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 전남대학교 외국인 학생 지원체제 사례를 중심으로

        오선진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은 급격하게 증가하는 외국인 학생들이 학업을 충실히 이행하고 또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방대학은 국내 인적자원의 감소를 해외 인적 자원의 유치로 보충하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외국인 학생들에 대한 지원 방안의 마련은 매우 시급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외국인 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실태 및 만족도와 외국인 지원체제를 분석하여 이들의 대학생활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외국인 학생 지원체제는 학업 및 생활지원 분야를 중심으로 학생 지원 행정조직, 학사관리, 학습지원, 취업 및 동문활동 지원, 적응지원 프로그램 운영, 재정지원을 조사·분석하였다. 외국인 학생에 대한 대학생활 적응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적응요인으로 체류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한국어 수준은 향상되지만, 등록과정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한국 유학 결정의 주된 동기는 한국문화에 대한 호감도, 그리고 대학선택의 주된 동기는 학교의 인지도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수업 저해요인으로는 한국어능력 부족이, 그리고 취업 지원 서비스 강화를 위해서는 인턴십 기회 확대 요구가 가장 많았다. 대학원 진학 확대를 위한 서비스로는 대학 학업지원(예비·보충 학습 등) 강화가 등록금 및 교육비 재정지원보다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재정적 지원보다 학업지원 강화 요구가 많았다. 둘째, 사회·문화적 적응요인으로 거주지는 기숙사가 가장 많았고, 기숙사 이외에 거주사유는 공동생활의 불편이 가장 많았다. 어려울 때 주로 도움을 주는 사람은 같은 나라 출신의 유학생이었다. 셋째, 경제적 적응요인으로 유학생활을 위해 연간 송금받는 금액은 1,0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숙식비를 포함한 월 생활비 규모는 40만원 이상∼6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학업 외에 직업활동을 하는 비율은 그리 높지 않았다. 유학생활 만족도 조사에서는 안전·치안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그 다음은 의료 건강 관련 제도, 주거 및 숙소 구하기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주로 사회·문화적 적응요인의 만족도가 높음을 보여준다. 반면 일자리 얻기, 학업지원 서비스, 심리상담 및 진로지도, 각종 적응지원 프로그램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현행 학부생 중심의 비교과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등 학업지원 서비스 대상을 대학원생에게까지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유학생의 심리상담 및 진로지도를 위해서 또래 집단과의 1차적 교류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과 학업수행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외국인 초년생 길잡이 프로그램 등 각종 적응지원 프로그램을 대학원생까지 확대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성과 극대화를 위해서는 참여하는 내국인 학생에게 적절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 넷째, 각 대학의 모범적인 외국인 학생 유치·관리 체계를 공유함으로써 여건에 맞는 대학생활 적응 향상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유학생의 효율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질적 내실화에 초점을 두고 대학에서의 실천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안이 외국인 학생들이 우리나라 대학에서 학업과 대학생활을 잘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

      • 외국인 학생의 원적학급 적응 실태와 지원방안

        조경해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연구는 초기 적응 과정인 한국어학급에서 4학기를 이수하고 원적학급으로 돌아간 외국인 학생들의 적응 실태를 파악하고 더욱 원활한 적응을 위한 학습자 및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여 이 학생들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김해 구도심 지역에 형성된 외국인 밀집 지역 인근의 학교를 연구 현장으로 선정하여 4학기 이상 한국어 교육을 수료하고 원적학급으로 돌아간 외국인 학생 10명, 이 학생들의 원적학급 담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제공 및 심층 면담을 통하여 적응 실태 및 지원 요구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응실태 중 학습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외국인 학생들은 낮은 학업 성취를 보인다. 둘째 학습한국어와 생활한국어의 차이로 인한 학습 한국어 미숙 문제가 정상적 학습을 어렵게 한다. 셋째 학습면에서의 어려움이 학습된 무기력의 형태로 나타난다. 교우관계면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우관계면에서 문제 발생 없이 잘 지낸다. 둘째 개인 성향차에 의해 교우관계가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셋째 같은 언어권 친구들과의 관계 형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생활 적응면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적응에는 문제가 없다. 둘째 여러 가지 형태의 소통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셋째 한국어 사용 미숙이 학생들의 부적응으로 나타난다. 넷째 학생들의 조사 결과에서 한국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다. 학생 및 교사의 지원 요구를 통해서 살펴본 학습면에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한국어 교육의 확대, 둘째, 맞춤형 교육 과정 운영, 셋째, 학생들은 모국어 교육을 원하고 있다. 교우관계면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같은 언어권 학생 그룹의 적절한 조정, 둘째 어울림 기회 제공, 셋째 의도적 한국어 사용 기회 및 상담 기회 제공을 원한다. 생활적응면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지원 시스템 구축, 둘째 소통 시스템 구축 셋째, 담임교사와 관계 형성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요구한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밀집 지역만의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및 행․재정적 지원 시스템을 확대 운영하여야 한다. 자율성을 높인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시하여 학생 수준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변화가 있어야 한다. 둘째 초기 적응에 집중된 한국어 교육을 이후에도 확대하여야 한다. 초기 적응에 집중되어 있는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지속적 실시가 필요하다. 셋째 학부모와의 소통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부모의 의지는 학생의 학교적응과 직결되므로 학부모와의 소통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이를 위하여 모국어 가능 이중 언어 강사가 상주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 급을 달리하는 종단 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인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미래 세계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공교육에 적응한 외국인 학생들이 학교 급을 달리하여서도 제대로 된 적응과 학습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종단 연구가 필요하다. 수많은 지원 방안과 예산의 투입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정 책의 방향은 적절한지 등을 확인하여 더 나은 교육 방법과 사회 적응을 위해 종단 연구는 꼭 필요하다.

