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업존중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선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job-esteem scale that encapsulate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cademic librarians. In this study, the tool development phase involved analyzing literature and existing measures pertinent to the job-esteem of academic librarians, follow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0 academic librarians to conceptualize the construct and develop 100 preliminary items. Subsequently, a series of validation steps were employed,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rounds of content validity testing, consultations with Korean literature scholars, and face validity assessments, culminating in the finalization of 52 preliminary items for the scale.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academic librarians from nationwide four-year institutions, during which item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Subsequentl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o eliminate 22 items deemed unfit. Ultimately, this study constructed a final set of 6 factors with 30 items: intrinsic value (6 items), job-related self-esteem (5 items), task value (4 items), organizational value (4 items), extrinsic value (5 items), and social reputation (6 items). In the scale validation phase, a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345 academic librarians to finalize the factor structure and items deriv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This process involved confirming appropriate distribution through item analysis and establishing high levels of reliability through the calculation of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Subsequ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model fit to be slightly below the desired standard, leading to the removal of one item and a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fit of the job-esteem scale for academic librarians was acceptable, satisfying both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riteria for construct validity. Moreover, a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scale and the job satisfaction of academic librarians (criterion validity) to validate the scale. This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demonstrating that the job-esteem scale developed for academic librarians possesses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reflecting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 job-esteem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omprises 6 factors with a total of 29 items, developed to assess the job-esteem of academic librarians using a Likert 5-point scale. The scoring range of the scale spans from a minimum of 29 to a maximum of 145 points, with higher scores indicative of higher job-este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tudy delineated the components of academic librarians' job-estee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and developed a scale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the first time; the scale differentiates the unique job-esteem of academic librarians from that of other professions; the scale is tailored for practical application with librarians in the field; and finally, the scale can be utilized to analyze the level of job-esteem among academic librarians currently working in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and exploring ways to enhance job-esteem.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사서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된 직업존중감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도구개발 단계에서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업존중감 관련 문헌 및 측정도구를 분석하고, 10명의 대학도서관 사서들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구성개념 구인화 및 예비문항 100개를 개발하였다. 이후 1차 내용타당도 검정, 2차 내용타당도 검정, 국문학자 자문, 안면타당도 검정 과정을 통해 예비 측정도구 52문항을 확정하였다. 예비 조사는 전국 4년제 대학도서관 사서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문항 분석, 신뢰도 검정을 확인하였다.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하지 않은 22개 문항을 제거하였다. 최종적으로 6개 요인 총 30문항이 확정되었으며, 내재적 가치 6문항, 직무 관련 자아존중감 5문항, 업무적 가치 4문항, 조직적 가치 4문항, 외재적 가치 5문항, 사회적 평판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도구 타당화 단계에서는 예비 조사를 통해 획득한 요인구조와 문항을 최종 확정하기 위하여 대학도서관 사서 345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문항 분석에서 적절한 분포를 확인하였고, 문항의 내적 일관성 계수를 확인한 결과 높은 신뢰도 수준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기준보다 다소 낮아 모형의 적합도가 매우 양호하다고 보기 어려워 1개 문항을 삭제하고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업존중감 측정도구의 모형 적합도는 수용 가능하며, 구인타당도를 나타내는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검정 기준을 모두 만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타당도 검정을 위해 본 측정도구와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무만족(준거타당도 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학도서관 사서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업존중감 측정도구는 적절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직업존중감 측정도구는 6개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총 29문항이며 Likert 5점 척도로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업존중감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본 측정도구의 점수범위는 최소 29점에서 최대 14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업존중감이 더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업존중감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정된 도구를 문헌정보학 차원에서 최초로 개발했다는 점, 기존의 다른 직업에서 사용된 직업존중감과 차별화된 대학도서관 사서의 고유한 직업존중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사서에게 적용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는 점, 마지막으로 도구를 활용하여 현재 대학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들의 직업존중감 정도를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찾아 직업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에 관한 연구

