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 야스퍼스의 ‘차축시대’를 통해 본 원불교의 ‘정신개벽’

        김명희(金明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제2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류의 ‘기술 문명’과 ‘정신문명’에 주목한 사람이 있었다. 독일의 철학자 칼 야스퍼스(Karl Jaspers, 1883-1969)와 원불교 창시자 소태산 대종사 박중빈(少太山 大宗師 朴重彬, 1891-1943, 이하 소태산)이다. 야스퍼스와 소태산은 서양과 동양이라는 상이한 공간에서 과학과 기술 문명이 가져오는 폐해를 직시하여 그 극복방법으로 ‘정신문명’의 필요성을 주창하였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두되는 기술 문명과 물질문명의 폐해를 소태산의 ‘정신개벽’으로 극복하는 법을 탐색하였다. 특히 동시대를 살았던 서양의 철학자 칼 야스퍼스의 ‘차축 시대’를 통해 산업혁명 시대에 소태산의 ‘정신개벽’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소태산은 물질개벽이 문명폭력이 되지 않기 위해 정신개벽을 제안하였다. 인류는 법신불 일원상 진리(法身佛一圓相眞理)에 근거해 사은사요(四恩四要)의 신앙과 삼학팔조(三學八條)의 수행을 통해 물질문명과 기술 문명의 역기능을 차단할 수 있다고 보았다. 소태산은 정신개벽이야말로 물질만능주의로부터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을 지켜낼 ‘생명 원리’라고 주장하였다. 야스퍼스의 ‘차축 시대’와 소태산의 ‘정신개벽’은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인간들을 ‘물질’로부터 해방시켜 ‘노예’와 ‘기계’가 아닌,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것이라고 선언한다. 정신문명에 기반한 ‘차축’과 ‘개벽’의 중심에는 ‘신앙’이 있다. 야스퍼스는 ‘철학적 신앙’을, 소태산은 ‘도학의 신앙’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과학과 기술 문명 그리고 물질문명의 위기를 정신문명으로 극복할 것을 주창한 야스퍼스와 소태산을 고찰하였다. 특히 야스퍼스의 차축 시대를 중심으로 소태산 정신개벽의 의미를 조명하였다. In the era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two people paid attention to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spiritual civilization" of humankind: the German philosopher Karl Jaspers (1883-1969) and the Great Master Sotaesan (少太山 大宗師 朴重彬, 1891-1943), the founder of Won Buddhism. While Jaspers and the Great Master Sotaesan came from different worlds, the West and the East, both argued that humans must face up to the harmful consequence from the civ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vercome it with "spiritual civilization." This paper explores how the "Great Opening of Spirit" suggested by the Great Master Sotaesan overcomes the harmful effect of the technological and material civilization, which has been emphasized with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through the concept of "Axial Age" coined by Jaspers, who was contemporary with the Great Master Sotaesan, this paper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the "Great Opening of Spirit" in the era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Great Master Sotaesan proposed the Great Opening of Spirit to prevent the advent of materials from becoming civilized violence. Based on the "Truth in Il-Won-Sang of Dharma-kaya Buddha (法身佛一圓相眞理)," he taught that humanity could intercept the adverse effect of technological and material civilization with the belief in "Four Graces and Four Essentials (四恩四要)" and the practice of "Threefold Study and Eight Articles (三學八條)." According to the Great Master Sotaesan, it is the Great Opening of Spirit to be the "principle of life" that will protect human dignity and life from materialism. Jaspers and the Great Master Sotaesan declared that their philosophies, Axial Age and the Great Opening of Spirit, would lead humans, who were entering the era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having a full life with human dignity, not as only followers of materials or parts of machines. Based on the spiritual civilization, they both highlighted the existence of faith at the heart of Axial Age and the Great Opening of Spirit. More specifically, Jaspers" concept was centered in philosophical faith, while the Great Master Sotaesan suggested the faith of moral philosophy. This paper compares the philosophy between Jaspers and the Great Master Sotaesan, who commonly insisted on overcoming the crisis of civilization based on science, technology, and materials with spiritual civilization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Great Master Sotaesan"s Great Opening of Spirit through Jaspers" concept of Axial Age.