      • 외국인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김범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9

        최근 세계화와 정부의 외국기업 투자유치 확대 노력으로 인하여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가정 자녀와 같은 진학 연령층 학생들에 대한 교육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외국으로 조기유학을 떠났다가 국내로 돌아오는 귀국유학생들은 국내에서 고등교육 과정 등의 학업을 이어나가야 하기 때문에 이들이 한국사회와 학교생활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외국인학생 및 귀국유학생들은 문화 전환기(transition) 갈등이나 문화적 이질감으로 인하여 학교문화, 교사-학생간의 관계문제, 또래관계 등에서의 학교생활부적응 문제는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국인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국인학교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실제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외국인학교 학생들의 개인적 배경요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교생활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외국인학교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도출하였다. 우선 기존의 국내·외 학교생활적응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요인으로 교수요인, 수업요인, 교우요인, 가족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상황에 적합한 외국인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설문문항을 작성하였다. 설문문항은 개인적인 배경질문과 각 독립변인에 대한 문항 28개와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측정하는 문항 30개 등 총 5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 외국인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응답자 개인의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을 사용하였으며, 각 요인간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분석을 위하여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응답자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학교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학교생활적응 및 영향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 거주기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발생하였고, 5~10년 정도 한국에서 거주한 학생들이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년 미만의 거주기간을 가진 학생들은 학교생활 적응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주요한 배경요인이었던 성별, 국적 등과 같은 특성은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적응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외국인학교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에는 각 독립변인의 영향도 차이가 발생하였다. 교수요인의 경우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요인은 한국거주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반면, 친구요인의 경우는 어떠한 개인적 특성에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가족요인은 성별, 한국거주기간, 부모님과의 대화시간에 따라 가족관계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생활적응과 그 영향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수업요인은 학교생활적응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학습성취가 중요해지는 중·고등학교에서 학습성취도가 학교생활적응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김옥분, 2001; 유효현, 2000; 이경자, 2006;)와 학습성취도와 학습동기, 학업적 실패내성이 높은 청소년 일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아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한다는 연구결과(차은주, 2010)와는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각 요인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장 상관이 낮은 변수인 수업요인은 학교생활적응과의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족요인과의 상관관계도 낮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상관이 가장 높은 변수인 교수요인은 학교생활적응과 수업요인·친구요인·가족요인 등 모든 요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수업요인과 가족요인, 가족요인과 친구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교수요인, 교우(친구)요인, 가족요인이 외국인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교수요인>교우(친구)요인>가족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수업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독립변수요인들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교수요인(교사호감, 교사친밀감)이 높을수록 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았다. 앞선 선행연구들의 결과처럼,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학생과 대면하는 교사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우(친구)요인과 가족요인도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와 가족 간의 유대가 클수록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러시아권 외국인 초등학생 대상 KSL 교육 만족도 및 요구 분석 : 충북 진천지역 학생을 중심으로

