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신앙적 양육태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하나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정혜영 평택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의 주일학교에 초등학생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 의 신앙적 양육태도의 경험을 알아보고 그러한 경험이 갖는 의미를 연구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연구자는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들 과 어떤 방식으로 신앙생활을 하는지, 가정에서 자녀들의 행동과 정서적인 훈육을 시킬 때 어떤 방식을 적용하는지, 자녀들에게 하나님에 대하여 무 엇을 가르치는지, 자녀들에게 어떤 신앙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 자 녀들에게 나타난 결과는 무엇인지에 대해 네 가지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어머니의 신앙적 자녀양육의 경험을 알아보고 그 의미 를 연구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가운데 하나인 클랜디닌과 코넬리의 내 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신앙의 연수는 다르지만 신앙적인 자녀양육의 경험이 있는 주일학교에 초등학생 자녀를 보내는 40 대의 어머니들이다. 이들은 2018년 2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예비 면담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고 자료 수집은 2018년 5월부터 2020년 10 월까지 이루어졌다. 방법은 주로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이야기 안에 서의 의미를 찾고자 분석 및 해석을 반복하였고, 그 외 연구일지, 메일, 문 자, 카톡, 전화 통화, 녹음파일, 그림 자료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살펴본 어머니의 신앙적 양육 태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하나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인 어머니들은 결혼생활의 어려움과 자녀 양육의 한계에 부딪히면서 간절한 기도를 통해 하나님 경험을 하였고 이로 인해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가 변화되고 신앙이 성숙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러한 어머니들의 변화와 교회의 어머니들을 위한 상담, 성경공부, 심리학 교육의 다각적인 도움을 통해 어머니들과 자녀들의 관계가 개선되고 신앙 적 자녀 양육이 가능해졌다. - iv - 둘째, 참여자인 어머니들은 자녀들에게 매일의 삶과 가정예배를 통해 하 나님의 사랑을 들려주고, 성경을 근거로 하여 행동과 정서적인 훈육을 하 며, 신앙의 본을 보여주기 위해 애쓰면서 신앙적 자녀 양육에 최선을 다하 였다. 셋째, 참여자인 어머니들의 이러한 신앙적 자녀 양육을 통해 자녀들에게 전인적인 인성 형성과 신앙의 성장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자녀들의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가 성경적으로 새롭게 형성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주일학교에 초등학생 자녀를 보 내는 어머니들의 신앙적 자녀 양육 경험의 의미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어머니의 신앙적 양육 태도의 경험은 어머니의 신앙 성숙과 왜곡된 하나님 이미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가 회복 되고 이로 인해 자녀의 전인적 인성 형성과 신앙의 성장으로 인한 성경적 인 하나님 이미지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기독교 신앙과 국민학교 아동의 자아개념 상관 관계

        윤순희 숙명여자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기독교 아동과 무종교 아동간의 자아개념과 기독교 신앙의 배경 및 정도에 따른 아동의 자아개념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근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독교 신앙의 배경을 교회출석 경력, 세례 여부, 부모의 신앙여부 등으로 구분하였고, 기독교 신앙의 정도를 인식적 영역, 실천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런 것들이 자아개념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의 한 국민학교 6학년 기독교 아동104명, 무종교 아동7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송인섭의 성격 검사 중 ‘자아개념 검사’와 정동락의 ‘신앙도 검사’. 그리고 본 연구자가 작성한 ‘신앙배경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및 F-test를 얻었다. 질문지률 통해서 얻어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갈다. 첫째, 기독교 아동과 무종교 아동의 일반 자아개념간에는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에서는 중요타인 자아개념 점수를 제외한 학문 자아개념 점수, 정의 자아개념 점수가 각각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서 기독교 아동이 무종교 아동보다 더 긍정적인 일반 자아개념과 학문 자아개념 그리고 정의 자아개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앙의 배경에 따라 아동의 일반 자아개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교회출석 경력, 세례 여부, 부모의 신앙 여부에 따라 아동의 자아개념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교회출석 경력에 따라서는 학문 자아개념 점수가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서 교회출석 경력이 많은 아동은 적은 아동보다 더 긍정적인 학문 자아개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신앙의 정도에 따라 아동의 일반 자아개념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에서는 중요타인 자아개념을 제외한 학문 자아개념 및 정의 자아개념에서 각각 0.1%,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서 신앙도가 높은 아동은 낮은 아동보다 더 긍정적인 일반 자아개념과 학문 자아개념 그리고 정의 자아개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신앙의 인식적 영역 점수에 따라서는 아동의 자아개념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신앙의 실천적 영역 점수에 따라서는 아동의 일반 자아개념이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에서도 중요타인 자아개념 점수를 제외한 학문 자아개념 점수, 정의 자아개념 점수가 각각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실천적 영역의 신앙도가 높은 아동은 낮은 아동보다 더 긍정적인 일반적 자아개념과 학문적 자아개념 그리고 정의 자아개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1.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is study emphasized on the self-concept research which is related to school record, and also there are a few self-concept studies related to christian faith of youth as the subject of study,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elation between christian faith and self-concep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2. Assuption of this study The assump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Assumption 1. Considerable difference will be shown between christian children and irreligious children on their general self-concept and lower part of self-concept. Assumption 2. Christian children will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on their general self-concept and lower part of self-concept. Assumption 2-1. According to thier church attendance career, they will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on children's general self-concept and lower part of self-concept. Assumption 2-2.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ir baptism, they will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on children's general self-concept and lower part of self-concept. Assumption 2-3. According to their parental faith, they will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on children's general self-concept and lower part of self-concept. Assumption 3. Christian children will show considerable differenceon thier general self-concept and lower part of self-concept. Assumption 3-1. According to their religious level of recognition, they will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on children's general self-concept and lower part of self-concept. Assumption 3-2. According to their religious faith level of practical area, they will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on children's general self-concept and lower part of self-concept. 3. Method of this study This study selected 181 students of 6 year of Inchon City primary schools (104 students : Christian 77:Irreligious) as the object of this study. As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this study, Song In Sup's 'Examination of Self-concept' and Chung Dong Rak's 'Examination of religious faith level' and 'Enquette for religious background' written by this author etc. were used and then all collected data could obtain T-test and F-test using SPSS Program. 4. Result of this study Analyzed result of the data through the enquette is as follow: First, there was 5% of difference between christian children and irreligious children on their general self-concept and in the lower part of self-concept, it shows 5% of difference of justice self-concept point and learning self-concept point except major other's self-concept point, therefore the christian children have more positive general self-concept and learning self-concept or justice self-concept than irreligious children. Second, general self-concept of children did not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according to children's religious background. That is to say, the examination result of children's general self-concept according to their church attendance career, baptism and parental religious faith did not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But according to their church attendance career, learning self-concept point shows 5% of difference, therefore abundant curch attendance career children show more positive learning sell-concept than poor career children of church attendance. Third, according to their level or degree of religious faith, children's general self-concept shows 1% of difference, but in the lower part of self-concept, it shows each 0.1% and 5%, therefore, high degree of religious children show more positive general self-concept and learning self-concept or justice self-concept than lower religious degree children. In details, according to point of religious recognition area, children's general self-concept did not show difference, but according to point of religious practical area, children's general self-concept shows 5% of difference, and in the lower part of self-concept, they show 5% of difference point of justice self-concept and learning self-concept excluding the point of major other's self-concept point, therefore high degree of practical religious children has more positive general self-concept and learning self-concept or justice self-concept than lower degree of religious faith children.

