하는 외측 전전두피질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우울증 환자들에서 부정적 정서를 인식하고 자동적/내재적으로 조절하는 전대상피질의 활성은 감소한 반면에 보상 자극을 인식하는 선조체의 활성은 증가하였다. 한편, 인지행동치료는 앞서 언급한 뇌 영역의 기능적 연결성에도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우울증 환자에게 인지행동치료를 했을 때, 기능적 뇌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신경회로의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작업은 어떠한 신경생물학적 변화가 우울증의 치료 효과를 매개하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며,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뇌영상학적으로 검증한다는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 KCI등재

        사회공포증 인지행동치료의 최근동향

        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7 인지행동치료 Vol.7 No.1

        본고에서는 사회공포증의 발병과 유지를 설명하는 여러 이론들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지적 개념화가 치료에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주요 치료요소인 인지재구성 작업과 노출훈련의 기본원리를 기술하였으며, 사회공포증의 치료에 이들 기법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한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고, 최근의 동향을 고찰하였다. 문헌 고찰에 따르면, 여러 편의 메타분석이 사회공포증에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지지하였으나, 인지재구성기법과 노출훈련이 결합된 인지행동치료가 노출치료에 비해 더 월등한 효과를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일관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에서도 여러 편의 연구에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가 입증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Social phobia is a common and underdiagnosed disorder that is associated with considerable social and occupational handicap. This article provided an overview of cognitive models of social phobia and described two major techniques, cognitive restructuring and exposure training. It also summarized the current literature on treatment outcome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for social phobia.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CBT and meta-analyses have indicated that both CBT and exposure therapy produce very similar effect sizes in the moderate range. Although CBT appears well-established in regard to their effects on social phobia, a number of questions remain to be answered, including the search for predictors of who will benefit from which treatment and clarification of the mechanism of treatment changes. New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