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발전 정책방향 : 성남시 주민들의 삶의 여건에 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백인창 暻園大學校 行政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남시의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 등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주관적인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성남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역발전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설문자료는 성남시 전체와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 등의 각 지역별 빈도분석과 연령, 성별, 학력, 소득, 주택유형, 거주기간, 결혼상태 등을 독립변인으로 교차분석을 시도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거주지여건, 기초생활여건, 안전환경, 교통환경, 사회복지시설, 쾌적한 환경, 교육환경, 문화체육시설, 행정서비스, 경제활동여건, 사회적 여건, 정보환경여건, 지역에 대한 애착심, 종합만족도, 거주지 선정시 우선 고려요인, 현재 거주지에서의 만족ㆍ불만요인, 사회적 자본 등의 분야로 구분하고 각각 항목에 해당하는 세부설문문항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남시 전체를 대상으로 성남시 삶의 여건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주택만족도, 기초생활시설여건, 교통환경, 정보환경여건 등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사회복지시설, 쾌적한 환경, 문화체육시설, 경제활동여건 등에 대해서는 대체로 불만이 높았다. 그리고 교육환경, 행정서비스, 사회적 여건, 사회적 자본 등에 대해서는 대체로 ‘보통’에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성남시민들의 주택만족도는 대체로 높았고, 기초생활시설여건의 경우 상하수도, 쓰레기 수거, 공원접근도, 시장접근도, 주변의 지형·지세 등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고, 주차장에 대해서는 불만이 높았다. 안전환경의 경우 재해예방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고, 범죄예방에 대해서는 불만이 높았다. 교통환경의 경우 대중교통, 자가용교통, 보행환경 등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고, 자전거도로는 불만이 높았다. 사회복지시설의 경우 의료시설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고, 노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아동복지시설, 청소년복지시설, 여성복지시설 등에 대해서는 불만이 높았다. 쾌적한 환경의 경우 공해예방, 소음예방, 악취예방, 수질오염예방 등에 대해 모두 불만이 높았다. 교육환경의 경우 중고등학교 교육수준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고, 학교주변 유해환경과 평생교육기관에 대해서는 불만이 높았다. 문화체육시설의 경우 영화관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고, 공공도서관, 음악회·연극공연장, 박물관·전시관, 실내외체육시설, 경기관람가능한 경기장 등에 대해서는 불만이 높았다. 행정서비스의 경우 대체로 ‘보통’에 응답한 비율이 높았던 가운데 공무원의 행정업무수행능력과 공무원의 친절도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높았고, 불편사항 처리 및 사후관리의 경우에 대해서는 불만이 높았다. 경제활동여건의 경우 취업기회, 돈을 벌 수 있는 기회, 물가 등에 대해 모두 불만이 높았다. 사회적 여건의 경우 대체로 ‘보통’에 응답한 비율이 높았던 가운데 이웃간의 유대관계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고, 공동체 참여기회, 지역사회축제 및 문화행사 참여, 사회질서유지 등에 대해 불만이 높았다. 정보환경여건의 경우 인터넷의 편리한 이용, 원하는 책 등 구입용이, 지역정보 등 행정관련정보 접근 등에 대해 모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지역에 대한 애착심의 경우 성남시 거주에 대한 자부심을 조사한 결과 대체로 자부심을 갖는다는 응답이 많았다. 삶의 질의 제반여건에 대한 종합만족도의 경우 대체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를 선정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요인과 현재 거주지에서 만족·불만족하는 요인의 경우, 우선고려요인으로는 쾌적한 환경, 교통환경, 교육환경 등에, 만족요인으로는 교통환경, 기초생활여건, 쾌적한 환경 등에, 불만요인으로는 쾌적한 환경, 지역의 경제여건, 교통환경 등에 응답이 많았다. 사회적 자본의 경우 먼저 주변에 대한 신뢰도는 이웃과의 관계, 거래관계에 있는 같은 동업자, 성남시 등 공공기관 등에 대한 신뢰의 경우 ‘보통’에 응답한 비율이 높았던 가운데 대체로 신뢰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어려운 이웃에 대한 인식의 경우 대체로 ‘도와주고 싶어도 여건이 안되어 마음뿐이다’에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사회복지시설 중 장애인복지시설, 아동복지시설, 청소년복지시설 등이, 쾌적한 환경 중 소음예방이, 문화체육시설 중 박물관·전시관이, 경제활동여건 중 취업기회가, 사회적 여건 중 이웃간의 유대관계가, 정보환경여건 중 인터넷의 편리한 이용, 원하는 책 등의 구입용이가, 주변의 대한 신뢰도 중 거래관계에 있는 같은 동업자와 성남시 등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가 교차분석을 실시한 각각의 독립변수들과 상관관계가 적었던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삶의 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교차분석을 실시한 각각의 독립변수들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성남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령, 성별, 학력, 소득, 주택유형, 거주기간, 결혼상태, 거주지 등과 삶의 질을 구성하는 각 여건들과의 관계를 토대로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부문은 현재의 체계를 유지·강화하고 비교적 불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부문은 시설을 확충하고 기존시설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구체적인 성남시의 대응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각의 독립변수와 관계없이 불만족도가 높았던 사회복지시설 중 장애인복지시설, 아동복지시설, 청소년복지시설, 쾌적한 환경 중 소음예방, 문화체육시설 중 박물관·전시관, 경제활동여건 중 취업기회 등과, 성남시민들이 거주지를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불만을 갖고 있는 기초생활여건, 교통환경, 쾌적한 환경, 교육환경 등은 특히 중점을 두고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성남시민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삶의 질 수준을 성남시 전체의 삶의 질과 연령별, 성별, 학력별, 소득별, 주택유형별, 거주기간별, 결혼상태별, 거주지별 삶의 질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성남시 전체의 삶의 질 수준과 각각의 독립변수별 삶의 질 수준의 비교·분석을 토대로 각각의 독립변수별로 상황에 맞는 정책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urban environment satisfaction of citizens for local residents in Sujeong-Gu, Jungwon-Gu, Bundang-Gu etc of Seongnam and drew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Seongnam's quality of life on the basis of this survey. This study executed documents study and questionnaire for its purpose.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bout whole Seongnam and Sujeong-Gu, Jungwon-Gu, Bundang-Gu etc by each district and with SPSS analysis by age, sex, attainments in scholarship, earning, residential type and period, marriage status etc as independent factor. Questionnaire is divided into the fields of residential district situation, basic living condition, safety environment, traffic environment, welfare facilities, agreeable environment, education environment, cultural & physical facilities, administrative service, economic activity situation, social condition, information environment, attachment for local, synthesis satisfaction, main consideration at selecting residential district, satisfaction or complaint factor, social capital, etc. Also it made detailed questions to each field. From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house satisfaction