      • 성인애착과 신앙성숙이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

        강해성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이타주의를 함양하며 타인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는 아들러의 사회적 관심에 대해 성인애착과 신앙성숙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주요변수의 기술 통계 결과를 분석한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성인애착, 신앙성숙, 사회적 관심 차이를 분석한다. 넷째 성인애착과 신앙성숙이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위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종 문헌을 연구하였으며, 주된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인 설문조사 연구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각 지역 교회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대상자들은 5개 도시 8개 교회의 20세 이상 성인 253명이다. 본 논문의 전체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전반에 걸친 개요로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연구문제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하였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사회적 관심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하여 분석하고 성인애착에 대한 개념과 유형의 특징과 신앙성숙에 대한 접근 방법을 통해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3장은 연구방법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제4장은 연구결과에 따라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들이 종속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5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모든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심이 낮고 신앙성숙의 인격적 측면의 신앙성숙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리적, 신앙적 측면은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애착에 있어 애착대상으로부터 형성된 안정된 관계 회복과 성경공부나 예배에서뿐만 아닌 균형적인 성숙한 신앙인으로 삶 속에서 행동으로 실천하기 위한 교회 내에서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주요어: 성인애착, 신앙성숙, 사회적 관심

      • 현대 신학 안에서의 ‘신앙의 시작(initium fidei)’에 대한 연구 : ‘신앙내용(fides quae)’과 ‘신앙행위(fides qua)’의 통합적 관계

