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70년대 한국 개신교 민주회운동의 특성과 한계 : 종교사회학적 접근

        전명수(Chun Myung-S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1960-70년대에 전개되었던 한국 개신교 민주화운동의 성격과 한계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된 것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앞으로 종교사회운동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고찰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개신교는 동원자원의 측면에서나 민주화 이념의 정립에 있어 이 시기 민주화운동에 중요한 역할과 기여를 했음이 드러난다. 그럼에도 이 시기 개신교 민주화운동은 민주화운동의 일부에 포함되거나 가려져 그 종교적 정체성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민주화운동에서 보여준 개신교 단체나 인사들의 선언문은 민주화운동의 방향과 내용을 정립하는 데에 있어 보다 역동적인 역할을 했다기보다는 단지 개신교의 교리로 운동을 포장하거나 이를 그 안에 편입시킨 듯한 인상을 준다. 민주화운동에 헌신한 교계 지도자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그 초점이 대부분 정계 재야인사들과 함께 그 운동을 이끌고 탄압받았던 ‘민주화’에 있지 ‘개신교’에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기독교회관은 유신시절 민주화운동의 공론장 역할을 충실히 했음에도 명동성당만큼 민주화의 성지로서 사회 일반에 각인되지 못한 편이다. 종교사회운동의 측면에서 볼 때 ‘종교’와 ‘사회’간의 바람직한 관계는 양자 간의 균형으로, 따라서 저항의 의미와 방식 등에서 좀 더 개신교적 특성을 제시함으로서 개신교가 민주화에 종속되기보다는 동등한 역할과 위상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점은 앞으로 각종 개신교 사회운동 내지는 종교사회운동이 유념해야 할 부분이다. This article aims at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Korean Protestant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60-1970's, but its ultimate purpose lies in explor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eligious social movement. It is generally agreed that Korean Protestantism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movement in the process of resource mobilization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democratization ideology. Nevertheless, the identity of Protestant democratization movement does not seem to make clear appearance by either being included or hidden in a part of the general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declarations the Protestant organizations or leaders gave out appear to be wrapped with the Christian doctrine without playing active role in proposing the aim and direction of the movement. Likewise, the Protestant leaders devoted to the movement seem to be assessed as a group of the dissidents, because focus is on their ‘'democratization' activities, not on Protestantism they stand for. Although United Christian Center fulfilled faithfully the role of the public sphere fo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during Yusin period, it has not been carved as deeply as Myungdong Catholic Church as a holy place for democratization to general people in Korea. Consid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social movement the balance has to be kept, above all,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This implies that Protestantism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equal role and status with democratization, not subordinate ones. It is just the aspect that various kinds of Protestant social movement or the religious social movement should keep in mind in the future.

      • KCI등재

        19세기 말 조선의 개신교 수용 양태(樣態)

        조현걸 대한정치학회 2018 大韓政治學會報 Vol.26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ode of Protestantism during the process of being accepted into the Chosun society. First, in Chapter 2, this report referred to several cases that were already introduced in Chosun before Protestantism was widely received. Chapter 3 reviewed three factors: the treaties with Japan and Western countries, its procedure, and the period when Chosun became more open to negotiations with them. In addition to that, it discussed how those three factors affected Protestantism's acceptance and expansion. In Chapter 4, several features were closely reviewed during the period of Protestantism's acceptance and expansion. These features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missionaries, their missionary activities in the early days of missi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ose who accepted Protestantism, an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Northwest which was an important place for Protestant acceptance. As a result, I can confirm that the features seen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propagation of Protestantism have offered a positive environment and acted as factors in accepting Protestantism in Chosun in the late 19th century. 본 논문은 개신교가 수용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친 환경적 요인들이 어떠했을까 하는 질문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개신교라는 실체는 변함이 없지만, 개신교가 수용되는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들이 다르다면, 개신교의 수용・전파과정에서 나름의 개별성과 특수성을 띠게 될 것이며, 이러한 개별성과 특수성이 향후 개신교와 정치의 상호작용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개신교 수용 과정에서의 초기 조건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는데, 개신교 수용 초기에 영향을 미쳤던 정치・사회적 조건들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같은 목적에서 본 논문은 개신교가 조선에 본격적으로 전파되기 이전, 조선에서 형성되고 있었던 개신교 수용의 자생적 기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이 일본 및 서구국가들과 체결한 통상조약들을 통해 개신교를 전파하고자 한 서국국가들과 조선의 역학관계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조선조정의 태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개신교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몇 가지 정치사회적 요인들, 즉 주도적으로 개신교 선교사를 파송한 국가 및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종교적・정치적 성향, 조선의 개신교 수용 주체들의 정치경제적 배경 및 지리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초기의 조건들은 향후 교회조직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개신교가 한국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사회집단으로 등장하면서부터, 당시의 시대적 요구 그리고 국가 또는 정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한국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 개신교박물관의 현황과 전망

