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IMMEDIATE CONSTITUENTS ANALYSIS

        成昌燮 경북대학교 1974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법 이론은 많은 변천을 겪어 왔지만, 그 역사적인 흐름으로 보아 크게 전통문법, 구조문법, 변형생성문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들은 무장을 분석하는 데에 각기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모든 문장 분석법은 그 근거를 구성 요소에 두고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의 기본 개념은 문장이 인접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그 각 부분들이 또 두 부분으로, 이렇게 더 쪼개어질 수 없을 때까지 나누어진다는 점이다. 이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은 문장에서뿐만 아니라 단어에서도 볼 수 있다. 구조 문법의 이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은 문장 구조가 어떻게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지는가를 보는 데는 편리하지만, 모든 문장이 다 단순 서술문처럼 분할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과, 의미 요소를 다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John is easy to please."와 "John is eager to please" 사이의 의미론적 차이를 나타낼 수 없다는 약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 요소는 제외하고 표면 구조만을 다루며, 구조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는 관점에서, 직접 구성 요소가 문장의 이해에 어떻게 공헌하는가를 연구한다. 제2장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의 배경 : 구조 언어학 전통 문법에 대한 비판이 드높아졌던 1930년대에 언어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구조 언어학-이 시도되었다. 구조 언어학자들은 다른 언어에 관련을 짓지 않고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한 언어의 구조를 연구하려 했으며, "의미"는 구조 분석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았다. 구조 문법의 연구 대상 세 단계로 구분된다. 즉, 화자가 사용하는 음의 조직을 다루는 음운론, 낱말과 그 낱말의 유의미한 부분을 다루는 형태론, 그리고 낱말이 모여서 문장을 형성하는 것을 연구하는 문장론이다. 구조 문법가들의 언어관을 요약하면 음을 중시하며, 의미보다는 형태를 위주로 하고, 모든 언어는 서로 다르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고 믿으며, 문장론의 모형으로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을 사용한다. 제3장 직접 구성 요소 분석 A. 직접 구성 요소의 정의 구조(construction)란 어떤 유의미한 낱말의 집합이며, 요소(constituent)란 큰 구조 속에 포함되는 작은 구조를 말한다. 직접 구성 요소는 어떤 주어진 구조 속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요소 중 하나를 말한다. 예를 들면, "The girl in the next house bough : a dress at the store"에서 'The girl in the next house'와 'bought a dress at the store'는 각기 전체 문장의 직접 구성 요소들이다. 'the girl'은 'the girl in the next house'의 직접 구성 요소이며, 전체 문장의 직접 구성 요소는 아니다. 'bought a dress'와 'dat the store'이며, 'bought'와 'a dress'는 'bought a dress'의 직접 구성 요소이다. 그리고 'a dress'는 'a'와 'dress'로 직접 구성되어 있으며, 이처럼 더 쪼갤 수 없는 요소를 궁극 요소라 한다. 문장 분석의 과정은 각 층의 직접 구성 요소를 찾아내는 과정, 다시 말하면 직접 구성 요소를 사이의 관련성을 기술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B. 직접 구성 요소 분할 : 도형과 분할 순서 1. 도형 직접 구성 요소로 구조를 도형화하는 방법은 다양한, 그 중 대표적인 형을 들어 보면 Fries, Gleason, Stageberg, Hockett, Francis등의 도형이 있는데, 이들 중 Fries와 Stageberg와 Hockett의 도형들은 그들의 분할 순서나 모양으로 보아 유사하나, Gleason의 도형은 아주 다르다. 다시 말하면 전자는 전체에서 부분으로 분할해 나가는 반면, Gleason은 부분에서 전체로 묶어가는 식이다. 그러나 이 차이는 단순히 순서의 문제이지, 직접 구성 요소 자체에 대한 의견의 차이는 아니다. Francis의 도형은 각 궁극 요소를 하나의 테두리 속에 집어 넣은 후, 그 의에 점점 더 큰 테두리로 둘러쌈으로써 구성 요소들의 연관 상태를 잘 알아 볼 수 있도록 나타내고 있다. 2. 분할 순서 한 문장의 직접 구성 요소를 분할하는 데의 기본 원칙은 첫째, 문장 수식어와 문장 자체를 분할하고, 둘째, 문장 내에서의 주부 명사구와 술부 동사구를 분할하며, 다음은 이 구들은 다시 각 낱말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끊어 나가는 것이다. 물론 복잡한 문장을 분석해 나가는 데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된다. 그래서 어떤 문법자들은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은 핵문에 한정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C. 비단순 직접 구성 요소 1. 복식 직접 구성 요소 모든 구조는 두 개의 직접 구성 요소를 갖는 것이 원칙이다. 'foot-pound-second'와 같이 세 개의 요소를 가진 것도 있으며, 'books and pens'에서 'and'와 같이 별개의 요소로 구분되는 것도 있다. 2. 비연속 직접 구성 요소 두 개의 구성 요소가 이어져 있다는 점이 직접 구성 요소의 개념이지만, 의문문, 부정문, 목적격 관계 대명사에 이끌리는 절 등은 비연속적이다. 예를 들면 "Is John going with you?"에서 'is'와 'going'이나, "which she bought"에서 'which'와 'bought'가 'John'과 'She'를 사이에 두고 비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3. 동시성 직접 구성 요소 이것은 초분절음소에 속하는 문제로서 어조를 하나의 구성 요소로 보는 견해이다. "He is a doctor."에서 가장 먼저 문장자체와 어조(/231↓/)를 각각 하나의 구성 요소로 보고, 그 다음 문장에서의 직접 구성 요소를 분할해 나가는 것이다. D. 직접 구성 요소 분석과 구조상의 애매성 단일한 구조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이 있다. 물론 일상 구어에서는 억양이나 어조, 혹은 앞 뒤 말의 연결에 따라 쉽사리 해득이 되나, 문자화되어 있는 경우엔 이해에 혼란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The rooms of the house which seemed dirty."에서 'which seemed dirty'가 rooms'와 'house'중 어느 것을 수식하고 있는지, "They are visiting professors."에서 'visiting'이 'professors'와 'are'중 어느 것과 직접 구성 요소를 이루고 있는지, 또는 "He paints pictures and plays the violin well"에서 'well'이 'plays the violin'만을 수식하는지 양쪽을 다 꾸미는지 등의 여러 가지 애매성이 있다. 이런 구조상의 애매성은 직접 구성 요소 분석에 의해 명백히 구분되며, 특히 이것은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되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제4장 타 문장 분석법 A. Reed-Kellogg 도형 Reed-Kellogg 도형은 전통적인 분석이라 불리우며 지금까지 현장 학습에 많이 적용되어 왔다. 이 문장 분석의 기본 사상을 요약하면, 문장의 핵심요소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를 선상에 나타내어 수직선(보어는 사선)으로 구분하고 모든 수식어는 각각 피수식어에서 선 아래로 연결지워지는 것이다(그 하층 구조에서도 역시 위의 규칙은 적용된다). 이 방법은 많은 약점이 지적되는데, 그 중 한 가지를 들어 보면 "Happily he did not die"와 "He did not die happily"와 같이 분명히 다른 의미를 지닌 두 문장을 구분하여 나타낼 수 없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도형으로 나타냈을 때 문장 수식어인 앞의 'happily'와 'die'를 꾸미고 있는 뒤의 'happily'가 공통적으로 'die' 아래에 도시된다는 것이다. B. 직접 구성 요소 분석과 PS Tree "The boy gave the girl a ring."을 구조 문법의 직접 구성 요소 분석법과 변형 생성 문법의 PS Tree로 나타내어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위의 두 도형에서 순서는 반대이지만 각 구성 요소로 분할되어 나가는 것은 일치한다는 사실, 즉 두 방법은 문장이 요소들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원칙적으로 같으며, 구조가 두 갈래씩으로 분할된다는 점에서 문장 분석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제5장 결론 문법적으로 틀림이 없는 문장이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문장들이 어떻게 조직되어 있나 분석해 보면 된다. 그 분석 방법 중 한 가지로서 본 논문에서 구조주의 문법가들이 주창한 직접 구성 요소 분석을 다루었다. 한 구조를 두 직접 구성 요소로 분할할 때 그 원칙적인 순서는 1) 문장 수식어와 문장 자체, 2) 문장내에서의 주부와 술부, 3) 2)의 각 부분을 각 낱말에 이를 때까지 끊어 나가는 것이다. 이 직접 구성 요소 분석 이론은 문장에서 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구성된 단어에도 어떤 규칙성을 가지고 적용이 된다. 직접 구성요소 분석은 문장의 표면 구조만을 다루지만, 변형 생성 문법의 tree diagram은 한 문장이 어떻게 심층 구조에서 표면 주조로 생성되는가를 설명하려 한다. 그러나 이 두 방법이 모두 문장을 '구성 요소'의 관점에서 보고, 문장의 구조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사상은 공통적이다. 이런 점에서 필자는 변형 생성 문법의 tree diagram이 구조 문법의 직접 구성 요소 분석에서 유도된 것이라고 본다.

