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가렛 애트우드의 생명정치적 아포칼립스 : 『오릭스와 크레이크』와 『홍수의 해』를 중심으로

        김미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아포칼립스 및 포스트 아포칼립스 문학은 인류 문명의 종말을 불러오는 파국적 사건을 상상함으로써 기존 사회의 병폐를 지적하고 변화의 가능성을 암시한다. 아포칼립스 서사의 원형인 성경이 보여주듯이 아포칼립스라는 개념 안에는 이미 종말이 다가온다는 공포와 더불어 더 나은 세상이 도래할 것이라는 희망의 정서가 담겨져 있다. 즉, 세계의 끝이라는 디스토피아적인 신념은 언제나 새로운 세상의 시작이라는 유토피아적인 비전과 함께 나타나며 서로 대립되면서도 불가분하게 연결된 하나의 이율배반적 아포리아(antinomical aporia)를 형성한다. 생명정치적인 성격을 띠게 되는 현대의 아포칼립스 문학에서는 이와 같은 아포리아가 특히나 두드러진다. 구원받은 자들과 그렇지 않은 자들 사이의 종교적 구분은 살 가치가 있는 존재와 죽어 마땅한 존재 간의 생명정치적인 구분으로 고착화되면서 생명을 보호하고 강화한다고 말하면서 도리어 생명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현대 생명권력(biopower)의 이율배반적 통치를 가시화한다. 본고는 마가렛 애트우드(Margaret Atwood)의 『오릭스와 크레이크』(Oryx and Crake)와 『홍수의 해』(The Year of the Flood)를 생명정치적 아포칼립스를 그리는 추론소설(speculative fiction)로 보고 두 소설 속 사실적 허구의 세계를 분석함으로써 21세기 생명정치의 지형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파라다이스 프로젝트라는 ‘아포칼립스’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애트우드의 두 작품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가 뒤섞여 있는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며 죽음과 생명, 파괴와 재생, 종말과 구원이 동전의 양면을 이루는 생명정치적 아포칼립스 특유의 아포리아를 부각시킨다. 면역(화)과 (휴머니즘적) 사육은 개인이 자기 자신을 주체화함으로써 권력에 예속화되도록 만드는 두 가지 생명정치적 패러다임으로, 자기보호와 자기개선의 필요를 내세워 주체와 타자의 위계적 구분을 강화하여 후자를 전자의 희생양으로 전락시키지만 그 과정 속에서 전자 또한 자기 자신의 희생양이 되고 마는 역설을 내포한다. 면역을 주제로 하는 본론의 1장은 신자유주의적 안전사회가 위험(에 대한 공포)을 생산하고 관리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인종주의적 면역화를 사회적 공익을 위한 실천으로 둔갑시키는 방식을 파헤친다. 조합과 신의 정원사들은 공통적으로 공동체 자체에 내재한 면역화의 경향을 지니고 있지만, 가장 큰 공동체인 지구 생태계의 차원에서 존재하는 상호적인 빚의 존재를 수용하고 이를 되갚기 위한 노력을 수행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전자는 자기방어적인 위생화를 추구하는 이기적인 집단으로, 후자는 공동체적이고 호혜적인 삶의 방식을 지향하는 이타적인 집단으로 분류된다. 조합의 테크노크라트 문화에 더 큰 영향을 받는 크레이크의 파라다이스 프로젝트는 결국 지나치게 예방적이고 공격적인 방어로 자기파괴를 불러오는 자가면역적 자살로서 나타난다. 사육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본론의 2장에서는 생명정치의 장 안에서 펼쳐지는 현대 휴머니즘이 문명과 야만의 구분을 토대로 인간 및 비인간 타자를 폭력적으로 사육하고 착취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생명정치적인 통치술의 기반이 되는 휴머니즘의 이분법은 주체가 타자를 사육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스스로를 자발적으로 야수적이거나 문명적인 주체로 길들이게끔 유도한다. 크레이크의 파라다이스 프로젝트는 인간 주체의 자기 지배의 열망이 신자유주의 및 유전공학과 결합되면서 휴머니즘에 대항하려는 시도가 극도로 심화된 트랜스휴머니즘적 파국으로 발현되는 모순적 결과를 초래함을 보여준다. Apocalyptic and post-apocalyptic narratives criticize the ills of existing social order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change by imagining catastrophic events that bring the world to an end. Apocalypse manifests the fear that the end is impending, but it also signifies the hope that a better world will arrive after the end. The dystopian belief in the end of the world always appears together with the utopian vision of a new beginning; what lies within the notion of apocalypse is this aporetic relation between the two antonymic perspectives that are inextricably interrelated. The aporia becomes more noticeable as modern apocalypse assumes a biopolitical character that brings the matter of life itself to the fore. Contemporary apocalyptic texts translate the religious division between the saved and the doomed into ‘life worthy of living’ versus ‘life unworthy of living,’ emphasizing the antinomical rule of biopower that vitalizes massacres by claiming to foster life (of a population) when actually limiting life (of another population) until it is on the brink of death. Reading Margaret Atwood’s Oryx and Crake and The Year of the Flood as speculative fictions portraying a biopolitical apocalpyse called the Paradice Project, this thesis analyzes the general topography of bio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 terms of immunization and (humanistic) breeding. Immunization and (humanistic) breeding are two biopolitical paradigms in which an individual constitutes oneself as a subject in one’s own subjugation to (bio)power, each under the name of ‘self-protection’ and ‘self-improvement’ respectively. The modern understanding of immunity derives a biopolitical logic of exclusion from the judicial-political and biological-medical definitions of the word, an exemption from communal duty and the protective reaction of an organism against infectious disease, and renders it into the safety of individual and social bodies. On the other hand, Humanism, based on its definition of humanity as the (superior) state away from animality, justifies the ‘human’ self’s biopolitical breeding and consumption of naturalized, sexualized, and racialized others for its well-being. Focusing on the aporia inherent in biopolitics, I argue that stressing the dichotomous distinc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 inside/outside in the immunitary system and humane/inhumane in the humanistic tradition — victimizes not only the ‘improper’ others but also the ‘proper’ self. The Atwoodian apocalypse reveals the self-destructive nature of biopolitics today, warning how a biopolitical impulse at its extreme can be inverted into a thanatopolitical one.

      • 한국 생명정치와 미학적 공공성 : 현대미술 프로젝트의 미학정치와 정동배치

        이병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2

        This thesis proposes the concept of the aesthetic common to explore a new form of community while uncovering the limitations of the biopolitically informed community. More specifically, the thesis discusses how a set of contemporary Korean art projects embody the force of life and its affective power as the potentiality of the aesthetic common. Critiquing the notion of modern social community, I would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the common world based on the common sense. In doing so, I also critique modern social aesthetics, especially the way in which it has condoned political and ethical exclusions in the process of being devoted to the dimensions of representations, appropriations, and power struggles and distributions. As an alternative, I propose a need to reassemble the aesthetic rather than disposing of it so 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anthropocentric community. And as a concrete methodology, I would highlight the affects and their assemblage in the common world. During the first phase of the biopolitical era(~1997), contemporary Korean art projects that aim to critique institutions and dispositifs emerged in the process of resisting the rigid disciplinary governmentality. These projects took the forms of art criticisms, happenings, or cultural movements rather than the standard forms of art. The sense of reality proposed in The First Manifesto for Realism (1969)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apperception. With regard to the processes by which happenings were conceptualized from the 1960s to the 1970s, I show how the process in which artistic practices transitioned from the dimension of contingency to that of signs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abolish representations and stage the representation as such. I also argue how Kim Bong Joon’s the notion of shinmyŏng(神明) and Dureong’s activities served to imagine the life of people (min 民) and a community of enjoyment (hŭng 興) pervaded by the quality of ochlos proper to the life of zoe. These practices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collect the elements of community scattered outside the exclusionary biopolitical (non)common. They refused to be institutionally co-opted and instead proposed a transcendent vision of community that crosses limits. I show how these projects served to form the common sense that perceives the potentiality of the common world and thereby to bring into being the aesthetic common. The second phase of the biopolitical era(1998~)—the period in which democracy has been institutionally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is marked by an atmosphere of liberal society and an accelerating sense of global competition entailed by neoliberal globalization. During this period, Korean society has increasingly adopted the form of flexible regulative governmentality with a diversity of discourses emerged and social diversity promoted. On the part of the institutional publicity, a principle of neoliberal distribution and an administrative democracy have been executed in the name of pluralism. I show how these institutional practices are characterized by mathematical distribution and thereby have ended up making existing exclusions permanent. With the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democracy, a number of publicly oriented projects have emerged in the contemporary art that explore the local. They are primarily characterized by close observations and hands-on research on local regions. Observations and hands-on research rather than representation and appropriation have signaled the birth of a new methodology in contemporary Korean art. A set of art projects including Sungnam Project (1998), Cheonggyecheon Project, Daechuri Struggle, and more recently Mixrice’s Gosari (2018) and Herrings (2020) have explored what changes concrete local regions as well as the human and nonhuman life and their activities therein have endured in the contexts of urban redevelopment and regeneration, geological and geopolitical situations in Korea, and global migrations. Although initially they had aesthetico-political intentions, these projects have increasingly expressed concrete affects that inhabit respective regions. Ultimately, they have served to reconstruct the aesthetic common beyond their role in aesthetico-political critiques. The thesis calls attention to nonhuman affective elements that inhabit artistic practices, which also appear in the concept of human freedom or the dimensions of human memory and emotion. But the field of artistic activities is pervaded not only by personal but also by impersonal dimensions. For example, hills and cement, things and tools, fields and field fires, migrating seagulls and staying puppies, spherical soccer balls and radomes, inhabiting fiddleheads(gosari) and migrating herring, materials that illustrate impersonal phenomena and individuals and their reciprocal relationships, have been reassembled as affective powers in these activities. Consequently, art can be considered to be a process by which new affective connections and alliances are constantly created. With the rise of a neo-imperialist universalism and a new climatic regime, I propose that one needs a new aesthetics that is at once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In the same vein,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e era of biopolitics that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it would need to be disassembled so as to be affectively reassembled in the common world. 본 논문은 한국 생명정치(biopolitics)가 구축하는 공동체성의 한계를 비판하면서 새로운 공동체성을 모색하기 위해 미학적 공공성(aesthetic common) 개념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 예술 프로젝트들로부터 미학적 공공성의 잠재성으로서의 생명의 힘과 정동적 역량에 대해서 논한다. 미학적 공공성으로 구축할 수 있는 공동체는 공통감에 기반한 공통세계라 할 수 있으며, 이를 근대 사회적 공동체성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으로 제시한다. 이는 또한 근대 사회적 미학의 한계를 지적하는 것이기도 한데, 특히 근대 사회적 미학정치가 재현과 전유, 권력 분배와 쟁투적인 차원에 함몰되어 정치적, 윤리적 배제를 용인해온 지점을 비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미학이 새롭게 재배치되어야 하며, 그럼으로써 결국 근대 인간중심주의적 공동체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 방법론으로서 공통세계 정동과 그것의 배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본문에서는 한국 생명정치를 시대에 따라 두 시기로 구분하는데, 첫 번째 시기에는 1997년 이전의 시기로서, 폐쇄적 규율의 통치성에 대한 저항의 과정에서 제도 비판적, 장치 비판적 현대미술이 생겨난 시기를 다룬다. 이들은 기존의 정형화된 형태의 미술이 아니라 비평과 선언, 해프닝, 문화 운동 성격의 활동으로 전개되었다. 1969년의 「현실주의 제 1 선언」에서의 현실감각의 핵심은 통각(痛覺)으로 논의될 수 있으며, 1960-70년대 해프닝이 개념화 되는 과정에서는 미술의 행위들이 우발성의 차원에서 기호들의 차원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재현을 소거하고, 재현 자체를 무대화 시키는 과정으로 분석했다. 또한 김봉준의 신명론과 ‘두렁’의 현장 활동들은 민(民)의 생명과 흥의 공동체를 상상적으로 구현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현장에는 조에(zoe)적 생명의 오클로스적 속성이 깃들어 있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당시 배제적 생명정치적 (비)공공성에 대응하여, 그러한 (비)공공성의 바깥에서 흩어진 공동체적 속성들을 모으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제도적으로 전유되는 것을 거부하거나, 경계를 넘나드는 초월적 공동체상을 제시하기도 한 것이다. 이에 대해 본문에서는 공통세계적 잠재성을 감지하는 공통감의 차원으로 보고 있으며, 이것이 미학적 공공성을 태동시킨 기본 요건이라고 분석한다. 두 번째 시기는 민주화 이후 시기로서, 특히 1998년 이후 민주주의가 제도적으로 정착한 시기를 다룬다. 국내의 경우 자유로운 사회 분위기 속에서 국제적으로는 신자유주의적 전지구화에 있어 지구적 경쟁이 강화된 시기다. 이 시기 생명정치의 통치성은 개방적 규제의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자율적 규제의 상황에서는 담론이 활성화되고 사회적 다양성이 강조되는데, 이를 제도적 공공성 차원에서는 ‘다원주의’라고 명하면서 새로운 신자유주의적 분배 원칙과 행정적 민주주의 정착을 실행해왔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그러한 제도의 수학적 분배 위주의 자율적 사회공동체성은 배제를 영속화시킨다는 측면에서 비판된다. 민주주의의 제도적 정착과 더불어 현대미술에서 ‘지역(the local)'을 화두로 한 공공적 성격의 프로젝트들이 실행되었는데, 이들은 실제 지역에서의 면밀한 관찰과 조사를 중요시한 활동들이다. 재현과 전유가 아닌 관찰과 조사라는 과정은 한국의 현대미술에 있어 새로운 방법론을 또한 태동케 했다. 1998년의 《성남프로젝트》를 비롯하여, 《청계천프로젝트》, 《대추리투쟁》 그리고 최근 ’믹스라이스‘의 <고사리>(2018)와 <청어>(2020)에 이르기까지 예술 프로젝트들은 한국의 도시 재개발과 재생, 한반도의 지리적, 지경학적 정치 상황, 그리고 전지구적 이주라는 상황 속에서 구체적 지역들과 지역에서의 인간-비인간 삶과 활동이 어떤 변화를 겪는지에 대해서 다뤄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미학정치적 의도에서 시작되었지만, 결국 지역의 구체적 정동을 드러내 오고 있는 프로젝트들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미학적 공공성은 단지 비판의 역할을 넘어서 공통적이면서 지속적인 차원에서 재구성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술행위를 경유하면서 배치되고 드러나는 비인간 정동 요소들을 주목하는데, 그것은 미학정치에서 논하듯이 인간의 자유라는 개념, 인간 기억과 심리와 감정 등의 차원에서 등장하기도 한다. 그런데 실제 예술 자체의 장은 인격적 차원뿐만이 아니라 비인격적 차원으로 가득하다고 할 수 있다. 가령 언덕과 시멘트, 사물과 공구들, 들판과 들불, 오고 가는 기러기와 정주하는 강아지, 둥근 축구공과 레이돔, 서식하는 고사리와 이동하는 청어 등은 물론 비인격적 현상과 개체들의 상호성을 드러내는 소재들이지만, 이들은 프로젝트에서는 역량들로 배치된다. 그래서 예술이라는 형태는 이러한 정동의 새로운 연결과 동맹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신제국주의적 보편주의와 신기후체제의 정치에 있어 이제 미학은 다시 정동 차원으로 흩어지고 다시 모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국 생명정치에 있어 그것을 비판하고 성찰할 수 있는 현재의 예술 또한 공통세계 차원에서의 정동적 재배치의 차원으로 흩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생명정치 인식

