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지역 가톨릭 도입과정과 노안 본당의 역사 : 노안 본당 100년사

        김경욱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No-ahn parish (old Gye-ryang parish churc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is the oldest parish church second to the Sanjung-dong parish (old Mok-po parish) established in 1897, and is a parish with long history enough to celebrate an anniversary mass for the 100th in 2008. However, there is a lack of historical data to shed new light on the historical value of No-ahn parish, and even the existing data are actually disappearing due to the inadequate storage. Therefore, the necessity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data related to No-ahn parish has been brought up consistently in the diocese. A review on the history of No-ahn parish is an examination of the primary images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beyond simply revealing the historical facts of a parish itself. Because No-ahn parish is where the archdiocese of Gwang-ju strengthened itself basing on developing into the present condition and it is a local foundation that could make diocese into the present position. Economic and educational situation of No-ahn was poor because it locates geographically in the suburb of Na-ju and agriculture were considered as a primary industry. Contrary to the this poor situation, the fact that the seeds of the gospel were sown and reared this evangelical local community gives us a meaningful message. Not only that, but how they maintained a religious belief in various historical circumstances over 100 years gives a high historical value. The historical values of No-ahn paris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stablished and has been maintained since Jo-seon diocese periods till the jurisdiction was transferred to the establishment of Dae-gu archdiocese, and once again belonged into the archdiocese of Gwang-ju, as like No-ahn Parish experienced and encountered changes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Secondly, the No-ahn parish, which was established in 1908 experienced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and vacancy of a parish priest during the Korean War, and has maintained faith, even when the number of inhabitants decreased due to the farm-abandonment phenomenon in 70~80’s. This fact that the No-ahn parish affrontedmany historical changes would be historically valuable. Thirdly, as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preading Catholicism in Gwang-ju area, they paved the foundation for the people of Jeollanam-do province, where it once was a barren wilderness of catholicity, to be expanded as today. Fourthly, they are maintaining the existence as an extraordinary catholic village of the archdiocese of Gwang-ju, and they can be established as a model of belief in the diocese. Fifthly, the edifice itself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auditorium-typed Western catholic architecture among churche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a historical value as the first Catholic church around Gwang-ju in the regional point of view.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ituations of Jeollanam-do and process of establishment until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and investigated difficulties how the priests went through in evangelizing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lso, this study will research efforts how No-ahn parish made to spread the Gospel around the regional community through education projects, and how No-ahn parish is maintaining evangelical community with the village community and living today. And this thesis also tries to get a useful for those whom live today. Specially, in regards to the founding year of the parish, this study will investigate Father Noh Jacob’s argument that the parish was established in 1895, and tries to insist that the No-ahn parish was constructed in 1908 by criticizing his argument providing truth worthy data. However, in spite of the trial to collect all related materials on No-ahn parish for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far from sufficient. Therefore, I, personally, hope and pray for being supplemented through studies by church and the academic sphere in the future. 노안 본당(옛 계량 본당)은 광주대교구에서 1897년에 설립된 산정동 본당(옛 목포 본당) 다음으로 1908년에 설립된 가장 오래된 본당이며, 2008년에 본당 설립 100주년 감사 미사를 봉헌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본당이다. 그러나 노안 본당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할만한 역사적 자료가 부족하고, 기존에 보관되어 있던 자료들도 보관 미숙으로 소실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그동안 노안 본당에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교구 내에서 꾸준히 제기되었다. 노안 본당의 역사를 조명하는 작업은 단순히 한 본당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차원을 넘어서서 광주대교구 초기의 모습들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광주대교구가 지금의 모습으로 성장하는데 그 초석을 닦은 곳이기 때문이다. 노안은 지리적으로 나주에서도 외곽지역에 있으며 전통적인 농업을 주업으로 삼는 곳이기 때문에 경제적․교육적 상황이 열악했다. 그런 곳에 복음의 씨앗이 뿌려져 지금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며 지역사회와 교회가 일치된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음은 그 자체로 많은 교훈을 준다. 그 뿐 아니라 100년이 넘는 시간을 지내면서 여러 역사적 상황들 속에서도 신앙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노안 본당이 가진 역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교구 시절에 설립되어 유지해오다가 대구교구가 설립되면서 관할이 이관되었고 최종적으로 광주교구 소속이 됨으로써 한국 천주교회의 변화를 온 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둘째, 1908년에 설립된 노안 본당은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때에는 주임신부가 공석인 상황을 겪었으며 70~80년대 이농현상이 심화되어 교세가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신앙을 유지해 나갔다. 이처럼 한국의 역사적 변화를 온몸으로 겪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광주지역에 천주교가 전해지는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천주교 신앙의 불모지였던 전라남도 지역의 교세가 오늘날처럼 확장될 수 있었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넷째, 광주교구의 보기 드문 교우촌으로서 현재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구 내에서 신앙의 모범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섯째, 성당 건물은 일제 강점기에 건축된 성당 중 강당형 서양 성당건축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성당이라 할 수 있으며, 지역적으로도 광주인근 지역에 처음 생긴 성당 건축물로서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또한 노안 본당이 생기기까지 전라남도의 상황과 설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후의 교세 확장과정과 제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 때에 겪었던 사제들의 어려움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노안 본당이 펼쳤던 교육사업들을 통해 지역사회를 복음화 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바를 살펴보고, 노안 본당이 마을 공동동체와 어떻게 복음적 공동체를 이루어가며 생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얻고자 한다. 특별히 본당 설립년도와 관련하여 1895년에 본당이 설립되었다는 노 야고보 신부의 주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대해 근거 자료들을 비판하고 반박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노안본당이 1908년에 설립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한편 본 논문을 진행하기 위해 노안 본당과 관련된 자료들을 최대한 수집하려고 노력했으나 자료들이 턱없이 부족했다. 따라서 이후에 교회와 학계에서 이어지는 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희망한다.