      •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문장 쓰기 학습 효과

        허진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장 쓰기가 시작되는 단계에 있는 초등 6학년 학습자들은 구두로 익힌 구문의 암기에만 의존해서 문장을 쓰고 있기에 쓰기의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학습자들은 영어로 문장을 구성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금만 변형된 새로운 문장을 표현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느낀다. 문장은 자신이 나타내고 싶은 생각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므로 기본적인 문장을 정확하고 유창하게 쓸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장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연결하고 나누고 조합하는 활동을 활용한 문장 쓰기 학습을 구안하여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 55명을 대상으로 총 26주 52시간에 걸쳐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전 평가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한 문장 쓰기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교과서의 쓰기 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사전․중간․사후 쓰기 능력 검사와 정의적 영역 설문 검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위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능력을 구성하는 평가 요소로 맞춤법, 어법, 문장 의미 면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중간, 사후 평가에서 모두 평균의 상승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문장구성요소를 이해하고 동사 중심으로 문장구성요소를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하는 활동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둘째, 정의적 영역의 평가 요소인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 면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평균의 상승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한 문장 쓰기는 학습자들이 문장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산출하도록 하여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참여도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려해 볼 수 있는 교육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교사는 학습자들이 많은 오류를 산출한다고 하여도 직접 손으로 써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 이때 문장구성요소를 이해하고, 동사와 나머지 구성요소와의 의미관계를 생각하며 구성요소를 조합하는 활동이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흥미와 자신감을 유발하는 문장 쓰기 활동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쓰기의 목적을 제공하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도록 모험시도 과제를 제시하여 학습의 초기부터 쓰기와 생각을 연결지으며 문장 구성을 원활히 함으로써, 차츰 상급학교에서의 어휘나 문법의 암기 부담을 줄여주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한 문장 쓰기 학습은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의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따라서 동사 중심의 문장구성요소 조합 활동을 활용하여 단계적으로 문장 쓰기 활동을 함으로써 문장구성능력을 증진시켜 학습자의 쓰기 능력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 실내구성요소의 중첩을 통한 빛의 표현효과를 적용한 Bar design : 인위적인 빛을 중심으로

        하혜옥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실내디자인은 종합예술로서 복잡하고 다양한 구성요소들간의 상호작용과 결합에 의해 생성된다. 빛에 의해 그 실제적 가치를 갖는 실내공간은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빛과의 적절한 결합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완벽한 공간으로 새롭게 생성된다. 따라서 실내디자인에 있어서의 빛은 공간과 형태뿐만 아니라 구조, 재료와도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공간을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디자인 요소로서의 빛은 결코 부분적인 요소의 개념이 아닌 디자인 전체를 통합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하며, 디자인 전과정을 통해 영향을 끼치는 기본적이고도 절대적인 요소로 파악해야 한다. 적어도 실내건축에 있어서 이 자극적 요소는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성의 원천이요, 도전이며, 공간 분위기를 위한 중요한 구성성분이다. 자유로운 예술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인간 삶의 내면에 숨겨진 깊은 환상과 짙은 욕망을 현실화 할 수 있는 실내건축요소인 것이다. 실내공간요소인 인위적인 빛의 역할은 과거의 경우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 생활공간이 다양해지고 개성화 됨에 따라 건축 및 실내장식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면서 인위적인 빛도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연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인위적인 빛은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실내디자인 요소이며 특히 다른 실내구성요소에 첨가되어 전체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위적인 빛의 감성적 표현가치를 현대건축의 조형방법에 적극 활용되고 있는 중첩의 개념에 접목하여 이를 실내공간 연출에 적용함으로써 인위적인 빛의 잠재된 미적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되어진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하고, 제2장에서는 실내공간구성에서 중첩에 활용될 수 있는 실내공간구성요소들을 설정하고, 이러한 요소들의 활용방법과 함께 인위적인 빛이 갖는 기능들을 기본적으로 문헌을 통해 고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내구성요소들의 중첩을 통한 빛의 표현 방법들을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3장에서는 이의 실제적인 적용사례의 하나로서 하나의 대상공간을 임의로 선정하여, ①인위적인 빛의 감성적 가치를 실내공간구성의 요소로 적극 활용하여 다양하고 풍요로운 실내공간 구성. ②인위적인 빛의 심리적 효과 및 체험의 극대화를 위해 신소재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공광원 사용. ③계획 대상지의 현황 및 주요 고객층의 트렌드, 라이프스타일을 고찰하여 도출된 개념을 프로그램과 디자인에 적극 반영 등을 기본방향으로 압구정동의 Bar공간을 계획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상의 문헌을 통한 연구와 실제 공간의 계획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빛에 의해 그 실제적 가치를 갖는 실내공간은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빛과의 적절한 결합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완벽한 공간으로 새롭게 생성되는 것이다. 빛은 공간과 형태뿐만 아니라 구조, 재료와도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디자인의 개념을 표현하는 것이다. - 디자인 요소로서의 빛은 결코 부분적인 요소의 개념이 아닌 디자인 전체를 통합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하며, 디자인 전과정을 통해 영향을 끼치는 기본적이고도 절대적인 요소로 파악해야 한다. - 인위적인 빛의 양과 질이 인간을 비롯한 다른 생명체의 감정과 정서에 깊고 다양한 영향을 끼치며, 특히 사람의 내적 심리와 외적 행동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 실내구성요소들의 중첩을 통하여 표현되어지는 인위적인 빛의 다양성은 부유, 방향성, 리듬감, 실루엣, 속도감과 역동성, 은유와 암시, 공간의 깊이감과 볼륨감 등의 언어로써 하나의 공간 안에 폭넓은 디자인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연구는 공간을 연출함에 있어 인위적인 빛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디자인 요소로서 인위적인 빛이 갖는 중요성을 일깨우고 이에 대한 창조적인 연구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라며 진행되었다. “빛을 만약 물질이라 부를 수 있다면 빛은 매우 정신적이고 활발한 (Psychoactive)재료일 것이다. 빛은 부드러울 수도 있고 단호하며 강할 수도 있다. 난 빛의 무덤덤한 순간은 생각 할 수가 없다" 라고 말한 Ingo Maurer 의 말처럼 공간을 계획하고 창조하는 디자이너로서 인위적인 빛이 갖는 잠재된 미적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고 개발해 나가는 것은 끊임없이 고민되어져야 할 과제일 것이다. Interior design is formed by interaction and combination of all elements as composite art. Interior ultimately can have real value through the light and be created by design process that each interior design element with mutual light combination. Therefore light is an important element in intimately expressing interior spaces with other elements of design such as shape, structure, color and material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We should understand the light as an essential interior element and concept synthesis that can affect the whole process of interior design. At least in interior architecture, this sensational element is the source of possibility, potentiality and important constituent for interior space. In addition, it is an ele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which makes human's illusion and desire come true with its source and free art expression. The role of artificial light in interior space has a simple purpose of lighting up the past. However, these days, there is a need of treating light in a different way as space of life diversifies by vidualization and increasing interest in interior space and architecture. Artificial light is a splendid element itself, especially by effectively maximizing the value of space with the other elemen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plan of applying value of artificial light's emotional expression adapting to the overlap of interior's elements, which is applies to in modern architecture. It consists of four chapters and the process as follows: In chapter one,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study are explained. In chapter two, after setting up what constituent elements for using overlap techniques, methods of expressing light through overlapping of interior's elements are presented. It is based on studying functions of artificial light with cases and records. In chapter three, a design of a bar in Apgujung-Dong is planed as one of the practical case that is based on this study. It is pla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omposition of various and rich interior space with emotional value of artificial light as an essential interior element, usage of various and new lighting material to maximize experience and effect the human mentality and reflecting the present status and condition of site, trend and life style of the main potential user to program and design for the bar. In chapter four, a synthetic conclusion is presented. Based on this process of the study,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nterior space can have real value through the light that is formed by intimate combination of light and other interior elements such as shape, structure, color and material. The light is an essential interior element and synthesizing concept that can affect the whole process of interior design. It is the source of possibility, potentiality and important constituent for the interior space. Quality and quantity of artificial light deeply affect the environment of the mental and behavioral human. Expressing of light through overlapping of interior elements can be come true possibility of design. These various expressions of light show a silhouette, a floating, a direction, a rhythm, a metaphor and a dynamic effect. The above mentioned plan and study apply a new attempt. The light expresses a rich interior space,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light as an interior element is realized through this project and the creative study about light could be kept up and be developed into potential value of light constantly by all designers.

