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개신교에서 종교개혁 성만찬 신학의 의미와 현주소

        황훈식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501년 전, 중세 로마 가톨릭 신앙에 맞선 종교개혁의 물결은 ‘이신칭의’의 새로운 신학적 조명 가운데 기독교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지만, 루터와 츠빙글리, 칼빈의 성만찬 신학은 개신교 갈등과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루터가 주장하는 그리스도의 신 체적 현존과 편재성,츠빙글리가 주장하는 상징설, 칼빈이 말하는 영적 임재설은 개 신교 내에서 각기 자신들의 추종자들과 자신들의 정체성을 위한 도구로 전락되고 말 았다.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일렬의 노력이 시도되었지만, 상이한 성만찬 신학은 합의 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서로의 한계선을 더욱 명확하게 하는 신조들이 발표되 었다. 이에 반해 한국개신교의 성만찬 신학은 초기 한국선교 때부터 갈등의 요소로 작용 되지 않았다. 이는 성만찬을 중요시하지 않았던 청교도식 예배서 사용과 성만찬에 대 한 목회자와 평신도의 낮은 이해도, 불신자들을 위한 집회방식 예배 등은 성찬 신학 의 활성화를 느리게 한 요인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개신교 초기 문서에 나타난 성만찬 신학은 그리스도의 임재나 편재성에 대한 신학적 해석이 심화되지 않았던 모 습이었다. 현재 한국개신교 각 교단들의 성만찬 신학은 초기 한국개신교의 성찬신학 보다는 더 보완되고 다양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다양한 성찬 신학적 요 소들이 초기 한국개신교의 상황과 같이 각 교파들 간에 갈등과 분열의 모습으로 나타 나지 않았다. 한국개신교 성만찬 신학에서 성찬의 떡과 잔에 관련된 신학적 해석은 미미하였지만, 반가톨릭적 성만찬 신학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성찬의 과거성, 현재성, 미래성의 관점에서 많은 공통분모를 지니며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 한국개신교의 성 만찬 신학의 발전은 종교개혁 개신교 성만찬 신학의 역사와 같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추종자들을 끌어 모으는 수단이 되지 않도록, 그 본질적인 면에서 연합을 이루어 성찬 안에서의 은혜의 풍성함을 경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501 years ago, the wave of the Reformation against the medieval Roman Catholicism opened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rough the new theological illumination of Justification by faith. But the Eucharisitc theology by Martin Luther, Ulrich Zwingli and John Calvin became the cause of conflict and division of Protestantism. The physical presence and ubiquity of Christ in the Eucharist by Luther, the symbolism by Zwingli and the spiritual presence of Christ by Calvin became a tools to create their followers an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lthough there was a series of efforts to overcame this, different Eucharistic theologies did not reach consensus, and rather, only statement clarifying the limits of each other were published. On the contrary,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did not act as an element of conflict since the early Korean mission. The use of the Puritan style worship, which did not emphasize the Lord's Supper, and the de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astor and layman for the Lord's Supper and the Evangelism revival meeting for the unbelievers were factors, that make the activation of sacramental theology slow. And the theology of the Eucharist in the early Protestant church of Korea was a theology that did not intensify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Christ's presence or ubiquity.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now has more complementary and diverse elements than those shown in early sacramental theology. However, the various sacramental theological factors did not appear as conflicts and divisions among the various denominations as in the early Korean Protestant church. Although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acramental bread and cups in Korean Protestant Eucharistic theology is marginal, it is developing with many common denominators in terms of anti-Catholic Eucharistic theology and in the perspectiv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the future,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should move toward experiencing the abundance of grace in the Eucharist over unity in its essential aspect, unlike the history of protestant Eucharistic theology in the Reformation, when it became a mean of establishing one's identity and attracting followers.

