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인간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의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현정훈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에서 논자는 생명경시풍조가 만연한 오늘날의 사회를 바라 보며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 다. 가톨릭의 가르침과 함께 개신교 윤리신학자인 프란시스 쉐퍼의 견해를 중심으로 인간의 생명과 직결된 개별사안들에 대하여 다루 었다. 우선 여러 학문분야에서 바라보는 생명의 의미와 그 시작점에 대 해 살펴보며 윤리적 상대주의와, 왜곡된 인본주의적 세계관이 인간 의 생명이 경시되어온 배경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공리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주제에서도 그 존재여부에 관한 사회 적 규범 역시 이를 적용하는 인간의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쉐퍼는 오늘날의 사회가 하느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의 생명을 개인의 처분에 맡길 수 없다는 그리스도교적 가르침을 포기하였기 에 인간을 인간답게 대할 수 있는 근거가 사라지게 되고, 생명을 보 호해야 할 가치나 존중해야 할 의무 또한 사라지게 된다고 지적하 였으며, 이러한 변화가 가장 먼저 드러난 곳이 법의 영역임을 말하 였다. 그는 낙태를 허용한 대법원의 한 판례가 미국 사회의 인식 안 에 많은 것을 변화시켰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 판례의 영향력이 특 수함이라는 조건을 넘어 이제는 관행만이 사회 안에 남게 되었음을 말하였다. 쉐퍼는 이러한 몇몇 사례를 통해 시작된 움직임과 대중들의 무관심이 왜곡된 인본주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바라보며, 태어나지 않은 생명의 결정권을 다루는 문제인 낙태를 시작으로, 갓 태어난 신생아 의 생명을 다루고 있는 영아살해, 그리고 같은 관점에서 스스로를 보호하기 어려운 처지에 있는 환자의 문제인 안락사의 주제까지 논 증을 펼쳐나갔다. 쉐퍼는 이 모든 상황들이 점차 합법화로 변화되어 가는 사회에서는 특수한 상황에 처한 인간의 생사여부를 넘어, 모든 인간이 효용가치에 따라 존재 가능 여부를 판단 받는 대상이 될 가 능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이처럼 법과 사회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사회라면, 사회 의 법규가 그 시대의 관념과 사상을 어느 정도 보완해줄 수 있을 것이다. 낙태가 여전히 불법으로 남아있는 사회, 사형제도가 사라진 사회에서는 인간의 생명이 타인에 의해 훼손될 수 없는 존엄한 것 이라는 논리가 자연스럽게 문화 안에 자리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인 생명권을 다루는 여러 주 제들을 윤리신학적으로 접근하며 현 시대상 안에서 해결점을 모색 하고자 하였다. 논자는 쉐퍼의 견해를 바탕으로 오늘날 한국사회에 서 활발히 진행 중에 있는 낙태죄 폐지를 주장하는 움직임에 대한 비판, 영아살해죄 형벌의 감경요건에 대한 비판, 사형제도 존치여부 에 대한 비판을 다루며, 생명이 존중되는 법률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인간의 생명을 바라보는 사회의 사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 안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건강한 법의 토대 위에 하느님이 선물