        김재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writer's sense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confronting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sovereignty that dominates Korean society by considering the biopolitical perception shown in the novel by author Park Wan-seo. The novelization of sovereignty in postwar Korean society is a driving force for creativity for Park Wan-seo. The power of life-political sovereignty, which governs and monitors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and treats life itself as a political subject, has a strong influence not only in exceptional situations such as the Korean War, but also in economic development promoted by dictatorial governments in the 1970s. The economic development und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has been carried out in a way that activates the myth of the people, and the core of this is to root out a super-nation. The exception that left the people's lives bared during the war is now seen as deepening in the industrialized inner cities. By setting "Biopolitics" as the main element in Park Wan-seo's novel, this Report tries to get a fresh grasp of the post-war literature located in a specific space-time from a continuous perspective. For Park Wan-seo, the operation of life politics by sovereign authority begins with the sense of "Lee Kyung's Desire to Live", the protagonist in his book "Rare Wood". Lee Kyung's confession that she happened to survive while watching his family be bombed in the extreme political space of war shows the structure of sovereignty that produces survival. The writer's perception of biopolitics, which chose the daily life of the war, is problematic in that it starts from an "exception." Agamben, of course, does not see the exception as an extreme example of modern politics, but rather defines it as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sovereign structure. Even so, the author's insight into "the bared life" in the war space is worth noting. This study tries to show that such an author's vision is centered on her literary sensibility and that the exception in the narrative of the Korean War continues to appear in industrialized cities and in the history of old age. Park Wan-seo was a writer who rose in 1970 at the age of 40. As she has a heavy memory of war, the meaning of the postwar space of 17 years since the declaration of a ceasefire (1953.7.27) is also significant. If the post-war space is evaluated as a time of maturity to identify the nature of war, along with the desire for liberal democracy that has emerged under the authoritarian regime, it would have a view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similar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two paragraphs (the dictatorship-the war). Then, we can take a look at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assume a section of biopolitics that penetrates the works of Park Wan-seo, who succeeded in making a novel. It is 'dailyization of exception'. If during the war, the distinction between our allies and the enemy changed for a moment as the front moved, The dailyization of exception will produce the people/non-people (or people/non-ethnic) in the inner city, and the reproducer/non-renewable or boys/girls in the family. First, the second chapter will select novels based on the narrative background of the Korean War and reveal what violent structures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re under. People living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Korean War are forced to respond to the call of certain ideologies depending on which government occupies the area. The characters who appeared in "Rare Wood," "The thirsty Season," "The heaviest dentures in the world," "Near the Buddha," and "Return Land" experienced exception during the Korean War. Furthermore, the exception during the war forms a structure that constantly suppresses characters through monitoring and punishment in the context of the war.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author's intention in Chapter 2 to identify the situation in which people who suffer continuously during the Korean War and later periods are described as "Korean constraints." Chapter 3 noted judicial power as a institution to maintain the modern national system. The representatives of judicial power in the work are capable of maintaining and stopping the power of law. The judicial power organization are the fundamental structures that constitute the unity of the system of the people's state, and they are presented in a super-status form, in which the norm and exception are self-imposed, including the suspension of the law's effect. On the other hand, This report would like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exploiting the bodies of poor workers in capitalist nation. Those who are desperately surviving under heavy labor are "bared life" located outside the legal boundaries. The creation of a structure in which life is capital, and capital is circulated to life, is etched into the bodies of certain workers and exposes life to threat. In Chapter 4, This study will reveal the life-force involved in family ideology through the author's novel. In particular, this report aims to reveal how the 1970s landscape, which saw a surge in the phenomenon of Lee Chon-hyang, is being connected to the novel by the author. In particular, This study want to show how the writer's novels reflect the era of the rise of the phenomenon of Rural-Urban Migration. Park Wan-seo, who is known to have made the biggest change through Rural-Urban Migration, is paying attention to the influx of elderly people into cities, suggesting that new social problems have emerged. In Park Wan-seo's work, old people who moved from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described as objects of segregation that do not belong to family and society, who have yet to have death but lead miserable lives amid dying. Thus her works repeatedly put their lives on the stage of the novel, asking for new imagination of the life and body of old age. Park Wan-seo is paying attention to the elderly who are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humans/non-humans, and is thus asking anew the meaning of human beings. Meanwhile, This study want to reveal in his novels the scenes of life-threatening birth control. Author Park Wan-seo will mainly make novels about the Korean War, nationalist development,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family community. The work of Park Wan-seo can be seen as a focus on the grand narrative inherent in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study wanted to reveal how laws, institutions, and discussions are affecting Korean society in the process of analyzing his novels. This paper attempted to use resistant writing to counter the nationalist ideology of politicizing the lives of the people in the critical practice discourse. Liotar is looking for the "Post Modern", which is the keynote of modern literature in " La Condition postmoderne," at the "doubt of grand narrative." If so, Park's novels should be read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which destroys the epicenter form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modern nation. Park Wan-seo's fictional characters, who have led to the possibility of reflecting the violence of nationalist ideology, are inducing a wealth of imagination about human life. 본 연구는 작가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생명정치적 인식을 고찰해봄으로써 한국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주권권력의 확대·심화에 맞선 작가의식을 새롭게 규명해보고자 했다. 전후 한국 사회에 있어 주권권력에 대한 소설화는 박완서에게 있어 창작의 동인이다. 국민의 일상을 지배하고 감시하며 생명 그 자체를 정치적 주제로 다루는 생명정치적 주권권력은 6·25전쟁과 같은 예외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1970년대 독재정권이 추진한 경제개발 속에서도 강한 영향력을 갖는다. 박정희 정권기 경제개발은 민족의 신화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초-국가를 정초하는 것이 그 핵심을 이룬다. 전쟁 중 국민들의 생명을 벌거벗게 만든 예외상태는 이제 산업화된 도심에서 심화된 양상을 보인다. 이 글은 ‘생명정치’를 박완서 소설에서 형상화하고자 한 요체로 설정함으로써 특정 시공간에 위치한 전후문학을 연속된 관점에서 새롭게 파악하고자 했다. 작가에게 있어 주권권력에 의한 생명정치의 작동은 그의 등단작인 『나목』에서 주인공 ‘이경’이 갖는 ‘살고 싶음’의 감각에서부터 시작한다.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정치적 공간 안에서 가족이 폭살당하는 것을 목도하며 우연히 살아남게 됐다는 ‘이경’의 고백은 ‘생존을 생산’하는 주권권력의 구조를 여실히 드러낸다. 폭격이 난무하는 전쟁 일상을 서사배경으로 택한 작가의 생명정치 인식은 ‘예외상태’로부터 출발하며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법이 중지된 순간을 예리하게 포착한다. 아감벤은 예외상태가 현대 정치의 극단적인 사례라고 보지 않고 오히려 주권 구조가 지닌 근본적인 성격으로 규정한다. 전쟁 공간 속의 ‘벌거벗은 생명’에 주목한 작가의 통찰은 고찰되어야 하며, 전쟁서사를 넘어 도시 및 노년서사에 이르기까지를 아우를 수 있는 포괄적 방법론을 강구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생명정치의 인식을 박완서의 문학관 중심에 위치시키며, 6·25전쟁 서사에 나타난 예외상태가 산업화된 도시 및 노년서사에까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박완서는 1970년 그의 나이 40세의 나이에 등단한 작가이다. 전쟁의 기억이 무거운 만큼 휴전이 선포(1953.7.27.)된 이후 17년이란 전후 공간의 의미 또한 작가에게 있어 유의미하다. 전후 공간을 독재정권 하에서 발현한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더불어, 전쟁의 성격을 규명해볼 수 있는 숙의의 시간으로 평가한다면, 이 두 가지 항(독재정권-전쟁)에 내재한 유사한 성격을 통합적으로 고찰해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 됐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근현대사를 통시적으로 고찰해 소설화에 성공한 박완서의 작품들을 관통하고 있는 생명정치 특질의 한 단면을 가정해볼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예외상태의 일상화’이다. 전쟁 중 예외상태가 아군과 적군의 구분이 전선의 이동에 따라 일순간 뒤바뀌는 기능을 했다면, 예외상태의 일상화는 도심 속에서 국민/비국민(혹은 민족/비민족)을 생산하게 되고, 가족 내에선 재생산자/비재생산자 혹은 남아(男)/여아(女)를 조직하게 된다. 먼저 2장에서는 6·25전쟁을 서사배경으로 하는 소설들을 선별해 주권권력에 의해 소설 내 인물들이 어떤 폭력적 구조 속에 포함 돼 있는지를 밝혔다. 6·25전쟁 당시 한반도에 거주한 사람들은 어떤 정부가 해당 지역을 점령하는가에 따라 특정 이데올로기의 호명에 응답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인다. 『나목』, 『목마른 계절』,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 「부처님 근처」, 「돌아온 땅」 등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6·25전쟁 중 예외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쟁 중 예외상태는 전후 맥락 안에서 감시와 처벌을 통해 인물들을 지속적으로 억압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6·25전쟁과 그 이후의 시기에 지속적으로 고통 받는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한국적 제약”이라고 명명한 작가의 의도를 2장에서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3장에서는 현대 국가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제도로서의 사법권력에 주목하였다. 이번 장에서는 「연인들」, 「조그만 체험기」, 「꿈과 같이」, 「어느 시시한 사내 이야기」, 「카메라와 워커」, 「도둑맞은 가난」 등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사법권력 대리자의 수행 및 초-입법적 생명경제화되는 장면들을 분석하였다. 사법권력 기관은 국민국가의 시스템의 통합을 이루는 근원적 구조인데, 법의 효력을 중지시키는 것을 포함하기에 정상과 예외를 스스로 정초하는 초위상적 형태로 제시된다. 한편, 자본주의 국가 내에서 가난한 노동자의 몸을 착취하는 구조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강도 높은 노동을 감수하며 필사적으로 생존하는 인물들은 법의 테두리 바깥에 위치한 ‘벌거벗은 생명’이다. 생명이 곧 자본이고, 자본이 곧 생명으로 순환하는 구조의 생성은 특정 노동자의 몸들에 새겨지며 생명을 위협에 노출시킨다. 4장에서는 가족 이데올로기에 개입되고 있는 생명권력의 모습들을 작가의 소설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촌향도 현상이 급증한 시대를 작가의 소설에서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박완서는 이촌향도를 통해 가장 큰 변화가 이뤄진 것으로 ‘노년 인구의 도시 유입’을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사회 문제가 대두했음을 시사한다. 박완서의 작품에서 농어촌 발(發) 노년들은 가족과 사회 그 어디에도 속해있지 않은 격리의 대상으로 묘사되는데, 이 노년들은 아직 죽음(death)을 갖진 않았지만 죽어감(dying) 속에서 비참한 생활들을 영위하는 존재들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들은 노년의 삶과 몸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을 요청하며 반복적으로 그들의 삶을 소설의 무대에 올린다. 작가는 인간/비인간의 경계에 위치한 노년들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의미를 새롭게 묻고 있다. 한편, 출산담론을 둘러싸고 생명의 위계화가 이뤄지는 현장들을 그의 소설에서 밝혔다. 작가 박완서는 6·25전쟁·국가주의 발전·가족 공동체의 해체 등을 주로 소설화한다. 이러한 박완서의 작업은 한국 사회에 내재한 거대서사에 대한 주목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속에 기입된 억압을 비판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소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법·제도·담론 등이 현재 한국사회에 어떤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본고는 비판적 실천 담론 속에서 국민의 생명을 정치화하는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에 맞설 수 있는 저항적 글쓰기를 시도했다. 리오타르는 『포스트 모던의 조건』에서 현대문학의 기조가 되고 있는 포스트 모던함을 “거대 서사의 회의”에서 찾고 있다. 그렇다면 박완서의 소설은 현대 국가의 건설의 과정 중에 형성된 거대서사를 부수는 기획적 차원에서 파악해야 함이 옳다.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을 성찰 가능하도록 이끈 박완서의 소설 속 인물들은 인간 생명 및 삶에 대해 풍부한 상상력을 유도하고 있다.

