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작은 여인들, 또는 메그, 조, 베스, 에이미』에 나타난 여성 리더십

        조무석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 2004 아시아여성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19세기 미국여성작가 루이자 메이 올컷(IeuisaMayAlrott)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리더십을 20세기 초 영국의 여성주의 비평가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의 관점과 관련하여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울프는 그녀의 대표적인 비평서인 『자기만의방」(1929)에서 남성들이 누리는 모든 혜택에서 제외된 여성의 현실을 고발한다. 이러한 현실을 인식한 여성의 권리주장이 그녀의 여성주의로 표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남성의 타자로서의 여성권리 주장은 똑같은 성적편견에 의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 그녀는 여성의식 주창과 함께 여성성과 남성성이 조화를 이룬 양성주의를 미래 평등사회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울프의 사상은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올컷의 『작은 여인들』 시리즈 중 첫 번째 작품인 『작은 여인들, 또는 메그, 조, 베스, 에이미』(1868)에 작품으로 구현되어 있다. 둘째 딸 조 아치의 여성주의적 리더십은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여성주의에서 출발하고 있으나, 어머니의 양성주의 리더십은 판타지를 통해 미래비전으로 나타난다. 이 작품은 그 표층구조에서는 뉴잉글랜드 지방과 가정생활을 사실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보이지만, 그 심층구조에서는 존 번연(John Bunyan)의 판타지 우화소설 『천로역정』을 바탕으로 현실과 꿈을 적절히 활용하여 작가의 여성의식과 양성평등정신을 교직의 피륙처럼 짜내고 있다. 작가의 분신으로 여겨지는 둘째 딸 조의 반항정신과 독립정신,그리고 그 시대의 규범에 순응하지 않는 담당함과 작가로서의 야망 등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남성과 당당히 겨루어 지도자가 된 많은 여성지도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점은 올컷이 작가가 되는 리더 기질이 '조'만이 아니라, 다양한 기질의 네 자매 모두가 주인공이 되도록 그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기존의 관점과는 다른, 이러한 다양한 주인공들은 어머니의 양성주의적 리더십을 통해 아름다운 공동체 형성에 각자의 특성대로 기여한다. 남성문화에서 배양된 여성주의 리더십은 그 권력추구의 속성으로 인해 리더십의 권위가 비인격적 권력으로 변질하기 쉬운 남성의 리더십과 비슷해질 우려를 다분히 내포하고 있다. 그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외적인 조건에 상관없이 자유롭고 존귀한 존재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야하고 서로 다른 차이들이 다양성으로 인정받는 어머니의 양성주의 리더십이 요구된다고 보는 지점에서 올컷과 울프는 일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여성주의리더십과 양성주의 리더십은 적대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들은 일치를 이루고 있다. 울프의 글이 시대와 대상을 초월하여, 여성적이면서도 더욱 온전하고 조화로운 인격적 관계로 우리를 초대하듯이 올컷 또한 19세기라는 시대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리더십의 한 대안을 여성들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woman's leadership in the fiction of Louisa May Alcott(1832-1888), who is reevaluated as a forerunner of feminist literature in the late twentieth, Little Women, or Meg, Jo, Beth and Amy(1868) with the viewpoint of Virginia Woolf (1882-1941)', the first feminist critic. Woolf advocated feminism for women who were under the prejudice and subjugation, and furthermore developed her vision of androgyny for both man and women, in her feminist essay, A Room of one's Own(1929). Her androgyny seeks to liberate the individuals from the confines of the 'appropriate' and suggests a spirit of reconciliation between two sexes, that is, in Woolf's term, a mind of "woman-manly, man-womanly." Therefore her feminism can be fully understood as consisting of those two sides - her recognition of the fact of feminism and the pursuit of the vision of androgyny. They can never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Alcott's work is well represented on the Woolf's feminism and androgyny, even though the first edition of Alcott's Little Women was appeared about 60 years earlier than Woolf's A Room of one's Own, in which woman leaderships are observed. Alcott's story of the March sisters and their mother "Marmee" was her truest work and its success was due to the use of real life and the writer's own experiences. Furthermore Alcott suggested the vision of androgynous mother leadership supported by the fantasy allegorical novel Pilgrim's progress. Through the Central character tomboy Jo, feminist leadership was analyzed to be turned out similar with masculine leadership, while through Marmee, we could find the androgynous leadership as a vision for the future world. In spite of their different leaderships, as Woolf pointed out, they can never be separated.