        장일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전자자료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도서관의 장서 구성은 소장 자료에서 접근 방법으로 그 비중이 점점 증대하고 있다. 수서의 자동화는 도서관과 벤더, 도서관 조직간의 관계와 장서개발에서의 역할 변화를 가져 왔다. 그리고 전자자료의 종류와 이용자 요구의 다양함으로 인해 도서관은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매체의 형태로 제공해 줄 수 있도록 인터넷과 다양한 종류의 전자자료로 장서의 구성 범위를 확대하여 전자자료에 대한 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의 수립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설문조사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전자자료에 대한 유형별 정의, 선정 기준, 전자자료의 범위 등을 개관하고 전자자료의 선정 기준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의 사례로는 개발정책이 활발한 미국의 4개 대학도서관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현재 상황과 문제점을 고찰한 후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의 지침을 마련하여 전자자료의 장서개발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장서 구성현황과 업무현황을 파악하여 장서개발정책 구축시 고려하여할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도서관은 「한국도서관통계 1999」를 기준자료로 삼아 연간 예산 10억원 이상인 전국의 37개 대학도서관을 선정하여 그 중에서 수서 담당 사서 4인 이상인 22개 대학도서관을 선택하여 설문지를 우송하고 전화 및 직접 면담을 하였다. 설문내용은 도서관의 일반적인 현황과 수서 업무와 관련된 업무 현황, 그리고 장서개발정책과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 설문지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장서개발정책의 수립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운영의 기본방향과 목표에 따라 단계별로 전자자료의 장서개발과 관련된 정책과 여러 요소를 성문화해야 한다. 특히 장서개발정책의 중심이 되는 전자자료의 선정기준을 명확히 하고, 체계적이고 일관된 정책에 의해 전자자료의 구입업무와 선정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선정자의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므로 체계적인 교육 훈련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선정과정을 계속해서 평가하고 전자자료의 발전에 따라 선정기준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전자자료의 범위를 정하고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도서관 내에 도서 선정위원회와 유사한 전자자료 전담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 도서관의 전자자료 구입과 선택은 다양한 다른 부서의 업무와 상호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전담 조직의 구성이 중요하다. 전자자료에 관한 업무를 수행할 때 대부분의 도서관은 전자자료의 요구 부서와 구입 부서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요구 부서와 구입 부서의 긴밀한 협력 체제가 요구되며 선정자와 구입 담당자간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자자료 전담 조직은 도서관 자료의 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조정하며 전자자료에 관한 필요한 사항을 검토한다. 또한 전자자료의 최종 선택과 결정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책임과 권한이 그 조직에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자자료가 일반적으로 인쇄자료에 비해 고가이며, 전문성을 필요로 하므로 대학이 단독으로 구입하기보다는 도서관간에 협력을 바탕으로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유리한 조건에서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구입 예산 배정시부터 전자자료의 정보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구입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국내에서도 현재 컨소시엄 구성이 진행되고 있다. 컨소시엄의 회원 도서관들이 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 구입 조건을 벤더 중심이 아닌 도서관 중심이 되도록 방향 전환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현행 방식은 벤더가 임의로 구축해 놓은 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그대로 도서관들이 구입하는 것이 상례이다. 그러나 컨소시엄의 통합된 위력으로 도서관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만을 구입할 수 있도록 주문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입을 해야 할 것이다. 해외 데이터베이스를 공동으로 구매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컨소시엄 추진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도서관의 역할 분담과 자원의 공유를 이루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장서개발 사서는 전자정보 환경에서의 역할과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실질적인 장서개발 업무능력을 제고해야 한다. 전자자료에 대한 선정 방법, 전략, 기준, 그리고 정책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네트워크화된 자료를 기존의 자료와 서비스에 통합하는 방법을 습득하며, 선정 과정을 체계적으로 재조직하고 장서개발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화된 큰 규모의 자료에 대해서 각 자료를 분석해서 장기적으로 선정 방법이 맞는지의 여부와 자료의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담당 사서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업무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전자자료의 활성화를 위해 예산의 확보와 기술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고, 벤더의 공신력과 신뢰성을 파악해야 한다.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장서개발정책은 각 대학의 교육적 사명이나 목표와 부합하여 특성화 시켜 나가고 조직, 자료, 예산, 인력 등을 바탕으로 차별화해야 한다. 도서관의 궁극적인 목표는 교수, 학생, 직원 및 대학의 장기발전 계획을 도서관을 통해 확장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전자컨텐츠를 선정하고, 설계 구축하고, 관리 보존하며, 모든 형태의 학술적 내용을 공유하고, 접근하고, 조정하고, 통합하는 온라인 도구와 서비스를 혁신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또한 전자자료의 통합과 상호 이용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을 만들고, 벤더와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According to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diversification of electronic resources, remote access to real book stock increases in the library system. Automation of acquisition department has brought the change of the role between the library and vend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organizations and collection development. Now the library needs to expand the range of collection with internet and a variety of electronic resources and to frame and execute some appropriate plans for collectional development to meet various users' demands and provide also various electronic resource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ference, case study and questionnaire research were paralleled to explore for formulating a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of the university library. Through literature reference, types of electronic resource were defined, the range of it was outlined, and finally the standards of collection of electronic resources were investigated. In the case study, examples of four university libraries in USA were surveyed. An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were examined, and then guidelines fo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were made to heighten the effects of collection development around electronic resources. In the questionnaire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s of collection and management in the domestic university library were identified to see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formulating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first subjects were 37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of which annual budget exceeded one thousand million wons, preliminarily selected through reference to 「Statistics on Libraries in Korea 1999」, and they received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call. Among those 37 libraries, 22 libraries having above 4 librarians in charge of acquisition development were finally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to which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gain and a direct interview was conducted. A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return rate was 100%) and the results of call or interview were analyzed.