      • KCI등재

        소태산대종사의 성인관 연구

        양재호(梁載湖)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0 No.-

        본고는 한국 근대기에 형성된 원불교의 교조, 소태산대종사(少太山大宗師)의 성인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양태로 변모하면서 정착되어 갔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불교는 유 · 불 · 도 삼교를 회통적으로 수용하였다고 하는데, 소태산 당시 이러한 가르침이 어떻게 수용되면서 원불교의 종교정체성 형성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수양연구요론』부터『불교정전』에 이르기까지 소태산의 성인관의 형성과 변화를 고찰하며, 나아가 불법연구회의 기관지인 『월말통신』이나 『회보』 등에 소개된 법설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면서 소태산의 성인에 대한 인식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소태산의 성인관은 초기 도교적인 수양을 통해 개인의 내적 완성을 지향하였다고 한다면, 후기로 갈수록 그 의미가 요 · 순의 치세나 석가모니의 중생구제와 같은 ‘외적 구제’의 측면이 더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곧 소태산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인격은 ‘내적 완성’을 실현한 후, ‘외적 구제’를 향해 나아가면서 이를 완수하는 것이야말로 최상의 인격으로 설정하고 있다. 소태산에 있어 후천시대의 성인은 개인의 수양이 아니라, 중생의 구제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소태산은 성인을 ‘성자철인’과 ‘주세대성’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성향이 과거의 종교와 확연히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두 구분은 이후『보경육대요령』과『불교정전』에서 법위의 단계인 출가위와 대각여래위로 재구성되며, 이후 주세대성은 ‘주세불’의 개념으로 재해석되면서 원불교 성인관을 형성하게 된다. The present paper is aimed at examining in what way Sotaesan"s view of sage changed and took root since he had found Won -Buddhism during the near-modern age in Korea. As it has been taught that Won -Buddhism accepted Confucianism · Buddhism · Daosim in a synthetic manner, it is also the aim of this paper to explore how such teachings were admitted by Sotaesan initially and developed eventually into forming the religious identity of Won -Buddhism. In this study, focus is therefore placed on investigating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Sot`aesan"s view of sage comprehensively by referring mainly to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Cultivation and Inquiry as well as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edited by Sotaesan personally in addition to his sermons published in Monthly Press and Bulletin , journals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Buddha Dharma. In this context, it may be said that Sotaesan"s view of sage was oriented in the primary stage toward the individual internal self-completion through cultivation ofDaoism but came to give emphasis to "external salvation" like peaceful ruling of the Kings Yaoshun (堯舜) or relief of all creatures by Buddha as Sot`aesan approached to the later stage of his preaching, arriving eventually at the conclusion that the most ideal personality could be achieved in the process ranging from "internal self-completion" to accomplishment of "external salvation". In other word, Sotaesan viewed that a "sage", particularly of the post-heaven, could not be perfected by personal cultivation but only be accomplished by relief of all creatures. It is deemed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religions in the way that he recognizes and distinguish between sage-philosopher and great presiding sage, a view deemed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religions. The view of sage in Won-Buddhism has been formed as the concept of the presiding sage.