      • KCI등재

        성매매 '근절주의'운동의 역사적 형성과 변화의 의미

        이나영(Lee Na-Young)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성매매 관련 국가 정책에 대응하고자 한 근절주의 여성운동의 역사적인 형성과 변화 양상을 일제 강점기와 미군정 시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당시 여성운동이 어떻게 주류 담론과 경합하면서 정책에 대응하면서 형성되었고 분화되었으며, 운동의 내용과 결과는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한민국에서 성매매에 관한 근절주의 운동의 뿌리는 일제 강점기 공창제 폐지운동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폐창 여성운동은 식민지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를 통제에 대한 반대 투쟁에서 출발하였지만 시대적 한계로 인해 반제, 반봉건의 기치 하에 ‘무지한’ 여성에 대한 계몽이 우선될 수밖에 없었다. 폐창의 정신은 해방 이후 국가규제주의 정책의 폐지를 이끌어 낸 폐지주의 여성운동으로 이어졌다. 미군정 당시 국가규제주의 ‘폐지’ 여성운동은 성매매 이슈만으로 좌우연대를 이룬 성과를 거두며 근절주의의 근본적인 기조를 마련하고 이에 기반하여 ‘폐창’을 이끌어 내는데 성공하였지만, 규제주의의 본질에 대한 문제제기와 해체로 나아가지 못했다. 특히 좌파억압의 정치적 상황 하에서 여성운동의 폐창 정신은 우파에 의해 주도되고 종내는 국가기구인 부녀국에 의해 접수됨으로써 도덕주의와 가족주의 담론에 흡수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국가규제 폐지를 목적으로 한 폐창운동에서 출발한 한국의 근절운동은 국가규제주의를 금지주의로 전환하게 한 효과를 가져왔지만 실질적인 성매매 폐지로 나아가지 못했다. 그러한 역사적인 교훈을 통해, 오늘날 우리는 근절/합법화라는 과잉일반화된 이분법을 넘어, 보다 생산적인 방식으로 성매매에 관한 논의를 확장해야 할 의무를 되새기게 된다. 성매매 근절이라는 여성주의 프로젝트는 성매매가 딛고 있는 뿌리 깊은 기반-남성 주도의 모든 정치, 경제, 문화적 관습, 사회제도의 복잡한 매트릭스-에 대한 추적과 근본적인 도전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hange of the women's abolitionist movement against prostitution in Korea,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45)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rule (1945-48). The Korean women's movement against the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or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Kong-Ch'angjae in Korean) construct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as emerged and led by Christian women's organizations and the Kun’uhoe which was formed by a coalition of Christian and socialist women in 1927. However, the Korean anti-prostitution movement was never able to become major part of the broader nationalist struggle of the colonial period due to christianity and various socio-political limits women embodied at that time.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and during the U. S. military government rule, many Korean women began to regard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as a legacy of feudalistic, pre-modern, and colonial patriarchy. Motivated by a sensitivity of gender equality and class justice, women’s organizations, in collaborated efforts of left and right wings, initiated a nation-wide movement against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Thus, in 1946, leftist and right wing women formed the Association for Abolition of Legalized Prostitution (Kongch’angjae P’aeji Y?nmaeng)(AALP) and waged active campaigns for abolition of licensed prostitution. Due to its movement, the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was officially abolished in 1947. Despite the AALP view on licensed prostitution as the outcome of Japanese colonialism, modern capitalism, classism, and male supremacy, however, it could not go beyond the contemporary ideas of women’s chastity and national health, which reproduced the existent patriarchal and moral discourses on prostitution. What we can learn from the historical lesson is that without dismantle the complex matrix of prostitution system under which patriarchal, capitalistic, heterosexual, and imperialistic infrastructure is located, the feminist ultimate goal to abolish prostitution can not be realized.