        허남진 ( Nam-jin Heo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5 종교문화연구 Vol.- No.24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박물관의 현황을 박물관 소장품을 통해 유형화해 살펴보는 데 있다. 개신교 문화유산은 종교적 의미뿐만 아니라 역사,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광범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개신교 박물관은 한국근대문화유산의 소장처로서 중요성을 지닌다. 박물관 소장품은 박물관 활동의 근간이며, 박물관의 고유한 정체성을 드러내주기 때문에 개신교박물관 현황을 파악하는데 박물관 소장품의 성격에 따른 분류방식은 개신교박물관의 특성을 드러내는 데 적절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신교박물관을 소장품의 성격에 따라 역사박물관, 성서(고고학)박물관, 인물박물관(기념관), 의료선교박물관으로 유형화시켜 개신교박물관 현황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개신교박물관의 현황을 통해 종교박물관 전문인력, 다양한 전시연출기법, 정부의 사립박물관 육성책, 개신교문화유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분류체계 등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기반마련을 통해 추후개관될 한국교회역사문화박물관은 개신교문화유산에 대한 효율적 관리뿐만아니라 사건, 인물, 의료선교, 문서선교 등 다양한 주제를 개발하여 한국개신교 역사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Protestant museums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 of the basis of the former result. Protestant properties are considered crucial resources that enable us to shed new light on modern Korean history,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beyond mere religious value. The functions of the Protestant museum ar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Protestant properties and exhibitions, research and study. Therefore, I arranged the present condition of Protestant museums as a basic work to secure th impotance of protestant properties. Protestant museums are important in that they are storehouses of precious data accumulate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 Most Protestant museums are petty in their scale and management. Coll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which determine identity of the museum. So, I classified the types of Protestant museums in Korea into Korean Protestant history museum, Christian figures museum, mission museum, biblical archeology museum, christian art museum, local churches’ history and denomination museum, medical mission museum, natural history museum on the basis of collections they possess. As a result, I emphasize necessity of standardized information system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rotestant properties. In addition, the curator is a core constituent of the museum. Specialization of curator is matter in religious museum such as Protestant museum. The need of course for curator has been pressed and as museums changed more specialized, specialization of curator must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point to develop museum environment in Korea For developing and promoting religious museum, I recommend that the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Curator should be institutionally enabled curator to disciplined religions knowledge.

      • KCI등재

        한국개신교 선교역사의 시작은 언제인가?