      • 한국 그리스도인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에 관한 倫理神學的 考察

        진병섭 光州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7

        한국천주교회는 세계적으로 由來없는 自生的인 교회를 세웠다. 그러나 한국 땅에 교회가 뿌리박기까지 오랜 시간, 신앙의 先祖들은 시행착오와 나라로부터의 탄압 속에서 힘들게 脈을 유지하여 왔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바로 수많은 순교자들을 낳게 한 크고 작은 박해들이다. 테르뚤리아노는 “그리스도인의 피는 씨앗이다(《호교론》50, 13)”고 하였다. 다시 말해 한국천주교회는 순교자들의 피가 씨앗이 되어 한국 땅 깊이 깊이 뿌리박을 수 있었던 것이다. 신앙을 얻기까지 교회의 이와 같은 역사적 경험은 교회가 한국 땅에 깊이 뿌리박게도 하였지만, 교회가 백성과 함께 하지 못하고 전교 자유의 획득과 교회 유지에 더 큰 가치를 두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本 논문이 省察해 본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에 대한 교회의 단죄이다. 당시 한국천주교회의 교구장이었던 뮈텔 주교는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을 정치적인 오해에서 온 살인 행위로 규정하고 안중근을 신자가 아니라고 함으로써 그를 교회에서 단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천주교회가 신앙과 전교의 자유를 얻기까지의 역사적 경험들과 프랑스 선교사들이 가졌던 일제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을 살인 행위로 볼 수 있겠는가? 교회는 어떠한 폭력이나 살인도 용납하지 않는다. 단지 특수한 상황 下에서, 자신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당방위를 인정하며, 그러한 특수한 상황이 한 민족이나, 한 나라로 확대되었을 경우에는 정당방위로서의 전쟁을 인정할 뿐이다. 안중근은 자신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것에 대해 단순한 살인행위가 아니라 대한민국 의병의 참모중장으로서 나라의 독립과 동양평화를 위한 어쩔 수 없는 決斷이었음을 역설하였다. 다시 말해 안중근의 행위는 전쟁 중의 군인으로 행한 것이므로 정당한 행위이고, 이 전쟁은 빼앗긴 한국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전쟁이므로 정당한 전쟁이요 방위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 저격을 악을 제거하고 정의를 실천하며 평화를 실현하는 성스러운 과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은 종교적 신앙과 相衝되는 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하느님의 사랑과 정의와 평화를 위해 이 땅에 구현해야 할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사명을 실천한 종교적 행위였다. “Ecclesia sacra, sed semper reformanda est.” 반성하지 않고 회개하지 않는 교회! 잘못에 대해 용서를 청하지 않는 교회는 죽은 교회이다. 예수님께서 몸소 인간의 죄를 씻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셨듯이 그 모범을 따라 교회는 잘못에 대해 반성하고 회개하며 용서를 청할 줄 알아야 한다. 바로 이러한 교회가 살아있는 교회이다. 역사란 훌륭한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고, 부끄러운 부분이 있으면 부끄럽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잘못이 있으면 용서를 청해야 한다. 그 주체가 교회라면 더 더욱 그러해야 한다. 원인이 없는 결과, 과거와 단절된 현재란 있을 수 없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교서 「제삼천년기」를 통해 “교회는 자기 자녀들이 참회를 통하여 과거의 불충한 사례들, 항구치 못한 자세와 구태의연한 행동에서부터 자신을 정화하도록 격려하지 않고는 새로운 천년기의 문턱을 넘어설 수 없으며, 과거의 나약함을 인정하는 것은 우리의 신앙을 강화하도록 도와주는 정직하고 용기 있는 행동(33항)”임을 밝혔다. 이어 발표한 문헌 「기억과 화해」에서는 지난 2000년 동안 교회 안에서 자행된 여러 과오들을 총체적으로 반성하면서 잘못들 고백하고 용서를 청하였다. 이에 발맞춰, 한국천주교회도 2000년 대희년 대림 첫 주일에 「쇄신과 화해」라는 반성문건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 반성문건은 교회가 민족 앞에 고개 숙인 고무적인 일이었으나, 구체적인 사안들이 제시되지 않고 포괄적으로 다루어졌다는 한계를 지닌 반성이었다. 따라서 교회의 반성은 계속되어져야 한다. 「기억과 화해」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기억의 정화는 “과거와 현재의 그리스도인이 저지른 잘못들을 인정하는 용기 있고 겸손한 행위”이다. 그 행위는 “신비체 안에서 우리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유대 때문에, 우리가 비록 우리를 앞서 간 이들의 과오와 잘못에 대하여 개인적으로는 책임이 없고, 그 심판은 오직 모든 이의 마음을 다 아시는 하느님께 맡겨 드린다 하더라도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한국천주교회는 이제 결단을 내려야 한다.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을 단죄했던 당시 교회의 잘못을 현재의 교회는 “신비체 안에서 우리를 서로 결합시켜 주는 유대 때문에” 책임을 져야 한다. 역사 앞에 반성하고 잘못을 고백하고 용서를 청해야 한다. 그 때 교회는 안중근 의사를 한국 그리스도인 안중근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교회는 그 품에 죄인들을 품고 있으므로 거룩하면서도 항상 정화되어야 하겠기에 끊임없이 회개와 쇄신을 계속하는 것입니다(교회헌장 8항).”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founded by Koreans themselves. This has happened no where else in the world. Before the Church was firmly rooted in its faith, its forefathers had already undergone many trials, mistakes and persecution from the national authorities. However, they persevered in maintaining their faith. This faith was especially strengthened by persecutions, both large and small, which gave birth to a great number of martyrs. Tertullianus said: “The blood of Christians is a seed(Apologia 50, 13).” In other words, the root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went deeply into the soil where the seeds of the martyrs’ blood were scattered. Before freedom of faith was acquire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the Church, as mentioned above, enabled it to take root. However, the same historical experiences had negative effects which prevented her from being together with her people and which preoccupied her with the tasks of obtaining freedom of faith and establishing ecclesiastical structures. A good example of this is the Church’s condemnation of Ahn Chung-Geun in relation to his shooting of Ito Hirobumi. A reflection on this example is the theme of my thesis. The diocesan bishop Mutel considered the shooting of Ito Hirobumi by Ahn Chung-Geun a murder case due to a political misunderstanding. Hence he excommunicated Ahn Chung-Geun. This excommunication was the result of the Church’s bitter historical experience of acquiring freedom of faith and also the result of the French missionaries’ wrong knowledge about the Japanese Imperialists. Is it proper to define the shooting of Ito Hirobumi by Ahn Chung-Geun as a simple homicide? The Catholic Church does not allow acts of violence and murder. However only under specific circumstances, does she permit legitimate self-defense as a last resort in order to save desperately one’s life against brutal aggression. If such a critical condition expands to the level of a nation and its people, the Church then allows war to be waged as a legitimate self-defense. Ahn Chung-Geun stressed that his decision to shoot Ito Hirobumi was inevitable and not simply a homicide; it was a military operation performed by the lieutenant general of the Korean Resistance for the cause of his nation’s independence and for the peace of other Asian-Pacific nations. Specifically, Ahn Chung-Geun’s act can be justified because it was done as a soldier under war-time conditions. Moreover, the war can be justified because its purpose was to regain Korea’s independence which had been seized by the Japanese colonialists. In addition, Ahn Chung-Geun thought the shooting of Ito Hirobumi was a holy deed in order to remove an evil, to attain justice and to achieve peace. In other words, the shooting is not incompatible to his religious faith, but rather is a religious act in which the mission of realizing God’s love, justice and peace on earth is accomplished by God’s People. “Ecclesia sacra, sed semper reformanda est.” A Church which neither reflects nor repents, which does not seek forgiveness for its wrongs, is a lifeless Church. Just as Jesus Christ humbly came down to earth in order to redeem creation’s sin, the Church should reflect on her mistakes, repent and beg pardon for what she did improperly in the past. This Church can be referred to as being alive. In history both the remarkable and the scandalous must be recorded. If there is a mistake, then repentance must be sought. If the Church is involved in scandalous cases, the act of repentance is all the more necessary. There is no outcome without a reason, no present without a past. Pope John Paul Ⅱ manifested in his Apostolic letter, Tertio Millennio Adveniente: “The Church is not able to pass to the new millenium, unless she first encourages her children to purify themselves through acts of penitence and to keep away from unfaithful and inert attitudes. It is honest and courageous for the Church to accept her past weaknesses. This contributes to a strengthening of our faith(a. 33).” In his following document, Memoria e Riconciliazione, the Holy Father reflected on the general misdeeds which the Church had done during the last two thousand years, confessed them, and asked for forgiveness. In the same vein, the local Church in Korea issued on the first Sunday of Advent in the year 2000 of the Great Jubilee a document of her own reflection on the past entitled Renewal and Reconciliation. Although the document is considered a monumental effort of the Church repenting in front of the Korean people, it has it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handle specific cases. So the reflections of the local Church need to continue. Memoria e Riconciliazione said, “The courageous and humble act of acknowledging both past and present Christian mistakes is a purification of the memory. Because of the connection between us and the Mystical Body, we are responsible for the wrong acts of those who came before us, though we do not have a personal responsibility for them and the final judgement is reserved only to the omniscient God.” The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now make a resolution. The scandalous burden brought on by the Church’s condemnation at that moment of the shooting of Ito Hirobumi by Ahn Chung-Geun imposes on the current local Church a past debt which needs to be paid off “on account of the connection between us and the Mystical Body.” We have to confess our errors and beg pardon as a part of our history. Only then will the Korean Church be able to call Ahn Chung-Geun a righteous man, to call Ahn Chung-Geun a Korean Christian. “The Church embraces sinners in her bosom. Though she is holy, she needs to be purified. The Church is constantly in the process of repentance and renewal(Lumen Gentium a. 8).”