      •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에 관한 연구 : 광주 가톨릭 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현철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anger management status and the method of solution. First, what is it like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 and the feelings of anger? Second, what are the anger releasing methods for catholic seminary student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117 students in Gwangju Seminary participated in the survey. 115 answer sheets out of total collected ones are used for the study. The materials collected for the study a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 12.0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differences. These are the results proven through analysis of the materials. The subject 1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catholic seminary students' feeling of anger is and what the expression of their anger is. First,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eminary students' the feeling of anger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tudents who are intending to be priests control their anger emotions well. It shows that seminary students have a passion to be models in communities by following Christ's teaching; seeing the world through God's eyes. Second, as the result of studying the catholic students' anger emotions through three sub-variables (aggressive feelings of anger, passive feelings of anger, claiming anger emotion), most of the seminary students appear to express their angers properly. It shows that because seminary students have been well trained in every area such as sexuality, personality, moral characters, intellectual characters and spiritual characters with special education, they express their angers in positive ways rather negative ways with care and warm perspectives toward the world and neighbours. The subject 2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seminary students release their angers. First, as the result of general examination of the way that seminary students use to release their angers, the students appear to use various ways of releasing their angers. They especially release their angers through communication to express their situations and to let others understand them and to be empathetic. Second, by studying the religious aspect of how they release their angers, most of the students control their angers through conversation with fellow seminary students, eucharist adoration and prayers. The students who have the specific mission to be priests try to handle their high emotions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Go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ese as follows. Seminary students experience variou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anger.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and given attention to in which situation they experience angers and how they express them. There is a need to have the right education that angers which students feel is not necessarily negative. Since most of seminary students have a tendency to perceive high emotions, angers, hot-tempers, harsh words and cussword as sins, it requires concrete efforts to have right and healthy lives through spiritual life, communicative life and sacramental life. It is necessary to help seminary students to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Ange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even original sins in the traditional church teaching. However beyond the perception of anger, it is necessary to teach that anger is from God and it is a natural emotion. Through this, the environment which seminary students can express their angers in a healthy way in their spiritual and religious lives can be created. Lastly not only the spiritual counselling but also psychological counselling is needed. Most of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solve their anger problems through spiritual level. It is needed to have a system with specialized counselors to support and counsel them with daily unstable emotions such as depressions, anxiety, low self-esteem, jealousy and so on. 본 연구는 가톨릭신학생들의 분노 실태와 분노를 해소하는 방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방법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117명의 신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최종적으로 115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각 설문에 대한 빈도분석과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와 분노 표현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정서를 3가지 하위 변수(공격적분노정서, 소극적분노정서, 주장적분노정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사제직을 희망하는 신학생들이 대부분 자신의 분노정서를 잘 다스리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이웃과 형제를 사랑하라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통해 하느님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타의 모범이 되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표현을 3가지 하위 변수(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를 통해서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신학생들이 자신의 분노 표현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신학생들이 신학교의 특수한 교육을 통해서 성, 인성, 덕성, 지성, 영성 등 모든 분야를 통해 양성되어지고 있기에 이웃과 형제들에게 자신의 감정 표출이 부정적이기 보다 긍정적인 표현으로 상대방을 배려하며 세상과 이웃을 보다 따뜻한 시각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연구문제 2는 가톨릭 신학생들의 분노 해소 방법은 어떠한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첫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일반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신학생들은 분노를 다양한 방법으로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대화라는 창구를 통해 자신의 처지를 밝히고 상대방이 자신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마음을 통해서 분노를 해소시키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가톨릭 신학생들이 분노가 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소하고 있는지 종교적인 해소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분노를 해소함이 있어 동료 신학생과의 대화, 성체조배, 기도를 통해서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사제직이라는 특수한 사명의식을 지닌 신학생들이 자신의 격해진 감정을 타인이 아닌 하느님과의 대화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신학생들은 신학교 안에서 분노를 비롯하여 여러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하기에 신학생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분노를 경험하며, 표현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조사와 관심이 필요하겠다. 또한 신학생들이 느끼는 분노라는 감정이 부정적인 감정만은 아님을 올바른 교육이 필요하겠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은 격한 감정, 화, 욱하는 성격, 거친 발언, 욕설 등을 죄로 보려는 경향이 많기에 영성생활, 공동체생활, 성사생활을 통해서 올바르고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무엇보다 신학생들이 분노를 건강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분노를 칠죄종의 하나라는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에서 벗어나 분노가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이며, 인간의 자연스런 감정임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그리하여 신학생들이 신앙생활과 영성생활 속에서 분노를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분노해소를 위해 영적인 상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상담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다수의 신학생들이 신앙적인 차원에서 분노를 해소하려는 경향이 많기에 전문적인 심리상담사를 통해서 분노 감정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느낄 수 있는 우울, 불안, 자존감, 시기, 질투 등과 같은 불안정한 감정도 상담해주고 지원해주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 한국 교회 성령 쇄신의 문제점 진단과 방향 모색 : 신학생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이원재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한국 가톨릭 교회의 성령 쇄신 현황을 파악하고 진단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 성령 쇄신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령 쇄신의 원천인 성경에서는 성령의 움직임이 어떻게 이해되며, 성령 쇄신의 발단과 그 성장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성령 쇄신은 무엇이며, 성령 쇄신이 신앙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 가톨릭 교회의 성령 쇄신이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교회 내 다른 운동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어떠한 풍요로움을 가져올 수 있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풀어내기 위하여 한국의 7개 가톨릭 신학대학교 중 3개의 신학대학교 신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457명의 신학생들이 설문에 참여하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이 설문 조사의 결과를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의 내용과 분석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다음, 각 배경 변인에 따른 반응상의 차를 알아보기 위해 X2(chi-square)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 문제 1은 성령 쇄신의 원천인 성경에서 이해되는 성령의 움직임에 관한 연구와 성령 쇄신의 발단과 그 성장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구약 성경에서는 창조 질서의 축인 자연과 인간 안에서 하느님의 영(靈)을 힘과 생명력으로 이해하고 있었고, 신약 성경에서는 예수님의 영이 제자 공동체에게 전해져 예수님을 알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성령 쇄신의 발단과 그 성장 과정에서는 미국 듀케인 대학에서 시작된 성령 쇄신이 한국에 들어오게 되면서 교회 안에 영향을 미치게 된 과정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 2는 성령 쇄신이 과연 무엇이며,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것인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성령 쇄신이 궁극적으로는 하느님의 성령이 주시는 은사를 최대한 받아들여 신앙 생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운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실질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침으로써 성령 쇄신에 참여한 사람들이 성령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아울러 본 연구의 연구 문제 3은 한국 가톨릭 교회 성령 쇄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진단한 후 그 대책 방안을 제시한 후 교회 내 다른 운동과의 연계를 통해 성령 쇄신이 가질 수 있는 풍요로움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 과정에서 한국의 7개 가톨릭 신학대학교 중 3개의 신학대학교 신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후 성령 쇄신의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었다. 