      • KCI등재

        말레이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여성주의 운동 참여와 정체성 형성

        이수인(Lee, Sooin)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1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의 무슬림 가부장제가 여성을 부당하게 억압하고 불평등하게 대우함으로써 이슬람의 진리에서 벗어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이슬람의 정의 아래 여성 억압적 현실과 싸우는 무슬림 여성주의자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여성주의 운동조직 참여와 관련해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우 여성주의에 친화적인 자아정체성의 특징들이 성장기 경험 속에 축적되고 있었다. 성불평등한 성역할 훈련과 무슬림 여성으로서의 복장훈육을 매개로 부모와 학교의 종교교사와 갈등을 빚으며 여성억압과 성불평등에 대한 잠재적, 현재적 인식이 형성되고 있었다. 여성주의적 인식 자각의 계기로서 사회운동 역사의 세대전수, 외국문화의 경험, 성적 억압, 여성 운동조직에의 참여 등이 발견되었다. 여성주의 인식의 자각단계는 아직 참여에 이르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지만 여성주의운동에 동조적인 정체성이 구성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여성주의운동가 정체성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전 재해석을 통해 중요한 타자인 알라에 대한 이해와 여성주의적 인식을 결합하는 일이었다. 신에 대한 새로운 자각과 재해석에 용이한 경험의 궤적들이 토대가 되는 가운데 개혁적인 무슬림집단과의 연결이 경전재해석을 위한 발판 구실을 했다. 대안적 경전해석을 통해 이들은 무슬림으로서의 정체성을 적극 승인하고, 더 깊어진 신앙을 통해, 그 신앙의 이름으로 무슬림 여성들의 권리와 평등을 위해 싸울 수 있게 된다. 여성주의적으로 해석된 꾸란에 대한 이해는 이렇게 여성주의운동의 강력한 지지기반이 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주체적 역량을 강화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주의 운동가로서의 분명한 정체성 전환이 출현하는데 이 과정은 다양하고 중층적인 정체성 구성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as a feminist activist of Muslim women in Malaysia which is rela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feminist movement. They have belief that Muslim patriarchy suppresses women and gives women unfair treatment, so they are involving in fighting against it for women’s justice and gender equality. Research participants formed feminism-friendly identity during childhood. Conflicts with parents and(religious) teachers formed their latent and manifest perception about women suppression and gender unequality. Awakening feminist consciousness was made through the conveyance of social movement―Dakwah movement―experience from parents, sudden experience of foreign culture, experience of gender suppression, participation in women movement organization. In the step of awakening feminist consciousness, the identities of participants were constructed so as to enhance the congruence with identity of feminist movement group but not enough to ensur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identity construction as a feminist activist is to merge feminist consciousness with understanding of Allah through feminist interpretation about Quran. Joining in the reformative muslim group takes decisive role in conducting that. Alternative interpretation strengthens Muslim identity, stronger belief gives Muslin feminists the power for fighting against gender unequality. Feminist interpretation for Quran empowers research participants and works as stronger base for feminist activities than prevailing interpretation. In the process of combining feminist consciousness with new interpretation of Allah, identity transformation appeared through various and multipl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 여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만남

        백미연(Baik, Mi You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2 다문화와 인간 Vol.1 No.2