      • 情報社會의 人間 疎外 現想에 對한 倫理 神學的 考察 : 커뮤니케이션 領域을 中心으로

        송영민 大邱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y say that modern society is Information society. At last, the third wave that Alvin Toffler predicted early came true. Information society makes the quality of human's life improve radically, and changes our life style. Especially, the human could communicate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through an interactive process of the internet, telecommunication, broadcasting that is developed with the radical advance in the computer. Within such wonderful change, they would regard information society as Utopia that solves all problems that society couldn't solve before. It is, however, the time to reflect on whether such a stream of the changes is too extreme. This is because lots of problems in the view of information-communication seriously rise up in our society. In other words, the values to serve the human would be rather contradictive phenomenon dehumanizing. Then, as the human are subordinated to the technology, the humanity is lost, so that it would be finally raised the matter, the crisis of human dignity. In this sense, concerning that the contemporary discourses on the information society are usually treated only in the affirmative perspectives, this thesis could be said a study on negative change, which is especially the phenomenon of human alienation, that is showing in information society. Above all, in the thesis, the researcher tries to focus on the field of communication as a core point in information society. And it was studied by three steps of 'Observation(society analysis)', 'Judgment(theological reflection)', 'Practice(role of the Church)', that is Catholic social teaching's see-judge-act method. Especially, it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Catholic Social Teaching and Church teachings of communication about theological reflection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Chapter I and II, which are observation step, after understanding about information society, the researcher examined how the phenomenon of human alienation is concretely occurring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society. Then, in Chapter III that is judgment step, the researcher studies what is problem and its reason, which is theological reflection about the phenomena. In Chapter IV, which is practice step, the researcher suggests a vision how the Church plays a role in our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Consequently, this thesis examines the phenomenon of human alienation that happens in development of information society, and indicates the limits of information society. Furthermore, in Church's perspective, the researcher tries to point out the fact that the human should have been placed in the central point in information society, with seeking on roles of the Church to improve this situation. In fact, the changes toward information society are a general tendency that is inevitable. We should live in this situation whether we like or not.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t a human being but technology in center of the changes. Therefore, information society of 21^st century is the era that the hope and the uneasiness is over-crossed, and it is the time that spiritual wisdom to dominat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is required, and it is the time that 'Culture of self-examination' is needed. Especially, if development of technology causes all social changes and human is founded in surroundings of the change, meaning to say, if alienation phenomenon of human happens in middle of development by information society, this inspires the interest of the Church which regards the human as the prime principle. Therefore, the Church should observe social issues related with information society in the perspective of human-central, not technology-central. Moreover, the Church has to recognize the current request that human's 'responsibility' should be also magnified as much as human's ability more growth up. Thus, the Church has to help the people in order that human of information society can select right thing and to recognize the responsibility that is given to own without being been subordinated to new change. Moreover, the Church should be free from negative attitude that we shall simply adjust in information society. As the Church looks into the change in the prophetic view, she should find ways how we can maximize the affirmative possibility and minimize contradictory possibility as well. Consequently, for the sake of evangeliza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Church has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the values of information society, and she should evangelize the contemporary world with suggesting the new vision. This is very the mission of the Church in terms of information society.

