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죽음준비교육의 必要性과 需要에 관한 硏究

        황창익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243

        According to the report on “Index of death quality” in the world released by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the organ under the supervision of Economist, weekly economic magazine of UK in 2015, UK is found to be the 1st-ranked country where people may pass away most comfortably. Korea was reported to be ranked at the 18th place. Ranked at the 6th place, Taiwan is the most advanced country in Asian countries in relation to “quality of death.” The common point of UK and Taiwan is that death education is provided to all generations in long-term with national campaign such as “Find your 1%” in UK and “Announcing the truth” in Taiwan. The reason why death quality in Korea is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is that most patients at the end of their lives are not treated with palliative care, but with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they are less prepared through conversation on death and they are less educated on the process of death. To improve death quality, education on death should be provided to citizens in adv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 verify the contents on 『Necessity of & deman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life quality』 through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nd to practice 『human death』 by self-determining right of death. Thus, recognition on the fear of death,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degree of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depending on whether participating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reason why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ot so briskly activated and the influence that participation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s on 『life quality』 are investigated for each socio-demographic property in order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For study, literature review, checking the data & literature on the preced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questionnaire and experts’ opinion are reflected. For subject of study, company employees and residents in Gwanak-gu, residents in Gaepo 1-dong Gangnam-gu, employees of KORAIL working in Seoul Station, residents who are educated in Changdong old men’s welfare center located in Dobong-gu and Nowon General Welfare Hall in Nowon-gu.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statistical quantity like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 one-way ANOVA by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and the outcome of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which 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n fear of death out of socio-demographic properties are found to be age, economic level, health state & whether suffering disease. The factors which 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re age, occupation, economic level, health state & whether suffering disease. Second, it i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ffects the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ird, it is found tha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ot briskly activated due to lack of recognition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urth, it is found that life quality is affected by participation i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s seen in the above outcome of study, life-lo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all nations to correctly understand death, to positively convert recognition and to realize preciousness of life and human dignity. Like European countries and Japan, the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a part of public education in near future. 2015년도 영국의 경제 주간지 Economist 산하 기관인 EIU (Economist Intelligence Unit)의 세계 “죽음의 질 지수” 보고서에 의하면 영국은 사람이 삶을 가장 편안하게 마감할 수 있는 나라 1위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는 18위로 보고되었고, 대만은 6위로 아시아 국가 중에 “죽음의 질” 만큼은 최 선진국이다. 영국과 대만 두 나라의 공통점은 영국의 “find your 1%”와 대만의 “진실 알리기”와 같은 대 국민 캠페인과 장기적으로 전 세대를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죽음의 질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낮은 이유는 임종에 가까운 환자 대부분이 완화의료 보다는 연명의료를 받는다는 점과 죽음에 대한 대화 등을 통한 준비가 적다는 점, 죽음과정 등에 대한 교육이 부족한 점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민들에게 죽음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과 수요』 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검증하여 죽음준비교육을 통하여 『삶의 질』 을 향상시키고, 죽음의 자기결정권에 의한 『인간다운 죽음』을 실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죽음의 공포에 대한 인식과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수요의 상이성, 죽음준비교육의 참여 여부에 따른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 죽음준비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 그리고 죽음준비교육의 참여 여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죽음준비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기존의 죽음 준비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자료와 문헌을 검토하는 문헌 조사방법과 설문조사 방법, 그리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였다. 연구 대상은 관악구에 소재한 직장인과 지역 주민, 강남구 개포1동 주민, 서울역에 근무하는 코레일 직원, 그리고 도봉구에 소재한 창동 노인복지센터, 노원구 노원종합복지관에서 교육을 받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량, t-test 및 일원배치분석(ony-way ANOVA)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고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 중 죽음의 공포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은 연령, 경제수준, 건강상태, 질병여부로 나타났으며,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수요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은 연령, 직업, 경제수준, 건강상태, 질병여부가 있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참여는 죽음준비교육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넷째, 죽음준비교육 참여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이제는 죽음에 대해 올바른 이해와 긍정적인 인식의 전환, 생명의 소중함과 인간의 존엄성을 일깨워 주기 위해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으로써의 죽음준비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나아가 가까운 미래에 서구 유럽, 일본 등과 같이 공교육의 일부로 편입되어야 한다.