      • 한옥형 호텔의 공간구성요소와 체류만족에 관한 실증분석 : 경주 보문단지 내 ‘라궁(羅宮)’의 방문객을 중심으로

        박승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전통주거인 한옥은 양옥과 비교되면서 정주하기 불편한 주택으 로 인식되었지만, 건강 및 웰빙에 대한 욕구 증대로 관심이 급증하였다. 따 라서 한옥은 정주기능 이외에 상업, 공공, 업무, 교육, 숙박 등 파생적 상품 으로 탄생하면서 가치를 재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옥을 정주기능과 파생적 기능이 융합되어 나타난 사례인 한 옥형 호텔에 대해 이용자 중심의 공간구성요인을 탐색 조사하고, 실증분석을 하여 공간구성요인과 체류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 는 경주 보문단지 내에 있는 ‘라궁호텔’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2년 12월 1 일부터 2013년 6월 2일에 걸쳐 실시한 횡단면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정성적 연구로 한옥형 호텔의 정의, 공간구성요소, 체류만족도 등과 관련하여 선행 연구 및 문헌조사를 하였다. 정량적 연구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주된 실증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패키지는 SPSS 18.0을 사용하였다. 한옥형 ‘라궁호텔’의 공간구성 변수에 대해 이용객을 대상으로 요인분 석을 실시하여 4개요인, 17개의 세부항목으로 공간구성요인을 도출하였 다. 각 요인을 ‘전통적 환경디자인 요소’, ‘전통 마감재 요소’, ‘경관 및 건축 요소’, ‘한옥 접객시설 요소’로 명명하였는데 이중 ‘전통적 환경디자인 요소’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요인분석에서 선정된 4개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체류만족)의 다중회귀분 석 결과 체류만족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경관 및 건축 요소’가 도출되었다. ‘경관 및 건축 요소’는 한옥에서 보여주는 지붕, 온돌로 구성된 객실, 조경공간 등 한옥 고유의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중요 한 요인으로, 한옥의 특징을 나타냄과 동시에 숙박시설에서 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적 사항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중회귀분석 결과 ‘경관 및 건축 요소’가 한옥형 ‘라궁호텔’의 방문목적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요인으로 판단하였다. 한옥형 호텔이 최근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개념에 대한 구체적 정의나 체 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전통가옥인 한옥과 한옥형 호텔 그리고 공간구성요소와 만족도에 관한 정의를 내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한옥형 호텔의 공간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이용객들이 느끼는 공간 구성요소와 체류만족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라궁호텔’을 사례대상지로 실증분석 하였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으나, 사례가 1개 지역에 불과하여 한옥형 호텔의 전체를 반영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앞으로 한옥형 호텔이 전국적으로 활성화 되어 더욱 많은 사례가 추가된다면 공간구성요소 에 대한 방문객들의 요구를 더욱 더 정확히 알아냄으로써 고객의 니즈를 반 영한 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한옥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통해 이제는 한옥이 거주의 공간에서 체류의 공간으로서 가치를 증대할 필요성이 있다. 이제는 한옥이전통의 유산으로서 단순 보존의 대상이 아닌 활용의 방안을 연구하였다는 의미를 지닌다. 앞으로 사회가 복잡하고 다변화되면서 한옥의 활용이 정주기능 이외에도 파생적 활용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의 활용이 예상 된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소득이 증가하고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삶 의 질과 가치가 향상됨에 따라 숙박공간이 단순한 체류를 넘어 주변 환경 속에서 삶의 질을 추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Korean Traditional Hanok recognized as a uncomfortable housing in comparison with western style housing. Recently Hanok arouse interest by health and wellbeing trend. Therefore, Hanok has been reevaluated as a rebirth of derivative product not only residential function but also public, office, education and accommodations. This study practiced exploratory factory analysis on Hanok hotel case has residential and additional function. In addition, anlyzed relation between space component and stay satisfaction. Spatial scope of this paper is limited to ‘Ragung’ in Bomun resort complex. The period of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une 2, 2013 from December 1, 2012. In other words, it is a cross-sectional area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was used in combinati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study. As a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about definition of Hanok hotel, the space components and stay satisfaction through literature study. Quantitative research was used for the main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SPSS18.0. Space component variables of Hanok style hotel ‘Ragung’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ethod and elicited 4 factor: ‘traditional environment factor’, ‘traditional material factor’, ‘landscape and architecture factor’, ‘hanok Hospitality facilities factor’. Among these factors, ‘traditional environment factor’ was the highest explanatory effect. After the multiple regression about selected four variables, ‘landscape and architecture factor’ factor was elicited statistical meaning element about stay satisfaction. ‘Landscape and architecture factor’ has essential point and meaning of Hanok and accommodations, this factor is very important element that show the roof of hanok, room of ondol, landscape space in hanok housing. After all, ‘landscape and architecture factor’ was agreed with visitor’s purpose on destin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ignificants that space component of hanok Korean traditional housing and hotel, stay satisfaction were defined systematically. Second, space componets of hanok style hotel was derived components, then relation of visitor’s stay satisfaction and space components were analyzed empir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Ragung hotel' practices were demonstrated to destination has a significant meaning, but the case site is only one in the area to reflect the whole of the hanok style hotel was the limit. Hanok style hotel is enabled in the future more cases throughout the country, if the additional space required for the components of visitors finding out more accurately reflect the needs of our customers seems to be the real plan. This study looking at the Hanok through changes in vision now living in hanok stay in space as the space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value. Now, as a simple preserve the legacy of traditional hanok not being studied ways of utilizing the has meaning. As future society diversified complicatedly, utilization range of hanok expanded residential function from housing to multiple use place. Considering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nd an increase in the income level of consciousness and high quality of life, derivative hanok value transcend not simple accommodations and to be a high quality living space. keyword : Hanok, Hanok Style Hotel, Space Component, Stay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문법교육을 위한 이야기 설계 방안 연구 :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유상미 고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고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문법교육의 내용 제시 방식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야기의 양상을 교과서와 실용 문법서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법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의 구성요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야기가 문법교육의 내용 제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한 ‘서사(敍事), 내러티브(narrative), 스토리텔링’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이야기가 무엇인지 개념을 밝히고 이야기의 교육적 의의와 문법교육에 주는 가치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문법교육의 내용제시 방법으로서 활용한다면 학습자의 흥미 유발, 문법 지식의 구조화, 문법 지식에 대한 기억과 적용의 강화 등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보았다. 3장에서는 이야기를 활용한 국어 교과서와 실용 문법서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3.1.절에서는 분석에 앞서 분석 대상과 분석 기준 설정 문제를 밝히었다. 교과서와 실용 문법서 모두 이야기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이야기의 기본적 요소인 ‘캐릭터, 사건, 배경’을 살폈고, 형식적 측면에서는‘교과서 단원 또는 실용 문법서의 체계와 표현 형식’을 살폈다. 3.2.절에서는 이야기를 활용하여 문법 내용을 단원으로 구성 한 교과서인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4종과 2011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2종의 이야기 분석 통해 교과서의 내용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드러나는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3.3.절에서는 이야기를 활용한 실용 문법서 5종을 교과서와 동일한 기준으로 분석하여 문법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이야기 구성요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의 교과서와 실용 문법서의 양상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문법교육을 위한 이야기 구성요소 방안을 구체화 하였다. 4.1.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방안을 제시하기 이전에 문법교육용 이야기 설계를 위한 전제 조건인 단어 영역의 성격과 수업 전개의 마무리 단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4.2.절에서 문법교육용 이야기의 구성요소 방안을 내용적·형식적 측면에서 요소별로 마련하였다. 문법교육용 이야기의 내용적 측면에서 캐릭터는 ‘탐험형, 영웅형, 참여형, 성장형, 수용형, 만물박사형’처럼 다양한 성향을 지니고 있어 학습자들이 쉽게 동일시 될 수 있는 14종의 캐릭터를 제안하였고, 사건의 전개는 형식차원의 액자형·피카레스크식 플롯과 내용차원의 성장·교육의 플롯처럼 교육적으로 유용한 3가지를 제안했으며, 배경은 학교처럼 구체적이면서도 친근한 곳이거나 마법의 세계처럼 낯설지만 신선한 배경을 3가지 제안했다. 형식적 측면에서 체계는 교육 목표의 달성 여부와 정도를 학습자가 스스로 점검하고 수정할 있도록 ‘읽기 전 활동 – 이야기(교사가 이야기 구성) – 개념 정리 – 학습활동 – 이야기(교사 또는 학습자가 이야기 구성)’의 체계를 제안하였고, 표현의 형식은 영상 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삽화가 있는 글과 만화 형식을 제안하였다. 4.3.절에서는 4.2.절에서 제시한 이야기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실제 문법교육용 이야기를 설계하였다.