        박준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8

        이 연구는 러시아 외국인 초등학생 대상 KSL 교육 운영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를 분석하여, 현행 KSL 교육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올바른 KSL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학교 교육들은 다문화 이해 교육이나 한국 문화 적응 교육에 중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학교 적응, 사회 적응과 같은 생존의 문제와 가장 큰 관련이 있는 것은 한국어 교육이다. 특히 본국에서 생활하고 중도에 한국에 입국한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어 교육은 최우선이 되어야 한다. 한국 사회에 대한 적응 및 함께 친구들과 어우러지기 위해서 언어는 생존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실제 많은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 학생 및 학부모의 학교 교육에 대한 최대요구는 바로 KSL 교육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중에서도 특히 외국인가정 자녀들은 부모가 모두 한국어에 서툴러서, 자녀에게 올바른 한국어 지도가 불가하고 자녀들의 서툰 한국어 능력은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과 자아정체성 확립 등 많은 어려움을 초래한다. 언어는 단순히 일생 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의 도구 차원을 넘어서 청소년 시기 ‘나는 누구인가’하는 자아정체성(Identify)을 형성하는 데 밑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학생의 언어문제, KSL 교육 과정의 개념과 특징과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통해 짚어보고, KSL 교육에 참여하는 수요자와 공급자 측면에서 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KSL 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을 통해 현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을 연구하였다. KSL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측정을 위해 설문지 활용하였고, 결과 분석을 통해 만족도와 다양한 변인 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였다. KSL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정량적 변인(KSL 교육을 받은 기간, KSL 외국인 학생의 한국어 실력)과의 상관 관계, KSL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정성적 변인(한국어 생활화 태도, 한국어에 대한 자신감)간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과 실제 KSL 교육 참여자들이 KSL 교육에서 부족하다고 느꼈던 바를 연구하였다. 설문지는 총 6영역(KSL 교육 참여기간, 한국어 사용 생활화, 한국어 실력, 한국어 사용에 대한 자신감, KSL 수업에 대한 만족도, KSL 수업에 대한 요구)으로 나누어 12문항으로 질문하였으며, 한국어 실력에 대한 추가적 지표로 TOPIK 한국어 능력 시험의 문제를 바탕으로 듣기 10문제, 읽기 10문제 총 20문항을 통해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측정하였다. 일회적인 한국어 지필 평가뿐 아니라 담임교사와 이중언어 강사의 한국어 능력 평가 자료를 통해 학생의 한국어 능력 측정에 대한 객관성을 높였다. 본 연구에서 러시아 외국인 초등학생들의 KSL 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KSL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변인 간 상관 관계가 유의미하다는 것이다. KSL참여기간, 한국어 사용의 생활화, 한국어 실력, 한국어 사용에 대한 자신감, KSL 수업에 대한 요구 등이 서로 상관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KSL 교육에 참여하는 외국인 학생의 한국어 실력의 개선에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연구문제로 삼았던 만족도와 정량적-정성적 변인 간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는 데이터자료로 유의미한 값을 얻지는 못했지만, 인터뷰를 통해 많은 외국인 학생들이 KSL 교육 시수 증설과 KSL 교육기간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KSL 교육에 참여하는 기간, KSL 수업시수 등이 학생들의 KSL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하나의 요소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지닌다. 둘째, KSL 교육의 수요자 측면에서는 KSL 교육의 수업시수 증설, 지속적인 KSL 교육과정 운영, 공급자의 측면에서는 KSL 교육의 수업시수 증설, 이중언어 강사 및 교사의 전문성 확보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언어는 단기간에 학습되기에 한계가 있는 요소이다. 