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보건교육에 따른 건강 실천 변화 연구

        남은주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lays its purpose in developing the courses to be more professional and specific. To reform the care worker educating program to be more practical and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based on the changes of the health behaviors of the care worker trainees before and after their health care training.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0 trainees from 4 different institutes located in Daegu, Kyungbuk.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ose who were educated between December 2009 and February 2010. The main focus was in the differences of their health behaviors after taking the educating program. Before they began their program they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After the training they were asked to fill out the same questionnaire. The differences were recognized and analyzed by the program SPSS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bjects are composed of 24 men and 166 women; their age range varies from 20s up ages over 50. Most of the subjects were between the ages of 40 to 50. Both the men and women providers showed differences in health practices after taking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men trainees were more likely to show changes in health behaviors than women traine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ge groups as well. As a result, the below-20 age group did not show many differences in changes even after they finished the training program, but other age groups showed prominent difference in health behavior. And specificly, the 21~30 age group showed much difference. As a whole, most of the age groups were effected after taking the program. Analytically, the results proved the health educating program to be effective, and it is obvious that health educating program helps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health behaviors. Because health care service is a human service, it depends on not only the care worker’s knowledge but also their accumulated experiences and personality. The health education program should include health practice programs based on the subjects who take the programs, their ages and scholastic level so that proper education for disease prevention in the elderly and their health education can be provided for properly. The diseases of the elderly and their health condition are related to their health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recognition. And it'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교육과정 전. 후의 보건교육에 따른 건강실천 변화 수준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을 더욱 실용성있고 올바르게 개선. 보완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시켜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4개 교육원 교육생 184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조사 방법으로 2009년 1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요양보호사 1급을 취득하기 위해 교육받는 교육생들 가운데 보건행태에 관한 건강실천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건강실천 행동이 교육 전. 후에 어떻게 변하였는지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기 전 사전에 제작된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동일한 설문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여 사전-사후 간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건강 실천 행태에 대한 변화를 파악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본은 20대에서부터 50대 이상의 남성 18명, 여성 16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령대에 따른 분류로서 40대와 50대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남성과 여성 모두 교육을 받은 후에 보건행태 평균이 유의한 차이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보건교육에 따른 건강실천 변화를 측정한 분석결과 특히 여성보다 남성에서 사전-사후 차이가 근소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4.648, p<.001) 연령에 따라 보건행태 변인에 대하여 교육 프로그램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세 이하 집단에서 사전-사후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나머지 집단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중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낸 집단은 21~30세 집단으로 나타났으며(t=-3.987, p<.01), 교육 프로그램이 전반적으로 전 연령대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건 교육 실시 전. 후의 건강 실천 행동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보건교육이 건강실천 행동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요양 서비스는 인적서비스이기 때문에 서비스의 질이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의 축적된 경험이나 인격뿐만 아니라 지식에 의해서도 좌우되며 노인들의 보건지식과 보건행동 수준에 따라서 노인들의 질병과 건강상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노인 보건교육과 질병 예방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을 위하여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속에 교육대상, 연령과 학력수준을 고려한 체계적인 건강생활실천 교육 프로그램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 인간관계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음주실태 및 문제 음주

        백수진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대학생 음주는 음주와 더불어 문제음주 등과 같은 폐해의 심각성이 점점 커져 사회적 관심으로 대두됨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음주 및 음주 관련 행동은 감소하지 않고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음주와 문제음주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정작 그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 및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보여 진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음주가 문제 음주 및 음주문제행동으로 가기 전 음주의 원인에 대하여 인간관계 유형을 나누어 분석할 수 있는 마음의 창(Johari’s Window)이라는 도구를 통해 그 유형별로 음주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음주 행태 및 습관 등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표집 대상은 전국에 위치하고 있는 2, 3, 4년제 36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70개 학과를 추출하여 여기에 재학 중인 70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횡단 단면 연구로 진행하였다. 