        최근 여성주의는 다문화주의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변화해왔다. 한편으로 ‘여성들 간의 차이들’을 고려하는 방법을 찾는데 부심하던 여성주의는 다문화주의를 적극 수용하면서 ‘인정의 정치 여성주의’로 발전했다. 다른 한편 자유주의 여성주의는 다문화주의가 여성주의를 위협한다고 강력히 반발해 왔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입장차는 상반되었지만, 이들 사이에는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다문화주의의 영향으로 여성주의의 주제와 관심이 ‘문화’에 집중되었다는 점이다. 여성주의는 문화적 인정 문제에 집중함으로써 정치적, 사회적 평등과 관련된 여성이슈를 소홀히 다루게 되었다. 이로 인해 여성주의 목소리에서 사회구조적 불평등에 관한 문제가 약화되었다. 그 결과 여성주의는 여성억압의 현실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제출하는데 실패하게 되었고, 여성주의에 대한 지지는 극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여성주의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평등과 차이’의 문제를 통합하는 이론과 운동을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1990s feminism and multiculturalism have been in a close relationship. On the one hand, some feminists were looking for a way to consider ‘differences among women’. They embraced multiculturalism and has been ‘feminist politics of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other feminists especially liberal feminists objected to multiculturalism on the feminist grounds by arguing that multiculturalism is not always in the best interest of women. Feminist politics of recognition and liberal feminists have opposing positions about multiculturalism. However both positions share one point. Both positions focused their attention exclusively on the ‘culture’. Due to the encounters of feminism and multiculturalism, recognition of cultural difference was the most important gender issue. Both feminist politics of recognition and liberal feminists are concerned exclusively with injustice of cultural valuation; both neglect injustice of political economy. As a result, feminists failed to provide a reasonabl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women"s oppressions and faced with a reduction of the support. Therefore, the only way we can overcome this crisis is to develop approach that integrate ‘equality and difference’.

      • KCI등재

        대학의 여성주의 교육과 남학생들의 저항

        김미덕 ( Mi Duk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1

        대학교 여성주의 강좌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성 정체성에 따라 여성주의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다르다. 일반화는 어렵지만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여성주의에 대한 민감성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대학생들의 여성주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떤 여성주의 교수의 전략을 통해 여성주의 강좌를 수강하는 남학생의 저항을 줄일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 강좌에서 학생들의 토론, 에세이, 영화 비평 등을 분석하였다. 남학생들의 저항은 세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여성주의에 반감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경우, 둘째, 남성 중심적 사고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지 않지만 그렇다고 여성주의를 지지하지도 않는 경우이다. 이는 가장 대중적인 반응이며 분석과 성찰의 어려움과 함께 양성 평등, 차이의 인정과 같은 규범적 수위를 강조하는 도덕적 환원(moral reductionism)을 보인다. 셋째, 계몽된 남성들로서 여성주의를 지지하지만 자신의 자연화된 특권을 교정하려는 노동은 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 글은 이러한 저항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억압을 강조하면서 공감을 의도하는 대중적인 방법은 한계가 있다고 본다. 그러한 전략은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의 역할을 재생산하고 피억압자의 인식론적 특권 때문에 공감 또한 그렇게 수월하게 실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필자는 학생들 자신의 생활과 삶이 어떻게 복잡한 수위의 가부장제와 얽혀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데, 학생들은 성역할의 강제라는 가부장제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을 잘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남성에게 강제되는 불편함을 가부장제로 집약하지 못하고, 남성으로서 물리적·심리적 특권의 현실에 대한 검토보다는 역차별 문제로 다시 한 번 성별 대립, 혹은 여성에 대한 비판으로 환원하는 경향이 많다. 대개 가부장제가 남성=가해자, 여성=피해자라는 도식으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가부장제가 남녀 문제 이상의 권력 관계의 장이라는 이해, 동성 간에 발생하는 권력 위계 문제, 심리적 테러, 여성의 가부장적 성역할의 내면화, 가부장제가 남성에게 가하는 불편함과 장기적 · 구조적 특권등의 다층적 현실을 살펴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학의 여성주의 강좌로 학생들의 의식의 변화나 생활의 실천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인데, 다만 교수자로서 남성페미니스트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회의하기보다 최소한의 범위에서 성찰의 장을 제공하고 여성주의 분석의 초점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Due to the difference in gender identity,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receptiveness to feminism in feminist courses at universities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lthough generalization is difficult, it would be safe to say that female students, as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are much more receptive and favorable to femin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approaches and strategies in feminist pedagogy could be applied in college settings to address and reduce male students` resistance toward feminism.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analyzes various academic literature as well as students` lecture discussions, essays, and movie reviews in relation to feminism. The resistance held by male college students toward feminism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 types. The first type shows no hesitance in demonstrating his antagonism toward feminism. The second type neither asserts his patriarchal notions nor displays any support to feminism. This type is most commonly displayed by male students and such phenomenon could be explained by ‘moral reductionism’ in which they face difficulties in analyzing and reflecting on their lives in a patriarchal society, while employing normative statements such as gender equality, recognition of difference, and women`s rights. The third type is so-called enlightened and therefore supports feminism; however, he does not go to the extent of relinquishing his power and privileges in a patriarchal society. In the attempt to reduce male students` resistance, I pinpoint the limitations of focusing on both women`s oppression and the strategy of compassion. By focusing on these two matters, it will only reproduce stereotypical sex role. Besides, compassion is not easy to practice as it ought to due to the epistemological privilege of the oppressed. I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 space where male students could reflect on their own daily lives in relation to the existing societal complexities of the patriarchal system. Interestingly enough,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re aware of the fundamental features of patriarchal system or enforced sex role. However male students have difficulties explaining the relationship of enforced masculinity to patriarchy. Moreover, instead of acknowledging the exhaustive list of their privileges, they tend to revert back to the question of reverse discrimination, or pinpoint women`s internalization of patriarchy. It is manly because patriarchy is considered as the notion of ‘men as oppressors, women as victims.’ To solve this problem, I demonstrate the need to examine the multifaceted realities of patriarchy such as problems of power relations within same sex, psychological terror, women`s internalization of patriarchal sex role, and males as victims and their institutional privilege. Although it is almost impossible to expect male students who have attended women`s studies practice feminism on a regular basis, it is necessary for feminist lecturers to accurately present the focal point of feminism, and to provide ample opportunities for them to analyze and reflect on their lives in relation to the existing patriarchal system.