      •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어려움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과 사목적 제언

        정희채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다문화 사회에 돌입한 우리나라의 현실 속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하여 살펴보고 교회가 그들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 부모의 국가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통계자료를 활용해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경제적인 어려움, 언어문제, 다문화 가정 자녀라는 이유로 받는 차별 및 소외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러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봤다. 먼저, ‘가정과 자녀’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봤다. 자녀가 축복받아야 할 대상이며, 하느님의 선물이고 가정의 주요 목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교리에서는 교회의 세포로서 가정은 생명의 지성소이고, 자녀출산은 하느님의 창조사업에 동참하는 것이라 가르쳤다. 두 번째로, ‘이주민’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보았다. 성경에서는 이주의 연속적인 역사를 갖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과 이주민처럼 사셨던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은 이주민들이 환대의 대상이며 존중해야할 대상으로 인식된다. 마지막으로, 이 두 가지 신학적 개념을 종합하여 다문화 가정 자녀의 신학적 의미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선교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사회교리의 원리들이 그들에게 어ᄄᅠᇂ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제3장은 전체 문맥상 사목적 제언에 다가가기 위한 다리역할을 하고 있다. 즉 교회의 사목적 대안에 앞서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접근방법들을 서술한 것이다. 이는 크게 세 가지 접근 방법을 서술하였는데 먼저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 셋째, 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이러한 논거를 바탕으로 제4장에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회의 역할과 사목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편교회와 지역교회, 본당 공동체의 세 가지 범주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서술 하였다. 먼저 보편교회에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사목의 큰 틀로서 대화, 친교, 일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지역교회의 범주에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사목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사목 프로그램에 있어서 신앙교육이 포함되어야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본당은 다문화 가정 자녀와 첫 만남과 대화가 이루어지는 장소이기 때문에, 사제와 수도자, 평신도 모두 그들을 환대하고 그들이 신앙을 갖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똑같이 사랑받아야 할 우리들의 자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단지 피부색, 언어, 문화의 차이로 인해 차별 및 소외, 편견으로 상처 받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 대한 교회의 목소리는 분명하고 교회는 이들에 대한 특별한 사목적 배려가 필요하다. 즉 그들에게 대화로 다가가고 친교로 가까워지며 선교로 일치를 이루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at attempt to look into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under the reality in our country that has rushed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suggest a way how the churches have to make efforts for them. The first chapter has a thing about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our country. Now the number of them has been increased continually and the countries of their foreign parents are diversifying more and more. And also, I found that they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economic difficulties, language problems, racial discrimination,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so on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The second chapter has a teaching of the church for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there is a teaching of the church for 'Family and the Child' in it. I could know that a child should be blessed and he is a present of God and the main purpose of the family. With this in mind it was taught that the family as a cell of the church is a sanctuary of life and the procreation of a child is a part of the creative business of God by the social doctrine. Second, there is a teaching of the church for 'emigrants'. The Bible shows that the emigrants are cognized as objects of the hospitality and the respect through the figures of Israelis with a history of the successive emigration and Jesus Christ that lived like other emigrants. Lastly, two theological concepts that mentioned before are synthesized and then it is described about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the objects of missionary works and I searched how they should be applied by the principles of the social doctrine. The third chapter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bridge to approach a pastoral suggestion in the whole context. In other words, it is described for the general approach methods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prior to the pastoral alternative. And, I approached it with three methods, that is, legal & institutional aspects, a social aspect and an educational aspect. On the basis of these arguments, I tried to suggest the role of a church and the pastoral alternative for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ourth chapter. First of all, I classified with three categories, the universal church, the local church and the main building community and I described how they can help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as a big stage of the pastoral for them, I searched about conversation, friendship and unity in the universal church. Second, the pastoral must be performed essentially for them in the local church and on these pastoral programs, the religious educations must be included in it. Lastly, all of the priests, monks and laymen have to receive them with open arms and have to lead them to have religious beliefs because the first meeting conversation is accomplished with them in the main building.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our children to be loved without distinction. Nevertheless, they are injured with discrimination,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prejudice due to the skin colors, languages and cultures, etc. The exclamation of a church must be obvious for them and the church must have a special pastoral care for them. In conclusion, we must not only have a conversation but also form a true friendship with them and it should be in accord with them through the missionary works.

