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 5세 반에서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동물 기르기 경험을 중심으로

        정은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만 5세 반에서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목적으로 교사와 연구자가 협력하여 동물 기르기 경험을 실행한 협력적 실행연구이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만 5세 반에서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위한 동물 기르기 경험의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실행과정을 경험한 교사, 유아, 원장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실행연구 장소는 경기도 H시에 있는 국공립어린이집이며, 연구 참여자는 만 5세 반 담임교사 1명과 만 5세 유아 19명이다. 연구는 2022년 3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실행했다. 연구자는 해마다 만 5세 반에서 발생하는 따돌림과 괴롭힘 문제를 예의주시하던 중 2022년에도 만 5세 반에서 따돌림과 괴롭힘 문제로 학부모 민원이 발생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인 연구자와 교사는 유아들이 타인과 관계를 맺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고민했으며, 유아들이 살면서 만나는 다양한 관계에서 긍정적 관계를 맺도록 어떻게 지원해야 할지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에 유아들에게 흥미 있는 대상인 ‘동물’을 어린이집에 들여 만 5세 유아들이 ‘동물 기르기 경험’을 하면서 ‘긍정적인 관계 맺기’를 하도록 원장-교사의 협력 아래 3차에 걸쳐 실행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를 수집하려고 유아 관찰, 교사 면담자료, 연구자 성찰을 담은 연구자 일지와 현장 노트를 작성하였다. 이때 연구 맥락에 따라 기술하려고 연구모임 협의 과정과 면담 내용을 녹음한 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저널, 부모 사전 사후 설문지, 부모 평가서, 보육 일지 등을 수집하였고, 모든 연구 자료는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해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실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차 실행으로 교사는 유아기에 또래 간에 긍정적인 관계 맺기는 중요한 사안이라는 점과 교사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교사는 긍정적인 유아와 부정적인 유아로 구분했던 이분법적 사고를 반성하고 관찰과 기록을 실천하면서 동물을 기르는 경험 속에서 또래와 공감, 존중, 나눔, 돌봄, 배려, 협동을 지원하였다. 1차 실행 평가에 따라 또래 간 긍정적 관계 맺기를 좀 더 심화하고자 동물 그림책과 연계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결과를 반영하여 동물 기르기와 관련된 그림책을 연결하여 또래 간 긍정적 관계 맺기를 다지는 경험을 지원하였다. 동물 기르기를 통한 또래 간 긍정적 관계 맺기 경험과 그림책에서 강조하는 공감, 존중, 나눔, 돌봄, 배려, 협동 이야기가 서로 겹치면서 유아들은 어린이집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긍정적 관계 맺기를 경험하였다. 하지만 2차 실행 평가에서 유아들의 긍정적 관계 증진과 더불어 부정적 관계 맺기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3차 실행에서는 교사의 관찰과 시선에서 발견된 유아들의 긍정적 관계 가 개선되었는데도 여전히 존재하는 또래 간 부정적 상황을 보면서 교사가 가르치기에 앞서 있는 그대로 바라볼 필요성을 느꼈다. 즉, 교사는 스스로 좋은 관계를 향해 가는 유아의 존재를 간과하였음을 인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유아들의 긍정적 관계 맺기는 물론 긍정적 관계 맺기를 위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동물 기르기 경험’을 바탕으로 긍정적 관계 맺기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동물 기르기 경험은 동물을 생명체로 존중하고 동물에 대한 책임, 돌봄, 공감 등의 가치를 배워 또래 관계에서도 공감, 존중, 나눔, 돌봄, 배려, 협동과 같은 친사회적 요소가 나타나 긍정적 관계 맺기를 돕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동물 기르기 경험으로 긍정적 관계 맺기를 도와주려는 교사의 시선과 기록으로 관계 맺기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교사는 참여관찰과 저널 쓰기 덕에 유아를 이분법적 사고의 틀로 바라보던 자신을 반성하고 동물 기르기 경험 속에서 긍정적 관계 맺기로 변해 가는 유아들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유아들은 동물 기르기 경험으로 긍정적 관계 맺기를 경험하고 이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였다. 동물 기르기 경험이 진행되면서 일상생활 가운데서는 잘 드러나지 않았던 공감과 존중, 나눔과 돌봄, 배려와 협동 같은 긍정적 관계를 맺는 모습이 드러났다. 넷째, 유아들은 동물 기르기 경험에 동물 관련 그림책을 연계하여 실천하였다. 동물 기르기를 통한 또래 간 긍정적 관계 맺기 경험과 그림책에서 강조하는 공감, 존중, 돌봄, 배려, 협동 이야기가 서로 겹치면서 유아들의 긍정적 관계 맺기가 좀 더 다져졌다. 다섯째, 동물 기르기 경험으로 교사와 원장에게서 변화가 있었다. 교사는 동료 교사와 돈독해진 관계 맺기로 나아갔다. 많은 부분을 협력해야 하는 동료 교사들과 어려운 사안이나 해결해야 할 문제가 생겼을 때 협력하고 신뢰하면서 더욱 돈독해졌다. 부모와 관계에서는 동물 기르기 경험 안으로 부모를 초대하여 함께 경험하는 가운데 든든한 관계로 나아갔다. 책임감이 뒤따르는 자원봉사와 부모참여로 교사를 지지해 주는 부모와 관계가 더욱 든든해졌다. 또한, 원장은 교사와 업무적 상하 관계에서 동등한 관계로 나아갔으며, 경쟁을 부추기는 행동을 반성하고 상호이해와 협의의 관계로 나아갔다. 마지막으로 연구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실행연구에서 강조하는 실천을 중심으로 만 5세 반에서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위한 교육적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논의한 지향점을 토대로 어린이집 원장은 물론 교사와 부모 모두가 만 5세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위한 협력적 관계맺기는 무엇이 되어야 하며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적 모색이 질적, 양적 연구를 통해 충분히 논의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들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위해 동물 기르기 경험과 그림책을 연계하여 긍정적 관계 맺기를 이어가는 공감, 존중, 나눔, 돌봄, 배려, 협동을 실천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향점을 토대로 음악, 동작을 포함하는 신체활동, 간식 및 식사 시간을 포함하는 일상생활 그리고 자유 놀이에서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연계하는 놀이 및 활동을 살핌으로 그 속에서 또래 간 긍정적 관계 맺기가 어떻게 발현되는지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또래와 긍정적 관계 맺기를 하려는 목적으로 동물 기르기 경험을 실행하였다. 하지만 연구에는 실행연구를 마무리한 뒤 닭과 콜덕의 거처에 대한 고민을 다루지 못한 한계점이 있었다. 교육적 목적이 명백하더라도 ‘더불어 함께 살아가기’라는 맥락에서 동물이 연구 방법의 수단화가 되지 않도록 연구 윤리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실행연구를 통해 ‘동물 기르기 경험’이 자연스럽게 유아들의 ‘긍정적 관계 맺기’로 연결되도록 실천하였음에도 여전히 또래 간 갈등이 존재하였다. 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교사가 계획하고 주도하는 ‘또래 간 긍정적 관계 맺기’ 프로그램 개발에 한계가 있지만, 어린이집에서 또래 간 ‘긍정적 관계 맺기’는 중요한 사안이므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무대 공간과의 능동적 관계 맺기를 통한 공간적 상상에 관한 연구 : <정조와 햄릿> 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조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29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spatial imagination in theater performances, in which an actor establishes an active relationship with the stage space. As the first step, the actor examines the scope and attributes of the stage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ysical reality in which he or she has faced, then derives the creative value inherent in the stage space in the spatial imagination. Based on this, the study proposes an active relationship