      • KCI등재후보

        4세기 이전의 신앙고백 ‘레굴라 피데이’

        황훈식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5 피어선 신학 논단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contents and forms of ‘Rule of Faith’ (regula fidei), which it was ‘Confession of Faith’ between the middle of the second century and the middle of the third century, and to find these meaning from such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Confession were written by Irenaeus, Clement of Alexandria, Tertullian, Origen, Hippolytus of Rome and Novatian and those documents appeared not only with the name ‘rule of faith’ (regula fidei) but also various names: ‘rule of truth’ (kanw,n th/j avlhqei,aj, regula veritatis), ‘rule of church’ (kanw,n th/j evkklhsi,aj kanw,n evkklhsiastiko,j), ‘proclamation of church’ (ecclesiastica praedicatio), ‘rule of piety’ (regula pietatis) and so on. Recognizing the Mediterranean dangers by heretical forces such as Gnosticism and Macionism which gave damage and distortion toward the truth of Christian, Fathers of church began to express their faith in the general church through these confessions. In order to eliminate any damage depending on in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they regarded the rule of faith as a standard for correct the scriptural interpretation and they placed the authority of the rule of faith on the Apostolicity. The rule of faith came out through reaction and interaction of three elements (heresy, bible and tradition) but it had no direct relationship to the baptismal catechism. The rule of faith included seven common contents different from other 4세기 이전의 신앙고백 ‘레굴라 피데이’ ┃55┃ variously expressed confessions: 1. Inseparability of God the Creator, 2. Uniqueness of God, 3. Homogeneity of God in the Old Testament and Jesus Christ in the New Testament, 4. Incarnation of Jesus Christ, 5. Coherence of revelation about Jesus Christ, 6. fleshly resurrection of Christ, 7. Judgment. The above contents of the rule of faith had been inherited into declarative confession and Creed of Council, which would be developed into Apostles’ Creed, so, it became a preliminary stage of confession of faith prior to Creed of Council established in the forth century. 이 논문의 목적은 2세기 중반에서 3세기 중반 사이에 신앙고백이었던 레굴라 피데이의 내용과 형태를 소개하고, 이것에 대한 분석과 그 의미를 밝히는 논문이다. 그 당시에 쓰여 졌던 리옹의 이레네우스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테르툴리아누스, 오리게네스, 로마의 히폴리투스, 노바티아누스의 저서들 가운데 나타나 있는 신앙고백의 내용은 ‘신앙규범’ 즉 ‘레굴라 피데이’라는 이름과 함께 나타나고, 이러한 신앙규범에 대한 명칭은 레굴라 피데이 뿐만 아니라, 진리규범(레굴라 베리타티스), 교회규범(카논 테스 에클레시아스), 교회의 선포(에클레시아스티카 프레디카티오), 경건의 규범(레굴라 피에타티스) 등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고백들을 통하여 교부들은 지중해 연안에 거대한 이단 세력, 즉 영지주의와 마키온 사상이 기독교의 진리를 훼손하고 왜곡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적인 교회 신앙의 핵심요소들을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잘못된 성서해석으로 인한 폐단을 없애기 위해 신앙규범을 올바른 성서해석의 판단기준으로 간주하였으며, 신앙규범의 권위를 사도성에 두었다. 이러한 신앙규범은 이단과 성서, 전통, 이 세 가지의 요소들이 서로 간의 반작용과 상호작용의 관계를 통하여 출현하게 되었고, 세례 상황에서 나온 세례문답서가 아니었다. 신앙규범은 다양하게 표현된 고백들 가운데 일곱 가지의 공통된 내용들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는 창조자로서 하나님의 비분리성, 둘째는 하나님의 유일성, 셋째는 구약의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의 동질성, 넷째는 그리스도 예수의 성육신, 다섯째는 그리스도사건에 대한 계시의 일치성, 여섯째는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 일곱째는 심판이었다. 위의 신앙규범은 훗날에 사도신경으로 발전되는 선언적인 고백, 공의회의 신앙고백, 그 외의 신조들로 이어지게 되는데, 신앙규범은 4세기 신앙고백의 전단계로서의 모습을 갖춘 신앙고백이었다.