그런 가운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드러났고, 특별히 성령 쇄신과 교도권과의 관계에서, 은사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오는 그릇된 은사 사용에서 그 문제가 더욱 심각했다. 따라서 교회 내 여러 학자들과 성령 쇄신 내에서 문제점 극복을 위한 방안들을 참고하여 대안을 제시하였고, 교회 내 다른 운동들, 포콜라레 운동의 새 가정 운동과 소공동체 운동과의 연계를 위한 사목적 검토를 통하여 성령 쇄신이 더욱 풍요로워지고 기초를 단단히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4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성령 쇄신이 교도권의 충실한 지도를 받으며 이 운동을 펼쳐 나가야만 본래 성령 쇄신이 탄생하게 된 그 배경인 신앙 생활의 쇄신이라는 주된 목적을 흐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는 내용이다. 그것은 성령 쇄신이 그동안 신자들의 영적 성장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 동시에 은사에 대한 그릇된 이해 때문에 영적 성장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미래 사목자가 될 신학생들이 성령 쇄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만 더 이상 성령 쇄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이 드러나지 않게 될 것이다. 또, 사회 내 기초 공동체인 가정의 파괴가 심각해져가는 현대 사회 안에서 공동체의 일치를 가져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성령 쇄신이 가정 공동체 안에서 활성화 된다면 가정 파괴라는 사회적 문제도 줄어들 것이다. 그것은 바로 교회 공동체와 관련된 아주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기초 공동체의 활성화를 가져오는 포콜라레의 새 가정 운동이나 소공동체 운동 등에서 일정 부분을 도입하여 성령 쇄신을 활성화 시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성령 쇄신이 성령의 움직임을 자신 안에 극대화하여 신앙 생활의 쇄신을 가져오도록 하는 것이라 한다면 교회 안에서 올바르게 이해되고 실행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지도하고 보호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imary goal of my research i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e of the Holy Spirit Renewals for diagnosing actual problems in Korean Catholic Church and to seek the method making the Holy Spirit Renewals more abundant. To achieve the goal, I set three research subjects. First of all, I want to figure out how the movement of Holy Spirit is considered in Bible, the source of the Holy Spirit Renewals, and what the inception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The second one is to answer what the meaning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and what takes place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Lastly, I try to find the problem that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in the Holy Spirit Renewals and things that can be brought through connecting to other movement in the church. To answer these questions, I conducted some surveys which were subject to 477 seminarians in 3 out of 7 seminaries. The data in this paper was analyzed by using SPSS/PC+ 10.0 program which helps compute the frequence rate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the aim of the analysis, and I used X²(chi-square) to discover the gap among variables in this study. Let me describe the results of my research briefly in the following. As to the first subject,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ovement of Holy Spirit in Bible and the process of the Holy Spirit Renewals from its beginning, I found out that Holy spirit is considered as the energy and vitality that appears through the nature and humans alike. That is the axis of Creation according to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Testament, however, the Holy Spirit takes a role that helps the disciples realize the existence of Jesus. Additionally I could find out the effect on Korean Catholic Church by the influx of the Holy Spirit Renewals that came from Duquesne University in America. The second subject that I mentioned before is to seek what the Holy Spirit Renewals is and how the Holy Spirit Renewals would effect the religious life of the Roman Catholics. While doing the research, I grasped that ultimately the the Holy Spirit Renewals is the movement that helps believers improve their religious life by adopting the grace that the Holy spirit of God gave them. Furthermore, through the Holy Spirit Renewals, believers participating in it can be more susceptible in 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Holy Spirit. The last subject dealt in this research is to diagnose the problems that the the Holy Spirit Renewal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holds and to propose the solutions and the way that can make the Holy Spirit Renewals more abundant. To do the research, I carried out the survey targeting 477 seminarians in 3 out of 7 seminaries. After analyzing the data, I found some problems in the Holy Spirit Renewals. Among the problems, misunderstanding the grace of God and misusing it is the most serious one especial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Spirit Renewals and the power of magisterium. Thus, I suggest some alternatives for surmounting the problems referring to the theories some scholars proposed and for laying the foundation of the Holy Spirit Renewals firmly through the ministry by connecting small group activities to other activities in Catholic Church such as new family movement of Focolare movement. As a result, the main point of this research is only when we do the Holy Spirit Renewals under the power of magisterium, we can achieve the primary goal, which is to revive our religious life. It is caused from the fact that the Holy Spirit Renewals can positively effect the spiritual improvement of believers, and at the same time bring negative effects because of misunderstanding God's grace. Furthermore, not to make the problems worse, it is essential that the seminarians who will enter the priesthood comprehend the Holy Spirit Renewals correctly and get upright lessons to be the leader of believers. Additionally it can be assumed that the Holy Spirit Renewalscan lessen family breakdown because the aim o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to bring solidarity in communities in contemporary society, when the basic unities - family - are broken down more easily.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related to the Catholic church. Thus, if the Holy Spirit Renewals is invigorated with The New Family Movement of Focolare and other small group activities, it will bring the better consequences. Above all things, regarding the Holy Spirit Renewals as the way that reforms religious life by maximizing the movement of Holy Spirit in oneself, the Holy Spirit Renewals should be guided and protected to make the movement understood and carried out more accurately in church.

      • 노인사목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를 중심으로