마음의 창 유형은 문제음주, 음주 기대이유와 함께 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 교차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의 창 유형 중 자기 주장형은 알코올 의존자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36.6%) 신중형은 정상음주는 가장 적고(20.0%) 위험 음주군은 가장 높은 비율(45.0%)을 보여 자기 주장형과 신중형의 음주 패턴은 문제 음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의 창 유형 중 개방형의 문제성 음주비율은 34.9%로 신중형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마음의 창 유형 중 고립형의 경우 알코올 의존도는 네 개의 유형 중 가장 낮은 비율(27.2%)을 보였고 개방형(27.4%)과 더불어 알코올 의존자 비율이 27.2%로 자기 주장형이나 신중형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넷째, 마음의 창 유형들과 음주기대 이유의 분산분석 결과는 내부적 요인 8문항 중 긴장을 풀고 이완하기 위하여(p<.028), 다른 할 일이 없어서(p<.014), 술 값이 싸기 때문(p<.037)이라는 3문항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마음의 창과 음주문제행동을 문항별 분석하였을 때 사회적 기능손상과 가족 및 대인관계손상이라는 두 가지 하위 요인 중 가족 및 대인관계손상에 관한 문항에서만 유의한 결과(p<.018, p<.027, p<.009)를 얻었다. 세 문항 모두 음주 시 또는 음주 후 물건을 부수거나 친구(이성친구 포함)와 다투거나 분노를 터트리는 등 대학생들의 음주가 단순한 음주행동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되는 문제행동들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한국인의 음주와 고혈압과의 상관성

        김영해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우리들 주변에서 과도한 음주 행위로 인해 자신의 건강을 해치고 후유증으로 인해 경제적 손실과 정상적인 직무행위에 차질을 주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의 음주 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여 음주와 고혈압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국민의 음주 실태를 분석코자 하고 둘째, 우리나라 국민의 음주 실태 살펴보며 셋째, 알코올중독 선별도구를 이용하여 알코올 남용 및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으며 넷째, 우리나라 국민의 음주 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였고 다섯째, 우리나라의 음주실태와 고혈압 유병 율을 분석하고 음주와 고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일반 국민에 대하여 음주와 고혈압 관리 건강 개선 자료로 활용토록 함으로서 절주와 고혈압 관리사업 및 보건 교육사업 확대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5년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건강면접조사, 보건의식행태조사, 검진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보건의식행태조사는 자기기입식으로 작성되었고, 검진조사는 실제 계측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분석대상은 보건의식행태조사 응답자 중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7,802명을 선정하였다. 전 국민들의 음주습관, 비만도와 고혈압상태를 설문조사한 2005 국민영양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인구 사회적 특성별 음주실태, 비만실태, 운동실태, 고혈압의 관계를 알아보고 고혈압과 음주의존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2005년 국민영양조사의 고혈압 유병율이 28.0%로 나타났으며, 아시아인 비만분류 기준에 의한 비만 율은 32.4%의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고도위험음주 경험도는 무려 43.4%나 되어 음주 문화 개선이 시급한 상황임을 보여 주고 있다. Objective: There is an increase in number of cases of hurting our health without realizing, and effecting our economy and everyday life because of too much drinking causes many cases of hurting our health, and affecting our economy and daily lives without realizing. Thus, we should analyze Koreans’ drinking culture and the causes of high blood pressure. Moreover, we should find out how exercising affect drinking and high blood pressure by analyzing the impact of alcohol Reliance. Method: We analyzed this study based on National Health Study Data (2005). The analyzed information is consisting of health interview, research of sanitation which was done by interview paper, and medical examination. We did our research on 7,802 respondents who are older than 19 years old. Base on the Data from National Health Study in 2005, we got the results shown that prevalence rate of high blood pressure is 28.0% and 32.4% of BMI. The percentage of experiencing the danger of drinking is 43.4% which shows us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our drinking habit. Drinking causes obesity and obesity also is one of the factors that cause high blood pressure. Therefore, too much drinking is the cause of high blood pressure. The research showed us that the percentage of people from 19 -29 years old who experienced the danger of drinking is 9.6% which tells us tha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solve our drinking problem. People in twenties must be cautious of obesity, and people in forties to fifties should be cautious of high blood pressure. Conclusion: From our research we conclude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our drinking habit and provide health education to people to improve our health condition. People in twenties must refrain themselves from drinking too much and be cautious of obesity. People in forties should get frequent health examination to be out of danger of high blood pressure. Because of that, we should come up with health policy that cause people to exercise diligently and drink less alcohol.

      • 체질량지수에 따른 사회적, 심리적, 보건행태적 차이 연구

        이영미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급속한 경제 성장과 생활 수준 향상으로 식생활 기호가 서구화되어 영양이 과잉 섭취되고 생활환경이 편리해지면서 신체활동이 감소함에 따라 열량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비만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다(WHO. 2002). 비만 유병률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매 5~10년 마다 두 배로 증가하고 있어 심각한 국가적인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과체중 및 비만 예방을 위한 전략 수립에 노력하고 있다(WHO. 1998). 개발도상국, 선진국 모두 비만 유병률이 증가한다는 것은 이제 비만은 전 세계적인 유행병이다 는 것이다. 비만은 당뇨병 지방간,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골관절염 등의 발생 요인으로 작용할 뿐 만 아니라 남성의 전립선암, 대장암, 직장암과 관련이 있고 여성의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과 연관이 있으므로 여러 가지 만성 퇴행성 질환의 위험요인이 되며, 또한 여러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된다. 2004년도 세계보건기구는 비만과의 전쟁을 선포하였으며, 비만예방을 위해 선진국들은 이미 다양한 정책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는데, 싱가포르는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 체중을 체크하고 비만인 학생은 별도의 운동을 시키고 있다. 미국에서는 학교 자판기에서 탄산음료, 정크 푸드 등의 판매를 금지하고, 학교 식당과 매점에서도 고 열량, 저 영양 식품 판매에 제한이 가해진다. 이렇게 각국 정부가 비만 인구 줄이기에 나서는 이유는 사회적 비용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인데 미국은 비만이 성인의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하다(김영식, 2003). 최근엔 비만에 따른 당뇨병이 전체 사망요인 중 7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비만 예방과 치료 등에 연간 1170억 달러가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우리 정부도 뚱보 줄이기에 발 벗고 나섰다. 