        김용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오늘날 신앙인들이 믿는 내용과 삶의 실천의 분리되는 이른바 신앙내용과 신앙행위의 괴리를 문제화한다. ‘신앙의 시작(initium fidei)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와 ‘신앙이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가신성(credibilitas)에 대한 물음을 제기하고 신앙의 두 차원인 신앙내용과 신앙행위의 내밀하고 긴밀한 관계성을 고찰하여 신앙인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신앙의 시작이 인간의 응답적 행위의 축소 혹은 하느님의 계시가 축소되는 극단적 외부주의(extrinsecismus)나 내부주의(immanentismus)에서 설명될 수 없고 신앙내용과 신앙행위의 긴밀한 내부적 관계에서 설명될 수 있음을 논하려고 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하느님이 말씀의 인간 주체를 변화시키고 신앙행위를 결정한다는 고유한 그리스도교 신앙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현대 신학이 제시하는 신앙내용과 신앙행위의 일반적 이해를 요약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현대 신학의 지평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믿는 신앙내용(fides quae creditur)은 ‘인격적 만남’이라는 전망에서 이해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내용은 대상(objectum)으로 파악되는 어떤 사물이 아니라 대상화 할 수 없는 인격적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에서 드러난 역사적 ‘신비’로 규정된다. 신앙행위(fides qua creditur)의 주체는 ‘종교적 인간(homo religiosus)’으로서 하느님을 향해 정향될 수 있는 ‘종교성(宗敎性)’을 내재하고 있다. 종교적 인간은 고통과 무의 체험에서 의미를 기획하는 합목적적 노력을 통해 초월을 지향한다. 인간에게는 초월을 희망하고 종교적 삶을 영위하기 위한 가능 조건이 이미 선험적으로(a priori)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신앙 가능성의 내재로 말미암아 발생되는 그리스도교의 신앙행위는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이며 하느님을 향해 인간이 자신의 인격을 모두 내던지는 전적인 실존적 결단이요 인격적 행위이다. 2장에서는 은총론적 관점에서 신앙내용과 신앙행위를 분리시키는 외부주의적 신학사상을 하느님과 인간, 초본성(supernatura)과 본성(natura)이라는 주제어를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신앙내용과 신앙행위는 분리·단절되지 않으며 두 차원은 동일한 하나의 신앙의 두 측면이다. 신앙내용과 신앙행위, 초본성과 본성, 하느님과 인간은 긴밀한 일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신앙내용과 신앙행위의 불일치와 괴리는 신학의 오랜 역사에서도 발견된다. 그리스도교 역사에 내재하는 외부적 신앙이해와 신앙의 두 차원의 이분화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스도교의 신앙내용과 인간의 신앙행위의 관계 문제는 초본성(혹은 초자연, supernatura)과 본성(혹은 자연, natura)의 관계 문제,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의 자유의 관계 문제와 긴밀히 연관된다. 신앙내용과 신앙행위, 즉 초본성과 본성의 관계는 은총론의 범주를 통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은총과 자유, 초본성과 본성을 분리함으로써 초본성 신학을 태동시킨 펠라지우스(Pelagius)와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의 논쟁이 외부주의 신학의 기원이 되었다. 외부주의신학은 초본성과 본성을 극명하게 분리하면서 ‘순수본성(natura pura)’ 이론을 탄생시켰다. 신스콜라신학은 근대주의에 대항하며 초본성을 보존하기 위해 외부주의신학, 이층구조적신학을 심화시켰다. 외부주의로 점철된 신스콜라신학을 바탕으로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계시를 외부적으로 이해하였으며 그리스도의 계시와 인간의 신앙행위의 내부적 관계를 설명하지 못하였고 신앙의 두 차원을 분리시키는 이분법적 이해를 야기하였다. 그리하여 하느님과 인간의 긴밀한 인격적 관계, 신앙내용과 신앙행위의 통교와 일치를 간과하였다. 3장에서는 신학적 외부주의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칼 라너(Karl Rahner)와 앙리 드 뤼박(Henri de Lubac)이라는 두 신학자의 신학 사상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해와 신앙이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에 와서 계시와 신앙, 초본성과 본성을 극명히 분리하는 외부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신학적 노력이 라너와 드 뤼박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라너와 드 뤼박은 은총 외부주의를 거부한다. 두 신학자는 외부주의적 견해의 위험성을 발견하고 외부주의적 관점에서는 하느님과 인간이 단절되고 인간의 초월적 측면이 간과되며 인간이 단순히 본성적 차원에서만 이해되고 있어 인간이 본성적 존재로만 행동하는 위험에 처하게 된다고 지적한다. 두 신학자는 초본성과 본성, 은총과 자유, 신앙내용과 신앙행위의 일치를 위해 새로운 인간이해를 제시한다. 두 신학자는 토마스의 ‘지복직관을 향한 자연적 열망(desiderium naturale in visionem beatificam)’과 ‘순종적 가능태(potentia oboedientalis)’을 재발견하면서 인간에게 내재되어있는 신앙 능력을 새롭게 조명한다. 그뿐만 아니라 원천회귀 노력을 통해 하느님 모상(imago Dei)의 성경적 근거를 재해석한다. 라너는 외부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자연적 실존범주(übernatürliches Existential)’를 도입한다. 드 뤼박은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된 피조물인 인간 안에 하느님을 사랑하려는 본성적 열망이 있다고 주장 This paper questions the discrepancy between ‘Fides Quae(the faith which is believed)’ and ‘Fides Qua (the faith which believes)’ of believers today. It brings forward a question of credibility(credibilitas) by asking “How ‘Initium Fidei(the beginning of faith)’ is made?” and “How is the faith possible?”, and tries to present a clue to solve the problem that is held out of ‘Fides Quae’ and ‘Fides Qua’, the two big topics of faith which are considered a close relationship of faith. It argues that ‘Initium Fidei’ cannot be explained by extreme ‘externalism(extrinsecismus)’ and ‘internalism(immanentismus)’, that become reduction of ‘human actions responsively’ or ‘revelation of God’, but can be explained by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Fides Quae’ and ‘Fides Qua’. In other words, ‘the Word of God’ changes the human subject and presents ‘Christian’s own view of faith’ that determines ‘Fides Qua’. Chapter 1 will summariz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Fides Quae’ and ‘Fides Qua’ in modern theology. ‘Fides Quae Creditur (the faith which is believed)’ that Christians believe in prospect of modern theology will be understood from the opinion that "personality encounter". Revelation of Jesus is not a thing that is identified as the object(Objectum), but is defined as the historical "mystery" revealed by God- human relations that cannot be objectified. The main subject of ‘Fides Qua Creditur’ is "Homo Religiosus(humans as religious beings)", and “religiosity”, which can be clove toward God, and is inherent in that subject. ‘Homo Religiosus’ aspires to transcendence by putting purposive effort into making meaning out of the experience of pain and nothingness. Human beings are already inherent a priori possible conditions to hope for transcendence and to engage in religious life. Thus, Christian’s ‘Fides Qua’ that occurs because of the inherent possibilities of faith is clearly a human response to the revelation of God, and it is an existential decision and a personal act of giving up one’s own personality(individuality) towards God. Chapter 2 will critically examine the externalism theological ideas, which separates fides quae and fides qua, from De Gratia perspective through keywords “God” and “human”, “super-nature(Supernatura)” and “nature(natura)”. ‘Fides Quae’ and ‘Fides Qua’ are not separated or severed, but are two aspects of one and the same faith. “Fides Quae” and “Fides Qua”, “super nature” and “nature”, and “God” and “human” are matched very closely. However, divergence and inconsistency of ‘Fides Quae’ and ‘Fides Qua’ are found in the long history of theology. The external understanding of faith and the separation of the two dimensions of faith, which are implicit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have an influence on thology until the present.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s ‘Fides Quae’ and human’s ‘Fides Qua’ are associated with the relation between super-nature(Supernatura) the nature(Natura),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grace of God and freedom of humanity. The relation between ‘Fides Quae’ and ‘Fides Qua’, or ‘supernature’ and ‘nature’ should be looked through a category of ‘De Gratia’. By separating grace and freedom, and separating supernature and nature, the arguments of Pelagius and Augustinus that started the Supernatural theology had become the origin of the external theology. The external theology established the ‘Natura Pura(Pure Nature)’ theory by making supernature and nature separation clear. The Neo-Scholastic theology advanced the externalism theology and the double-deck structure theology in order to maintain the supernature against the modernist. Based on the Neo-Scholastic theology which was interspersed by externalism, the First Vatican Council made out revelation externally and it could not explain the internal relations between Christ's revelation and man’s fides qua. It also caused the dichotomous understanding of the two-dimensional faith. Thus, it overlook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ity, and the communion and unity of ‘Fides Quae’ and ‘Fides Qua’. Chapter 3 will examine the theological ides of two theologians who tried to overcome theological externalism, Karl Rahner and Henry de Lubac. Also, it will look into the Second Vatican Council’s understanding of revelation and faith. The theological efforts, that are to overcome externalism separating revelation and faith, supernature and nature in modern theology, are shown remarkably by Rahner and de Lubac. Both theologians refused the externalism of grace. They discovered the risk of externalism, and pointed out that the connection between God and man would break and the transcendental character of human beings would be overlooked. Also, from the view of externalism, humans are simply understood as the natural existence leading humans to act only by nature. These two theologians proposed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o coincide supernature and nature, and ‘Fides Quae’ and ‘Fides Qua’. They newly illuminated inherent ability of faith humans have, and rediscovered "desiderium naturale in visionem beatificam(naturally eager towards the beatific vision)" and "potentia oboedientalis(obedience potentiality)" of Thomas. Not only that, they also reinterpreted Biblical basis of ‘Imago Dei(Image of God)’ through the efforts of source regression. Rahner introduced ‘übernatürliches Existential(Supernatural Existential)’ to resolve problems of externalism. De Lubac made great efforts to connect God and man syntagmatically through spirit(spiritus) while insisting that man, which is created by Image of God, has a natural desire to love God. With this, they overca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revelation understanding of Christian theology, and provided a base of the possibili

