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여가활동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자아실현 관계연구

        김동준 ( Dong Joon Kim ),황대욱 ( Dae Uk Hw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최근 여가활동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욕구파악에 따른 여가만족과 삶의 질을 가늠할 수 있는 자아실현과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맞춤형 여가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연구하였다. 실증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 요인분석결과 외모중시형, 계획적생활형, 서구편리추구형, 여가향유 및 리더적활동형, 건강중시형, 알뜰절약형의 6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3개의 군집인 외모/건강/여가향유형, 서구편리추구형, 알뜰/계획생활형의 3개 군집으로 분석되었고, 여가만족의 요인분석결과 생리만족, 교육만족, 사회만족, 심리만족, 휴식만족, 환경만족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자아실현 변수에서는 정서적, 업무적, 도덕적 자아실현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차이분석결과 외모/건강/여가향유형 집단과 알뜰/계획생활형 집단의 여가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아실현에 여가만족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정서적 자아실현에는 사회만족과 휴식만족이 중요한 변수임을 나타냈고, 업무적 자아실현에는 생리만족과 사회만족이 주요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도덕적 자아실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심리만족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가와 관련된 사업에 여가활동 집단의 욕구와 여가만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방안 강구가 가능하며, 여가 활성화 차원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 with leisure satisfaction and self realization which can make judge quality of life etc. based on more correct and systematic examination about desire for recent leisure activity popul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customized leisure 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life styl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ype of life style, it was identified that leisure satisfaction of group of appearance/ health/ leisure-enjoying type and sparing/planned life type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identifying influences of leisure satisfaction on self realization, for emotional self realization, social satisfaction and rest satisfaction are important variables. For self realization in job,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showed major influencing relation. It was analyzed that factor to affect moral self realization was factor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 improve leisure satisfaction, measures to increase leisur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leisure participation time are required. And shown in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making groups of life style, it was identified that leisure satisfaction of group of appearance/ health/ leisure-enjoying type was high. And it was suggested that measures for improving low leisure satisfaction of group in type of pursuing Western convenience and related strategy are needed.

      • KCI등재

        공무원의 여가활동, 여가장애 요인이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대한 인과관계 연구

        김홍남,정인서,김민수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8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ublic officers' leisure satisfaction influenced by leisure activity behaviors and barriers factors will affect their life qu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it proves that age, term of service, and marriage are closely related to leisure activity. Besides, it seems that leisure satisfaction have little to do with a living standard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s. The people living a stable life along with positive attitude have more interest in leisure and life quality. Second, a wide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brings out increased leisure satisfaction, which generally affects life quality. And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have much to do with control effect. Third, time, expense and leisure type are categorized into leisure barriers factors. But these factors do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quality. In conclusion, when leisure facilities are properly provided, participants are willing to take part in leisure activity more actively. 여가활동은 건강관리, 체력 증진, 스트레스 해소, 정서적 안정과 휴식 등의 효과를 위해서 필요하다. 공무원의 여가활동 행태와 여가장애 요인에 따라 여가만족이 직장만족, 생활만족과 같은 삶의 질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가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 근무기간, 결혼여부에 따라서 여가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다. 또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여가만족과 삶의 질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된 생활환경을 가진 계층이 상대적으로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 관심이 많고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둘째, 다양한 여가활동은 여가만족의 증대를 가져오고 이는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삶의 질에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다. 또한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인과관계는 다르다. 셋째, 시간이나 비용, 여가 대상 등의 문제는 여가장애 요인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장애요인이 실질적으로 여가만족과 삶의 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결국 여가활동은 본인의 의지가 중요하며 여가 시설이 적절하게 제공될 때 적극적인 참여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유급노동·가사·돌봄·여가 시간사용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효과를 중심으로

