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축제장 음식부스에 대한 위험지각및 만족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천 산천어축제 내.외국인 관광객의 비교분석

        민경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831

        Much provincial government holds a regional festival for improvement of regional image and promotion. The festival related to invigorating the local economy and local tourism industry so the local government develop a new project and try their best but among them vanished without tourist’s reaction. The festival gets a success when they have to find their customer needs and develop their satisfaction. The festival foods mean their local food culture or local identity not only eating stuff. Especially, If their main theme is food or food ingredients, it would get an important meaning and values as a tourism attraction also it connected the consumption of their local product and local economy. Festival foods have to be intermediation that could drag their positive reaction or intention to the recommendation not being supplementary. Also, they need to pay attention to their temporal circumstance which might cause uncomfortable and worrying. This study is about the “Hwacheon Sancheoneo Festival”. The festival is the global festival to foster Korean tourism industr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romotes their domestic festival and they award their best festival for attracting foreign tourists and promote Korea tourism through investigation and commercialization. With precedent researches, we can figure out local festivals, attributes of food booths, perception of risks, and satisfaction variables. And then we compared intention to recommendation between domestic tourists and foreign tourists with a survey. This study gets the result from a virtual survey with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who had eaten festival food at the festival. The survey was executed in two ways and got results: we conducted a survey face to face for foreign tourists and did an online survey for domestic tourists. According to this study, we can find three meaningful conclusions. First, We know that food quality and staff service effect a negative impact on risk perception otherwise menu, local cultural values, physical circumstance, prices not effect on risk perception. Second, Food quality, local cultural values, prices affect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otherwise menu, staff service does not affect satisfaction. Third, risk perception is not effected on satisfaction. Comparing festival food booths and risk perception is affected by food quality and menu also in this case domestic tourists have more impact but other factors do not make a difference. Consequently, we need more study for the understanding of tourists, perception of tourism risks in festival food booths and develop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 as a perspective of visiter. 각 지역에서 열리는 많은 지역축제들이 성공하면 지역의 이미지제고와 홍보는 물론 지역관광산업의 활성화로 이어지고 특산물의 홍보와 판매가 이루어지면서 지역의 경제소득과도 연결되고 있어 지자체마다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새로운 축제를 기획하기도 하지만 모두 성공을 하는 것은 아니며 차별화되지 않고 방문객들의 호응이 없으면 대부분 외면 받고 사라진다. 이에 축제장 방문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만족도를 높이고 주변에 추천의도가 높아질 때 지속적인 발전이 있고 성공을 한다. 축제를 즐겁고 만족에 이르는 요인들 중 축제장음식은 단순한 먹거리 뿐 만 아니라 지역의 정체성과 식문화를 반영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축제의 주제가 식재료나 음식일 경우 축제음식의 경험은 관광자원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특산물의 소비가 연결되어 축제방문객의 음식선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축제의 음식은 보조적인 요소보다 재방문이나 추천 의도로 이어지게 해야 할 매개가 되어야 하며, 이러한 축제음식을 평가하고 위험요소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축제음식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축제장내 음식부스에 대한 평가와 관리가 더욱 필요하다. 그러나 축제장의 음식이 불만과 우려를 증가시킬 수 있기에 축제장의 음식선택의 속성이 일반음식점과는 차별화가 필요하며 물리적환경이 임시적이다 보니 위생 등에 더욱 신경 쓰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화천 산천어 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정한 글로벌 육성축제에 대한 연구이다. 글로벌 육성축제는 지역에서 대표축제 및 최우수 축제들 중 5회 선정 후 졸업을 하고 승급된 축제로, 글로벌 육성축제의 경우는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여 국내 중심형에서 국제중심형의 축제로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 한류화 가능성을 갖고 상품화, 산업화를 통해 세계적인 축제를 육성한다는 전략을 갖고 있다. 산천어를 주제로 하는 화천산천어축제의 축제장내 음식이 관광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역축제, 음식부스 속성, 위험 지각, 만족 변수에 관한 선행연구들 실행하였고, 설문을 통해 추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실제로 화천 산천어축제에서 축제음식을 먹어본 국내·외 방문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표본을 추출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배포는 외국인 방문객은 현장에서 설문지를 통한 오프라인 조사로 진행하였고, 내국인 방문객의 경우 온라인 설문을 통해서 진행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 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음식품질, 직원서비스는 위험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메뉴, 지역문화적 가치, 물리적 환경, 가격은 위험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음식품질, 물리적 환경, 지역 문화적 가치, 가격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메뉴, 직원서비스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험 지각이 만족에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위험 지각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제음식부스속성과 위험 지각에 대한 두 그룹의 영향관계에 있어서는 음식품질과 메뉴에서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경로계수로 영향관계에 미치는 크기를 보면 내국인이 더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나머지 직원의 서비스, 물리적 환경, 지역 문화적 가치, 가격은 내국인 ,외국인 모두 어떠한 영향관계에서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여 글로벌 육성축제로써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 방문객들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 축제장 음식부스에서 지각되는 위험요소에 대한 면밀한 확장 연구와 조사가 이루어지고 추천의도와 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문객의 입장에서의 재고가 필요할 것이다.