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focused on the general circumstances of the library, management of collection and matters to be developed or improved. And the consequences of the literature reference, case study and the questionnaire research can be summari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basic directions and aims of library management, relevant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nd elements should be codified. In particular, the standards of collection of electronic resources which are central to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clarified, and the purchase and selection of electronic resources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basis of a systematic and coherent policy. Also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are demanded to educate selectors in a specialized way, continuous evaluation of selectional process is needed, and the standards of selection should be regularly reviewed and amend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resources. Second, electronic resources committees should be form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fix the range of collection and formulate desirable policies. Their activities are important since purchasing and selecting electronic resources have correlations with various workings of other departments. In most libraries, purchase of and demand for electronic resources are made by different departments, so close should be established. The department in charge of electronic resources should construct and control its database systemytically and review things needed. Therefore, full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must be given to the committee in decision making and final choice. Third, the library should make advantageous contracts of purchase based on the cooperations between libraries because electronic resources are expensive and need expertism. In alloting purchase budget, information on electronic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and effective purchasing plans should be contrived. In Korea, the formation of a consortium is being under consideration. Member libraries of that consortium must make efforts to switch their patterns of purchasing foreign academic databases from vendor-oriented ones to library-oriented ones. The present patterns usually follow the purchasing routes vendors have randomly established. But the integrated power of a consortium will help libraries purchase foreign academic databases by order rather than at random. Now KERIS is making systematic plans for promoting a consortium to purchase foreign databases jointly. To propel this movement continuously, library's role should be properly apportioned and resources should be shared throughout this country. Fourth, librarians in charge of collection development need to have substantial working abilities to cope with their role and expertism in the electronic information environment. They should systematically develop selectional methods, strategies, standards and policies for electronic resources, acquire skills of integrating resource networks to the existing resources and services, and possess specialized knowledge to reorganize the selectional process systematically and activate collection developments. As for big-scaled resource networks, selectional methods must be evaluated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for long-term collection and wrong parts of resource should be sorted out through resource analysis. To accomplish these, librarians in charge should systematically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cope with new environments. And they should understand visitors demands well, analyze the accessibility of electronic resources, and activate the use of information Fifth, to activate electronic resources, the budget should be ensured, technological supports should be promoted, and the public confidence and trustworthiness of vendor should be grasped. The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electronic resources must be speci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mission or goal of each university and differentiated on the basi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resources, budget and man power. The ultimate goal of library is to expand and maintain the long-term development plans of the professors, students, working staff of the university to which it longs and the university itself through its activities. To accomplish this, it should innovatively carry out on-line systems and services that select, design and construct, and manage and preserve high-quality contents and share, approach to, control and integrate all kinds of academic resources. Also the library should set up necessary standards and intensify cooperative systems with vendors grounded on trustworthiness to realize the integration of electronic resources and the reciprocal use of them.

      • 대학도서관을 위한 문헌제공기관의 원문제공봉사에 대한 연구

        한은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의 양적 증가와 자료구입비의 가파른 상승은 예산이 정체 혹은 감소되는 도서관 현실에서 원문제공봉사의 중요성을 증대시켜 왔다. 이 논문은 국내 대학도서관이 이용하고 있는 문헌제공관련 각종 협의회와 유료 및 상업적인 문헌제공기관을 평가요소별로 현황 파악을 함으로써 문헌제공기관에 대한 비교 우위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문헌제공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실태조사를 사용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원문제공봉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실태조사방법으로 해당 문헌제공기관과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 조사, 전화나 전자우편 교신, 설문지법을 활용하여 원문제공봉사의 현황을 파악하고 평가요소별로 비교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외 연속간행물 입수 종수가 2000종 이상인 국내 대학도서관 37개관에 설문지를 보내어, 22개 대학도서관의 응답을 받아 분석하였다. 문헌제공관련 협의회와 유료 및 상업적인 문헌제공기관의 원문제공봉사에 대한 평가요소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의 주제와 형태면에서 문헌제공관련 협의회의 경우 한국과학기술원의 자료공동활용협의회와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만 특정 주제분야로 한정하였고, 나머지 문헌제공관련 협의회는 전주제를 포괄하였다. 학술지에 대한 문헌제공은 모든 협의회에서 가능하였고, 모든 형태의 자료가 가능한 협의회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포항공대,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이었다. 