      • 한·일·미 교과교실형 중등학교 교사공간 구성요소 비교 분석

        정동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Depending on the objective and the method of public education, the curriculums have been revised. After the 7th public education revision in 2007 and 2008, it include a systematic and concrete framework. This produces outstanding individuals adaptable to current and future society. These revisions require to change from general course + special course to the subject-class course on which student moving on each class. This change have been adapted in 2009, and the government pursue this subject-class course to be entirely extended all. Although the government attempting, the school hesitates planning and remodeling the class because of absence of rare operating pre-case. This research have purpose to produce the reference for remodeling and planning the class optimized to the subject-class course through domestic and abroad floor plan and area analysis of the subject-class course school. First chapter refers the background, purpose and scopes of this research and present rough understanding through research flow chart. Next chapter, the definition and change of public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2009 education revision are searched. Also the pros and cons of the subject-class course are analyzed. Chapter 3, this suggest the research survey plan and the current example of the subject-class course in Korea, Japan, and US are shown. Also this chapter clarify spatial interpretation and somparison of Methods. Chapter 4, the components consisting of the variation type are suggested and sorted by criteria. Next, each sorted each components in Korea, Japan and US are compared. Chapter 5, through the floor plan analysis method, this research occupying area per person on each class room sample for relative comparing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student support areas. The conclusions are bellow. The arrangements of Korea school remodeled vary. Mainly one side corridor typeand variation type+meeting room, subject block and center homebase are found. In Korea, new schools mainly have variation type+meeting room+media space, subject block and center homebase under the H-shape and ㄷ-shape arrangement and middle corridor type, one side corridor type structure. The classroom arrangement in Japan also are various. They mainly have one side corridor type structure, the some school have middle corridor type structure. Subject block consists of variation type, meeting room and media space. 4 schools are under distributed homebase and 2 schools are under center homebase. In cases of 4 schools in US, there are H-shape and ㅡ-shape under middle corridor type structure. subject block consists of variation type, meeting room and media space, with outside locker. Second conclusion, the rooms of the subject-class course school for instructor is sorted according to the subject-class course demand, in for classification; Space areas,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Student support areas, Spatial Moving areas. Space areas: variation type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meeting room, office, media space, etc,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 homebase, rounge, locker, etc, Student support areas : student union office, restroom, water foundation, etc Spatial Moving areas : corridor, stairs, elevator, etc Third, according to comparing the component of these schools, the basic overall constitutions are similar. but there are difference in name of the room and use of the space. In Space areas, depending on the lectured subject, it varies. In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is space is used for the instructor rather than students in Korea, but instructor and student share the space in Japan and US. In case of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homebase in Japan is distinguished by the use of space. this space In US is composed of locker differently from Korea and Japan. Comparing student support areas, The space in Japan seems relatively monotoneous. There are varient component in US such as snack bar or cafeteria. Spatial moving areas areas in Korea, Japan, US has common thing. And more the area in US is used for student's society activity. Fourth, the comparison of occupying area of Contemporary results that remodeled spaces in Korea and the space in Japan mainly have Space areas, rarely have Student support areas. In US there are most Spatial Moving areas and hardly spatial moving support areas. Ratio of Space areas in comparision three nation is the highest in US and lowest in Japan. Korea case has relatively more Space areas than Japan’s, this is because rearrangement of plane structure.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s most located in US, also there are many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n Japan. The case of Korea has most low ratio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e reason is difficult rearrangement due to limitation of spatial Composition. Spatial Moving areas is relatively located in newly remodeled space in Japan and US. This is because the locker is occupied at corridor in US. Student support areas is located more in US, and less in Japan. New school has more the space. Spatial Moving areas is located highly in Korea. This is because of wide corridor and one side corridor type plane structure. In US, it has lowly located for the reason why the part of plane structure of middle corridor type is used for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Fifth, occupying area per student is the highest in Japan and the lowest in Korea remodeled case. Spatial Moving areas is the largest occupying area and Student support areas is the lowest occupying area. The summary of comparison with cases in Korea, Japan and US is bellow. Occupying area per student of Spatial Moving areas is the largest in Japan, next US, newly constructed, and last remodeled space. Variation type in Japan is various. Also Variation type per student in Japan is spacious. In Korea case, areas of Variation type is more roomy which is the result of the plan for the subject-class course. Also occupying area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s large in Japan. This is because move areas in Japan is used for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e case in US is simillar to Japan case. In Korea case, There low occupying area of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this is because of limited plane structure and limitation of budget. Spatial Moving areas is the largest in Japan case , larger in Korea and lowest in US case. This is because of guidance behavior in Korea and Japan. In US case the locker is located in this areas which is different from homebase of Japan and Korea. In Japan case, the number of component of this areas is low, but the each area of the component is larger than other nation's case. The area In Korea case remodeled is larger than newly constructed. This is because the consideration of plan for convenient space for student. Spatial Moving areas is smallest in remodeled room. the areas in newly constructed space is larger than the remodeled space. The areas is most larger in Japan, this is because of the plan that when operating the subject-class course, the crowd is avoided. In US case, student support areas is shared with supplemental areas for learning in plane structure of middle corridor type . This result in the small areas occupation area. This research is for application in plan for school. It includes the comparison with floor plan of Korean remodeled, newly constructed, the classroom in Japan, the classroom in US. Domestic school is remodeled for the subject-class course. The classroom is prepared which is insufficient comparing US and Japan case. This research can be applicate for planning composition of space factors and occupying area of each student. However this paper is only limited in floor plan analysis. The more case analysis for planning the subject-class course-classroom is necessary.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와 방법도 변화하였으며 그에 따라 교육과정도 변화를 거듭해 왔고 1997년 선진형 교육을 위한 7차 교육과정 개편이 후 2007, 2009 개정을 거치면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틀이 마련되어 현재와 미래사회에 적응력을 높인 우수한 인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로 교수 및 학습공간과 운영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에 따라 기존의 일반교실+특별교실형 운영방식이 교과 전용교실을 갖추어 학생이 수업을 위해 교실을 옮겨다니는 교과교실제가 시행되는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이에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09년부터 기존학교들에 대한 교과교실형 전환이 시도 되었으며, 2014년 중․고교 전면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대대적인 확대 추친에도 불구하고 국내 학교의 교과교실제 운영사례가 극히 드물어 리모델링 및 신설 학교에 대한 계획자료가 부족한 실정으로 이들 학교 시설에 대한 대응 방안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외 교과교실형 운영학교의 평면 및 면적 분석을 통하여 신축 및 리모델링 학교의 교과교실형 운영 계획을 위한 자료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범위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 흐름도를 통해 본 연구의 계략적 흐름을 파악한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문헌 조사를 통하여 교육과정의 정의와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2009 교육과정 개편 내용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학교 운영방식에 대한 조사와 교과교실형 운영방식의 정의 및 장․단점, 특징을 정리 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계획에 대한 구체적 서술로 연구 및 조사 계획을 제시하고 한국, 일본, 미국 조사대상 교과교실형 중등학교의 일반적 현황을 정리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공간의 해석 및 분석 방법을 제시 하였다. 4장에서는 교과교실형 중등학교의 공간 구성요소를 분류하고 이 요소들을 영역별로 재분류하여 한국, 일본, 미국 교과교실형 중등학교를 영역별 요소비교를 하였다. 5장에서는 평면 자료 분석을 통하여 조사대상 학교의 공간이용관련, 교과학습지원, 공간이동지원, 학생편의지원, 공간이동관련 영역별 상대적 비교를 위해 면적 비율 분석을 하였으며 학생 1인 점유 면적 비교를 위해 이들 영역별 공간에 대한 학생수별 점유 면적을 분석을 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리모델링 중등학교는 다양한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편복도형 구조와 교과교실+교과협의실의 교과블록 및 중앙집중형 배치의 홈베이스를 이루고 있다. 