      • 신앙감각을 통한 영적식별이 신자들의 영성생활에 미치는 영향 : 과달루페 발현과 나주 사건을 중심으로

        윤재형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영성생활은 신자들이 자신의 신앙을 보존하고 함양하며 전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신자들의 영성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원천 중 하나는 바로 신앙감각이다. 신앙감각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때부터 그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세례 받은 신자는 성령으로부터 복음의 진리에 대한 초자연적인 감수성인 신앙감각을 부여받게 된다. 신자는 신앙감각을 통해 교회와 친교를 이루며 신앙에 관한 일들을 식별하고, 일상의 삶 안에서 진리를 선포하는 예언자적 소명을 실천하며, 올바른 영성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신앙감각은 성령으로부터 온 것이기에 그 자체로는 오류가 없다. 그러나 인간의 판단은 신앙감각 외에도 개인의 성향이나 배경과 같은 다른 요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성숙한 영성생활을 위하여 신자는 사도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가르치는 교회인 교도권의 인도 안에서 성덕을 함양하며 신앙감각을 성장시켜야 한다. 영성생활에서 신앙감각의 주요한 역할은 영적식별이다. 영적식별은 신앙의 문제를 단순히 영적으로 식별하고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을 향한 열망으로 그분의 현존을 인식하고 삶의 구체적인 현장에서 그분과의 일치를 구현하는 신앙행위이다. 그렇기에 성숙한 영성생활을 위해서 신자는 성덕을 쌓으며 영적인 식별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의 성향이나 환경과 같은 개인적 요소에 의해 식별이 그릇되지 않도록, 식별자는 반드시 교도권의 식별 안에서 인도를 받아야 한다. 영적식별은 특히 영성생활 중 겪게 되는 신비체험을 올바르게 판단하고 받아들이는 데에 큰 도움을 준다. 과달루페 성모 발현은 가톨릭교회에서 인준한 사적 계시로, 영적식별이 긍정적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사례이다. 발현의 체험자였던 후안 디에고는 이전부터 성실한 영성생활을 통해 성덕을 쌓아왔던 신자로서, 그의 성숙하고 겸손한 영적태도와 영적식별은 과달루페 성모 발현이 교회의 신중한 식별을 거쳐 인준을 받는 데에 큰 도움을 주었다. 결국 과달루페 성모 발현은 올바르게 교회의 신앙 안에 자리를 잡았으며, 오늘날까지도 수많은 신앙인과 비신앙인에게 복음의 진리를 선포하는 도구가 되었다. 이와 반대로 나주 율리아 사건은 광주대교구에서 자동파문제재를 내린 사건으로, 영적식별이 부정적으로 이루어진 사례이다. 사건의 핵심 인물인 윤 율리아는 이전부터 미신적으로 신심활동에 심취해온 신자로서, 개인의 집에서 발생한 기이한 현상을 올바르게 식별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사적 계시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이익을 위해 이를 악용하며 급기야 조작과 거짓 술수, 여론 및 집단 선동, 반교회적 행보까지 일삼으며 교회에 혼란을 야기시켰다. 교도권의 식별을 통해 결국 자동파문제재가 내려지며 사건은 일단락되었지만,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사건의 혼란은 일부 남아 있으며 그 여파를 미치고 있다. 과달루페 발현과 나주 사건은 유사 종교와 유사 영성운동이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 신비체험이나 신심활동과 같은 영성생활을 올바르게 영위하는 데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교도권의 인도 안에서 개별 신자가 신앙감각을 함양하여 영적인 식별력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본고에서는 신앙감각과 영적식별 그리고 과달루페 발현과 나주 사건을 다루며, 이를 통해 올바른 신앙감각에서 비롯된 식별력이 개인의 영성생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바라봄으로써, 신자들의 풍요롭고 건전한 영성생활과 교회의 일치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Spiritual lif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that allow faithfuls to preserve, cultivate, and convey their faith. And ‘Sensus Fide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ots that enable faithfuls to live spiritual lives. The importance of Sensus Fidei became greater since it has proclaim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Faithfuls, when baptized, receive a gift of the Holy Spirit, that is to say ‘Sensus Fidei’, a supernatural sensibility for the truth of the Gospel. Through Sensus Fidei, faithfuls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hurch, discern matters related to faith, fulfill prophetic mission to declare truth in their daily lives, and manage proper spiritual lives. Sensus Fidei has no error in itself, because it comes from the Holy Spirit. However, human judegment can be influenced by other factors besides, such as individual tendencies and background. Therefore, for spiritual maturity, faithfuls should nurture their saintly virtues and Sensus Fidei, with the guidance of the Magisterium, the teaching authority of the Church handed down from the apostles. The main function of Sensus Fidei in spiritual life is spiritual discernment. Spiritual discernment is not just to discern and to solve the problem spiritually. But it is an act of faith to recognize God’s presence with their desire for Him and to achieve unity with God in their daily lives. Therefore, faithfuls need to nurture their saintly virtues and have spiritual discernment, for mature spiritual life. Also, a discerning person should get the guidance from the Magisterium, so that his discernment does not fall into an error caused by his personal factor such as individual disposition or environment. Spiritual discernment is greatly helpful especially for correctly judging and accepting the mystical experience gained in spiritual life. Marian apparition of Guadalupe, a personal revelation approved by the Catholic chur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orrect spiritual discernment. Juan Diego, the one who experienced this apparition, was a faithful who had been nurturing saintly virtues through a sincere spiritual life. His mature and humble spiritual attitude and discernment contributed greatly for Marian apparition of Guadalupe to be approved by the Church through its careful discernments. Eventually, Marian apparition of Guadalupe has been appropriately settled in the faith of Church and, to this day, it has become a tool of proclaiming the truth of the Gospel to many faithfuls and non-faithfuls. On the contrary, Julia’s case of Naju, which was automatically excommunicated by Gwangju Archdiocese, is an example of false spiritual discernment. Julia Yun, a would-be mystic, was the main person involved in this case, who had been obsessed from early on with superstitious rituals. She did not correctly discern a strange phenomenon occurred in her home, and unilaterally claimed that it was a personal revelation. She abused it for her own benefit and used manipulation, fabrication, incitement of public opinion, and even led an anti-church movement that caused confusion in Church. The case ended with a penalty of automatic excommunication through the discernment of Magisterium. But to this day, there are still remaining confusions and aftereffects over this case. Today, with the increase in pseudo religious and pseudo spiritual movements, we learn from the Marian apparition of Guadalupe and the case of Naju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for each faithful to nurture Sensus Fidei and spiritual discernment with the guidance of the Magisterium, in order to lead a proper spiritual life. Through studying Sensus Fidei, spiritual discernment, the Marian apparition of Guadalupe and the case of Naju,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spiritual discernment based on mature Sensus Fidei has a very important effect on each faithful's spiritual life; and it will promote faithful’s abundant and wholesome spiritual life and the unity with the Church.