선진국처럼 국가적 차원의 비만 관리를 통해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노동력 관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보건 복지 가족부는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각종 질환의 원인인 비만 증상에 해당하는 인구가 성인 중 1/3을 차지하고(2007년 국민 건강 영양 조사 결과 19세 이상 성인 중 31.7%가 체질량 지수 인 BMI가 25이상인 비만으로 분류됐다), 또 최근 10년간 1998년 당시 26%이던 국내 성인 비만율이 5%이상 증가하는 등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어 범정부 차원의 ‘국가비만 종합대책’ 초안을 마련 할 예정이라고 2009년 10월 6일자로 밝혔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로 한국인의 경우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BMI지수가 25이상이면 비만으로 간주된다(대한비만학회, 2002). 고도비만인 경우 20~35세에서 같은 연령의 마른 사람보다 12배 이상 사망위험이 높으며, 비만 상태가 장기간 일수록 사망위험은 높다. 비만의 요인은 유전, 대사, 환경, 정신, 사회경제적 요인, 잘못된 식습관과 운동부족 같은 개인의 행동 요인 등이 적용한다고 보고되고 있다(국술래 등 1997). 그리고 비만치료의 성공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choi, 2003)되는 바 비만은 치료보다는 예방과 관리가 되어져야 할 질환이다. 또한 병인학적 면에서 평소 잘못된 식생활의 교정으로 80%를 예방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식습관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영양지도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비만의 제일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며, 건강과 많은 관련이 있는 식습관은 어릴 때부터의 습관이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며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대학생 시기는 성인기로 전환되어지는 과도기 연령인 동시에 신체적, 정신적으로 활발하게 성장이 이루어지는 청년기에 포함되어 식습관의 교정 이 힘든 성인기보다는 비교적 교정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로 볼 수 있고(Splette & Story, 1997). 대학생의 식습관은 과거부터 이어져온 식 행동이 반영될 뿐 아니라 그 다음 단계인 성인기에 정착될 식습관이 형성되어지고 잘 나타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정영진, 1984). 이시기의 올바른 식습관은 성인기에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부모의 간섭받던 생활에서 갑자기 벗어나 자유로운 대학생활과 함께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식생활로 인해 결식, 불규칙적인 식사와 부적당한 간식, 그릇된 영양지식, 과다한 음주 및 흡연 등으로 식생활의 조화를 상실하기 쉽다(류은순, 1993). 대학생 시기는 대체적으로 건강 상태가 양호한 반면, 건강에 대한 배려가 적은 시기여서 불규칙하고 불균형한 식사를 하기 쉬워 이로 인한 질병의 발병 우려가 높으며, 운동부족과 과잉영양으로 인한 비만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은 시기(이희분.유영상, 1995)이지만 그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 시기에는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편식, 결식, 불균형적 식품 섭취, 인스턴트 및 편이 식품의 선호 등이 나타나게 되는데(이정희 등 2001). 이런 잘못된 식습관과 생활습관은 여러 가지 성인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Schlenker, 2000). 이에 대한 개선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 다른 비만 요인 중 하나인 대학생들의 불규칙적이고 나쁜 생활습관과 심각한 운동부족 현상들을 조사하고 그 심각성을 진단하여 해결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흡연에 있어서는, 흡연자의 최소 25% 이상이 담배가 일으키는 질병으로 21년 정도 수명이 단축되어 일찍 죽고, 각종 관상동맥 질환의 총30~40%를 일으키며, 각종 암으로 인한 사망 중 거의 1/3이 흡연 때문이라고 하고, 사실상 거의 모든 질병의 근원이 되며, 또한 흡연 산모의 유산가능성이 비 흡연 산모보다 27%나 높고, 지능 지수가 평균 9정도 낮은 아동을 출산하고, 문제 아동을 출산할 확률이 높다고 한다 (미국 보건후생성 연구, 2002). 특히 문제가 되는 청소년 때 시작한 흡연은 일평생 계속할 습관을 시작하는 것인데, 담배의 심각한 피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므로 너무 쉽게 시작하며, 친구들과의 관계유지나 다른 이유로 잠시 하는 일시적 현상으로 가볍게 여긴다는 점이다. 금연을 쉽게 생각하는 반면에 실제로 중독된 흡연자는 75% 이상 실패하므로 청소년기에 안 피우게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nedley, 2004). 또한 우려할 점은 흡연이 즉각 신체적, 사회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건강을 악화시키고, 학업과 작업 능력을 저하시켜서, 직업을 얻는 기회를 앗아 갈 수 있으므로 청소년들에게 심각한 정신적 피해 우려까지 있다는 점과, 술로 인한 비만 및 다른 불법적인 약물을 복용할 가능성 등을 높인다는 점이다(Nedley, 2004).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담배의 심각한 피해 지식을 알리고, 흡연과 비만과의 상관관계도 밝히고, 흡연 예방에 필요한 교육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또 다른 비만 요인인 음주에 있어서도, 평균 음주량과 고위험음주(소주6잔 또는 맥주 2000cc이상)빈도와 음주에 대한 통제력 상실 횟수 역시 매우 높았다. 거주 형태는 음주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음주빈도, 과음자 비율, 고위험음주 빈도, 음주에 대한 통제력 상실 횟수, 취중의 일을 기억 못함, 일상생활의 지장을 느끼는 정도, 음주 후 후회 빈도 및 본인 혹은 타인에 대한 상해 여부 등이 자취생에게 훨씬 심각하였다. 또한 ‘알코올 의존군’은 규칙적 식사, 식사량, 즐거운 식사, 외식, 녹황색 채소, 과일류, 동물성 지방, 짠 음식 섭취 태도 등에 문제가 많았을 뿐만 아니라 음주 및 흡연 태도 역시 바람직하지 않았다. 음주 문화에 대한 인식도는 남학생, 자취생, 체중초과자, 알코올 의존도가 높을수록 무분별한 음주문화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이 약하였다. 대학생들에 만연되어 있는 만성적 과음 습관은 건강 저해 및 학업에 악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알코올 중독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학생들이 현재의 음주실태 및 음주로 인한 건강 문제점의 심각성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여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이같이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비만 때문에 인생의 가장 중요한 청년기에 있는 대학생들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이 위협받고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대학생들의 모든 비만요인인 잘못된 체중인식과 체중조절, 식습관, 생활습관, 흡연, 음주 등을 비교 분석할 필요성을 느끼고, 나아가 비만예방의 기초를 마련하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식습관 및 각종 나쁜 생활습관이 굳어지기 전, 비교적 교정이 쉬운 청소년 때를 놓치지 않고, 청소년 비만 인구의 감소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20 years of age, mean height 172.09㎝, the average weight of 66.99㎏, mean BMI 24.1㎏ / ㎡ respectively, BMI body mass index by 8.8 percent and underweight, normal weight 59.4%, 14.4% overweight , 17.5% were obese. Cities are growing 40% share, 53.8% were medium and small cities, 51.3 percent by the type of housing, housing 32.5%, 16.3% disappeared. The job tends to be low as the frequency was 16.3%.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about 27.5 percent of the total, almost club activities was not obese. From 5-18 hours long, or 23.6 percent of the Internet is a self-complete than those of normal weight, underweight or overweight, obesity has been used a lot more buses and passenger cars Awareness of body weight in normal weight 46.4%, 82.6% in the overweight group, 53.6% obese than their slimmer body that had been misunderstood. Dissatisfaction with weight and obesity, 85.4%, 78.6% underweight, normal weight, 23.1%, followed by 21.7 percent were overweight. Toward obesity, the body feels heavy and difficulty that the high incidence. How to lose 63.6 percent of low birth weight, even as the rice was losing weight by eating less. That the more weight-loss success rate weight group was less far, saying the future to reduce the weight ratio 43.8%, 22.5% for stretch outnumbered. All of the subjects often do not eat or eat to have a 70%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dinner were very high compared to 23.8 percent. Weight increased, the incidence increased gradually, and the incidence of obesity was the most irregular meals. Toward underweight often ate dinner without proper, was neglected. Overweight and obesity rates at all meals and eat slowly and did not eat quickly, obesity was the most rushed meal. Most of the investigators (75.1%) and two overeating, overweight and obesity were frequent. Overweight and obesity, the more sweet foods and salty foods were consumed. Low body weight than the high-weight group muscles felt unbalanced. 