      • KCI등재

        민속문화의 여성성과 민속학의 여성주의적 문제의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5

        여성민속은 두 가지 문제와 만난다. 하나는 민속문화의 전승주체 절반은 여성이라는 사실이며, 둘은 민속 연구주체의 여성주의적 시각이다. 일찍이 이능화가 여성 가운데도 기녀와 무녀에 관한 연구로 하층 여성민속 연구의 보기를 남겼다. 계급해방과 민족해방 등 인간해방의 관점에서 여성주의 민속학을 주목한다. 겉으로 드러난 여성민속에 머물지 않고 남성민속 속에 숨어 있는 이면의 여성민속을 밝히는 것이 과제이다. 여성민속을 부정하는 경향은 강강술래조차 여성놀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남성들도 참여했다는 것이 그 근거인데, 예외적인 참여주체보다 강강술래가 지닌 여성놀이로서 성격이 더 중요하다. 1) 보름날 달밤에 하는 여성들의 집단놀이, 2) 보름달은 여성의 잉태와 분만을 상징, 3) 달의 생생력 주기와 여성의 생리와 일치, 4) 놋다리밟기, 월월이청청 등 여성놀이와 같은 성격의 놀이, 5) 노래 부르며 춤추는 노래놀이, 6) 강강술래 여흥놀이들도 여성놀이, 7) 모성적 생산성을 갈무리한 여성놀이 등이 중요한 근거이다. 인간의 기본적인 생존양식인 의식주생활의 주체가 여성이다. 여성은 온 가족을 입히고 먹이고 화목하게 생활하도록 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는 책임도 여성이 더 무겁게 진다. 무상급식은 단순히 빈부문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점심을 책임져야 하는 어머니의 책임과 연관되어 있다. 학교에 다니는 자녀들의 점심만 온전하게 해결되면 주부들은 점심 끼니에서 해방되고 온종일 마음이 편하다. 그러므로 무상급식은 복지 문제를 넘어서 여성해방의 시각에서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여성주의 전통은 서구와 견주어보면 상대적으로 잘 드러난다. 남녀를 일컫는 일상적 호칭에서 한국민속의 여성성이 더 건강하다. 여성을 남성의 종속적 존재로 일컫는 영어 호칭과 달리, 한국의 호칭은 남녀가 대등하거나 오히려 여성이 우위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남성문화 이면에 여성문화가 있다는 사실을 혼례와 제례의 여성주의적 성격에서 드러난다. 굿을 비롯한 불교와 기독교 신도들 가운데 여성들이 많아서 한국종교문화를 여성들이 이끌어간다. 여성들이 한국 종교문화를 이끌어가는 주체이기 때문에 다종교복합국가를 이루되 테러와 같은 종교간 분쟁이 발생되지 않는다. 전통문화의 이면을 분석적으로 보면 여성주의적 문화가 더 잘 드러난다. 가옥구조의 배치나 성별에 따른 이용을 보면, 여성들이 안채나 안방처럼 더 크고 안전하며 더 중요한 공간을 사용한다. 설화를 보면, 시어른이 며느리에게 또는 아버지가 딸에게 구박 받는 이야기가 있다. 가부장체제로 알려진 전통사회에서도 여성권력이 꿋꿋했다는 사실을 여러 모로 밝힘으로써, 전통사회에 대한 남성주의적 고정관념을 극복할 수 있다. 유교 전래 이전의 고려시대 문화는 여성주의 전통이 우세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러한 전통이 유교 전래 이후의 남성주의 문화 속에서도 단절되지 않고 살아 있다. 따라서 여성주의 시각에서 보면, 오히려 최근의 관습이 더 문제이다. 차례나 제사 준비를 전적으로 여성의 몫으로 맡겨버리거나, 집안의 호칭으로 여성의 친정지명인 택호를 쓰지 않고 남편의 지위명을 쓰는 것이다. 더군다나 여성의 자력적 출산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은 인간의 생명력이 상실되어가고 있는 증거이다. 인간해방의 상생적 여성주의는 여성의 모성을 회복하는 것이자 인류의 생명력을 회복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여성은 공시적으로 보면 인류의 반쪽을 이루고 있지만, 통시적으로 보면 인류사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는 온전한 주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의 전개 및 전망

        공미혜(Kong, Mee-Hae)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3