      • 한국사회에서 ‘생명의 복음’ 선포를 위한 윤리신학적 고찰 : 인공수정(人工受精)을 중심으로

        김범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the infertility rate grows higher, artificial insemination has become popular very quickly, and Korea is no exception. Furthermore, due to the Korean society where people tend to have strong feelings toward blood relations and having children, the medical community and government, who each wanted the industrialization of infertility and a higher birth rate, did invigorate artificial insemination. Compared to 10 years ago, problems related to artificial insemination have become very deep. However, for some reaso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n't taken a clear position on this problem. It is only recently that the word 'evangelization' has rose upon the Catholic Church. When I say evangelization, it doesn't simply refer to missionary work, but it goes one step further and means to set our standard of judgement, values, interests, trend and origin of idea, and style of life all based on God's words. Accordingly, today the Catholic Church should take a more concrete and firm position when it comes to problems related to bioethics such as artificial insemination. Taking this into account, in this paper, I tried to set the grounding of how the Catholic Church can solve the artificial insemination problem. In order to do so, I have carefully observed the main reasons and phenomenons of the invigoration of artificial insemination and took a resurvey which was previously done 10 years ago, targeted on Catholics in Daegu Archdiocese regarding artificial insemination. The following will be a summary of how the Church should act for the sake of solving the artificial insemination problem. Firstly, the Church should run a bioethics education program to enlighten people about the improperness of artificial insemination and help infertile couples make evangelical decisions.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laity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artificial insemination, and because they don't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semination and fertilized eggs, it is only natural for them to be unaware of the situation the eggs are put in during the artificial insemination cycle, regardless to the fact that those very eggs are starting points of new lives. Moreover, because people don't have much knowledge on artificial insemination and the government approved it as a legal treatment, it is not a surprise that many people have an amicable view on the process. Thus, the most urgent thing to do would be the education regarding this matter. The bright part is that the laity wants this education; nevertheless, since there are cases where people still fail to correspond to the teaching of the Church even after receiving the education, there has to be a more systematically organized program that can help them change their lives in a specific way. Secondly, in order to change the impression of the people that infertility treatment is artificial insemination, the Church should propagate legitimate infertility treatments. These days, it is true that when it comes to infertility treatment, most people think of artificial insemination. However, there is another, more rightful infertility treatment that can be taken instead of artificial insemination. Therefore, the Church needs to inform the people about this and show them how they can actually gain access to the technology. For example, NPT (Natural Procreative Technology) is a technology developed by the Catholic Church which cures the basic problems of infertility. It preserve sexual intercourse between couples and it is inexpensive. Also it has a high chance of getting pregnant and it benefits in women health which helps them have more natural births in the future. Therefore, when compared to othe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t is has much better qualities economically, technically, and physically. Moreover, this technology contains a future program of adoption for infertile couples who are unable to conceive a baby. Regardless, even though NPT is an effective infertility treatment, due to the lack of propagation and professionals, it hasn't been able to take a firm place in Korea. Thus, the Church should take interest in infertile couples and focus on training laity medical personnels to treat infertility. Thirdly, as an independent matter with infertility, the Church should try to establish an adoption culture based on the Gospel. Tying adoption together with infertility can produce a prejudice on adoption and might even make people think that couples with their own children have nothing to do with adoption. In addition, recommending adoption to an infertile couple just because they're infertile is less persuasive in itself and might even end up staining the true meaning of adoption. With this in mind, for adoption to become a service of human lives just as the Church wants it to be, adoption needs to become more common between couples that already have their own. For the Church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endorses adoption to be mainly done for the children in need of a family, it is necessary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 concept of adoption as a service of human lives. Since adoption decisions are highly influenced by one's surrounding, once people get to recognize the right concept of adoption through various ways, it will definitely form a positive atmosphere in deciding whether or not to adopt. For the people who cannot adopt due to practical reasons, they still have many ways left of having a chance to do a service to human lives. They can support children in need of help as foster parents or foster homes, aid the handicapped, single mothers, and elderlies, and participate in Pro-Life Movements.