      • 기독교 신앙입문교육 연구 : 어거스틴과 칼빈을 중심으로

        이지영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기독교 신앙입문교육에 대한 연구이다. 현대는 교회의 성장주의와 세속주의, 인본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인한 정체성의 혼란, 신자들이 진리에 대해 바르게 분별하지 못하는 것은 교회교육의 위기이며 신자들의 개인의 삶 뿐 아니라 교회 존속의 문제까지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고대교회와 종교개혁 당시의 상황과 비슷한데 교회가 분열하고 어지러울 때는 성경으로 돌아가자며 신앙교육을 강조하였다. 그런 결과 교리교육이 생기게 되었다. 교리교육은 기독교교육의 신앙적 체계를 세우며, 세대간 신앙의 근본 진리를 전수하며, 성경해석의 기본열쇠가 되며, 그리스도인의 삶의 기본 지침과 방향을 제공한다. 이렇게 교리교육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경시당하고 있다. 교리교육을 통해 신앙교육이 회복되어야 한다. 교회에 오는 사람들에게 분명한 기독교적 신앙을 갖게 하고 올바른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아가도록 양육하는 교리교육의 첫 단계로서 신앙입문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고대교회와 어거스틴의 신앙입문교육과 종교개혁시대와 칼빈의 신앙입문교육을 연구하였다. 고대교회시대는 어거스틴을 통해 신앙입문교육이 완성되었는데 신앙입문교육은 먼저 예비자로 분류되어 말씀을 들으러 온 동기와 직업의 심사, 생활에 대한 심사 후에 교리교육을 거쳐 세례적임자로 교육을 받았다. 종교개혁시대는 이미 교회에 출석하는 신자들이었지만 교회의 태만과 방치, 무지로 인해 진리를 바로 알지 못하는 이른바, 새로운 신앙입문자들을 대상으로 한 종교개혁가들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루터, 멜랑히톤, 츠빙글리, 칼빈 등 종교개혁자들은 기독교신앙의 기초를 가르치기 위해 신앙교육서를 집필하였다. 칼빈 또한 기독교강요와 신앙교육서, 그외 문서들을 통해 기초신앙교육을 위한 교리문답서를 집필하게 되고 교리교육에 힘썼다. 고대교회와 어거스틴, 종교개혁시기의 개혁자들과 칼빈을 통해 신앙입문자들을 위한 교육으로 교리교육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신앙입문교육을 위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신앙입문교육의 목표는 첫째, 구원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해야 한다. 둘째, 진리를 바로 알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진리에 대한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진리를 알고 깨달아 내면화시켜 삶의 변화를 이루어야 한다. 신앙입문교육의 내용으로는 첫째, 성경을 가르쳐야 한다. 둘째, 성경의 핵심을 요약해 놓은 교리를 가르쳐야 한다. 신앙입문교육의 방법으로는 일대일의 개인적인 교육방법과 소그룹으로 통한 교육방법을 병행해서 진행할 때 신앙입문자들은 효과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또한 신앙입문교육의 기간은 신앙을 확립하며 구원을 확신하며 스스로 신앙고백을 하고 삶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1년 정도의 기간이 적절하다. 신앙입문교육의 평가는 일대일 개인적인 교육방법을 통해 교사가 평가서를 작성하는데 구원의 고백과 확신이 있는지, 삶의 변화가 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하게 한다. 1년의 교육기간동안 분기별로 시험을 통해 각 단계의 평가도 함께 진행한다. 신앙입문교육의 교사는 구원의 확신이 있으며, 진리에 대한 이해와 지식, 모범이 되는 자를 선발한다. 또한 이들을 위한 교사교육은 구원과 진리에 대해 쉽게 가르칠 수 있도록 교회의 교육부와 교단에서는 신앙입문교육부를 개설하여 실제적인 연구와 지원을 해야 한다. 어거스틴과 칼빈은 신앙입문교육에서 교리교육을 함으로써 신앙고백 뿐 아니라 삶의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특이한 점은 후견인 제도를 두어 신앙입문자들을 계속 지도하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신앙입문교육에서 교리교육의 한계점은 아직도 교리는 딱딱하고 지루하다는 인상이 많은데 친근감 있게 바꾸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하고, 신앙입문자 교육기간에 대한 검토와 심사기준을 현대에 맞게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the study to introduction of the Christian Catechetical Teaching. This generation is in the middle of identity confusion due to the growth-oriented of the modern church and secularism, humanism, and post-modernism. The crisis of the Church education is that the believer does not discern the truth. Furthermore, both the individual lives of the believers and the existence of the church is being threatened. These problems are similar to the time of the ancient church, and the Reformation emphasized religious education to return to the Bible when the church split and was in confusion. Eventually at such background, catechesis was driven. Catechesis built a system of Christian education and transferred the fundamental truth of faith to the next generation and became a basic ke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provided the basic guidance and direction of Christian's life.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catechesis, these have been neglected.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introduction of the faith in the context of the ancient church and Augustine's time, and the period of Calvin and the Reformation. An introductory education to faith of the ancient church was completed by Augustine. and they were asked to elaborate on their new comers to the church were classified as catechumen, the church screened their motivation to come and listen to the Word of God, and their job and lives. Then the catechesis was provided and was the educated as competentes. In Reformation period, Reformers aimed at educating believers who already attended the church but did not know the truth because the church neglected and ignored them. Reformers such as Luther, Melanchthon, Zwingli, and Calvin wrote to teach the basis of Christian faith. Particularily, Calvin tried to teach doctrine and to systematize religious education by writing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Christian education, and others. It is the fact that the Ancient church, Augustine, and the Reformers during the Reformation era emphasized the catechesis as education of the christianity for the new belivers. Therefore, this paper will propose the direction for introductory Catechetical Teaching as follows. The goals of the Catechetical Teaching are like these: First of all, believers should have the assurance of salvation. Secondly, they need to know the truth. Lastly, they need to change their lives by realizing and internalizing the truth other than simply having the mere knowledge of the truth.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ory Catechetical Teaching included teaching the Bible first. Second, a summary of the key doctrines of the Bible should be taught. beginners will effectively grow when the methods of the introductory religious education such as both one-on-one personal training and small group setting is used. In addition, one year is appropriate for building faith, holding conviction of salvation, professing faith, and seeing change of life through the introductory period of Catechetical Teaching. Its evaluation will be completed by teachers who evaluate profession and conviction of faith, and change of life through one-on-one personal setting. During the one-year training period, students will be quarterly assessed in each stage through testing. Teachers for introduction to Catechetical Teaching should be selected based on whether they are identified with the assurance of salvation,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ruth, whether they are sence as and whether they can serve as a model of faith and life. Further more, The Church and the denomination have the obligation to provide practical research results and support in order that the teachers nay be able to teach the truth and the salvation easily to the students. Augustine and Calvin attempted to help profession of faith and life change through catechism in Catechetical Teaching and particularly instructed new believers with a guardian system. the limitations of catechism education exists in the fact that it still leaves the students with a difficult and boring impression. Therefore the Church bears the duty of conduction more researches to make the study mere amiable, and to change the required teaching period and its standards to fit the flow of the current society.