      • KCI등재

        보조 지눌과 소태산 박중빈의 선사상 비교

        김방룡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3 No.-

        본고는 보조 지눌과 소태산 박중빈의 선사상을 비교한 논문이다. 모두 여섯 가지의 문제의식에 대한 해명을 통하여 지눌과 박중빈 선사상의 동이점을 밝히고 있다. 첫째,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 박중빈은 지눌의 선(禪)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 ‘지눌과 소태산은 선(禪)을 어떠한 방식으로 설명하여 접근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셋째, ‘깨침의 대상으로서 ‘마음’에 대하여 지눌과 소태산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하는 문제이다. 넷째, ‘마음을 깨치고 닦아 나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지눌과 소태산이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지눌의 돈오점수와 소태산의 견성ㆍ솔성ㆍ양성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다섯째, ‘구체적인 선수행의 내용으로 지눌과 소태산이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지눌의 정혜쌍수와 소태산의 무시선으로 나누어 비교하고자여 설명하였다. 여섯째, ‘화두를 통하여 깨달음에 들어가는 방법에 대하여 지눌과 소태산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이러한 수행법을 제시한 이유는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지눌의 간화선과 소태산의 의두연마로 나누어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Seon of Bojo-Jinul with that of Sotaesan-Pakjungbin. I made the sameness and the difference clear within their Seon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following six problems. First, how does Sotaesan-Pakjungbi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accept Bojo-Jinul's Seon? Secondly, how do Bojo and Sotaesan approach and explain Seon? Thirdly, how do they understand 'the mind', the object of enlightenment? Fourthly, what do they present about the method to practice and enlighten 'the mind'? I explained comparatively about the method with Donojeomsu(th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of Bojo and the Enlightenment to the Nature, Fostering the Nature, and Utilization the Nature of Sotaesan. Fifthly, what do they present as the concrete contents of practicing Seon? I divided into two parts of Bojo's Jeong-hyea-ssang-su(practice of both meditation and wisdom) and Sotaesan's Mu-si-seon(practice meditation continually). Sixthly, how do they understand the method to enlighten through Hwadu and why do they present these practicing ways? About those problems, I compared Bojo's Kanhwa Seon(Meditation) with Sotaesan's Euduyeonma(Training in Abstruse Questions).

      • KCI등재

        초기 원불교 교단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정순일(鄭舜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0 No.-

        본 연구는 소태산(1891∼1943)의 ‘불법에 대한 선언’이 지니는 가치와 진실을 새로운 시각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러한 작업은 소태산의 불교에 대한 사상이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여러 사람들과 사상적 교류관계를 가지면서 형성된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해야만 한다. 그러한 안목에서 바라볼 때 소태산의 ‘불법에 대한 선언’은 한국불교사상사 상에서 소태산의 위치가 더욱 빛나게 하는 사건이 될 것이다. 동시에 전통불교와 원불교의 관계도 보다 전향적이며 의미 깊은 관계로 규명될 수 있다. 그런데 그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리 원불교인들이 지닌 독특한 관념 가운데 몇 가지 수정해야 할 사유가 있다. 그것은 소태산 대종사의 깨달음과 그것을 둘러싼 과정, 그리고 초기교단의 형성과정에서 수정해야 할 여러 사항들을 포괄한다. 만약 소태산이 대각 이후 짧은 기간에 불교에 대한 지식과 개혁의지를 갖춘 것이 아닌 대각 이전의 역사적 인과관계가 있음을 전제하고 그의 대각 이전에 불교를 비롯한 종교에 대한 정보가 적지 않았다는 것을 추론해 본다면, 그 해결에 실마리를 제공할 인물과 조우하게 된다. 그가 바로 백학명(1867∼1929)이다. 소태산은 대각 이전부터 백학명의 존재를 알아 왔고, 더 나아가 속 깊은 대화를 해 왔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그것이 후일 소태산의 ‘불법에 대한 선언’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두 사람의 대화는 『대종경』 「성리품」에 나오는 선문답을 나눈 사이 정도가 아니라, 불법으로써 세상을 개혁하려 하는 경륜까지 공유하였을 것으로 추론된다. 백학명과의 만남을 통해 소태산은 백학명의 국제적 식견과 정보, 그리고 선사상과 불교에 대한 개혁의지로부터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This study has rearranged the value and the truth possessed in ‘the declaration of Buddha Dharma’ of Sotaesan(1891∼1943), from a new view point. This work was began with premises that Sotaesan’s thought on Buddhism had established through long period in ideological relationship with various thinkers. From this angle, his ‘the declaration of Buddha Dharma’ can be regarded as an event providing him a much more significant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thought. Simultaneously, the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Buddhism and Won-Buddhism can be determine as more prospective and meaningful one. For proceeding such investigation, it requires correction on several ideas in peculiar thinking of Won-Buddhist. They include his enlightenment, its process, and various matters in establishment process of early order. If it is premised that Sotaesan’s knowledge and reformation will on Buddhism had historical causal relation, not acquainted it in short period after the enlightenment, then it can be inferred that he could have not a few information on religion including Buddhism before the enlightenment. We can find out a person to provide the clue for the hypothesis, who was Beak Hak-Myong(1867∼1929). There are strong possibility that Sotaesan might have known of Beak Hak-Myong’s existence and furthermore could have profound communication. And later, it might greatly influenced ‘the declaration of Buddha Dharma.’ The deepness of their communication can be inferred that not only at the level of exchanging Seon conversation in the chapter of ‘the Principle of the Nature’ of the Scripture of the Founding Master, but also at the higher level of sharing administerial knowledge to reform the world by Buddha Dharma. Exchange with Beak Hak-Myong, Sotaesan might be influenced on his international discernment and information, Seon thought, and reformation will on Buddhism, not a little.