국내 신설 중등학교는 H형, ㄷ형의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중복도형, 편복도형의 구조와 교과교실+교사연구실+교과미디어의 교과블록 및 분산형 배치의 홈베이스를 이루고 있다. 일본 중등학교는 다양한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편복도형의 구조를 갖고 있고 일부 중복도형 구조를 갖고 있다. 교과블록의 경우 교과교실+교과협의실+교과미디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홈베이스는 분산형 4개교, 중앙집중형 2개교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미국 중등학교 4개교의 경우 H형, ㅡ형의 배치 유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중복도형의 구조를 갖고 있다. 교과블록은 교과교실+교과협의실+교과미디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락커가 복도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과교실형 중등학교 교사공간은 교과과실제의 소요공간 요구 및 활동에 따라 공간이용관련영역, 교과학습지원영역, 공간이동지원영역, 학생편의지원영역, 공간이동관련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들 영역의 요소를 보면 공간이용관련영역은 교과교실, 교과학습지원영역은 교과협의실, 교과준비실, 교과미디어 등, 공간이동지원영역은 홈베이스, 라운지, 락커 등, 학생편의지원영역은 학생회실, 화장실, 음수대 등, 공간이동관련영역은 복도, 계단, 승강구 등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셋째, 이상의 영역들의 중심으로 조사대상학교의 요소를 비교한 결과 공간구성 요소의 기본적인 틀은 유사하지만 명칭의 차이와 학생들의 생활 관리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주를 이룬다. 공간이용관련영역의 경우 교과목 종류에 따른 교과교실의 종류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교과학습지원영역의 경우 국내는 학생이용 보다는 교사의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요소의 비중이 높으며 일본과 미국은 학생과 교사가 사용하는 요소가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의 경우 국내와 일본은 생활관리에 의한 홈베이스의 구별이 확실하며 미국은 국내와 일본과는 다른 락커라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의 경우 일본이 비교적 단조로운 요소를 보이며 미국은 스낵코너 및 카페테리아 등 다양한 요소를 보인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의 경우 한․일․미 모두 유사함을 보이지만 활용면에 있어 미국은 단체활동이나 서클활동, 예술 창작활동 등 다양한 활동의 장소로 이용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영역별 면적 분석을 위해 영역별 점유면적을 상대적 비교를 한 결과 국내 리모델링은 공간이용관련영역 비율이 높고 학생편의지원영역은 낮으며, 국내 신설은 공간이동관련영역이 높고 학생편의지원영역이 낮으며, 일본은 공간이동관련영역이 높고 학생편의지원영역이 낮으며, 미국은 공간이용관련영역이 높고 공간이동지원영역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 비교를 보면 공간이용관련영역은 미국이 가장 높은 점유 비율을 나타내고 일본이 가장 낮은 점유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지만 이는 단순한 평면구조의 재배치 이유로 판단된다. 교과학습지원영역은 미국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일본도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점유비율을 보이는데 이는 평면구성의 제약에 따른 재배치의 어려움 때문으로 판단된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은 일본, 한국 신설, 리모델링이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유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생활지도의 차이로 판단되며 미국의 경우 복도에 일부에 락커를 배치하는 정도의 이용 특성 때문으로 판단된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은 미국이 가장 높은 점유 비율을 나타내며 일본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낸다. 국내의 경우 신설학교 계획시 다소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은 국내 신설학교가 가장 높은 점유비율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이동을 위한 넓은 복도와 편복도형 평면구조로 인한 이유로 판단되며, 미국의 경우 비교적 낮은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중복도형의 평면구조와 복도의 일부를 교과학습지원영역으로 활용하는 이유로 판단된다. 다섯째, 학생수별 점유면적을 보면 전체적으로 학생 1인당 점유 면적이 일본이 가장 높으며, 국내 리모델링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는 공간이용관련영역이 제일 높은 점유 면적을 갖으며 학생편의지원영역이 가장 낮고 한․일․미 조사대상학교를 영역별로 비교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공간이용관련영역의 학생 1인당 점유면적은 일본이 가장 높고 미국, 국내신설, 리모델링 순으로 점유 면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교과교실의 다양성과 더불어 학생 수 대비 교과교실의 면적이 넓은 것을 알 수 있으며 국내는 신설에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초기 계획시 교과교실제를 위한 계획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교과학습지원영역 역시 일본이 가장 높은 점유면적을 보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넓은 점유 면적을 보이는 일본은 다양한 교과학습지원 요소와 이동영역을 교과학습지원영역으로 사용함에 따른 이유로 판단되며, 미국 역시 일본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점유 면적을 보이는데 이는 제한적 평면 구조와 예산의 제약 때문으로 판단된다. 공간이동지원영역은 일본이 가장 높은 점유 면적을 보이며, 미국이 가장 낮은 점유 면적을 나타낸다. 일본과 국내의 경우 생활지도 때문에 미국에 비해 넓은 점유 면적을 보이며 미국은 국내와 일본의 홈베이스와는 다른 락커를 복도에 배치하는 특징 때문으로 판단된다. 학생편의지원영역은 일본이 가장 넓은 점유 면적을 갖고 미국 역시 국내에 비해 넓은 점유면적을 갖는다. 일본의 경우 이 영역의 요소가 적은 특징을 보였으나 적은요소에서도 학생이 사용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넓음을 알 수 있다. 국내의 경우 리모델링에 비해 신설의 점유 면적이 넓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리모델링의 제한적 평면구조에서 벗어나 학생 생활 지원을 위한 편의 공간요소를 학교계획시 반영한 결과로 판단된다. 공간이동관련영역은 국내 리모델링이 가장 좁은 면적을 갖고 신설이 리모델링에 비해 넓어짐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우 가장 넓은 점유면적을 보이는데 이는 학교 계획 초기부터 교과교실제 운영을 위해 이동시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미국은 중복도형의 평면구조와 복도에 학생편의지원 및 교과학습지원공간과 공유되어 다소 좁은 점유 면적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실제 실시에 따른 교사공간 계획자료 도출을 위하여 국내 리모델링 및 신설 학교와 일본 및 미국 학교의 평면자료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교과교실형 중등학교는 리모델링을 거쳐 신설 계획되면서 공간영역의 구성이 정비 되었지만 교과교실제가 선 시행된 일본 및 미국 학교에 비해 아직은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공간 구성 요소 및 영역별 면적 구성, 학생 1인 점유 면적의 정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일부 학교의 평면자료 분석만으로 연구하였으므로 분석의 양이 미흡하다 할 수 있다. 앞으로 더 많은 교과교실형 중등학교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교과교실형 교육공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무인항공기와 구성요소의 한·미 비확산 수출통제 비교 연구

        최시명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높아진 무인항공기 기술의 발전에 대한 안보적 위험에 대하여 분석하고, 무인항공기 그리고 구성요소와 관련된 한국의 비확산 수출통제 제도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포괄적이고 다양한 성격을 지닌 요인 및 변수들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분석틀을 제시한 Sabatier와 Mazmanian의 정책집행과정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무인항공기와 구성요소의 비확산 수출통제를 비교분석하였다. Sabatier와 Mazmanian의 정책집행과정모형을 바탕으로, 한국과 미국의 비확산 수출통제와 관련된 법령, 담당기구의 법적권한 및 국제 레짐에서 통제하지 않는 독자 통제 품목에 대한 기술적 수준 및 세계 시장 점유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무인항공기와 구성요소에 대한 수출통제 정책집행의 과정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Sabatier와 Mazmanian의 분석논리를 적용해 본 결과와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은 모든 통제 품목에 대해 재수출 법령이 마련되어 있는 반면, 한국은 탑재중량 500 kg 이상, 사거리 300 km 이상을 운반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와 이러한 무인항공기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재수출을 규제할 수 있는 법적장치가 없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한국은 우려거래자가 제3국을 통하여 한국의 무인항공기와 가스터빈엔진 등을 포함한 70여개의 구성요소를 획득하려는 경우, 이를 차단할 법적 장치가 없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재수출 법령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미국은 두 개 이상의 복수의 국제 레짐에서 통제하는 품목의 통제 기술사양을 충실히 법령에 반영한 반면, 한국은 통제 기술사양을 충실히 반영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두 개 이상의 국제 레짐에서 통제하는 무인항공기와 26개의 무인항공기 구성요소는 허가면제 불인정, 수출허가 시 불필요한 허가 사유 확인 등으로 인해 무역거래자와 담당 행정관의 불필요한 행정적인 부담을 초래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수출통제 법령에 두 개 이상의 국제 레짐에서 통제하는 무인항공기와 구성요소의 통제 기술사양의 충실한 반영이 필요하다. 셋째, 무인항공기와 구성요소의 독자 통제 품목의 경우, 미국은 자국 내 생산성과 기술력이 높아 통제 실효성이 있는 반면, 한국은 개발 초기 단계에 있는 기술로 통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밝혔다. 따라서 한국의 기술수준과 시장성을 고려하여 독자 통제 품목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한국과 미국은 국제 레짐에서 통제하는 통제사유 이외에 독자적 통제 사유를 바탕으로 우려거래자에 대한 수출통제 강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무인항공기와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미국의 독자적 통제 사유는 AT(반테러) 70개, RS(지역안정) 17개, CC(범죄통제) 1개이며, 한국의 경우 AT의 사유로 7개의 독자적 통제사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우려거래자와의 엄격한 거래 차단을 위하여 안보적으로 민감한 품목에 대한 독자적 통제사유의 추가가 필요하다. 다섯째, 미국의 경우 무인항공기 관련 열 배터리 등 11건의 일부 안보적으로 비민감한 군사 전용 물품에 대해 상무부가 허가를 담당하고 있어, 군사 전용 품목임에도 불구하고 단일선적(LVS) 등 일부 허가 면제를 허용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무인항공기와 관련된 모든 군사 전용 품목은 방위사업청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허가 면제 기준이 적용되지 않아 무역거래자에 행정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전략물자 판정 등 일부 행정적 절차를 방위사업청과 산업통상자원부, 두 기관에서 담당하고 있어 무역거래자와 담당행정관에 행정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일부 비민감 군사 전용 품목을 민간 통제물품 리스트로 이관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미국의 수출통제법령에 터보제트엔진과 관련된 허가는 우호적(Favorable)이라고 명시되어 있는 등 일부 거래 품목과 거래 국가에 따라 허가 가능성에 대해 명확히 명시되어 있다. 반면, 한국 법령에는 수출 허가의 가능성에 대해서 명확히 알 수 없어, 입찰 등 허가 가능성을 미리 확인해야하는 상황에 놓인 무역거래자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측면이 있다는 점을 밝혔다. 따라서 미국과 같이 일부 품목과 대상 국가에 대해 수출허가 가능 여부를 법령에 명확히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미국은 선량한 민간 용도의 거래에 대하여 특정 금액 이하의 단일선적(LVS), 안보적 우려도가 낮은 국가에 대한 허가 면제(GBS), 민간인이 민간용으로 사용할 목적의 경우 허가 면제(CIV) 및 국가도표(CCC)에 의하여 국가별 허가 면제 등 다양한 허가 면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반면, 한국은 특정 금액 이하의 선적에 대해서만 허가 면제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로 인해 미국의 경우, 무인항공기와 구성요소 중 25개가 허가 면제가 적용되는 반면, 한국은 모터의 완결성 검사 장비 및 자이로 또는 각속도 센서 2가지 품목에만 한정되어 적용된다. 따라서 미국과 같이 안보우려도가 낮은 거래자와의 선량한 민간용도의 거래에 대한 허가 면제 확대에 관한 법령 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무인항공기 시험 생산 장비, 공기열역학 시험 장비, 레이더 반사율 경감 부품 및 일부 추진체 등 국제 레짐에서 통제하는 일부 물품을 특별한 사유 없이 통제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밝혔고, 국제 레짐에서 통제하지만 특별한 사유 없이 한국 법령에 반영하지 않은 통제 품목의 반영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security risks about the advance of UAV(Unmanned Aerial Vehicle) technologies and researche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non-proliferation export control systems in Korea related to UAV and its elements.