of Seongnam citizens was generally high. In the case of basic living facility, citizens are highly satisfied with water supply, drainage, trash removal, park access, market access, surrounding configuration, etc and dissatisfied with parking lot. In the case of safety environment, citizens are highly satisfied with calamity prevention but dissatisfied with crime prevention. In the case of traffic environment, citizens satisfaction is high about public transportation, private car traffic, walk environment etc, but not about bicycle path. In the case of society welfare facilities, citizens are highly satisfied with medical facilities but they complain about welfare facilities for aged person, disabled, children, teenagers and women. In the case of agreeable environment, citizens show dissatisfaction about pollution prevention, noise prevention, odor prevention, water pollution prevention etc. In the case of learning environment, citizens satisfaction is high about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ducation, and complaint is high about detrimental school surrounding and life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case of cultural &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citizens satisfaction is high about movie theater but complaint is high about public library, public library, play theater, museum, exhibition, indoor-outdoor physical facilities, sports stadium etc. In the case of administrative service, citizens responded average and citizens satisfaction was high about public official's administration performance and kindness but complaint was high about the processing and post-management of civil affairs. In the case of economic activity situation, citizens are not satisfied with an employment opportunity, an opportunity that can make money, prices of commodities etc. In the case of social situation, citizens show average satisfaction and citizens satisfaction is high about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s but is low about community participation opportunity, community festival and culture event participation, securing public order etc. In the case of information environment, citizens are highly satisfied with administration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convenient use of the Internet, easy purchases with wanted book, easy access to local information etc. In the case of attachment for area, citizens respond that generally have self-conceit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examined about Seongnam dwelling. In the case of synthesis satisfaction about quality of life, generally, citizens' satisfaction appears high. In the case of main consideration at selecting residential district, citizens consider agreeable environment, traffic environment, learning environment etc at first. In the case of satisfaction or complaint factor about dwelling, citizens are satisfied with factors of traffic environment, basis life situation, agreeable environment etc and dissatisfied with factors of economic situation, traffic environment etc of agreeable environment area. In the case of social capital, citizens respond average satisfaction on trust among neighborhoods, partner in business relations, and public institution such as Seongnam city hall etc. In the case of realization about difficult neighborhood, citizens generally responded much to 'I wanted to help but the situation is not good enough to help someone'.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the interrelation was less with each independent variables that executes SPSS analysis at disabled welfare facilities, children welfare facilities, teenagers welfare facilities etc among social welfare facilities, noise prevention among agreeable environment, museum and exhibition among cultural & physical facilities, an employment opportunity among economic activity situation,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s among social situation, convenient use of the internet, easy purchase of wanted book etc among information environment and the partner in business relations and public institution with Seongnam city hall etc among confidentiality about surroundings but the most of factors show a high interrelation with independent variables. Therefore, Seongnam city hall is need to build up specific Seongnam confrontation plan to improve Seongnam citizens quality of life that should preserve the part that shows high satisfac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age, sex, attainments in scholarship, household income, house type, residence period, marital status, residential district etc, improve the part that shows relative dissatisfaction and existing facilities. Beside each independent variable, Seongnam should more focus and improve about disabled welfare facilities, children welfare facilities, teenagers welfare facilities etc among social welfare facilities, noise prevention among agreeable environment, museum and exhibition among cultural & physical facilities, an employment opportunity among economic activity situation, basic life situation, traffic environment, agreeable environment, learning environment etc that is main concern at choosing residential district but show dis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Seongnam citizens quality of life by age, sex, attainments in scholarship, income, house type, residential period, martial status, residential district and presented a policy alternative that is fit in circumstance by an independent variable based on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whole Seongnam's quality of life and each variables quality of life.