      • 죽음準備敎育이 죽음에 대한 態度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방선자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2972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수강생의 죽음준비교육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3개 죽음준비교육기관 수강생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에서는 Likert 10점 척도에서 전체적으로 평균 8.27로 전반적으로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이해는 매우 높게 나타났고, 영역별로 죽음에 대한 준비,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 죽음 간접체험,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의 순으로 교육의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태도의 경우 Likert 5점 척도에서 전체적으로 평균 3.74로 ‘조금 그렇다’에 가까이 나타나 상대적으로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두려움, 회피, 위기관리의 순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준비교육과 죽음에 대한 태도 등 연구대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죽음준비교육간, 또 죽음에 대한 태도 간, 또 죽음준비교육과 죽음에 대한 태도 간에서 한 변수가 긍정적이면 다른 변수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중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에서는 연령별, 종교별로, ‘죽음 간접체험’에서는 경제상태별, 건강상태별로, ‘죽음에 대한 준비’에서는 성별, 직업별로,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에서는 학력별, 직업유무별, 경제상태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넷째, 죽음에 대한 태도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경제상태별로, ‘죽음에 대한 회피’에서는 성별, 학력별, 동거형태별로, ‘죽음에 대한 위기관리’에서는 직업유무별, 경제상태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는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가, ‘죽음에 대한 회피’에서는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이, 또 ‘죽음에 대한 위기관리’에서는 ‘죽음 간접체험’와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을 수강생의 수준과 환경, 배경에 따라 세분화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즉, 학교교육 대상인 아동청소년과 대학생 청년층이나, 또는 직장인까지 교육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목적에 맞게 차별화된 교육 내용의 개편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상관관계 분석에도 나타났지만 각 교육내용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또 각각의 교육훈련 내용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회귀분석을 보면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교육내용이 많다. 이는 사전적인 교육내용 자체는 분별력이 있으나 실제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관계를 보면 각 교육내용의 차별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내용의 효과성을 촉진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 내용 중 죽음에 대한 준비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전혀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 간접체험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도 하나의 영역에만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넷째, 학술적인 토의와 수강생과의 피드백을 통하여 한국인의 성향에 맞는 죽음준비교육 내용이 하루빨리 정립되어야 한다. 죽음준비교육이 서구에서 먼저 시행되었기 때문에 교육내용이 그대로 도입된 부분이 많다. 서구의 이성적, 합리적 성향이 강하지만 동양은 종교적, 정서적 성향이 강하므로 이 같은 차이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섯째, 공교육 안에서 죽음준비교육이 제도화되어야 한다. 미국, 독일과 일본에서는 이미 공교육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소중함, 삶과 죽음에 대한 문제를 윤리적인 면, 가치관의 측면에서 다루어야 한다.

