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교육 국제화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엄상현(Sangheon UM),변기용(Kiyong BY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 국제화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그 간의 제반 논의를 분석해 봄으로써 관련 연구자들에게 이 분야의 주요 발전 동향과 이슈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등교육 국제화에 대한 보다 활발한 후속연구를 촉발시키는 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고등교육 국제화의 개념과 연구범위를 검토하였고, 최근 10년간(2001-2010)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학술지 논문과 정책연구보고서들을 중심으로 그 간의 연구 동향과 주요 선행연구들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국의 경우에는 고등교육 국제화에 관한 연구가 이미 상당수준으로 축적되어 있고 그 연구 영역도 매우 광범위하지만, 한국의 경우 아직까지 고등교육 국제화와 관련된 연구실적이 전반적으로 매우 빈약한 가운데 특히 학술지 논문 형태의 연구실적은 더욱 제한적이었다. 그리고 연구 수행패턴도 이미 발생한 현안에 대응하는 연구에 치중하고 있을 뿐 보다 폭넓고 장기적 시야를 가지고 고등교육 국제화가 초래할 다양한 함의와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전략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고, 아울러 국제화가 대학 현장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미시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도 매우 부족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1) 산발적이고 비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 성과의 빈 곳을 채워줄 수 있는 보다 균형잡힌 연구, (2) 고등교육 국제화 진전에 따른 제반 이슈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쟁점과 대응방안을 선제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연구, (3) 보다 장기적으로 고등교육 국제화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전문연구소, 학회 및 학술지 등 연구 인프라의 구축의 필요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in this area, which the authors hope would function as a catalyst for facilitating more systematic research on this important issue in Korea. The study reveals that, compared to studies conducted abroad, there has been only a few research, in particular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In addition,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a re-active fashion to deal with an imminent issues that has already taken place.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this study identifies the following three as the most imminent issues, on which more extensive attention should be placed: (1) balanced research efforts to establish more systematic accumulation of knowledge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2) a practical or policy-oriented research to pro-actively respond to future developments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3) the need to establish a solid research infra-structure (e. g., research institute, academic society, journal specialized i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o effectively facilitate scholarship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중국 고등교육 개혁

        정철민(Jung, Chul Min),유재봉(Yoo Jae Bong),육애화(Lu Ai Hua)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3

        오늘날 중국은 정치, 경제뿐만 아니라 교육에 있어서도 세계적 영향력을 갖춘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1970년대 '실용주의'를 표방한 이후 중국은 사회 전반에 걸쳐 개혁ㆍ개방을 통해 괄목한 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중국 대학들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기관으로 변모하기 위한 국제화 노력을 지속해 오고 있다. 이 논문은 중국 고등교육의 개혁의 변천 과정을 국제화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고등교육 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교육 개혁의 의미를 '국제화'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중국 고등교육 개혁의 변천 과정을 주요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실제로 중국 고등교육은 과학기술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뿐만 아니라 고급 인력의 유인체계 확립, 고등교육 행정ㆍ재정의 효율 증대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다른 한편으로 중국 고등교육은 국제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대학 간 불균형이나 지나친 정부 주도의 개혁으로 인한 문제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중국 고등교육 개혁에 대한 검토는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국제화에 있어서 효율성뿐만 아니라 호혜성, 그리고 대학 간의 균형 발전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China's higher education reform in terms of internationalization. To this end, we explore the meaning of higher education reform and discuss its limitations. In recent, China has a global influence in political, economic as well as education. Since the 1970's, under the slogan of 'pragmatic', China has economically developed through reforming society as a whole. In the same vein, higher education has rapidly enhanced in terms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through a series of reform. As a result, universities in China has grown many institutions with a global competitiveness since the 2000's. For instance, three universities have ranked within the top 100 universities, Tsinghua university is 47th, Beijing university is 57th, Fudan university 71th in 2015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However the Chinese higher education has faced with the problems caused by the reform of government-led or excessive imbalance between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In this sense,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importance of efficiency and reciprocity in higher education reform and of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universities.