      • KCI등재

        소태산 박중빈의 종교사상과 토착적 근대

        기타지마 기신(北島義信)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3 한국종교 Vol.55 No.-

        19세기 후기 이래로 조선왕조의 억압과 서구·일본의 식민지주의적 침략이 진행되는 가운데 탄생한 한국의 많은 민중적 신종교에는 ‘후천개벽’ 사상이 공통으로 존재한다. 거기에는 ‘서구형 근대’(개화)가 아닌, 토착적 종교에서 절대자와의 협동(協働)을 통해 사회적 대립을 극복하는 토착적 근대 구축의 지향이 보인다. 원불교의 창시자 소태산 박중빈도 마찬가지다. 그는 식민지주의와 일체화된 서구형 근대의 발달(물질문명의 발달)이 인간의 정신을 저하시키고, 사회에서의 강자와 약자의 관계를 폭력적 지배 구조로 전환시키는 현실을 직시했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물질문명의 발달(물질개벽)을 개벽된 정신(정신개벽)으로 재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소태산은 대승불교의 근본개념인 불이일체(不二一體) 와 상호관계성을 축으로 약자와 강자를 일체(一體)로 이해하고, 비폭력에 의해서 상호대립의 관계를 상호부조의 공생사회 실현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런데 그것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 실현과 행동에 참가하는 주체적 인간 형성이 필요하다. 그 사상이 소태산이 제기한 ‘일원(一圓)·일원상(一圓相)’이다. 그것에 의하면, 법・진리 그 자체를 의미하는 법신불(法身佛)은 화신(化身, 一圓相)이 되어 천지·부모·동포·법률의 모습으로 현실 세계에 나타난다. 우리는 개별적 존재를 이중화(二重化)하고, 거기에서 진리로서의 일원을 파악한다. 이러한 사실을 깨달은 사람들이 현대사회를 평화적 공생사회로 ‘재건’하는 실천을 함으로써 서구형 근대와는 다른 토착적 근대의 구체화의 길이 열린다. 이와 같은 소태산의 강자·약자의 평화적 공생 실현의 방향성은 서구형 근대의 뒤틀림을 극복하는 현대적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불법연구회 선수행 체계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소태산의 구도부터 『조선불교혁신론』 편찬까지 -