77.5% of the subjects eat more than two weeks and a week, that the more weight than those of high-weight group had more frequent. Body weight and frequency of snack that correlates with the increasing frequency of getting a snack, usually in the afternoon and the body, beneficial eating between meals juice and milk, fruit and a slight intake of normal weight (13.7%), but there were others in group managing director, Most were eating cake and ice cream. Taste of all the group ate a snack, mainly hungry, companionship to obese (10.7%), reasons for stress in the overweight group (19%) were fed each of the most Nutrition knowledge utilization rate to 11.3 percent and its utilization were extremely small. Best to utilize a lot of weight group was the normal weight group, the underweight group who were not taking advantage of knowledge of nutrition. Wet disorder (bulimia) and obesity score (4.6 points)> Low birth weight (4.1 points)> Overweight (3.6 points)> normal weight (2.8 points) in the order of 72.5% at least 2-3 months you have had enough to eat the tuna. High body weight group consumed more grains were more likely. A low intake of whole grains, and 7.5 percent did not eat at all that. All of the week 2-3 times more than the minimum intake of meat, 90%, fish 76.3%, pulses by 76.2 percent occurred in meat intake, the higher the degree of obesity and eating more meat, and eat a lot of Low birth weight was the most fish. Pulses of the one day a week or more intake to 20% meat (55%), fish (32.5%) are much lower urgent and must be corrected diet was the main one week or less (5%) and shares a week (18.8% ) that was attention. At least one episode a day, eat vegetable intake, despite a 61.2 percent were eating less, and also shares a week 2-3 times a week 2.5% and 15.0% were able to see such a severe shortage. Vegetable oil cooking food that weight group consumed more than two groups was low weight. Milk and dairy products, cheese intake per day was about 20.6 percent more than a week. Fruit intake obese> overweight> underweight> normal weight oleic acid. Grains + Vegetables + and fish intake and eat more high-weight group was more likely. Seaweed intake and intake frequency of once a week during the entire school was 50%, and 2.1% of normal body weight did not eat the algae at all. Fresh vegetables intake and body weight of all fresh vegetables intake overall 2-3 innings a week to 27.5 percent was the highest total intake 1 time per week 26.3%, and 35.7% in underweight, or were, the more severe cases of the normal weight 6.3% would not eat at all the uncooked vegetables. Subjects of the nutrient intake of obese according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calcium, vitamins A, B ₁, niacin, folic acid, all nutrients except all the weight group the average requirement, higher intakes were, protein, phosphorus, iron, zinc, vitamin B ₂, B &#8326;, C, E and all the weight groups of nutrients from 116.7 to 207.1% and an excess supply beyond the requirements, and vitamins A and B ₁ nutrients in the obese group 124%, respectively, were 130.8% of excess supply. In contrast, calcium, vitamins A, B ₁, niacin, folic acid, etc. underweight and normal weight compared to the average requirement from 1.4 to 12.4 percent showed much lower uptake rate. Degree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all the weight of the active were 47.5%, 20.0% were non-active. Increasingly active in high-weight group were isolated, had a lot of exercise. The number of movements per week 3 and overweight is the most common reason to exercise regularly do not play annoying was the overall prevalence of obesity is exercise until sweating corpulence> Overweight> underweight> normal weight group, respectively. Smoking and the normal weight group did not smoke the most. The smoking rate was 27.8 percent, underweight was prevalent. Smoking the first time in 15 years many, many 15 to 18 years began, surprisingly, if you start at the age of 9 in the normal weight group was 19.4%, or. 46.4% started with the motive of curiosity was the most common, most common in the obese group. In the normal weight group looked awesome, the encouragement of friends, as underweight, overweight, citing the stress was the most frequent starting. Smoking 20 cigarettes a day on average obese,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10 cigarettes, and smoke cigarettes and 5 underweight The most common case, the number of overweight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smoking. Reduced body weight changes before and after smoking (23.1%), 1 ~ 3kg increased (11.5%), respectively. The most weight is the most overweight group, the most underweight group was a given. Whether you think smoking is both 100% underweight, normal weight 63.3%, 57.1% overweight, obese 55.6% thought that there was a disconnect. Quitting smoking for health reasons is 84.6%, respectively. Drinkers, 83.1% of subjects (smokers three times) was I. Most were drinking, overweight> obesity> normal weight> Low birth weight was higher drinking rate in the order. The first was the most common drinking age is 16 years old. Drinking motives as the encouragement of friends, the 41.8% most common motive of curiosity as opposed to smoking were more than. Underweight in the stress was the most motivated. Alcohol is most often a week was 2-3 with just 37.3 percent. If almost every day and drink the most common obesity, alcohol consumption was associated with the more high-weight group. Alcohol consumption in all groups drink 8-10 glasses a week and drank the most. In the normal weight group was 14 or cup 25, 17.3%, 16.5% obese in the 14 cup 25, even if drinking from the cup 45 was 3%. 