유료 및 상업적인 문헌제공기관의 경우 모든 기관이 전주제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교보문고는 자료 형태면에서 학위논문만을 제공하였으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영국국가도서관문헌제공센터, 오시엘시(OCLC)는 모든 형태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둘째, 문헌제공 신청방법으로 대부분의 협의회가 자체프로그램 및 웹, 전화, 팩스, 전자우편, 아리엘 등을 대체로 모두 사용할 수 있었고, 대부분의 유료 및 상업적인 문헌제공기관은 웹, 팩스, 전자우편, 자체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었다. 셋째, 문헌제공 입수방법도 거의 대부분의 협의회에서 보통우편, 빠른우편, 팩스, 전자우편, 아리엘, 웹에서의 내려받기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협의회별로 문헌신청에서 입수까지의 소요기간의 차이는 경미하였으며, 이용요금도 비슷하였다. 유료 및 상업적인 문헌제공기관의 경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국내소장 문헌의 제공은 문헌제공관련 협의회보다 요금이 비싸고 소요기간도 길었다. 해외에 소장되어있는 문헌을 제공하는 기관 중에서 문헌제공 속도가 빠른 순으로는 교보문고, 영국국가도서관문헌제공센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오시엘시이었다. 문헌제공이용요금에서는 교보문고가 타기관에 비해 비쌌고, 나머지 3개관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넷째, 문헌신청에 대한 입수 성공률면에서 협의회의 경우 성공률이 높은 순으로는 포항공대의 자료공동활용협의회,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학술지공동활용협의회, 한국과학기술원의 자료공동활용협의회, 대구경북지역대학도서관연합회,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었다. 유료 및 상업적인 문헌제공기관의 경우 성공률이 높은 순으로는 교보문고, 오시엘시, 영국국가도서관문헌제공센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었다. 다섯째, 문헌제공에 소요된 비용 지불방법으로 문헌제공 관련 협의회의 경우 모든 협의회가 후불정산으로 이용요금을 지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료 및 상업적인 문헌제공기관의 경우에는 대부분 후불정산방식으로 문헌제공 이용요금을 지불하였으며, 예치금방식을 취하고 있는 기관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뿐이었다. 본 연구 결과 국내 소장자료 위주의 문헌제공, 문헌제공업무 전담 직원의 확보부족, 특정 회원기관에 문헌제공 신청 편중, 종합목록 미비, 저작권 침해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원문제공봉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국내에서 소장하지 않은 문헌의 경우 이용자의 요금부담을 줄여 신청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해외로의 문헌제공 신청시 요금의 일부를 도서관이 지원한다. 둘째, 문헌제공업무에 소홀해지는 일이 없도록 문헌제공 전담 인원을 확보한다. 셋째, 문헌제공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각 회원도서관은 협력하여 완벽한 종합목록 구축에 힘쓴다. 넷째, 전자전송과 관련된 저작권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문헌제공기관의 원문제공봉사에 대해 6개월이나 1년 단위의 이용 통계 데이터를 근거로 평가하고, 문헌제공기관을 선정하는데 이용한다. The importance of document delivery services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current situation of libraries whose budget is tied up or reduced even though quantity of information and prices of purchasing materials has been increased dramatical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document suppliers' document delivery services by providing information with comparative advantages through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various associations for document delivery and commercial document suppliers university libraries depend on. Questionnaires were sent to 37 university libraries, which subscribe more than 2,000 titles of serials. Twenty-two libraries replied, and their answ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about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s of related associations and commercial document suppli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subjects and forms of materials,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KAlST) and the Korea Medical Library Association(KMLA) are dealing with specific subjects while the rest is covering all subjects. When it comes to journals, all the associations can provide document deliver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he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STECH) and KMLA can provide all forms of materials Commercial document suppliers are providing materials regarding to all subjects Kyobo Book Centre is servicing theses only while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KISTI), the British Library Document Supply Centre(BLDSC) and the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OCLC) are offering all types of materials. Secondly, in terms of ways of request. most of the associations are using their own programs, telephones, web sites, facsimile, e-mails and Ariel etc. and most of commercial document suppliers are using web sites, facsimile, e-mails and their own programs. Thirdly, in terms of ways of obtaining documents, the majority of associations can make use of ordinary mail, express delivery, facsimile, Ariel, downloading from web sites, and there is only a slight difference in the time and fee among them. In case of commercial document suppliers. the delivery of domestically available document of the KISTI requires high fees and longer time. In terms of the rapidity of document suppliers offering overseas documents, Kyobo Book Centre is the best and it is followed by BLDSC, KISTI and OCLC. In terms of the fee for document delivery, Kyobo Book Centre requires the highest fees while the rest are similar. Fourthly, in terms of the rates of success in acquiring document applied for by the users among associations, it ranks in the following order: POSTECH, KMLA, the Korea Resource Sharing Alliance(KORSA), KAIST, the Associ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n Daegu & Kyungpook and KERIS and among commercial document suppliers, it ranks in the following order Kyobo Book Centre, OCLC, BLDSC, and KISTI. Fifthly, in terms of the ways of payment required in acquisition of delivery, all the associations turned out to depend on deferred payment. Among the commercial document suppliers, KISTI is the only one dependent upon money on deposit. In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following methods are suggested for the benefit of efficient document delivery service for university libraries. First, in case of documents which are not available in Korea, a part of the fees should be paid by libraries to increasing the rate of request by reducing users' burden for high fees. Secondly, workers in full charge of document delivery should be secured for high quality work. Thirdly, each member library should cooperate in constructing perfect and comprehensive union catalogs to enhance the rate of success in document delivery. Fourthly, government-initiated system of copyright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to prepare for copyright related to electronic transmission. Fifthly, document delivery services of document suppliers should b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statistics on used data per six months or a year.