        권동우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6 No.-

        본고에서는 불법연구회에서 인식하고 실천해 갔던 선수행에 대해 소태산의 구도·대각(1916)으로 부터 『수양연구요론』과 『육대요령』의 시기를 거쳐 『조선불교혁신론』(1935)이 편찬되는 시 기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소태산의 구도과정에서 보이는 수행체계는 간화선적 요소와 묵조선적 요소가 혼재되어 있다는 주 장과 간화선으로 일관된다는 주장이 있는데, 양자 모두 소태산의 구도를 선수행의 과정으로 이해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소태산은 대각 후 『금강경』을 통해 ‘불법’에 연원한다고 하면서도 초기의 교단운영에 있 어서는 「정정요론」과 같은 정통 내단학(內丹學)을 계승한 수행법을 좌선에 도입하였다. 다만 도 교적 수행법을 수용하면서도 궁극적인 지향점은 ‘성불(成佛)’이라고 하거나, 「정정요론」을 ‘불설 (佛說)’로 이해하는 점에서 소태산의 지향점이 불교적 세계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31년 『불법연구회통치조단규약』을 발표하면서 소태산은 염불과 좌선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수행을 제시하여 불교에 조금 더 접근한 모습을 보이며, 1932년 불법연구회 첫 공식 교서인 『육대 요령』에서는 ‘단전주(丹田住)’ 선법을 제시하면서도 ‘한 생각이라는 주착도 없이 오직 원적무별한 진경에 그치라’는 내용으로 체계화하면서 불교의 선수행체계에 유사한 형태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35년 『조선불교혁신론』의 편찬을 기점으로 불법연구회는 불교 경전에 대한 해설과 교리 전반 에 걸쳐 불교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게 된다. 다만, 불법연구회가 불교적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게 되는 것은 돌발적인 것이 아니라 선수행체계의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초기부터 점차로 불교적 성향을 강화해 온 것이라 볼 수 있다. 『조선불교혁신론』의 편찬 이후 불법연구회의 선수행은 간화선과 묵조선의 수행이 혼재되어 있 는 양상을 보인다. 『조선불교혁신론』 이후 소태산은 불법연구회의 선수행이 묵조선적 성향을 가 지는데 대해 ‘묵조사선’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화두’를 수양(定)이 아닌 연구(慧)를 단련하는 과 목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 원불교의 선수행은 묵조선적 성향이 드러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수증관(修證觀)을 놓고 보면 ‘돈오점수’의 양태를 보이면서 간화선적 성향을 강하게 내보이고 있다. 이 양 수행체계가 혼재되어 있는 속에서 소태산은 오히려 화두와 묵조의 양 극단을 떠나야 할 것을 주장하게 된다. 논자는 그 원인으로 『조선불교혁신론』에서 당시의 선수행이 출 가 승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일반 대중이 쉽게 수행의 길에 들어설 수 없다 는 점을 들어 불교를 ‘대중화’하고 실생활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 난 일련의 현상이라고 분석하였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on Seon practice which had been comprehendedand practiced by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during fromthe practice and enlightenment (1916) of Sotaesan, until the period of thecompilation of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朝鮮佛敎革新論』),passing through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Cultivation and Inquiry(『修養硏究要論』) and the Six Great Essential Principles(『六大要領』). The practice structure of Sotaesan while searching for truth has two ways ofinterpretations of which one is the opinion of mixture of both elements ofGanhwa-Seon and Mukjo-Seon, and the other is the opinion of constantGanhwa-Seon. It has to be focused on the common factor that both opinionscomprehended the practice of searching truth of Sotaesan as a sort of processof Seon practice. After his enlightenment, Sotaesan claimed the origin as Buddha dharma with the Diamond Sutra. On the early order administration, he introduced apractice methodology in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Quietude(『定靜要論』) which was descended from orthodox nei-dan(內丹) theory, into sittingmeditation. However, we could find out that his goal had established with theworld view of Buddhism, through his teaching that though taking Taoistpractice method, but ultimate aim is becoming Buddha, and his understandingon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Quietude as Buddha’s teaching. With the publication of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s Covenant ofGovernance and Group Formation(『佛法硏究會統治造團規』) on 1931, Sotaesanshowed a thought little closer to Buddhism by suggesting a practice connectingchanting Buddha’s name and sitting meditation in turn. The first officialscripture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the Six GreatEssential Principles, published on 1932, had approached similar figure toBuddhist Seon practice system, by the systematization of content whichasserts “letting go even of the attachment to abiding in a single thought, to restonly in that genuine realm of consummate quiescence and nondiscrimination”,although suggesting the resting in the elixir field meditation( 丹田住禪). On 1935, compilation of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as acardinal poin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manifestedstrong Buddhist character in general doctrine and on interpretation of Buddhistscriptures. Its strong involvement of Buddhist character was not sudden, butgradual enhancement from early time, which can be noticed from change ofSeon practice system. After compilation of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Seonpractice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showed an aspectthat was mixture of practices of Ganhwa- Seon and Mukjo-Seon. After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on the Seon practice of the Societypossessing character of Mukjo-Seon, Sotaesan advocated that the Society’ spractice is not ‘dead Mukjo meditation’, and classified ‘Hwadu’ into thecategory of training inquiry, not cultivation. In this part, it can be said that theSoen meditation of Won-Buddhism shows character of Mukjo-Seon. However,on actual view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it shows an aspect of ‘sudden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which is typical character of Ganhwa-Seon. In the mingled both practice systems, Sotaesan had claimed to abortfrom both extremes of Ganhwa and Mukjo. Its reason can be interpreted as aseries of phase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finding easy way of practice inactual life and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since which had beenapparently mentioned in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as theSeon practice at the time was difficult to enter for ordinary lay people, becauseits renounce monk centered character.