        주익현(Joo, Ik Hyun),주이화(Joo, E-Wha) 한국인구학회 2021 한국인구학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승인통계자료인 201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분석해서 20세 이상 60세 미만 맞벌이 부부의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본인과 배우자의 유급노동, 가사, 돌봄, 여가 시간이 응답자의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아내와 남편, 맞벌이 여부, 주말 여부를 고려해서 표본을 8개의 집단으로 나눠서 OLS 회귀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아내와 남편 모든 집단에서 본인의 시간부족감, 삶의 만족도, 가사분업만족도, 배우자의 여가만족도가 응답자의 여가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모든 아내 집단에서 돌봄노동시간량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낮아졌다. 셋째, 일부 집단에서는 운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지금까지 주목을 받아오던 소득이나 노동 또는 여가시간의 총량보다는 심리적인 만족도나 여가활동의 세부 종류에 따라 여가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이다. 여가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소득이나 여가시간의 총량을 늘리기보다는 가사분업만족도 등의 심리상태를 고양시키거나 체육시설 및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finding what factors affect 20-60 aged couples" leisure satisfaction by analyzing Korean Time Use Data 2019. The hypothesis was paidwork, housework, carework, leisure activities ha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8 groups for classfying gender, dual earner and survey day. According to the results, we found three facts. First of all, personal time pressure, life satisfaction, housework division satisfaction, spouse leisur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all groups. Second, carework has negati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among all wife groups. Third, physical activities have partially positi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among some groups. Theoretical implication was the important thing is not house income or amounts of total labour time but what leisure activity we do and how we use our time. Substantive implication is that we should increase housework division satisfaction or set up sports facility in order to increase leisure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생들의 여가경험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성유 여가문화학회 2011 여가학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leisure activities and to provide more useful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leisure experience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living satisfaction. To prove this, we set the college students as the population and collected surveys answering the self assessment method by using random sampling method. The number of the sample was 370. The methods of the analyzing to reach the conclusion wer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 are as followed: First, In the order of doing internet, playing sports activity, seeing movie, watching T.V. listening to the music and playing games during weekdays and for the weekends are in the order of seeing movie, seeing play, watching T.V., working part time job, taking rest going shopping, doing internet, playing sporting activity and dating. Wishing to do activities are traveling(36.2%) is on top of the list and sports activity(14.9%) and seeing movie and play(13%) is followed. Favorite leisure activities are sports(35.4%) is on top of the list and seeing movie and play(18.4%) and traveling(18.1%) are followed. Second, By gender showed distinction only on physical satisfaction, The grades of school showed distinction on physic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Leisure experiences showed distinc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Participating hours showed distinc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on social satisfaction. The number of leisure showed distinc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The amount of spent money showed distinction on all of factor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Third, educational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by the correlation result of leisure satisfaction and living satisfaction of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influence on living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on leisure activities.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여가경험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여가활동에 대한 효과를 이해하고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 집락무선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자료는 제외하고 총 370명이었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t-검정,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평일은 인터넷, 스포츠 활동, 영화, TV시청, 음악감상, 게임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휴일은 영화, 연극, TV시청, 아르바이트, 휴식, 쇼핑, 인터넷, 스포츠 활동, 이성교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하고싶은 여가활동은 여행이(36.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좋아하는 여가활동은 스포츠(3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은 신체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신체만족도와 환경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경험에 따른 교육만족도, 정서만족도, 신체만족도, 환경만족도, 사회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참가시간은 교육만족도와 사회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횟수는 교육만족도와 환경만족도, 사회만족도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지출금액은 교육만족도, 정서만족도, 신체만족도와 환경만족도, 사회만족도 모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상관관계 결과는 교육만족, 정서만족, 신체만족, 환경만족, 사회만족은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만족도 요인 중, 교육만족도, 정서만족도, 환경만족도, 사회만족도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가참여 수준과 경제 수준의 조절효과 검증