      • 사형제도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 : 중국사형제도를 중심으로

        서정오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天主教會對死刑制度的主張 - 以中國死刑制度為中心 - 死性制度是現代社會備受關註的主題之一,特別是主張廢除死刑制的人士們更是對中國的死刑制倍加關註。因為時下中國是世界執行死刑最嚴重的國家,並且存在著嚴重的亂用問題。本論文就是在這樣的狀況下,以天主教神學的視角考察中國死刑制度。本論文的第一部份是關於歐洲的死刑制度,雖然死刑制度在東西方都有悠久的歷史,但是,近代有關廢除死刑的主張的濫觴始於歐洲,因此,第一部份是關於歐洲死刑制度的歷史及其發展歷程的內容,在第二節和第三節中對貝卡利亞之後死刑的死刑制及其變化了做了概括。 第二章主要是對中國死刑制度的歷史及其文化背景做分析,以及對現在中國死刑如此執行的根據進行討論,同時,考察中國法界學者的主張和政府的死刑觀,通過對政府的死刑觀和各個學者思想的概括,并從法律角度對中國現行死刑制提出了改善的方案。 接著是討論天主教對死刑的意見,特別是考察聖經是如何記錄死刑制度的。 在舊約中,死刑制度是被以色列民族接受的,但到了新約時代,伴隨著耶穌的新誡命--愛的誡命,死刑制度有了轉變。在耶穌的教訓基礎上,教父們對死刑制度提出了各種意見。教父時代結束后,進入中世紀,神學迎來了黃金時代,這時的多瑪斯對死刑的意見成了教會的依據,直到近代為止。進入近代后,社會學者對傳統發起了挑戰,一向被接受的死刑制度的正當性受到質疑,并提出廢除死刑,這樣,天主教會同樣對死刑制度作了全新的討論,依據聖經的教導,以對生命的理解和對罪的主張為前提,提出來死刑制度的不當性。天主創造的人類具有不可侵犯的人格尊嚴,從教會的創造論角度理解,人必不是其生命的主人,真正的主人是天主。因此,人沒有權利去傷害他人的生命,而且,每個人都避免不了會犯罪,犯罪之後也都有會改的可能性,這種會改的機會他人是無權剝奪的。並對同樣的罪人如何去定他人的最做出了質疑,如此,教會主張廢除死刑制。 最後第四章是從教會的神學角度考察中國的死刑制度,筆者人為,中國的死刑制度的亂用嚴重侵犯了人權和個人的價值。在如此的情況下,天主教會為了死刑制度的廢除能做些什麽,筆者在這裡簡單的提出了幾點意見,鑒於中國教會沒有獲得意義上的宗教自由,教會所能做的也是極其有限,但並非一無所能,教會可以從教會內部做起,比如,本堂神父的作用就是不可忽視,彌撒中的講道,可以通過強調天主教的人生觀而談及死刑制度和教會訓導不符,因而改變教友的死刑觀,另外,慕道班和其他的教育活動也是很好宣傳方法。同時,教會也要與社會其他人士聯合,為廢除死刑而合作,這樣,中國也會與其他國家一樣,最終廢除死刑制。 사형제도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 - 중국사형제도를 중심으로 - 사형제도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문제이다. 특히 사형제도 폐지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중국의 사형제도에 대한 관심이 많다. 왜냐하면 통계적으로 사형집행을 가장 많이 하는 나라는 바로 중국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사형을 많이 집행하는 중국의 사형제도에 대하여 가톨릭 교회가 신학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살펴봤다. 본 논문의 첫째 부분은 서양 사형제도에 대한 내용이다. 물론 동서양에서는 오래 전부터 사형제도를 인정했다. 그러나 근세에 들어오면서 사형제도의 존폐에 대한 논쟁이 서구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서양 사형제도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사형제도에 대한 주장과 그 주장의 이유들을 제시하였다. 이런 논쟁과정이 진행되면서 어떻게 사형제도의 집행이 변하게 되었는지를 제1장에서 연구하였다. 제2장에서는 주로 중국 사형제도에 대한 역사, 문화배경을 언급하였고 중국의 사형제도 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제 중국 정부에서 사형집행을 많이 하는 이론적인 근거에 대해 논하였다. 그리고 사형집행 남용에 대한 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봤다. 동시에 정부차원에서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법학계 학자들의 주장하는 여러 가지 견해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이 중국 현 정부가 실행하는 있는 사형제도를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정부와 학자들이 사형제도에 대한 의견을 종합하여 중국 사형법 개선에 대한 방안을 제2장의 마지막 부분에서 제시하였다. 이어서 장3장에서는 가톨릭교회의 사형제도에 대한 견해를 언급하였다. 특히 성경의 차원에서 사형제도를 어떻게 이해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구약에서는 이스라엘민족이 사형제도를 인정하였으나 신약에 와서 예수께서는 사랑이라는 새 계명으로 전환하심을 밝혔다. 예수의 말씀에 따라 교부들이 사형제도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를 가지게 되었다. 신학의 황금시대를 이룩한 위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형제도에 대한 의견는 가톨릭 신학의 권위 있는 근거가 되어 근세까지 인용되어 왔다. 근세에 들어오면서 일반학자들이 사형제도 폐지를 주장한 후, 가톨릭교회도 이에 대해 다시 토론하였다. 생명에 대한 이해와 함께 죄에 관한 관점에서 사형제도의 불가를 제시하는 입장을 밝혔다. 그 이유는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인간이 생명의 존엄성을 갖는다는 것에 기인한다. 창조론의 관점에서 보면 인간이 인간 생명의 주인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주인이시다. 그러므로 인간은 인간의 생명을 함부로 박탈할 권리가 없는 것이다. 또한 인간은 누구나 죄를 짓을 가능성이 있다. 죄를 지은 인간은 누구나 회개가 가능하고 누구에게도 이런 회개의 기회를 빼앗을 수 없다. 교회는 같은 죄인이 어떻게 다른 사람을 단죄할 수 있느냐 물으면서 사형제도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마지막 제4장에서는 가톨릭교회의 윤리신학적인 입장에서 중국 사형제도가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중국의 사형제도 남용은 인간의 존엄성과 개인 가치를 무시하고 침해하는 것이라고 필자는 주장한다. 이런 현상에서 대해서 중국 가톨릭교회가 사형제도 폐지를 위해 어떻게 대응해야할지를 간단하게 제시하였다. 그러나 중국에 현실적으로 종교자유가 없기 때문에 실제로 할 수 있는 것들이 유한하다. 주로 교회 안에서 하는 것들을 예로 들수 있는데, 본당 신부 역할과 미사강론을 통해 생명의 존엄성을 강조함으로써 사형제도의 폐지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예비신자교리, 또한 기타 교육프로그램 등의 활동을 통해 사형제도 폐지에 관한 긍정적인 인식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가톨릭교회는 법학계에서 사형제도 폐지를 주장하는 학자들과 협력하며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언젠가는 중국에서도 사형제도가 폐지될 수 있으리라 맏는다.

      • 기쁨의 윤리신학적 의미 : 교회 전통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교회 가르침을 중심으로