      •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이용자와 그 가족을 중심으로

        강순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08년 7월 1일 대한민국에서 처음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서비스 이용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성을 평가하고, 주요 관련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도의 조기 정착과 원활한 제도 정비를 위해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노인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한 사람으로 의사소통에 무리가 없고 인지능력이 있으며 심신상태 및 장기요양이 필요한 정도에 따라 등급판정위원회에서 판정등급 1, 2 또는 3등급을 인정받은 서비스 이용자와 그 가족이다. 다만 노인장기요양보험 실시(2008년 7월 1일) 이후의 대상자(시설보호 수급자) 중 노인장기요양보험 실시 이전에 이미 시설에 입소해 있던 대상자와 가족은 제외했다. 또한 강남(강남동, 강남서), 강북(강북동, 강북서)으로 나누어 서비스 이용자와 그 가족을 각각 150명 할당표본 추출했으며, 2009년 5월 1일부터 5월 11일까지 구조화한 설문지를 통해 면접조사로 자료를 수집해 분석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서비스 이용자의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심리적 변화 요인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했다. 그러나 건강적, 사회적 지지 변화 요인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서비스 이용자 가족의 삶의 질 및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건강적, 심리적, 사회적 지지 변화 요인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했다. 셋째, 기타 특성에 따른 삶의 질 변화요인으로는 성별, 수입, 권역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설 서비스 이용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선행되어야 할 것은 안정된 재정운영 구축과 사회보험방식으로 운영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서비스 대상의 확대와 비용부담의 적절성, 지역중심의 서비스 체계 구축, 저소득층 등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의 생활시설을 대상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일반화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앞으로 지방권 시설이나 농어촌 시설과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설치 주체별 권역 분포가 고르지 않아 국․공립과 사립시설의 노인 및 가족을 구분해 삶의 질을 분석하지 못했다. 설치 주체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다를 것이므로 이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data that is needed not only for the early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but also for a smooth overhaul of the conventional system, by evaluating the influence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cheme for the elderly in Korea, which began on July 1st of 2008, on users of the service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and analyzing the major factors related to the service. This study subjects were user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ocated in the Seoul area, who had no difficulties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ability, and who were rated 1, 2 or 3 by the rating committee according to the criteria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he period of long-term care required, as well as members of their families. However, users and family members who had already been using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sured by the scheme befor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cheme for the elderly was implemented (July 1st,2008), were excluded. The quota sampl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hich means that 150 subjects were selected from Gangnam (southeast and southwest areas of Seoul) and Gangbuk (northeast and northwest areas of Seoul) on users of the service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and face-to-face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subjects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y 1, 2009 to May 11, 2009 to collect the data requir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chang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user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cheme for the elder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health and social support change facto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all of the health,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 chang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living as well as quality of life of service user family members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gender, income level, and area of residence were indicated as other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hard to apply nationwide, as the study was restricted to living facilities in Seoul. It is believed that comparative studies with facilities in areas other than Seoul, including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As quality of life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ounder of the facility, comparative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 인천의 여성친화도시정책과 여성의 '삶의 질'

        김소림 인천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인천의 여성친화도시정책과 여성의 ‘삶의 질’ 본 연구는 여성친화도시정책과 인천여성의 삶의 질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목적을 가졌다. 이를 위하여 인천의 경제, 의료 및 건강, 여가 및 문화, 사회 분위기, 사회참여, 생활, 안전, 자녀 양육, 복지의 9개 영역에서 인천여성을 대상으로 2014년에 조사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인천여성들이 자신이 살고 있는 인천이라는 도시를 얼마나 여성친화적인 도시라고 느끼는지, 나아가 자신의 삶의 질이 얼마나 높다고 평가하는지를 분석했다. 또한 여성친화도시로 지정된 지자체와 미지정된 지자체 간의 공간적 비교와 검정(T-test)을 통하여 여성친화도시정책이 인천여성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고 또 어떤 정책효과를 얻었는지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 인천여성들의 9개 영역(인천의 경제, 의료 및 건강, 여가 및 문화, 사회 분위기, 사회참여, 생활, 안전, 자녀 양육, 복지) 평가에서 영역별 평균치가 가장 낮았던 ‘사회참여 여건’과 관련하여 인천의 열악한 여건을 개선하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여성친화도시 지정지자체와 미지정지자체 간의 공간적 비교분석 및 이들 두 집단 간 응답결과의 평균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의료 및 건강 여건’, ‘사회참여 여건’, ‘안전여건’, ‘자녀 양육여건’의 4개 영역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을 뿐, 그 외의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인천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는 3가지 정책방향을 설정하면, 첫째, 여성친화도시정책의 의제(Agenda)는 현실적합성을 고려하여 지자체 수준에서 실행 가능한 정책의제가 선정되어야 하며, 둘째, 여성친화도시정책의 확대와 발전을 위한 정책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셋째, 인천여성의 ‘사회참여 여건’과 ‘생활안전 여건’의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지자체 수준에서 실행 가능한 정책의제의 선정은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정책과제보다는 지역적이고 단기적인 정책과제를 개발하여 정책시행, 평가 및 환류체계(feed-back system)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실행 가능한 정책의제를 선정해야 한다. 또한 여성친화도시정책의 확대와 발전을 위한 정책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친화도시정책과 관련하여 광역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정립과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여성친화도시 추진 부서 간 소통과 연계가 필요하며 셋째, 중앙-광역자치단체-기초자치단체의 상호협력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여성의 임파워링 기반 조성에 노력해야 하며, 다섯째, 법·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광역단체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사회참여 여건’과 ‘생활안전 여건’의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은 다음과 같다. 인천여성의 사회참여 여건 개선방안은 첫째, 사회참여 플랫폼을 내실화하고 둘째, 지역 유관기관 간 역할분담 및 연계방안을 구축하며 셋째, 온-오프라인 소통 네트워크 강화하고 넷째, 생애주기별・대상특성별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천여성의 생활안전 여건의 개선방안은 첫째, 성인지적 관점의 도시 공간 디자인이 필요하고 둘째, 인천형 여성 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셋째 지역공동체 의식을 강화해야 하고 넷째, 여성친화도시 조성 매뉴얼에 입각하여 여성친화적이지 못한 지역사회의 곳곳을 여성친화적으로 바꾸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다섯째, 생활안전 여건 조성과 관련하여 사회불안의 원인과 대처방안을 사회심리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정책대안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주제어 : 삶의 질, 여성 삶의 질, 여성친화도시, 여성친화도시정책, 인천여성,