      • KCI등재

        세계 고등교육 국제화 지표 분석 및 그 시사점

        김경근(Kim, Kyung-keun),김정숙(Kim, Jung-sook),이계형(Lee, Kye-hyo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4

        본 연구는 세계 고등교육 국제화 지표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고등교육 국제화 개념과 접근 방법, 국제화 지표 개발의 배경을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미국교육위원회(American Council on Education)에서 개발한 대학 국제화 지표와 OECD에서 개발한 고등교육 국제화 질 검토과정(Internationalization Quality Review Process)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자는 개별 국가 차원에서의 고등교육 국제화 지표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며, 후자는 개별 대학이 국제화 정책을 검토하고자 할 때 국제적 질 보증 절차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고등교육기관 스스로 국제화를 위한 자체평가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 고등교육기관이 고려해야 하는 것은 국제화에 관한 명확한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국제화 정책의 내실화를 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정부는 고등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질 보증 체제를 마련하는 한편, 대학이 국제화를 위한 자체평가체제를 마련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고등교육 국제화는 대학교육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과정과 병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internationalization index of higher education to draw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introduces the concept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followed by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ization index. Then examined are two internationalization index of higher education: one developed by American Council Education (ACE) and the other developed by OECD, which is known as IQRP (International Quality Review Process). ACE's international index of higher education is useful to governments when they assess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ies. IQRP, on the other hand, is useful to universities and colleges when they evaluate their status of internationalization. Drawn implications are (1)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ies to build a clear goal and implement appropriate strategies of internationalization, (2) policies on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should concentrate on contents rather than forms, and (3) the efforts for internationalizing higher education should be made along with the effort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 KCI등재

        고등교육 영역의 국제 비교 분석

        최돈민(Choi Don Min) 교육종합연구원 2007 교육종합연구 Vol.5 No.2

        국제 교류가 확대됨에 따라 교육의 국제 교류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대학교육의 국제 교류와 인적 확대는 세계화의 영향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이 논문은 고등교육 국제화의 의미와 동향을 살펴보고, 다른나라의 국제화 동향과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국제화 실태와 대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국제화는 세계화의 영향으로 교육, 연구와 봉사 기능을 국제적, 다학문간 차원에서 통합하는 과정이다. 국제화는 활동, 능력, 에토스, 과정의 영역이 상호 작용을 미치면서 나타난다. 교육시장의 개방은 시장 접근, 학생과 교육기관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WTO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에서 교육의 국제화를 촉진하는 운동이다.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국제화는 외국으로의 일방적인 유출(outbound)에서 볼 수 있듯이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유학생의 국제점유율은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호주 등 상위 5개국이 60%를 흡수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한국 유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현상은 국내 대학의 교육비가 OECD국가에서 가장 낮은 국가에 속하고 있으며, 교수당 학생비율도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교육의 여건이 낮은 것에서 기인하고 있다. 한국 대학교육의 낮은 국제 경쟁력은 대학생의 계층화를 심화시키고 대학원 교육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국제화는 국내의 취약한 분야나 첨단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쉽게 흡수하게 될 것이다.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대학교육의 수월성을 확보하고 현장 지향적 교육을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International exchange is rapidly expanding with international socio-economic exchange. Exchange programs and personal exchanges of higher education also rapidly increase due to globaliz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meaning and trend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by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response strategy on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is an integration process of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s. That is an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dimension which is influenced globalization. Internationalization is about the mutual interaction of activities, competencies, ethos, and process. The trend in education industry is towards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activities which involved cross-border supply, consumption abroad, commercial presence, and presence natural persons in WTO. Internationalization in Korea is at the beginning stage is an one-direction movement of students to a foreign country(outbound). The market ratio of foreign student share 60% in United States, England, Germany, France and Australia. In United States, the first foreign students came from Korea. It is the result that the education environment is bad, the situation was such that cost of higher education is the lowest and per student ratio per professor is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To cope with internationalization, higher education in Korea must be internationally competitive. Inbound foreign students must have positive response toward opening higher education, the impact caused by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meeting global quality standard of higher education and developing industry-oriented curriculum will be examined in this paper.