따라서 초창기에는 집중적인 KSL 교육 시수 배정을 통한 한국어 기본능력 함양을 시작으로 점차 학생 스스로 동기 부여된 한국어 학습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상급 한국어 수준에서는 지속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장기적인 KSL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향후 KSL 교육의 방향을 잡아야 할 중요한 큰 축은 체계화된 KSL 교육과정의 정립이다. 이를 이루는 요소로 수준별 소그룹 지도의 필요성,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교재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 교과 학습에 요구되는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상호 문화교육 및 모국어 지도의 필요성을 그 요소로 할 수 있다. 외국인 학생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 내용의 구성과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와 협력 등을 통해 다양한 문화에 대하여 수용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할 수 있도록 교육 체계를 재편하는 노력도 중요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KSL 교육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첫째, KSL 교육의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KSL 교육 수업시수의 확대와 지속적인 KSL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하지만 KSL 교육 기간을 단순히 늘리는 것으로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없다. KSL 교육의 교육 내용의 내실화와 실제적인 한국어 능력을 신장시키는 쪽으로 도움을 주는 것이 KSL 교육의 만족도를 올리는 방법일 것이다. 둘째, KSL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이중언어 강사와 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모국어 지도가 가능하고 언어 다양성을 갖춘 ‘이중언어 화자’를 양성하기 위해 많은 학교에서 이중언어 강사를 채용하여 KSL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중언어 강사 인력의 부족, 전문적인 강사 교육의 부재 등으로 KSL 수업의 질이 높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상급 한국어에 대한 지도는 한국 교사를 통한 KSL 지도가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이를 위해 이중언어 강사와 한국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올바른 KSL 교육에 대한 연수를 통해 교육 제공자의 전문성을 신장시켜야 한다. 셋째, 외국인 학생들에게 모국어 학습과 KSL 교육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설문 통계를 통해 외국인 학생들의 모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KSL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 비율이 비슷하였다. 이중언어의 긍적적 측면도 간과할 수 없지만, 우선적으로 한국어를 신속하게 배워 학교에 적응하는 것을 우선 과제로 둘 필요는 있다. 하지만 추후 본국으로 돌아갈 외국인 학생을 위해서 이중언어 강사를 활용한 모국어 지도 역시 중요하다. 넷째, KSL 교육 과정에서 생활 한국어뿐만 아니라 학습 한국어 기초적인 의사소통능력(BICS)과 인지적 학문적 언어 능력(CALP)의 관점. (BICS: Basic Interpersonal Conversation Skills) (CALP: 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에 대한 지도가 요구된다. 외국인 학생들이 기초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일반 학급으로 돌아갔을 때, 정규 수업 과정을 따라가는 데 어려운 점이 많다. 그 중에서 특히 교과별로 사용되는 학습 한국어 단어들은 외국인 학생들에게 생소하여, 학습 무기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학생들의 학교 적응 뿐만 아니라 교과 학습까지 고려한 전인적 성장을 위해,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의 균형 있는 KSL 교육 내용 구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외국인 대상 KSL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요자들을 중심으로 한 만족도 조사 및 한국어 생활화 태도, 한국어 능력, 자신감과의 상관 관계를 파악함으로서 KSL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KSL 교육의 수업시수를 증설하고, 수요자 중심으로 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함으로서 보다 실효성 있는 수요자 중심 KSL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학생으로 하여금 KSL 교육에 참여한 자신을 돌아보고, 올바른 KSL 교육 참여자 태도를 형성에 일조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 입국 초기 외국인가정 학생을 교육하는 초등교사가 겪는 경험 분석