        이국환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통계청은 우리나라가 2030년이면 65살 인구가 전체 인구의 23.1%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이렇듯 노인인구가 크게 늘어나게 되었는데 207년 65세 노인인구는 340만 명을 넘어섰다. 이러한 노인인구의 급성장은 사회 내의 심각한 노인문제를 야기했다. 이러한 우리 사회는 노인인구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복지제도가 아직 적절한 수준으로 정비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며, 그 동안 노인에 대한 부양과 노인복지를 주로 담당해오던 가족의 기능도 점차 약회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중앙정부는 여러 차례에 걸쳐서 법의 일부를 개정하고 보완하였지만 노인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볼 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공공부문의 복지활동 이외에도 비영리단체들이 제공하는 민간부분에서 복지활동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 민간부문에서 복지활동을 담당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비영리단체는 바로 종교단체라고 하겠다. 그 가운데에서도 가톨릭교회는 체계적인 교회조직을 가지고 있기에 타종교단체보다 더욱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활동이 기대된다. 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압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노인들이 주체적인 삶과 안정된 삶의 환경 안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교회의 통합적 노인사목의 신학적 근거와 실천적 당위성의 마련을 위해 노인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과 노인문제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성경 상에 나타난 노인에 대한 개념은 현대 사회에서 노인을 무능하고 퇴보하는 존재라고 보는 부정적 인식과는 달리,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노인은 공경과 존경의 대상이었다. 그리고 이스라엘의 전통적 보상 개념으로 볼 때, 장수는 하느님의 축복으로 여겨졌다. 또한 나이가 많은 사람은 인생과 지혜의 스승이며 동시에 신앙의 전달자였다. 마지막으로 노년은 삶에 완성을 가져다주는 시기이며, 하느님 은총의 징표로 간주되었다. 또한「사목헌장」,「가정 공동체」,「사회적 관심」,「평신도 그리스도인」 등 가톨릭교회의 교도권 문헌에서도 성경상의 노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해 노인사목과 노인을 위한 신앙적 차원의 복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평신도 그리스도인」을 통해 고통과 외로움을 당하는 노인들이 교회와 사회 안에서 올바른 진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과 노인 자신들이 하느님의 구원사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가톨릭교회의 노인에 대한 이해와 통합적 노인사목의 필요성 그리고 서울대교구 노인사목부가 노인들이 가톨릭교회에 바라고 있는 노인사목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앞으로 노인사목의 활성화를 위한 가톨릭교회의 역할을 신앙적, 복지적, 교육·문화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신앙적 측면에서는 노인들이 이 사회를 살아가면서 세상과 이웃으로부터 소외받지 않도록 하며 영원한 생명이신 하느님 안에서 영적인 갈증을 해소하고 행복과 평화로운 마음을 찾을 수 있도록 교회가 배려하는 노인 신앙교육을 제시하였다. 특히 노인들을 위한 교리교육과 죽음 준비교육을 통해 노인 자신이 지니고 있는 하느님의 은총을 발견하고, 자신의 삶과 죽음을 하느님의 은총 안에서 희망으로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노인 신자들에게 전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복지적 측면에 대한 교회의 역할에 대해서는 현재 가톨릭교회 내의 사회복지 체계인 교구와 본당 그리고 가톨릭 기관·시설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교구 차원에서는 노인복지센터 설립의 확대와 노인그룹홈, 가톨릭 실버하우스의 건립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통합적 노인사목의 활성화를 위한 본당의 역할로는 재가노인과 노인요양원, 실버타운 등에 거주하는 노인신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과 본당 내의 서비스 전달체계의 확립을 제언하였다. 교육·문화적 측면에서는 노인대학의 활성화와 노인이 주체가 될 수 있는 사목적 배려인 노인자원봉사를 제시하였다. 특히 노인 자원봉사활동은 양방향성과 치료성, 자조성이라는 세 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도 많은 효과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 본당 안에서 노인신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 영역을 개발하여 노인들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생산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교회가 노인들에게 노년의 의미와 존엄성을 다시금 회복시킬 수 있다면 그것은 노인을 위한 복음화이며 동시에 삶의 희망을 되찾아 줄 수 있는 길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교회가 노인들을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과 사목적 배려를 통해 통합적인 노인사목의 노력을 기울인다면, 현재 노인들이 삶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함으로써 그들의 삶을 행복한 노년으로 이끌어 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ounced that we will go into the society of an advanced age, so the 65-old will amount to 23% of all population in 2030. As the average life span increase, as of 2000, the old exceeded 340million. this rapid growth of the old made serious the old problem in society. But in spite increasing the old, social welfare for them is not yet improved properly in our society, and that the function of family charged the old welfare and support tends to be decreased. so central government tried to make a partial amendment of law, but it is in fact insufficient to solve the old problems.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welfare work of public section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erve, it is required to be served for the welfare work of civil section by a nonprofit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nonprofit organization that has the good condition to be charged is religious group. Among them, as the Catholic church has the systematic organization, so it is expected to work effectively than any other religious group.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and role of Catholic church for the old to prepare religious basis and practical making a case for integrated old people's pastoral of church to enable old people to live in the environment of subjective and stable life The concept of old people in Bible, unlike negative recognition in present society which regard old people as incapable existence,, considers old people positively. In particular, the old was the target for respect and admiration. And as considered with traditional compensative concept in Israel, longevity was the master of life and wisdom, and simultaneously messenger of religion. At last, the senescence was regarded as the period which bring the completion into the life, and as the sign of the grace of God. Additionally, literature of Catholic church such as「Gaudium et Spes」,「Familiaris Consortio」,「Sollicitudo rei Socialis」,「Christifideles Laici」, and so on describes that old people's pastoral and religious welfare for the aged must be done together with upright recognition of the senescence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aged on Bible. Particularly, in「Christifideles Laici」, Pope John Paul Ⅱ emphasized that we must help old people who suffer pain loneliness find upright position in church and society, and consider that old people themselve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lief of God. Nest, this study suggested the orientation of the role of Catholic church to revitalize old people's pastoral by dividing into religious, welfare, educational and cultural side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old peoples the necessity of the integrated old people's pastoral, and the result of survey of what old people want Catholic church to do for old people's pastoral. First on the side of religion, this study suggested religious education for the aged that church considers to help old people not to be neglected from the society and neighbor, to solve spiritual thirst in God who is the eternal life, and to find peaceful. Particularly, church must send the viewpoint of old believer that can find the grace of god which old people themselves have with dogmatic education and education to prepare their death, and see their own life and death as a hope in grace of God. And on the side of welfar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church by dividing in diocese, parish church, Catholic organization and facilities which are social welfare system within Catholic church.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arish must expand the establishment of old people's welfare center, and establish old people's group home and Catholic silver house. And for the role of parish church to revitalize integrated old people's pastoral,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pastoral consideration for the aged staying at home, and old believers staying in nursing home and silver town, and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delivery system within parish church. On the side of education and culture, this study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of old people's college, and the voluntary of old people which the aged can be a subject. In particular, old people's voluntary activity has three characteristics, two-way, treatment and self-dependence, and also it has many effects on individual and social side, so church must consider to enable old people to live their own life subjectively and productively by developing voluntary territory which old believers can participate in. If a church can make old people restore meaning and dignity of senescence, it is to preach the gospel to them, and simultaneously it can be a way that can regain the hope of life. If a church makes an effort for integrated old people's pastoral with various programs and pastoral consideration for old people, it can slove difficulties that old people currently have undergone in their life, and in conclusion, it lead their life to happy senescence.

      • 사제 양성에 대한 영성신학적 고찰 : 복자 앙트완느 슈브리에 신부의 영성을 중심으로