      • 충청남도 일부 노인의료복지시설 대상 맞춤형 영양중재방안

        이지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972

        본 연구는 체계적 임상영양관리가 어려운 소규모 노인의료복지시설 재소 노인의 영양불량 위험을 줄일 효과적인 중재 방안을 고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를 통해 치매 노인의 인지 및 신체 기능, 식사섭취 특성을 고려한 영양(수분)보충 식품섭취용기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아이디어 창출 협의체를 구성하였고, 제작공정 시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였다. 치매 환자를 위한 교육 교구의 기능을 포함하였고, 노인의 영양소 섭취기준을 고려하여 적절량을 충족할 수 있는 최대 제공량을 결정하고, 포도 모양을 고안하였다. 수분은 KDRIs 권고기준대비 30%를 충족하는 285mL를 설정하였다. 그릇 당 포도 알맹이는 총 6개로 결정되었다. 알맹이 1개당 47.5mL의 수분제공이 가능하였고, 이를 위해 반지름 2.25cm의 반 구(hemisphere)로 설계하였다. 이때 사이 간격을 4mm로 설정하였다. 사용 시 안전사고 예방과 식품위생을 위한 뚜껑도 설계하였다. 인지기능이 저하된 치매 노인이 해당 용기를 사용할 시에 흥미를 느끼고 식사섭취 중 교육 교구로 응용될 수 있도록 뚜껑과 포도 알맹이 바닥면에 숫자를 각인하여 최종 출력 및 조립하였다. 최종 시제품에 점도가 증진된 물을 젤리형태로 조리하여 식품영양학 전공생 만족도 조사를 하였고, 외관과 그릇에 제공된 음식의 섭취 적합성 등 타당성을 조사한 항목에서 개발 가치를 인정받았다. 개발품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한계점으로는, 3D 프린팅 기술 비전문가의 진입 장벽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또, 기술의 편리성에 반한 수동 작업과정은 보완이 필요하다. 두 번째 연구를 통해 충청남도 소재 소규모 노인의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사전 영양관리 실태조사 분석과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시설의 니즈가 반영된 중재 전략을 설정한 뒤 맞춤형 영양중재 프로그램을 3개월 동안 수행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요 목표는 첫째, 요양보호사 대상 식사제공 및 영양서비스 교육을 통해 시설 재소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둘째, 재소 노인에게 영양보충식품을 제공하여 부족한 음식섭취를 보완하고, 식사보조도구 및 연하훈련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식사 중 자립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고 요양보호사의 업무 피로도를 줄여 도움이 필요한 다른 환자의 면밀한 케어가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었다.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효과평가 지표로서 영양불량상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MNA 선별검사 총점을 개선 목표지표로 선정하였다. 해당 지표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요양보호사에 의한 식사보조시간으로 연구 수행에 따른 효과가 나타난다면 대상자의 영양상태가 개선될 것이며, 해당 시간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영양불량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점수 총점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남자 7.17점, 여자7.19점), 대상자 모두 영양불량으로 판정되어 영양개선이 시급하였다. 개선목표로 선정된 MNA 선별검사 총점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요양보호사에 의한 식사보조시간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수행 전·후 분석되었다. 프로그램 효과 분석 결과, 대상자의 영양불량 정도는 수행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대상자는 영양불량 위험으로 판정되었다. 수분 섭취상태는 프로그램 수행 전·후 섭취량이 증가한 대상자가 많아졌으나, 여전히 과반수가 하루 5컵 미만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 가능한 중재가 필요하였다. 요양보호사에 의한 식사보조시간은 프로그램 참여 이전과 이후 전체 대상자 기준으로 1.96분 감소하였으며,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해당 영양중재는 다양한 요인을 개선하고자 종사자 교육, 식사자립도 개선 교육, 보조식품 제공과 같은 여러 활동을 수행한 것에 다른 연구와 견주어 차별점이 있다. 그러나 연구 종료 후 지원 물품 소진에 따른 불투명한 지속성과 시설 운영 여건의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설 재소자의 영양상태 개선을 위하여 제도적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며, 정부 차원에서 예산 투입과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시설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환원이나 후원 등 복지 사업으로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the elderly residing in small type of welfare facility such as group home and long-term facility, which in blind spots in terms of qualified health and nutrition management. To overcome malnutrition problem of the hospitalized elderly with dementia, the first study suggested 3D printable snack-dish which is a customized nutritional (water) supplement food intake container, which considering cognitive function, physical condition, and meal intake-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Expert group was organized to discuss the feasibility of idea generation and feature of prototype. Through evidence materials considering the nutritional intake standards of the elder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patients, the grape-shaped food intake containers can meet a certain amount of water recommendation standards and function as an educational tool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3D printing technology was applied to produce prototypes. The 3D CAD software SolidWorks was used for the three–dimensional design, and the maximum amount of water provided per container was determined according to KDRIs for water intake and relevant previous studies. A lid was also designed for