      • 손창섭 소설의 생명 정치 연구

        이진송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손창섭의 소설에서 생명을 관리하는 통치 기술로서 권력이 작동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문학에서 형상화되는 권력의 다양한 성격과 효과를 규명하고, 긍정과 부정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손창섭 소설의 고유성을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푸코의 생명 정치 이론을 이론적 틀로 삼는다. 푸코의 권력 이론에서 생명 권력은 주권 권력, 규율 권력과 함께 권력의 복합적 구조를 생성한다. 주권 권력이 죽일 수 있는 권력을 행사한다면 규율 권력은 훈육과 통제를 통해 온순한 신체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명 권력은 생명을 ‘살게 만들고 죽게 내버려 두는’ 권력으로서, 안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인구를 육성하고 사회를 보호한다. 생명에 대한 권력의 조직화는 육체의 규율과 인구의 조절이라는 두 가지 극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광범위한 기술이다. 생명 권력은 각종 지식과 결탁하여 종(種)으로서의 인구를 낱낱이 분석하고 관리한다. 생명 정치는 권력이 생명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육체와 삶의 여러 요소에 개입하여 장악하는 방식과, 이에 순응하거나 저항하는 주체의 역동적인 관계망을 일컫는다. 푸코의 생명 정치 이론은 통치성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된다. 통치성은 국가의 권력이 작용하는 기술과 관행을 아우르는 종합적 틀이자 피통치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논리나 방법을 뜻한다. 생명 정치에서 통치란 삶과 생명을 통솔하는 권력의 행사이다. 한국 전쟁을 겪고, 국가 재건이 중요한 과제였던 1950-60년대는 강력한 주권 권력과 규율 권력, 생명 권력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통치성의 시대였다. 안보를 내세우며 불순분자를 축출하고, 근대적 규율을 체화한 시민으로 개조될 것을 촉구하고, 경제적 자유를 보장하고,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생활의 질을 개선하는 기술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졌다. 억압과 규제만이 아니라 자유를 보장하고 욕구를 독려하는 기술이 주체의 순응과 동의를 끌어내는, 중층적인 권력 구조가 이 시기의 통치성을 형성한다. 손창섭의 소설이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당대 정치 체제에 비판적이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생명 정치의 차원에서 손창섭의 소설을 읽는 것은 통치성에 저항하거나 거부하는 양상뿐 아니라, 매혹되거나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면모를 함께 발견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손창섭의 소설의 특성을 재구성할 수 있다. 성적 일탈, 아동의 트라우마, 가족의 해체, 훼손된 신체와 무기력 등은 지금까지 손창섭 소설의 부정성을 강조하는 요소였다. 본 연구는 생명 권력이 정상과 비정상을 생산하고 이용하는 권력 체계를 검토하여, 비규범적 요소들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는 의미를 새롭게 사유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섹슈얼리티, 가족, 노동 장치를 중심으로 손창섭 소설을 분석하였다. 장치는 권력이 침투하거나 구체화되는 장소이자 권력의 효과를 가시화하는 틀이다. 장치는 다의적이어서 권력의 작용과 동시에 저항을 산출한다. 따라서 각 장치가 손창섭의 소설에서 생명 정치의 통치술과 맺는 관계를 주체, 공간, 서사의 층위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손창섭의 소설이 창작되었던 시대에 생명 정치의 통치술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소설과 시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와 1960년대는 반공과 규율이 상징하듯 억압적인 권력의 이미지가 강한 시대이다. 동시에 이 시기의 생명 정치는 전후 한국 사회를 재건하려는 국가의 통치성과 더 나은 삶을 누리려는 국민의 열망이 맞물리며 작동했다. Ⅲ장에서는 섹슈얼리티 장치를 통해, 손창섭 소설에서 의학적 지식을 통치의 전략으로 활용하는 생명 정치의 양상을 분석했다. 정신의학과 심리학은 특정 섹슈얼리티를 병리화하고, 오염과 감염의 공포는 공간을 분할하고, 인구조절과 재생산을 목표로 하는 가족계획사업은 부부의 섹슈얼리티를 관리한다. 섹슈얼리티를 교화하려는 통치에 맞서는 저항은 일탈로 드러난다. 성적 타자는 병리적 쾌락을 향유하는 대항품행을 실천하고, 격리된 공간의 경계를 침투하여 새로운 장소성을 창출한다. 섹슈얼리티의 주도권을 쥐려는 아내들의 서사는 기혼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결혼 관계 안으로 포섭하려는 통치에 대항한다. Ⅳ장에서는 가족 장치를 통해, 손창섭의 소설이 생명 정치의 통치술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가족은 인구의 최소 단위 집단이자 이데올로기가 교차하는 장소이다. 생명 정치는 합법적인 재생산을 가족 내부로 한정하며, 생활 조건이나 삶의 방식을 규격화한다. 근대적 양육 지식의 중요성이 부상하면서 생명 정치는 바람직한 보호자로의 주체화를 요청한다. 가족이 머무는 집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살림의 기술로 운영되어야 하고, 가정은 외부의 위험을 차단하는 안전한 공간으로 영토화된다. 근대적 가족상을 권장하는 생명 정치의 통치술은 이상적 가부장의 주도로 행복한 가족이 가능하다는 환상을 서사화한다. 가족을 돌보고 육성하는 통치에 저항하는 움직임은 가족 체계를 교란하는 불온함으로 드러난다. 문제아는 불안을 유발하며 통치술을 거부하고, 다양한 정체성의 거주자들이 집의 의미를 전복하는 헤테로토피아를 형성한다. 가족의 본질을 폭로하는 진실의 말하기는 쉽사리 행복의 서사에 통합되기를 거부하며 불화를 선택한다. Ⅴ장에서는 노동 장치를 통해 손창섭 소설에서 자본주의와 결합한 생명 정치가 어떻게 생산성과 효용을 기준으로 생명을 통치하는지 살펴보았다. 생명 정치의 통치술을 내면화한 주체는 자기 계발을 중시하는 생산적 주체로 거듭나고, 공간 통치는 효용과 근면의 규율이 내재한 건전한 노동 환경을 구성한다. 자립 이데올로기를 강조하는 사회복지사업은 사회 취약층을 산업역군으로 갱생시키려는 욕망을 서사화한다. 생명의 가치를 생산성으로 규격화하는 통치에 맞서는 저항은 아픈 몸의 불능과 무능함이다. 가치 없는 생명을 배제하는 생명 정치의 통치술에 맞서 끈질기게 살아남으려는 잉여인간은 장소의 의미를 전환하거나 파괴적으로 탈취한다. 또한 자립 이데올로기에 맞서 인간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의존과 돌봄을 주고받는 실천이 자활을 중시하는 생산성 통치를 무력화한다. 손창섭의 소설은 생명 정치가 배제하는 유형의 인간을 인식하고, 문학적으로 구현하는 작가 의식이 치열한 텍스트이다. 본 연구는 권력이 지식과 관리의 기술로 생명과 삶을 통치하는 특성에 주목하여, 손창섭 소설에서 생명 정치가 작동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권력의 다층적인 속성을 파악하여 통치와 피통치자의 관계를 다채롭게 살펴보는 것은 문학 연구에서 해석의 가능성을 확장한다. 이를 통해 작가가 형성하는 고유한 문학적 의미를 발굴하고, 손창섭 소설 독해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biopower operates as a governing technology for managing life in Son Chang-seop's novel. This study went beyond value judgments that place productivity and health as positivity and unproductive desire and non-normative bodies as negativity and identified the uniqueness of Son Chang-seop's novels. This study uses Foucault's biopolitical theory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In Foucault's theory of power, biopower creates a complex structure of power along with sovereign power and disciplinary power. While sovereign power exercises the power to kill, disciplinary power aims to produce docile bodies through discipline and control. biopower is the power to ‘make life and let die’ and uses safety technology to convert life into population and protect society. The organization of power over life is a broad technology that revolves around two poles: discipline of the body and control of population. The power of life colludes with various types of knowledge to analyze and manage the population as a species. Biopolitics refers to the way power intervenes and takes control of various elements of life in the name of protecting life, and the dynamic network of subjects who comply or resist this. Foucault's biopolitical theory extends to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Governmentality refers to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encompasses the technologies and practices through which state power operates and the logic or method that influences the behavior of the governed. Governing as biopolitics is the exercise of power to control life. The 1950s and 1960s, when the Korean War was over and national reconstruction was an important task, was an era of governmentality in which powerful sovereign power, disciplinary power, and biopower operated in complex ways. By focusing on biopolitics,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governmentality during this period is possible. Governmentality is formed not only by methods of oppression or regulation, but also by a complex structure of power that guarantees freedom, encourages desire, and elicits compliance and consent from subjects. Reading Son Chang-seop's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biopolitics is a task of discovering not only aspects of resisting or rejecting governmentality, but also aspects of agreement.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Son Chang-seop's novel can be reconstructed. Sexual deviance, child trauma, family disintegration, damaged body and helplessness have been elements that emphasize the negativity of Son Chang-seop's novels so far. However, this study examines the power system in which biopower produces and uses normal and abnormal, and seeks to rethink the meaning of non-normative elements being embodied in literature. This paper analyzed Son Chang-seop's novels focusing on sexuality, family, and labor mechanisms. A device is a place where power penetrates or materializes and a framework that visualizes the effects of power. The governing art of biopolitics operates at the level of subject, space, and narrative through devices. The device is polysemous, producing resistance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power. Chapter Ⅱ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vel and the times by examining how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were developed in the era in which Son Chang-seop's novel was created. Chapter Ⅲ analyzed the aspects of biopolitics governing sexuality in Son Chang-seop's novels, using medical knowledge as a governing strategy. Psychiatry and psychology pathologize specific sexualities, fears of contamination and infection divide space, and family planning projects aimed at population control and reproduction manage the sexuality of couples. Resistance against the rule that seeks to civilize sexuality is revealed as an aberration. The sexual other practices countervailing behavior that enjoys pathological pleasure, and creates a new sense of place by infiltrating the boundaries of the isolated space. The wives' counterattack to take control of their sexuality counters the narrative that seeks to include married women's sexuality within the marriage relationship. In Chapter Ⅳ, we looked at how Son Chang-seop's novels interact with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through the family device. The family is the smallest unit of population and a place where ideologies intersect. Modern parenting knowledge makes the subject a desirable guardian. The house where the family stays is governed by scientific and systematic housekeeping techniques, and the home is territorialized as a protective space that blocks external dangers. The governing art of biopolitics narrates the fantasy that a happy family is possible under the leadership of an ideal patriarch. Movements that resist this are revealed as unrest that disturbs the family system. Problem children cause anxiety, and residents with diverse identities form a heterotopia that overturns the meaning of home. Additionally, telling the truth that exposes the nature of family refuses to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narrative of happiness and instead chooses discord. The Chapter V is a device that visualizes the operation of biopolitics combined with capitalism based on productivity and utility. Subjects who have internalized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are reborn as productive subjects who value self-development, and the space where labor discipline operates provides a sense of efficacy. Social welfare work that emphasizes the ideology of self-reliance rehabilitates the socially vulnerable into industrial workers. On the other hand, the sick body reveals its incompetence and confronts the rul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that abandon and exclude surplus humans. They transform or destructively steal the meaning of a place. The narrative that acknowledges human finitude and exchanges dependence and care neutralizes the rule of biopolitics that emphasizes self-sufficiency. Son Chang-seop's novel is a text that fiercely embodies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and the movement to resist it.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wer governing life and life with knowledge and management techniques, and examined the way biopolitics operates in Son Chang-seop's novels.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alysis beyond the existing dichotomy of positive and negative. This approach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political meaning of Son Chang-seop's novel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with governmentality in the 1950s and 1960s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 아감벤의 생명정치사상을 통한 선교패러다임 전환