        박시흥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contemporary society, individualism and consumerism are dominating. Contemporary people have become solitary being(homo solitarius) and egoistic being(homo egoist) continuing to pursue sensual and momentary pleasure(delectatio). This eventually leads people to an autoexploitation compelled by their own desires. This phenomenon induces them to the oblivion or loss of their own identity and subjectivity as persona, which invents a ‘depressed society’. This paper intends to search for a way of liberation from a ‘depressed society’ by reflecting on what true joy i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ffirmation that personal and social depression stems from the indifference or denial of the existence of God who is the eternal and full Good. Inspired by some considerations on the dynamics of human beings’ natural desire for happiness, this study conduces to demonstrating that the fons of true joy lies in the eternal praesentia of God who loves man. The Triune God has invited us to share His true happiness and eternal joy. The deep longing for happiness and joy that fills the depths of our hearts reflects this recognition definitely. This desire is completely satisfied only by the love of friendship(amor amicitiae) shared with Christ. Christ’s Presence(Praesentia) which will be with us to the end of the world makes this sort of love a reality. A Christian is a human being born anew by way of an encounter(congressio) with Christ. The novelty consists in becoming a being that has capacity to create anew his own intimacy and actions formed by the Presence of Love(Caritas) that the Father and the Son eternally share. This intimacy and actions represent nothing other than a communion(communio) with Christ. Therefore, this intimacy and actions can be identified with a place where the pre-taste and enjoyment of true happiness are realized, that is, a locus where the pre-taste and enjoyment of eternal joy are guaranteed. Christian moral life refers to a living which is constructed of good acts embodied by means of subjectively responding to the call of God, the Supreme Good. This living, based on the Presence of Christ and formed through an encounter with Him, can be said to be a life of tasting the joy of love shared with Christ. This means a life in which people enjoy the joy of pursuing and realizing the good of the Persona called Christ by way of accomplishing various goods for Him. Thus, true joy is more than a passing feeling or a simple emotion, because it is correlated with the good of the persona and goods for the persona. The joy of love formed through a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a persona asks an agent as subject for virtues which bestow him with a stable character. That joy of love also brings him to respond subjectively, in the way of virtuous acts, to the Triune God, Who invites us to eternal heavenly happiness. That is why Pope Francis understands joy not only as a virtue of pilgrimage and journey but at the same time as a gift that leads to virtues. The Bible tells us that God’s love, through Jesus Christ, renewed His way of Praesentia in the world. It declares that man is a temple of God. And the Church Fathers emphasize the Presence of Christ in the center of the joy we humans experience on our journey to the Beatitudo. Thomas Aquinas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joy and love we enjoy in the Holy Spirit create a new human being.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clares that the joys and sorrows of the men in the contemporary world are the joys and sorrows of Christians. This implies that supernatural joy(gaudium) is the completion of natural pleasure(delectatio).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Popes have deepened the thought regarding Christian joy on the basis of Scripture and tradition. They reconfirm that Christian joy comes from the Praesentia and Caritas of God. Accordingly, they see it as something that abides persistently even in pain and despair. They declare that this joy is truly the ‘breath’ of Christ and an inner and spiritual ‘peace’. And they invite all Christians to the joy of evangelization and mission which brings the breath and peace of Christ to this earthly world. 현대 사회에는 개인주의와 소비주의가 팽배해 있다. 현대인은 외로운 존재(homo solitarius), 이기적인 존재(homo egoist)가 되어 감각적이고 순간적인 즐거움(delectatio)을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다. 이는 자기 욕망에 의한 자기 착취 현상을 야기했다. 이 같은 현상은 페르소나로서의 정체성과 주체성에 대한 망각 또는 상실을 의미한다. 여기서 ‘우울사회’가 형성되었다. 본고는 진정한 기쁨을 반성함으로써 ‘우울사회’로부터의 해방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개인적, 사회적 우울이 영원하고 충만한 선, 즉 신의 존재에 대한 무관심 또는 부정에서 연유하고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그리고 인간이 본연적으로 지니고 있는 행복에 대한 갈망의 역학에 기초하여 진정한 기쁨의 원천이 인간을 사랑하는 하느님의 항구한 현존에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삼위일체 하느님은 당신이 누리는 참 행복과 영원한 기쁨에 인간을 초대하셨다. 인간 마음의 심연에 가득한 행복과 기쁨에 대한 갈망은 이 사실을 말해 준다. 이 갈망은 그리스도와 맺게 되는 우정적 사랑(amor amicitiae)으로 인해 충족된다. 세상 끝날까지 인간과 함께하는 그리스도의 현존(praesentia)으로 말미암아 이 사랑은 가능한 현실이 된다.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와의 만남(congressio)을 통해 성취되는 새로운 인간이다. 성부와 성자가 나누는 사랑(Caritas)의 현존으로 인해 자신의 내면과 행위를 새롭게 창조해 내는 존재라는 점에 새롭다. 이 같은 인간의 내면과 행위는 다름 아닌 그리스도와의 친교(communio)를 표상한다. 따라서 이 내면과 행위는 참 행복의 선취와 향유가 실현되는 자리라고 할 수 있다. 영원한 기쁨의 선취와 향유가 담보되는 장소인 것이다. 그리스도인의 도덕 생활은 최고선인 하느님의 부름에 대해 선한 행위로써 주체적으로 응답을 구현해 가는 삶을 가리킨다. 그리스도의 현존에 기초하여 그분과의 만남과 친교를 통해 형성되는 이 같은 삶은 그리스도와 나누는 사랑의 기쁨을 맛보는 생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그리스도라는 페르소나(Persona)의 선을 추구하며 그 페르소나를 위한 선들을 구현해 가는 생활을 통해 기쁨을 만끽하는 생활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정한 기쁨은 순간적인 느낌이나 단순한 감정 이상의 것이다. 페르소나의 선 그리고 페르소나를 위한 선들과 상관성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한 페르소나와 맺는 상호 인격적 관계가 가져오는 이 같은 사랑의 기쁨은 자신에게 영속성을 부여해 주는 덕을 스스로 요청한다. 또한, 영원한 천상 행복에로 초대하는 삼위일체 하느님에게 덕행을 통해 주체적으로 응답하도록 해 준다. 그래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기쁨을 순례와 여정의 덕이며 동시에 덕으로 인도하는 선물이라고 이해한다.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당신의 현존 방식을 전혀 새롭게 한 하느님 사랑 이야기를 전해 준다. 인간이 하느님의 성전임을 선포한다. 교부들은 인간이 참 행복(Beatitudo)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에서 체험하는 기쁨의 중심에 그리스도의 현존이 자리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성령 안에서 누리게 되는 기쁨과 사랑이 새로운 인간을 창조한다는 사실을 밝힌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세상의 기쁨과 슬픔이 그리스도인의 기쁨과 슬픔임을 천명한다. 이는 초자연적 기쁨(gaudium)이 자연적 즐거움(delectatio)의 완성임을 함의한다. 공의회 이후의 교황들은 성경과 전통에 기초하여 그리스도인의 기쁨에 관한 사유를 심화시켜 간다. 그리스도인의 기쁨이 하느님의 현존과 사랑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재확인한다. 그래서 고통과 절망 가운데서도 항구하게 지속되는 것이라고 본다. 이 기쁨이야말로 그리스도인의 ‘숨’이며 내적이고 영적인 ‘평화’라고 선포한다. 그리고 이 지상 세계에 그리스도의 숨과 평화를 전하는 복음화와 선교의 기쁨에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초대한다.