1 week binge drinking (6 drinks liquor soju, beer, more than 2000), often times a month, a 29.9%, respectively. 83.6% in all weight groups, or at least the person more than once a month, one that turned out to be a binge. Almost every day, especially in obese subjects the rate of binge drinking, or 27.3 percent of the heavy drinking culture can be seen. To solve the stress of the subjects averaged 23.9 percent alcohol, respectively. Weight changes before and after drinking according to the BMI (p <0.001) leve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41.8 percent of those surveyed was that you gain weight, 5kg more than the weight of the obese group was the most common case. Life as interfere with the frequency of drinking once a month or more was 59.7 percent of the total, high-weight group were damaged. Alcohol education and working with a fairly large damage cases 43.4% had been hospitalized were more likely that a higher rate of body weight. Drunk at least once a month, a man of experience, or 62.7 percent were. For all the weight group 1-3 times a month or less (38.8%) were the most drunk. The total frequency of intoxication overweight> underweight group> normal weight group> was followed by obesity. After drinking most experienced violence that was 45.7 percent of the total. Serious problem, especially drunk driving accident, or 23.5 percent were underweight Besides the rape experience, including 25% that showed a very serious drinking culture status. Cultural composition of a preferred method sobriety an abstinence campaign in the university, respectively. 58.2% more than 1 time a month after drinking was never regretted, he regretted the more weight group were more frequent. How to deliver alcohol to promote the most effective way to choose the school board was to promote, select the most effective when abstinence education was at the freshman orientation. Low body weight than the more high-weight group was selected more student orientation. Survey results to target male following high weight groups (both overweight and obese) showed that many of the features. High body weight (both overweight and obese), the more weight the first high fault recognition rate, and body dissatisfaction in the largest, highest frequency of irregular meals, meals, and most urgently, the best a lot of overeating, and the sweet, salty most often eat food, the most frequent restaurant meals, snacks, but its incidence is highest, the highest score was diving disorders. A lot of red meat intake, and on the other hand, good quality health and nutrition in the diet is helpful provision fish and milk, pulses, vegetables, algae, and low fruit intake, quality of nutrition is a big disrupted. If convenience foods or pork, sweets, fried food, sweet foods and drinks and snacks, such as eating frequent, almost all nutritional requirements showed a higher uptake of health risks could be foreseen to. Nervous in another life, while Internet usage time is too long, too low activity and obesity have become an easy life, and a lot of weight gain or some of the damage that smoking was wearing, mostly because of curiosity when you started 15 years young Most want to quit smoking but for health, obesity, smoking more will lower a considerable amount of smoking (20 cigarettes), respectively. Most of the students were drinking, overweight and obesity was highest rates of alcohol consumption in the order, even if almost daily drinking was most common, alcohol intake 25-45 cup higher almost every day to binge drinking and weight If you are too, even the frequency of drinking life threatening obesity was the highest. And a lot of difficulty getting to school, even after the violence, such as drinking to intoxication was the most common experience. The prevalence of alcohol dependence increased, for reckless drinking culture is more critical perspective was weak. Alcohol is prevalent due to clearly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health problems and come up with solutions that look. In conclusion, current students and their irregular habits, nutrition, and lack of time to cause an oversupply of meat and rice and now instant-oriented diet, regular and proper lifestyle and eating brown rice and replace it with high-quality natural food that looks mainly. And you want to quit smoking for the health survey found that many studen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eing harmful to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needs to be looked, in fact, it can be utilized to practice by developing a smoking cessation program, current smoking improved culture must also straighten out the drinking culture that also looks bad. By which the college students' health and happiness of each university to maintain a normal weight of the standards and training needed for a good lifestyle habits and dietary education, exercise, character education, smoking and abstinence education, and properly recognized by the weight of their own, and Establishment of a healthy body image and nutritional status, and smoking and drinking culture to improve and the ability to improve health should be cultured. To this e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obesity and health-related programs, and comprehensive measures to actively practice and There I have take advantage.