      • KCI등재

        만해의 불교유신과 소태산의 불교혁신

        정순일(鄭舜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4 No.-

        이 논문의 목적은 불교개혁운동과 관련하여 만해와 소태산 간의 철학적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필자는 소태산이 만해의 불교개혁운동을 계승하였을뿐 아니라 극복하려 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철학적 관계는 아래의 여섯 가지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소태산은 만해의 불교개혁사상으로부터 많은 아이디어들을 차용하였다. 특히 그의 『조선불교혁신론』은 만해의 작품, 『조선불교유신론』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둘째, 소태산은 총론에서 만해의 불교 개혁 이념을 공유하였지만, 각론에서는 그것을 극복하려 시도하였다. 셋째, 그들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공유하였다. 넷째, 소태산이 만해의 불교혁신론 항목 중 몇몇을 삭제한 이유는 그가 이미 개혁안 내용 가운데 일부를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섯째, 소태산이 불교의 개혁론을 쓴 이유는 두가지이다. 하나는 원불교 교화 업무들을 통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앙의 패러다임을 불상으로부터 일원상(진리의 상징)으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여섯째, 종교와 정치의 관계와 관련하여, 만해는 분리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소태산은 협력의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delve into the philosophical relationship between Manhae(萬海 韓龍雲, 1879∼1944) and Sotaesan(少太山 朴重彬, 1891∼1943) with respect to reformation movement of Buddhism. I think that Sotaesan intended to overcome as well as succeed Manhae’s thought of Buddhism Reformation movement. Their philosophical relationships can be summarized into the below six points. First, Sotaesan borrowed many ideas from Manhae’s reformation thoughts of Buddhism. In particular, his work of “Reformation of Joseon Buddhism” was directly influenced by Manhae’s work, the “Reformation of Joseon Buddhism.” Second, Sotaesan shared Manhae’s reformation ideology of Buddhism in general, but he attempted to surmount it in particular. Third, they shared the prospect for the future. Fourth, one of the reasons why Sotaesan cut back some items of Manhae’s Reformation of Buddhism was because he already carried out some of the reformation proposal contents. Fifth, the reasons why Sotaesan wrote “the theory of reformation of Buddhism were two: ① integration of Wonbuddhist edification tasks and ② shift of worship paradigm to Ilwonsang(symbol of the truth) from Buddha Statue. Sixth,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while Manhae held separation perspective, Sotaesan did cooperation viewpoint.