        김정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7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educate foreign students in the early stages of entry, less than three years after entering Korea.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at analyzed the teacher's job, the teacher's experience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learning guidance, life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an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holistically analyzing the teachers'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s. In terms of learning guidance,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hat students do not understand the class due to lack of Korean language skills, that the student's learning deficit is serious, that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evaluate students, and that there is no cooperation with parents for student learning. And teachers felt they had too much work to teach.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teacher provided a separate supplementary class and easily adjusted the difficulty of the class. Asked for help from classmates, consulted with parents and asked for their help. In addition, by diversifying teaching methods, it helped students to participate well in class. In terms of life guidance, teach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at they had to educate students more on basic habits, that it was difficult to guide peer relationships, and that in-depth consultations with students and parents were not available.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eachers provided individual and repeated life guidance, requested help from classmates, provided in-depth counseling with parents through interpretation, and requested cooperation in student life guidance. And the teachers taught the students with care and love. In terms of classroom management, teachers felt difficulties in the fact that the difficulty of the work increased and the amount of work increased, and there were many obstacles in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made it impossible to manage the class smoothly.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eachers changed the information delivery method to be concise and intuitive, and actively used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for communication. In addition, teachers said that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are experiencing greater difficulties due to COVID-19. These were the fact that it was difficult to adapt due to the frequent change of circumstances, the fact that online classes were not effective in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and the fact that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ere helpful for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were not available. Teachers were experiencing negat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eelings, such as feelings of helplessness and guilt from not being able to properly solve the difficulties faced by students, a sense of burden from heavy work, and a sense of isolation from having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eachers felt that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there was a limit to solving problems with the teacher's individual competency. Teachers educating foreign students in the early stages of entry were experiencing total difficulties in all areas of study guidance, life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Although teacher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y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s they feel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problems that individuals cannot solv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limit to expecting the teachers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rough individual efforts, so it is necessary to make a policy effort to find a structural solution by closely analyzing and examining the situation. 본 연구는 입국 3년이 되지 않은 입국 초기 외국인가정 학생을 교육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겪는 경험을 분석하였다. 교사 직무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교사들의 경험을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반 구조화 된 질문을 통한 심층 면담으로 교사들의 경험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학습지도 측면에서 교사는 학생이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수업을 이해하지 못하는 점, 학습 결손 누적이 손쓸 수 없을 만큼 심각하다는 점, 학생평가를 할 수 없다는 점, 학습과 관련하여 학부모와 협력이 되지 않는다는 점, 학습지도 노력이 가중된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교사는 별도의 시간을 마련하여 추가적인 지도를 했고, 수업과 평가의 난이도를 쉽게 조정하였다. 학급 친구들이 학습을 돕도록 하였고, 학부모 상담을 통해 학습 관련 도움을 요청했다. 또한, 가르치는 방식을 다양화하여 외국인가정 학생이 최대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왔다. 생활지도 측면에서 교사는 기초적인 생활지도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점, 통합적인 교우 관계 형성이 되지 않는 점, 학생·학부모와 원활한 상담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교사는 반복적이고 개별적으로 생활지도를 했고, 학급 친구들이 생활을 돕도록 했다. 또한, 학부모와 통역을 통한 심층 상담을 해 학생 생활지도 협조를 구하였고, 관심과 애정으로 학생을 돌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학급경영 측면에서 교사는 쉬운 일도 외국인가정 학생을 대상으로는 어렵고 복잡한 일이 되어 업무가 지나치게 가중된다는 점, 활동에 제한이 많아서 학급 운영을 특색있게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교사는 가정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간결하게 하였고, 의사소통할 때 통역·번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밖에도 교사들은 코로나 19로 인해 외국인가정 학생이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구체적인 어려움으로 학사 운영 방식의 변동이 잦아 외국인가정의 학생과 학부모가 적응하기 힘들다는 점, 온라인 수업이 외국인가정 학생에게 특별히 교육 효과가 떨어진다는 점, 학생의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교육 활동을 하지 못한다는 점이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외국인가정 학생을 교육하면서 학생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제대로 해결해주지 못하는 데서 오는 무력감과 죄책감, 교사의 책무가 가중되는 데서 오는 부담감, 혼자서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는 데서 오는 고립감 등 부정적인 심리·정서를 경험하고 있었고, 외국인가정 학생을 교육하면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교사 개인의 역량만으로 해결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구조적 차원의 문제를 느끼고 있었다. 입국 초기 외국인가정 학생을 교육하는 교사들은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의 전 영역에서 총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사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는 구조적 한계를 느끼고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이러한 어려움을 교사 개인의 역량과 대응으로 해결하기를 기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황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살펴서 근본적이고 구조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해결방법을 찾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라고 볼 수 있다.