        정유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whether the Mission itself was advanced by the power of life management in the places and circumstances where Christian missionaries and mission theology which had been carried out through Giorgio Agamben's life politics thought. It is also to see if power has progressed as a means to maintain their hegemony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faith. Therefore, Giorgio Agamben's political thought, which constantly develops the events of life politics in his own writings, is based on the two paradigms of life, Zoe and Bios, beginning with ancient Greece. Thus Giorgio Agamben philosophy of life politics serves as an indispensable tool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modern Christian mission paradigm. In order to understand Giorgio Agamben's text on life, we need to understand the arguments of diverse scholars who form a rapport with life politics. For this reason, at the beginning of this thesis, after discussing the body, soul, the domination of the spirit found in Western history, the domination from the tolerance suggested by Wendy Brown, and the life politics of Michel Foucault, look at how it develops. In addition, Giorgio Agamben has shown many political philosophical aspects so far, but he did not miss life politics even in the theological context. This can be seen in his books, Pilate and Jesus, The Time that remains, and Nudità. This thesis enumerates Giorgio Agamben's philosophy of life politics with emphasis on the Homo sacer series and the above books, and confirms how the biopolitics of Christianity has been made theologically. At the end of the thesis, Giorgio Agamben's major ideas lay the foundations for starting the paradigm shift of mission theology. The “potential” that should not be missed out of his main concepts is similar to Karl Rahner’s “anonymous Christian” concept. Recognition of the existence of worthy life with potentiality and impotentiality is the basis for restructuring mission theology. It is also required to stop judging affirmation and denial of missions through the concept of “coming” and “whatever”. This is because the founding of the worthwhile life thought of human life can be found in the conclusion of the "unknown" of the other, and in the “process of life”. Giorgio Agamben saw that the coming of things could not be formed through subjective thoughts and concepts. This can not be separated to eschatology and messianism, which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life-value Christian mission. 본 논문의 목적은 아감벤의 생명정치 사상을 통하여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던 기독교 선교 및 선교신학이 이루어진 그 장소와 상황 가운데 선교 그 자체가 생명관리 권력에 의해 진행되었는지, 권력이 보편적 신앙이라는 틀 속에서 자신들의 헤게모니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진행되었는지 고찰하기 위함이다. 때문에 생명정치의 사건들을 자신의 저술 속에서 끊임없이 전개하는 아감벤의 정치사상은 고대 그리스로부터 시작되는 두 개의 정치적 생명인 조에(Zoe)와 비오스(Bios)의 생명 패러다임을 통해 호모사케르(Homosacer), 즉 벌거벗은 생명을 벗어나기 위한 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아감벤의 생명정치사상은 현대기독교 선교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도구의 역할을 제공한다. 아감벤의 생명사유에 대한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생명정치와 한 맥을 이루는 다양한 학자들의 논증에 대한 선이해가 필요하다. 때문에 본 논문의 서두에서는 서양역사 속에서 발견되는 몸, 영혼, 정신의 지배, 웬디 브라운이 제시했던 관용으로부터의 지배, 생명정치에서 빠질 수 없는 푸코의 생명정치에 관하여 논의한 후 아감벤이 생명정치 사상을 어떻게 새롭게 전개하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아감벤은 현재까지 정치철학적인 면모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지만, 그는 신학적인 맥락에서도 생명정치를 놓치지 않았다. 이는 그의 저서인 『빌라도와 예수』, 『남겨진 시간들』, 『벌거벗음』 등에서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호모사케르 시리즈와 위의 저서들을 중점으로 아감벤의 생명정치사상을 열거하고 기독교의 생명정치가 어떻게 신학적으로 이루어져 왔는지를 확인한다. 논문의 말미에서는 아감벤의 주요사상을 통하여 선교신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시작하기 위한 발판을 놓는다. 그의 주요개념 중에서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잠재성”은 칼 라너의 “익명의 그리스도” 개념과 유사한 연관성을 가진다. 잠재성과 비 잠재성을 지닌 가치적 생명의 존재자들을 인식함은 곧 선교신학을 재구성하는 기초가 된다. 또한 “무위”, “도래하는 것”, “임의적”이라는 개념을 통해 선교의 긍정과 부정에 관한 판단중지가 요구된다. 이 이유는 인간생명의 가치적 생명사유의 정초가 타자의 “알 수 없음”이라는 귀결 속에서, 그리고 “삶의 과정” 가운데 발견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감벤은 도래하는 것을 주체적 사고와 개념을 통해서 형성될 수 없다고 보았다. 이것은 종말론 그리고 메시아니즘과 동떨어질 수 없으며 이들은 생명 가치적 기독교 선교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나타나는 생명정치 연구 : 주권권력과 호모사케르를 중심으로

        조길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1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 전쟁은 한반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한국 전쟁이 남긴 피해는 개개인의 삶에 커다란 상흔을 남겼으며 한국 전쟁으로 형성된 반공 이데올로기는 말 그대로 대한민국 사회를 지배하였다. 반공 이데올로기는 대한민국을 결집시키는 힘이었던 동시에 내부의 적을 색출하여 처벌하는 근거였다. 국가는 반공 이데올로기를 통해 국민을 통제하였고 빨갱이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생명이 배제되었다. 한국 전쟁은 반공 이데올로기와 함께 생명 정치를 형성했다. 한국 전쟁을 통해 형성된 국가 체계는 국가가 개개인의 삶과 사적인 영역을 통제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개인이 그것을 당연하다 여기게 만들었다. ‘반공 이데올로기에 따르지 않는 빨갱이는 죽어도 되는 생명’이라는 가치는 국가가 국민의 생명을 살게 할 것인지 죽게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었으며, 이러한 생각은 이후 국민의 생명인 출산과 사망까지도 정치에 끌어들일 수 있게 만들었다. 문학 또한 한국 전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한국 전쟁 이후 한국 문학에서는 한국 전쟁에 대해 다루는 소설이 대거 등장했다. 한국 전쟁을 다루는 소설들은 전쟁으로 인한 개인의 상흔을 그려내거나 동족상잔이라는 민족적 비극을 형상화 하였으며 개인에게 가해지는 국가의 폭력을 드러내기도 했다. 박완서는 한국 전쟁을 소설로 형상화한 대표적인 작가이다. 박완서는 전쟁소설을 통해 국가의 억압을 고발하고 전쟁으로 인해 배제된 생명들을 조망함으로써 자신의 비극을 개인사에서 보편사로 끌어올렸다. 특히 박완서의 소설은 한국전쟁기 국가가 생명을 통치한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대한민국이 근대 국민 국가로 형성 되는 과정에서 생명정치를 통해 생명을 정치의 영역에 포섭하는 구조를 노출시킨다. 그런 의미에서 생명정치가 더욱 교묘하게 일상에 포진해있으며 주권권력이 더욱 촘촘하게 생명을 얽매고 있는 현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생명정치가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주권권력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은 중대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Ⅱ장에서는 박완서의 전쟁 소설을 바탕으로 한국전쟁기에 국가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권권력이 어떻게 형성되고 작용되었는지는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예외상태에서 법이 효력을 정지하는 것과 그로인해 법과 폭력, 내부와 외부가 식별되지 않는 아노미적 공간이 창출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한국전쟁기에 서울은 법률은 존재하지 않지만 주권권력은 존재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 국가의 내부와 외부, 법의 내부와 외부는 식별되지 않으며 법과 폭력 또한 식별되지 않는다. 2절에서는 주권 권력을 독점하기 위해 국가가 형성되고 그 과정에서 생명이 정치의 대상으로 포섭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한국전쟁은 대한민국과 인민공화국이 주권권력을 독점하기 위한 싸움이었다. 국가는 인구조사를 통해 만들어진 명단을 자원의 동원과 통치에 사용한다. 생명의 출생과 사망이 국가의 국력과 국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써 정치의 영역에 본격적으로 들어오게 된 것이다. 명단을 통해서 국가는 국가의 통치에 필요하지 않은 생명을 구분했으며 그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국민을 형성했다. 3절에서는 주권권력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정치와 하나가 된 생명인 주권자에 대해 살펴보았다. 예외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권자는 법의 내부와 외부의 비식별역에 위치한다. 주권자의 신체는 그 자체로 예외상태이며 그의 목소리는 법률 없이도 법과 같은 힘을 지닌다. 『목마른 계절』에서 수령의 말이 법과 같은 힘을 가지며 인민군 군관의 말로 인해 아이들의 존재가 없는 것이 되는 것은 이러한 것을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박완서의 전쟁 소설을 바탕으로 한국전쟁기에 국민이 형성된 과정과 생명이 국민에서 배제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한국전쟁을 통해 혈족 중심의 민족 공동체가 붕괴되고 비오스 중심의 국민이라는 공동체가 새롭게 형성되어 생명이 정치적 존재가 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한국전쟁은 민족 공동체를 무너트렸으며 국민이라는 공동체를 새롭게 형성했다. 국민은 민족처럼 혈통과 같은 자연적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어떠한 삶의 방식을 따르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생명은 비오스라는 정치적 생명으로 탈바꿈되었다. 반면 국가와 정치에서 배제되었던 출산은 인구라는 형태로 새롭게 정치의 영역에 포섭되었다. 2절에서는 생명이 국가로부터 배제되지 않기 위해 국민 수행을 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국가에서 배제된 생명은 희생제의 없이 살해당할 수 있었기에 생명은 배제되지 않기 위해 정치적 행위를 해야 했다. 대한민국은 국민이 따라야 하는 삶의 방식은 반공이었다. 생명이 국가로부터 배제되지 않기 위해서는 국민 수행을 해야 했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국민 수행은 피난이다. 가족들은 피난을 가지 못해 국민에서 배제될 위험에 처하며,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피난을 연기하기도 한다. 3절에서는 배제된 생명인 호모사케르를 조명하여 호모 사케르를 창출해 생명에 대한 생사여탈권을 소유하는 것이 주권의 구조임을 살펴보았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인 오빠는 호모 사케르란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주권자는 국가 내의 모든 생명에 대하여 생사여탈권을 가진다. 이런 점에서 모든 국민은 주권자에게 생사여탈권을 맡긴 호모사케르이다. 생명을 국민으로 포섭하거나 국민에서 배제하는 것, 결과적으로 모든 생명을 호모 사케르로 만들어 그에 대한 생사여탈권을 지니는 것이 바로 생명 정치이자 주권의 구조이다. Ⅳ장에서는 박완서의 전쟁 소설을 바탕으로 한국전쟁 이후 호모사케르가 되어버린 생명이 주권의 구조에 어떻게 대응했는가를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호모사케르로서의 처지와 현실이 예외상태임을 망각하기 위해 스펙타클의 세계로 빠져드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서 스펙타클은 피엑스라는 공간과 미제 물건으로 나타난다. 또한 인물들은 미제 물건을 사용하고 미국인의 삶을 흉내내 전쟁 중인 현실을 망각한다. 그러나 이렇게 미제 물건을 갈망하고 미국인의 삶을 모방하면 할수록 그들은 주권권력과 부를 소지하지 못한 현실만을 느끼게 될 뿐이다. 이러한 낙차는 모멸감과 수치로 다가온다. 2절에서는 호모사케르로서의 처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미국으로의 이민을 꿈꾸는 인물들을 살펴보았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등장하는 이들 중 미국으로의 이민을 꿈꾸는 자들은 대부분 성매매 여성이며 국가로부터 배제된 생명이다. 그들은 미국 주권자의 도장이 찍힌 신분증명서를 얻어 호모사케르의 처지에서 벗어나려 한다. 그러나 생명을 호모사케르로 만들어 주권 권력을 창출하는 주권의 구조는 근대 국민 국가의 근간이며 이는 미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한민국에서도 배제되고 미국에서도 배제된 생명들은 결국 난민화 된다. 3절에서는 현실이 예외상태이며 자신이 호모사케르로서라는 것을 받아들인 인물들을 통해 증언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등장하는 엄마라는 인물들은 자신이 호모사케르임을 받아들이고 살아간다. 