      •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과 중년여성 삶의 질의 관계

        조경아 숙명여자대학교 정책ㆍ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Middle Women from ages 35~60, to see what effects that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Gender Role Attitude, Family Strength, Community Sentiment, and participation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s have on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 Women. For this, I have observed what effects are had according to the variables and social demographical properties of whether or not Middle Women have had Self-Efficacy, Gender Role Attitude, Family Strength, Community Sentiment, and participation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s. The field of quality of life is divided into subordinate fields of self-respect, relations in family․financial power․neighbors, relations in emotion․physique, leisure life, and each subordinate field was measured by division into first, second, and third. Also, the social demograph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division into age, religion, academic attainment, marriage status, residental district,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level of income. There is significance to this research in that through the results of measurement, we can see the factors which e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by providing a plan of supplementation for lacking variables, this research can help raise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 Women. For this purpose, data was gathered using structuralized surveys aimed at 400 Middle Women residing in Seoul․Kyeong-gi, Daejeon․Chung-Cheong, and Jeon-la. The data analysing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as well a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hen we look at the social demographical properties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the age averaged 43.48 years, and most answered religion as Christianity, level of education above high school, and living with spouse as marriage status. The residental district was most in the Daejeon․Chung-cheong area,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around 3~4, and the family income an average of 4,257.5 thousand w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observed what effects that Self-Efficacy, Gender Role Attitude, Family Strength, Community Sentiment, and participation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s have on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 Women. The factor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 Women the most was shown to be Family Strength, Self-Efficacy, and Community Sentimen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whether or not the subject had Gender Role Attitude or participation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s. Second, I observed what effects social demographical properties such as age, religion, education, marriage status, residental district, number of members in family, level of income have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 Women. Ages 40~50 in Middle Women showed the highest quality of life in Self-Efficacy and in the whole. In religion, Christianity and Catholic showed the highest quality of life in Self-Efficacy and in the whole. In marriage status, Middle Women who live with their husband showed the highest quality of life in Self-Efficacy, family․financial power․neighbor, emotion․bo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to affect quality of life in residental district,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income. Through the results shown abov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 Women are Family Strength, Self-Efficacy, and Community Sentiment, and that this also varies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al proper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it is required that intervening plans in the local community such as women social education as well as local community welfare services are suggested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for Middle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35~60세 중년여성들 중 자기효능감, 성역할태도, 가족건강성, 공동체의식,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 등의 요인 중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년여성들의 자기효능감, 성역할태도, 가족건강성, 공동체의식,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 여부의 변수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삶의 질 영역은 하위영역별로 자아존중감, 가족․경제력․이웃관계와, 정서적․신체적 관계, 여가생활로 나누었으며, 각 하위영역도 상․중․하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특성 또한 연령, 종교, 학력, 결혼상태, 거주지역, 가족수, 소득수준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결과를 통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결과에 대한 부족한 변수에 대한 보완방안을 마련하여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더욱 높이는 도움을 주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울․경기, 대전․충청, 전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t-test, ANOVA 분석 및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령은 평균 43.48세였으며, 종교는 기독교,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 결혼상태는 남편과 동거 상태가 가장 많았으며, 거주지역은 대전․충청지역, 가족수는 3~4명과 함게 거주하고, 가족 내 소득은 평균 4,257.5천원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성역할태도, 가족건강성, 공동체의식,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 등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중년여성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가족건강성, 자기효능감과 공동체 의식으로 나타났으며, 성역할태도와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여부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연령, 종교, 학력, 결혼상태, 거주지역, 동거가족의 수, 소득수준 등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다른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중년여성 연령은 40세 이상 ~ 50세미만이 자아존중감과 전체에서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종교는 기독교와 카톨릭이 자아존중감과 전체에서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상태에서는 남편과 동거를 하는 중년여성이 자아존중감, 가족․경제력․이웃, 정서적․신체의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역과 가족수, 소득은 삶의 질의 영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가족건강성, 자기효능감, 공동체의식이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서도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의 여성사회교육 및 공동체적인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등의 개입방안들이 제안되는 것이 필요하다.