      • 인격적 신앙과 그 실존적 의미 : 성서와 가톨릭 교회의 「신앙 개념」이해를 중심으로

        성기헌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Our selfish ego has a sufficiant power enough to make sleep our voice of faith. Moreover predominant contemporary value system has its own rule and it is very contrary to that of faith. Our internal - external reality cause faith trouble situation in this way. But a true Christian returns to a way of faith even though he surrenders to this faith trouble situation. At this point, one of what are needed to him is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aith". This understanding will be a conceptual map so that it will help him to reach the aim of faith. Systematic theology can perform this work and this thesis is one of its performance. Specific aims of this thesis are understanding of "faith" on the Bible and the catholic church, and interpreting of its personal meaning in the light of our "Da-Sein". 1. In everyday language to believe is to believe something. Faith in this sence has only a very small degree of reliability and certainty. It is a provisional or deficient mode of knowing and recognizing. It can serve as a kind of middle status between mere supposition and exact, grounded insight. But in sentences like "I believe in you", faith is primarily an act of encounter and of trust. In the form of "I believe in you" faith is not only an act of encounter but an eminent mode of cognition. Faith, understood as "I believe in you", is the mode and manner in which I gain access to the person of the other. It opens tru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others,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At this. point, to believe in you is culminates in to believe something in you. At the same time to believe something in you is possible only through "believing you". The "faith" concept of the Bible and the catholic church shows this everyday meaning of faith. 2. The faith on the Old Testament is to know and to memorize God's salvific intervention(Exodus) on the history. And also faith is showing permanent confidence and fidelity to reliable God, and answering to the word of God. But the memory of God's intervention is concluded in the praise toward God who did the intervention, and the object of confidence is God who accomplished the Exodus. In this point we can say that the faith on the Old Testament is based on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human beings. The faith on the New Testament shows more strong emphasis on the intellectual agreement toward God's action. But christocentric faith on the New Testament is based on the personal resolution toward Jesus Christ through the personal encounter and personal union with Him. So we can say that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e faith understanding on the Bible is various realities which based on the resolution toward Jesus Christ and the Father through the personal encounter and personal union with Him. 3. The faith on the Bible which based on the personal union with Jesus Christ is observed also in the "faith understanding" of the Catholic Church. The first vatican council defined the faith as a submission of intellect and will. But intellect and will is just a certain function of human being, and what can embrace this function is "personal resolution" of human beings, because "personal resolution" is performance of whole human existence. In this reason what is overlooked in the faith understanding of first vatican council is the personal part of faith and its comprehensive character. The intellectual faith understanding of first vatican council is overcome by the faith understanding of second vatican conicle so that faith meant from the submission of intellect and will to the full submission of human beings toward personal God. Even though the submission of intellect and will is a crucial part which composed of faith act, it is not the whole faith act itself. Faith is rather entrusting oneself to God through one's submission of intellect and will. At this point the object of entrusting is Jesus Christ, as a consequence we can deduce that the faith understanding of second vatican council is based on the personal encounter and union with Jesus Christ. The change of faith understanding in councils is obviously observed in the organization and the summary of faith on Catholic Church Catechism As we see in the text, faith is submission of intellect and will to the God's invitation through Revelation and whole entrusting of person toward God. At the same time it is supernatural virtue that is revealed through expressions of attitude and intellectual agreement. Catholic Church Catechism here mentions that reliance and resolution to a person(Jesus) is base of intellectual agreement. to truth. 4. As we observed, the faith understanding of the Bible and the Catholic church has evaluated its tendency toward emphasis on the faith based on the personal encounter with Jesus and personal resolution to Jesus. This specific character of faith as a personal response is observed in the relation between revelation and human being, between grace and human being. Revelation is God's approaching to us rather than just delivery of informations, and grace means God's self giving rather than performance of certain function. The faith which springs from the relation between revelation and human being, grace and human being, consequently has more personal character than any other characters. 5. But the problem of interpreting personal faith in the light of contemporary horizon of thought is still difficult question, so that it is essential to select adequate way of explaining the meaning of personal faith. Adequate way of explaining should be something that can satisfy contemporarians existential curiosity, and contemporarians existential curiosity is centered on the build up his ego. That is to say, adequate interpreting the meaning of personal faith is to connect faith with one's Dasein's construction. In this meaning Personal faith means Dasein's new fixing of direction, to be concrete, one's entering into inner manner of Jesus Christ toward Father, so that personal faith culminates in Kenosis for God the Father and for others. Meanwhile the personal faith means fundamental attitude selection that invisible reality is rather whole base of this visible reality. Finally, keeping personal faith means true freedom by one's encounter with "for other being" Jesus Christ who showed true freedom.