        이 글은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이 지역의 사회문화적 분위기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와 그에 따른 문제점 및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여성주의 지식은 여성주의에 입각하여 여성 또는 여성문제를 보는 관점으로 넓게 규정한다. 따라서 이 글은 부산지역 대학 부설연구소와 여성학과, 여성관련 연구원, 여성관련 단체 등이 개최한 각종 토론회, 심포지엄, 연구물 등을 중심으로 분석했으며 이를 통해 여성주의 지식생산과 지역사회의 상호작용을 추론하고자 한다. 우리 사회에서 여성주의 지식생산은 여성운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회문화적 분위기와 맥락을 같이 한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 이후 부산지역의 두 대학에서 여성관련 연구소가 설립되자 전문적인 여성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여성주의 지식의 전문화도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대학원 과정의 여성학 전공자는 눈에 띄게 감소하고 있는데 이는 신자유주의의 확대로 인한 ‘시장화된 가부장제’에 의한 것으로 여성주의 지식의 확산을 저해하고 위기를 조장하고 있다. 한편, 1990년대 이후 여성학을 접한 활동가들은 부산지역에서 여성주의에 입각한 여성단체를 설립하여 대중에게 여성주의를 널리 유포하는 기회를 만들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성운동의 제도화는 조직의 안정과 운동성의 감소라는 내부적 모순에 빠지게 하였다.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은 전체 한국사회 및 부산지역의 구조적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지만 여성과 지역의 정체성을 동시에 보전하지 못하는 특성 또한 보이고 있다. 이는 특히 여성주의라는 새로운 지식을 중앙을 통해 수용하였던 지역의 종속성과 보수성을 내포하는 것으로 그 태동과 확장은 수도권보다 느리고 쇠퇴는 빠르게 진행되는 자원의 부족과 조직의 불안전성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부산지역 여성주의 지식생산의 전망은 여성관련 단체의 자율성에 달려 있는데 자율성은 여성주의의 대중화와 지역특성의 가치를 동시에 유지, 발전시킬 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feminist knowledge diffusion and prospects along with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the Busan area. Feminist knowledge is broadly defined as a feminist perspective of reviewing women’s problems. This study is based from materials of various seminars, symposiums, and research projects that centers for women’s studies and various women’s organizations have held. Feminist knowledge diffusion is closely related to women’s movement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democratization movements in the 1980s, actual feminist research had been implemented and triggered after centers for women’s studies were established at two universities in Busan. However, the expansion of neo-liberalism produced a crisis in the discourse of women’s studies since the middle of the 2000s. Although women activists played a critical role in diffusing feminist knowledge to the masse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movement creates a dilemma between need for the stabilit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autonomy in activism. The diffusion of feminist knowledge in Busan was affected by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collaboration between feminism and localism often led to a loss of identity among women’s organizations. Therefore the prospects for feminist knowledge diffusion in the future are dependent on the ways in which both popularization of feminist knowledge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maintained and developed. These efforts are essential for the autonomy of women’s organizations.