with the stage space. To achieve this, it investigates practicable training methods, then examines the principles of spatial imagination through establishing a relationship. Lastly, it looks into the development of spatial imagination, led by the active relationship with the stage space, specifically through the application in an actual theater performance, and empirically examines how such approach brings out changes in acting performances. The research methods involve literature analysis, analysis on training experiences and analysis on performance cases. The establishment of an active relationship with the stage space, which the study proposes, is applicable to the actual stage space only if it is acquired and practiced through enough training. The researcher, as she continued the Viewpoints training over the period of two years, discovered that certain aspects of the Viewpoints training are greatly beneficial in developing a sense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space.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proposes the Soft Focus exercise and Architecture exercise from the Viewpoints as the methodologies for the comprehensive training. The analysis of performance cases focuses on the musical drama "King Jeong-jo and Hamlet" which the researcher performed for three years, specifically targeting the performances in the second half of 2022. There, the researcher describes her experience i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the stage space, including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stage, the stage set, props, lighting, video, and music, in different scenes using experiential language. An actor's attempts to establish an active relationship with the stage space not only stimulated an active imagination of dramatic space, but also brought out a significant change in the overall acting performance. The major qualitative changes in acting performance manifested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enhanced sensitivity to space, secured specificity in acting, expanded perspectives in approaches to acting, and fostering a proactive attitude both as a performer and a creator. Such results lead the physical reality, the stage space, given to an actor into a dramatic space where he lives as the role, and furthermore, serve as a significant indicator and aspiration to the role to live out his life thorough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ncludes the lack of previous studies and the limited scope of case studies, which made the in-depth discussion challenging. The lack of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ctor and stage space in preexisting acting discourse implies that the stage space has been perceived as a secondary element in an actor’s work. However, perceiving the value of a subject within a relationship also leads to discovering one’s creativity. Henc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perceive the stage space not only as the physical reality which influences the holistic perceptual experience of an actor, but also as the material of creation, subject of interaction and the driving force of imagination, and made an effort further to establish an active relationship with the stage space. Starting from this study, the researcher looks forward to new works in which actors discover the creative value of working with stage space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dimensions. 본 연구는 극장 공연에서 배우가 무대 공간과 능동적으로 관계 맺음으로써 공간적 상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탐구한다. 그 첫 단계로 무대 공간을 배우가 당면한 물리적 현실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범위와 속성을 파악한 후 공간적 상상에서 무대 공간이 갖는 창조적인 가치를 도출한다. 이를 토대로 본 고에서는 무대 공간과의 능동적 관계 맺기를 제안한다. 그리고 실천 가능한 훈련 방법론을 모색한 후 관계 맺기를 통한 공간적 상상의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끝으로, 실제 공연에의 적용을 통해 무대 공간과의 관계 맺기로 야기되는 공간적 상상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접근이 연기 수행에 미치는 변화를 경험적으로 고찰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분석과 훈련 경험 분석, 그리고 공연 사례 분석을 병행한다. 본 고에서는 ‘무대 공간과의 능동적 관계 맺기’를 일정 기간 훈련을 통해 습득하고 체화함으로써 무대 공간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전제한다. 본 연구자는 2년에 걸쳐 뷰포인트 훈련을 지속하면서 뷰포인트의 일부 훈련이 공간과의 관계 맺기 감각을 계발하기에 매우 유용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뷰포인트의 소프트 포커스 훈련과 건축 구조 훈련을 제반 훈련을 위한 방법론으로 제시한다. 공연 사례 분석은 본 연구자가 3년간 공연한 음악극 <정조와 햄릿>의 2022년 하반기 공연을 대상으로 하며 무대 주변 구역, 무대 세트, 오브제, 조명, 영상, 음악 등 무대 공간과의 관계 맺기 경험을 장면별로 나누어 체험적인 언어로 기술한다. 연구 결과, 배우가 무대 공간과 능동적으로 관계 맺는 시도는 극적 공간에 대한 적극적인 상상을 촉진함은 물론 연기 수행 전반에 유의미한 변화를 낳았다. 연기 수행의 주요한 질적 변화는 공간에 대한 감수성 향상, 연기의 구체성 확보, 연기를 대하는 관점의 확장, 실연자이자 창작자로서 주체적인 태도 함양 등 다양한 국면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배우가 자기 자신에게 주어진 무대 공간이라는 물리적 현실은 물론 역할로서 살아가는 극적 공간, 나아가 역할로서의 삶을 충실하게 살아내는데 중요한 지표이자 지향으로도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 연구의 부족 및 한정된 사례 범위로 인해 깊이 있는 논의가 어려웠던 점은 본 연구가 지니는 한계이다. 기존의 연기 담론에서 배우와 무대 공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거의 부재함은 그간 무대 공간이 배우의 작업에서 부차적인 요소로 인식되어왔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대상이 갖는 가치를 관계 속에서 인식하는 일은 배우 자신의 창조성 발견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대 공간을 배우의 총체적인 지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현실인 동시에 창조의 재료이자 교류의 대상, 그리고 상상의 원동력으로 바라보고 능동적으로 관계 맺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추후 무대 공간과의 작업이 갖는 창조적 가치를 다양한 관점 및 차원에서 발견하는 작업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유치원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의 의미