        정일준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istory of catholic priestly formation and provide an outlook on its future. It is a spiritual research method in practical theology, which examines the values needed for priestly formation i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and suggests an ideal direction. Based on its history, we study specifically how the priests have been trained in the universal church and local churches. In addition to this, we study the ministry and spirituality of Father Antoine Chevrier, and, based on this study, go on to suggest a direction for priestly formation i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Priestly formation in the universal church was intensively discussed at the Council of Trent and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priest training process before the Council of Trent was not as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s today. Therefore, many priests, not well educated, were dispatched to the public. This situation caused numerous problem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hurches, thus the Council of Trent was held for reforming the Church. The Council of Trent, with its focus on reforming the Church, beca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oper priestly formation and from this point on, interest and effort started to increase. Discussion on Priestly formation began in earnest at the Second Vatican Council. Since then, ‘Honest Poverty’, ‘Service’ and ‘Devotion’ have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realize the spirit of the Council in a large number of catholic literature. The spirit of priestly formation in the universal church has been see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one of the local churches.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church, theology students were sent to seminaries in foreign countries and received commissioned education to be Korean native priests because Korea was a mission frontier where Christians were persecuted. Since the theological seminary was founded in the country, priestly formation in the country has been going above and beyond producing Korean native priests, with its focus now on producing universal priests equipped with ‘Honest Poverty’, ‘Service’ and ‘Devotion’. Finally, the Korean church inherited and followed the spirit of the universal church, the spirit of becoming true disciples of Jesus Christ, and has firmly established the main value of priestly form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ife and spirituality of Blessed Father Antoine Chevrier (1826 - 1879) who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for Spirituality of the Prado, stand as a good example of ‘Honest Poverty’ and ‘Devotion’, the important factors of priestly formation. Father Chevrier’s ministry was completely based on following Jesus Christ. He was deeply touched by Jesus Christ’s complete self-emptiness and poverty, and his faith began on Christmas, 1856. And he defined the whole life of Jesus as the spirituality of ‘Manger’, ‘Calvaria’ and ‘Tabernacle’. Father Chevrier matched ‘Manger’ with ‘a priest being poor with Him’, ‘Calvaria’ with ‘Priest to be a priest being crucified with Him’, and ‘Tabernacle’ with ‘a priest being eaten as Him in the Eucharist’. Based on these three spiritualities, he encouraged fellow priests and taught theological students, and contributed to making them righteous priests who fully follow Jesus Christ as his true disciples. His spirituality stands as a great example for the theological students who are being trained to be priests and for the priests who serve the people of God in the Korean church today. If the spirituality of Father Chevrier is actively applied to the process of priestly formation i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current Korean church, it will help the priests practically live a life of service and devotion as true disciples of Jesus Christ. 본 연구는 가톨릭 사제 양성의 역사를 살피고,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는 실천 신학을 따르는 영성 연구 방법으로, 한국 교회의 사제 양성에 필요한 가치를 성찰하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보편교회와 지역교회의 사제 양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이어서 슈브리에 신부의 활동과 영성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교회의 사제 양성 방향을 제시한다. 보편교회의 사제 양성은 트리엔트 공의회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었다.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의 사제 양성은 오늘날처럼 종합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했다. 그래서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사제들이 세상에 파견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결국 교회의 내부와 외부에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였고, 교회의 쇄신을 목적으로 트리엔트 공의회가 개최되었다. 트리엔트 공의회에서는 사제들의 쇄신을 위한 올바른 사제 양성에 주의를 기울였고, 이를 기점으로 사제 양성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부터 사제 양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시작으로 다수의 교회문헌에서 사제 양성에 있어서 공의회의 정신을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를 ‘청빈’, ‘봉사’, ‘헌신’으로 보았다. 보편교회의 사제 양성에 대한 정신은 지역교회인 한국교회의 역사에서도 나타난다. 초기 한국교회의 사제 양성은 ‘선교지역’이라는 특성과 ‘박해’라는 특수한 요인으로 외국 사제 양성 기관에 신학생을 위탁하여 방인(邦人)사제를 양성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후 국내에 신학교가 설립되면서, 사제 양성의 방향은 방인사제를 양성하는 차원을 넘어서, ‘사랑, 봉사, 헌신’을 갖춘 보편적 사제를 양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다. 비로소 한국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참다운 제자가 되어야 한다는 보편교회의 정신을 계승하고 따르며, 사제 양성에 토대가 되는 주요 가치를 확고히 설정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프라도 영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복자 앙트완느 슈브리에(Antoine Chevrier, 1826 - 1879) 신부의 삶과 영성은 사제 양성에 중요한 요소인 ‘청빈’과 ‘헌신’의 본보기가 된다. 슈브리에 신부의 사명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름’ 그 자체에 있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철저한 자기 비움과 가난함에 큰 감동을 느끼며 1856년 성탄절에 ‘회심’하게 되었고, 이후 예수님의 전 생애를 ‘구유, 갈바리아, 감실’의 영성으로 정리하였다. 슈브리에 신부는 ‘구유, 갈바리아, 감실’을 각각 ‘청빈한 사제, 못 박히는 사제, 빵이 되는 사제’의 모습으로 연결 지었다. 그리고 3가지 영성을 바탕으로 동료 사제들을 격려하고 신학생들을 가르치며, ‘참다운 제자’로서 예수님을 온전히 따르는 올바른 사제 양성에 이바지하였다. 이러한 슈브리에 신부의 영성은 오늘날 한국교회에서 사제로 양성되고 있는 신학생들과 하느님 백성을 위하여 봉사하는 사제들에게 큰 모범이 될 수 있다. 슈브리에 신부의 영성을 오늘날 한국교회 신학교의 사제 양성 과정에 적극 활용한다면, 사제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참다운 제자로서 봉사와 헌신의 삶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아가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나주 윤 율리아와 연관된 일들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식별

        황양주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하느님의 뜻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무엇이 하느님의 뜻인가? 성령의 현존과 활동은 어떻게 알아볼 수 있는가? 마음속 생각은 어디서 비롯되며 내적 움직임은 어디서 오는가? 신비현상(혹은 기적)과 신비체험이 하느님으로부터 왔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이런 물음들에서 출발했다. 특히 전남 나주의 윤 율리아가 기적을 체험하고 사적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함으로써 한국 교회 안팎으로 혼란과 분열을 일으켰다. 이는 식별의 문제로서 본 논문은 식별에 대한 성경과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을 통해 식별기준을 정하고, 이를 토대로 나주현상을 식별해 보았다. 1. 식별의 본질은 성령의 인도에 따라 시대의 징표를 읽음으로써 하느님의 뜻을 발견하는 것이다. 구약성경에서 ‘영의 식별’이란 말은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선택이라는 개념 속에 포함되어 영의 식별이 실천되었다. 선택은 식별을 전제하고 있기에 선택이 곧 식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선택의 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이 있다. 이것을 ‘영들’이라고 한다. 영들은 다양한데 크게 선한 영과 악한 영으로 구별하며, 이 둘은 모두 하느님으로부터 온다. 이 둘을 구별하는 것이 식별이다. 예언자의 역할은 역사 안에 담겨 있는 하느님의 뜻과 구원계획을 깨닫고 식별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거짓 예언자들이 나타나 스스로 하느님에게서 말씀을 받았다고 하기 때문에 예언자 시대의 식별은 참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를 구별하는 것이었다. 2. 복음서에서 드러난 식별은 ‘사람이 되신 하느님’, 즉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느님 아버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곧 예수님의 신원(하느님의 아들 됨)과 사명(하느님 나라 선포)을 알아보는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 자신이 식별대상이요 식별기준이었다. 그런데 성령을 받은 사람만이 예수님을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로 알아보았다. 그래서 성령의 현존과 활동을 알아보는 것도 식별이다. 성령은 본질적으로 전혀 다른 새로운 가르침, 더 좋은 복음을 전해주기보다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더욱 깊이 깨닫도록 이끌어주고, 교회가 직면하게 될 상황에 그 말씀들을 새롭게 적용함으로써 예수님의 가르침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 예수께서 승천하신 후 사도들과 그리스도인들에게 성령의 현존과 활동을 올바로 깨닫고 인식하는 식별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성령의 활동에 대한 식별은 필연적으로 성령을 따라 사는 삶 안에서만 가능한 일이며, 이 식별은 성령께서 주시는 선물(은사)(1코린 12,10)이다. 그런데 어떤 생각이나 활동은 성령만이 아니라 성령이 아닌 것으로부터 올 수 있기 때문에 성령의 현존과 활동 그리고 은사는 식별되어야 한다. 3. 