      •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과 축제만족도간에 있어서 지각가치의 매개효과 연구

        박기순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u selection attribute and festival satisfaction, between the menu selection attribute and perception value, between perception value and festival satisfaction of food stor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between the menu selection attribute and festival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operation plan for food festivals in the futu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1 to October 23, 2016. The analysis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using SPSS 23.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catching up the importance of sub-factors on the menu choice attribute of the participants, it showed that the highest score is 'convenient to enter and exit', and the next most important is 'easy to access from outside'. Second,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menu choice attributes of festival food stores, five sub-factors such as uniqueness, convenience, foodability, cleanliness, serviceability factor, as perceptual value, two sub factors, hedonic value and utility value factor were drawn out, as festival satisfaction, two sub factors, expectation satisfac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were drawn ou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u choice attributes and expectation satisfaction, all sub factors of menu choice attribute had meaningful effect on expectation satisfac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u choice attribute and hedonic value, all sub factors of menu choice attribute had meaningful effect on hedonic value.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and expectation satisfaction, all sub factors of perceived value had meaningful effect on expectation satisfaction. Six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 factors of menu choice attribute and expectation satisfaction is mediated by hedonic value, among menu choice attribute, uniqueness, convenience, foodability, serviceability factor is partially mediated role, and cleanliness factor is fully mediated role. In addition, between all sub factors of menu choice attribute and service satisfaction of festival satisfaction is mediated by utility value, among these factors, convenience, foodability, cleanliness factor are partially mediated role while uniqueness and serviceability factor are fully mediated role. Seve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 factors of menu choice attribute and expectation satisfaction is mediated by utility value, among these factors, uniqueness, convenience, foodability, serviceability factor are partially mediated role while cleanliness factor is fully mediated role. In addition, between all factors of menu choice attribute and service satisfaction is mediated by utility value, among these factors, uniqueness, convenience, foodability, cleanliness factor are partially mediated role while serviceability factor is fully mediated role. 음식축제는 지역의 특산물을 가지고, 이를 소개 및 판매를 목적으로 개최되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개최되고 있다. 축제참가자가 음식판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음식의 메뉴선택속성을 파악하고, 이들 속성이 축제참가자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제참가자가 음식판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음식에 대한 메뉴선택속성과 축제만족도, 축제참가자가 지각하는 하는 가치가 축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한 후 향후 음식축제에 운영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특히 남도음식문화 큰잔치 축제는 다른 지역에서 개최되는 음식축제가 주로 지역의 특산물이나 음식문화를 알리는 것과는 달리 전남 22개 시·군에서 대표적인 음식을 판매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남도음식문화 큰 잔치 축제 참가자를 대상으로 음식판매장 메뉴선택속성과 축제만족도, 음식판매장 메뉴선택속성과 지각가치, 지각가치와 축제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음식판매장 메뉴선택속성과 축제만족도 간에 있어서 지각가치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10월 21일부터 2016년 10월 23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3.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음식판매장 메뉴선택속성과 축제만족도 간에 있어서 지각가치가 매개역할을 검정하기 위하여 계층적 회귀분석과 Sobel-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음식판매장 참가자에 대한 중요도 순위를 파악한 결과 메뉴선택속성 항목 중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난 항목은 ‘입‧출입이 편리함’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중요하게 판단하고 있는 항목은 ‘외부로 부터의 접근이 편리’로 나타났다. 메뉴 선택속성 중 평균이 가장 낮은 항목이 ‘위생적으로 음식을 준비’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낮은 항목은 ‘지역 고유의 조리법을 사용함’이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제음식판매장 선택속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서비스성 요인 등 5개 차원으로 분류되었고, 지각가치는 쾌락적 가치와 효용적 가치로 분류되었으며, 축제만족도는 기대 만족도와 서비스 만족도로 분류되었다. 셋째,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축제만족도와 영향관계에서는 메뉴선택속성의 모든 요인은 축제만족도 요인 중 기대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고, 기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에서는 고유성, 서비스성, 음식성, 편리성, 청결성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뉴선택속성의 모든 요인은 축제만족도 요인 중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크기에서는 음식성, 편리성, 청결성, 고유성, 서비스성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지각가치와의 영향관계에서는 메뉴선택속성의 모든 요인은 지각가치 요인 중 쾌락적 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쾌락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음식성, 고유성, 청결성, 편리성, 서비스성 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뉴선택속성의 모든 요인은 지각가치 요인 중 효용적 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용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고유성, 서비스성,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요인 순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축제음식판매장의 지각가치 요인과 축제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지각가치의 모든 요인이 축제만족도 요인 중 기대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가치의 모든 요인이 축제만족도 요인 중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축제만족도 간에 있어서 쾌락적 가치 요인의 매개역할 검정 결과를 보면, 메뉴선택속성 요인의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서비스성 요인과 축제만족도의 기대 만족도 간에 있어서 쾌락적 가치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서비스성 요인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결성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축제만족도의 서비스 만족도 간에 있어서 쾌락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보면, 메뉴선택속성 요인의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서비스성 요인과 기대 만족도 간에 있어서 효용적 가치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요인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고유성과 서비스성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축제만족도 간에 있어서 효용적 가치 요인의 매개역할 검정 결과를 보면, 메뉴선택속성 요인의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서비스성 요인과 축제만족도의 기대 만족도 간에 있어서 효용적 가치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서비스성 요인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결성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축제만족도의 서비스 만족도 간에 있어서 효용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보면, 메뉴선택속성 요인의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서비스성 요인과 기대 만족도 간에 있어서 효용적 가치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요인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서비스성 요인에서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음식축제와 지역 공동체 및 의미성 간의 관계 연구 : 젓갈축제를 중심으로