        권구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80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유치원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 만 4세 유아들의 또래 간 관계 맺기 경험과 그 의미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상북도 P시에 위치한 별빛유치원 만 4세 반에서 2020년 8월 25일부터 12월 18일까지 약 4개월간 수행된 문화 기술적 연구다. 연구 참여자는 본 연구의 연구자이자 만 4세 학급 담임인 교사와 사랑반 유아들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 참여 관찰, 면담, 반성적 저널, 유아 놀이 기록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내재 된 주제를 찾고, 이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가 되는 관계’를 경험했다. 불규칙한 등원 방법에 따른 예측 불가능한 만남과 불안정한 집단 소속의 경험으로 불안한 관계를 경험했다. 둘째, ‘수단이 되는 관계’를 경험했다. 즉 얻고자 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기반으로 배척과 허용의 기술을 사용하여 관계를 맺었다. 여기에서 유아들이 얻고자 하는 바는 집단에서의 ‘소속감’이었다. 셋째, ‘돈독해지는 관계’를 경험했다. 관계의 불안은 기존의 관계를 지키는 과정, 새로운 관계를 맺는 과정을 통해 극복 또는 해소되고 있었다. 즉 관계로부터 기인 된 문제는 관계를 통해 해소되었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관계가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에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의 불안에 맞서 유아에게 예측 가능한 환경을 마련하고, 안정된 소속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집단 구성 시 유아의 선택을 반영해야 한다. 그리고 위기를 겪는 유아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이 요구된다. 둘째, 관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유아에게 관계의 불안은 위기이자 기회였다. 따라서 유아를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관계 맺기를 시도하는 유능하고 능동적인 존재로 바라봐야 한다. 더불어 관계 맺음이 수단적 관계에만 그치지 않도록 인격적 만남을 위한 환경과 의미 있는 교사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함께’로서의 유아를 발견하였다. 관계 맺음을 살펴볼 때 교사는 성인의 시각에서 벗어나 유아들의 시각에서 바라보고, 그들만의 관계 맺기 문화를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초등 5-6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서사문학 교육 활동 분석 : '관계 맺기' 교육을 중심으로

        김선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78

        Literature is a study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is is because through literature, humans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appearance of life and reflect on their lives. Children's literature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readers with indirect experiences of life they have not yet experienced or experiences that allow them to look deeper into their lives, and further help children grow up through literature. Among them, narrative literature shows various aspects of relationships that children who are learners may experience in life. This can affect the establishment of a child's self-identity and can be a driving force to grow into an ethical subjec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ifth and sixth graders entering a new relationship in the near future, experiencing various relationship patterns through narrative literature is meaningful to encourage their life. However,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re is a lack of activity to experience "relationships" while educating the appearance of life in narrative literatur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revealed in narrative literature targeting works that were specified as "story" in textbooks or have narrative elements among children's literature work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5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aspects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revealed in narrative literature were classified into 'relationship with oneself', 'relationship with others', 'relationship with society and community', ‘relationship with valuable thing in lives’, and based on this,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the actual field were summarized. The aspects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revealed in narrative literature were generally complex rather than showing only one aspect of relationship. In the textbook, most of the works in narrative literature reveal internal conflicts that children can usually feel, that is,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at they ma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And after reading these works, it can be seen that activities that allow them to compare themselves and the characters in the work are mainly presented. By grade, works in the fifth grade mainly revealed routine and superficial relationships, while works in the sixth grade included works that revealed invisible high-level relationships. Narrative literature serves as a medium for learners to experience the relationship patterns formed by the characters in the work indirectly so that learners can feel interested in literature, and further internalize the directions and values they pursu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al world. Therefore, activities in textbooks should also be presented to contemplate these relationships. In this paper, as an activity to establish a relationship, character-centered activities such as the use of question-making activities and the creation of a character network were summarized and proposed. In order for learners to take a positive first step in the world of literature, 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instructor must read the literary works in the textbook with interest. In addition, in order to guide learners to a more diverse and in-depth world of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what literary text in textbooks is contained to teach, what meaning can be accepted by learners, and what activities are appropriate. In-depth research by other researchers will be needed to see if the guidance plans and activities covered in this paper are effective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nd whether the works in textbooks are actually suitable for learners. 문학은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학문이다. 문학을 통해서 인간은 삶의 모습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동문학 역시 독자인 아동에게 그들이 미처 체험하지 못한 삶에 대한 간접적 경험 또는 자신의 삶을 좀 더 깊이 있게 들여다보게 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나아가 아동이 문학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가진다. 그중에서도 서사문학은 삶 속에서 학습자인 아동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관계 양상들을 보여준다. 이는 아동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윤리적 주체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동력이 될 수 있다. 특히 머지않아 새로운 관계로 진입하게 되는 5-6학년 학습자들의 경우, 서사문학을 통하여 다양한 관계 양상을 경험하는 것은 그들의 삶의 힘을 북돋우는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나 현재 국어 교과서 수록 서사문학 관련 교육 활동에서는 서사문학 속 삶의 모습을 교육하면서 ‘관계’를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5 초등 5-6학년군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아동문학작품 중 교과서에 ‘이야기’로 명시되었거나, 서사적 요소가 있는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서사문학에서 드러나는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사문학에서 드러나는 관계 맺기의 양상은 ‘자신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자연․초월과의 관계’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서사문학에서 드러나는 관계 맺기 양상들은 어느 한 관계 양상만을 보여준다기보다는 대체적으로 복합적이었다. 교과서 수록 서사문학에서는 아동들이 평소 느낄 수 있는 내적 갈등이 드러나는 작품, 즉 자신과의 관계와 일상생활 속에서 겪을 법한 타인과의 관계가 드러나는 작품들이 대다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들을 읽고 자신과 작품 속 인물을 비교할 수 있게 하는 활동들이 주로 제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년별로는 5학년 수록 작품에서는 주로 일상적이고 표면적인 관계 맺기 양상이 드러났다면 6학년 수록 작품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고차원적인 관계 맺음이 드러나는 작품이 수록되어 있었다. 서사문학은 작품 속 인물들이 맺는 관계 맺기 양상을 학습자들로 하여금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여 학습자들이 문학에 대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나아가 현실 세계와의 비교를 통해 자신이 추구하는 방향과 가치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과서 속 활동들도 이러한 관계 맺기 양상에 대해 숙고해보는 활동들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관계 맺기를 위한 활동으로 질문 만들기 활동의 활용과 인물 관계망 만들기 등 인물 중심 활동을 정리해서 제안하였다. 학습자들이 문학의 세계에 긍정적인 첫걸음을 내딛게 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로 가르치는 사람부터 교과서 속 문학작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읽어봐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는 문학의 세계로 안내하기 위해 교과서에 실린 문학 텍스트가 무엇을 가르치기 위해 실려 있는지, 학습자들에게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작품인지, 어떤 활동이 적합한지 등에 대해 연구해야 한다. 본고에서 다룬 지도 방안과 활동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효성이 있는지, 교과서 수록 작품들이 실제로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작품인지는 다른 연구자들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숲 활동에서 교사와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과 교사의 역할

