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공황장애의 인지행동병합 치료와 약물 치료의 효과 비교

        조우현,최영희,박기환,곽욱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4 인지행동치료 Vol.4 No.2

        본 연구는 공황장애에서 인지행동병합 치료와 약물 치료의 효과를 살펴보고, 두 치료법 중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인 치료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인지행동병합 치료 집단에 참여한 38명의 환자들은 12주간 약물 치료와 집단인지행동치료를 받았고, 약물 치료 집단에 참여한 42명의 환자들은 12주간 약물 치료와 지지치료를 받았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환자들은 주 치료제로 paroxetine, 보조 치료제로 clonazepam 혹은 alprazolam을 처방받았다.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치료 전후로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Beck 우울척도(BDI), 광장공포증에 대한 인지질문지(ACQ), 신체감각질문지(BSQ), 불안 민감성 척도(ASI)를 실시하였다. 인지행동병합 치료 집단과 약물 치료 집단의 치료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두 집단의 모든 공황관련 측정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두 치료기법의 상대적인 효과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인지행동병합 치료 집단이 약물 치료 집단보다 ACQ, BSQ, ASI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1개월 동안의 공황 수, STAI, BDI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치료 종결 시 인지행동병합 치료 집단의 55%, 약물 치료 집단의 5%가 약물을 완전히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의 치료에서 인지행동병합치료와 약물 치료 모두 효과적이지만, 인지행동병합 치료가 공황장애의 특정 증상 개선에 더 효과적이며, 약물을 끊는데도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authors compared the relative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combined therapy and pharmacotherapy for panic disorder. Eighty panic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mbined therapy or pharmacotherapy. 38 patients in combined therapy group received group cognitive-behavior therapy (GCBT) for 12 weeks with medication. 42 patients in pharmacotherapy group received medication with supportive therapy for 12 weeks. Medication was mainly maintained with paroxetine, and supplementary with clonazepam or alprazolam. along with dosing schedule. The effectiveness of therapy was measured by Frequency panic attacks per month,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aire(ACQ), Body Sensation Questionnaire(BSQ), Anxiety Sensitivity Index(ASI) at the pre-and post-treatment. In this study, Both groups significantly reduced on all outcome measures after 12 weeks. Combined therapy group was better reduced than pharmacotherapy group on ACQ, BSQ, ASI, but Panic Frequency, STAI, BDI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ddition, 55% of combined therapy group discontinued medication after 12 weeks, but only 5% of pharmacotherapy group discontinued medication afte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combined therapy and pharmacotherapy provide effective outcome for panic disorder, combined therapy is better effective for specific symptoms of panic disorder and discontinuing medication.

      • 물리검층을 이용한 수막재배 지역 수변 충적층 특성화

        신제현,황세호,김종만,원병호,곽욱환,김용철 대한지질공학회 2016 대한지질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6 No.1

        수막재배 지역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지하수위 하강 및 고갈 방지를 위해 구축한 인공함양 기술 적용 부지 특성화를 위해 물리탐사 기법을 적용하였다. 지표 물리탐사를 통해 연구 지역의 기반암 분포 및 퇴적 구조를 파악하고 다양한 물리검층을 이용하여 지층 특성 및 원위치 물성을 추정하였다. 인공함양을 위해 굴착된 시추공을 대상으로 방사능검층을 이용하여 지층의 수직적 특성 및 대수층 파악을 통해 단공 주입-양수정에 대한 주입·양수 구간을 선정하여 실증시설 운영에 있어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구축된 인공함양 및 지하수 재순환시스템의 장기적·시간적 영향을 확인하고자 다수의 관측공을 대상으로 물리검층 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지하수의 미세한 특성 변화를 보기 위하여 분해능이 우수한 온도 및 전기전도도검층기를 이용하여 일 년 동안 한 달 간격의 자료 취득을 통해 시간별 지하수위, 온도, 전기전도도의 수직·수평적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계절별, 수막 가동 전후별 지하수의 특성 변화 및 하천수의 유입에 의한 영향을 주시하였으며, 그 변화 패턴과 지질의 자연감마 및 중성자검층반응의 상관성을 고찰하여 연구지역의 충적층을 특성화하고자 하였다. 하천변 쪽으로는 보를 기준으로 무심천 상·하류 지역에서 수위, 온도, 전기전도도의 변화가 상이하며 큰 중성자 공극률을 보이는 무심천 하류 지역에 모니터링 결과는 이 구간을 통한 지하수 유입이 활발함을 시사한다. 수막재배 시스템 주변 관측공에서는 시간에 따라 수위, 온도 및 전기전도도 값 등의 지하수 특성 변화폭이 크며 수막재배 후 점차 안정화됨을 보였다.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동반한 알코올 의존환자들의 특성 : 임상적/유전학적 자료분석

        김붕년,손기현,전지현,곽욱환,유희정,조수철,박철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3 신경정신의학 Vol.42 No.3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omorbidity rate of ADHD in a group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y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ic patients with ADHD using the diverse clinical and genetic variables. Methods : Eighty fiv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y were recruited from 4 mental hospitals in Kyoung-Nam and Kyoung-Ki province. For the evaluation of ADHD symptoms in both childhood and adulthood, the highly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IV (DISC-FV)-ADHD module was used. The various standardized scales and questionnaires were also applied to evaluate the comorbid conditions and psychopathological status. All the subjects' blood was collected and genetic study for the polymorphism of DRD2, TH, 5-HTTLPR, COMT, ALDH2 was performed. Results : 1) The comorbid rate of definite ADHD in alcoholic patients was 38% (28/85). 2) The frequency of unmarried st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HD group compared non-ADHD group. 3) The onset of pathologic drinking and auditory hallucination was significantly earlier in ADHD group than non-ADHD alcholic group. 4) In ADHD alcoholic group, antisocial behavior was more frequently reported, and the score of co-dependency scale, depression/anxiety, aggression and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non-ADHD alcoholic group. 5) No sign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requency of polymorphic alleles in COMT, DRD2, 5-HTTLPR, ALDH2, TH between ADHD and non-ADHD alcoholic group. Conclusion : In alcoholic patients, the rate of adult type ADHD was higher than expected rate in general population. The alcoholic patients with ADHD suffered from more sever degree of alcohol dependency and earlier alcohol related problems. ADHD-alcoholic group showed higher diverse comorbid psychopathology and lower marital status compared to non-ADHD-alcoholic group. No difference, however, was found in genetic data between two groups.

      •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금주시간에 따른 갈망 정도와 Leptin, ACTH, Cortisol 혈중 농도의 변화와 상관 관계

        김봉조,변기욱,한규희,손진욱,박철수,곽욱환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연구목적: 알코올 의존의 발병과 재발의 원인에 관한 신경생물학적인 연구로서, 식이 장애의 원인으로 식욕의 조절과 관계되는 것으로 알려진 leptin이 알코올 갈망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금주 시간에 따른 혈중 leptin 농도와 갈망 정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에 미치는 알코올의 영향을 알아보고, leptin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ptin on alcohol craving in patient with alcohol dependenc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leptin level and craving degree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ccording to abstinence duration. We also investigated effects of alcohol on hypothalamic-pituitary-adrenal(HPA) axis and relationships between plasma leptin levels and HPA ax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