그리스도교 초기 400년은 우리가 어떤 영을 따르고 어떤 영을 배척해야 하는지에 대한 ‘영들의 식별’이 발달했다. 신앙의 체계를 이룬 400년 이후부터는 선과 악, 어둠과 빛 사이의 식별이 아니라, 겉보기에는 모두 다 선한 것들 사이에서 더 올바른 일이 무엇이고, 하느님의 뜻에 더 합당한 일이 무엇인가를 묻고 찾는 분별이 필요했다. 그래서 이 시기의 식별의 문제는 외적 행동에 대한 분별로 바뀌었다. 4. 중세기에는 ‘영의 식별’이라는 ‘성령의 은사’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겸손과 순종이 선한 영의 기준이며 이러한 미덕들이 없으면 악의 영이라고 했다. 특히 요한 제르송은 처음으로 신비 평가목록과 영적지도자의 역할 그리고 식별기준을 제시했다. 그가 제시한 식별기준은 진짜 동전과 가짜동전을 식별하는 것에 비유하여 겸손(무게), 분별(유연성), 인내(견고성), 진리(도안) 그리고 사랑(황금빛 색깔)이다. 5. 근대에 들어 이냐시오가 교회의 식별전통과 자신의 체험을 종합하여 영들의 움직임을 식별하는 규칙을 집대성하였다. 그는 심리학적 개념인 ‘영적 위안과 실망’을 중심으로 식별을 위한 ‘내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는 인간의 성향이 영적 결정의 동기가 된다고 함으로써 식별의 문제에 있어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즉 식별은 단지 이성적(理性的) 동기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움직임들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적 평화와 기쁨이 성령의 활동의 통상적인 표징이며 하느님의 뜻을 알게 하는 표지라고 한다.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와 십자가의 성 요한은 신비체험을 대하는 올바른 태도는 겸손이라고 했다. 신비현상과 체험은 겸손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하느님의 선물이기에 외면적이고 감각적인 현상을 함부로 요청하지 말고 아예 처음부터 거부하라고 했다. 여기서 중요한 개념이 하느님의 능동성과 체험자의 수동성이다. 하느님께서는 말씀하시고 보여주시고, 인간 편에서는 들리고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험자는 현상과 체험에 대한 진위판단과 인준여부와 상관없이 책임자인 교회에 알리는 것으로 그의 임무는 완수된다. 이렇게 식별의 문제는 구약과 신약성경 시대는 물론 교회 역사상 항상 있어 왔다. 그만큼 미묘한 영적 현상들이 많이 일어났다는 반증이다. 6. 가톨릭 신앙은 공적인 신앙이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자신의 체험과 신념을 주장할 수 있으나 그것을 How do we know God's will? What is His will? How do we recognize the presence and actions of the Holy spirit? Where do our inner thoughts and movements come from? And how do we know supernatural phenomena (or miracles) and experiences have come from God? The thesis is based on these questions. Julia from Naju has created much confusion and division within and outside the Catholic Church by claiming that she had experienced miracles and received a private revelation. Since the whole episode has to do with the matter of discernment, The thesis examines the criteria of discernment through the traditional teachings of the Bible and the Church and based on these findings, it examines the Naju phenomenon. 1. The essence of discernment is discovery of God's will through recognizing the signs of the times, guided by the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the word 'discernment of spirits' has not been directly mentioned although the idea was included in the concept of choice. Since a choice presupposes discernment, the two could be regarded as the same. However, the action of choosing is influenced by 'spirits'. Spirits are varied but can be largely grouped into good and bad and both come from God. Discrimination of the two requires discernment. The role of prophets is to realize and discern God's will and plans contained in history. However, false prophets appeared and claimed that they had received God's words. For this reason, discernment was needed to differentiate true prophets from those who were not, during the era of prophets. 2. The new Testament portrays discernment as the ability to recognize 'God' through 'the son of God', Jesus Christ ; to recognize the identity of Jesus (as the son of god) and his mission (to declare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Jesus himself was an object and, at the same time, a criterion of discernment. Since only those who had received the Holy Spirit recognized Jesus as the son of God. Discernment meant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the Holy spirit and the actions of it. The Holy spirit essentially leads one to more deeply realize the teachings of Jesus rather than providing new or better teachings. The Holy spirit also enriches the teachings of Jesus by applying them to future situations which the Church will be faced with. After the Ascension, it was important for the disciples and the Christians to properly discern the existence and actions of the Holy spirit. Inevitably, such discernment was possible only in the lives of those who followed the Holy spirit and this discernment was the gift of the Holy spirit(1Cor 12,10). However, some thoughts and actions can also come from somewhere other than the Holy spirit, so discernment is needed when recognizing the existence, actions and gifts of the Holy spirit. 3. In the first 400 years of the Christian Church, we saw the development of 'discernment of spirits' that provided guidance about which spirits to follow and which to reject. After this period, as the system of worship was well-established, discernment was needed not for discriminating goodness and evil or light and darkness but for the process of inquiring and seeking out what was more in accordance with God's will among options that appeared to be all good. During this period, discernment was thus more concerned with external actions. 4. In the Medieval period, the gift of 'discretio spirituum' gathered interests. Humility and obedience were regarded as criteria of good spirits and the absence of these qualities indicated the opposite. In particular, John Gerson suggested for the first time the list of criteria for the supernatural, the role of spiritual leaders and the criteria of discernment. The criteria were similar to those for discerning genuine coins from fake ones; humility(weight), discretion(flexibility), patience(solidness), truth(design) and love(golden colour). 5. In the modern period, St. Ignatius complied rules of spiritual discernment based on the traditional discernment of the Church as well as his personal experiences. He suggested the internal rules for discernment based on psychological concepts of spiritual consolation and depression. He opened a new horizon with a new concept in the study of discernment, suggesting that personal tendencies provided basis for spiritual judgement. According to him, discernment must not only consider rational motivations but also consider emotional movements. Internal peace and bliss are thus typical signs of activities of the Holy spirits as well as the signs of God's will. St. Theresa of Avila and St. John of Cross stated that one needed humility in dealing with supernatural experiences. Because such experiences are gifts of God given to humble people, one must not ask for external and sensational phenomena in haste but to refuse them from the beginning.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activeness of God and passiveness of the receiver. God speaks and shows; He is heard and seen by humans.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of the receiver is completed by notifying the Church regardless of genuineness or approval advertises of the experience and phenomena. The matters concerning discernment have always been present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Church. This in turn indicates the presence of many unexplainable supernatural phenomena during the times. 6. Catholic faith is communal. People may proclaim their beliefs and experiences individually but in order to make them public they need to have their beliefs and experiences judged by the Church. Such judgement does not belong to the individuals but to the Teaching Authority, especially so in the case of self-claimed miracles or private revelations. Traditionally, the Church has provided discernment based on the principle that 'one can judge a tree by its fruits' (Matthew 7, 16-18; 12,33). The principle can be divided into three criteria; 1. whether such experiences are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s of the Church. 2. genuineness of the expe

      • 신자유주의와 가톨릭교회