      • 대학도서관 홈페이지의 이용자서비스 접근성에 관한 연구

        유종덕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대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환경은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급속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된 환경에서 대학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서비스를 창출해 내어야 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서비스의 창출은 변화된 정보기술 환경하에서 대학도서관이 대학내에서 그 존재의 필요성을 점점 더 넓혀가고 생존해 나가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인터넷 환경에서 우리 나라 대학도서관이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서 어떻게 하면 효율적인 이용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범위는 대학도서관 69개관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또한 지역별로는 수도권소재지역의 대학도서관이 28개관, 지방소재지역이 41개관으로 표집되었고, 국 · 공립대학은 15개관, 사립대학은 54개관으로 나타났다. 평가에 사용된 항목들은 국내외의 웹사이트 평가관련 논문과 대학도서관 관련 연구 논문 등에서 논의된 대학도서관 이용자서비스와 접근성 활용에 관한 평가항목 중 일부를 차용하고,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접근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질문을 일부 추가하였다. 이들을 바탕으로 네 개의 평가영역과 평가질문 23개를 만들어 지표를 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69개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 연구자가 직접 접속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의 분석은 SPSS 12.0을 통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평가영역의 분석을 통해 얻어낸 결론으로는 첫째, 네 개의 평가영역이 전체평균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각 영역별로 도서관의 서비스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둘째, 기관의 규모와 도서관의 서비스의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도서관의 홈페이지 서비스의 적정성은 기관의 규모보다는 관리자의 의지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수도권소재대학과 지방소재대학의 점수차이를 보면 평가영역중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나 그 차이가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사립대학과 국 · 공립대학의 독립표본 검증을 통해 평가해 본 결과 그 차이가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국 · 공립대학의 평균이 전체적인 수준에서 하향평준화 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가질문별 검증을 통해 세 가지의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평가질문과 이용자수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도권소재대학과 지방소재대학의 평가질문별 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검증에서 네 개의 질문에 대해서만 검증이 유의되어 전체적인 수준에서는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립대학과 국 · 공립대학의 평가질문별 점수의 독립표본 검증에서도 별다른 유의할 사항이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검색과 분류, 용어의 통일이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좀더 쉽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것이다. 둘째, 도서관이용자 교육을 대학내의 정규과목으로 설정하여 이용자들에게 적극적인 도서관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 개발은 이용자의 관점에서 설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것이 대학도서관이 대학내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사항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s facing drastic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In this changed environment, university libraries are also forced to create new information services, and this kind of new service creation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ethods for the university libraries to more widen the necessity of their existence within the universities and survive under the changed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directions as to how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can offer efficient user services through their homepag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vered 69 university libraries. More specifically, 28 university libraries are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15 libraries are in provincial areas;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have 15 libraries and private universities do 54 libraries. The items used in evaluation were partially borrowed from those on university library user service and accesspoints utilization discussed in the studies related to internal and international web site evaluation and university libraries, and partially added to by the questions judged important in case of the access to university library homepages. Based on the above items, indices were decided by making 4 evaluation areas and 23 evaluation questions, and based on this, the home pages of 69 university libraries were connected and evaluated by the researcher in person.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items was statistically treated through SPSS 12.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on area analysis, first, 4 evaluation areas influenced the total average. This means that there is any service difference from area to area. Second, there is no service difference by the scales of libraries. As for the adequacy of a library homepage, manager's inte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scale of the institution. Third, though there is any level difference among evaluation areas, the score difference is trivial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universities and provincial ones. As a result of evaluation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of private as well as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it was shown that the difference was small. But it was realized that the average of the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was equalized to a lower level. The above 3 facts were revealed through the verification by evaluation questions. Firs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valuation questions and user's numbers. Second, the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for the records by evaluation question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provincial universities was meaningful only for 4 questions. This shows that the verification had no connection with general level. Furthermore, there was nothing especially noteworthy even in the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of the records by evaluation questions of private as well as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are proposed: First, the standardization of method should be realized to allow users to have more easy access to university libraries. Second, library us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 regular course within universities for users to positively use libraries. Lastly,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rary homepages should be designed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and this would be a must for university libraries to survive and develop within universities.