      • 중도입국·외국인 학생을 위한 중등 다문화예비학교 운영 사례 분석

        김혜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02

        Recently,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increase of foreign workers, the number of ‘immigra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eign family children’ born in foreign countries has rapidly increased. As a result, the number of intermediate entry and foreign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or friendship due to language barriers has constant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in public education system, which is installed and operated to prevent students from stopping or giving up abandonment in the middle. First of all, in-depth interviews with policy makers of multicultural pre-school revealed that the goal of multicultural pre-school is a necessary part of the normalization of schools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s the number of immigrants and foreign students has been increasing language support is inevitable. It has been strongly suggested that the policy of multicultural pre-school should be expanded more widely over time. Lots of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realization of the policy of multicultural pre-school, such as improv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s in charge of work, were also clearly recognized. Secondly, in-depth interviews with multicultural pre-school teachers revealed that the students in multicultural pre-school show high achievement when they study hard in Korean subjects. This was not only about the subject of the lesson but also about the fact that the students reduced the necessity of language study in their school life. 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general curriculum area, even if the bilingual lecturer helped, students still have difficulties in subjects such as History and Society, and it was recognized that it could not be solved without fully supportive environment. In the case of students in the multicultural pre-school, most of the students who have stayed in Korea at the beginning of entry are better in keeping the prescribed rules such as punctuality of school hours or wearing school uniforms, and they became familiar with the Korean school culture than their last semester. Moreover, it is shown that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the multicultural pre-school form a strong bond. Thir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arget learners of the multicultural pre-school policy and analysis of their diaries and learning materials revealed that they have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esence of multicultural pre-school.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views of the multicultural pre-school adaptation to the subject area showed a great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Korean subject, and even a student with a low achievement level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multicultural pre-school. Sometimes they have experienced conflicts and discrimination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differences between Korean friends and multicultural frien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analyzed the cases of multicultural pre-school for intermediate entry or foreign students, and examined the dynamics of each element. Based on this, it is strongly believed that detail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curriculum that support the entry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into public education should be newly developed.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결혼과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로 인하여 외국에서 태어나 중도에 국내로 입국한 ‘중도입국 자녀’ 및 ‘외국인가정 자녀’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언어 장벽으로 인하여 학습이나 교우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중도입국・외국인 학생들이 증가하였고 이들의 원활한 학교 적응을 돕고자 국가 주도의 정규 교육 기관인 ‘다문화예비학교’를 학교급별로 설치하게 되었다.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중도입국・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어 및 한국문화를 집중적으로 교육하여 원활한 조기 적응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예비학교가 본래 설립 목표와 취지에 맞게 잘 운영되고 있는지 그 성과 및 한계를 따져보고 그에 따른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일련의 분석 과정들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도입국・외국인 학생들의 학업 중단 및 포기를 막고 원활한 적응을 돕기 위하여 설치・운영하고 있는 공교육 시스템 내 중등 다문화예비학교의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각 대상 주체별 질적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다문화예비학교 정책을 중앙 단위에서 집행하고 주관하는 역할을 하는 정책 주관자(교육부 및 교육청 관계자), 주어진 정책을 교실 현장에 적용해 다문화예비학교를 직접 운영하는 시행 주체자(교사 및 강사), 다문화예비학교 정책의 대상 학습자(학생 및 학부모)를 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정책 주관자를 대상으로는 다문화예비학교 정책 집행 성과와 운영상의 한계 측면으로 나누어 심층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고 시행 주체자와 대상 학습자를 대상으로는 다문화예비학교 학생들의 교과 수업, 학교생활, 대인관계 측면으로 나누어 이들의 심층 면담 및 관찰 일지, 학생 일기 및 학부모 상담 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다문화예비학교 정책 주관자를 심층 면담하여 분석한 결과 다문화예비학교 목적 사업은 공교육 시스템 내 학교 정상화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며 중도입국・외국인 학생들의 언어 지원, 학교 적응력 강화 등의 긍정적 효과를 지닌다고 보았다. 갈수록 증가하는 중도입국・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언어 지원은 불가피한 상황이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다문화예비학교 정책은 더욱 널리 확대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하게 피력하고 있었다. 물론 다문화예비학교 정책 실현에 수반되는 많은 문제들, 이를테면 담당 교사의 업무 과중이나 학교별 관리자의 인식 개선, 일반 교사들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 문제 등 운영상의 한계점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예비학교 정책 시행 주체자를 심층 면담하고 이들의 관찰 일지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예비학교 학생들의 교과 수업 측면에서는 한국어 교과를 열심히 공부한 경우 높은 성취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과 수업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도 언어 공부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한국어 학습에 열을 올린 결과라고 여기고 있었다. 단, 일반 교과 영역의 경우 이중언어강사의 도움이 있다고 하더라도 학생들의 역사, 사회 등의 과목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것은 방과후 수업 등을 통한 절대적 시수 확보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해결되기 어려운 일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다문화예비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영역의 경우, 대부분 입국 초기에는 등교 시간 엄수, 교복 착용 등 정해진 교칙을 잘 지켰으나 입국한 지 1학기 이상 시간이 흐르거나 한국 학교 문화에 익숙해지게 되면서 그때부터 교칙을 잘 준수하지 않는 특징도 보였다. 다문화예비학교 정책 시행 주체자들이 바라본 이들의 대인관계상 특징으로는 일단 다문화예비학교 내 교사, 친구들과의 관계는 끈끈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는 데 반해 일반학급 친구나 선후배, 교사, 학교 밖 친구들과의 관계에서는 여러 불만을 지니고 있거나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셋째, 다문화예비학교 정책의 대상 학습자를 심층 면담하고 이들의 일기 및 학습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다문화예비학교 존재 자체에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예비학교 학생과 학부모의 입장에서 바라본 이들의 교과 수업 영역 적응 양상은 한국어 교과에 있어 엄청난 만족감을 지니고 있었으며 심지어 낮은 성취도를 보이는 학생의 경우에도 다문화예비학교 내에서 이뤄지는 교과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교생활 영역에서는 교칙 준수에 대한 의무감이 높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한국어 교과에 대한 학습동기가 낮은 경우 모국어 사용이 잦아서 한국어 능력 향상에는 사실상 걸림돌이 되었다.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원적학급 친구 및 교사들과 상호 이해 부족으로 인한 갈등 및 차별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입국・외국인 학생을 위한 중등 다문화예비학교 운영 사례 분석을 하였고 각 구성요소별 역학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그에 따른 실효성을 고찰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해서 더 효율적으로 다문화학생들의 공교육 진입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개별화 교육과정의 세부 안이 새롭게 개발되어 나와야 할 것이다. 핵심어 : 중등 다문화예비학교, 중도입국・외국인 학생, 교과 수업, 학교생활, 대인관계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취업 목적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로문봉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269