        김정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우리나라 젓갈축제를 중심으로 음식축제, 지역공동체 및 의미성 간의 관계 연구’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의 연구 실현을 위한 전제조건은 첫째, 공간적 범위는 강화새우젓, 곰소새우젓, 강경발효젓갈, 광천토굴새우젓, 그리고 신안새우젓 등 이들 5개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둘째, 시간적 범위는 가급적 5년 이내의 신뢰할 수 있는 연구논문, 보도자료, 전문가 인터뷰 내용 들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셋째, 내용적 범위는 최근 5년 이내의 선행연구 자료, 매스컴에 보도된 2차 자료, 5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에 탑재된 자료, 그리고 각 지역에 거주하면서 젓갈을 취급하고 축제과 관련된 전문가의 인터뷰 등을 활용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축제, 지역축제, 지역공동체 그리고 의미성 등의 각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면서 축제의 기능―① 놀이축제문화, ② 사회문화의 창조적 계승, ③ 공동체 문화, 그리고 ④ 종교적 문화의 4가지 중심 축을 두고 ⑤ 치유문화, ⑥ 관광문화, ⑦ 행복문화 및 ⑧ 지역경제 문화의 파생적 요인들과 향토음식의 특징―① 지역자생 토속음식, ② 지역 정체성, ③향토사회 거주민, ④ 지역생산 식자재 ⑤ 지역적 조리 및 가공법―명확하게 언급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중요한 골간(骨幹)인 젓갈의 정의, 젓갈의 식품학적 가치, 젓갈시장의 시장규모 및 일자리 창출, 젓갈의 종류 및 제조방법, 공급사슬(SCM) 맥락에서 지역축제와 젓갈 간의 관계 등을 기술하였다. 셋째, 음식축제, 지역축제, 지역 정체성 및 젓갈 간의 의미성을 음식축제 대상 지역을 중심으로 다차원적 의미성을 도출하였다. 즉, ① 정체성, ② 대표성, ③ 적합성(특산물, 젓갈), 장소마케팅, ④ 차별성, ⑤ 리더십 ⑥ 경제성 ⑦ 역사성 ⑧ 다양성 ⑨편리성 ⑩ 청결성, ⑪ 안전성, ⑫ 서비스 ⑬ 만족성 ⑭ 재방문의도 ⑮ 지역의 충성도, 이의 15개 항목은 향후 음식축제, 지역축제를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한 척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간주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젓갈축제 5개 지역―강화, 곰소, 강경, 광천, 신안지역의 본원적이고 특화된 지리적 특징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면서 향후 이 지역을 대상으로 향토사료(鄕土史料)로서의 가치와 젓갈의 문헌정보학으로서 의미를 담고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축제-공동체 간의 관계 및 의미성을 15개의 척도를 활용하여 언급하였다. 끝으로, 논문의 이론적―축제의 성공요인, 음식축제와 젓갈 간의 관계(relationship), 축제의 다차원적 의미성 도출― 및 실무적 시사점―음식축제 및 지역축제의 모범사례, 현장의 살아있는 젓갈에 관한 한 작은 역사라도 담고자 하였으며, 젓갈의 제조방법, 그리고 지역의 정체성의 활용 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festivals, local communities and semantics centering on the Korean salted fish festival'. The prerequisites for the realization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scope targets these five areas: Ganghwa Shrimp, Gomso Shrimp, Ganggyeong Fermented Shrimp, Gwangcheon Cave Shrimp, and Shinan Shrimp. Second, the time range was intended to reflect reliable research papers, press releases, and expert interviews within 5 years. Third, the scope of the contents is prior research data within the last 5 years, secondary data reported on the media, data on the homepages of the five basic local governments, and experts in handling the salted fish and related to the festival. Interviews a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concept such as food festival, local festival, local community, and meaning is clearly defined. And the function of the festival was clearly mentioned. - ① Play Festival culture, ② Creative succession of social culture, ③ Community culture ④ Religious culture around the four central axes ⑤ Healing culture ⑥ Tourism culture ⑦ Happy culture ⑧ Derivative factors of local economic culture and local food Features― Local native food, Local identity, Local community residents, Locally produced food materials , Local cooking and processing. Second, the definition of salted fish, the food value of salted fish, market size and job creation in salted fish market, the ty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lted fis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festivals and salted fish in the context of the supply chain (SCM) were described. Third, the multi-dimensional significance was derived from the food festival, regional festival, regional identity, and the meaning of salted fish, centered on the food festival. That is, ① identity, ② representativeness, ③ suitability (special products, salted fish), place marketing, ④ discrimination, ⑤ leadership ⑥ economics ⑦ history ⑧ diversity ⑨ convenience ⑩ cleanliness, ⑪ safety, ⑫ service ⑬ satisfaction ⑭ revisit intention ⑮ Local loyalty, 15 items of which can be used as a very important measure for evaluating future food festivals and regional festivals, can be considered as the creative idea of ​​this study. Fourth, this study logically unfolds the original and specialized geographic features of the five regions of the salted fish festival-Ganghwa, Gomso, Ganggyeong, Gwangcheon, and Sinan, while the value and salting of salted fish as a native feed in the future It contains meaning as a library information science. Fifth,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and meaning between festivals and communities were mentioned using 15 scales. Finally, the theoretic theory of the thesis-derived the success factors of the festiv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festival and the salted fish, and the multidimensional significance of the festival and mentioned practical implications-best practices for food festivals and local festivals, as well as a small history of live salted seafood on site, how to make salted fish, and how to use local identities.