      • NCS 기반 교육 운영체제 도입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 비교 연구

        송용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도서관이 NCS 기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서관 사서, 교수,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인지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 환경과 요인을 도출하고, 전문대학 도서관이 향후 제공해야 할 서비스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성화전문대학육성사업(Specialized College of Korea)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대학 도서관의 NCS 관련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사서와 교수를 대상으로 NCS 관련 서비스의 요구도와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면접조사를 시행하였다. NCS 기반 교육 운영체제 개편에 따라 전문대학도서관의 역할과 도서관의 서비스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도서관 사서, 전문대학 교수, 전문대학 NCS 지원센터 담당자, NCS 관련 정책 연구자로 구성된 15명의 전문가 그룹을 선정하고 2019년 3월 13일부터 4월 5일까지 3차례에 거쳐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 분석을 통해 5가지 범주 27개 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육 운영체제 도입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양적 연구 분석은 SPSS 2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one-way ANOVA)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 운영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대학 도서관의 역할은 NCS 정보자료를 구입과 보존하는 정보관리자의 역할과 NCS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자의 역할, 학과별 NCS 자료를 분류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역할, NCS 자료를 홍보하는 NCS 정책 홍보자의 역할, 전공직무, 진로 및 채용분석 등 NCS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운영하는 취업정보 서비스운영자의 역할, 전공별·학습단계별 정보를 제공하는 학습네비게이터의 역할로 나타났다. 둘째, NCS 기반 교육 운영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환경 및 정책적 요소로는 NCS 자료 및 공간구성을 위한 예산, NCS 자료 정보시스템, 강의계획서 연계, 장서개발정책과 운영규정, NCS 지원센터와의 협업체계, 사서교육 및 연수, 경영진의 인식과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운영적 요소로 이용자 교육, 직업교육 관련 콘텐츠 서비스, NCS 자료 검색서비스, NCS 관련 서비스의 홍보, 특성화에 따른 주제별 서비스, 학과별 능력 단위 목록서비스, 정보교류를 통한 콘텐츠 구축, NCS 관련 서비스 만족도 조사 및 반영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대학 도서관 사서와 이용자(교수, 학생)의 NCS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도는 교수, 사서, 학생 집단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수와 학생의 공통적인 서비스와 학생서비스 요인에 대하여 모든 집단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전문대학 도서관의 NCS 관련 서비스에 대하여 사서와 교수, 학생 모두 중요한 서비스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CS-related information service at college library in Korea. I evaluated methods by which college libraries offered information services regarding academy and job recruitment, and found out which factors they should take consideration into in compliance with NCS-based school curriculum. For the study, I conducted research on NCS-related library services at college libra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Specialized College of Korea (SCK) subsidiz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interviewed librarians and professors to check how they evaluate NCS-related library service. I chose a 15-expert group which was composed of librarians, professors at college, officers at college NCS department, and researchers on NCS-related policy. To gain meaningful results, I conducted Delphi analysis three times from March 13, 2019 to April 5, 2019. Through the analysis with experts, I made a 27-item questionnaire with 5 categories, and carried out reliability and validity confirmation through the analysis variance between groups (including one-way ANOVA) with SPSS 20.0 for Windows. Followings ar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college libraries need to manage information systematically and then offer students the information based on their academic purpose. As the library gives a variety services to departments and students, its basic job is to collect and arrang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academic department, and then provide each department with the audience-targeted information. In addition, libraries inform school and students of NCS policy, serve job-related information to students, and facilitate class-related academic resources. Second, a library’s administrative work, including budget for NCS materials, policy management for books, cooperation with NCS-affiliated organizations, and librarian workshop, need to be facilitated with the assistance of a college. Thus, it is necessary that colleges focus on managing practical courses such as an education program for library users, occupation program development, user-dominant browsing service for NCS, theme-related service for SCK, and SNC satisfaction survey. Third, it was shown that in the survey on overall awareness about NCS-related service, a group of professors ranked first, and librarians and students came second and third. It’s because the professors had alread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making several NCS-related academic programs and had realized the importance of ongoing information education. Like professors, librarians and students also regarded a library’s NCS-related service as a highly important factor that a library must have. Thus, a college library needs to interact with faculty and students to reinforc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rvice.

      •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의 자원공유에 대한 사서의 인식 연구

        여진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의 자원공유는 지역 내 더 넓은 계층의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정보와 자료,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기회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두 도서관의 상호발전을 모색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이 가지는 자원공유의 분야를 상호대차서비스, 인적자원 교류, 문화자원 교류, 향토자원 교류로 나누어 이에 관해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간 자원공유에 있어서 현황은 상호대차 서비스, 인적자원 교류, 문화자원 교류, 향토자원 교류 분야 전반에 걸쳐 보통에 가까운 활동을 보여 주고 있었다. 둘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간 자원공유에 있어서 각 분야별 인식으로는 상호대차 서비스’ 분야(3.67, 2.89)에서 두 도서관간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인적자원 교류’ 분야(3.67, 3.60), ‘문화자원 교류’ 분야(3.52, 3.19), ‘향토자원 교류’ 분야(2.95, 3.30)에서 대부분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긍정적인 반응들을 보였다. 셋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자원공유에 관한 협력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해결해야할 각 분야별 문제점으로 ‘상호대차 서비스’ 분야는 도서관 인력부족(35.4%), ‘인적자원 교류’ 분야는 열람석공간문제(31.3%), ‘문화자원 교류’ 분야는 서비스인력부족, ‘향토자원 교류’ 분야는 자료보존의 공간 문제(56.3%)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자원공유를 위한 협력 시 인력의 부족과 시설(공간)문제가 가장 먼저 선행되어져야할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의 자원공유는 우선 인적․물적 지원을 통해 가능하다. 또한 현 단계에서 가능한 상호대차서비스 부분을 일차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일차적 수준의 자원공유 사업이 활성화되고 경험이 축적된 후에 이를 보다 광역의 단위, 나아가 국가적 차원에서의 관종 간 자원공유의 협력으로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서관 자원공유에 대한 협력의 과제는 궁극적으로 ‘지역 내 있는 모든 자원’을 ‘지역 내 있는 모든 이용자’ 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여야 하며, 또한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이용자의 요구에 발맞추어 변화된 도서관인의 봉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resource sharing of a public library and a college library can be an opportunity to provide a wide range of users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programs and furthermore it can be searched to collaboration of those two libraries. In this research, it is studied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about the resources in the public and college libraries, divided into interlibrary loan service, human resource, cultural resource, and regional resource interactio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it shows that the public and college libraries generally have an average activity to share their resources including interlibrary loan service, human resource, cultural resource and regional resource. Secondly, there is the greatest gab between those two libraries in their recognitions about interlibrary loan service (3.67, 2.89) in terms of resource sharing. Also, there is a positive response of human resource (3.67, 3.60), cultural resource (3.52, 3.19), and regional resource (2.95, 3.30) sharing. Thirdly, it addresses that the main problems for each category to achieve resource sharing between the public and college libraries are a shortage of labor at the library (35.4%) in interlibrary loan service, a shortage of service labor in cultural resource sharing, and a limited space for data conservation (56.3%). Generally, a shortage of labor and facilities are the primary concer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are resources between the public and college libraries by supporting human and material resrouces. It will be ideal to develop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 firstly at the moment and it is suggested to magnify its service to the liberal corporation among public facilities in nation after the primary service advanced with accumulation of experiences in order. It is suggested that the cooperative task in the library resource sharing should ultimately increase the access to the library for all the users easily and rapidly in the area and the librarian should have voluntary service attitudes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in this rapid changing society.