그의 앞에서 오히려 주권 권력은 무화된다. 이때 엄마는 무기력한 인물이 아니라 망각에 저항하는 인물이 된다. 이는 『그 많던』에서 ‘나’가 벌레의 시간을 잊지 않고 증언하려는 의지로 나타나며 이는 작가 박완서의 글쓰기와 연결된다. 박완서의 글쓰기는 희생제의를 거부하는 글쓰기이며 벌레의 시간에 대한 증언은 호모사케르임을 받아들이는 행위이다. 자신이 호모사케르임을 받아들이는 작가 박완서와 그의 전쟁 소설들 앞에서 주권권력은 무화된다.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June 25th 1950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immensely. It has left a great scar in each individual’s lives and the anti-communist ideology has literally dominated the Korean society. The anti-communist ideology was the force that held Korea together as well as the justification for seeking out and punishing the enemy within. Republic of Korea controlled its people through anti-communist ideology and in the name of ‘commies’, many lives have been excluded. The Korean War created biopolitics alongside anti-communist ideology. The state system that occurred during the war has made the state able to control each individual’s lives and invade their personal areas, and also to have them consider it justifiable. The idea that ‘a commie who defies the anti-communist ideology is a life worth killing’ instilled the notion that the state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ts people can live or die. The same notion has since made it possible for politics to get involved in people’s life, namely their birth and death. Literature has also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e Korean War. After the war, dozens of novels concerning the subject have surfaced amongst the Korean literature scene. Several have illustrated the pain of an individual caused by the war or portrayed the national tragedy of fratricidal war, consequently revealing the violence wielded upon the people by the state. Park Wan Seo is one of the prominent authors who portrayed the Korean War. She has transformed her personal history into the people’s history by writing novels that disclosed the state’s oppression and shone light on lives that were marginalized by the war. Her novels especially exposed how life itself gets dragged into politics, meaning how biopolitics is formed over the course of Korea becoming a modern state, by showcasing the mechanism in which the state controlled people’s lives during the war. At the current moment, where biopolitics is prevalent in everyday lives in a much more subtle ways and sovereign power has grasped life much more tightly in their hands, studying how biopolitics in Republic of Korea has begun and how sovereign power was formed will have significant meaning.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how the state was formed during the Korean War and how the sovereign power was also formed and applied during that period of time, according to Park Wan Seo’s war novels. The first section discusses the law coming to a halt in times of exception and thus creating a space where law is not discerned from violence, the inside not discerned from the outside. In the period of war, Seoul was a place where law did not exist, but sovereign power did. In this spac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state and law are not distinguished. In a similar fashion, law and violence could not be discernable as well. The second section discusses how a state is formed with intention to have monopoly on sovereign power, and how life becomes an object of politics during that process. The Korean War was a battle to decide who acquires sovereign power,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state used the list of names made by census to rally resources and to reign over people. The birth and death of a life full-fledged became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ed the power of state and its national wealth. Using the list of name, the state sorted out lives that were not essential in its reign and formed a nation by excluding those figures. The third section focuses on the features of sovereign power and the sovereign, which is a life that became one with politics. In the sense that they can determine a state of exception, the sovereign is placed in the indistinguishable area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law. His body itself is in a state of exception and his voice equal as law, even without legislation. In the Season of Thirst, one can observe how the leader’s words have the same power as the law, and how the presence of children disappears due to the words of a North Korean military officer.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process in which a nation was formed during the Korean War and how life was excluded from the idea of nation, based on Park Wan Seo’s war novels. The first section discusses the process where the ethnic community based upon blood relations is destroyed by the war and instead the national community based on bios is newly formed, allowing life to become a political existence. The Korean War dismantled the ethnic community and newly created a community of nation. A nation is not determined by natural factors like an ethnic group is, but is determined by the way of life people choose to follow. Life is transformed into political life called bios. On the other hand, the birthing process that was previously excluded from the state and politics came to be newly included in the realm of politics in the form of population. The second section discusses the performance of nation that a life has to act out in order to not be excluded from the state. Since a being that was excluded from the state could be killed without sacrificial ritual, in order to not be excluded, they had to politically perform. The way of life that nation of Republic of Korea should follow was anti-communism. For a life to not be excluded from the state, they had to follow the performance of nation. The performance of nation that mainly appears in Park’s war novels is taking refuge. The family members risk from being excluded from a nation because they cannot take refuge and they eventually perform the act of seeking refuge. The third section focuses on homo sacer, the excluded life, and the structure of sovereign that is in the making of homo sacer, thus possessing the life-or-death authority. The older brother figure that makes appearance in both of Park’s war novels shows what it means to be a homo sacer. The sovereign holds absolute power over life and death of every being within the state. In this sense, one can say that every nation is a homo sacer who has entrusted the sovereign with the life-or-death authority. Including a being into a nation or excluding them from it, thus making every being into homo sacer, is in itself biopolitics and the structure of sovereign. The fourth chapter discusses how a being that has turned into homo sacer since the Korean War fought against the structure of sovereign, according to Park Wan Seo’s war novels. The first section discusses the state where homo sacer finds themselves, and them falling into a world of spectacle in order to forget the fact that the real world is a state of exception. In Park’s novels, spectacle is represented in a space called PX and products made in America. The characters also use these products to mimic the lives of Americans in order to forget the real world, which is at war. However, the more they desire American products and mimic American lives, they are only left to feel the current state they are in, a world where they possess neither sovereign power nor wealth. This discrepancy transforms into mortification and shame. The second section discusses characters who dream of immigrating to America in order to escape their status as homo sacer. Most of the ones who dream of moving to America in Park’s novels are prostitutes, lives excluded from the state. They intend to escape their position as homo sacer by obtaining identification papers with stamp of approval as American sovereign. However, as the structure of sovereign that turns lives into homo sacer in order to create sovereign power is the very foundation of modern nation-state, thing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merica. These lives that were excluded in both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 eventually become displaced. The third section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estimonies by those who accepted the reality that is the state of exception and their status as homo sacer. In Park’s novels, the mothers accept their state as homo sacer. In the face of them, the sovereign power rather disintegrates. In this case, a mother is not a lethargic being but a being that resists against oblivion. This is represented in Who Ate Up All the Shinga, where ‘I’ attempts to not forget the times of vermin, but rather to testify it. This is also linked to Park’s writing. Park’s writing is a kind of writing that rejects sacrificial rituals and the testimonies of times as vermin is an act of accepting the status of homo sacer. Sovereign power disintegrates in the presence of author Park Wan Seo and her novels, both of which accepting the state of homo sacer.