      • 해외 음식축제 사례 분석과 공주지역 음식축제 개발을 위한 모델 연구

        김혜식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나라의 90년대 초, 축제 붐이 일어나기 시작하기 훨씬 전부터 공주에는 긴 역사를 가진 백제 문화제가 있다. 1967년에 시작된 제의 형태의 문화제는 역사 재현형 축제 형태로 탈바꿈하며 현재는 우리나라 3대의 대표 축제라 할 만큼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치러지는 10여개의 모든 축제 또한 해를 거듭할수록 기획이나 프로그램은 질적으로 향상되어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유독 음식부분에 대해서는 도외시 된 채 축제를 함으로서 축제 전반의 평가를 끌어내리고 있으며 단순한 볼거리, 즐길 거리 수준의 불균형의 축제가 발전을 저해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공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음식축제 개발을 위한 해외 사례 분석과 모델에 대한 연구로서 음식을 통한 축제의 소재 개발을 통해 모델을 제시하여 음식축제를 정착시키고 백제문화제나 기타 축제에 연계 통합 적용함으로서 음식축제를 통해 공주의 고유 음식문화의 정착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음식관광 라인을 구축하며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축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다. 이에 외국의 성공적인 축제를 벤치마킹하여 음식축제의 주제, 컨셉, 부스운영, 위생, 부스의 데코레이션, 축제장소 입장 방법 음식 가격 등 발전적인 선진 축제경영을 모델로 삼아 사례를 이론적 바탕으로 제시하며 공주시민과 공주 사이버 시민을 포함한 공주에서 치러지는 축제를 방문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 실시하여 향후 공주의 지역문화가 바탕이 된 축제의 모델을 이끌어 내고자한다. 결론적으로 공주의 독립된 음식축제의 모델을 제시함은 그동안 보여주었던 백제 대제전 안에서의 공주 먹을거리의 부재와 열악한 먹을거리 환경을 돌아볼 때 설문을 통해 도출된 음식 축제의 모델은 축제 안에서의 단순한 음식 제공의 수준을 넘어서 공주의 음식 문화정착이며 공주지역의 문화나 지역특산물을 소재로 한 축제음식 개발은 공주의 새로운 개념의 음식의 개발과 다른 지역과 다른 차별화 축제로 정착시키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model with a view to development of food festival through analysis of foreign and domestic cases available. Such a suggestion of independently operated food festival in Gongju is to improve the negative aspects about unavailability of proper food and poor circumstances during the Great Baekje World Festival. By developing the festival materials and providing an appropriate model in the form of questionnaire research, this work intends to fix a certain food festival typical in the area of Gongju area. For this purpose, this work would provide a possible food culture and make use of this as part of tourism resources unique to Gongju by interrelating this to all kinds of other festivals in this region. This work would also give some vitality to the community with set-up of the food tourism network. Thereafter, the work would try to point out the food-related problems that have been found in Gongju and benchmark the successful case in the foreign country. After this, the advanced operational model in festival occasions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heory, referring to such an enhancement component as theme, concept, operation of booth operation, sanitation, display of booth, venue for festival, method of admission to the place and price for food in the food festival. The survey was performed mainly against the people who visited the festival events held in this area including the residents and cyber citizens in Gongju, and based on the results from questionnaire survey, the proper model was suggested as a desirable food festival for Gong-ju.