        김칠성 한국교회사학회 2014 韓國敎會史學會誌 Vol.38 No.-

        한국 기독교 선교의 기원에 관해 관심을 갖고 있는 몇몇 개신교 단체들은 최근 올해 2014년을 한국기독교 130주년으로 정하고, 이를 기념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대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전에, 우리는 1) 용어 사용의 문제, 2) 역사관의 중요성, 그리고 3) 첫 번째 선교사에 대한 논쟁 등과 같은 문제들을 주의 깊게 연구해 보아야 한다. 가장먼저 우리는 ‘기독교(Christianity)’의 의미를 고려한 후,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가 과연 적절한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사람들의 모임이나 그 상태’를 의미한다. 그래서 기독교는 로마 카톨릭 교회, 동방정교회, 성공회, 그리고 개신교회를 모두 다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용어이다. 만일 한국에서 가장먼저 선교역사가 시작된 천주교의 역사의 시작점인 1784년을 한국기독교의 시작점으로 본다면, 올해는 한국기독교 130주년이 아니라 230주년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올해 2014년도를 한국 기독교 전체가 아닌 개신교 차원에서만 기념하려 한다면, ‘한국기독교 130주년’이 아닌, ‘한국개신교 130주년’이라는 슬로건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들은 역사를 이해함에 있어서 역사관의 중요성에 관해서 반드시 인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한국에서는 한국교회사 혹은 한국선교역사를 연구함에 있어서 크게 ‘선교사 중심의 역사이해’와 ‘한국인 중심의 역사이해’라는 두 개의 역사관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인 중심의 역사이해를 하려는 사람들은 1884년 이전에 주로 중국이나 일본에서 초기 선교사들과의 만남을 통해 개신교 신앙을 접한 초기 한국인들(예를들어, 백홍준의 아버지, 이응찬, 김진기, 서상륜, 서경조, 이수정)에게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 물론 이들 한국인들은 한국 개신교 신앙의 개척자들로서 한국개신교 선교를 위해 다방면에서 공헌을 한 점은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이 진정한 기독교인 이었는지, 그리고 한국에 교회를 설립한 것이 맞는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바로 이런 점들 때문에 어떤 이들은 한국개신교 역사의 시작은 외국 선교사들의 한국입국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국에 온 첫 번째 개신교 선교사가 누구인가에 관해서는 여전히 논쟁점들이 존재한다. 찰스 귀츨라프는 1832년에 그리고 로버트 토마스는 1866년에 한국에 처음 도착한 것은 역사적으로 분명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과연 진정한 선교사였는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이 아직 정리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들이 한국에 올 때, 서구 제국주의 혹은 식민주의자들과 함께, 그리고 그들의 조력자로 한국에 왔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한국 교회사학계와 교회들에서는 1880년대에 한국에 온 선교사들 가운데에서 그 첫번째 선교사를 찾으려고 한다. 한국감리교의 초대 총리사였던 양주삼은 1880년대 한국에 온 선교사들 중에 로버트 매클레이를 첫 번째 개신교선교사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매클레이가 1884년에 고종으로부터 감리교를 포함한 모든 개신교 선교사들의 선교(의료, 교육)에 관해 공식적으로 허락을 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매클레이가 보여준 한국정부와 한국 사람들을 대하는 정중한 태도는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교훈을 주기 때문에, 우리는 매클레이를 한국에 온 첫 번째 개신교 선교사라고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Considering the origin of Christian mission in Korea, some Protestant organizations try to celebrate this year(2014) as the 130th anniversary of Korean Christianity. However, before celebrating this historical affair, we must carefully investigate: 1) the using of right term, 2)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views, and 3) the controversy about the first missionary in Korea. First of all, people should use the proper terminology through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hristianity.” Christianity means people, who believe Jesus as the Christ and the Savior, or their belief stance. Thus, the meaning of Christian contains all Christian parties, such as Roman Catholic Church, Eastern Orthodox Church, Anglican Church, and Protestant Church. In considering the mission history of Roman Catholic Church in Korea started from 1784, this year is not the 130th anniversary. Therefore, people who want to celebrate this year should use the specific slogan “the 130th anniversary of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instead of their current slogan, “the 130th anniversary of Christian missions in Korea.” Also, people have to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views in understanding history. Generally speaking, there are two historical views(i.e., missionary-centered and Korean-centered) about the mission or church history in Korea. Some people insist that the starting point of Korea’s mission history came back the early Korean Protestants (e.g., Hong-Jun Baek’s father, Eung-Chan Lee, Jin-Ki Kim, Sang-Ryun Seo, Kyung-Jo Seo, and Su-Jung Lee) who became Christians in China and Japan before 1884. Nevertheless, it is not clear that they were truly born again and establishing churches in Korea. For this reason, some people underscore the entry point of foreign missionaries, but it is controversial in terms of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in Korea. Even though early two Protestant missionaries (i.e., Charles Gützlaff, Robert Thomas) visited some ports in Korea in 1832 and in 1866 respectively, it is still doubt whether they were authentic missionaries or not. It is because they came to Korea with the Western colonialists or as their support. Thus, we can find the first missionary among people who came to Korea during the 1880s. Among the missionaries, Ju-Sam Yang (the first General Superintendent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regarded Robert Maclay, who opened the Protestant mission works by receiving the approval of Ko-Jung (the Korean King) in 1884. Because Maclay’s attitude can give today’s Korean Protestant churches good implications to overcome current difficulties of all Korean churches, we can consider Maclay as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in Korea.