th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and food hygiene in use. Specific numbers were engraved on the lid and the bottom of the grape-shaped design to stimulate for their interests by application of educational teaching tool during meal time. Thickened water with jelly type was prepared for satisfaction surveys among major undergraduate and graduated students. They examined feasibility and confirmed the value of this new snack-dish such as appearance and suitability of food provided in the dish. In this study, there are also limitations to be solved in order to apply the new dish to field sites. Firstly, non-experts need professional technology competences to overcome 3D printing technology barriers in terms of sophisticated machinery. Secondly, demands for manual work, contrary to the convenience of this technology are tasks to be solved in the future. The second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nutrition management survey for three small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Chungcheongnam-do for development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Then, personalized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ed and conducted for those three facilities. The main goal of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is to ultimately improve health and nutritional welfare by improving the benefits of receiving meals and nutrition management services for the hospitalized elderly in facility by nutrition education for nursing care-givers. Research team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for care-givers and nutritional supplements, and dysphagia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 elderly. Then, periodic monitoring was appli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Expected effect of the intervention program is that it allows the subject to eat a meal with human dignity by improving their eating ability and meal independence. Then, it allows to increase satisfaction during meals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fatigue of the care-givers when providing meals, so that other patients who need help can be closely cared for. Therefore, first, two nutritional supplements with high nutritional density (nutrition supplements and oral nutrition supplement drink and protein powder) were provided. Second, in order to maintain equity in receiving management services, elderly people with meal intake problems were required to provide dysphagia rehabilitation exercises through care-givers at all times, and to actively utilize food thickener, and to use rehabilitation spoons for each facility. As an effect evaluation index for program performance, MNA screening score was analyzed for improvement level of subject’s malnutrition status. It is expected that the helping time by care-giver during meal time will be accepted as a positive effec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ubject's malnutrition statu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improvement. But all subjects were still classified as either the moderate or high risk group for malnutrition according to MNA standards. Another positive change, the meal helping time by the care-givers decreased,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meal independence of subject’s. It is also considered to be positive change that the caregivers showed an active attitude to solve nutrition-related problems on their own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are also limitations towards sustainability, so far facility's burden of purchasing of products such as aid supplies. Therefore, the institutional aspect needs to be improved, and a fundamental solution needs to be presented from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through budget input and support at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level.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a review of the possibility of linking welfare programs for sustainability such as corporates profit return to society or sponsorship, should be carried out later. Therefore, recogni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various institutional support for this issue should be made in the near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health and nutritional welfare of the disadvantaged group for their health and nutrition welfare.