        김회인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Every nations around the world are preparing for the challenge that will change every aspects of the world after the economy crisis brought about superficially by collapsing of the Subprime mortgage buble and fundamentally by the failure of the neoliberalism. Under this era, I am focusing on the situation that Korea's common economy is getting worse while macro-economic indicators of neo-liberalized society stabilized for several years. Many problems containing Increase of a temporary job and a part-time job stress the flexibility of work, youth unemployment, living debt, crime of the poor, and deepening of social conflict caused by sticked polarization are appeared through the whole Korean society. This tendency reveals the characteristic that in neo-liberalism formation, a capital cannot but be fetishes as a necessity. The neoliberalism that imposes over competition makes human descend to a tool of production and it causes overproduction and overaccumulation of capital so that makes either overconsume on specific goods or imbalance on trade caused by consume decreasing among the countries, in the end, the gap became serious. The hope, distributed unfairly, the disparity between upper class and bottom class is increased. the fetishism caused by neoliberalism makes not only dilute the main purpose that it is serve to human but also retrogress it. In the neoliberalism of Korean society, the man's work are considered as a tool of capital. In addition, the capital which is only the one factor of economics, rather being accepted to fundamental aim of economic works. The attitude of this phenomena of the Catholic is strong. By the mercy of God and the love of God, the Catholic point out the vice on principalness neoliberalism and ask whole people to do the public profit to the poor primarily with the fellowship and aid. So, I'm looking for the Catholic's solution following the paragraph. First at all, general believer who works at business field follow the God's love, and the Catholics should consider them to manage the corporation in the state of respecting the Human's dignity. Furthermore, the Catholic lead political and economical elite who draft and execute the policy of the neoliberalism to prepare the will power of doing public profit. For that the business man, political-financial elite themselves have mind to execute the God's love. So Catholic social teaching for general believer CEO, political-financial elite is essential. Of course, in the society which is full of fetishism and lack of human right, spreading the gospel for the indeed execution that what the real value is to every christian is important. By this, all the christians should have interested in social problem and take a role as the assist actor. So Catholic social teaching for whole christian is also essential. 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between catholicism and civil society solidarity should be solid. For this, I suggest 'Catholic-Basic community'. Basic community can be a rink between catholicism and civil society solidarity. Catholicism should not pass on these roles to basic community and find the structure that can lead the relationship with the civil society solidarity. and finally, reflect it to catholic organization. 2007년 후반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는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가져왔고, 실물 경제의 본격적인 위기로까지 확산되었다. 이는 신자유주의적인 세계화의 모험이 실패로 돌아가고 있다는 반증이 되어, 현재 세계 각 국은 신자유주의 이후에 도래할 대변화의 시기를 대비하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 아래에서, 신자유주의 물결이 거셌던 한국사회에서의 거시 경제지표가 지난 수년간 안정적이었던 데 반해, 한국사회의 서민경제가 악화되어왔음을 주목한다. 노동의 유연성을 강조한 임시직·계약직의 증가, 청년실업 증가, 가계부채 증가, 고착화된 양극화로 인한 사회적 갈등의 심화, 빈곤층 범죄증가 등의 문제가 한국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던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신자유주의 체제 안에서 ‘자본’이 필연적으로 물신화될 수밖에 없다는 특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지나친 경쟁을 강요하는 신자유주의는 인간을 생산의 도구로 전락시키고 만다. 과잉생산과 자본의 과잉축적 등을 일으키고, 동시에 특정 상품에 대한 과잉소비 또는 소비감소를 일으켜 국가 간 무역불균형을 양산하고 국가 내 양극화를 심화시킨다. 결국 ‘희망’마저 불균형하게 분배되어, 하위계급과 상위계급이 고착화되기에 이른다. 곧 신자유주의로 인한 물신화는 인간에게 봉사해야 한다는 경제의 근본 목적을 희석시킬 뿐 아니라 퇴보시킨다. 실제로 신자유주의 체제에 놓인 한국사회에서 인간의 노동은 자본을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고, 경제의 한 요소에 불과한 자본은 오히려 경제활동의 근본적인 목적인 냥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대하여 가톨릭교회의 목소리는 완곡하다. 하느님의 자비, 그리스도의 사랑을 바탕으로 원칙 없는 신자유주의의 폐단을 조목조목 지적한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연대성, 보조성의 원칙을 토대로 가난한 이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공동선을 실현해 나가기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가톨릭교회의 대응을 모색하여 본다. 우선 평신도 기업인들이 그리스도의 사랑을 본받고,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는 상태에서 기업을 경영하도록 가톨릭교회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 나아가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하는 정치·경제엘리트들 역시 그리스도교의 가치관을 가지고 공동선을 실천할 의지를 갖추도록 유도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인, 정치·경제 엘리트들 스스로 그리스도의 사랑을 온전히 실천하려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 따라서 평신도 기업인, 정치·경제엘리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교리교육이 절실하다. 물론 인간성이 상실되고, 물신화가 팽배한 사회에서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그리스도인들 몸소 실행해 옮길 수 있도록 모든 그리스도인들의 복음화 또한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사회문제에 부단한 관심을 갖고, 가톨릭교회가 사회의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이에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교리교육 역시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으로 가톨릭교회가 형성해왔던 시민사회단체와의 네트워크를 더욱 공고히 하고, 그들과의 연대를 강화해야 한다. 필자는 이의 단초로서 본당 기초공동체를 제시한다. 기초공동체는 시민사회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만큼 가톨릭교회와 시민사회단체와의 탄탄한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가톨릭교회는 이러한 역할수행을 기초공동체의 몫으로만 돌리지 말고, 기초공동체 스스로 시민사회와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이루어 나갈 수 있는 교회 내 구조를 모색하여, 본당 조직에 반영해야한다.

      • 동아시아 국가(日本·中國·韓國)의 그리스도교 박해에 대한 비교 연구 : 최초의 박해를 중심으로

        이훈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Korean Catholic Church, since its establishment in 1784, had suffered lots of difficulties during the long persecution periods in which countless martyrs sacrificed their lives and their faith be got strengthened. However, present Korean Catholic Church is undergoing ‘Inner Recession’ than the brilliant and glorious history of the past days although it may seem like it is growing in the surface. So I feel heartly that it needs to be meditated deeply on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suffering and pain and to effort to give meaning to it. In the present era with no risk of being oppressed for the faith and losing their lives by freedom of religion,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meditation of the meaning of persecution is needed urgently than ever. This paper starts with a goal for looking closer the history(歷史) of persecution in which our ancestors in faith yielded their lives for their faith. Because Korean Catholic Church has grown embracing the faith kept by so voluntary efforts as hard to browse the example in the world religious history and evidencing the faith with a lot of people devoted their lives, we could know the real sense of faith b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pain and trials as a believer through Korean Catholic Church history. Thus in this paper, it attempts to look specifically a process that Christianity was transmitted into Korea and cause, effect and the meaning of persecution. However, to emphasize the afore-mentioned particularity of Korean Catholic Church is uniqueness and to see it clearly,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persecution of East Asian countries(Japan, China, Korea) including Japan and China where Christianity was transmitted in the similar time with Korea First, in the ChapterⅠ, I wanted to deal with transmission and persecution of Christianity in Japan. In this chapter, it looked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on that Japanese Christianity which was transmitted first by Francisco Xavier in 1549 had conflict been among Buddhism, Imperial·Buddhist temple(公家) forces and Oda Nobunaga(織田信長)·Toyotomi Hideyoshi(豐巨秀吉) and I examined adaptationism of the Society of Jesus in missionary activities. The first major persecution in Christian history of Japan is ‘26 Martyrs Incident’ where 26 people lost their lives at Nishi-Kasai(長崎 西坂) on February 5th in 1597 by Toyotomi Hideyoshi. Therefore I searched for ‘Takayama Wookon(高山右近)’s refusal of apostasy’ and ‘Sanpelipe(サン フェリーペ) case’ happened in 1596, because of these two cases connected directly with Japanese persecution as a cause. And Chapter II concerns the persecution of Christianity in China. In the whole Chinese history, the trial