      • KCI등재

        힌두근본주의와 인도의 여성

        김주희(Kim Joohee),김우조(Kim Woojo),류경희(Ryu Kyunghi) 한국여성학회 2002 한국여성학 Vol.18 No.2

        이 논문은 종교근본주의가 아시아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론적 접근을 시도한 종교학, 문학, 인류학의 학제간 연구이다. 최근 남아시아 지역에서 종교근본주의가 부상하고 있는 현상은 이 지역 여성운동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그 이유는 근본주의가 전통과 종교의 근본 교리를 보존한다는 명분 하에 실제로는 여성의 남성 종속적인 지위를 재 주장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종교근본주의가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인도의 사례(특히 북부)를 중심으로 조명하면서 특히 남성이 여성을 통제하려고 하는 이면의 논리와 그 구체적인 통제 방식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종교근본주의가 등장하게 된 일반적인 배경과 힌두근본주의의 성격을 언급하고 이어 힌두근본주의가 등장하여 근래에 부상하게 된 요인을 정치, 사회, 경제적 변화와 이에 따른 여성의 전통적인 지위와 역할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어서 힌두근본주의가 인도 여성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힌두근본주의의 정체성 구축 과정과 연계 지은 여성 정체성의 재확립 시도와 그것의 구체적인 사회문화적 전략을 통하여 살펴보고 있다.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힌두근본주의 세력이 여성 정체성을 대중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활용해온 여러 매체 중 하나인 TV드라마시리즈(라마야 나)를 분석하고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가부장적 관행과 관습들을 부활시키려는 사례와 전략들 그리고 이와 관련한 여성주의운동의 딜렘머를 다루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deal with theoretical problems of the impact of the emerging power of Hindu fundamentalism on the lives of women in the present Indian society. An interdisciplinary(religion, literature, and cultural anthropology) approach was adopted for the research. Literary and media sources (TV drama 'Ramayana') were analyzed to demonstrate the varying factors responsible for the rise of Hindu fundamentalism and to clarify the strategies on the part of Hindu fundamentalists on feminine identity and its applications in the socio-cultural milieu. The backlash against secularism and Westernization, an enlarged gap between different social groups due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ilure of the Congress Party, and the resistance to the globalization program planned by the world powers have combined to provide the fertile soil for the growth of the Hindu fundamentalism in recent Indian society. This study shows that groups of Hindu fundamentalists employ various strategies and programs to train woman leaders to consolidate their members against the Muslims and to implant their patriarchal ideology among the general public. Rhetorics glorifying the traditional woman's role are constantly produced to disseminate their conservative attitude toward women and to legitimize recurring incidents of traditional oppressing practices such as sati and domestic and other violence engaged against women in recent India. The empowerment of the Hindu fundamentalism has weakened the stance of the progressive feminist movement, left-wing autonomous group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organized efforts of fundamentalist groups to win over their side those men who feel insecure about the rising voice of educated women, and their capability of propagandizing their ideology backed by their recent political success, we can safely predict that the feminist movement aiming to transform the deep-rooted patriarchal system in India will face more obstacles than they have ever done before.