      • 음식축제의 평가속성이 방문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종희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남도음식문화 큰잔치로 전라남도의 역사이고 유산자원으로 남도 음식의 전통을 계승 발전시키고 있는 코로나 19로 인한 음식 축제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도음식큰잔치의 27년간 개최되고 있는 정체성과 역사성을 분석해 보고 측정하였고, '남도음식큰잔치'의 축제의 변화로 인한 온라인·오프라인 방문객의 만족의 결과변수를 돌출하여 분석을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그 동안의 남도음식큰잔치의 역사의 내용을 통해 남도음식큰잔치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축제 만족도의 관련성을 모색한 후 조사 분석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만족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표본은 제27회 남도음식문화 큰잔치 오프라인(방문객) 및 온라인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10월 15일∼10월 17일까지 여수세계박람회를 개최한 여수엑스포 행사장 출구 밖에서 축제에 참여한 방문객과 체험을 즐기고 나오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는 축제 기간에 남도음식문화큰잔치 홈페이지와 SNS, 유튜브에 남도음식문화큰잔치 만족도 조사의 참여 기간, 참여방법, QR코드 및 URL 형식으로 제작된 설문지 등을 기재한 웹 배너창을 업로드하여 설문 대상객들이 설문지를 작성한 후, 온라인으로 전송받게 하였다. 오프라인 설문지는 총 316매를 배포하여 2매를 제외한 나머지 유효표본 314매를 1차 분석의 대상으로 했으나 코딩과정에서 설문 응답의 내용과 관계없는 내용을 응답한 설문지를 다시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2매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 하여 더욱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설문조사는 만 19세이상 성인 관람객만을 응답하도록 하여 총 739명이 설문지를 응답하였으나 불성실한 응답 등 분석 자료로 사용 불가능한 설문 응답 데이터를 제외한 유효표본 731명분만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온라인‧오프라인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에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SPSS 통계패키지와 Excel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집단별 평균분석(Each Group Average Analysis),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등을 활용하였다.셋째, 축제장의 방문객 속성과 온라인 참여자의 축제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오프라인(방문객)의 속성과 온라인 참여자의 남도음식문화 큰잔치의 만족도의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도음식문화큰잔치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재방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제27회 남도음식문화큰잔치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병행으로 진행된 축제로 나아가는 전략과 오프라인의 방문객과 온라인의 참여자에 재방문까지 이루어지게 하는 지속적인 비대면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진행될 수있도록 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결정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지역대표 음식축제 만족도를 통해 타 음식축제와 차별화 되고 독특한 지역관광활성화 방안확보와 전통적인 음식 축제로 발전 있으리라 생각된다.

      • 인천음식축제에 대한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박숙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인천음식축제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실증분석함으로서 만족도 속성을 규명하고 지역축제 관련 담당자 및 관광마케터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축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축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인천음식축제 만족도 속성을 추출하여 실증조사를 위한 기본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를 근거로 척도를 만들었으며, 설문조사는 인천음식축제가 열린 8월 31일부터 9월 4일까지 실시했으며, 총 322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표본에 대한 빈도분석과 기술분석을 실시하고, 인천음식축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을 대상으로 한 요인분석,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동반형태와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서 얻어진 자료에서 연구의 목적과 부합되는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점전략이다. 이는 전국의 수많은 지역축제 중에서 한국문화의 상징성이 높고 내·외국인 모두에게 매력이 될 소지를 지닌, 즉 관광상품성의 잠재력이 큰 축제들을 엄선, 이를 세계적 수준의 축제로 육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지역의 향토성이 반영되고 규모가 있고, 매력적으로 잘 짜여진 성공적인 축제 하나만으로도 그 당해 지역에 경제적 부를 창출하고 나아가 지역의 이미지 변화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례를 창출함으로써 이를 타 지역의 모범이 되게 하려는 것이다. 둘째, 전통성·역사성을 살려야 한다. 지역축제에서 전통화와 역사성을 살리는 것이야말로 저절로 그 지역과 축제는 공동되는 합의점이 나온다는 것이다. 그럼으로 해서 주민들은 지역에 대한 소속감과 애향심이 고취되는 것이다. 셋째, 국내 홍보전략의 강화이다. 홍보는 문화관광축제의 존재를 널리 알리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그간 홍보의 소홀로 말미암아 발생한 부작용을 인식하여, 정부는 문화관광축제들을 국내·외적으로 알리기 위해 다각적인 활동을 펼쳤다. 넷째, 남도음식축제에서도 고객들의 좋은 반응을 받았던 지역주민과 고객의 참여 프로그램의 개발은 고객만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이다. 따라서 인천음식축제의 경우에도 보다 더 고객이 참여하고 구매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인천지역의 맛집들은 이번 축제에 참가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로는 첫째, 인천지역을 대표하는 메뉴가 축제에 출점하지 못한 점. 둘째, 그러한 이유로는 객단가 높기 때문에 참가를 주저하며, 셋째, 맛집 업주들의 축제에 대한 적극적인 마인드 부족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the findings of this empirical research to the organizations of food festival, to establish the festival policies and to be a platform of further regional festival research. After a literature review regarding regional festivals, market segmentation by benefits of festivals, festival attributes, a survey was conducted.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survey questionnaires of 322 festival participants who have ever visited Inchon food festival. Survey was held during from 31th Aug. 2005 to 4th Sep. 2005. For the promptness and accuracy, after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ained and questions were answered. Due to the method, all data was drawn directly from the participants by survey assistant. The main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18 a factor analysis on the generic characteristics of the food festival attributes of Inchon food festival were carried out and 5 factors were summed up; 'kindness and traditional food', 'transactional cultures', 'shopping and mood', 'public relations', and 'conveniences'.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tourists dissatisfaction degree are 'kindness and traditional food', 'transactional cultures 'shopping and mood' and 'public relations', in regular order.