      • 대학도서관의 비정규직 고용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사립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김경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7년 말의 경제위기, 대학의 조직개편, 도서관업무의 전산화 등 대학도서관 외부와 내부의 환경변화로 인하여 대학도서관에서는 정규직 대신에 임시직, 시간제, 파견근로형태의 비정규직 고용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비정규직 고용의 확산은 고용형태를 다양화시켜 근로시간이나 근로일에 제약이 있는 남녀 근로자, 고령자나 장애자, 혹은 특별한 개인적인 사정이 있는 근로자의 취업을 제고시킬 뿐만 아니라, 도서관측에서는 야간이나 주말에 고용할 수 있고, 업무량에 따른 고용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인건비의 절감을 위한 비정규직 고용확대는 오히려 고용불안정과 열악한 근로조건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정규직에 대한 문헌연구와 실태조사를 통하여 사립대학도서관에서의 비정규직 고용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비정규직 고용과 관련된 제반 이론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의 도서관계 관련 연구들을 고찰하여 도서관계의 비정규직 고용현황 및 전망, 비정규직 고용 이유 및 문제점, 비정규직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립대학도서관의 비정규직 고용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소재 4년제 사립대학도서관 중 15개관의 중간 관리자와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부수는 관리자용이 15부와 비정규직 직원용이 61부였다. / 조사결과 사립대학도서관의 비정규직 고용은 보편적인 현상으로서, 비정규직을 고용하는 이유로는 인건비 절 The growth in the number of part-time, temporary and dispatched workers in Korean libraries, instead of regular workers, has been a prevailing trends in libraries. It was caused from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such as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7, restructuring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computerization of libraries'' works. / On the one hand, by diversifying employment patterns it has merits in respects of increasing opportunities of employment for old people, disabled persons, and those who cannot take a full-time job. Also, for libraries it can make night and weekend employment easy and increase flexibility of employment according to the amounts of works. On the other hand, it can cause job insecurity and poor working conditions if it is for saving wages, rather than for diversifying working condi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atus of contingent workers and its problems in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by researching literature about contingent workers and by surveying their situations, and to suggest the ways of improvement for such problems and situations. / The major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s. / Firstly, various theories related with contingent workers, their size and legal regulations of them were reviewed by studying literature on this subject. Status and prospects of contingent workers in libraries, reasons of employing them, related problems, and affective factors for such phenomenon were examined by studying researches on libraries./ Secondly, through the survey, employment status and problems of contingent workers in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were reviewed. For the survey, 15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in Seoul were chosen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5 middle managers and 61 contingent workers. /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employment of contingent workers in private university libraries were common. Saving wages was the prime reason for that. Most contingent workers i

      • 대학도서관의 가상서점을 통한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에 관한 연구

        이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상서점은 세계적으로 1991년에 최초로 등장한 이후 계속 성장, 발전하여 이제는 빈번하게 갱신되는 광대한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기능, 도서의 상세한 소개, 이용자의 기호에 맞춘 봉사, 도서 가격의 높은 할인율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가상공간에서 국내외 도서 유통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논문은 대학도서관의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에서의 가상서점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대학도서관의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설문지법에 의하여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 관련 현황과, 해당업무 담당 사서의 외국 단행본 구입처에 대한 평가와 인식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외국도서 소장책수가 10만책 이상인 우리나라 49개 대학도서관에 설문지를 보내어, 37개 대학도서관의 응답을 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의 주요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도서관의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 담당 사서는 국내 단행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입단가가 높은 외국 단행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입할 책임을 지고 있으나, 그와 동시에 전체 수서업무의 약 42%를 수행하고 있어, 업무 부담률이 높은 편이었다. 대학도서관의 외국 단행본 구입처로는 국내 대행사와 거래하는 도서관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외국 대행사, 출판사, 가상서점의 순서였다. 국내 대행사는 업무처리와 의사소통이 편리하지만, 재고로 보유한 외국 단행본의 범위와 수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었다. 외국 대행사는 주문도서의 높은 입수율과 축적된 신뢰가 장점으로 꼽힌 반면, 도서 가격 할인율이 적고 배송료가 높다는 것이 단점으로 꼽혔다. 한편 외국 출판사에서 단행본을 직접 구입하면 수서 진행상황과 자료수집 기간, 입수여부 등이 명확하지만, 그에 따르는 사서의 업무량이 과도해지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37개 대학도서관의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를 수행하는 사서들이 가장 중시하는 점은 도서의 신속한 입수 및 높은 입수율이었다. 