      •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향상 활동 세 가지 국외사례

        이슬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85807

        배경 및 목적 웰다잉(Well-Dying)의 구현을 위해서 질 높은 죽음의 의미를 아는 것은 중요하고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죽음의 질을 확보하는 것은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수준을 바르게 알고,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국내에서 죽음의 질, 또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고찰한 연구 외에, 죽음의 질 수준 자체를 다룬 연구는 찾기가 어렵다.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연구소(Economist Intelligence Unit, EIU)에서는 2010과 2015년에 걸쳐 나라별 죽음의 질 지수를 지표화함으로 죽음의 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한 바가 있으며, 한국은 이 지표에서 2015년 18위를 차지하였는데 완화 및 의료환경, 인적자원, 돌봄의 경제성, 의료의 질에 비해 특히 완화의료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다른 지표들에 비해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이 충분치 못하고, 지역사회로 파급되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죽음의 질에 대한 논의 현황을 조사하고, 밀접하게 관련된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죽음의 질적 측면이 어떻게 논의되어왔는가를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영국, 호주, 대만의 대표적인 세 가지 사례를 토대로 우리나라 국민의 죽음의 질 인식 향상을 위한 인식 향상 활동의 필요성과 성공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인 사례분석 연구로, Yin(2003)의 연구 목적에 따른 분류유형에 따라 기술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죽음의 질에 대한 논의를 통해 죽음의 질 수준과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황을 기재하였다. 또한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향상 활동에 있어 영국, 호주, 대만 사례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한‘복수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Yin(1994)의 사례모형을 구체화하여 죽음의 질 인식 향상 활동 세 가지 사례에 대한 분석틀을 인식 개선 활동 사례에 대해 ‘주체, 범위, 재정, 활동전략’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인식 개선 활동 사례는 지식 전달, 인지, 태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 전달 체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한 활동까지 포함하여 배경과 사례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드보커시(Advocac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사회적 동원(Social Mobilization)을 포함한 ACSM 모형을 기준으로 영국의 다잉 매터스(Dying Matters), 호주의 다잉 투 노우 데이(Dying To Know Day), 대만의 인생역참(人生驛站, Life Station) 캠페인을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향상 활동의 세 가지 국외 사례를 분석하였을 때 영국 다잉 매터스(Dying Matters)는 전국적인 범위에서 민관의 협력 하에 죽음에 대한 낙인을 깨고 선입견을 없애며, 문화를 바꾸고, 국회와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대중의 의견을 수렴하고 행동하게 한 첫 번째 국가인식 및 행동 변화 캠페인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호주 다잉 투 노우 데이(Dying To Know Day)는 비영리 민간조직인 그라운드스웰 프로젝트 호주(The GroundSwell Project Australia)가 전국 및 지역적인 범위에서 죽음과 임종에 대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위한 인식 향상 활동을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진행하였다. 인식 향상 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계획적인 임종을 위한 생애 말기 계획(End of Life Planning)의 작성을 지원하고, 죽음에 대한 문해력(Death Literacy Index, DLI)을 활동에 적용하여 죽음에 대해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지식과 실용적인 기술을 측정하고 배울 수 있도록 도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대만 인생역참(人生驛站, Life Station) 캠페인은 대만 호스피스 재단(Hospice Foundation of Taiwan, HFT)이 전국적인 범위에서 범국민적 캠페인 홍보 활동을 통해 대중의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 향상을 이끌어왔으며, 다양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하여 대중이 사전의료계획에 대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하여 국민이 좋은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왔다. 각국의 죽음의 질 인식 향상 활동을 통한 인식개선 성공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의 질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인식 향상 활동과 함께 좋은 죽음을 구현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해왔다. 둘째, 죽음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서비스와 지역사회 및 민간단체의 대응이 함께 이루어졌다. 셋째, 어드보커시(Advocacy), 의사소통(Communication), 사회적 동원(Social Mobilization)을 활용한 ACSM 활동이 다차원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아직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받는 것이 죽음과 동일하다고 생각하는 인식이 높다. 죽음의 질의 인식 향상을 위해서는 외국의 사례와 같이 제도 안에 적용되는 죽음의 범위가 확장되어야 하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과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의 이용이 좋은 죽음을 보장하는 제도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야 한다. 또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과 활동이 정부 차원에서 시작되어 민간단체와 지역사회의 참여로 이어져야 한다. 영국 다잉 매터스(Dying Matters), 호주 다잉 투 노우 데이(Dying To Know Day), 대만 인생역참(人生驛站, Life Station) 캠페인의 국외 세 가지 사례로 보았을 때 그들 역시 죽음에 대해 대화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문화가 있었으나 인식 개선 활동과 캠페인을 통해 사회 변화를 이루어 왔음이 확인되었으므로, 국내에서도 이러한 사례들을 활용하되 국내 실정에 맞는 적극적인 캠페인과 커뮤니케이션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죽음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의 지지의 매개효과

        전상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53023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well-dying’ and ‘good death’ and the need to examine factors that may affect an individual’s preparation for death has been highligh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re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behavio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behavioral indices associated with the preparation for death in older adul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s on this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6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70 living in the Korean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family suppor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death preparation behavior. Such results suggest that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in late adulthood may help older adul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preparing for their end of life.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 role of family support is emphasized in death preparation behavior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ugmenting psychosocial factors including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in order to foster the preparation necessary for well-dying. 최근 웰다잉(well-dying) 또는 좋은 죽음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파악하고 요인 간 관련성을 검증하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건강관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변인이라는 점에 기초해 본 연구는 만 7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가족, 친구, 타인의 지지가 죽음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106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죽음준비 행동 수준을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각 하위 요인인 가족, 친구, 타인의 지지, 그리고 죽음준비 행동 간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죽음준비 행동의 관계를 가족의 지지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웰다잉을 위한 죽음준비 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죽음준비 행동에 있어 가족의 지지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이는 노년기의 사회적 지지, 특히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넘어 주체적으로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죽음에 대한 준비를 장려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