      • 축제 체험요소가 음식문화축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나리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83

        지역축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서 정부는 정책적 지원을 계속하고 있는 반면 유사한 축제가 난립하고, 축제 프로그램이 부실하게 운영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양산해왔기에 명품축제의 육성을 정책목표로 하고 있다. 개인의 문화적 여가생활 욕구는 증가하고 참여자들의 수준도 높아지며 다양화, 차별화, 정보화되고 있는 현재에 기존의 축제프로그램 활동으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만족도를 높여 방문의사 혹은 타인에 대한 추천의사를 포함하는 축제충성도에 대한 개개인의 긍정적 견해를 도출해 축제별 체험요소인 특성화된 프로그램 및 행사 등을 기획하여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로인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을 하였으며 음식문화축제의 핵심적인 두 요소인 음식체험요인과 축제체험요소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여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서 축제충성도에 얼마나 중요한 요인이 되며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미친다면 얼마나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의 검증을 위해 전국의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 프로그램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다중 회귀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분석결과를 도출해 냈다. 연구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 설명력은 67.8%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유의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보면, 축제체험요소의 일탈적 체험, 심미적 체험 그리고 음식체험요인의 음식학습추구, 지식/정보추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음식문화축제를 기획하는데 있어서 방문객의 지식과 정보 그리고 학습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할 수 있으며, 일탈과 심미를 포괄하는 몰입에 해당하는 축제 프로그램 및 행사 등 축제체험요소를 기획, 개발하면 축제충성도를 높이기 위함에 실천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As a major means for the 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the regional festivals are continuous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s there have been diverse problems such as the situation flooded with similar festivals and poor operation of festival programs, however, the policy aims to foster prestigious festival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diversification, differentiation, and informatization with the increased individuals' desire for cultural leisure life and the participants' level, it is hard to expect huge effects of activities of the existing festival programs. This study aimed to solve diverse problems by drawing individuals' positive opinions about the festival loyalty including the intention to visit or to recommend to others through the increase of satisfaction, and then planing the specialized programs and events based on the experiential elements of each festival. Considering the positive effects on the 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as the first stud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between two core elements of food culture festival such as food experiential factors and festival experiential elements, this study researched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festival loyalty. For the verification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nspecified individuals in the whole nation.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concrete results of analysis were drawn by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earch model, the explanatory power(67.8%) was very high. Regard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ignificant variables,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deviant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of festival experiential elements, and pursuit of learning about food and pursuit of knowledge/information of food experiential factor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ase when planing/developing the food culture festivals, it would be necessary to plan/develop the festival programs and events that could meet the visitors' desire for pursuing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learning, and also help their immersion such as deviation and aesthetics, to increase the festival loyalty.

      • 향토음식축제의 관광상품성 및 인지도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 축제를 중심으로

        정한철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447

        최근 정부의 관광산업 육성과 주 5일 근무제 및 교통의 발달로 전국 여러 지역축제의 참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과 경제 불황으로 외식업체들의 경영난 극복의 일환으로써 향토음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충남지역의 자연적ㆍ사회적ㆍ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전래되어 오고 있는 향토음식 문화와 축제를 조사하고 향토음식의 관광 상품화에 대한 가능성과 소비자들의 인지도를 분석함으로서 충남 지역축제의 활성화와 향토음식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남 ‘금산인삼축제’와 ‘천안 웰빙 엑스포’ 관광객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18일에서 20일 까지 대면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IPA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남 지역축제 방문객의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방문동기는 ‘지역축제에 참석하기 위해’가 전체 응답자의 5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방문하게 된 주된 목적으로는 ‘흥미로운 구경거리 때문’이 3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문 시 일행에 대한 질문에는 ‘가족 및 친지’가 전체 응답자의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축제의 정보를 얻은 경로로는 24.6%가 가족 및 친구에게서 얻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홍보물 및 안내책자가 22.4%, 인터넷이 20.8%로 나타났다. 축제 방문 시 섭취음식의 경우 토속음식이 전체 응답자의 8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축제에서의 불편 시설물로는 ‘화장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휴식공간’, ‘식수대’, ‘주차장’, ‘홍보와 안내물’, ‘먹거리 장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축제발전을 위한 관심분야로는 ‘향토음식의 개발’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행사프로그램 개발’과 ‘지역특산물 개발’, ‘문화재와 유물’, ‘축제홍보’ ‘자연 경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IPA 매트릭스에 의한 축제 방문 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결과, 유지(keep up good work) 항목으로는 ‘볼거리’, ‘먹을거리’, 집중(concentrate here)항목으로는 ‘교통편’, 저 순위(Low priority) 항목으로 는 ‘숙박시설’로 분석되었다. 또한 충남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분석결과, 잘 알지 못하는 향토음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지어 충남 지역 주민들 조차 알지 못하고 먹어보지 못한 향토음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충남 향토음식에 대한 홍보와 대중화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향토음식 개발을 위한 우선과제로는 ‘가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음식의 맛과 양’, ‘영양가’, ‘대중성’, ‘지역의 전통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축제에서의 향토음식의 이미지, 지역축에의 만족도, 재방문/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지역축제의 관광상품성과 홍보성은 지역축제에 대한 관광객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역축제에서의 관광객의 만족도는 재방문ㆍ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역축제의 관광상품성과 홍보성은 지역축제에 참석한 관광객들의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토음식 개발의 우선과제로는 가격과 음식의 맛과 양에 있으며, 영양가와 대중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향토음식을 관광상품화 하기 위해서는 각 지방에 산재되어 있는 향토음식을 맛을 개선하고 조리법을 개발하여야 하며, 선진기법을 융합하여 과학화, 전문화, 현대화, 지역화 등의 관점 하에서 메뉴개발과 산업응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전략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그 협력체제에 의해서 관광객 및 소비자에 대한 향토음식의 활발한 홍보와 관심유도가 필요하며, 정부 및 관련단체들의 지원과 적극적인 육성 정책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꾀하고 이로 인한 국가 경쟁력을 재고시킬 필요가 있다.