        심상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64

        이 연구는 숲 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활성화되는 시점에 일반어린이집의 한 학급 유아들과 담임교사가 숲 활동 시 나타나는 관계 형성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숲 활동에서의 교사 역할을 재발견하는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A어린이집 만 4, 5세 유아 16명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자유롭게 숲 활동을 하는 현장에 직접 들어가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숲 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은 발견으로 탐구 동기를 자극하는 관계, 도전을 격려하는 관계, 거친 환경이 주는 도움의 관계, 자연에 의한 위로와 사랑의 관계로 상호 관계성을 갖고 성장하며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숲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역할은 숲 활동 결과물보다 과정과 본성 존중, 숲 활동의 보호와 안전의 주체이자 대상, 숲 활동 확장을 위한 허용과 지원, 자연을 숲 활동의 교육매개로 활용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등장에 따른 20-30대의 관계 맺기 방식 변화 : 20-30대 비혼 이성애자를 중심으로

        심성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63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the smartphone-base matchmaking service referred to as 'social dating app' and its users. Targeting the major membership of the service,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of social dating apps, its use,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 and its form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employed in the form of in-depth interviews of social dating app users and business insiders as well as research of relevant literature. This allows an analysis of the subjective user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nd an observation of how they construct their desire for forming a romantic and marital relationship. Also analyzed is the social dating 'market' with interviews with the service providers. The non-married in their 20s and 30s, dubbed as the 'Sampo(Giving up three things in life) Generation' and reputedly giving up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are effectively the main customer base of the exploding social dating app market. Thus, this study, designating the generation as 'Sampo Generation', began as an attempt to interpret their existential desire for romantic and marital relationship, largely dismissed or ignored by the existing discourses which simply reduce the generation as a helpless entity who has 'given up' getting married. The study reconstructs, on a rather personal level of analysis, a narrative of how their desire is formed and on what ground their style and forma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which has been largely overlooked to date. The highly personal-level observation the changes also has its value in terms of generation research in that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racking changes in the set of values regarding relationship and marriage among this generation.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implication and impact of the social dating apps, which are being accepted as a new 'dating tool/culture' among the non-married population in their 20s and 30s. The emergence and use of 'social dating app' and its impact on how the generation considers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will be put under scrutiny, followed by an observation on the shifting forms of relationship creation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online dating tool. This dissertation, five chapters in all, is composed of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ntroduction, describes the background of research, the present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subejct and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t i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 in the second chapter, sta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xisting academic work. The third chapter examines social causes of the growth of the social dating service before classifying the service into different levels. The fourth chapter observes the use of the social dating apps by the subject group Sampo Generation, the non-married populace in their 20s and 30s, and how it is changing their relationship as well as its incepient stage. The conclusion in the chapter five sums up the main body of the study, presents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본 논문은 ‘소셜 데이팅 앱social dating app’이라 불리는 스마트폰 기반의 매치 메이킹match making 서비스 및 그 사용자에 대한 연구이다. 소셜 데이팅 서비스 주요 사용자인 20-30대를 대상으로 소셜 데이팅 앱의 등장과 사용에 따라 이들의 만남과 관계 맺기의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실제 소셜 데이팅 앱 사용자 및 소셜 데이팅 서비스 관계자를 심층 인터뷰하고 관련 문헌을 연구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주관적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소셜 데이팅 앱 ‘시장’에서 사용자로 위치한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애 및 결혼과 관련된 관계 맺기 욕망을 구성해 나가는지를 관찰했다. 더불어 소셜 데이팅 ‘시장’과 그에 대한 분석도 서비스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함께 살펴보았다. 소위 연애와 결혼을 ‘포기’했다고 알려진 ‘3포 세대’에 위치하는 20-30대의 비혼들은 사실상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소셜 데이팅 앱 시장의 주요 고객층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3포 세대’라고 20-30대를 명명하며, 이들을 단순히 결혼을 ‘포기’한 무기력한 주체로 한정시켜온 기존의 담론들이 읽어내지 못하는 이들의 실존하는 연애 및 결혼 욕망을 읽어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들의 욕망이 구성되는 과정과 연애 및 관계 맺기에 대한 방식이 변화하는 계기들을 좀 더 개인적인 차원에서 들여다봄으로써 삭제되어온 20-30대의 연애 방식과 관계 맺기에 대한 서사를 구성한다. 이 세대의 연애 및 관계 맺기 방식의 변화를 지극히 사적인 차원에서부터 관찰하는 것은, 이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추적해 볼 수 있는 시작점으로써, 세대연구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20-30대의 비혼들 사이에서 새로운 ‘데이팅 툴/문화’로 자리 잡아가는 소셜 데이팅 앱의 사회적 의미와 효과를 분석한다. ‘소셜 데이팅 앱’의 등장과 사용이 20-30대의 관계 맺기와 연애 및 결혼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용자들의 만남 방식과 온라인 데이팅 툴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자가 소셜 데이팅 앱 및 그 사용자를 연구하게 된 배경과 문제제기,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문헌연구로,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에 대해 서술한다. 제3장은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회적 성장 배경을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의 성장 및 활용과 함께 살펴보고, 소셜 데이팅의 층위를 분류한다. 제4장에서는 소위 ‘3포 세대’라 불리는 20-30대의 비혼들이 소셜 데이팅 앱을 사용하면서 그들의 만남과 관계 맺기 방식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나아가 그들의 연애는 어떻게 변하는 지를 살펴본다. 제5장은 결론으로,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향후 과제를 제언할 것이다.