        황선환(SunhwanHwang),김종호(KimJongho)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여가참여 수준과 경제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K광역시와 중국의 C시에 거주하면서 여가동아리에 참가하고 있는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 실하거나 답변이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한국 310부, 중국 310부, 총 620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여가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문제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에서 참여 수준과 경제 수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 대학생의 여가만족 하위 요인 중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서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 하위 요인 중 사회적 만족이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참여 수준과 경제 수준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대학생의 삶의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 중에서 여가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중국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 을 결정하는 요인 중에서 여가는 큰 비중을 담당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economic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620 surveys was employed for the analys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economic levels. As the results,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leisure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in Korean. However, only social leisure satisfaction had it in Chinese.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economic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both college student groups. Finally, leisure satisfac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for life satisfaction, whereas it is not a critical dimension for life satisfaction in Chines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교사의 여가활동 참여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강재성(Kang Jae-Soung),김재운(Kim Chae-Woo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6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serving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of T megalopolis. Using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421 teachers were sampled and asked to respond the survey. <B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SPSS 11.0 program was used for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B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BR>  Firs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influenced the teaching stress. In detail, type and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teaching stress.<BR>  Second,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influenced the teaching satisfaction. In detail, type,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teaching satisfaction. <BR>  Third, teacher"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teaching stress and teaching satisfaction. In detail, teacher"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had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enhancement of teaching satisfaction with mediating variables of teaching stress.   본 연구는 교사의 여가활동 참가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광역시 소재 중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체계적 유층집락무선 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활용하여 480명을 표집 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421명 이었다.<BR>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기법은 t 검증,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BR>  이와 같은 연구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BR>  첫째, 여가활동 참가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활동 참가 유형 중 스포츠 여가활동 참가가 비스포츠 여가활동 참가에 비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았고, 여가활동 만족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둘째, 여가활동 참가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활동 참가 유형 중 스포츠 여가활동 참가가 비스포츠 여가활동 참가에 비해 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았고, 여가활동 몰입정도와 만족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을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BR>  셋째, 교사의 여가활동 참가는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 변인간 직?간접적인 경로를 통하여 유의한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즉 교사의 여가활동 참가만족, 빈도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그리고 참가만족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직무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는 여가활동 참가와 직무만족을 연결해 주는 중요한 매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여가정책만족의 매개효과

        한진오,정득,이종석 여가문화학회 2019 여가학연구 Vol.17 No.2

        This study aims at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of Korea people’s leisure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is an effort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any mediating effect of leisure policy satisfaction in that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influences people’s leisure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aw data entitled 「The 2018 Survey on Public Leisure Life of Korea」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used. The target subjects chosen were 2,973 persons (1,705 males, 1,268 females) who were aged over 19 and had experienced using public leisure facilities. Along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schooling level, income level, and region),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weekly 5-day work system, weekly working hours, and happiness level) were controlled fo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and on leisure policy gave positive(+) influences. In addition, Path Analysis proved that leisure policy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course of examining the impact of satisfaction of public leisure facilities over leisure life satisfaction. Such results imply that practical public leisure facilities and related leisure policy, both of which can increase the quality of Korean people’s life, must go hand in hand to enhance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public domain, policies and PR measures should be arranged for the minorities and isolated groups to enhance their accessability to public leisure facilities or leisure programs within their life zone. Furthermore, this study implies that, in order to overcome the regional differences in leisure life satisfaction, we should seek ways to increase satisfaction on public leisure facilities by establishing leisure polic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in a given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특히 공공여가시설만족도가 여가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여가정책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의 원시 자료를 활용하였고, 공공여가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9세 이상의 2,973명(남자 1,705명, 여자 1,26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성별, 연령, 학력수준, 소득수준, 지역)와 함께 근무환경변수(주5일제, 근무시간, 행복수준)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한 결과, 공공여가시설만족도와 여가정책만족도는 여가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양(+)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통해 공공여가시설만족도가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여가정책만족도가 부분매개하는 효과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공공여가시설과 관련 여가정책이 병행되어야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가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법과 제도의 개선과 함께, 다양한 여가시설, 질 좋은 여가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전문인력 양성 및 배치와 같은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공공영역에서는 취약계층이나 소외계층의 생활권 내 공공여가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과 홍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여가생활만족도의 지역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민들의 특성을 고려한 여가정책 수립으로 공공여가시설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여가참여형태에 따른 여가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이유진,황선환 한국융합과학회 2020 한국융합과학회지 Vol.9 No.2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by college students' leisure types, hours, and partners.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leisur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ffected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research target was set as a population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Seoul, 2019, and 309 copies col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re used for analysis. As for the data processing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Multi-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Results: First, among the leisure types that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sports and social services showed higher leisure satisfaction than the rest. Second,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leisure when they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alone or with friends than with their families. Third, the more leisure hours students ha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leisure. Fourth, college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lifestyle and leisure life of college students', active leisure participation is encouraged, and the justification of customized leisure welfare and leisure education that can develop into lifelong leisure is enhanc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여가유형별, 시간별, 동반자에 따라 여가 만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나아가 대학생들의 여가만족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2019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수집된 30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One-ANOVA, Multi-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들이 참여한 여가유형 중에서 스포츠유형과 사회봉사유형이 휴식유형보다 여가생활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은 가족보다 혼자서 혹은 친구와 함께 여가에 참여할 때 여가생활만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은 여가시간이 많을수록 여가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여가만족은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론: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 생활에 기초하여 적극적인 여가 참여를 권장하고, 평생 여가로 발전할 수 있는 맞춤형 여가복지와 여가교육의 당위성이 제고된다.