      • 지역축제와 연계한 향토음식 개발연구 : 함평 "나비축제" 를 중심으로

        이영미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447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즉, 중앙정부의 행정력에 의존하지 않고 지방자치의 본질인 주민자치의 원칙에 입각하여 지역주민이 스스로 지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축제 중에서 전국적인 경쟁력을 가진 관광문화축제로 발돋움하고 있는 것이 전라남도 함평군에서 개최되는 “함평 나비축제”이다. 나비축제는 함평군을 ‘생태 및 친환경 농업군’이라는 이미지를 만드는데 결정적으로 공헌하였고, 지역경제의 활성화, 새로운 관광 수요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더우기 2008년에는 기존의 함평의 ‘나비축제’에서 더 나아가 ‘세계곤충축제’로 치루어질 계획이다. 이렇게 발전해 나가는 함평의 ‘나비축제’에 더욱 큰 사회적, 경제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참가하는 관광객의 소비증대를 유도하고 이 지역의 특색을 나타낼 수 있는 향토음식을 개발하고 그것을 상품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함평군의 음식업 종사자와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함평군의 향토음식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함평의 ‘세계나비곤충축제’에 참가하는 관광객에게 함평 특유의 향토음식을 제공하는 기반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존의 향토음식으로는 함평에서만 잡히는 엽삭 생선으로 담그는 손불 엽삭젓, 비빔밥, 병어젓, 세발낙지 등으로 조사되었다. 함평의 대표적인 특산물 중 육류로는 함평한우, 오리 등이 있고, 해산물로는 굴, 보리새우, 낙지, 조기 등이 있으며, 과채류로는 버섯, 단호박, 감, 석류, 복분자 등이 조사되었다. 2. 일반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 관광지를 선택할 때 관광객들은 볼거리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80%를 넘는 응답자들이 볼거리, 먹을거리, 숙박시설, 교통편이 두루 중요하다 한 것으로 보아 관광지로 위의 네 가지를 모두 고려함을 알 수 있었다. 2) 관광지에서 식사할 때는 그 고장의 토속음식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그 고장의 토속음식이나 향토음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관광지로서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3) 함평의 먹거리는 해산물, 한우요리, 복분자 순서였으며, 함평의 지역 축제 이미지나 나비축제 인지도에 비해 먹거리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지역축제와 연계하여 먹거리의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4) 음식은 가격이나 서비스보다 맛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메뉴개발에서 음식의 맛이 최우선이므로 맛을 위주로 한 메뉴개발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5) 함평에서의 외식 음식비용에 대해서는 1인당 1∼3만원 정도를 쓰겠다는 응답이 53.6%이므로 메뉴개발을 할 때 가격대를 고려하여 1∼2만원 대의 메뉴를 다양하게 여러 종류 개발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6) 함평에서 “잘 알고 있는 요리”는 해산물이며, “먹고 싶은 요리” 또한 해산물 요리이므로 육류보다는 어류를, 고칼로리 요리보다는 웰빙을 기초로 한 건강식 요리를 원하는 현대인의 식사트랜드를 반영하여 메뉴를 개발 할 때 해산물요리와 건강식 요리, 한우 요리의 순으로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7) 함평에 가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함평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는 응답이 78.6%이므로 TV, 신문, 잡지 등의 대중매체나 그 외의 방법으로 함평시를 홍보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3. 식당운영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 함평거주 식당운영자들의 식당운영기간은 55% 이상이 4∼5년에서 10년 이상 이었다. 2) 조사대상 식당의 주 메뉴는 육류관련음식이 가장 높고 어류, 조류 순서였 다. 식당운영자를 위한 메뉴개발은 육류, 어류, 조류의 순서로 개발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3) 고객이 식당을 찾는 시간대는 점심시간이 가장 많으므로 메뉴개발 할 때 점심메뉴의 심화된 개발이 필요하다. 4) 대부분의 업소가 3명 이하의 종업원이므로 함평에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식당은 영세하며 가족 운영형태 이다. 따라서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는 그 규모나 시설 등의 확충이 절실히 필요하다. 5) 과반수 이상이 군차원에서 새로운 메뉴개발을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면 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으므로 함평군 차원의 메뉴개발 교육 혹은 메뉴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상에서 얻은 결론은 함평의 관광지로서의 가능성과 관광 상품으로서의 음식개발에 대한 선행연구를 찾아 볼 수 없으므로 타 논문의 결과와는 비교할 수 없으나 지역축제와 연계한 향토음식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인 특산물인 함평한우, 오리 등의 육류와 굴, 보리새우, 낙지, 조기 등의 해산물과 버섯, 단호박, 감, 복분자 등의 과채류를 이용하여 함평특유의 향토음식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며, 이의 적정한 가격은 1~2만원대가 적합하고 현재 함평에서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업소는 그 규모가 영세하여 함평군의 나비축제를 성공적으로 개최 운영하기 위해서는 그 규모나 시설의 확충과 군차원의 대대적인 Korea has been greeted with the generation of localization from the beginning of self-governing system in 1995. In other words local residents are looking for ways to activate their region based on purpose of 'self administration'. They are not depend on administration of central government anymore. As above what has been a nationally competitive 'cultural sightseeing festival' is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of Jeollanam-do. Butterfly Festival made believe Ham-pyeong district as a 'ecologic and nature-friendly agriculture district' and contributed activation of local district and make new demand of sightseeing. Futhermore in 2008, Ham-pyeong has a plan to advance 'Butterfly Festival' to 'World Insect Festival'. The fact that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has been advanced is true. But to get more social and economic benefit, they need to lead expansion of cost from tourist and develop native local food and commercialize it. This research is made to give advice and direction to native local food development and supply it to tourists participated in "Butterfly Festival" standing on questionnaires from restaurant employer, employee and tourist. The result is following. 