      • 비움(void/emptiness)에 내재된 확장적 의미작용의 연구

        윤영민 동명정보대학교 건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350

        비움(void/emptiness)'에 내재된 의미의 확장 가능성을 건축공간에 적용하여, 비움으로써 더 풍부한 의미작용이 드러날 수 있도록, 공간에 대한 이해와 인간지각에서 느끼는 다양한 체험요소로서, 비움이 가지는 의미관계의 연결 유형을 알아보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공간구성에서, 기능적·합리적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의미를 관계 짓는 이론적 방법과 신체 지각적 경험을 통하여, 공간의 관계가 나타나는 비움에 함축된 의미의 상호 연관성 부여와 의미작용을 결합하여, 공간 장, 그 힘들 사이의 경계선상에 형성되는 불분명한 균열의 영역을 비움이 주는 가능성으로 파악하여, 그 비움을 매개로 다양한 사건이 잠재하는 내재적 확장의 장과 실존적 체험의 지평이 뒤섞이는 공간으로 구축한 후, 의미작용의 양상과 의미의 관계 지움을 드러낸다. 비움은 의미의 드러남이며, 존재들을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는 불연속적 상호간에 새로운 관계를 부여함으로써 내재된 의미를 드러나게 하고, 시간적 단절을 연속시켜주는 매개적 역할이다. 의미의 위상기하학적 연결로 인한 상호 작용으로, 내부의 잠재된 사건들이 비움을 통해 드러나도록 열어두는 것이다. 비움은 단순히 물질적 연속성의 단절적 의미로만 나타나지 않으며, 실재하는 것과 부재하는 것의 경계에서 상호간의 어울림이 가능하도록 의미의 열려진 바탕이며, 존재와 비존재의 의미가 담길 수 있도록 하나의 여백으로 작용한다. 존재와 비존재를 의미 짓는 그 사이의 차이(difference), 즉 다름의 의미인 틈은 공간과 지각 상에서 단절적 의미를 가지며, 그에 의해 존재들 간의 구분이 가능해진다. 의미와 실재 상에 드러난 비움의 경계의미는 가시적 다름이며 비가시적 불연속의 단절이 동시에 내포된다. 하나의 상황을 지각한다는 것은 신체와 물리적 세계간의 의미교환이며 사물과의 대화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의미발생의 중심은 몸에 있으며 그 대화가 성립되는 바탕은 신체와 사물이 서로 공유하게 되는 간극으로 상호 얽혀있음(intertwining)의 관계를 형성하는 살(flesh)로 표현될 수 있다. 체험적 살에서 시지각적 반응을 하고 모든 의미를 향해 신체를 열어둠으로써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내재시킨다. 살의 존재는 비워진 의미체계의 여백으로 드러나고 시간과 사물과 몸이 얽혀 만드는 의미작용의 깊이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드러난 것과 드러나지 않은 것과의 의미적 틈은 비가시적 다름의 단절적 침묵(silence)으로 지각된다. 틈이라는 연속성의 단절이 하나의 여백으로 나타나고 이 여백에서 안, 밖의 세계를 연결하는 울림과 의미가 발생하며, 이 열림의 틈, 여백에서 비움이 작용하는 확장적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 연구의 지향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mptiness, which shows much more meanings in space and acts as a factor of various human-perceived experiences, can be interpreted in architectural space. It would be meaningful to figure out and connec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heoretical approach and emptiness - the meaning of the one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rational programs and the other is based on our physical, perceptive experience. Emptiness gives it some meanings and new relationships among discontinuous things and serves as a medium of connecting things and keeping both space and time continuous.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geometrical connection of meanings, internally immanent events can be shown by means of emptiness. Emptiness doesn't mean only the material discontinuousness, instead it does mean the open background to keep harmony among things which are present and absent, so it serves as space including the meanings of both presence and absence. An opening whose meaning is difference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represents discontinuity in terms of space and perception and enables us to distinguish the boundaries of things. The meaning of emptiness is not only visible difference but also invisible discontinuity. Perceiving a situation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ful exchanges with the physical and material world and conversation with things. It can be said that the conversation place, where a certain meaning takes place, is compared to flesh which has intertwining meanings in that it is shared by both body and external environment. Full interaction is possible by opening body toward external environment and through the response of perceptive flesh. Difference gaps which accepted by flesh could be perceived as the discontinuous silence of invisible difference. An opening, which cuts off continuousness, shows up as a form of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meaning takes place. This study has been processed with the aim of extending the meaning of the very emptiness.