      • KCI등재

        한국과 러시아 고등교육학위 상호인정협정논의에 있어서의 쟁점 분석

        유성상(Yoo Sung Sang),공병규(Gong Byoung Gyu)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3

        이 연구에서는 2012년과 2013년도 사이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추진되었던 고등교육학위 상호인정협정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쟁점을 탐색하고, 국가 간 고등교육 상호학위인정협정을 체결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할 사항에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내용이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국제적으로 고등교육분야 학생 이동성이 증가하면서 국가 간에 양자 혹은 다자 협정을 통해서 학위의 호환성을 증진시키거나, 해외 부실 학위 유입을 막기 위해 학위 문건의 검증 체계를 표준화하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 간 교육과 자격 체계가 상이하여 서로 합의점을 찾고 협정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러한 학위인정협정은 각 국가의 고등교육국제화 전략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 체결 여부를 두고 국내ㆍ외로 첨예한 논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현재의 볼로냐 프로세스가 출현하기까지 내ㆍ외부적인 논쟁을 통해 실효성 있는 협정을 위한 신뢰 기반을 다져왔으며, 국제적으로는 아포스티유 제도를 통해서 부실 학위에 대응하기 위한 학위 문건 검증 체계를 유지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국제적인 움직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러 상호학위인정협정은 한국에게 국제 학생 이동성, 국가 간 학제 호환성, 대학의 국제적인 인증, 국가 고등교육 관리 체계 그리고 비교교육 정보 시스템의 구축이라는 이슈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는 기회를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가 수준에서 어떠한 정책적 방향을 가지고 고등교육국제화 전략에 접근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일정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general issues of mutual academic recognition, by examining a case of Korea-Russia Mutual Academic Degree Recognition Agreement. As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increases, there are growing interests in increasing compatibility among different national degree systems. Also, there is an international movement to standardize an authentication process of foreign degrees in an attempt to protect domestic degree systems from foreign diploma mills. However, these attempts to establish internationally harmonized mutual academic recognition system face a number of challenges as there are significant disparities in different education systems. In addition, this movemen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national strategy on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us accompanied with many controversial issues. In an effort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European countries established a firm bases of trust in mutual academic recognition through continuous policy dialogues and discussions for the last half a century, and international community developed Apostille system to standardize a foreign degree authentication process. Despite such an international trend, admittedly, Korea has been isolated from these movements to promote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by solving problems in academic recognition and degree authentication processes. In this respect, a case of Korea-Russia Mutual Academic Degree Recognition Agreement provides some implications to Korea on the issues of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compatibility with foreign education systems, international accreditation of universities, national higher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information database. Also, the case indicate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have more systemized approach toward its strategy of internationalizing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유럽의 교육제도: 영국, 프랑스, 독일의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김운삼 ( Un Sam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8 유라시아연구 Vol.5 No.1