      • 노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박혜정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의 수명연장과 함께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다양한 노인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노인의 비건강수명 증가는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란, ‘각 개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건강상태’로 선행연구에 따르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 질병관련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일상생활수행능력 요인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은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근간이 되는 요인으로 이에 대한 심층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을 노인의 개인적 특성으로 보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길어진 노년기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1년 3월에서 9월까지 약 6개월간 S구 보건소를 이용한 65세 이상 노인 621명을 대상으로 방문간호사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입력된 보건소의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하였고, 두 변수간의 관련성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고자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시 세 가지 측정도구(EQ-5D, SF-8, 노인 기능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등을 통해 연구목적 및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측정도구에서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남성노인이 여성노인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두 번째, 연령이 낮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아졌다. 세 번째,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아졌다. 네 번째,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아졌다. 다섯 번째, 배우자가 있는 노인이 배우자가 없는 노인보다 삶의 질이 높았다. 여섯 번째, 직업이 있는 노인이 직업이 없는 노인보다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노인의 개인적 특성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도구별로 분석한 결과, EQ-5D에서는 성별, 연령, 경제적 수준, 직업유무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성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F-8의 경우, 신체관련 삶의 질에서는 성별, , 연령, 경제적 수준, 교육수준이 정신관련 삶의 질에서는 경제적 수준, 직업유무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신체관련 삶의 질은 성별이, 정신관련 삶의 질에는 직업유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인기능측정도구의 경우 노인의 경제적 수준, 직업유무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에서도 직업유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3가지 측정도구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은 경제적 수준과 직업유무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노인의 개인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경제적 수준, 교육수준, 직업유무로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경제적 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직업을 가지고 사회활동을 하는 경우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건복지정책 수립 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노인의 개인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앞으로 노인이 될 젊은 세대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입전략을 모색하는데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ocketing number of elderly people along with extended life span is resulting in various related problems. The unhealthy life span, especially, is deteriora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fers to ‘subjectively evaluated physical condition’.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the factors influence such quality of life can be demographic, social, economic causes, disease,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nd capability for daily tasks. The three former ones, among them, can be seen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health-related life quality of elderly people therefore need to be figured out in detail. This research, in this light, sees the demographic,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and attempted to analysi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life quality. In doing so, 621 elderly people those who are over 65 years old and visited health center in S-gu have been interviewed by visiting nurse from March to September in 2011 for 6 months. Further, secondary data have been utilized togethe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ve been set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Further, three measurements including EQ-5D, SF-8 and function of elderly people have been utilized for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using SPSS 18.0 through frequency, cross tabulation, independent t-tes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 and test hypothesi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results from analysi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been found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measurements. Firstly, male subjects have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econdly,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has been found to be higher with lower age. Thirdly, the figure has increased with high level of economic state. Fourthly, the level of life quality has been found to be higher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Fifthly, the elderly people with partner have been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ones without. Sixthly, the subjects with occupation have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 of quality of life. Further, the results from analysi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n quality of life showed that gender, age, economic status and occupation have been found to affec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EQ-5D. Among them, gender has been the most influential one. In case of SF-8, gender, age, economic status, educational level have been found to affect body-related to quality of life while economic status and occupation have been found to affect mental-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m, the body-related quality of life has been found to be affected by gender while occupation has been found to be so for mental-related quality of life. Finally, economic status and occupation have been found to affec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garding functional aspects. Among them, occupation has been the most influential one. Further, economic state and occupation have been found to affect quality of life respectively for the three measurements . To sum up,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which affec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ve been found improve the life more in male than female, lower age, higher economic state, higher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soci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health and welfare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n active manner. Finally, these findings need to be utilized for setting up interven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young generations those who will be elderly people in the future.