      • 대안적 관계를 직조하는 친밀성에 대한 작품연구

        박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34

        본 논문은 친밀성(intimacy)을 감정의 한 부분으로 단순화 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분석해 보면서 그것이 새로운 관계 맺기의 가능성을 가진 것임을 주장하고, 미술 활동을 통해 실제 삶 속의 대안적 관계를 직조해 나가나는 생활 양식의 정치학으로서 시도되는 나의 작품들을 분석하는 글이다. 본 논문에서 분석하고 있는 2020년과 2023년 사이의 나의 작업은 일상에서 타자와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관계의 변화를 감지하며 시작되었으며, 타자와의 일대 일 관계의 교류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진행하였다. 내가 당면한 질문과 갈등을 내적으로 고민했을 때는 혼란이 반복될 뿐이었기 때문에 나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내가 사회 구조 속에 위치한 인간임을 인식하고 사회·문화적 문맥에서 숙고하고자 하였다. 나는 이때 나와 타자 사이에 발생하는 친밀성이 삶의 문제를 발견하는 계기가 되고, 동시에 삶의 방식을 조율하고 극복하는 작품 방법론임을 본 논지를 통해 주장하고자 한다. 친밀성이 대학원에서 진행한 작업들의 공통된 특징이자 그것이 방법론으로 작동함을 발견하게 되는 계기는 사회·문화적으로 친밀성과 사랑, 그리고 가족에 대해 분석한 여러 서구의 이론들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여러 이론들에서 주장하고 있는 친밀성의 변동이 전통적 가족의 해체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면서 다양한 대안적 가족 결합의 등장을 알 수 있었다. 이 이론들이 언급하는 친밀성의 변동에 관한 흐름이 한국의 상황과 유사함을 논거 하면서 실제적으로 한국에서 여성으로서 겪은 나의 상황에 빗대어 살펴볼 토대를 마련하였다. 특히 앤소니 기든스(Anthony Giddens)의 친밀성의 구조 변동 이론은 여성의 사회적 관계의 젠더 차원을 심도있게 다루지 않았다는 페미니스트 사회학자들의 비판이 있음에도, 개인의 선택과 재협상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 이것을 통해 동거나 선택된 가족과 같은 비전통적 가족 단위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내가 기존에 경험하고 있던 친밀 관계의 문제점을 들여다보고 그것을 새로운 친밀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을 도출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우선 나는 기존의 친밀 관계에서의 문제점을 찾기 위해 나의 전반적인 작업의 배경이 되는 장소인 집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그곳이 단순히 생활을 하는 공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계의 권력관계가 형성되는 공간임을 밝히고, 관계의 재구성과 연대의 장으로서 집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사랑하는 우리의 머리카락>과 <친밀한 탱고> 작품 분석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파트너와의 동거 관계를 들여다보고 낭만적 사랑의 친밀 관계가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파트너와의 퍼포먼스를 통해 협상과 조율의 관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서술하고자 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정이 나로 한정되어 개인적 측면에 머물기보다는 동거 및 기혼 여성들의 사적 참여를 통해 예술의 방식으로 여성주의 가치관을 확장 시키고자 했다. 이때 나와 여성들의 일대 일의 사적인 교류는 나의 작업이 불특정 다수가 대상이 되는 공공미술이나 일대 다수의 참여미술과 구별되는 점이다. <커튼>과 <결혼 생활> 작품은 동거 및 기혼 여성 참여자들과 일대 일 교류를 하면서 유사함을 매개로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한 형태들을 수용하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이분법적 정치를 와해시켜 여성들의 연대하기를 모색했다. 동거 및 기혼 여성들과의 작품에서 공통점은 모두 대화를 통해 참여자의 사적인 영역으로 들어가 작업한 점이다. 이는 친밀성의 영역인 사적 영역을 가시화하기 위한 전략적인 방법으로 이것은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를 와해시키고 동거와 같은 다양한 사회적 결합이 존재하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개인의 ‘선택’에 따라 가족 관계 맺기의 방식과 형태는 모두 다를 수 있음과 ‘집단의 형태로서의 가족’이 아니라 ‘관계로서의 가족’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나의 집들> 작품 분석을 통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낭만적 사랑이 중심을 이루는 전통적 가족 형태와는 다르게 우정의 친밀감을 전제로 한 나의 대안적 가족 만들기는 예술과 실제의 삶이 교차하여 직조되는 것임을 말하고자 했다. 주요어 : 친밀성, 낭만적 사랑, 대안적 가족, 연대, 사적 참여, 관계 맺기 This dissertation endeavors to deconstruct the oversimplified perspective of intimacy as a mere fraction of emotion, advocating instead for an examination through sociocultural lenses which reveal its capacity to foster novel relational frameworks. It delves into an analysis of my artistic endeavors that serve as attempts to weave alternative relational structures within the fabric of quotidian existence, functioning as a form of political engagement within daily life. The works scrutinized from 2020 to 2023 took their incipient steps in the everyday realm, arising from the detection of alterations within relationships instigated at the intersections with the Other. These works were founded upon the reciprocity of one-to-on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As my internal contemplations on the questions and conflicts I confronted merely precipitated cycles of confusion, I sought to cognize my position as a social being embedded within the societal structure through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and aimed to deliberate within the sociocultural milieu. Through this treatise, I argue that the emergence of intimacy between self and the other serves as a catalyst for identifying life’s complexities and concurrently, as a methodological approach within my art to navigate and surmount the mediation of life. The illumination that intimacy constitutes a shared attribute across my works and functions as an operational methodology arose from my engagement with an array of Western theories that critically dissect intimacy, love, and the family from sociocultural standpoints.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intimacy propounded in these theories enabled an understanding of the manifestation of diverse alternative familial configurations, in the wake of the disintegration of conventional families. Drawing parallels between the trajectories of changes in intimacy delineated in these theories and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I established a foundation to introspect my experiential reality as a woman in South Korea. Despite feminist sociologists' criticisms that Anthony Giddens' theory of structural transformations in intimacy does not extensively interrogate the gender dimension within women's social relationships, his emphasis on individual autonomy and renegotiation proved instrumental in illuminating the processes through which I could identify and address the problematics within my existing intimate relationships, and subsequently facilitate their evolution into new forms. Giddens' theory opened discursive spaces to explore non-traditional family units like cohabitation and chosen families. Initially, to unearth the problematics within existing intimate relationships, I examined the concept of the home - a recurrent backdrop in my work -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 underscored its role not merely as a functional living space but as a site where power dynamics within relationships are instantiated, and explored its potential to serve as a locus for the reconfiguration of relationships and the cultivation of solidarity. In the analysis of my works <Our Beloved Hair> and <Intimate Tango>, I reflected upon the complexities within my cohabitational relationship with my partner and elucidated the inherent problematics within the intimacy characterized by romantic love. Through performance collaborations with my partner, I narrated the trajectory of our relationship as it evolved into a space for negotiation and adjustment. Subsequently, rather than restricting such processes to my individual sphere, I sought to broaden feminist sensibilities through artistic mediums by encouraging the private involvement of cohabitating and married women. The intimacy of one-to-one private exchanges between myself and these women distinguishes my work from public art intended for the general populace or participatory art aimed at a mass audience. My works <Curtains> and <Married Life> engaged in one-on-one interactions with cohabiting and married female participants, striving to recognize and accommodate diversity through shared experiences, with the objective of disrupting dichotomous political constructs and fostering collective solidarity among women. A salient feature in my works with cohabiting and married women is the entry into the participant's private domain through dialogue. This strategic maneuver, aimed at visualizing the private sphere as an intimate sphere, sought to dismantle the prevailing ideology of the normative family and unveil the existence of diverse social conjunctions, such as cohabitation. I explicated the significance of family as a ‘relational construct’ rather than a ‘collective entity’ through the analysis of my work <My Homes>, thereby highlighting the multiplicity of ways and forms familial relationships can assume, contingent on individual 'choices'. Moreover, I articulated that my creation of an alternative family predicated on the intimacy of friendship, diverging from the traditional family model centered on romantic love, represents an interweaving of art and real life. Keywords: Intimacy, Romantic Love, Alternative Familial Structures, Solidarity, Private Engagement, Formation of Relationships