        지식기반경제하에서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인적자원 중심의 성장전략이 필요하며 고등교육의 경쟁력이 핵심이기에, 세계 모든 국가들이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등교육 개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화에 따라 기존의 시장질서가 없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에 있어서도 국가간 경계는 더욱 희미해져 가고 있으며, 특히 고등교육분야는 그 목적, 내용, 방법 면에서는 물론이고, 교육적 결과를 인정하고 평가하는 방식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고등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세계의 다른 어느 지역보다 먼저 하나의 유럽을 지향하여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제반 분야의 인적, 물적 교류와 이동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정비해 온 유럽의 통합고등교육정책 중 가장 성공적으로 평가되고 있고, 이를 통해 우리 나라 대학들의 국제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국제화의 개념과 최근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과 추진동향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유럽의 모든 정책은 정치·경제, 행·재정 결속을 더욱 다지는 것은 물론 상호 협력과 이해를 바탕으로 해서 유럽인들 사이의 연대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유럽연합의 고등교육정책의 특징은 첫째, 회원국간 교육의 질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고, 기술적 규제와 평가절차에 대한 합의를 도출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교육과 훈련정책을 유럽연합 내 고용정책과 여타 시장정책과의 연계성 속에서 수립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럽의 고등교육 정책을 참고로 우리나라 대학의 국제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우리나라 대학이 단기간에 국제경쟁력을 높여가기 위해서는 공동학위제와 복수학위제의 개념이나 규정의 구체화와 유연성을 제고해 교육과정 공동운영 등을 통해 세계 우수대학과의 네트워킹과 협력을 강화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외국대학과의 합작이나 분교 설치 그리고 국제공동학위의 운영 등과 같은 프로그램에 대해 정부의 법적, 제도적 보완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재정적인 지원책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 우리나라 대학은 이제부터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며 통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들을 표준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공인의 교육프로그램 인증 제도를 확립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국제기구를 통한 인증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하겠다. 넷째, 최근 유럽연합의 정치·경제 및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교육 분야에서도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인적자원 개발의 핵심적 주체인 고등교육의 틀 자체를 국제화하고 다양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다섯째, 국제화의 실제적인 기준과 평가방식을 마련하고 대학의 국제화 교육과 관련된 모든 자료나 정보들을 통합된 시스템에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며 단위 대학들이 선진 해외 대학의 우수사례와 국제화 관련 자료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양한 학사운영 모형을 개발해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과 규제개혁이 필요하다. The global world now pays attention to the reform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In this era of knowledge industry,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rests much upon the higher education and a development strategy with human resources on its center i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a nation. Since the globalization the market order has been changed and so have been the educational boundaries between the nations. The higher education, in particular, altered its goal, subject, and method as well as its qualification formalities and evaluation process. These two programs are part of large social reformation of politics, of economy, and of culture that the European Union as one Europe has been through before any other parts of the world prepared to cope with the globalization. These two program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ent higher education models, and by way of seeing these programs, we can find some useful way of internalization of universities in Korea. This thesis surveys and analyzes the concept of the internaliza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 and movement of internalization of higher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is thesis will show as a conclusion that all the EU higher education policies are developed to strengthen the economical and cultural solidarity of the European nations upon mutual understanding and collaboration: the normalization of education, the standardization of evaluation process, and a training program in close relation with employment and market policies. Korean universities can sharpen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a short period of time if they (re-)consider and actualize the joint or dual degree program with more flexibility and establish intimate network with renowned international institutions. For the internaliz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a further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joint management, branch installation, and international degree program is required besides secure financial support. Korean universities need to standardize their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international acceptability and the government should also establish a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verification system through a qualified organization. Serious research on education needs to be carried side by side with political model of higher education, the core of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at will administer the unified system of world education resources and information according its realizable standard and evaluation method is expected. Networking of local universities with intern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information-sharing between the two will be possible through this organiza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reformation and support will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universities in the world by developing a new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고등교육 국제화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사례연구-C대학교 쌍방향(In/Out bound) 2+2복수학위제를 중심으로