1. The former native local food is investigated as pickled gizzard shad specialty of Ham-pyeong, bibimbap, pickled butter-fish, common octopus and so on. Representative specialities of Ham-pyeong are Ham-pyeong Korean beef cattle and duck as kind of meat, oyster, small shrimp, common octopus and a yellow corvina as kind of seafood, mushroom, sweet-pumpkin, persimmon, pomegranate, and Bokbunja(Korean Raspberry) as kind of 'fruits and vegetables'. 2. The result from general tourist 1) When they choose sightseeing resort, they put a first 'scenery' and more than 80% answered scenery, food, lodging and transporting are all important. 2) When they dine in sightseeing resort, they seemed to like to eat native local foods, this implies that if resort doesn't have local customs food or native local foods they miss benefit of sightseeing resort. 3) In the food of Ham-pyeong, seafood, Korean beef cattle, and Bokbunja have high priority order and the food is comparatively unknown than local festival image and butterfly festival image. Public activity of foods connected with local festival is needed. 4) In foods, the taste is more important than cost and service. So development of menu focused on taste is needed.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eating out cost of Ham-pyeong, From 10 to 30 thousand won for each is 53.6% of responder. They need to develop a multiplicity of 10∼20 thousand won menu. 6) In Ham-pyeong, well-known food is seafood and wanted to eat food is same as above. So when they develop menu, the order of seafood, health food and Korea beef cattle is needed to reflect the trend of dining like preferring fish to meat and preferring health food to high-calorie food. 7) As the result from who have never been Ham-pyeong, 78.6% of them don't know about Ham-pyeong well. So PR(Public Relations) of Ham-pyeong through TV, newspaper, magazine is needed . 3. The result from restaurant employer 1) More than 55% of restaurant employer of Ham-pyeong managed 4∼5 years or more than 10 years. 2) In a main dish of restaurants, by cooking the meat was the first and then fish, birds. Development of order of meat, fish and birds looks proper. 3) Most of customers come to restaurant on lunch time. Profound development of lunch special is needed. 4) Most places are composed of less than 3 employees. It states that many restaurants of Ham-pyeong are insignificant and have a form of managing by a family. Expansion of scale and facilities is needed for increasing of tourist. 5) More than a half of responder answered that if district administration have a course of development of menu, they would like to attend. Active PR of development of menu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menu managed by Ham-pyeong district is needed. According to above results I could conclude though I can't compare with the other research because there is no former research. To develop menu connected with Ham-pyeong local festival, need to use representative specialty of Ham-pyeong like Korean beef cattle, duck, oyster, small shrimp, common octopus, a yellow corvina, mushroom, sweet-pumpkin, persimmon, pomegranate, Bokbunja(Korean Raspberry) and so on. The proper price of these is 10~20 thousand won. Expansion of scale and facilities of restaurants and development of menu managed by Ham-pyeong district is essential for successful exhibition and management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nd active nutrition education and PR is needed to develop menu by using specialty. They have to last the PR and development of local native food connected with festival of Ham-pyeong as a sightseeing res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