      • 전국 성인의 금연성공단계에 따른 건강행동

        김수연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Recent 4 weeks or 6 months success rate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s are only short-term effects and there is still no monitoring for more than one year or two years and follow-up stu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s for smoking cessation specialists by examining people who kicked the habit for a long time by themselves and their health behaviors. The study involved 6,347 people over age 19 who completed health interview, health habits examination and nutrition examination, except medical examination, in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5.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irst group who tried to quit smoking but failed during the past one year, second group who had quit smoking less than 5 years and final group who quit smoking more than 5 years). The results were studied relating their stages for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nd analyzed with sociological variables of population, health-promoting behaviors, health risk-taking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the frequencies of food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with SUDAAN 9.0.1 program, considering the weight of analysis of associ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three groups was analyzed with significance difference test(p<0.05), using Chi-Square test and ANOVA.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f they were older(p=.000) and married(p=.000), their education years were shorter(p=.000), they had no job(p=.000) and they had their own house(p=.000), their stages for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were higher and they could succeed in long-term smoking cessation. The test results showed a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an income level and the smoking cessation(p=.021). However, If they had lower income, the relapse rate and the success rate of long-term smoking cessation were higher but the success rate of short-term smoking cessaton was lower. Therefore, it couldn't say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income level and long-term smoking cessation. Secondly, if they worked out regularly more than 3 times per a week(p=.000), the frequencies of their flexibility training were higher(p=.017), they took enough resting hours(p=.000), they ate less salty foods(p=.000) and they ate breakfast regularly(p=.000) and they kept our traditional eating habits(p=.001), their stages for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were higher and they could succeed in long-term smoking cessation. However, proper sleep and weight control had no connection with smoking cessation. Thirdly, if there was no regular smoker in their family(p=.000), they had smaller second-hand smoke time(p=.015), they don't drink alcohol(p=.000) and hazardous drinking(p=.000), they didn't have an experience to ride with a drunken driver in a same car(p=.005), they felt under less stress(p=.000) and they suffered from a illness recently(p=.000), their stages for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were higher and they could succeed in long-term smoking cessation. However, the time to begin to quit smoking had no connection with the succes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depression and smoking cessation(p=.042). If they were depressed, relapsed rate and the rate of long-term smoking cession were higher but the rate of short-term smoking cessation was lower. Therefore, it couldn't say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long-term smoking cessation.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past smoking period(p=.001) and past smoking quantity between short-term smoking cessation group and long-term smoking cessation group, the longer the smoking period was, the higher the rate of the short-term smoking cessation they showed but the lower the rate of the long-term smoking cessation they showed. It showed that smok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was a significant variables to prevent long-term smoking cess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lating past average smoking quantity. Fourthly, if they had a live-in partner(p=.000) and the frequencies that they ate with families were higher(p=.000), their stages for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were higher and they could succeed in long-term smoking cess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lating one-person household. Fifthly, if the frequencies of consumption of rice(p=.000), cereals(p=.000), beans(p.=.001) were higher and the frequencies of consumption of meats(p=.000), milk(p=.006), coffee(p=.000), carbonated beverages(p=.000) and fried foods(p=.000) were lower, their stages for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were higher and they could succeed in long-term smoking cess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lating the consumption of fruits, vegetables, seaweeds, and fishes. And the test results showed a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green tea and the smoking cessation(p=.001). But short-term smoking cessation group showed higher the frequencies of green tea consumption compared long-term smoking cessation group and it couldn't know the green tea's effect on long-term smoking cession. In conclusion, the long-term successful quitters showed higher rat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lower rate of health risk-taking behaviors. But the relapsers showed lower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higher health risk-taking behaviors. And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 between long-term successful quitters and short-term successful quitters. Consequently, active measures including individual life habits and surrounding such as measures to prevent second-hand smoke, the change of eating habits as well as a life partner and family's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are needed to succeed in long-term smoking cession, 최근 발표되고 있는 보건소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의 4주 및 6개월 금연성공율은 종신금연으로 가는 단기적 성과일 뿐 추후 1년, 2년 이상의 모니터링이나 추후연구(follow-up study)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조적으로 오랜기간 동안 금연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행태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금연을 도우려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하여 검진부분을 제외하고 건강면접조사, 보건행태조사, 영양조사를 모두 완료한 만 19세 이상 성인 6,347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지난 1년간 금연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그룹과 5년 미만으로 금연을 유지하고 있는 그룹, 5년 이상 금연을 유지하고 있는 그룹의 3그룹으로 구분하여 금연성공단계로 그 의미를 부여하고, 금연성공단계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변수, 건강증진행동, 건강위험행동, 사회적지지, 식품섭취빈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SUDAAN 9.0.1 프로그램으로 연관성분석 가중치를 고려하여 분석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으로, 세 그룹 간의 비교분석은 교차분석(Chi-Square test)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유의성 차이 검정(p<0.05)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가 높고(p=.000), 기혼자이며(p=.000), 교육수준이 낮고(p=.000), 직업이 없으며(p=.000), 주택소유자일수록(p=.000) 금연성공단계가 높아 장기금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p=.021)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보였으나,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금연실패와 장기금연의 확률이 높은 반면 단기금연의 확률은 낮게 나타나 장기금연으로 가는 뚜렷한 경향은 알 수 없었다. 