      • 자본주의 국가의 생명정치

        하호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1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a specific kind of rationality is immanent in the pattern of a country's public expenditure. Today we need to be perplexed by the fact that an advanced capitalist state spends on welfare as much as one fourth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 and half of national budget. Therewith questions arise: What does an advanced state spend a huge portion of national wealth on welfare for? What is its consequence? My dissertation attempts to find an answer to those questions by focusing on ‘social health insurance’ that represents a largest chunk of welfare expenditure in western countries. The more pertinent questions for my inquiry throughout my dissertation are: On what motivations is a state involved in the health insurance? Further, how is a state-involved health insurance institutionalized in unique ways? Finally, how does it work on the market system for some societal effects? The previous studies tend to explain the whole inquiry regarding health insurance as a century-long historical formation within a specific time span at some limited levels. Some exceptional studies or explanations do not suffice to answer to the premise that I raised in this study. The ill consequences brought out by those lacking my viewpoint can be easily demonstrated through the observation that in most cases they emphasized merely the cost and its negative effect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expenditure benefit in the controversy of ‘the welfare state after welfare state’ since 1970s. They even tried to articulate primarily the active role of a society rather than that of a state in describing the birth of a welfare state and its development. However, if someone pays a little attention to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welfare state, their claim will turn out to be not persuasive at all. What is more is that they were negligent to mak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political rights and the social rights. The political rights were explosively expanded during a brief period from 1870s to 1950s whereas the social rights had a modest beginning since 1850s, made a continuous growth and then showed an accelerated maturity only after 1960s. Despite their crucial difference, the previous studies, just focusing upon the linear transition from the civil rights through the political rights to the social rights, analyzed neither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both rights nor the active role of the state. On the contrary to the positions of previous studies, I above all approach ‘social health insurance’ as an exemplar case from a holistic perspective. For this, I will consider both the social benefit and the social cost of health insurance evenl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benefit, I mainly analyze the structural limits of a modern state, its three necessary functions, and its three key resources. The structural limits of a modern state, which appeared after the Peace of Westphalia, could be pointed out according to the modes of its exercising sovereignty. The absolute state sovereignty is unlimited in the domestic area and is of course limited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 In a transitional period, it is domestically limited by the laws whereas in the age of liberalism it is limited by the regime of truth, so-called political economy. In order to preserve its sovereignty properly, the modern state must perform three necessary functions with some balance, i.e., the national security, economic growth, and social integration. Those functions should be supported by the development and mobilization of three key resources, i.e., people, national wealth and territory. A flourishing modern state, composed of its structural limits, its three necessary functions, and its three key resources, relies on the political economy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s the result of the accumulation of capital and men. Laying emphasis on three key resources in each modern state has varied by period. In the Renaissance period, it put emphasis on its prince and territory, in the period of absolute monarchy, on its state and wealth, in the liberal period, on its state and population. Accordingly while in terms of national values the wealth and population were equivalent, in the period of absolute monarchy, the value of population is more worthy than that of the national wealth. Therefore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capitalist state during the age of industry, popular sovereignty, the total war was biopolitics, the biological, the somatic, the corporal, that mattered more than anything else. In my dissertation, I heavily employ Michel Foucault’s later thoughts and methods. More concretely, I adopted his theories such as biopolitics, governmentality, his concepts such as power, knowledge, subject, the social body etc., and his methods such as discourse, apparatus, dispositif, genealogy etc. Ultimately, Foucault’s theories, concepts, and methods were applied to the technologies of social health insurance(SHI) composed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dispositif. That is to say, our body as the class body is subsumed under the dispositif of SHI in whose denotation is the sovereignty and in whose connotation were arrayed the line of body-organism-discipline-institutions and that of population-biological processes-regulatory or assuring mechanisms–State. At last the powers of sovereignty-discipline-manipulation are intersected on the surface of the class body by this dispositif. In this sense, The class body in the medium of SHI is a biopoIitical reality; medicine is a biopolitical strategy. Basically the dispositif of SHI is composed of four heterogeneous elements: (1) the invisible regime of the truth produced by discourse and knowledge; (2) the set of the visible practices such as institutions, policies, organizations, and hospitals; (3) the various types of power exercises emerged from the regime of truth and the set of practices; (4) the subjectivation (subjectivation) produced by the previous three elements. Here the regime of the truth functions as formal cause, the set of the visible practices as efficient cause, power exercises as a process, and finally the subjects produced by the dispositif of SHI become the consequence. Thereby SHI is organized by the biopolitical perspective that “rationalizes to pose governmental practices by population phenomenon.” As a resul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HI and its social effects depend on how the discourse of SHI is differentiated in the context of governmental rationality and biopolitics and what strategy of it is selected. This is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biopolitics caused by the dispositif of SHI my dissertation draws heavily.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 made the following framework for analysis at four stages. In the first stage, I will examine the discourses of SHI in general separated from a specific period of governmental rationality. Since each country could not treat the three functions of modern state evenly at the same time and is in a trilemma, it needs to set political priorities based upon its different temporal conditions and values. Especially through this first framework, I will clarify on what grounds and functions of the governmentality state is led to introduce its health insurance. In the second stage for analyzing the differentiation of the discourse of SHI, I examine thoroughly a series of path followed by policy-making, administrative enforcement, and management and operation, i.e., the path-shaping strategic coordination. If SHI is differentiated from some specific functions of governmentality, the task of managing SHI will be assigned to the state agency that has previously dealt with it. Accordingly the policy process of SHI will use the existing same path of stage agency. In the third stage, I analyze the procedure constituted by the various elements of SHI, that is, the stages of its structuring, organizing, and institutionalizing. Here ‘structuring’ means the establishment of the triangular axis among the insurer, the insured and the medical service provider. Meanwhile, ‘organizing’ does indicate the emergence of the different functions by arranging some elements between two axes on a segment in a specific way. Finally, ‘institutionalizing’ designates the ways in which the order of priority is set among three sub-functions of SHI. In the final stage as the social effect of SHI, I examine the policy process feedback, as the social common experiences, by two experiences, i.e., the managing experience of SHI and the real experience of SHI with the healthcare market. I applied the framework for analysis to introducing SHI in the western line such as Germany and England and in the northeast line such as Japan, Taiwan, and South Korea. In this analysis, I employ the methods to compare the countries within the line and between the lines. In the western line, I found the unexpected fact in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SHI based upon different governmentality. In the northeast three countries that assume something similar to two western countries, I realize that the introductions of SHI was also led respectively by different kinds of governmentality. Therefore I can compare each country in terms of the effects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HI derived from mutually different strategies. Furthermore, I also found the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western Europe cases and the northeastern Asia cases. In the western Europe cases, the biopolitics by liberal governmentality works exactly. However in the northeastern Asian cases the different kind of biopolitics was being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reason of state brought by absolutism rather than liberalism. 이 연구는 국가의 공적 지출 패턴에는 특정 합리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특히 선진 자본주의 국가가 국내 총생산의 1/4과 국가예산의 절반 이상을 복지에 지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국가는 왜 막대한 규모의 공적 재정을 복지에 지출하며, 그것의 효과는 무엇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 논문은 복지 지출의 양대 기둥 중의 하나인 사회건강보험을 통해 이 의문에 대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왜 국가는 건강보험에 개입하게 되는가, 어떻게 국가 특이적인 건강보험이 제도화되는가, 그리고 그것은 시장에서 어떻게 작동하여 어떤 사회 효과를 산출하는가’를 질문한다. 역사적 형성체로서 총체적 이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사회건강보험을 제한된 측면에서 단기적 시각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 총체적인 관점의 부재로 인한 부정적 결과는 1970년대 이후 ‘복지국가 이후의 복지국가’ 논쟁에서 대부분 복지국가의 편익에 대한 고려 없이 비용과 부정적 효과만을 강조하는 것에서 쉽게 관찰된다. 또한 복지국가의 탄생과 확대를 설명하는 논리도 주로 국가의 수동성과 사회의 능동성만 강조된다. 하지만 복지국가의 역사를 조금만 살펴보아도 이 주장의 설명력은 그렇게 높지 않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참정권과 사회권의 확대 과정에 대입하여 비교하면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된다. 참정권은 187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 폭발적으로 확대된 반면, 사회권은 1850년대 조용하게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한 다음 1960년대부터 가속적으로 성숙하였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존 문헌은 ‘시민권-정치권-사회권’으로의 선행적 이행만 강조하지, 양자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 및 이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기능에 대한 질문은 찾기 어렵다. 이런 기존 연구 경향에 대하여 이 논문은 총체적 관점에서 건강보험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것은 장기적 관점에서 건강보험의 사회적 편익과 비용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 논문은 근대 국가의 구조적 제한, 필수 세 기능 및 핵심 세 자원을 사회적 편익 측면에서 주목했다.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출현한 근대국가의 구조적 제한은 주권의 행사 방식으로 나타난다. 절대주의 국가의 주권은 대외적으로는 제한적이고 대내적으로는 무제한적 이었다. 전환기에는 대내적으로는 법에 의해, 자유주의 시대에는 정치경제학의 진리체제에 의해 제한되었다. 주권 수호를 위해 근대국가는 ‘국가안보-경제성장-사회통합’이라는 필수 세 기능은 수행해야 하고, 이것은 ‘국민-국부-국토’라는 국가 자원의 세 요소의 개발과 동원에 의해 가능하다. 구조적 제한, 필수 세 기능, 핵심 세 자원에 달려 있는 근대국가의 존속 여부는 최종적으로 자본의 축적과 인구의 축적의 결과인 국가경쟁력에 의해 결정된다. 핵심 세 자원에 대한 근대국가의 정치적 우선순위도 시대에 따라 달라졌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군주-영토를, 절대주의에는 국가-부를, 자유주의에는 국가-인구를 각각 강조했다. 이에 상응해 절대주의에는 부와 인구의 국가적 가치가 대등했지만, 자유주의에서는 인구의 가치가 상승하였고, 그리고 총력전, 산업자본주와 혁명의 시대를 거치면서 국가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인구, 즉 국민이었고 생명정치였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역사적 형성체인 건강보험을 설명하기 위해 미셀 푸코의 주장을 채택했다. 구체적으로 푸코의 생명정치와 통치합리성이라는 이론, ‘담론과 지식-권력-개인과 사회적 육체’로 이어지는 개념, 그리고 방법으로는 장치와 계보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푸코의 이론, 개념과 방법을 외연과 내포로 구성된 건강보험의 테크놀로지라는 장치를 매개로 결합하였다. 건강보험 장치에서 그 외연에는 주권이, 내포에는 ‘육체-유기체-규율-제도’와 ‘인구–생물학적 과정-조절 혹은 보험 메커니즘-국가’라는 두 계열이 배치되어 있고, 그것의 표적은 계급적 육체의 포섭이다. 다시 말해 이 장치에 의해 주권-규율-조절 권력이 계급적 육체의 표면에서 서로 교차된다. 따라서 건강보험이 매개한 생명정치의 실체는 계급의 육체이고, 의료와 보험이 결합된 건강보험은 계급적 육체를 위한 생명의 정치 전략이 된다. 건강보험 장치는 이질적인 네 가지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담론과 지식으로 이루어진 비가시적인 진리체제, 둘째 제도, 정책, 조직, 병원과 같은 가시적인 실천들의 집합, 셋째 진리체제와 실천집합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유형의 권력 작용, 마지막으로 앞의 세 요소에 의해 제조되는 주체화 과정이 그것이다. 결국 건강보험은 "통치 실천에 제기된 문제들을 인구현상에 의해 합리화”하는 국가의 생명정치의 전략에 의해 조직화된다. 따라서 이 전략이 출현되는 과정, 즉 기존의 통치합리성과 생명정치에서 건강보험에 관한 어떤 담론이 어떻게 분화되느냐에 따라 건강보험이 상이하게 제도화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사회적 효과가 산출된다. 이것이 이 연구가 채택한 건강보험 장치에 의한 생명정치의 설명 논리다. 이 설명 논리에 따라 건강보험 분석틀을 다음과 같이 4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특정 시기 국가의 통치합리성으로부터 분화된 건강보험 담론을 검토한다. 근대 국가의 세 기능은 동일한 정치적 비중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트릴레마이기 때문에 각 국가는 시대별로 서로 다른 가치와 조건에 따라 정치적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 분석틀은 각 국가의 통치합리성이 건강보험 도입을 주도하게 된 조건과 계기를 가장 주목한다. 2단계는 분화된 건강보험 담론과 함께 형성되는 일련의 정책결정-행정집행-관리운영의 경로, 즉 ‘경로 형성적 전략적 조정’의 과정을 검토한다. 건강보험이 통치합리성의 특정 기능으로부터 분화된다면 이 기능을 주관하는 기존의 국가기관에 건강보험의 관장 임무가 배정된다. 따라서 새로운 건강보험 역시 이 국가기관이 활용하는 기존 정책과정의 경로를 활용하게 된다. 3단계는 주어진 건강보험 구성 요소들을 가지고 국가가 특이하게 구성하는 과정, 즉 구조화, 조직화, 제도화 과정을 검토한다. 구조화는 보험자를 중심 축으로 피보험자와 의료제공자 간의 삼각 축을 수립하는 것을, 조직화는 두 축 간에 있는 여러 관련 기능 요소들을 특정 방식으로 조합하여 서로 다른 하위 기능이 출현하는 것을, 그리고 제도화는 세 하위 기능(sub-functions) 간의 우선 순위가 결정되는 방식을 지칭한다. 마지막 4단계는 건강보험의 사회적 효과에 관한 것으로 건강보험의 관리운영 과정에서의 경험, 의료시장에서 건강보험을 이용한 경험, 이 두 경험이 사회적 공통 경험이 되어 정책 과정에 환류되는 것을 검토한다. 이 분석틀을 독일과 영국의 서구 계열과 일본, 대만, 한국의 동아시아 계열의 5개국 6개의 건강보험의 탄생 과정에 실제 적용하였다. 분석은 각 계열 내에서, 그리고 국가 간을 비교하였다. 서유럽 계열에서 일반적 예상과 다른 사실을 발견하였다. 가장 국가주의적인 독일의 질병보험이 노동 자치적인 보험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경제성장-사회안정’을 강조하는 통치합리성으로부터 분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자유주의 영국의 국민보험이 상대적으로 강한 국가 개입적 성향을 가지게 된 이유는 ‘국가안보-사회안정’의 통치합리성이 건강보험 도입을 주도하였기 때문이다. 높은 자율성을 가진 강한 국가로 분류되는 동아시아 계열의 건강보험에서도 적지 않은 차이를 발견하였다. 일본은 ‘경제성장-사회안정’이 주도한 임금노동자 중심의 건보와 ‘국가안보-사회통합’이 주도한 지역 건보에서 뚜렷한 차이를 구분할 수 있었다. 대만의 노공보험은 ‘정권안보-사회안정’이 주도한 반면 한국의 직장의보는 ‘경제발전’ 단일 요인이 주도한 경우였다. 서로 다른 통치합리성이 건강보험을 도입하였기 때문에 그것의 정책과정, 제도화 및 사회효과에서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일본의 경우 직장과 지역 건보의 양립은 임금노동자와 지역 주민이 사회적으로 구분되는 지위보존적 효과를, 대만은 대만인과 본토인 간의 종족적 차이를 완화시킴과 동시에 민주화의 핵심 정치의제로 상승하였다. 이에 반해 한국은 건보에 내재된 경제일방주의와 현직의 정규직 우대형은 다른 나라에서 찾기 힘든 노동자들의 계급의식과 건강보험에 대한 장기적 신뢰 형성을 방해하는 경향을 발견했다. 두 대륙의 두 계열 간의 공통점과 차이도 발견했다. 특히 차이는 건강보험이 매개하는 국가-사회 관계에서 잘 드러났다. 우선 예상처럼 독일의 질병금고와 일본의 건강보험은 많은 공통점이 존재했다. 이외에도 영국의 국민건강보험과 대만의 노공보험 간도 유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국의 의료보험은 다른 나라에서 찾을 수 없는 특수한 사례에 속했다. 이러한 두 계열 간의 공통점은 차이점에 의해 특이성이 더 구체화된다. 두 계열 간의 차이는 국가-사회 관계에서 양자가 서로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자율성의 정도에 의해 확인된다. 이 점은 보험자 운영의 주도권이 결정되는 방식에 잘 드러난다. 서유럽에서는 주식 지분과 기업 경영권 배분처럼 재정 기여의 비율과 보험관리 운영권이 비례적으로 배분되는데 반해 동아시아 건강보험에서는 이 원칙이 무시되었다. 이것은 국가에 사회가 종속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향은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건강보험의 제도화와 운영의 전반적인 과정에서 확인된다. 이 사실로부터 우리는 서유럽의 경우는 자유주의적 생명정치가 작동하는데 반해, 동아시아는 아직 그 문턱을 넘지 못했다는 것을 주장한다. 다시 말해 두 계열 간에는 육체의 정치경제학적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 이것은 국가가 다양한 권력/지식 장치를 매개로 개인과 사회의 육체를 통치하는 생명정치 합리성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본다.