      • KCI등재

        한국 개신교회와 근본주의

        배덕만 西江大學校 宗敎硏究所 2008 韓國宗敎硏究 Vol.10 No.-

        이 논문은 한국 개신교회 안에 근본주의 역사를 추적하고 그 다양한 성격들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본주의는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한국에 들어왔으며, 한국 개신교의 가장 중요한 종교문화의 하나로 성공적으로 자리 잡았다. 종파적 차이를 넘어, 한국 개신교회들은 여러 방식을 통해 근본주의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근본주의가 20세기 한국교회의 신학적,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였을 뿐 아니라, 교회의 급성장에도 지대한 기여를 했음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그들의 시대착오적 관념과 행위에 대해 혹독한 비판을 불러일으키는 많은 문제와 논쟁도 드러나고 있다. 근본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한국 개신교회들은 그들이 직면하게 된 복잡한 이슈들에 대해 설득력 있는 신학적 해답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정치적 영역에서도 개신교회들은 이미 예언자적 목소리를 내는 중립적 입장보다는 스스로 정치적 보수주의와 강하게 결부시키고 있다. 경제적으로도 한국 교회는 자본주의의 역기능을 저지하거나 개혁하는 대신 그 역기능의 가장 믿을만한 동반자의 하나가 되어버린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개신교는 이제 특히 근본주의와의 관계라는 면에 있어서 갈림길에 놓여 있다. 물론 근본주의와의 오래되고 강한 관계를 끊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만약 지켜야할 가치와 시대착오적 요소들을 균형 있게 고려하여 근본주의와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데 실패한다면, 한국에서의 명성과 영향력도 급속도로 상실할 것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trace the history of fundamentalism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and to delve into its various characteristics. Fundamentalism was imported to Korea by American missionaries, and has successfully established itself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ligious cultures in Korean Protestantism. Across the denominational spectrum,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demonstrating their strong connection with fundamentalism in many ways. There is no doubt that fundamentalism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rapid growth of Korean churches as well as shaping their theological, cultural identities in the twentieth century. However, it has also disclosed many problems and controversies provoking harsh criticism against its anachronistic ideas and behaviors. Due to its fundamentalist tendency,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not likely to produce persuasive theological answers to the complicated issues they are facing. In terms of politics, Protestantism already transformed itself into a powerful political ally for political conservatives in Korea rather than lifting up its prophetic voice toward the Korean politics keeping its neutral position. Economically, Korean churches became one of the most reliable mouthpieces for the dysfunctional capitalism instead of playing the role of resisting or reforming it. In conclusion, Korean Protestantism is now on the crossroad, especially in its relationship with fundamentalism. Of course, it is not easy to thoroughly cut off its long, strong relation to fundamentalism. But if it fails to reconstruct its relationship with fundamentalism taking into account its consistent values and anachronistic elements in balance, it will lose its reputation and power in this country as rapidly as it grew.

      • KCI등재

        한국 개신교와 보수적 시민운동 : 개신교 우파의 극우·혐오정치를 중심으로

        강인철(Kang, In-Cheol)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33 No.-

        이 글은 보수적 시민운동의 맥락에서 한국의 정치적 개신교인들에 대해 탐구한다. 개신교는 한국으로 전래된 지 불과 130년만인 2015년을 전후하여 한국 최대의 종교로 성장했으며, 한국의 개신교 지도자들은 압도적으로 신학적-정치적 보수 성향을 보이고 있다. 보수 개신교인들은 1990년대에 사회참여 참여 노선으로 선회했고, 2000년대 초부터 정치적 행동주의로 나아갔다. 이 과정에서 미국 그리스도교 우파와의 밀도 높은 상호작용이 진행되어왔다. 이를 통해 형성된 한국의 ‘개신교 우파’는 극우정치·혐오정치로 경도되어 있다. 특히 2016년 이후 개신교 우파는 이른바 ‘태극기 부대’의 핵심 세력을 이루고 있다. 아울러 이 글에서는 종교인들의 사회운동이나 정치 활동이 폭넓은 사회적 공감을 얻는 데 실패할 때, 그들의 적극적인 ‘정치적’ 활동은 예기치 못한 파괴적인 ‘종교적’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높음을 밝혔다. 이런 맥락에서 개신교 우파의 적극적인 정치참여가 개신교로의 충원 감소, 내부 이탈 증가, 특히 젊은 세대의 교회 이탈, 무종교인구의 증가를 촉진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political Protestants in the context of a conservative civil movement and is focused on the extreme right politics and the politics of hatred.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the emergence of the ‘Protestant right’ a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s social participation grew and became politicized. Since 2016, the Protestant right has been a key force in the so-called “Taegukgi troops.” Through an analysis and comparison to the USA’s Christian right,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right has undergone deep interaction with its counterparts in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today both have come to act as twins. Finally, this paper described the ‘religious’ consequence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Protestant right. I have found that when political activities of religious people fail to gain broad social sympathy, their ‘political’ activities are likely to have unexpected and destructive ‘religious’ results.