둘째, 주 3일 이상의 규칙적 운동을 할수록(p=.000), 유연성 운동의 빈도가 높을수록(p=.017), 휴식시간이 충분할수록(p=.000), 싱겁게 먹을수록(p=.000), 아침식사를 할수록(p=.000), 밥위주의 우리(전통)식생활을 실천할수록(p=.001) 금연성공단계도 높아 장기금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정수면과 체중조절은 관련성이 없었다. 셋째, 가정내 규칙적 흡연자가 없을수록(p=.000), 간접흡연시간이 적을수록(p=.015), 음주를 하지 않을수록(p=.000), 위험음주를 하지 않을수록(p=.000), 음주운전차량 동승경험이 없을수록(p=.005),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을수록(p=.000), 최근 이환경험자일수록(p=.000) 금연성공단계도 높아 장기금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흡연시작시기에서는 관련성이 없었다. 우울증 여부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보였으나(p=.042), 우울증이 있을 때 금연실패와 장기금연의 확률은 높은 반면 단기금연의 확률은 낮게 나타나 장기금연으로 가는 뚜렷한 경향은 알 수 없었다. 단기와 장기금연 두 그룹간 과거흡연기간(p=.001)과 과거평균흡연량에 관한 비교에서 흡연기간이 길수록 단기금연성공율은 높지만 장기금연성공율이 낮게 나타나, 과거의 오랜 흡연기간은 단기금연에서 장기금연으로 가는 것을 방해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평균흡연량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배우자가 있을수록(p=.000),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빈도가 높을수록(p=.000), 금연성공단계도 높아 장기금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거 여부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쌀(p=.000), 잡곡류(p=.000), 두류(p=.001)의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육류(p=.000), 우유(p=.006), 커피(p=.000), 탄산음료(p=.000), 튀긴음식(p=.000)의 섭취빈도는 낮을수록 금연성공단계가 높아 장기금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실류, 채소류, 해조류, 생선류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녹차(p=.001)의 경우 금연실패군과 장기금연군에 비해 단기금연군에서 더욱 높은 섭취빈도가 나타나 장기금연에 대한 영향은 알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금연의 실패와 금연성공 이후의 유지기간은 건강증진행동과 건강위험행동 등의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장기금연자일수록 건강에 유익한 행동들을 동시에 실천하고 있었으며, 금연실패자들은 건강위험행동들이 함께 수반되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단기금연성공자와 5년 이상 장기금연성공자 간의 건강행태에 있어서의 뚜렷한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장기적으로 금연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배우자와 가족 등 정서적?사회적 지지환경 조성과 간접흡연에 대한 대책, 식행동의 변화 등 개인의 생활습관과 환경을 포함하는 적극적 대처가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음주기대가 음주행동 및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우리나라는 대학생의 90% 이상이 음주를 하고 있고 이의 대부분이 폭음이나 경제적 곤란을 비롯한 친구와의 다툼, 법규위반, 성추행, 음주운전, 성폭행과 급성 및 만성적 건강 문제 등에 이르는 직접적인 폐해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사망사고에 이르는 음주 폐해의 심각성이 사회적 관심으로 대두됨에도 불구하고 대학생의 음주관련 행동은 좀처럼 감소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음주기대가 음주행동과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음주기대에 따른 문제 음주행동과 성행동을 예방하고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의 대학교 36개를 대상으로 70개 학과를 추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700명에서 무응답 및 불성실한 답변을 한 221명을 제외한 만 16세 이상의 대학생 총 479명(남자 193명, 여자 28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Duncan 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선형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는 연구대상자의 특성중 성별, 나이, 거주자, 주거형태, 대학소재 지역, 전공계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음주기대와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음주행동과 성행동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음주기대의 개인적 요인에서 성별, 나이, 혼인상태, 거주자, 주거형태, 종교유무, 대학소재 지역, 음주행태, 흡연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음주행동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음주행동에서 스트레스와 성행동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음주기대의 개인적 요인과 흡연유무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행동은 혼인상태, 거주자, 주거형태와 흡연유무에서 유의하고 흡연유무나 혼인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트레스나 음주기대와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의 연령, 성별, 거주자별, 지역별,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와 음주행동 및 성행동과의 관련한 영향을 분석하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사료되며 음주기대의 개인적 요인과 음주행동과 관련하여 문제성 음주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대학생의 음주문제를 낮추기 위한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지속적으로 교육·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스트레스, 음주기대, 문제음주, 성행동

      • 건강행동이 성인의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이미진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 appropriate program in promoting health project and executing health education through analyzing, evaluating and grasping the effect on physical symptoms of smoking behavior, drinking behavior, exercise behavior, and dietary habit in the recent perspective that the state of health is not changed by physical circumstance, but by changing attitude and behavior for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9 days from March 7th to March 25th of the year 2005.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about 1,000 adults over 20 years of age by random selection in the city of Kimpo. Items of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variable of economical population variables(8), health level(19), drinking behavior(19), smoking behavior(12), nutrition behavior(20), exercise and weight control(9), and preference of the other programs(1).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SPSS Windows(13.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demo-social characters of people surveyed, the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s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grasp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s and physical symptoms.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variables on exercise and dietary habi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sex had an influence on physical symptoms the most. Especially, female was worse than male, and the older were influenced more than the younger in physical symptoms. Female was influenced more in heart and soul pipe symptom, digestive system symptom, headache symptom, sleep symptom, physical symptom, and the older were worse in heart and soul pipe symptom, headache symptom, insomnia symptom, physical symptom.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rinking behavior and heart and soul pipe symptom, digestive system symptom, sleep symptom, and physical symptom. In fact, the most influencing factor in insomnia symptom was grasped as drinking behavior. Substantially, drinking behavior negatively influenced sleep symptom, heart and soul pipe symptom, digestive system symptom, physical symptom.