      • 지역아동센터 유아의 관계 맺기에 대한 연구

        홍세림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34

        Infancy is a time when the foundation of relationship is formed and it is important to have a relationship in the community. Contrary to the fact that the children of the traditional society grew up together in a village group or a large family, the experience of interaction has been weaken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ince mo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e operated by single age classes,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various age groups. In this context, the Community Child Center is a small group of less than 30 people, a specific spatial medium through which one communities and active relationships are shared for a long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eers and older children. Through this, I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relationship with peers and a wide age group and to discover its mean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with the peer in community child center? Second, what about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older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In this study, I selected C community child center in Busan. All children and infants using the facilities were informed with sufficient explanation and after preliminary consent, a total of 25 participating observations were made for 3 infants. I also conducted informal interviews with 6 teachers and 27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ding method to find the underlying subject and to conceptualize the intention and meaning of the text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reliability was secured using the criteria presented by Guba and Linc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spect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was categorized among friends who have no hesitancy, friends who play side by side, and friends who are confident. With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the infant did not feel the need to have an active relationship with his peers because of his intense affection and attention, without any special effort. It is a relationship that exists simply as a member of play together with no direct and positive interaction.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as a friend who can be comfortable and behave more easily than the older age children whose physical condition and physical strength are superior is shown.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the older age children of the regional children 's center was categorized by the relationship that varies according to appearance and personality, the age - specific relationship of the child, and affection and care. Higher age children had somewhat different preferences depending on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In other words, infants with more attractive external characteristics to older age children received more expressions of affection, and the infant 's reaction to them showed a confident attitude. In addition, infants who have a lot of charms or react positively to the opponent's play presentation have a high intimacy of the relationship, whereas infants with low frequency of pro-social behaviors such as responding unresponsive to the children who try to interact, the relationship with the long-term did not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of the child and the age of the child was also found to vary. The first group, a 6-year-old child, showed the most complicated relationship, and it was analyzed to be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and a competition to compete for toys and teacher affection. The second group is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7 to 11 years old, and although she has an affectionate attitude toward the infant, she was considered to be a nuisance because she could not play together due to the developmental gap. The third group wa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between 13 and 17 years, and they often actively interacted with infants with unconditional affection.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the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showed that they are all receiving great affection and care. By the time they met each other, children who expressed affection, such as calling a name without a reason or stroking their head, liked living in a community child center. Also, for older children, the infant was a joyous presence, reducing everyday stress. 유아기는 관계성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로서, 공동체 안에서 관계를 맺는 경험이 중요하다. 전통사회의 유아들이 마을 집단이나 대가족 내에서 부대끼며 함께 성장한 것과는 달리 오늘날에는 상호작용의 경험이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약화되었다. 유아 교육 기관도 대부분 단일 연령 학급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연령과의 관계 맺기는 더욱 어려워진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아동센터는 30명 이하의 소규모 집단으로서 다양한 활동을 장시간 공유하는 하나의 공동체이자 활발한 관계 맺기가 이루어지는 특정한 공간적 매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유아의 또래 및 상위 연령 아동과의 관계 맺기는 어떠한지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또래 및 폭넓은 연령대와의 관계 맺기의 양상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유아의 또래와의 관계 맺기는 어떠한가? 둘째, 지역아동센터 유아의 상위 연령 아동과의 관계 맺기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현장으로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C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였다.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모든 아동 및 유아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과 함께 사전 동의를 받은 후 유아 3명에 대하여 총 25회의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사 6인과 아동 27명을 대상으로 비형식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내재된 주제를 찾아내고 텍스트의 의도와 의미를 최초로 개념화하는 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Guba와 Lincon이 제시한 준거를 이용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에 대하여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유아의 또래와의 관계 맺기의 양상은 아쉬움이 없는 친구 사이, 나란히 놀이하는 친구 사이, 자신만만한 친구 사이로 범주화되었다.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유아는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집중되는 애정과 관심 덕분에 또래와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어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부재한 상태로 단순히 놀이를 함께하는 일원으로 존재하는 관계임이 나타났다. 또한 신체 조건과 물리적 힘이 월등한 상위 연령 아동에 비하여 편하고 만만하게 행동할 수 있는 친구로서의 관계 맺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유아의 상위 연령 아동과의 관계 맺기는 외모와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관계, 아동의 나이별로 달라지는 관계, 애정과 돌봄의 관계로 범주화되었다. 상위 연령 아동들은 유아의 외적 특성에 따라 다소 상이한 호감도를 가지고 있었다. 즉, 상위 연령 아동에게 보다 매력적인 외적 특성을 가진 유아는 더 많은 애정의 표현을 받게 되었으며 그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자신감 있는 태도로 나타났다. 또한 애교가 많거나 상대의 놀이 제시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유아는 관계의 친밀도가 높은 반면,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아동에게 무반응으로 대응하거나 양보 등의 친사회적 행동의 빈도가 낮은 유아는 상위 연령 아동과의 관계가 긴 시간동안 지속되지 못했다. 아동의 연령에 따라서도 관계 맺기의 양상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6세 아동인 제 1그룹은 가장 복잡한 관계 맺기의 양상을 보였는데, 애정적 관계임과 동시에 놀잇감이나 교사의 애정을 두고 경쟁하는 관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 2그룹은 만 7세~11세까지의 초등학생으로, 유아에게 애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기는 하나 발달상의 격차로 인하여 함께 놀이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유아를 다소 귀찮은 존재로 여기고 있었다. 제 3그룹은 만 13세~17세까지의 중고등학생으로, 유아에게 무조건적인 애정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듯 유아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관계에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지역아동센터 유아는 모두가 큰 애정과 돌봄을 받는 존재임이 나타났다. 마주칠 때마다 이유 없이 이름을 부르거나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등 늘 애정을 표현하는 아동들 덕분에 유아들은 대체로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생활을 좋아하고 있었다. 또한 상위 연령 아동에게 유아는 그 자체로 기쁨을 주는 존재, 일상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존재였다.