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on-proliferation export control system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provide insight, and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model of Sabatier and Mazmanian is used to analyze the resulting difference in policy effects as the analysis frame is presented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factors and variables with comprehensive and divers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model of Sabatier and Mazmanian, the act of law concerning export control, the legal authority of organization in charge and the technical level and global market share of independently controlled items not controlled by international regim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for UAV and its elements a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pplying the analysis logic of Sabatier and Mazmanian, this paper draw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irst, U.S. have legal mechanisms to prevent indirect exports through third countries, while Korea has no legal mechanisms to regulate re-export except UAVs capable of delivering at least a 500 kg payload to a range of at least 300 km and elements specially designed for those UAVs. Therefore, if traders who can use UAVs as a weapon seek to acquire controlled UAV and more than seventeen controlled its elements such as gas turbine engines through a third country, there is no legal mechanism to block th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re-export statute to block bypass exports through third countries. Second, the controlled UAV and controlled seventy its elements are controlled by two or more regimes, and Korea has not faithfully reflected the control specifications set by the international regimes, this results that some strategic material items are not subject to license exceptions and the export administrators review duplicate permi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aithfully reflect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of control of items controlled by multiple international regimes. Third, this paper reveals that independently controlled items in Korea not controlled by international regimes concerning UAV and its elements such as balancing machines, vibration test systems and flow forming machines, spin forming machines are rarely produced in Korea, so export control of these tiems has no effec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independently controlled items,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independent controlled items of UAVs and its elements considering the nation's export performance and technical level. Fourth, the standards of export license approval for items controlled by the international regimes are uniform for all traders without considering security risks, unlike the United States, and therefore strict export licensing standards for traders with high security risks are necessary. Fifth, in the U.S., the Department of Commerce is in charge of licensing eleven non-sensitive military-only items, such as heat batteries, and license exceptions are applied, such as LVS, even though they are classified as military-only in the international regimes, but in the case of Korea, all military-only items related to UAV are handled by two agencies,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and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o the traders should clarify procedures related to export approval for both agencies and the approval exceptions are not applied, thus posing an administrative burden to trade trad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nsfer low-sensitive military-only controlled UAV and controlled UAV related to elements to the dual- use control lists. Sixth, while the U.S. export administration regulations clearly states the possibility of licensing, depending on some trading items. For example, turbojet engines are stated as favorable for export approval. However, the Korean statute does not clearly inform the possibility of export licenses approval for every cases, which would be disadvantageous to traders. Therefore, statutes needs to clearly state whether export permits are available to some items and target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Seventh, twenty-five components of its elements are exempt from U.S. export approval for the reasons of shipments of limited value (LVS), shipments to country group B countries (GBS), civil end-users (CIV), but only LVS permit exemption system exists in Korea for some items, and even this applies only to two items of motor integrity inspection equipment and gyro or angular rate sens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decree on the expansion of licensing exceptions for civil-purpose transactions of controlled items. Finally, Korea does not control some items controlled by international regimes, such production equipment aero thermodynamic test facilities, devices for reduced observables, propellants and constituent chemicals for propellants without special reasons, so it is needed to reflect the controlled items controlled by international regimes.

      • VMD 구성요소의 선호도와 개인화 서비스 중요도 인식이 옴니채널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럭셔리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양숙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만의 특징적인 VMD 구성요소와 개인화 서비스를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VMD 기능으로 새롭게 확장하여 옴니채 널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측정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중 심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럭셔리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VMD 구성요소의 선호도 및 개인화 서비스 의 중요성 인식이 옴니채널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시사점 을 도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 있는 럭셔리 플래그쉽 스 토어를 방문한 20∼30대 여성 옴니채널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 다. 수집된 응답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공간적 VMD 구성요소의 선호도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예술성/조형성 요인, 디지털 미디어 활용 요인, 심플 인테리어 요인의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요인 들은 종속변수인 20∼30대 여성 옴니채널 소비자의 탐색행동에는 디지털 미디어 활 용 요인과 심플인테리어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오늘날 소 비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경험과 간결하면서도 기능적인 인테리어 디자인을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방문의도에서는 예술성/조형성 요인, 디지털 미디어 활용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예술성/조형성 요인은 재방문 의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옴니채널 소비자들이 예술적 감각과 창의적인 디자인을 중시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공유의도에서는 디지털 미디 어 활용 요인, 예술성/조형성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에서 공유하고 싶은 독특하고 새로운 디지털 경험이나 예술적 요소를 중시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연출적 VMD 구성요소의 선호도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트렌드 제시 연출 요인, 브랜드 개성 표현 연출 요인, 쇼핑 편리성을 위한 진열 요인의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요인들은 종속변수인 20∼30대 여성 옴니채널 소비자의 탐색행동에 는 트렌드 제시 연출 요인, 쇼핑 편리성을 위한 진열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확인되어, 소비자들이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는 상품 연출과 쇼핑 과정의 편리함을 중시한다는 것을 말한다. 재방문의도에서는 브랜드 개성 표현 연출 요인, 트렌드 제시 연출 요인, 쇼핑 편리성을 위한 진열의 순으로 3개의 요인 모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브랜드의 개성과 트렌드, 그리고 쇼핑 편의성이 소비자들이 매장을 다시 방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유 의도에는 브랜드 개성 표현 연출 요인, 트렌드 제시 연출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옴니채널 소비자들이 개성있는 브랜드 연출과 최신 트렌드를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서비스적 VMD 구성요소의 선호도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전시 관람 제공 서비스 요인, 인증샷 촬영 공간 제공 서비스 요인의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요인들은 종속변수인 20∼30대 여성 옴니채널 소비자의 탐색행동에는 인증샷 촬영 공간 제공 서비스 요인, 전시 관람 제공 서비스 요인의 순으로 2개의 요인 모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쇼핑 경험 중에 예술적 요소와 사진 촬영이 가능한 공간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방문의도에서 도 전시 관람 제공 서비스 요인, 인증샷 촬영 공간 제공 서비스 요인의 순으로 2개 의 요인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옴니채널 소비자들이 브 랜드 경험을 통해 예술적 가치를 느끼고, 이를 촬영하는 공간을 제공 받는 것이 매 장을 재방문하고 싶은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공유의도에서는 인증샷 촬 영 공간 제공 요인, 전시 관람 제공 서비스 요인의 순으로 2개의 요인 모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어, 옴니채널 소비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쇼핑 경험을 공유하고 싶어하고, 특히 예술적 요소와 개성이 강조된 공간에서의 경 험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개인화 서비스의 중요도 인식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VR, AR 제공 서비스 요인, 스타일링 제안 서비스 요인의 2개의 요인이 추출 되었다. 이 요인들은 종속변수인 옴니채널 소비자의 탐색 행동에 VR, AR 제공 서 비스 요인, 스타일링 제안 서비스 요인의 순으로 2개의 요인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20∼30대 여성 옴니채널 소비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상품 경험과 개인 맞춤형 스타일링 제안에 큰 관심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재방문의도에서도 VR, AR 제공 서비스 요인, 스타일링 제안 서비스 요인의 순으로 2개의 요인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VR, AR 제공 서비스 요인은 옴니채널 소비자들에게 더 몰입감 있는 쇼핑 경험을 제공하며, 스타일링 제 안 서비스 요인은 개인적인 취향과 요구에 맞는 제품 추천으로 구매 결정을 유도하 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유의도에서는 VR, AR 제공 서비스 요인에서만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 이는 옴니채널 소비자들이 새롭고 혁신적인 쇼핑 경험을 소셜 미디어 를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VMD 구성요소를 럭셔리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에서의 최근 가 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인 예술적인 표현 양상과 소비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마케팅 공간으로 예술적 표현과 창의적인 연출은 소비자의 매장 방문 경험을 풍부 하게 하며, 브랜드 이미지와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이 되는 공간적 요 소와 연출적 요소, 그리고 소비자 참여를 촉진하고, 매장 방문을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경험으로 만드는 서비스적 요소를 연구하였다. 또한, 개인화 서비스를 VMD의 기능으로 확장하여 VR, AR 등의 최신 기술을 활용한 럭셔리 패션 플래그쉽 스토 어에서 VMD 영역에서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로 새롭게 연구하였다. 이는 플래그쉽 스토어를 단순한 상품 전시의 장소가 아닌, 브랜드 스토리텔링과 고객 참여의 공간 으로 전환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패션 기업들은 플래그쉽 스토어의 VMD 전략을 통해 브랜드의 차별화와 전문성을 강화하고, 소비자와의 강력한 연결 을 구축해야 한다. 이는 브랜드 인지도 향상, 고객 충성도 증진, 그리고 최종적으로 는 매출 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이에 VMD 구성요소와 개인화 서비스는 옴니채널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마케팅적 주요한 변인임을 검증하였다는데 학문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이를 반영하여, 패션 기업들은 플래그쉽 스토어를 적 극적으로 활용하여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제 공하는 공간으로서 차별화와 전문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Key words : 럭셔리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VMD 구성요소, 개인화 서비 스, 옴니채널 소비자 구매행동