        셀익잔(Jiynbai Syerikjan),이길연(LI, Ji Lian)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4차 산업혁명시대 진입에 따라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고,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가시화된 학력인구 감소는 in-bound와 out-bound 즉 쌍방향 국제화를 활성화 시켜야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해외 자매대학과의 교환학생제도 활성화를 통해 한국 대학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외국에서 국제적인 경험을 하는 out-bound 국제화에 치중해 왔다. 2000년대 들어 고등교육 국제화는 전 세계적으로 더욱더 확산되는 분위기였으며 그 예로 EU위원회(European Commission)에서 주관하는 ERASMUS+ (European Action Scheme for the Mobility of University Students)가 있고, 아시아에서 2011년부터 추진한 한중일 3국 교류프로그램인 “CAMPUS Asia 사업”이 있고, 중국정부에서 2015년부터 추진한 "세계 일류 대학 세계 일류 학과 만들기 프로젝트(双一流建设)"가 있다. 한국의 경우 2004년부터 교육부에서 “Study Korea 프로젝트” 추진을 시작으로 2012년 11월 “Study Korea 2020” 프로젝트 추진계획 발표를 통해 2020년까지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를 20만 명까지 유치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국제화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 대학 교육 국제화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 여러 가지 방식과 전략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해외자매대학과의 교환학생 프로그램, 복수학위 프로그램, 어학연수 프로그램 등이 있는데 in-bound 국제화 전략으로의 전환에 따라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국제화 방식은 외국유학생 유치를 위한 어학연수 프로그램 등이 있다. 대학 교육 국제화는 외국인 유학생 교육과 관리도 포함되겠지만 내국인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도 국제화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일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필자 소속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in-bound와 out-bound 쌍방향 2+2복수학위 프로그램을 연구범위로 설정하고 그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고등교육기관의 국제화 역량강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 연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advent of a new era,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as become an imperative issue.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the educated population is decreasing day by day. Therefore, in-bound and out-bound interaction must be promoted. In other words, we need to promote interactive internationalization. There will be several ways and strategies to revitaliz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For example, programs with overseas partner schools, like student exchange programs, double degree, language training, and so on. With the transition to in-bound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language training programs is used widel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Internationaliz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cludes the education and management of foreign students, but enhancing the global capabilities of Korean students will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goals of internationalization. Therefore, this article takes the in-bound and out-bound interactive 2 + 2 double degree program developed by our school as the research object, analyzes its operation status, with the aim of committing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ization capabilities of universities..

      • KCI등재

        고등교육 서비스 해외진출 유형과 개선 방안 * - 제도적 개선을 중심으로 -

        김선주(Seon-Joo Kim),이정은(Jung Eun Lee),황청일(Chung-Il Hwa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2

        대학의 경쟁력은 국가의 경쟁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학은 개별 국가의 재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확충하는 인적자원개발의 요람으로 기능한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 대학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의 입학자원 감소, 주변국의 경쟁적 유학생 유치로 인한 학생 유입 감소, 전 지구적 교육시장 개발과 경쟁이라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 교육 환경 속에서 국내대학의 교육서비스 해외진출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유학생의 적극적인 유치 및 교육서비스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과 정부의 제도적 지원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는 정부의 고등교육 국제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 진출을 통한 교육서 비스 확대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우리나라 고등교육 서비스가 해외로 진출 하는 기반을 수립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국경을 이동하는 고등교육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TNHE) 서비스를 교육과정 제공 주체, 학위 수여 주체의 입장에서 통합적으로 유형화 하고, 고등교육 서비스 해외진출을 기관 진출, 프로 그램 진출로 분류한 후 제도적 관점에서 각각의 개선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is closely tied to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s. Universities function as cradle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at nurture and bolster talent in each country. Recently, however, Korean universities have suffered from a drop in enrollment of universities due to a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 decrease in the influx of students from overseas due to increased competi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from neighboring countries and an increasingly open and competitive global education environment. In such an environment,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abroad has never been more important for Korean universities. The time has come to develop a variety of plans and seek institutional support from governmental institutions to attract students from overseas to study in Korea and to ensure the successful entry of Korean educational services abr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for expanding the provision of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service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push for the glob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s well as create the basis for Korean higher education services to venture abroad.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TNHE) services that transcend borders are being consolidated and formalized by curriculum providers and degree granting bodies. After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of higher education services were classified into institutional advancement and program advancement, improvement plans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each track from an institutional standpoint.