      • 교사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확장학습 경험 사례연구 : 교사선교회(TEM)를 중심으로

        이상수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2332

        본 연구는 교사실천공동체의 성장과정과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확장학습의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교사실천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구성원들이 공동체 내에서 활동체계를 확장시켜 사회적 참여까지 나아간 확장학습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교사선교회(Teachers Evangelical Mission, 이하 교사선교회로 표기)’사례를 통하여 실천공동체로서의 성장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구성원들의 확장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선교회 사례를 통해 본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독특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은‘관계 맺기’경험을 통하여 양육 모임 안에서 학습 주체로 깨어나고 있었으며, 분화된 다양한 활동의 참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있었다. ‘관계 맺기’경험은 순수한 한국적 정(情)과 기독교 신앙을 공감영역으로 하여 개인과 공동체가 본질적인 자기다움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둘째로, 교사선교회의 리더들은 새로운 지역과 영역에서 양육 모임을 실천하였고, 그 경험을 공동체 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였다. 다른 구성원들은 그 경험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확대 재생산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함께 배우기’경험은 교사선교회의 구성원들이 공동체의 유지와 성장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났으며, 가치 지향적이고, 수평적 참여의 특징을 보였다. 셋째로, 교사선교회의 구성원들은 그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활동체계를 뛰어 넘어 교육마을이라는 새로운 활동체계를 만들었다. 이는 공동체 내부의 문제 해결과 사회적 필요의 접점을 찾는‘경계 넘기’경험이었으며, 공동체의 가치를 외부 세계로 확장하려는 시도였다.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확장학습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관계 맺기’경험은 자기다움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 구성원들은 기독교 신앙, 직업, 일상적 삶을 하나로 통합시키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학습 주체로 성장하였으며, 타인과 연결되었다. 이는 개별적 측면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둘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함께 배우기’경험은 문제해결에 있어 수평적 참여를 특징으로 하였다. 이는 수평적 참여를 하나의 중요한 가치로 지향함으로써 신뢰 관계와 역량을 강화시키는 공동체 측면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셋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경계 넘기’경험은 공동체의 사회적 참여 과정이었다. ‘좋은 교사’운동과의 연대, 교육마을 만들기 등은 사회의 변화를 일으키는 학습 역동으로써 사회적 측면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교사선교회의 학습 경험은 모험을 감수하는 일련의 확장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관계 맺기’경험과‘함께 배우기’경험은 실천공동체 내부에 구심적 학습 역동을 제공하였다. 반면‘경계 넘기’경험은 공동체의 외부를 향한 원심적 학습 역동을 제공하였다. 교사선교회의 학습 경험은 원심적 학습 역동과 구심적 학습 역동이 균형을 이룰 때 활동체계의 확장적 전환을 이루고 있었다. 주제어 : 실천공동체, 교사실천공동체, 확장학습, 관계 맺기, 함께 배우기, 경계 넘기, 매듭 엮기(knotworking), 자기 생성적 참여구조, 학습 역동, 공동 주체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