      • 부산지역 조직 내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업무과부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식습관의 매개효과

        신예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People in today’s modern world get stressed out for many reasons in their work life. Stress can cause not only simple uneasiness but can be a culprit of all kinds of diseases when it gets serious. It can also be a reason for conflicts in organizations. Workers in Korea tend to have difficulty juggling more diverse, complicated job responsibilities than in the past. Besides, advancements in new technologies also burden workers because they need to get used to them. Such stress and overload at work can badly affect one’s health when people are exposed to stress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affects eating habits, which are unconscious and repeated. It can also lower the quality of life in the long run.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mployees’ stress and overload at work and the life quality affected by them and clarify its mediating effects to serve as a health-related reference for nutrition education in the community. For this study,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 group of 182 employees working in Busan; 182 employees were surveyed, and 182 responses were collec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stress and work overload on eating habits and quality of life. Findings indicate that work stress has a statistically negative effect on both eating habit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For this study,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 group of 182 employees working in Busan; 182 employees were surveyed, and 182 responses were collec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stress and work overload on eating habits and quality of life. Findings indicate that work stress has a statistically negative effect on both eating habit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Besides, work overload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both eating habits and quality of life. Finally, eating habits and quality of lif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he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ating habit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with work stress, work overload, and life quality, eating habits hav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n work stress and work overload. Findings showed that work stress and work overload deteriorate life quality and that quality of life is mediated by eating habits. Implications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s for workers on managing stress at the community level are required. 오늘날의 현대인은 직장생활에서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스트레스는 단순한 불편감뿐만 아니라 심각한 경우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사회적 수준에서는 조직 내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과거보다 다양해지고 복잡해진 업무에 따라 여러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들의 발전으로 인해 변화된 업무에 적응하는 것도 업무과부하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와 업무과부하와 같은 스트레스가 장기화되면 무의식적으로 반복되는 식습관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개인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은 더 나아가 삶의 질마저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업무과부하의 정도와 그에 따른 삶의 질을 알아보고, 식습관의 매개효과에 대해 규명함으로써 향후 직장인들의 건강관련 자료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지역사회의 영양교육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부산지역에서 직장을 다니고 있는 1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82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직무스트레스와 업무과부하, 식습관, 삶의 질의 상관관계는 직무스트레스는 식습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질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과부하는 식습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질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식습관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업무과부하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식습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을 때, 식습관은 직무스트레스와 업무과부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업무과부하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식습관이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과 지역사회차원에서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삶의 질에 대한 인구절벽 효과 : 횡성군 주민의 인식에 대한 분석

        이관인 연세대학교·정경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collected, compared, and analyzed various types of data on the demographic cliff perception occurring in depopulated guns (counties)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The perception of demograpic cliff, which are highly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was examined in that the phenomenon of demographic cliff forms the perception of residents and that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reflects human psychology. In addition, it analyzed how the fiscal imbalance resulted from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large metropolitan areas and the resultant unstable financial conditions of depopulated guns affect local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emographic cliff perception had an effect on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tru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clif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was partially adopted. Higher awareness of the demographic cliff had a more negative effect on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trust, which also affected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partially adop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tru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nancial trust of the local government was found to be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demographic cliff perception on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Due to the effect of the demographic cliff perception, the local resident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trust, which led to different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ly,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varies depending on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trust. An increase in the cost of social welfare resulted from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leads to a weakening of the financial stability due to decrease in tax revenue coupled with inefficient spending.