이는 가상서점을 통해 개선할 수 있으며, 실제 가상서점과 거래하는 대학도서관의 사서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항목이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대학도서관이 서지조사에는 가상서점을 이용하고 있었지만, 실제로 가상서점을 타 구입처와 병행하여 외국 단행본을 구입하는 대학도서관은 8개관(21.6%)뿐이었으며, 구입책수는 전체 37개관의 외국 단행본 구입책수의 3.7%에 불과하였다. 가상서점과의 최초 거래 시기가 비교적 최근이고, 절반 가량의 대학도서관이 향후 가상서점 이용을 고려하겠다고 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앞으로는 가상서점 이용이 증가할 전망이다. 그렇지만 가상서점 특유의 도서 배송 전 대금 지불 체제가 대학도서관의 기존 지불 체제인 후불제와 맞지 않고, 도서 배송료가 높다는 것은 대학도서관의 외국 단행본 구입처로서 가상서점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가상서점을 통해 외국 단행본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를 담당한 사서는 가상서점과 같은 새로운 구입 경로를 적극적으로 파악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은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 담당 사서의 업무 주도성을 보장하며, 가상서점과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도서 대금 선불 제도를 지원하고, 입찰과 같은 제도적인 제약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가상서점을 가장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용하려면, 기존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던 도서관의 법인카드나 구매카드를 도서구입에 활용하거나, 도서구입 전용의 법인카드나 구매카드를 개설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기존 외국 단행본 공급처에서 제공받는 부가적 혜택을 가상서점에서도 받을 수 있도록 모색하여야 한다. 그리고, 대학도서관의 수서 체제와, 가상서점이 제공하는 서지정보를 웹상에서 연계하여 이용자가 직접 복본을 조회하고 도서를 신청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학도서관 외국 단행본 구입업무의 편의를 도모하고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학술적 요구 충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Virtual bookstores were launched in cyberspace in 1991 and became one of the major international book-distribution channels. Virtual bookstores are characterized by large, frequently updated, bibliographic databases, powerful search functions, detailed book information, quick delivery, and user-oriented services. This thesis proposes to university libraries more effective ways of purchasing foreign books through these virtual bookstores. Questionnaires were sent to 49 university libraries, which hold more than 100,000 foreign books and run their own acquisitions departments. Thirty-seven libraries replied, and then the answers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University librarians in charge of purchasing foreign books are also burdened with 42% of all acquisitions duties. Among all channels, university libraries most often trade with domestic book agents, followed by foreign book agents, publishers, and finally virtual bookstores. Domestic book agents are the biggest suppliers of foreign books to university libraries, because it is easier to perform business and to communicate with them. The breadth and amount of stockholdings by domestic bookstores are, however, limited. Foreign book agents have a wider variety of books in stock and are believed to be more reliable, while the expensive shipping charge is a disadvantage. Direct purchases by publishers are more straightforward, but transactions are more complicated. The biggest concerns among the librarians that responded to the survey are speed and reliability in receiving the ordered titles, for which virtual bookstores might be useful. Still, only 8 university libraries(21.6%) actually purchased foreign books from virtual bookstores. Among 37 libraries, only 3.7% of the total foreign book purchases are made from virtual bookstores. University libraries, however, have started to buy from virtual bookstores fairly recently, and about 50% of libraries responding to the survey are considering using them in the future. Virtual bookstores may grow to be a bigger channel for university libraries in purchasing foreign books. But a prepayment system and high shipping charges are indicated as the most significant problems for university libraries to overcome when buying from virtual bookstores. In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following methods are suggested in building more effective acquisitions practices between university libraries and virtual bookstores. Firstly, an acquisitions librarian should try to optimize the foreign book purchase process with other acquisitions tasks under one's charge. The librarian should also continue to learn and utilize new foreign book purchase channels. Secondly,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support the prepayment system and avoid buying all foreign books through a bid system, to keep virtual bookstores as an option. A business credit card or a corporate purchase card should be issued to a foreign book purchase librarian for easier, faster and more accurate transactions with the virtual bookstores. Thirdly, virtual bookstores should include in their regulations special articles for university libraries which bear a large demand for foreign books. In addition, the acquisition system of university libraries should be conjoined with the bibliographic databases of virtual bookstores to simplify the process of foreign book purchase and to better meet the academic needs of the user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