      • 자연의 지표(指標)에서 생명의 경보(警報)로 : 철새 센서스와 인간 너머의 생명정치

        성한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0

        야생동물은 사회에 속한 다른 동물 범주인 실험동물, 가축동물, 반려동물과 달리 인간 사회와 정치에서 동떨어진 자연에 속한 존재로, 인간과 관계가 잘 그려지지 않아 온 동물 범주이다. 본 연구는 다른 범주의 동물처럼 길들임의 과정으로 그 관계를 드러내기 힘든 야생동물을 인간 사회와 정치에 포함시켜 서술하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는 야생동물 중에서도 철새가 관련 이슈에서 그 개체수로 자주 언급되어 온 현상에 주목해 한국 사회와 정치에서 인간과 야생동물이 맺고 있는 특별한 관계의 양상을 서술하고자 했다. 철새는 한국에서 야생동물 보호 관리 제도가 등장한 초창기부터 국가 조사인 야생동물 개체수 조사의 대상으로 채택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는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에 의해 전국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그 현황이 파악되는 특별한 야생동물이다. 본 연구는 철새 그 자체보다는 철새를 인간 사회와 정치에 연루시키는 국가 센서스 조사인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의 형성, 실천, 결과를 중심 주제로 한국 사회에서 인간과 철새가 맺고 있는 관계의 양상을 드러내고자했다. 먼저 본 연구는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가 국가의 자연생태계와 그 일원인 철새 개체군을 통치 가능한 대상으로 삼는 통치 기술로 등장한 배경으로 법과 제도의 변화를 탐구했다. 한국에서 가장 뒤늦게 등장한 환경 정책 분야인 자연환경보전 정책은 국가가 관리해야 하는 자연을 ‘자연생태계’로 정의하면서 제도화되었으며, 이와 함께 국가는 자연을 기초 생태 조사로 파악해야 하는 의무를 지게 된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자연환경조사가 정기 조사로 설치되었고,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는 그 중 한 종류로 계획되었다. 이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는 통치 기술로서 철새라는 분류군뿐 아니라 철새가 서식지인 철새도래지도 통치 가능한 자연으로 포함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는 환경 정책의 과정에 비인간 생물종과 그 서식지인 자연을 포함시키는 새로운 변화였다. 이 변화에서 비인간 자연을 서술하기 위한 이론적 자원으로 본 연구는 비인간의 행위자성을 관계적 언어로 서술해 온 과학기술학의 물질-기호적(material-semiotics) 접근을 채택해 인간 너머의 조건(the more-than-human condition)에서 생명정치의 작동을 재해석하려는 시도를 참고했다. 이에 따라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의 현장과 그 결과에서 비인간 철새의 행위자성을 두 가지로 포착했다. 하나는 센서스 조사가 실시되는 현장에서 조사원의 조사 행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철새의 행위자성이다. 본 연구는 센서스 조사의 현장을 참여 관찰하여 철새 조사가 야생 상태의 철새에 맞추어 진행되는 관계 맺지 않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실행임을 드러내고자했다. 두 번째로 철새의 행위자성은 조사가 기록된 문헌의 사회적 위치와 함께 읽을 수 있다.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의 조사 결과는 공식 보고서로 정리되어 정부부처,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학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철새의 현황을 대신하는 자료로 정책 결정의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철새의 행위자성이 발휘되는 두 가지 양상은 인간 사회에서 철새의 행위자성이란 인간, 사물, 철새 간의 특정한 관계에 의해 발휘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철새가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에 연계된 동물로서, 한국에 등장한 서로 다른 생명정치 영역인 생물다양성 정치와 생물안보 정치의 작동에 연계되어 있음을 보였다. 먼저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는 철새를 전국적으로 파악하기 시작한 자연환경조사 중 하나로, 현장 생물학인 생태 기초 조사로 실행된다. 조사 결과인 개체수와 종수는 철새도래지의 보전과 개발을 결정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한국은 주요한 철새 서식지로 파악된 농경지를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자연생태계로 관리하고 있다. 최근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는 새롭게 등장한 생명정치인 생물안보 레짐에 연관되기 시작했다. 이제 철새는 인구와 가금류의 생명에 위협을 가하는 바이러스의 이동을 가시화하는 모니터링 장치로 관여하기 시작했다.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는 2014년부터 철새경보시스템으로 확장해 실시되고 있으며, 철새의 현황은 차단방역의 조치를 시작하도록 경보를 울리는 신호로 읽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 탐구한 인간 너머의 조건에서 재해석한 생명정치란 비인간 철새에 ‘대한’ 생명정치이기보다는 비인간 철새의 현황에 ‘의존하는’ 생명정치를 의미한다. 비인간 철새는 자연생태계, 생물다양성, 인구, 가금류와 같은 생명을 파악하고 개입하는 과정에 깊이 연관되어 있다. 철새의 현황으로부터 읽어낸 신호로부터 작동하는 생명정치의 핵심에는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가 있다. 철새가 지속적으로 인간 사회의 정치에 지속적으로 연관될 수 있었던 것은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가 조사 대상인 비인간 동물이 존재하는 현장을 조사의 장소로 삼는 현장 생물학으로 실시되는 조사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겨울철 한국에 도래하는 철새 무리가 인간 사회와 동떨어진 경이로운 자연이나, 보호해야 하는 취약한 자연만이 아님을 보여준다. 하늘을 수놓는 철새 무리는 현장 조사원과 결과 보고서의 독자인 정책 기관과 연계되어 자연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혹은 바이러스가 얼마나 가까이 왔는가를 감지해 위험을 알리는 경보로 읽혀 정책 대응으로 이어지고 있다. 비인간 철새의 신호를 파악하고, 이를 일련의 정책으로 대응하는 인간 너머의 조건에서 실행되는 생명정치는 인간의 정치가 다른 존재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주면서도 그 신호를 잘 포착하고 잘 대응하는 일은 인위적인 노력과 제도적인 뒷받침에 의해 가능하다는 점도 보여준다. 철새의 도래가 어떤 종류의 신호로 읽히는 일은 어디까지나 철새 센서스 조사와 같이 세심하게 고안된 조사 실천에 의해 가능해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비인간인 철새의 신호를 읽고 그에 대응하는 일은 인간이 아닌 존재에 응답해야 하기에 다른 방식을 요구하지만, 동시에 여전히 적극적인 사회적 지원과 개입이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biopolitics through the Winter Waterbrid Census, a national environment survey on migratory birds in South Korea. By focusing on the national census program for a non-human population, this study aims to reveal biopolitics in “the more-than-human condition” as a mode of governing the life that relies on signals from non-human actors. The Winter Waterbird Census has been implemen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since 1999 and has since played a role in connecting non-human signs with human politics in terms of both nature conservation and biosecurity. Translating the status of migratory birds from population size and numbers of spec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used it as an indicator for where nature requires conservation and a warning sign to take biosecurity measures when the lives of humans and farm animals are threatened. Contrary to the other environmental policy sectors, nature conservation policy features non-human actors as stakeholders in the discourse of environmental politics. After nature conservation policy came into shape in South Korea, the Winter Waterbird Census began as one of the Natural Environment Surve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begun to take the accountability for conducting the Natural Environment Survey regularly with defining the country’s nature as ‘natural ecosystem.’ The history of ornithological ecology of South Korea crosses at the history of wildlife management of the Soutn Korean government when ornithologists have played a critical role in conducting the Natural Environmen Survey on wildlife.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the Winter Waterbird Census become the technology of government in nature conservation utilizing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Korean ornithologists. As well as being a means of managing the migratory birds, the census also establishes their habitats as governable natural places to implement public surveys which opens the path to their non-human involvement in the biopolitical process in South Korea. I take a material-semiotic approach to analyze the agency that migratory birds have in the practice and results of the Winter Waterbird Census. In this approach, the non-human element is considered to have agency through its materiality which can be read with particular meaning that causes humans to behave differently. This non-human agency can therefore only be perceived as relational. With the relationality that a material-semiotics perspective generates, this work goes 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made with the migratory birds and the results of those relationships. More specifically, the paper highlights two kinds of relational agency in the practice and outcome of the census. First, it is found that migratory birds affect the behavior of the surveyors conducting the census. To implement the census in the field, it has to be based on a sensitively devised approach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ild birds. The surveyors must cultivate skills to locate, identify, and count the birds as quickly as possible whilst leaving them untouched and undisturbed. In the practice of the census, the migratory birds freely demonstrate their agency while the surveyors adjust their behavior accordingly. Second, the results of the census are found to have influenced nature conservation and biosecurity policy in South Korea. The Winter Waterbird Census is distributed to various individuals in government, academia, and civil society, and its impact on policy decisions is here explored. In response to census results, South Korea designated and began to manage several areas of farmland as significant habitats for migratory birds, leading to the emergence of community-based conservation policy in the Biodiversity Management Contract. Recently, the Winter Waterbird Census has expanded to include an early-warning system which identifies any influx of avian influenza virus to the country with the migration of wild birds. The resources of the census program in the context of nature conservation have subsequently facilitated the visualization of virus movement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the adoption of protective biosecurity measure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census, migratory birds are involved not only in issues of conservation but also in keeping the human population and agricultural animals safe from viral threats. By analyzing the practice of the Winter Waterbird Censu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migration of wild birds demonstrates deep non-human involvement in the South Korean biopolitical processes of both nature conservation and biosecurity safety alarms.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migratory wild birds should be considered as having as a special relationship with human society as domesticated animals.

      • 푸코(M. Foucault)의 생명정치와 방역정책 : ?감염병예방법?을 예로 하여

        한민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0

        Every Quarantine policy implemented under the title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from the COVID-19 reminds of Michel Foucault’s theory of ‘biopolitics’ that power is exercised in the form of state power managing the lives of the population. Biopolitics refers to the phenomenon mainly used for the state power to protect and manage the lives of the people under the needs of the times. Foucault states that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main operation method of power shifted from sovereign power to disciplinary power where power penetrates the individual’s body, and then to biopower which manages the whole population. Foucault’s biopolitics refers to a form of politics that protects the wellness and lives of the population through the following two methods: disciplinary power that controls individual physical body and biopower that controls the entire population. Foucault claims that “disorderly epidemics” have legalized “penetration of discipline into minor parts of daily lives.” Fear and chaos from such epidemics inject state power in the people’s body and facilitate managem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ereby enhances the ‘biopolitics’ phenomenon. In other words, ‘biopolitics’ is a major concept expressing the COVID-19 pandemic era. Thus, this paper discusses how Foucault’s theory of ‘biopolitics’ can be applied in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analyzes from Foucault’s perspective to find how the state’s responses to the COVID-19 help people to understand the COVID-19 better and protect the whole population. Foucault, who was the first person to advocate biopolitics, repeatedly emphasized that power ha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s he analyzed the process of state power shifting from sovereign power to biopower. As Foucault argued, the concept of power has changed through times, and with the advent of neoliberalism, biopolitics has emerged as the time demanded active intervention of the state, where the state’s role is not limited to protection of individual’s property rights. As a result, the state has deeply intervened in our daily lives. Although administration of biopower has been enhanced under the unavoidable pandemic situation, the state’s quarantine policies can not be justified. People’s horror is intensified under such national emergency, which facilitates use of public power by the state could result in the enlargement of state power. As the COVID-19 is not the first epidemic of mankind, another virus may threaten humanity in the future even if the COVID-19 comes to an end.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whether we easily allowed the state to invade, regulate and control our day to day lives, and how we can handle a new virus in the future with the lessons and self-reflections learned from the current pandemic. 코로나19로부터 생명을 보호하고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시행되는 모든 방역정책들은 국가권력이 인구의 생명을 관리하는 형태로 행사된다는 미셸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을 떠올리게 한다. 생명정치란 국가권력이 시대적 요구에 따라 사람들의 생명을 보호하고 관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푸코에 따르면 15세기경부터 19세기에 걸쳐 권력의 주 작동방식은 주권권력에서 개별 인간의 신체로 침투하는 규율권력을 거쳐 인구 전체를 관리하는 생명권력으로 중심이 이전되었다고 한다. 푸코가 말하는 생명정치는 개별 신체의 통제방식인 규율권력과 전체 인구를 조절하는 방식인 생명권력 두 가지 방식을 통하여, 인구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정치형태를 말한다. 푸코에 따르면, 무질서한 전염병이 일상의 아주 사소한 부분 안으로 규율이 침투하는 것을 합법화하였다고 한다. 팬데믹에서 이러한 전염병에 대한 공포와 혼란은 정부의 지속적인 감시와 규율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사람들의 신체에 국가권력을 침투시키고 그 전체 인구를 관리하는 것을 수월하게 하기 때문에 ‘생명정치’ 현상을 더욱 강화시킨다. 따라서 생명정치 개념은 현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잘 표현하는 주요한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이 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 글로서, 팬데믹에서 보여준 국가의 코로나19 대응이 어떻게 사람들에게 코로나를 더 잘 이해하게 하고, 전체 인구를 보호하고 도와 마침내 어떻게 살게 만들어 주는지를 푸코의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생명정치를 처음 주창했던 푸코는 국가의 권력이 주권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하면서, 권력은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 모두 존재할 수밖에 없다고 누누이 강조한 바 있다. 푸코의 주장처럼 시대에 따라 권력변화 과정을 거쳐오고, 신자유주의로 오면서 국가의 역할이 개인의 재산권 보호에만 국한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국가가 개입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로서 생명정치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가는 우리 일상생활에까지 깊숙히 개입하게 되었다. 팬데믹이라는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 생명권력의 작동은 더욱 강화될 수밖에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국가의 방역정책의 수단들이 정당화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국가 비상상황에서는 시민들의 공포가 심화되어 국가의 공권력 행사가 더 쉬워지며 이로써 국가의 권력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류의 첫 번째 전염병이 아니었던 것처럼, 이번 팬데믹이 종료된다고 하더라도 미래에 또 다른 바이러스가 우리 인류를 다시금 위협할지 모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막연히 ‘팬데믹 위기상황’이라는 명목으로 국가가 우리의 일상까지 침범하여 규제·통제하는 것을 쉽게 용인한 것은 아닌지, 더 나아가 현 팬데믹으로 얻은 교훈과 반성으로 우리는 향후 또 다른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등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다.