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financial efficiency and stable financial conditions: First, in order to overcom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risks caused by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the size of the budget allocated to local governments by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Second, the early budget execution system of local governments, which has been implemented in 2009 to promote local economic growth, should be fully utiliz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inancial policies that can promote the financial stability of local governments and provide them with more autonomy in spending by expanding fiscal decentralization to further ensure decentralization of autonomy. Fourth,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should be effectively utilized. As the era of local autonomy has begun in earnest, residents have been participating in local autonomy in various ways, including responding to local issues, proposing policies, and providing administrative services. The topic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clif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has not been researched sufficiently to date. Although some studies investigated fragmentary problems resulted from population reduction, no research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clif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raised concerns, or suggested implic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nalyzing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caused by the effect of the demographic cliff perception based on various sub-variables and presenting implications for making policy on local governments’ financial trust, which can affect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Currently, depopulated guns are investing a lot of money and effort in increasing its population in response to the demographic cliff. In addition to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for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local governments need to implement their own policy for population and resources based on their own circumstances in order to enhance their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과소군들이 겪고 있는 인구절벽 인식에 대해 각종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수도권과 대도시로의 인구집중으로 인한 세수의 불균형으로 지방의 과소군들이 재정 기반의 약화로 인해 지역주민들의 삶의질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구절벽 현상이 주민들의 인식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삶의 질 만족이 인간의 심리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삶의 질 만족과 관련성이 높은 인구절벽 인식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인구절벽 인식이 지방재정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절벽 인식과 삶의질 만족간 지방재정 신뢰의 매개 효과는 부분 채택되었다. 인구절벽의 인지도가 높을수록 지방재정 신뢰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삶의질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지방재정 신뢰의 매개 효과는 부분 채택되었다. 연구 결과 인구절벽 인식이 삶의질 만족에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 지방재정신뢰가 도출되었다. 인구절벽 인식의 영향으로 지역 거주민들의 지방재정에 대한 인식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각자의 삶의 질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지방재정 신뢰에 따라 지역 주민들의 삶의질 만족이 주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사회복지 비용 증가는 세수 감소과 더불어 비효율적인 재정 지출로 재정 기반의 약화를 가져온다. 지방재정의 효율성 재고와 안정적인 재원 확보를 위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에 배분하는 예산 규모를 인구 구조 변화에 맞추어 시행해야 한다. 둘째, 지방의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실시되어 온 지방재정 신속집행 제도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자치분권시대에 걸맞는 재정분권을 확대해서 지방정부의 재정 안정을 도모하고 재정지출에 더 많은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지역의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지방자치시대가 본격화하면서 주민들이 직접 지역의 현안문제 대응, 정책제안, 행정서비스의 대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방자치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논하고 있는 인구절벽 인식과 삶의 질 만족간의 기존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인구가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단편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가 간혹 있긴 하지만, 인구절벽 인식을 제시하여 삶의 질 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 제기나 시사점을 제시한 기존 문헌은 없었다.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는 인구절벽 인식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삶의질 만족을 다양한 하위 변수를 동원하여 분석하였으며, 특히 삶의질 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방재정 신뢰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구절벽 인식에 대한 지역의 과소군들은 많은 재정과 정책을 인구 유입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상이다. 중앙정부에서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정책 외에 지방정부가 지역의 특성에 맞는 인구정책, 재정 집행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지속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 ICF-CY를 활용한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 수준이 보호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권현숙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be affected by the functions,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ing ICF-CY check list. Method: This study participated in26 parents with cerebral palsy. Functions, activities, participation, environmental factors were evaluated of children using ICF-CY checklist. In order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e used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WHOQOL-BREF) composed of 26 questions in total.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GMFCS) was used to assess the degree of children dis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CF-CY checklist on quality of lif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GMFCS and WHOQOL. Result: Functions,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HOQOL-BREF. But, contextual factor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neuromusculoskeletal and movement-related functions(b7) and service, systems and policies(e5)(p<0.05). Conclusion: Our study suggest that functions,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cerebral palsy. Therefore, these finding suggest that contextual factor, such as, neuromusculoskeletal and movement-related functions (b7), and service, systems and policies(e5)that can be facilitators to perform should be consider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cerebral palsy. 선행 연구에서는 아동의 기능 수준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삶의 질을 평가하는 것은 기능적인 부분을 평가하는 것보다 뇌성마비아동이 학교에서의 정서적, 사회적 적응 행동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아동의 기능 수준에 따른 뇌성마비 아동과 부모의 삶의 질에 대한 수준을 파악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수준인 기능, 활동과 참여, 환경 등 세부적인 요소가 보호자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ICF-CY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 활동과 참여, 환경의 요소가 보호자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뇌성마비 아동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치료목표를 제공해주기 위해 시행되었다. 뇌성마비로 진단 받은 아동의 보호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동의 기능, 활동과 참여, 환경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ICF-CY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였으며, 부모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ICF-CY 체크리스트는 보호자와 치료사가, WHOQOL-BREF는 보호자가, GMFCS는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해 2년차 이상의 소아물리치료사가 작성하였다. 기능, 활동과 참여, 환경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GMFCS와 보호자의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능영역 신경근육골격 및 운동과 관련된 기능(b7)(p<0.05)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환경영역 서비스, 시스템 그리고 정책(e5)(p<o.o5)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보호자의 삶의 질과 아동의 GMFCS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확률 0.001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활동과 참여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GMFCS 1,2단계 아동이 20명 이상으로 보호자가 보조에 대한 어려움을 덜 느끼기 때문이라고 생각 되었고, 선행연구에서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에서 3단계 아동이 4,5단계 아동보다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고, 장애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에 다니는 아동이 17명으로 일반아동들과 공동체 생활을 경험하고, 스스로 하려는 횟수가 많아져 보호자가 해 줄 부분이 이전 보다 적어진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CF-CY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장애와 보호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계 해석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연구라 생각된다.