      • KCI등재

        ASEAN+3 국가 간 고등교육 협력 발전 동향 분석: 다자간 학생 이동 프로그램과 질 보장 이슈를 중심으로

        변기용,이희영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글로벌교육연구 Vol.10 No.3

        This study aim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government, on promoting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among ASEAN+3 count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recent trend and related issues in this area. To fulfill this goal, this study basically analyzed reports and official documents which the authors had produced and obtained through attending and monitoring 34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etings from 2013 to 2018. The analysis of these documents revealed that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among ASEAN+3 countries has been overall strengthened since the 2010s; for instance, government-initiated ‘multilateral student mobility program’ such as AIMS programme and CAMPUS Asia have been implemented, and ASEAN+3 Higher Education Working Group(WG),’ as an official communication mechanism on quality assurance and student mobility among ASEAN+3 countries, has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is region for the first time. As a future policy direction to strengthen the role of Korean government in this area, the study suggested that: (1) to develop more sustainable implementation plan for government-initiated multilateral student mobility program such as CAMPUS Asia, AIMS programme, (2) to strategically restructure the ASEAN+3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project of the Korean government during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2nd phase(2018∼2025) of the ASEAN+3 Education development plan, (3) to reshuffle a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o more effectively coordinate fragmented functions of different government divisions and other related agencies regarding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within ASEAN+3 region. 본 연구는 나날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ASEAN+3 국가 간의 고등교육 협력 동향에 대한 기본적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한국 정부와 개별 고등교육기관이 ASEAN+3 역내 국가와의 교류·협력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총 34건의 국제회의 및 국내 회의에 직접 참석하여 모니터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과정에서 산출·수집한 공식/비공식 보고서 및 관련 문서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ASEAN+3 국가 간 고등교육 협력이 전반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AIMS 프로그램, CAMPUS Asia 사업과 같은 정부 주도의 ‘다자간 학생교류 프로그램’과 질 보장 및 학점 인정에 대한 공식적 논의 구조인 ‘고등교육 WG 설치·운영’은 최근 이 지역 내 고등교육 협력 활성화 움직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책과제로서는 (1) CAMPUS Asia, AIMS 프로그램 등 한국 정부가 참여하는 다자간 학생 교류 프로그램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 마련; (2) 2단계 ASEAN+3 교육 분야 실행계획(2018∼2025) 수립을 계기로 한국의 ASEAN+3 고등교육 협력 프로젝트의 전략적 재구조화 추진; (3) ASEAN+3 국가와의 고등교육 국제 교류·협력 추진을 위한 정부내외의 효과적 추진체제 마련 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후보

        고등교육기관의 국제화 분석 : 실증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한 종합적 접근

        이병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6 교육과학연구 Vol.37 No.3

        지식사회의 도래와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고등교육의 국제화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가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국제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논문은 우리 나라 대학교육의 국제화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199개 대학을 대상으로 국제화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국제화 우수 대학사례에 대한 조사와 대학본부의 고위 행정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학생과의 상호작용 여건과 교육과정의 국제화가 미흡하고 '편향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의 특성에 따라 대학교육 국제화에 대한 인식에 두드러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의 분석을 기초로 해서, 이 논문은 대학차원에서 우리나라 대학교육을 국제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러한 방안들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대학과 정부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As national economy becomes knowledge-based and globalized,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as received a renewed attention throughout the world. It is evidently one of the key tasks we must deal with to sustain our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This article examines how much the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especially four-year universities, are internationalized in terms of basic condi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al programs, infra structure, and administrative services. It also intend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t an institutional and national level. The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re was a considerable variation from institution to institution, the basic conditions for interaction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ents left much room for improvement, and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needed to be internationalized substantially. Nevertheless, it was promising that top management considere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s an urgent issue and that many universities had a comprehensive plan for internationalizing their campus. This article further discusses what we need to do for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t an institutional and nation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