      • 신앙심이 알코올 중독자 가정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윤선홍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Alcoholism is a problem not only of an alcoholic but also of family members of the alcoholic. It is a family disease which affects the family members, let alone the alcoholics themselves. Efforts and cooperation by government bodies and civil organizations are desperately required since the alcoholics and their family members require treatment together.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aith and recovery of the alcoholic's families, with the subjects of both Al-Anon, a self-help group consisted of the alcoholics' family members, and Al-Anon adult children Group meetings. The survey was conducted of Al-Anon and adult children's meetings of the alcoholics from October 22, 2007 to December 6, 2007. It finally analyzed 105 copies out of the 240 distributed questionnaires after collecting 115 copies, with the exception of 10 unavailable copies. This present study used self-filling method with a cross-sectional study. Concerning the method of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the questionnaires, I visited some of the self-help groups in Seoul myself, took part in the meetings, and asked their helps after explaining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n I revisi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As for the local regions and some districts of Seoul, I got information including the addresses and telephone numbers of the self-help groups across the nation. I asked directors in charge of their regions to send the questionnaires back to me under their consents after explaining the purport of the research. In other words, I mailed them self-addressed envelopes enclosed with stamps when sending the questionnaires to them.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research had a total of 49 items, with 13 items on the 12-steps spiritual recovery program: 11 items on self-help groups(Al-Anon, adult children's meetings), 10 items on faith and religions questions, 5 items on conflict tactics scale, and 10 items o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matters. SPSS Window 13.0 was used in analyzing the data, Frequency Analysis was used in measuring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Chi-square test, t-test, and ANOVA were used in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ubjects and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The present study has analyzed 1) the effects of self-help groups for the recovery of the alcoholic's families, 2) the effects of the 12-step recovery program, and proved 3) the relations between faith and recovery. First, the self-help group includes those who need recovery(healing) from the alcoholism-induced problems as a closed meeting of cooperators. Through 12-steps spiritual programs and peace-requesting prayers used by A.A.(Alcoholics Anonymous), Al-Anon, Alateen, and their adult children's meetings, they will certainly benefit from attending those meetings faithfully because faith and recovery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The following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elf-help group meetings had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the faith item.(p=.013) The hypothesis that the participants would have high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tem was significant that the meeting would help the alcoholic's families.(p=.001) Second, the hypothesis has been verified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12-steps recovery program used in the self-help meetings would influence on the extent of recovery. Specifically, 94.1% of the male and female respondents of the questionnaires gave positive answers, which was very significant.(p=.000) 9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existence of God helped the recovery and gave positive answers, which was very significant.(p=.000)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faith and recovery, the hypothesis that as the participants' faith became deeper and deeper, the greater the extent of recovery from damages would be was proved. In this study, 83.4% of the male and female respondents gave positive answers on the question whether the existence of God would help the alcoholics and their family members suffering from the alcoholism-induced problems, which was very significant.(p=.012) The group members who thought that the self-help meetings would be helpful to the alcoholics's families were 80%, which was very significant.(p=.000) I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 whether the existence of God could solve the alcoholism problem, those who believed so and gave positive answers were 85%, which was very significant.(p=.000) The assumption that the more pious people would show higher extent of recovery was proved and 70.8% of the respondents who took part in the self-help group meetings answered that they were church-goers, which was very significant.(p=.000) Thus, the problem of recovery(healing) of the alcoholic's families is desperately required to be solved. Further, the families' religious efforts, supports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al supports should be given since the necessity of self-help meetings as its means, effects of the 12-steps spiritual program for recovery, and the relation between faith and recovery were proven. 알코올은 한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특히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고통을 겪는 가족의 문제이고 알코올 중독자뿐 아니라 가족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족병을 앓게 하였다. 알코올 중독자 및 중독자 가족 모두 치료 받아야 할 필요가 요구됨으로 정부나 민간단체들의 노력과 협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하겠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중독자로 인한 피해 가정의 자조 친목모임인(Self-help Group) 알아넌(AL-Anon)과 알아넌 성인자녀모임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신앙심과 알코올 중독자 피해 가정 회복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07년 10월 22일부터 12월 6일까지 전국의 가족친목(Family Groups)인 알아넌(AL-Anon)과 알아넌 성인자녀모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240부 가운데 115부를 회수하여 사용이 불능한 10부를 제외하고 105부를 중심으로 최종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로서 자기 기입식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배포와 회수방법은 일부 서울의 자조모임(Self-help Group)에 본인이 직접 방문하여 참석하고 취지를 설명한 후 도움을 요청하였으며 재차 방문하여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그 외 지방 및 일부 서울 지역에서는 전국 자조모임(Self-help Group)의 주소와 전화번호를 아는데 도움을 받아 각 지역 진행자 및 책임자들께 취지를 설명한 후 동의하에 설문지를 우편으로 전달 받는 방법으로 하였다. 즉 설문지를 보낼 때 회수 될 설문지 봉투와 우표를 함께 동봉하여 발송하도록 하였다. 본 조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총 49문항으로서 12단계 영적 회복프로그램에 관한 질문 13문항, 자조모임(알아넌, 알아넌 성인자녀모임)과 회복에 관계된 11문항, 신앙 및 종교에 관한 질문 10항문, 갈등 전술척도에 관한 질문 5문항, 인구 사회학적 문항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Conflict Tactics Scale).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13.0)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과의 실태와 가설 검정결과분석은 교차분석(Chi-Square test)과 t 검증(t-test), 일원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알코올 피해 가족 회복을 위한 자조친목모임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둘째, 12단계 회복 프로그램의 회복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신앙심과 회복의 관계에 대하여 입증해 보았다. 첫째, 자조친목모임은 비공개모임으로 알코올 문제 피해로 회복(치유)이 필요한 협심자들의 모임으로 A.A(Alcoholics Anonymous), 알아넌(Al-Anon), 알라틴(ALATEEN), 알아넌 성인자녀모임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12단계 영적프로그램, 평온함 청하는 기도 등, 신앙과 회복이 관계가 깊으므로 모임에 꾸준히 참석하면 좋은 결과를 얻게 될 것이다. 다음의 결과들에서 자조친목모임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신앙 점수가 높다는 것이 유의하였다(p=.013). 자조친목모임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자존감이 높을 것이라는 이 가설은 유의하지 못했으나 자조친목모임이 중독자 가정에 도움이 된다는 항목에서는 유의하였다(p=.001). 둘째, 자조친목모임에서 사용하는 12단계 회복 프로그램의 참여도가 회복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었으며 설문에 참여한 남녀 94.1%가 긍정적인 답을 주었고 매우 유의하였다(p=.000). 신의 존재가 회복에 도움을 준다는 부류는 96.0%가 긍정적인 답을 주었으며 매우 유의하였다(p=.000). 셋째, 신앙심과 회복의 관계에서 신앙심이 깊을수록 피해로부터 회복의 정도가 좋을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신의 존재가 알코올 중독자와 이 문제로 인해 피해를 겪는 가족들에게 도움이 되는지의 질문에 남여 모두 83.4%가 긍정적인 답을 주었으며 유의하였다(p=.012). 자조모임이 중독자 가정의 회복에 도움이 된다는 부류의 사람들은 86%의 긍정적인 답을 하였으며 매우 유의하였다(p=.000). 신의 존재가 알코올 중독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지에 따른 분석에서는 신의 존재가 도움을 준다는 사람들은 85%의 긍정적 답을 주었으며 매우 유의하였다(p=.000). 신앙생활을 잘하는 사람일수록 회복의 정도가 좋을 것이라는 것은 입증되었는데 자조모임에 참석한 응답자 중 70.8%가 교회나 성당에 참석하는 생활을 한다고 답하므로 매우 유의하였다(p=.000). 이와 같이 알코올 중독자 가정의 회복문제(치유)는 절실히 필요하며 그 수단으로 자조친목모임의 필요성과 회복을 위한 영적12단계 프로그램의 효과와 신앙과 회복과의 관계는 입증되었으므로 앞으로 알코올 중독자 가정의 신앙적 노력과 종교단체의 도움과 국가적 차원의 도움이 꼭 필요하다 하겠다.