        最近幾年,很多的中國學生選擇在在韓國留學,畢業以後大部分的人選擇回到中國發展有少部分的人選擇在韓國發展希望能夠學以致用,證明自己的能力。在找工作的時候有的人是不能給予簽證的問題,有的是薪資少,有的是韓國語能力不被認可,還有壹部分是覺得自己是外國人因為各種文化差異很難融入到公司及社會的氛圍,從而放棄在韓國的工作機會。2015年7月,國務會議中針對中國留學生的簽證問題給予非常好的制度,並且鼓勵中國留學生在韓就業,但是在就業及工作中文化差異的問題上的學術研究及論文研究還有不足。中國留學生在韓國學習了語言,了解了韓國的韓國固有的及生活文化,而對於有關職場文化卻是盲人摸象。那麽需要學習那些才能在韓國順利的就業呢?帶著這樣的問題,本論文針對就業與工作中的需要學習的商務文化的內容進行了調查及研究。 本論文研究目的是針對,在韓國就業時因為中韓兩國商務文化差異的因素,導致的就業難或者工作難等問題上研究了韓國商務文化教育方案,可以通過學習韓國商務文化來提升與韓國的同事及上司的溝通能力和減少誤會,以及圓滿的完成工作任務。為此本論文從2010年到2014年,所出版的商務韓國語教材進行了分析。商務韓國語的分析,主要將教材中有關職場文化的主題和內容進行篩選,然後將被篩選的主題和內容進行分析,商務韓國語的分析結果將作為調差問卷的主題。分析的結果顯示,中國人留學生在校所學習的韓國語教材中的職場文化中的禮儀文化有很多的不足。帶著這樣的不足,對已經畢業和大學院的學生100名 以及已經在韓國就業的中國職場人與韓國職場人50名進行了調查分析。根據調查的職場人,針對於中國留學生在禮儀文化內容中百分比例最高的數據來設定教育內容。根據本論文的調查分析結果顯示,在職場文化中的面試禮儀對於中國人留學生來說是現下的首要任務。對此,針對面試禮儀設計了教育內容,並且設計 了實際的課程,為了可以充分的理解教育內容本論文運用了作用劇和播放視頻的方式作為教育的方法,具體的課程階段有關於面試主題的導入、學習內容的提出、學習內容的活用與練習、最後將整個的學習內容簡單的概括並留作業,這是本論文的研究內容概括,希望通過這樣的學習能給正在準備就業的中國留學生奉 上微薄之力。

      •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한국 문화 수업 구상 : 광주광역시 거주 고려인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김정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55

        외국인들이 한국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위해서는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정체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외국인들을 위한 교육은 주로 언어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문화적 요소는 언어 학습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교육 방식으로는 문화의 심층적인 요소들 즉, 사고방식, 신념, 가치관 등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기는 힘들다. 문화적 산물과 행위뿐만 아니라 사고방식, 신념, 가치관 등에 대한 교육을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에 적절하게 잘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긍정적인 태도와 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문화교육의 한 방법으로 프로젝트 학습, 즉 학습자 중심의 문화 수업을 구상하여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한국 문화를 깊이 있게 학습해갈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한국 문화 교육 및 프로젝트 학습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를 주제로 하는 프로젝트 학습을 고려인 동포 자녀인 외국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학습은 4개의 소주제(음식, 명절, 학교, 직업)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한국문화수업은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사회와 문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국문화이해능력을 향상 시켜주는데 효과가 있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태도를 통해 새로운 한국문화를 접할 때 겉으로 보이는 모습으로만 판단하지 않고 그 속에 담긴 의미와 정서까지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프로젝트 문화수업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는 한국사회 구성원으로서 긍정적인 정체성이 함양되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구체적인 미래를 고민하고 구상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고 이는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성장하는데 필요한 긍정적인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가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공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한국 문화 수업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Two Origins of the Korean War Friendly in Susan Choi’s The Foreign Student