      • 율리 체의 『어떤 소송』에 나타난 건강중심체제와 저항하는 몸들 : 대테러 전쟁과 생명정치를 중심으로

        오재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4

        율리 체 Juli Zeh (1974-)는 사회 참여적 작품 활동과 현실 정치 참여에 활발한 독일의 현대문학 작가로, 장편 소설 『어떤 소송 Corpus Delicti』(2009)은 그의 작품 중에서 작가 스스로 규정하는 유일한 ‘정치적 소설’이라는 점에서 특수한 위치를 점한다. 건강중심주의 체제를 다룬 디스토피아 소설『어떤 소송』은 미국의 9.11 테러 이후 독일에서 국가적 안보 조치와 디지털 감시가 강화된 상황을 반영하여 작성되었으며, 체는 이 소설을 통해서 ‘현재의 응축된 판본’을 제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본 논문은 체의『어떤 소송』에 나타난 대테러 전쟁 중심 생명정치와 그에 저항하는 몸들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독일을 비롯한 서구 국가들에서는 ‘테러와의 전쟁’ 선포되어 국가 안보 시스템이 다방면으로 강화되었고, 약간의 시간 격차를 두고 발생한 우편 테러 사건으로 건강과 안보 문제의 대대적인 결합이 이루어졌다. 이에 본 논문은『어떤 소송』을 소설 출간 전후 발생하였던 동시대적 사건들과 생명정치에 관한 다양한 분과학문의 이론적 논의를 참조하여 독해한다. 그럼으로써 체가『어떤 소송』을 통해 묘사하는 9.11 이후 대테러 중심 생명정치를 현실의 생명정치가 진행되어 온 역사적 맥락 안에 위치시키고, 그것의 문학적 형상화가 가져다줄 수 있는 사회적 함의를 살펴본다. 본 논문의 본론은『어떤 소송』에 등장하는 건강중심체제 ‘방법’의 작동 원리를 분석하는 2장과 ‘방법’ 체제에 저항하는 인물들의 저항 양상에 주목하는 3장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2장에서는 ‘방법’이 국가 공인 원칙으로서의 건강을 체제의 구성원에게 납득시키고 대테러 선제 전쟁을 진행하게 하는 원리에 관하여 논한다. ‘방법’ 체제는 인구와 개인을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 질병에 대한 예방 수칙과 사법적 처벌을 병행하여 활용한다. ‘방법’의 건강 규범은 의료사회학자들이 21세기 생명정치의 핵심이라고 주장하는 생의료화 경향이 반영된 형태로, ‘방법’의 예방중심적 건강 규범은 개인으로 하여금 엄격한 기준의 건강 정의를 따르게 하는 동시에 질병 및 자기 관리에 대한 책임을 개인화한다. 그때 구성원들의 건강관리는 구체적인 생의학 기술들에 의해 실현된다.『어떤 소송』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와 스크린 미디어이며, ‘방법’ 구성원 개개인은 자가 측정이나 게놈 등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시각화하는 스크린 미디어를 통해 질병의 진단과 신체 정보의 측정에 용이한 몸으로 현상된다. 또한 ‘방법’은 국가를 하나의 유기체로, 체제를 국가의 면역 체계로 상정하면서 건강 규범을 합리화한다. 국가 구성원들의 일상에 관여하는 제도에서부터 국가의 안보 담론에까지 내재한 면역의 논리는, ‘방법’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개인의 몸과 국가 신체를 연결지어 상상하게끔 만들고 ‘방법’이 대테러 전쟁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토대로 작용한다. ‘방법’의 대테러 전쟁이 진행되는 양상은 현실의 ‘테러와의 전쟁’이 지니는 네트워크 전쟁으로서의 특수성을 반영하며, 명확한 적을 식별할 수 없는 네트워크 전쟁의 특수성은 대테러 전쟁이 ‘잠재적 위협을 실제 효과로 바꾸어내는’ 선제 전쟁의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방법’은 국가 구성원들의 정동 구조에 개입하고, 생물 안보로써 안보의 범위를 국가 구성원들의 삶과 환경 전체로 확장시킨다. 그럼으로써 ‘방법’은 대테러 전쟁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반체제 세력의 저항 의지를 억누르고자 한다. ‘방법’의 과도하게 엄격한 건강 원칙과 안보 체계는 이탈자를 양산한다. ‘개인적 자유’를 좇아 비규범적인 몸이 된 것으로부터 시작해 테러 조직 ‘질병권’의 일원으로까지 조작되는 주인공 모리츠와 미아의 인물됨은 건강중심체제 ‘방법’에서의 정치적 저항의 조건과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 여성의 살인범으로 잘못 지목된 후 감옥에서 자살하는 모리츠는 ‘방법’ 체제의 작동 상 오류를 노출하며, 그의 백혈병 병력과 치료 후의 비규범적 삶의 양식 때문에 죽음 이후에도 ‘방법’에 의해 테러리스트 육체로서 재의미화를 거듭한다. 미아는 동생인 모리츠를 둘러싼 여러 사건들과의 누적적인 연관 속에서 체제의 ‘적’으로 몰려가는 인물이다. 모리츠의 뜻을 이어받아 개인적 자유를 주장한 미아가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반체제 인사의 상징이 되자, ‘방법’은 미아 사건을 중심으로 반체제적 의지를 지닌 다른 국가 구성원들이 결집할 위험성을 감지하고 그를 사면한다. 모리츠와 미아의 저항 행위는 지배 체제에의 공모와 거부를 동시에 수반하는 정치적 저항의 조건을 구체화하고, 건강중심체제 ‘방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서로 다른 몸들 사이의 정동적 연결성을 입증한다. 『어떤 소송』에 나타난 서로 다른 몸들 사이의 영향 관계에 주목한 본 논문은 디스토피아 장르 관습에 의거하여 이 소설의 결말 구성을 ‘닫힌 순환구조’로 보는 독해와는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은 체가 이 소설의 세부 구성과 그로부터 도출되는 주제의식을 ‘개인의 자유권’에 관한 문제로 수렴되게끔 설정하였다는 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하고, 생명 정치에 기반한 건강중심주의 사회에서 신체의 소유자인 자유주의적 개인을 주장하는 것을 넘어서는 논의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방법’체제 구성원들은 긴밀히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변화시키고, 감염시킬 수 있는 존재로, 개개인이 각자의 고유함을 지니면서도 다른 생명체와 연결되어 서로 변화한다는 점으로부터 통제의 빈틈이 생겨난다. In dieser Studie wurden das in Juli Zehs (1974-) Corpus Delicti (2009) dargestellte gesundheitszentrierte System und Widerstandskörper in Bezug auf die Zeitgeschehen nach dem Terroranschlag vom 11. September und den daraus abgeleiteten biopolitischen Diskurs interpretiert. Nach den Terroranschlägen vom 11. September 2001 erklärten viele westliche Länder den „Krieg gegen den Terrorismus“. In Corpus Delicti stellt Zeh ein hypothetisches System „die METHODE“ vor, das dem strengen Prinzip der Prävention folgt, und entfaltet mit der Technik der „fiktionalen Überspitzung“ den Aspekt der Biopolitik im 21. Jahrhundert. „Die METHODE“ im Roman zeigt den extremen Trend der Biomedikalisierung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und verfolgt das unmögliche Ziel der Gesundheit für alle Mitglieder, indem es gleichzeitig die Prinzipien der Prävention und Bestrafung anwendet. „Die METHODE“ ermöglicht es jedem Mitglied, sich autonom um seine eigene Gesundheit zu kümmern, während diejenigen, die gegen die Gesundheitsregeln verstoßen, streng bestraft werden. So wird die Tatsache, dass der Begriff der Freiheit je nach Beziehung jedes Mitglieds zu den Normen des Systems unterschiedlich festgelegt wird, zum Hauptthema dieses Romans. In Kapitel 2 hat dieser Studie bei einer detaillierten Analyse der Gesundheitsnormen der „METHODE“ ausgewertet, wie sie das Prinzip verkörpert und die Biopolitik im 21. Jahrhundert in der Realität funktioniert. Zunächst spiegeln die Gesundheitsnormen des „METHODE“-Systems den Trend der Biomedizinisierung wider, die Medizinsoziologen bezeichnen es als den Kern der Biopolitik des 21. Jahrhunderts. „METHODE“ nutzt die Prinzipien der Vorbeugung und Bestrafung, um alle Bürgerinnen und Bürger von „Gesundheit“ als national anerkanntem Prinzip zu überzeugen. Eine Vielzahl von biomedizinischen Technologien wird verwendet, um diese Art von Regulierung zu implementieren. In Abschnitt 2 dieser Studie wurde die der Herrschaft der „METHODE“ innewohnende Immunitätslogik analysiert. „Die METHODE“ rationalisiert Gesundheitsnormen, indem sie das System als ein soziales System und einen großen Organismus postuliert. Dabei wird die Logik der Immunität genutzt. „Die METHODE“ postuliert das System als das nationale Immunsystem, indem sie den Körper eines Individuums mit dem Körper der Nation als Ganzes verbindet. Die Logik der Immunität ist eines der Kernprinzipien der staatlichen Verwaltung, die den Krieg gegen den Terrorismus vorantreibt, indem sie die Mitglieder des Systems dazu bringt, den Staat als einen einheitlichen Organismus zu betrachten und zwischen „Feind und Freund“ der „METHODE“ zu unterscheiden. „Die METHODE“ beschleunigt damit den Kampf gegen den Terrorismus, um Bedrohungen aus dem Inneren des Landes entgegenzutreten. Basierend auf der Diskussion in Abschnitt 2 befasst sich Abschnitt 3 mit der Besonderheit des „Kriegs gegen den Terror“, der von der „METHODE“ geführt wird. Zeh schrieb Corpus Delicti, indem sie aktiv den Fortschritt des Anti-Terror-Präventivkrieges in der Realität reflektierte. Dementsprechend wird in Abschnitt 3 die Besonderheit des „Krieges gegen den Terror“ in der realen Politik im Hinblick auf die literarische Beschreibung dieses Romans diskutiert. „Die METHODE“ greift in die affektive Struktur aller nationalen Mitglieder ein, indem sie Emotionen wie Angst, Fürcht und Glück hervorruft und nutzt die Zeitlichkeit von Vergangenheit, Gegenwart und Zukunft durch Vermischung und bezieht Bedrohungen aus der Natur als Objekt der Sicherheit mit ein. Hygienemaßnahmen der „METHODE“, die Hygienezonen und verbotene Zonen unterteilen, auf Bedrohungen durch die gefährliche „Natur“ achten und sich auf die Beseitigung und Eindämmung krankheitsverursachender Faktoren konzentrieren, werden in Wirklichkeit nach dem „Krieg gegen den Terror“ verstärkt die Bio-Sicherheitsrichtung. Auf diese Weise bindet die „METHODE“ die Menschen in den Präventivkrieg gegen den Terrorismus ein. Kapitel 3 hinterfragte die Bedingungen und Möglichkeiten des politischen Widerstands in der „METHODE“ des gesundheitszentrierten totalitären Systems, indem es die Charaktere Moritz und Mia beleuchtete, die Hauptprotagonisten, die die Erzählung von Corpus Delicti vorantreiben. Übermäßig strenge Gesundheitsnormen der „METHODE“ führen unweigerlich zu Abwanderung. Die Hauptfiguren Mia und Moritz, die nach „persönlicher Freiheit“ streben, weichen von der Norm ab und werden im Laufe der Zeit als Mitglieder der Terroristengruppe „Recht auf Krankheit“ stigmatisiert. Die Besonderheit des als Netzwerkkrieg bezeichneten Krieges gegen den Terrorismus zwingt den Staat zu einer Strategie der „Umwandlung einer potenziellen Bedrohung in eine tatsächliche Wirkung“. Die Serie von Ereignissen um Moritz und Mia offenbart konkret die Widersprüche des in der Realität stattfindenden Präventivkriegs gegen den Terror. Die Auswirkungen des Willens der Staatsmacht und des Widerstandswillens im Krieg gegen den Terror sind dagegen unvorhersehbar und unbestimmt. So wie die Vorfälle von Moritz und Mia die nationalen Mitglieder dazu veranlassten, andere abweichende Meinungen hervorzubringen und zu mobilisieren, kann die Massenmobilisierung des Staates zur Kriegsführung immer in eine Sammlung des Widerstandswillens umgewandelt werden. In Corpus Delicti untersucht Zeh die Bedingungen und Machbarkeit von politischem Widerstand, der unweigerlich gleichzeitig Komplizenschaft und Ablehnung des herrschenden Systems mit sich bringt, indem sie die Reaktionen verschiedener Mitglieder des Landes rund um die Fälle Mia und Moritz schildert. Im Schlussteil dieser Studie wurde in Bezug auf das Thema Bewusstsein von Corpus Delicti festgestellt, dass das Recht auf Krankheit im Roman als Teil des Rechts auf Freiheit leicht zu lesen ist. In der Realität gab es bereits verschiedene Diskussionen über „das Recht auf Krankheit“. Demgegenüber wird „das Recht auf Krankheit“ in Corpus Delicti als eine eingeschränkte Dimension des Rechts auf Freiheit verstanden. Dies liegt daran, dass Zeh sich nicht viel mit dem Thema der gesundheitlichen Ungleichheit, die sich aus Hierarchien aufgrund von Kapital oder Gender usw. herleitet, beschäftigte, obwohl sie die Frage der individuellen Freiheit beleuchtete, indem sie bestimmte Aspekte der Realität durch Corpus Delicti verstärkte. Daher erinnert uns Corpus Delicti an die Notwendigkeit einer Diskussion, die über die Behauptung eines liberalen Individuums hinausgeht, das Eigentümer einer Körper in einer biopolitisch orientierten Gesundheitsgesellschaft ist. Das Ende von Corpus Delicti wird oft als „geschlossene Zyklusstruktur“ interpretiert, wie es im dystopischen Genre üblich ist. Da der Roman jedoch mit der Begnadigung der Hauptfigur Mia endet, bleibt die Geschichte dahinter unbekannt. Individuen im „METHODE“-System sind eng miteinander verbunden und in der Lage, sich gegenseitig zu beeinflussen, zu transformieren und zu infizieren. In diesem Fall ist der Körper eines Menschen weit davon entfernt, durch Beachtung der Prinzipien des Systems jederzeit seine Gesundheit zu erhalten oder darüber frei zu verfügen. Während jedes Individuum seine eigene Einzigartigkeit hat, entsteht weiterhin eine Kontrolllücke dadurch, dass sie mit anderen Lebewesen verbunden sind und sich untereinander veränd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