      • KCI등재

        한국개신교에서 종교개혁 성만찬 신학의 의미와 현주소

        황훈식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501년 전, 중세 로마 가톨릭 신앙에 맞선 종교개혁의 물결은 ‘이신칭의’의 새로운 신학적 조명 가운데 기독교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지만, 루터와 츠빙글리, 칼빈의 성만찬 신학은 개신교 갈등과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루터가 주장하는 그리스도의 신 체적 현존과 편재성,츠빙글리가 주장하는 상징설, 칼빈이 말하는 영적 임재설은 개 신교 내에서 각기 자신들의 추종자들과 자신들의 정체성을 위한 도구로 전락되고 말 았다.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일렬의 노력이 시도되었지만, 상이한 성만찬 신학은 합의 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서로의 한계선을 더욱 명확하게 하는 신조들이 발표되 었다. 이에 반해 한국개신교의 성만찬 신학은 초기 한국선교 때부터 갈등의 요소로 작용 되지 않았다. 이는 성만찬을 중요시하지 않았던 청교도식 예배서 사용과 성만찬에 대 한 목회자와 평신도의 낮은 이해도, 불신자들을 위한 집회방식 예배 등은 성찬 신학 의 활성화를 느리게 한 요인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개신교 초기 문서에 나타난 성만찬 신학은 그리스도의 임재나 편재성에 대한 신학적 해석이 심화되지 않았던 모 습이었다. 현재 한국개신교 각 교단들의 성만찬 신학은 초기 한국개신교의 성찬신학 보다는 더 보완되고 다양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다양한 성찬 신학적 요 소들이 초기 한국개신교의 상황과 같이 각 교파들 간에 갈등과 분열의 모습으로 나타 나지 않았다. 한국개신교 성만찬 신학에서 성찬의 떡과 잔에 관련된 신학적 해석은 미미하였지만, 반가톨릭적 성만찬 신학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성찬의 과거성, 현재성, 미래성의 관점에서 많은 공통분모를 지니며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 한국개신교의 성 만찬 신학의 발전은 종교개혁 개신교 성만찬 신학의 역사와 같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추종자들을 끌어 모으는 수단이 되지 않도록, 그 본질적인 면에서 연합을 이루어 성찬 안에서의 은혜의 풍성함을 경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501 years ago, the wave of the Reformation against the medieval Roman Catholicism opened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rough the new theological illumination of Justification by faith. But the Eucharisitc theology by Martin Luther, Ulrich Zwingli and John Calvin became the cause of conflict and division of Protestantism. The physical presence and ubiquity of Christ in the Eucharist by Luther, the symbolism by Zwingli and the spiritual presence of Christ by Calvin became a tools to create their followers an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lthough there was a series of efforts to overcame this, different Eucharistic theologies did not reach consensus, and rather, only statement clarifying the limits of each other were published. On the contrary,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did not act as an element of conflict since the early Korean mission. The use of the Puritan style worship, which did not emphasize the Lord's Supper, and the de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astor and layman for the Lord's Supper and the Evangelism revival meeting for the unbelievers were factors, that make the activation of sacramental theology slow. And the theology of the Eucharist in the early Protestant church of Korea was a theology that did not intensify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Christ's presence or ubiquity.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now has more complementary and diverse elements than those shown in early sacramental theology. However, the various sacramental theological factors did not appear as conflicts and divisions among the various denominations as in the early Korean Protestant church. Although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acramental bread and cups in Korean Protestant Eucharistic theology is marginal, it is developing with many common denominators in terms of anti-Catholic Eucharistic theology and in the perspectiv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the future,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should move toward experiencing the abundance of grace in the Eucharist over unity in its essential aspect, unlike the history of protestant Eucharistic theology in the Reformation, when it became a mean of establishing one's identity and attracting followers.