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behavior and heart and soul pipe, headache symptom, sleep symptom, physical symptom. However, smoking behavior didn't have any particular effect on physical symptom in multiple regressions. Fourth,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xercise behavior and heart and soul pipe, digestive system symptom, headache symptom, sleep symptom, physical symptom. Exercise had an influence primarily on headache symptom. However, it didn't influence the other symptoms. Fifth,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ietary habits and heart and soul pipe symptom, digestive system symptom, headache symptom, sleep symptom, physical symptom. And the fact is that nutrition behavior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on physical symptom. The worse nutrition behavior were, more headache symptom increased, and heart and soul pipe symptom, digestive system symptom, sleep symptom became wors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or health education I suggest the followings: That education for female should be emphasized in that female need to be more careful than male in relation to health. It might be a natural consequence that the older become worse biologically. However, I want to emphasize that an individual could maintain health through prevention by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on the state of health. Not only the old needs continuous care for health, but also the young should be educated more in terms of improving health.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there were various physical symptoms. Especially as it was observed that nutrition activity has the greatest effect on physical symptoms, healthy dietary habits are not formed and influence on the state of health even if there is abundant food in modern society. When it comes to health promoting education, dietary habit education for female should be given more emphasis. 오늘날의 건강수준은 인간의 물리적 환경에 의해 좌우되기보다 인간의 건강에 대한 태도와 행위를 변화시킴으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흡연행동, 음주행동, 운동행동, 식습관이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건강증진사업 및 보건교육을 수행하고자 할 때 보다 적절한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05년 3월 7일부터 3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김포시 20세 이상의 주민을 조사 모집단으로 하고 표본을 1,02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인구경제학적 변수 8문항, 건강수준 19문항, 음주행태 19문항, 흡연행태 12문항, 영양행태 20문항, 신체활동 및 체중조절 9문항, 기타 프로그램 선호도 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s(13.0)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행동과 신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test), t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건강행동과 신체증상의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가장 큰 영향력으로 성별이 여성일수록 신체증상이 나빠졌으며, 연령이 증가 할수록 신체증상에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일 경우 심혈관증상, 소화계증상, 두통증상, 수면증상, 신체증상에 모두 영향을 주었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심혈관증상, 두통증상, 수면장애증상, 신체증상이 나빠짐을 나타내었다. 둘째, 음주행동은 심혈관증상, 소화계증상, 수면증상, 신체증상에 정적상관계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음주행동은 수면장애증상에 가장 큰 변인으로 조사되었으며 음주행동이 증가 할수록 수면증상, 심혈관증상, 소화계증상, 신체증상이 나빠짐을 나타내었다. 셋째, 흡연행동은 심혈관증상, 두통증상, 수면증상, 신체증상에 정적상관계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신제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동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 흡연행동은 각 신체증상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행동은 심혈관증상, 소화계증상, 두통증상, 수면증상, 신체증상에 부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운동행동은 두통증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운동행동이 나빠지면 두통증상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외 증상에는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식습관은 심혈관증상, 소화계증상, 두통증상, 수면증상, 신체증상에 부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영양행동은 신체증상에 가장 큰 영향 변인으로써 영양행동이 나빠질수록 두통증상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심혈관증상, 소화계증상, 수면증상도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보건교육을 실시할 때 다음과 같이 제언을 붙여둔다. 남성보다 여성이 건강에 대한 주위를 필요로 함으로 특별히 여성 집중교육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신체증상이 나빠지는 것은 생물학적으로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개인의 건강행동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으로 볼 때 예방행동을 통해 충분히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고령자는 지속적인 관리를 통하여 건강상태를 유지시키며, 젊은층을 대상으로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건강증진교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건강행동에 따라서 신체증상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별히 영양활동이 신체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때 현대사회는 음식이 풍족함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식습관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으며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고 있다. 건강증진교육을 실시할 때 여성의 식습관교육에 보다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대학의 장애학생 담당 직원의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어은숙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대학의 장애학생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행정직원의 전문성과 장애학생 지원의 정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장애학생 업무담당직원의 일반적 특성, 근무 특성별로 직무만족도는 차이를 보일 것이다. 둘째, 대학의 장애학생 업무담당직원의 전문성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대학의 장애학생 업무담당직원의 장애학생 지원 정도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조사는 연구 협조가 가능한 2∼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의 장애학생지원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2년 10월 2일부터 10월 30일까지 약 4주간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최종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123부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전문성에 관한 문항으로는 총13가지 문항으로 기술 전문성, 지식 전문성, 태도 전문성에 관한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장애학생 지원에 관한 문항은 9개 문항으로 교직원 인식개선, 학습 및 취업지원, 예산 및 편의시설에 관한 3가지 영역이었으며, 직무만족에 관한 문항은 총14가지 문항으로 성취감과 보람, 보상 및 대우, 원활한 협조와 지원에 관한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과 근무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을 포함하여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구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인구학적 특성 중 종교유무가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인 성취감과 보람요인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종교를 가진 응답자가 직무만족도 요인에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근무특성별로는 대학구분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4년제 대학 직원이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근무경력별로 보상 및 대우에 대한 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5년 이상의 경력자들이 보상 및 대우 요인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장애학생 담당 직원의 전문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부 영역 중에서는 기술 전문성과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특히 직무만족도 전체와 성취감과 보람 요인에 대한 기술 전문성의 영향력은 강한 편이었다. 셋째, 장애학생지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각 요인들이 모두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반적인 직무만족도에 대해서는 장애학생 지원의 예산 및 편의시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감과 보람요인에 대해서는 교직원 인식개선 요인의 영향이 가정 컸고, 보상 및 대우요인에 대해서는 학습 및 취업지원 요인, 원활한 협조와 지원요인에 대해서는 예산 및 편의시설 요인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담당직원의 전문성과 장애학생지원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장애학생 지원 서비스의 질적인 면을 향상 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담당직원의 전문성과 지원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의 기회 확대 및 교육내용이 더욱 전문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