      • KCI등재

        생활만족에 대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

        박세영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4 No.2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와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생활만족에 대한 기여도를 규명하며,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들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여부, 직위, 직종, 수입을 통제변수로 함께 고려하였다. 또한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들과 여가만족의 하위요인들 간의 생활만족과의 관계를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611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나타내는 생활만족을 알아보기 위해 주관적 안녕감 중 삶의 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6개 영역을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생활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삶의 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은 .535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직무만족은 생활만족에 대해 33.6%의 설명변량을 갖고 있고 여가만족은 생활만족에 대해 20.9%의 설명변량을 가져, 여가만족보다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은 함께 생활만족에 대해 39.6%의 설명변량을 가져 직무만족과 여가만족 모두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과의 상관은 .429였고,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들과 여가만족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상관이 유의하여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이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여가만족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혜란(Hea Ran Park)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3 No.-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여가만족이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고자, 여가참여 정도에 따른 여가 만족과 학교생활 만족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4개 대학교에서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random sampling)에 의해 대학생 모집단을 설정한 후 표본을 추출하여 총 240부를 배포하였으며, 연구의 정확성을 위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부정확하거나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15부를 제외한 225부가 분석에 사용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중다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 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이 가장 많이 수행 하는 여가활동은 스포츠, 여가시간은 저참여에 포함되어 있으며, 주된 여가시간대는 18-23시, 앞으로 가장 하고 싶은 여가활동은 관람감상, 여가참여이유로는 스트레스 해소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만족의 교육만족, 휴식만족, 생리만족은 저참여(0~20시간)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리만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여가참여 시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는 물리적 환경과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 요인만 저참여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은 여가참여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여가만족과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는 학교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교생활만족은 여가활동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university dance students'leisure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leisure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225 students sampled from four universities in Seoul using a questionnaire on leisure satisfaction. First, with regard to university dance students' leisure participation level, the most frequent leisure activities were sports, and the group classified as low participation was largest. The most favorite time slot for leisure activities was 18~23 o'clock, the leisure activity that they wanted to do most in the future was viewing and appreciation, and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leisure participation was relief from stress.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rest satisfaction and physiological satisfaction were higher in the low participation (0~20 hours) group, physiologic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isure participation time.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university dance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leisure participation time, only physical environment, school event and special activity were higher in the low participation group,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chool event and special activ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isure participation time. Fourth, school life relat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teacher relationship and physical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chool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