      • KCI등재

        ‘브라질의 사회변화와 개신교의 성장

        김영철(Kim, Young-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개신교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브라질의 종교 지형의 변화를 연구한 것이다. 지형 변화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연구 성과들을 인정하고 2000년과 2007년 발표된 여론조사를 중심으로 브라질의 종교 지형 변화를 분석했다. 특히, 1991년 이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개신교를 중심으로 종교인구의 변화 추이, 지역별 종교분포의 변화, 역사적 개신교와 오순절 개신교의 분포와 특성, 변화 추이를 분석해서 개신교의 성장과 원인에 대해 분석했다. 1991년 이후 개신교의 영향력은 급증했다. 특히, 대도시의 주변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었고, 브라질 전체를 보면 남동부 지역이 가장 빠르게 가톨릭이 감소하고 개신교가 증가하고 있었다. 히우의 경우에는 가톨릭 신도가 과반수를 넘지 못하고 있었다. 개신교에서는 오순절 교회의 성장이 주도하고 있었으며 오순절 교회내에서 여성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이런 개신교의 성장으로 점진적으로 “Now and Here” 가치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개신교의 성장은 가톨릭 문화가 지니고 있는 특성을 약화시키고 있다. 가톨릭이 가부장적인 사회구조를 형성시켰다면 개신교는 가부장적 구조의 해체까지는 아니지만 그 사회체제의 많은 부분을 흔들고 있다. 또한 가톨릭이 권위주의적인 측면을 강조해왔다면 개신교는 실천과 연결되는 실천적 영향력을 중시하는 사회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경쟁적인 사회로 구조화시키고 있다, 이런 변화들은 여성들의 사회참여를 유도하고 있는데 가톨릭을 통해 형성되어 있는 남성 중심적 사회 패턴을 상당히 약화시키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개신교의 성장은 브라질 사회구조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nge in Brazilian religions, focusing on protestantism.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I made use of public opinions of the Brazilian Institute of Geography and Statistics(IBGE) in 2000 and Datafolha in 2007. The paper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In the first, I explained relations of history and religions in Brazil. I could find that Roma Catholics and Afro-Brazilian beliefs had an effect on colonial period and Protestantism exerted influence on post independence. In the second, I analiyzed the process of change of sociodemographic distributions in brazilian religions in 1940-2007. These results was that protestantism is expanding congragation in brazilians, especially after 1990s. In the third, I focused on characters and causes of growth in Protestantism. The pentecostals of protestantism expand more fast than others religious organizations in brazilian peoples. Consequently, I assert that the change of brazilian religions could take the lead the religious traditions and cultures with western individualism, competitive social structure in neoliberal periods.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 개신교의 '그리스도교 연합 운동'

        이유진(Eugene Lee)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7 현상과 인식 Vol.41 No.1/2

        19세기 후반에 본격적으로 유입된 라틴아메리카 개신교 가톨릭 중심의 경직된 사회를 변화·변혁하기 위해 연합할 필요를 느꼈고 1916년 '빠나마 대회'를 계기로 교단과 교회를 초월한 라틴아메리카 대륙 차원으로 교류하기 시작하여 '그리스도교 연합 운동'의 시초를 형성했다. 1940년대에 개신교 청년들을 중심으로 활동을 펼치던 여러 개신교 기관이 연합을 하며 활성화 된 '그리스도교 연합 운동'은 1949년에 제1차 '라틴아메리카 개신교 대회'가 개최되면서 라틴아메리카 개신교 사회에 전면화 되었다. 이 운동은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인식하고 변혁하고자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1950-1960년대에 전성기를 지났으나 1980년대에 들어서며 약화되어 교회 밖에서 비정부기관으로 남게 되었다. 이 글은 가톨릭의 대륙으로 알려진 라틴아메리카에서 20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대륙차원에서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개신교의 '그리스도교 연합 운동'의 추이를 당시 사회 상황과 관련하여 추적하되 이 운동의 중심지 중의 하나이었던 뻬루 개신교의 역사에 터한다. 라틴아메리카 개신교를 이해함에 있어 '그리스도교 연합 운동'은 핵심적인 사건으로 오늘 라틴아메리카 개신교의 분리와 단절 상황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할 것이며 나아가 근본주의 신학과 번영 신학 등에 오염된 우리의 개신교를 돌아보게 한다. Latin American Christianity in the late 19th century, needed to be united for their missions in the Catholic-centered inflexible society. And they held 'Panama Congress' in 1916, which became a beginning of 'Uniting Christianity Movement'. With the alliance of several protestant organizations in the 1940s, this movement grew up faster. With the first 'Latin American Evangelical Conference' in 1949, it expanded throughout all the churches, denominations and organizations among protestant communities. And it recognized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eir society and executed diverse social activities during 1950s and 1960s. However in 1980s this movement declined. This article argues about Latin American 'Uniting Christianity Movement' of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based on Peru, one of the most important places for its movement. To understand Latin American protestantism, 'Uniting Christianity Movement' is a core affair, which gives us clue to apprehend the separation-rupture situation of today. Moreover, it leads us to reflect on our christianity contaminated by fundamentalism and prosperity theology.