      • KCI등재

        소태산 대종사의 생명철학

        정순일(鄭舜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소태산(少太山 朴重彬, 1891~1943) 대종사가 본 궁극적 존재는 법신불(法身佛, Dharma–kāya Buddha)이었다. 소태산은 법신불을 거시적으로는 우주적 존재로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미시적으로는 인간을 포함한 존재의 미세한 단위에 이르기까지 법신불의 나타남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소태산의 생명철학은 법신불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법신불은 의식 · 에너지 · 생명의 세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소태산은 생명에 대하여 이중적 철학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는 미분과 분화, 전체와 개체, 통일과 다양, 삶과 죽음이라는 매우 상반되는 개념들을 사용하여 생명의 본질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려 하였다. 개체생명체인 인간은 신앙과 수행을 통하여 전체생명의 세계로 확장 · 진입이 가능하며, 그 궁극의 상태가 대각·해탈이다. 생명의 개념이 지닌 양면적 모순을 통합하려는 소태산의 생명철학은 파란고해에 휩싸인 이 세상 속에서 광대 무량한 낙원을 건설하려는 그의 의도와 부합된다. The ultimate being according to Sotaesan(1891~1943) was Dharmakāya Buddha. Sotaesan recognized the Dharmakāya Buddha not just as an universal being in a broader context but also as every single tiny being which is the manifestation of the Dharmakāya Buddha in a micro-perspective. Therefore, Sotaesan’s Life philosophy is basis on the Dharmakāya Buddha. Dharmakāya Buddha has three characteristics; consciousness, energy and life. Among those, Sotaesan approached life in a dual structure. He attempted to access the essence of the Life by using the concepts in contradiction as follows: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whole and entity, unity and diversity, and life and death. Human as an individual living being can enter or expand to the universal realm through faith and practice, and gradually attain the ultimate realm of Great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Sotaesan’s Life philosophy which unifies the contradiction of the concept of life correspond to his intension of establishing a vast and immeasurable paradise in the turbulent sea of suffering.

      • KCI등재

        상담자로서의 소태산 대종사

        임전옥(林全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본 연구에서는 소태산을 상담자라는 관점으로 바라보고, 상담자로서의 소태산에 대해 탐색하였다. 소태산의 상담목표는 내담자들의 당면 문제 해결과 인격 양성이었으며, 이를 위해 교사이자 촉진자, 안내자, 치료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내담자들과 신뢰가 돈독한 상담관계를 형성하였다. 소태산은 중생교화의 방편으로 상담을 활용했다고 볼 수 있다. 즉, 소태산이 중생들의 업의 문제를 다루어주는 과정에서 활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바로 상담의 원리와 기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점차 삼대력을 기르고 인격이 향상되도록 안내하는 과정에서도 상담이 활용되었다. 상담의 특징으로는, 소태산은 모습과 인품으로 감화를 주었고, 내담자의 근기와 상황에 따라 이에 적합한 상담을 하였으며, 상담의 바탕에 큰 자비심이 있었고, 생활 속에서 직접 실행하고 모범을 보였으며, 내담자들을 차별과 장벽이 없는 마음으로 대하였고, 현실문제의 해결을 넘어 진리적인 성장과 완성을 지향하였다. 또한 지시적 상담 방법과 다수 또는 대중 가운데서의 상담을 활용하였다. 주요 상담방법으로는 공감, 질문(문답)으로 이해와 변화를 촉진, 직면과 지시적 상담 방법의 활용, 해석을 통한 새로운 안목의 제시, 정보제공, 칭찬과 격려를 들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Sotaesan as a counselor because holy men have been well known as great counselors. Sotaesan utilized counseling as an expedient to enlighten mankind. That is, various methods that Sotaesan utilized to help mankind be relieved from suffering and improve their character included counseling principles and methods of modern counseling psychology. In this study, situations that Sotaesan interacted with disciples were considered as counseling sessions. His counseling goals were to solve problems facing clients and to improve clients’ character. To reach these goals, he acted as a teacher, a facilitator, a guide, and a therapist. Also, he had good counseling relationships by trust with clients. As a counselor, he showed several distinctions of counseling and used several main methods during sessions.