      • 신앙적 사고로의 전환을 통한 열등감 회복에 관한 연구 : 인지치료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형미 호남신학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열등감 극복에 관한 문헌 연구로서 그 대상은 열등감으로 힘들어 하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물질문명의 발달과 함께 사람들은 물질을 중심적 가치로 두기 때문에 소유를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그로인한 상대적 박탈감과 사회 고립화 현상은 사람들로 하여금 열등감을 야기 시킨다. 열등감은 인생 전반에 걸쳐서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극복하지 못하면 인격적 성숙을 이룰 수 없으며 행복한 삶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창조하실 때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고 말씀하셨다. 그런데 죄로 말미암아 인간 안에 하나님의 원형이 깨져버렸고 열등감과 같은 부정적 감정들이 들어옴으로 인해 불행한 삶을 살게 되었다. 열등감은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인생을 도약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지만 부정적으로 작용하면 인생을 황폐하게 만들게 된다. 본 연구자는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이 열등감을 긍정적으로 작용할수 있도록 인지치료적 접근을 통해 신앙적 사고로의 전환을 가져오도록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기독교인으로서 열등감 때문에 고통당하는 사람들에게 인지치료적 접근을 통해 신앙적 사고로의 전환을 가져오게 함으로서 열등감을 극복하고 하나님이 주시는 풍요로운 삶을 살도록 돕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열등감 극복에 관한 연구를 한 것이다. 인지치료는 심리적 장애를 가진 내담자의 역기능적인 사고를 현실적이고 객관적으로 재구성하여 기분과 행동에 호전을 추구하는 심리치료요법이다. 인지치료는 내담자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역기능적인 사고와 행동을 수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런데 인지치료는 특히 기독교인에게 사용하기에 매우 적절한 심리치료 기법이다. 인지치료는 내담자가 현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그들의 사고를 진리와 비교하는데 기독교인들 역시 성경의 진리를 믿고 있기 때문에 성경의 진리를 자신들의 생각을 평가하는 수준으로 삼을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존재론적인 갈등과 영적인 문제로 야기된 열등감은 인지치료로만으로는 부족하였다. 인지치료가 유익하기는 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인간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기에 인지치료나 일반 심리치료가 다루어 주지 못 하는 부분, 즉 영적인 부분을 위해서는 신앙적 사고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비로소 존재론적인 갈등은 해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앙적인 영적요소는 전인적 치유를 위한 중요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극복의 방안들을 통해 바른 자아상을 정립하여 풍성한 삶을 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길 바란다.

      • 신앙발달 이론의 기독교교육 적용에 관한 연구 : James W. Fowler 이론을 중심으로

        하태오 그리스도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제임스 파울러(James W. Fowler)의 신앙발달 단계이론을 기독교교육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밝히는데 있다. 기독교 교육의 구체적인 적용을 위하여 '성숙', '발달', '성장'등의 개념이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발달 심리학이 기독교교육에 적용되기 시작한 때와 같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앙을 발달적인 관점에서 보기 시작한 것은 1981년 제임스 파울러가 의 "신앙의 발달 단계(Stage of Faith)"를 발표하면서부터였다.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은 종교적 신학적 맥락에서는 스미드(Wilfred Cantwell Smith), 리챠드 리버(Richrd Niebuhr), 폴 틸리히(Paul Tillich)등에게서 영향을 받고 있으며, 발달 이론은 구조주의자인 삐아제(J Piaget)에 크게 의지하면서 동시에 콜버거(Lawrence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과 에릭슨(Erik. H. Erikson)의 심리사회학 이론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서 그 독특한 이론적인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파울러는 신앙을 "본질적으로 삶에 대한 인간의 방향성이며 우리가 궁극적이라고 믿는 것에 대한 존재의 관계이다"라고 주장한다. 이상의 전 이해를 기초로 하여 파울러는 신앙의 특징을 보편성으로서의 신앙, 의미추구로서의 신앙, 관계적인 성격으로서의 신앙, 앎으로서의 신앙, 상상력으로서의 신앙, 인간적 차원에서의 신앙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러한 신앙이해를 바탕으로 7개의 단계이론을 펼치고 있다. 신앙발달의 단계이론의 주된 관심은 교육의 내용보다는 어떤 과정을 거쳐 교육하는가에 있다. 파울러가 시사하고 있는 신앙교육은 단계화되고, 선택되고, 다양성가 개별성을 인정하며, 인지적 측면만이 아니라 감정적이고 도덕적인 측면을 포함해야 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기독교교육은 이러한 신앙의 발전에 따라 교육이 행해져야 한다. 신앙발달 단계 이론이 기독교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유용성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제한이 있다. 신앙의 개념을 지나치게 인지적이며 합리적인 차원에서만 정의하고 있는 점, 발달심리학자들의 여러 이론을 한데 묶어 '7가지 특수능력'을 성정한 뒤 이를 평가하여 객관적인 형태의 신앙이라고 규정한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종교와 신앙을 분리시켜 놓고, 자아발달과 신앙의 개념을 거의 동일하게 정의한 점등이다. 오늘날 대부분 공과책들은 계단 공과이다. 이는 교육에 있어서 단계가 있으며 각 단계는 나름대로의 고유한 특성과 구조를 가지며 다른 단계와 질적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교육은 이에 충실할 수 있어야 한다. 파울러의 신앙발달 단계 이론은 성경이 말하는 신앙의 내용이 영아로부터 노인의 시기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한 신앙인이 자기 자신으로부터 주변 환경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나타내 주므로 기독교교육현장에 있어서 실용적인 성격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기독교교육이 더욱 구체적이고 학습자의 단계에 맞게 계획, 실행되도록 하여 오늘날 교회교육의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