      • 근위축성측삭경화증환자의 삶의질 관련 연구

        허현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is a degenerative motor neuron disease which the patients die due to respiratory failure after experiencing a progressive muscle weakness. ALS patients, with their strictly limited functions, face complica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often due to their declining socioeconomic status. Overall, it is safe to generalize that ALS patients suffer from decreased quality of life (QOL). However, research about the QOL in Korea reports little about the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or benefit, the patients’ QOL. Therefore this study will mainly focus on the possible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ALS patients’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means of measuring QOL. The number of the subjects that partook on the final analysis was 69, the ALS patients that visited the Neurology outpatient department in a hospital in Seoul between January and July, 2008. The collection of data was done by providing the patients with surveys after assuring their consent. The patients who were unable to fill out the surveys themselves were assisted by nurses at the hospital.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version 19.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ean score of the physical health component in ALS patient's QOL was 34.4 (±21.3), and the mean score of the mental health component in ALS patient's QOL was 44.7 (±20.6). The mean score of ALS functional rating scale (ALSFRS) was 24.3 out of 40. The mean score for anxiety level averaged 7.6 out of 21. 44.9% of the subjects were deemed suffering from anxiety. The depression level was averaged 10.5 out of 21. 71% of the subjects were deemed suffering from depression. The QOL of PHC of the ALS patients was lower the older they were (p=.042), were not employed (p=.004), had proceeded on gastrostomy (p=.001), and the lower ALSFRS (p<.001). Also, anxiety (p=.004) and depression level (p<.001) influenced the QOL. The QOL of PHC, anxiety (p<.001), and depression level (p<.001)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ve relationship to each other. The QOL of MHC of the ALS patients, the results showed low when a parent was nursing the patient (p=.037), was suffering anxiety (p<.001), was suffering depression(p <.001), and were not being socially supported(p=.047). The QOL of MHC in regards to anxiety(p<.001) and depression level(p<.001) were shown to be cor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suffering from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on the physical aspect was explained by their ability to function (39%) and their level of depression (7.2%). The psychological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ere explained by their level of anxiety (22.6%), and their level of depression (6.2%). Consequently, much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with the emphasis of its importance, is necessary in order to reap a positive result for the ALS patients’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their quality of lif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ALS)는 퇴행성 운동신경계 질환으로 환자에게 점차적인 근력의 약화가 나타나다 결국은 호흡장애로 사망하는 질환이다. ALS 환자는 신체적 기능 제한으로 불안, 우울을 경험하며 사회ㆍ경제적인 어려움을 포함하여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게 되므로 이들의 삶의 질은 낮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는 ALS 환자의 삶의 질 또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LS 환자 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1월부터 7월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 ALS 환자로 등록되어 신경과 외래를 방문한 164명의 환자 중 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대상 기간 동안 외래를 방문한 환자에게 설문 작성을 하도록 하고 병원에 직접 내원하지 못하는 환자는 가정간호사에게 설문지에 대한 교육을 한 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LS 환자의 삶의 질은 신체적 건강 영역은 34.4 ± 21.3점, 정신적 건강 영역은 44.7 ± 20.6점이었고 기능상태 점수는 24.3점(40점 만점)이었다. ALS 환자의 불안정도는 평균 7.6점(21점 만점)으로 불안이 있는 대상자는 44.9% 였다. ALS 환자의 우울정도는 평균 10.5점(21점 만점)으로 우울이 있는 대상자는 71% 였다. ALS 환자의 신체적 건강 영역 삶의 질은 환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F=3.31, p=.042), 직업이 없을수록(F=3.35, p=.004), 경피적 위루술이 있는 경우(F=3.35, p=.001), 신체적 기능상태 점수가 낮을수록(F=3.49, p<.001) 삶의 질이 낮았다. 또한 불안이 있는 경우(F=8.97, p=.004)와 우울이 있는 경우(F=20.4, p<.001) 신체적 건강 영역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건강영역과 불안(r=-.34, p<.001), 우울(r=-.48, p<.001)은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정신적 건강 영역은 환자와 간호자의 관계에서 부모가 간호하는 경우(F=2.72, p=.037), 불안이 있는 경우(F=19.5, p<.001)와 우울이 있는 경우(F=16.9, p<.001),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경우(F=1.83, p=.047)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적 건강영역과 불안(r=-.47, p<.001), 우울(r=-.45, p<.001)은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다중회기분석 결과 ALS 환자의 신체적 건강영역 삶의 질은 환자의 기능상태(39%)와 우울(7.2%)에 의해 설명되었다. ALS 환자의 정신적 건강영역 삶의 질은 불안(22.6%)과 우울(6.2%)에 의해 설명되었다. 본 연구결과 ALS 환자의 삶의 질은 기능상태 점수가 낮은 경우, 우울이 있고 불안이 있을 때 삶의 질이 낮았다. 따라서 환자의 신체적 기능상태의 저하로 인해 나타나는 우울, 불안을 낮출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