of Christianity missionary work could be divide into four parts. It started at first as a Nestorianism(景敎) introduced at Tang Dynasty and then at Yuan(元)(1279-1368), Ming(明)(1368-1644) and Qing(淸)(1644-1912) Dynasty. So I intended to look about periodic activities of Catholic Church and examined more precisely in detail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period where the Christian missionary actives remarkably stood out. Because for this time Matteo Ricci came to China and as during his missionary work China Catholic Church was established. Furthermore in this same time the ceremony controversy which was happened at 1640 and ‘Prohibition order on Christianity’ by Kang Hsi(康熙帝) could be discussed in this periods too. In following Chapter III, I tried to deal with transmission and persecution in Korea. At that time Joseon Church closely related to China. Also it can not help being influenced politically, socially and ideologically by China because a deeply rooted counfucianism was affecting on the Joseon society at large. Thus I tried to make clear the background of Christianity which had been brought at these time, at diverse aspects and its development process since establishment of Catholic Church in Joseon to ‘SinHae persecution’(JinSan case) which was the first oppression of Joseon Catholic Church where Yoon Ji-Choong, Kwon Sang-Yoen lost their lives. Finally Chapter IV made comparison among the history of Japan, China and Korea from Christianty's introduction to prosecution of christianity by ordering and creating a brief table about contents of Chapter I·II·III. Through these like comparative study, it will be revealed that Korean Catholic Church is not simply a church initiated by missionaries but a enthusiastic church which embraced the faith spontaneously. And moreover it will be revealed as a community in faith which has a precious history by the evidence of how this neonate community could bear so lots of martyrs even amongst persecutions. By now it clings to our attitude to aware of essence of Korean Catholic Church and to overcome today’s difficulties basing on these historical lessons. 한국 천주교회는 1784년 설립된 이후 약 100여년간의 긴 박해 시기를 겪으면서 많은 고통과 고난을 겪었지만 그 안에서 수많은 순교자들을 탄생시키고 신앙을 더욱 굳건히 해왔다. 그러나 지난 날 그 찬란하고 영광스러운 역사에 비해 현재의 한국천주교회는 표면적으로는 성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내적 침체기’를 보내고 있다. 때문에 필자는 고난과 고통의 본질적인 의미에 대하여 깊이 숙고하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한다. 더욱이 종교의 자유로 신앙을 위해 박해받고 목숨을 잃을 위험이 전혀 없는 현 시대에서 박해(迫害)의 의미를 올바로 이해하고 묵상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은 우리 조상들이 신앙을 위해 목숨을 바친 박해의 역사(歷史)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하였다. 왜냐하면 한국 천주교회는 세계 종교사에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신앙을 받아들였고, 수많은 이들이 목숨을 바쳐 신앙을 증거했기 때문에, 그분들의 역사를 통해서 우리가 신앙인으로서 고통과 시련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으로 그리스도교가 한국에 전래된 과정과 박해의 원인·결과, 그리고 의의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한국 천주교회만이 지니는 특수성을 강조하고 그것을 명확히 알아보기 위해,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그리스도교가 전래된 일본과 중국을 포함하여 동아시아 국가(일·중·한)의 박해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제Ⅰ장에서는 일본의 그리스도교 전래와 박해에 대하여 다루었다. 여기에서 1549년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에 의해 최초로 전래된 일본 그리스도교가 불교와 황실·공가(公家)세력, 그리고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도요토미 히데요시(豐巨秀吉)와 겪는 갈등을 정치적·사회적·문화적으로 살펴보고 예수회의 적응주의 선교 활동을 알아보았다. 일본그리스도교사에서 대대적인 첫 박해는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에 의해 1597년 2월 5일 나가사키 니시카자(長崎 西坂)에서 26명이 목숨을 잃은 ‘26성인 순교사건’이다. 때문에 이 사건이 발생된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다카야마 우콘(高山右近)의 배교 거절’과 1596년 발생한 ‘산 펠리페(サン フェリーペ)호 사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제Ⅱ장에서는 중국에서의 그리스도교 박해를 다루었다. 오래된 중국의 역사에서 그리스도교 선교를 위한 시도는 1300여년에 걸쳐 크게 4번이라고 할 수 있는데, 7세기 당나라 때 들어왔던 경교(景敎)를 시작으로 원(元)나라 시대(1279-1368), 명(明)나라 시대(1368-1644), 청(淸)나라 시대(1644-1912)이다. 때문에 각 시대별로 그리스도의 활동을 간략히 살펴보고, 특히 그리스도교 선교 활동이 두드러졌던 명나라 말기와 청나라 초기 시기의 활동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 이유는 이 시기에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중국에 들어와 선교를 펼치면서 중국 천주교회가 설립되었고, 1640년에 시작된 ‘전례논쟁’과 1721년 강희제(康熙帝)에 의한 ‘그리스도교 금지령’도 모두 이 시기 안에서 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한국에서의 그리스도교 전래와 박해에 대하여 다루었다. 당시 조선의 천주교회는 시대적으로 중국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으며, 특히 유교적인 사상과 문화가 뿌리 깊게 작용하고 있었던 조선 사회 안에서 조선천주교회는 정치적·사회적·사상적으로 중국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그리스도교가 전래되던 배경에 대하여 먼저 여러 측면으로 살펴보고 조선 천주교회가 설립된 이후 발전 과정을 알아보며, 윤지충과 권상연이 신앙을 증거하다 목숨을 잃은 조선 천주교회 최초의 박해인 1791년 신해박해(진산사건)까지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Ⅰ·Ⅱ·Ⅲ장의 내용을 간략하게 표를 만들어 정리함으로써 그리스도교 수용에서부터 박해까지의 일본과 중국, 그리고 한국의 역사를 비교해 보았다. 이상의 비교 연구를 통해 결국 한국 천주교회는 선교사들의 직접 선교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발적으로 신앙을 수용할 정도로 뜨거운 열정을 지닌 교회이며 박해 속에서도 수많은 순교자를 탄생시킨 고귀한 역사를 지닌 신앙 공동체임이 드러난다. 이제 이러한 역사적 교훈을 바탕으로 한국 천주교회의 본질을 자각하고, 현재 교회가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일은 우리들의 자세에 달려있다.

      • ‘약은 집사의 비유’(루카 16,1-13)를 통하여 본 “재물”에 대한 고찰

        최민성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 신자유주의 노선을 걷는 조건으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 금융을 받았다. 그런데 신자유주의는 여러 문제를 발생시켰다. 첫째, 신자유주의는 국가와 기업을 시장경제로 내몰았다. 특히 사회복지 분야마저 시장경제에 맡겨짐으로써, 사회적·경제적 약자들은 세상으로부터 더욱 소외되었다. 둘째, 신자유주의는 물질만능주의를 불러 일으켰다. 물질만능주의는 사람들이 재물을 가치판단의 기준과 최상의 목표로 삼게 하였다. 우리는 가톨릭신문사가 창간 80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2006년 7월 1일부터 2007년 2월 28일까지 실시한 『가톨릭 신자의 종교의식과 신앙생활』에서 한국 가톨릭교회의 중상층화를 엿볼 수 있다. 어느덧 부유하게 된 한국 가톨릭교회도 물질만능주의에서 자유롭지 않게 되었다. 왜냐하면 교회공동체도 세상의 논리처럼, 자칫하면 교회에 머무는 힘없고 가난한 이들을 소외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느님을 섬겨야 할 교회가 어느새 재물숭배에 빠질 위험도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약은 집사의 비유’(루카 16,1-13)에서 그 해결방안을 찾았다. 이 연구는 먼저 성경에 담긴 ‘재물’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어서 루카 공동체의 삶의 자리를 조사하고, ‘약은 집사의 비유’의 문맥에 담긴 루카의 편집의도를 찾았다. 마지막으로 비유를 주석하여 ‘재물’에 대한 루카의 신학사상을 도출하였다. 루카는 자신의 공동체가 직면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선’을 제시한다. ‘자선’은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구체적 행동이며, ‘재물’을 본래 의미로 되돌려준다. 한국 가톨릭교회는 루카가 제시한 ‘자선’에서 물질만능주의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것이다. In December 1997, South Korea asked for a bailout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in exchange for its acceptance of the ever-tightening Neoliberalism. But Neoliberalism has caused several problems. First, it has driven countries and companies into market economy. The weak in social and economic are marginalized from the world, because social welfare had also been managed by market economy. Second, it provoked Materialism that made wealth as the basis of value judgments, and the ultimate goal of life. We can have a glimpse of the upper middle class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based on the research of "Catholics in religious ceremonies and the life of faith" that was conducted by the Catholic Newspaper from July 1, 2006 to February 28, 2007, for its commemoration of the 8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has been rich that couldn't free from Materialism. Because the powerless and the poor people would be estranged from rich church community as a law of the world. And also the church to serve God would get into a risk of a fall in wealth worship. This study has attempted a solution from 'the parable of the dishonest manager'(Lk 16,1-13). First, it was begun to understand meaning of the wealth contained in the Bible. Then it conducted an investigation about Setting in Life in Luke's community, and found a view of Luke's edit about 'the parable of the dishonest manager' in the context. Finally, it derived Luke's theology about the 'wealth', from the exegesis of the parable.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Luke presented 'charity' as a plan for resolving the crisis faced by their communities. Charity was a specific act to express the love for God and neighbors, and gives wealth back to the original meaning. Charity suggested by Luke would be a big help for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to overcome the crisis of Mater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