        Hojung Kim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49

        In the American imagination, the Korean War (1950–53) is also known as a forgotten war obscured by the two more prominent wars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 World War II and the Vietnam War. It is also view as the first hot war of the Cold War, signaling the advent of the late twentieth century’s Manichean structure. In short, the Korean War had been primarily perceived as a proxy war that happened between the American-led South and the Soviet-led North. Howeve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Korean War cannot be fully understood only through the Cold War context. Particularly, the Korean American subjects that had been originally understood as the integrated products of the Cold War structure appear to hold different stories that stretch beyond the parameters of the American interven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Susan Choi’s The Foreign Student to understand the moment of integration where a Korean-born figure, Chang Ahn, is severed from his homeland by the Korean War and journeys to America as a foreign student. This Korean Cold War ally being brought into the center of the American empire troubles the preexisting knowledge of the Korean War as a proxy conflict. Such Korean immigrant figure, whom Josephine Park calls a friendly for he is a friendly ally but not fully a friend due to his ra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destabilizes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and the Cold War. This thesis traces the two origins given to this figure, which renders him into a war product but simultaneously a remnant of old Korea that had been obscured by the American arrival in the peninsula in 1945. This will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s of the disturbing elements innate in the Korean wartime friendly. 미국에서 한국전쟁(1950–53)은 역사 속 다른 두 전쟁(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가려친 채 ‘잊혀진 전쟁’으로도 알려져 있다. 동시에 이 전쟁은 20세기 후반 냉전 체제의 시작을 알린 전쟁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은 미국을 대신한 남한과 소련을 대신한 북한 사이에서 벌어진 일종의 대리전이었다는 것이 미국에서의 일반적이 인식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에서 한국전쟁이 단순히 냉전 구도만으로는 온전히 이해될 수 없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한국계 미국인들이 냉전 구도 속에서 포섭된 일종의 전쟁의 산물로 이해되던 기존의 양상과는 달리 최근 연구들은 이들이 지니고 있는 다른 이야기들에 주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수잔 최의 『외국인 학생』을 통해 한국전쟁이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이라는 기존의 지식이 얼마나 불안정한지, 또 그 속에는 어떤 다른 이야기들이 숨겨져 있는지에 주목해 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전쟁을 겪은 뒤, 외국인 학생으로서 미국에 건너간 인물인 캐릭터 안창을 살펴보면서 그가 미국에 도착하게 된 두 기원에 집중한다. 조세핀 박(Josephine Park)은 프렌들리(friendly)라는 개념을 통해 안창이 미국의 친밀한 동맹이지만 동시에 인종적, 문화적인 타자로서 온전한 친구가 될 수 없음을 지적하는데, 이처럼 본 연구는 안창을 전쟁의 산물로 이해하는 기원과 그를 냉전 내러티브에 포함되지 않는 한국의 내적 요인들의 산물로 이해하는 기원을 추적한다. 이를 통해 수잔 최의 외국인 학생이 냉전에 포섭되지 않는 어떠한 불안정적인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는지 더욱 명확히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 2022년도 순천향대학교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줌(Zoom)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및 만족도

        Bounyarith, Kaisamone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36

        Background: Coronavirus is posing challenge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ue to the escalating economic and social disorder across all sectors of society. It was unexpected that COVID-19 broke out and it led many universities to launch online programs to prevent it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have been disrupted by the pandemic. Consequently, many organizations and education institutions have modified their strategies and systems and adopted new technologies. As a result, online learning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refore, understanding learner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is imperative, especially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using the Korean Language in learning, for implementing the program effectively. Objective: Our study seeks to compare and investigate international students’ satisfaction with face-to-face (F2F) and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ile learning a second foreign language (Korean). Methods: Study participants a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based on a cross-sectional design. This study was undertaken among 69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online classes (zoom) star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ose who willing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collaboration with the global and educational office and the student management office, the recruitment advertisements have been posted in the dormitory around the School campus. Categorical data is describ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presents in this study using Means; to interpret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based on Mean score. The paired sample t-test was appli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of the study. A p-value of <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Study participants included 69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at SCH university while learning a second foreign language (Korean) during COVID-19 pandemic. There were 57,9 % males and 42 % females in this study. Over half of the students have been living in Korea for over a year (56.5%). Although most of the respondents' Korean competence is level 3, more than half of them report difficulty in listening and understanding Korean in online classes (Zoom) (56,5%). There is no report of difficulty handling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overal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learning platforms, the student prefers face-to-face learning methods (M=48±13.36) compared to Zoom learning (M=45.30±11.39), t (68) = -1.67, P=0.097. Conclusion: A pandemic of Covid-19 affected many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Remote learning became increasingly popular during this crisis. Zoom classes gradually replaced many face-to-face classes. It was not a prepared shift for either instructors or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st students prefer a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It may be because face-to-face classes allow students to ask questions and instructors to elaborate on difficult points. As a result of interacting with other students, the student gains a sense of belonging to a learning community and develop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