      • KCI등재

        전지구적 여성주의와 초국가적 여성주의들

        허민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1

        이 글은 전지구적 여성주의(global feminism)와 초국가적 여성주의들(transnationalfeminisms)을 전지구적인 여성에 대한 폭력추방운동과 여성인권개념의 등장과 확산에 초점을 두어 개념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진행형으로 논의 중인 이 두 여성주의의 영역을 가시화하는데 있어, “여성간 차이 다루기”(dealing with differences among women)를 핵심 개념으로 활용한다. 전지구적 여성주의가 여성간의 차이를 가로지르는 공통성을 추구함으로써 전지구적 네트워크, 연대, 연합을 이루고자 하는 여성주의자들의 노력이라면, 초국가적 여성주의들은 계급, 인종, 성적 지향, 그리고 국가와 관련한 여성간의 차이들을 신중하게 고려함으로써 전지구적 여성주의의 보편적이고도 제국주의적인 일면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려는 이론적 논의들이다. 한국 여성폭력추방운동의 전개는 바로 이러한 전지구적 여성주의와 초국가적 여성주의들의 논의와 맞닿아 있다. 현 가정폭력방지법의 실행과 집행의 보수화, 아내구타 문제의 비범죄화 경향은 바로 그 법제정을 이뤄냈던 운동당시의 맥락, 그 맥락을 활용한 여성운동의 전략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한국여성폭력추방운동의 역사적 전개는 초국가적 여성주의들의 이론적 논의들로부터 평가받을 수 있다. 그러는 동시에, 전지구적 여성주의가 추구하는 보편가치는 우리 문화적 맥락의 한계를 극복하고 여성폭력개념을 정립하는 중요한 정치적 전략이자 목표가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여성폭력추방운동은 전지구적으로 그리고 초국가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그 역사적 진행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conceptualize the notion of global feminism and transnational feminisms by exclusively focusing on the ways in which the issue of "differences among women" has been dealt with within those two on-going feminist thoughts and practices across borders. Identifying global feminism as a feminist attempt to find common ground, despite complicated differences among women,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issue of violence against women has emerged as a common global problem. It also articulates the ways in which a women's human rights discourse has been developed to resist violations of women's rights committed in the name of respecting cultural differences. The UN conferences on women provided a space for discussing women's shared problems and forging feminist alliances across the world. While global feminism is accused of constructing a general causality in order to establish a united, global political force, transnational feminisms attempt to explore possibilities or impossibilities for feminist coalitions across differences. In this sense, the term "transnational feminisms" refers to theoretical dimensions of feminist coalition building around the globe. Although transnational feminisms share with global feminism an emphasis on coalition building, they reject both the universalizing tendency of formulating agendas and oppositional binaries that pervade global feminist projects. Transnational feminisms seek to theorize differences rather than leave behind or celebrate differences. Based on their postcolonial critique, therefore, transnational feminisms attempt to elaborate feminist theories and practical ideas by criticizing and contradicting the universal and imperialist tendencies of global feminism. By briefly presenting an empirical case study of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in the South Korean setting, this article addresses the gap in knowledge surrounding the promotion of a universal human rights language as well as locally situated feminist activities, frameworks and decision making. In order to challenge cultural bias and prejudice, which decriminalize wife beating in the name of protecting family values, this article affirms the necessary for Korean feminist activists to employ women's human rights discourse in terms of global justice.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shows that the contemporary obstacles that the Korean anti-domestic violence movement confronts, in spite of considerable legal reforms, are closely relevant to socio-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upon which the movement relied and in which the issue of wife beating was constructed as a public one. In this vein, it concludes that the locally-situated Korean women's movement against violence against women can be discussed within global/transnational feminist discourses and practices as it also make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o the growing field of feminis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