      • KCI등재

        소태산 박중빈의 불교개혁사상에 나타난 구조 고찰

        원영상 ( Yong Sang 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불법연구회를 창립한 소태산 박중빈(1891∼1943)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먼저 소태산에 의한 개혁불교로서의 지향점을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시대적 현실에 입각한 불법의 원융성 회복, 둘째, 불법에 입각한 제 사상의 포용 정신, 셋째, 불법에 기반한 사회개혁을 전개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지향점 위에 소태산의 불교개혁사상의 구조 또한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보고자 한다. 첫째는 불보(佛寶)와 법신불 일원상과의 관계이다. 한국의 불교는 사찰에 전통적으로 유래된 불상을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왔다. 근대의 여러 불교개혁가들이 주장한 것처럼 신화화된 불상은 불법의 진의에 대한 대중의 접근을 방해한다고 보았다. 소태산은 불심(佛心)의 상징으로 법신불 일원상을 봉안함으로써 불법의 근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는 법보(法寶)로서 『정전(正典)』을 텍스트로 하였다는 점이다. 『정전』의 원텍스트는 소태산이 친히 감수한 『불교정전(佛敎正典)』이다. 원불교의 핵심경전인 『정전』은 대승불교의 경전관에 의거하고 있다. 소태산 또한 시기상응의 정신에 입각하여 대중을 중시하는 경전관을 피력하고 있다. 셋째는 승보(僧寶)의 의미를 확대하여 승가의 사회화를 지향한 것이다. 즉, 재가와 출가를 동등하게 보고, 차별없이 교단의 운영자로 참여시킨 것과 이러한 평등을 기반으로 사회의 승가화를 모색한 것이다. 이는 대승불교가 궁극적으로 성취하고자 했던 세계관이다. 이처럼 소태산의 불교개혁은 불법의 근원에 입각하여 기존의 관습적인 불법승 삼보를 해체하고, 현대적인 의미의 삼보로 재구성한 것이다. 소태산의 사후, 개명된 현재의 원불교의 성격 또한 이를 잘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tructure of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by launched Sotaesan Jung-Bin Park(1891∼1943) who founde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n 1924 that has been changed to Won-Buddhism in 1948. This writer think that Sotaesan presented 3 parts as the intention points of Buddhism reform by himself. Firstly, unifying material and spirit, politics and religion, monk and layman, life and practice etc., secondly, all-embracing of religious thoughts in the world based on the teachings of Buddhism, thirdly, social reform based on the thoughts of Buddhism. The reformative thoughts of Buddhism launched by Sotaesan who reformed traditional Buddhism world, consists of 3 structural elements too. Firstly, it 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ues of the Buddha and the Dharmak-ya Buddha whose another name is Il-Won(One Circle) in Won-Buddhism. The statues of the Buddha was worshiped as the great object of devotion in most of Korean temples. Sotaesan thought many statues of the Buddha treated as myths should be simplified for catching the true teachings of Buddha as like Buddhism reformers asserted in modern times. He enshrined Dharmak-ya-Buddha instead of Buddhist image to reveal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a. Secondly, Sotaesan completed Jeongjeon(正典) as the text of Buddha- Dharma. It contains the teachings of Buddha and Sotaesan. And Jeongjeon as Won-Buddhist core scripture is based on the viewpoint of Mah.y.na Buddhism. He preached that the teachings in scriptures should be kept up with the times and be angled towards viewers of the public. Thirdly, Sotaesan planed to make traditional Samgha in Buddhism open to society. He put this plan into practice through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It was equally open to both monks and laymen. This system is from Mah.y.na Buddhism that criticized Samgha of the established order. He has broken up three treasures, that is, Buddha, Dharma, and Samgha in traditional Buddhism and reconstructed these to modern system based on the fundamental idea of Buddhism. Today Won- Buddhists well maintain the heritage of the teachings of Sotaesan and the Institute of Buddha-Dhar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