      • KCI우수등재

        한국 근본주의 개신교인의 ‘4대 혐오’에 관한 연구

        윤신일(Shin-il Yoon),오세일(Seil Oh)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1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개신교 근본주의는 정치·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개신교 근본주의자들은 과격한 방식의 집단행동을 통해, 그들이 규정한 교리와 집단적 역사 경험과 상충되는 대상인 ‘4대 혐오’ 영역, 즉 ‘진화론’, ‘공산주의’, ‘동성애’, ‘이슬람’을 반대하거나 배격함으로써 자신들의 신앙과 공동체를 구별한다. 개신교 근본주의가 지지하는 신앙의 이데올로기화는, 개신교 내부만이 아닌 사회전체 영역에서 분열을 야기하고 갈등을 조장한다. 이런 현상은 개신교계 안팎에서 보편적으로 알려진 것이었으나, 개신교 근본주의에 대해 통계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경험적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피터 버거가 제기한 ‘탈세속화(de-secularization)’ 이론을 넘어, ‘반세속화(anti-secularization)’ 논점에서 분석하고 통계적인 검증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개신교 내부의 근본주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특성을 고찰하고, ‘진화론’, ‘공산주의’, ‘동성애’, ‘이슬람’에 대한 수용과 혐오에 관해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 그리고 개신교 교단 간 태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신앙심의 요인과 사회인구학적 변인들도 함께 통제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는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에서 조사한 “2019 주요 사회 현안에 대한 개신교인 인식조사”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관분석,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개신교 근본주의가 배격하는 ‘진화론’, ‘공산주의’, ‘동성애’, ‘이슬람’은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4대 혐오’로 지칭하여 타당하게 논의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개신교인은 비개신교인에 비해 ‘진화론’, ‘공산주의’, ‘동성애’, ‘이슬람’을 반대하고 배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에 대한 인식은 소속 교단이 보수적일수록, 예배 참석 빈도가 많을수록, 신앙심이 깊을수록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본 연구의 결과는 근본주의 성향의 교회를 다니고 신앙심이 깊을수록 폐쇄적 교리에 터하여 타자에 대한 배타성이 강해지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개신교 근본주의의 배타적 세계관이 ‘4대 혐오’를 ‘반세속화’의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설명하였고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influence of the fundamental Protestants has become and been a serious and problematic issue in Korea. The Protestant fundamentalists define their belief and community distinctly by excluding or rejecting four hatred arenas as evolutionism, communism, homosexuality, and Islam. Beyond the Protestant community, the ideology of their fundamental belief has stimulated the whole society. Some studies have focused on the historic or problematic aspects of Protestant fundamentalism; however, only a few have approach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fundamentalism and current hatred tendencies statistically. Thus, we propose ‘anti-secularization’ as a theoretical frame beyond de-secularization (Berger, 2002) and statistically examine the anti-theses of fundamental Protestants. This study first tra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rotestant fundamentalism, then attempts to compare the Protestants and the non-Protestants, and between Protestant denominations regarding the degree of hatred in the arenas. This study used “2019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hristians on Social Issues” data conducted by CISJD (Christi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Justice and Development). This study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a series of multivariate regressions. The findings confirm that those four hatred arenas are very much correlated, as per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These findings also report that Protestants overall show a higher degree of hatred in those four arenas than non-Protestants. Furthermore, the more conservative their denomination is, the stronger hatred they have shown. And the more they attend their religious services and the stronger they are committed to the religion, the higher level of hatred they are associated with. This study explained,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anti-secularization,’ the exclusive tendencies of Protestant fundamentalists in regard to the four hatred arenas and examined them statis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