      • 안중근 토마스의 砲殺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신앙과 민족의식의 통합 측면에서

        노형호 仁川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교회는 시대의 징표를 읽고 그것에 대답하여 희망을 줄 수 있는 삶을 살아야 한다. 역사와 민족과 신앙으로 바라본 시대의 징표는 세상과 사회의 현실을 똑바로 보고 바로 그것이 교회가 처한 자리임을 알려준다. 하느님은 인류의 역사에 언제나 개입해 오셨고,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을 통해 궁극적인 개입을 하셨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그리스도교는 항상 시대와 역사의 징표에 적극적으로 응답해야만 한다. 본 논문 또한 그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구체적, 현실적 상황 안에서 신앙심과 민족의식을 조화시킨 안중근 토마스의 활동을 다루어 보았다. 안중근은 전교활동을 비롯한 종교적 활동뿐만 아니라 애국계몽운동과 무장독립운동을 조화시킴으로써 당시 우리나라 역사가 걸어가야 했던 올바른 방향을 제시했고 이를 실천했던 인물이다. 특히 그의 하얼빈 의거는 스스로 천주교 신앙에 어긋나지 않는 성스러운 과업으로 인식하였으며, 그 자신은 이를 단순한 살인 행위가 아니라 국가와 민족을 위한 한명의 군인으로서 독립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적장을 사살한 군사행동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안중근의 의거가 일어났을 당시 한국천주교회는 그의 의거를 살인으로 규정하며 단죄하였다. 이후 교회 내에서는 그에 대해 언급하기를 회피함으로써 안중근이 천주교 신자였다는 것이 역사 속에서 점점 잊혀져 가고 있었다. 그럼 과연 안중근의 의거는 정당한 것인가?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의 포살을 한국의 독립을 위한 ‘의로운 전쟁’으로 주장하였다. 필자는 여기서 안중근의 의거가 갖는 정당성과 합법성을 살펴보면서 그의 의거에 원천이 되었던 신앙과 민족의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종래의 ‘의로운 전쟁’ 이론에서 살펴본 것처럼 당시의 의병운동은 정당한 전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문제시되는 것이 있다. ‘의로운 전쟁’에는 합법적인 정부 또는 통치자에 의해 전쟁이 선포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그러나 이 조건이 급변하는 시대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당시 한국은 ‘을사조약’ 등 여러 조약을 일본 군대를 앞세워 강제로 체결할 정도로 합법적 정부의 기능이 마비된 상태였다. 그뿐 아니라 이등박문은 총명한 고종을 폐위시키고 좀 모자라는 황제를 등극시킨 상태였기에230) 안중근은 국민의 자구책으로 의병을 일으켜 의병참모중장으로 침략군인 일본군대와 맞서 싸워야 했다. 이와 비슷한 다른 나라의 예를 보면, 프랑스에 대항한 알제리의 게릴라전이나 영국에 대항한 키프로스의 독립전쟁 같은 소위 해방전쟁들도 비록 독립국가에 의해 수행되지는 않았지만 정당한 전쟁으로 인정되었다. 그렇다면 한국의 독립을 위한 의병운동 역시 정당한 전쟁으로 인정 받는데는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안중근 의거에 대한 각종 연구들과 필자가 제시한 논거들은 그의 의거가 이러한 조건들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실히 보여준다. 또한 그의 의거는 신앙심과 민족의식이 분리된 것이 아니다. 그는 기도로 저격을 준비하였고, 기도 속에서 저격을 실행했고, 자기의 의거가 완성되었음을 하느님께 감사드렸다. 필자는 앞서 여러 곳에서 “천명”에 근거한 그의 역사 해석에 관하여 언급했다. 그가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면서 한국의 전통 사상과 그리스도교 사상이 이러한 천명 인식의 토대를 제공해준 것으로 보인다. 안중근에게 있어서 이 두 원천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그 무엇이다. 교회는 그의 의거를 단죄하였지만, 신앙은 그의 의거를 방해하지 않았다. 안중근에게서의 천명은 단지 신앙만의 문제가 아니라 신앙을 포괄하고 민족의식을 포괄하는 하나의 삶의 행위로 성격 지어져야 한다. 신앙을 외면하지 않으면서도 신앙에 갇히지 않는 안목으로 민족의식을 해석해 가는 하느님 다스림으로 의거를 바라볼 때, 비로소 그의 의거가 바르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우구스티노는 일관되게 교회 밖에 구원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에게서 교회란 무엇을 말하는지 다시 한번 되짚어 생각할 필요가 있다. 그에게서 교회란 당대에 가시적으로 제도화되어 가던 로마 교회를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는 분명히 다른 교회 비전을 가지고 있기도 했다. 곧 그에게서 교회란 일차적으로 예수를 기억하며 하느님의 사랑의 명, 곧 천명이 수행되어 가는 바로 그 자리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오히려 역설적으로, 만일 어떤 한 교회가 하느님께서 베푸시는 사랑의 자리가 되지 못할 것 같으면, 그런 교회 내에는 구원이 없을 수 있는 것이다. 안중근의 의거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교회의 가르침에서 합법성을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는 하느님의 사랑의 명이 수행되는 행위였다. 그러나 그러한 이론을 원용하거나 서구 교회와 신학의 종속적 입장에서가 아니라, 민족의식을 가지고 민족주의적 역사의식과 신학에서 그리고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려는 민족 주체성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한 평가가 있을 때 안중근은 교회 내에서 새로운 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