      •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에 나타난 전통재현 특성

        이송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domestic garden exposition is being cultural-driven to revitalize the underdeveloped areas, and the garden for exhibitions involving experts from related fields is being conducted as a major key program. In the process of creating such a garden for artists, there are a number of traditional-themed works, including various designs including traditional Jeongja and Bangjiwondo. The artist's garden displayed at the garden exposition is given a small area less than the minimum area standard of the children's park and has a limited space function in an urbanized environment. Considering the ripple effect of public exposure to the garden exposition, information on traditional culture is crucia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ositive direction for traditional representation design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presentation to the artist’s garden of the garden expos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1 artist gardens where traditional elements were physically created by setting traditional themes, among the 298 artists’ gardens exhibited at the garden exposition from 2010 to 2019. They are ‘The Sun on the corner’(2015), ‘The Talking Quickset door, Dreaming Wall’ (2015), ‘Da Yeon-enjoy with drinking tea’ (2015), ‘Generation after generation -Seoul Artisan Garden’ (2015), ‘the Landscape Growth (2016)’, ‘You and Me and Everyone’ (2017), ‘the Garden of the Blank, the staying Empty Place’ (2017) from the Seoul Garden Exposition, ‘The Story of the Madang, and Beyond the Wall’ (2010), ‘the Borders to communicate with the garden_Wool’ (2017) from the Gyeonggi Garden Culture Exposition, ‘Korean Traditional kitchen Garden’ (2013), ‘Korean Garden’ (2013), ‘Suwon Garden’ (2013), ‘Slow Garden of a Sunbi’ (2013), ‘Seokgasan Garden’ (2013), ‘Jangdokdae Garden’ (2014), and ‘Walled garden’ (2014) from the Suncheon Bay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Reunion with Forgotten Things, Ryu Won’ (2018), ‘Meeting and Hope’ (2018), ‘Pungryu Garden; Second Month’ (2018) from the Taehwa River Garden Exposition in Ulsan, ‘Jikji Simche Garden’ (2018) and ‘Smile of Cheongju-Misowon’ (2019) at the Cheongju gardening festival. In order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enactment, this study set the process of specifying the design of the target site in four stages: Design Objective → Selection of the target site → Decision on the method of reproduction → Design of space composition and landscape components. Based on the information shown in Seoul Garden Expo white book (2015∼2019), Gyeonggi Garden Culture Expo history book (2010∼2019), Taehwa River Garden Expo white book (2018), exposition website, media (Lafent, Landscape Newspaper, Blog), the literature survey analyzed the design intent of each work, the object of reproduction, and the method of reproduction. Space composition and detailed landscape composition were considered through field surveys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three-dimensional realization of the designer's work. The study drew the following results: The first stage organizes the author's 'design intent' through data provided to the media to maintain an objective view of the research. Works that use tradition as their main purpose expressed their design intent by expressing traditional elements that are subject to reproduction, such as ‘Korean Traditional kitchen Garden’, ‘Seokgasan Garden’, and ‘Jangdokdae Garden’, while works that use tradition as an auxiliary means introduce "traditional window pattern" in "Dayeon-tea-Enjoying" or "Warm Sun" in the corner. Works that used tradition as an auxiliary means used traditional components as an aid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artist. For example, introducing ‘Traditional grate’ in ‘Da Yeon-enjoy with drinking tea’, or the place where the warm sun shines is compared to Aeyangdan in ‘The Sun on the corner’. In the second stage, the 'target of reproduction' chosen to express the design intent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raditional concepts and ideas' targeting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landscape styles, principles and values, 'traditional spaces' including traditional layout concepts and composition methods, and 'traditional components', which are physical components related to tradition. The works, which are subject to traditional concepts and ideas, are ‘Slow Garden of a Sunbi’, ’Pungryu Garden; Second Month’ and ‘Generation after generation -Seoul Artisan Garden’. There are eight works selected for traditional spaces, including ‘Korean Garden’, and 10 works selected for traditional components, including ‘Seokgasan Garden’. Selecting the object of this reproduction should involve an advanced understanding of tradition, and even the space and elements of the object to be reproduced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there is a tendency to reproduce traditional spaces and traditional components that are relatively easy to reproduce. The third stage is "Methods of representation" which identifies how the designer decided the form of the artist's garden. The straightforward method is a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landscape, which was reproduced with the meaning of imitating or embodying it, and appeared in six artist gardens, including ‘Korean Traditional kitchen Garden’ and traditional objects, which are mainly easy to implement physically, are reproduced in the artist's garden. The abstract method is the method of creating an image close to the landscape of the circular by modifying part of the appearance, and the disassembling method is the method of separating and reconstructing the traditional form to create a new image. Abstract and disorganized reproduction correspond to works that have been partially altered or reconstructed into new images by the author, and 15 of the 21 artist gardens, which are the most of works including ‘Suwon Garden’, have been selected to transform and reinterpret the subjects of reproduction. The final fourth steps of the traditional reenactment are to examine stereoscopic results of the designer's work. As an analysis item that can be identified on the spot, most of the artist's gardens were created as exhibition and rest area functions where visitors can stay and appreciate works. In addition, the external connection type as a space type is a work that is made as an open space in the face of the main visitor circulation and reflects the locality of the hosting area as shown in ‘The Story of the Madang, and Beyond the Wall’ or the works that utilizes the slope of the garden exhibition hall, such as ‘Suwon Garden’ and ‘Korean Garden’. The interior completion type includes 15 works, including ‘Korean Traditional kitchen Garden’, and limited the space to focus on the exhibits by creating a space with shielding elements such as flower walls, ornamental walls, Quickset door, wood galleries and art walls. The detailed facilities that make up the landscape of the artist's garden appear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entrance facilities, screening facilities, pavement facilities, hydroponic facilities, landscaping structures, resting facilities, point facilities. It was focused on the point facilities to express the artist's intention and the identity of the work, the covering facility for space classification and the resting facility for the convenience of visitors. In terms of materials, in the artist's garden which chose abstract method and deconstructed method, showed the natural materials of stone, steel, and fabric were combined with other materials such as concrete structure or stainless steel, as well as classical tradition materials. Lastly, based on the current issues of traditional represen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s garden of the garden exposition, the perspectives of analyzing the information organized by each work drew four implications: traditional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the subject suitability of the work, the consistency of the reproduction process, and the suitability of the design expression. First of all, th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 was examined in both form and meaning to see whether the author'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of reproduction and the elements of landscape has been fully researched. In terms of formalit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 of reproduction and the scale and appearance in three artist gardens, including ‘The Story of the Madang, and Beyond the Wall’. In terms of meaning, it was used as aid of foreseeing method to the artist's intention of design rather than the meaning of the object of reproduction in three works, including ‘The Sun on the corner’. The suitability of the title and theme of the work was examined on the aspect of the title of the work, which depends on the design intent. In the name of a works that reveals the design intent of tradition such as ‘Seokgasan Garden’ and ‘Korean Traditional kitchen Garden’, it is possible to clearly convey the theme and design intention and works of abstract expression, also the works of abstract expression such as ‘The Sun on the corner’ and ‘the Landscape Growth’ can be expected of the content and the elements of tradition are used as an auxiliary means. In the consistency of the traditional reenactment process, the direct reproduction is advantageous in maintaining consistency and effective in conveying accurate information to visitor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garden exposition, many abstract and disassembled works of reproduction have emerged, and if they can be embodied in the center of structures and facilities, the meaning could be delivered successfully. In addition, if the reproducibility process fails to satisfy consistency, it should not be recognized as a failed garden and should be recognized as a consideration in terms of theme consistency and semantics. In the artist's garden, the design expression of tradition is drawn up as a drawing through flat-panel design and depicted on the actual site through construction. First, from the spatial aspect, the author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the garden exposition and chooses external connection and internal completeness depending on the spatial function. Works with an emphasis on resting functions, such as ‘The Story of the Madang, and Beyond the Wall’, selected an external connection type to allow visitors to rest in the work and extend their stay, while works with an emphasis on exhibition functions such as ‘Slow Garden of a Sunbi’ and ‘the Landscape Growth’ selected an internal completion type to focus on the object of the work.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w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exhibition artist gardens and that they appear in a variety of design methods and experimental aspect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elements that are commonly known. This study suggests imprinting the diversity of Korean gardens and the right perception of garden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lead to various and interesting works on landscape design with the theme of tradition in the future. 국내 정원박람회는 낙후된 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문화 주도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시를 위한 정원을 주요 핵심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작가정원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전통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다수 있으며, 여기에는 전통정자와 방지원도 이외의 다양한 디자인이 있다. 정원박람회에 출품되는 작가정원은 어린이공원의 최소 면적 기준에도 못 미치는 작은 면적이 부여되며, 도시화된 환경에서 제한된 공간기능을 가진다. 정원박람회를 방문한 대중에게 노출되는 파급력을 고려한다면 전통문화에 대한 정보의 전달기능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의 작가정원을 대상으로 전통재현의 특성을 도출하여 전통재현 디자인에 대한 긍정적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정원박람회에 출품된 작가정원 중에서 전통의 범주에 해당하는 전통개념 및 사상, 전통공간, 전통구성요소를 현재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작품 21개를 선정하였다. 서울정원박람회의 ‘모퉁이에 비추인 태양’(2015), ‘말하는 취병, 꿈꾸는 담장’(2015), ‘다연-차를 마시며 즐기다’(2015), ‘대대손손-서울 장인 정원’(2015), ‘풍경의 증식’(2016), ‘You and Me and Everyone’(2017), ‘여백의 정원, 우리가 머무는 빈자리’(2017), 경기정원문화박람회의 ‘마당, 그리고 담 너머 이야기’(2010), ‘정원으로 교감하는 경계_울’(2017),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의 ‘한국의 부뚜막 정원’(2013), ‘한국정원’(2013), ‘수원의 정원’(2013), ‘어느 선비의 느린 정원’(2013), ‘석가산 정원’(2013), ‘장독대 정원’(2014), ‘Walled gareden’(2014), 울산 태화강 정원박람회의 ‘잊혀진 것들과의 재회, 류원’(2018), ‘만남 그리고 희망’(2018), ‘풍류정원; 두 번째 달’(2018), 청주 가드닝 페스티벌의 ‘직지심체정원’(2018), ‘청주의 미소-미소원’(2019)이다. 본 연구는 전통재현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작가정원 설계가들이 전통을 테마로 선정한 후 대상지의 디자인을 구체화하는 작업 과정을 ‘설계 목표 수립 → 전통재현의 대상 선정 → 재현의 방법 결정 → 공간구성 및 경관구성요소 디자인’이라는 네 개의 단계로 설정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서울 정원박람회 백서(2015∼2019), 경기 정원문화박람회 히스토리북(2010∼2019), 태화강 정원박람회 백서(2018), 박람회 홈페이지, 미디어(라펜트, 조경신문, 블로그)에 나타난 정보를 바탕으로 작품별 설계의도와 재현의 대상, 재현의 방법을 분석하였다. 설계가의 작업을 입체적으로 실현한 결과물을 고찰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통해서 공간구성과 세부 경관구성요소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연구의 객관적 관점을 견지하기 위하여 매체 등에 제공한 자료를 통해서 작가의 ‘설계 의도’를 정리한다. 전통을 주된 목적으로 이용하는 작품은 ‘한국의 부뚜막 정원’, ‘한국정원’, ‘석가산 정원’, ‘장독대 정원’과 같이 재현의 대상이 되는 전통구성요소를 핵심시설로 표현하여 설계의도를 나타냈으며, 전통을 보조수단으로 이용한 작품은 ‘다연-차를 마시며 즐기다’에서 ‘전통창살 문양’을 도입하거나, ‘모퉁이에 비추인 태양’에서 따뜻한 태양이 비추는 곳을 ‘애양단’으로 비유한 것과 같이 작가의 정체성 표현을 위한 보조수단으로써 전통구성요소를 활용하였다. 2단계로서 설계 의도를 표현하기 위해서 선택한 ‘재현의 대상’은 조경양식이나 원리, 가치관 등의 제반 특성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개념 및 사상’, 전통의 배치개념과 구성방식을 포함한 ‘전통공간’, 전통과 관련된 물리적 구성요소인 ‘전통구성요소’의 세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전통개념 및 사상이 대상인 작품은 ‘어느 선비의 느린 정원’, ‘풍류정원; 두 번째 달’, ‘대대손손-서울 장인 정원’의 3개이다. 전통공간을 대상으로 선정한 작품은 ‘한국정원’을 비롯한 8개의 작품이 있으며, 전통구성요소를 대상으로 선정한 작품은 ‘석가산 정원’을 비롯한 10개의 작품이 해당된다. 재현의 대상을 선정하는 것은 전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며, 재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공간과 요소까지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재현이 용이한 전통공간과 전통구성요소를 대상으로 재현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3단계는 설계가가 어떤 방식으로 작가정원의 형태를 결정했는지 파악하는 ‘재현의 방법’으로, 직설적 방법은 원형 경관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내포한 의미를 담아 재현한 작품이며 ‘한국의 부뚜막 정원’을 비롯한 6개의 작가정원에서 나타났고, 주로 물리적 구현이 용이한 전통대상을 작가정원에 그대로 재현하였다. 추상적 방법은 외형의 일부를 변형하여 원형의 경관에 가까운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이며, 해체적 방법은 전통의 형태를 분리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이다. 추상적, 해체적 재현은 작가에 의해 외형 일부가 변형되거나 새로운 이미지로 재구성된 작품에 해당하며 ‘수원의 정원’을 비롯한 작가정원 21개 중 15개로 대부분 작품에서 재현의 대상을 변형하고 재해석하는 방법을 선정한 것을 알 수 있다. 전통재현의 마지막 4단계는 설계가의 작업을 입체적으로 실현한 결과물을 고찰하는 것인데, 현장에서 파악할 수 있는 분석 항목으로서 대부분의 작가정원은 관람객이 머무르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와 휴게공간 기능으로 조성하였다. 또한, 공간유형으로서 외부연결형은 주관람동선에 접하여 열린공간으로 조성한 작품이며 ‘마당 그리고 담 너머 이야기’와 같이 개최지역의 지역성을 반영하거나, ‘수원의 정원’, ‘한국정원’과 같이 정원박람회장의 경사지형을 활용한 작품이다. 내부완결형은 ‘한국의 부뚜막 정원’을 비롯한 15개의 작품이 해당되며, 꽃담, 장식담, 취병, 목재갤러리, 아트월과 같은 차폐요소로 위요된 공간으로 조성하여 전시물에 집중할 수 있도록 공간을 한정하였다. 작가정원의 경관을 구성하는 세부 시설은 진입시설, 가림시설, 포장시설, 수경시설, 조경구조물, 휴게시설, 점경물로 다양했으며, 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점경물, 공간구분을 위한 가림시설, 관람객의 편의를 위한 휴게시설에 집중되었다. 재료적 측면에서는 고전적 전통재료 이외에도 추상적 방법과 해체적 재현방법을 선택한 작가정원에서는 석재, 철재, Fabric의 자연적인 재료와 콘크리트 구조물과 스테인리스와 같은 소재가 결합한 양상을 보였다. 이처럼 전통재현의 현안과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전통인식과 이해도, 작품의 주제 적합성, 재현과정의 일관성, 디자인 표현의 적합성의 네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전통에 대한 인식과 이해는 재현의 대상과 경관구성요소에 대한 작가의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연구되었는지 형식적 측면과 의미적 측면으로 살펴보았으며,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마당 그리고 담 너머 이야기’를 비롯한 3개의 작가정원에서 재현의 대상과 스케일과 외형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의미적 측면에서는 ‘모퉁이에 비추인 태양’을 비롯한 3개의 작품에서 재현의 대상이 가지고 있는 의미보다 작가의 설계의도 관철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활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작품의 제목과 주제의 적합성은 설계의도에 따라 달라지는 작품 제목의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석가산 정원’, ‘한국의 부뚜막 정원’과 같이 전통에 대한 설계의도가 그대로 드러난 작품명에서는 주제와 설계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퉁이에 비추인 태양’, ‘풍경의 증식’과 같이 추상적 표현의 작품은 내용에 대한 기대감을 얻을 수 있으며 전통의 요소를 보조적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전통재현 과정의 일관성에서는 직설적 재현이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며 관람객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정원박람회가 가지는 공간의 한계로 인해 추상적, 해체적 재현의 작품이 다수 나타나고 있으며 구조물과 시설물 중심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면 성공적으로 의미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재현과정이 일관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해서 실패한 정원으로는 볼 수는 없으며 테마의 일관성과 의미전달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인식해야 한다. 작가정원에서 전통에 대한 디자인 표현은 평면 디자인을 통하여 도면으로 작성되고 시공을 통해 실제 현장에 형상화된다. 먼저 공간적 측면에서 작가는 정원박람회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인식하고 공간기능에 따라 외부연결형과 내부완결형을 선택한다. ‘마당 그리고 담 너머 이야기’와 같이 휴게기능이 강조된 작품은 외부연결형을 선택하여 관람객이 작품 안에서 휴식하며 체류시간을 길게 하고자 하였으며, ‘어느 선비의 느린 정원’, ‘풍경의 증식’과 같이 전시기능이 강조된 작품은 내부완결형을 선택하여 작품의 오브제에 집중하고자 했다. 이와 같이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에 나타난 전통재현의 특성을 이해하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전통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디자인 방식과 실험적 양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전통을 주제로 한 조경공간 디자인에 대해서 다양하고 흥미로운 작업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