      • KCI등재

        고대교회 세례식 순서와 예전신학 : 4세기 암브로시우스의 밀라노 교회를 중심으로

        황훈식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기원후 4세기는 로마제국 역사상 기독교 공인(313년)과 국교화(380년)로 기독교의 위상이 현저히 높아졌던 시대였다. 높아진 위상 가운데 기독교는 내외적으로 변화의 과정을 밝았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교회의 일원으로 입교하고자 하였고, 이에 교회는 새로운 입교자를 위한 예식과 그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가운데 4-5세기는 기독교 예전 역사상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최근 한국기독교학계에서는 이 시기에 놓여 있는 고대교회 세례식에 관한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하지만, 동방교회 세례에 관한 논문만이 발표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고대교회 전체적인 조망을 위해서는 고대 서방교회 세례식에 대한 논문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요청을 모티브로 삼고, 로마교회 외에 고대 서방교회를 대표하는 밀라노 교회 예식을 고찰해서 고대교회 세례식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암브로시우스의 저서 『신비론』과 『예식론』을 중심으로 밀라노 교회의 세례를 상세히 분석했다. 이 두 저서에는 세례후 일주일 동안 새 입교자들에게 교육한 설교들이 담겨져 있고, 이 설교들은 ‘세례후 교육’으로 4세기에 있었던 특별한 교리문답이었는데, 본 논문은 두 저서에 담겨져 있는 세례식에 대한 언급과 그것의 신학적 해석을 서로 비교 분석하면서 밀라노 교회의 세례식을 밝혔다.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다음의 사항들을 다루었다: 두 저서 『신비론』과 『예식론』에 대한 설명, 세례일과 시간과 장소, 세례준비의 2단계(세례준비인 단계와 세례자격인 단계), 총 12순서로 진행된 세례식, 그 순서마다 나타나는 성경적 근거와 그에 대한 암브로시우스의 해석과 신학적 입장이다. 본 논문의 마지막 단락은 4세기 밀라노 교회 세례식을 바탕으로 한국교회 세례식을 위한 교훈을 찾아내고자 했다. The 4th century AD was a time when Christianity was officially recognized(313) and became the official religion of the country(380), and the status of Christianity in the history of the Roman Empire remarkably increased. In this elevated state, Christianity is in the midst of chang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t that time, many people wanted to enter the church as a member of the church, and in the church, ceremonies suitable for the new environment and a system suitable for the newly member were created.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many developments in the history of Christian ceremonies were made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Recently, thesis introducing the baptism ceremony of ancient churches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has been published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e overall appearance of baptism in ancient churches only with thesis on baptism in Eastern churches. Therefore, the necessity of a thesis on the baptismal ceremony of the ancient Western church was sensed, and this became the motive of this paper.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 ceremonies of the Milan church, which represents the ancient Western church in addition to the Roman church, to contribute to a balanced view of the baptism of the ancient church.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mbrosius' books 『De scramentis』 and 『De mysteriis』 mentioned on baptism were focused on. These two books contain sermons that were educated to new initiated for one week after baptism, and these sermons were “post-baptism catechism” in the 4th century. This paper revealed the following matt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atements of baptism contained in the two books and their theological interpretations: 1) Explanation of two books, 2) Baptism day, time and place, 3) two-step process of baptism preparation(Baptism preparation stage and baptism qualification stage), 4) A total of 12 baptismal orders, 5) Biblical grounds appearing in each order, and Ambrosius' interpretation and theology of it. The final unit of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a lesson for the baptismal ceremony of the Korean church by examining the baptismal ceremony of the Milan church, which was an ancient church in the 4th century.

      • KCI등재

        4세기 밀라노 암브로시우스의 성찬축성에 대해

        황훈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2

        Ambrose raised the position of the church in the Roman Empire in the fourth century and made a great achievement as a church politician. But his main ministry was pastoral works in his church in Milan, especially in the area of worship. Many of his writings were the result of ministry, and in the center of the worship ministry were the sacraments and the preaching. Therefore, understanding his view of the sacraments ist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that can not be overlooked in understanding his faith and theology. His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allows us to see how Ambrose’s church react and respond at that tim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mbrose’s “consecratio” and its Meanings. It first examines the term of Eucharistic consecration, secondly,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baptismal consecration for water and Eucharistic consecration for bread and wine, and thirdly, finds the function and the meaning of Words of Institution, namely Words of Christ, which he practiced in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Ambrose used the term of “consecratio” mostly in baptism and Eucharist. The consecration in these sacraments was practiced through the words of Christ. Ambrose sensitively responded to a skeptical impression of the Eucharist, and he aroused importance of Eucharistic mystery with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is focused on the spiritual illumination and the spiritual change, and it is connected with the salvation by Jesus Christ and eternal life. He specifically intended to use the words of Christ in the Eucharistic consecration, because he wanted to differentiate Christianity from the rite of Arianism, Judaism and Paganism. 암브로시우스는 4세기 로마제국에서 교회의 위상을 드높이고, 교회 정치적인면에서 큰 공적을 남기었지만, 그의 주된 사역은 목회사역이었고, 그 중에서도 예배사역이었다. 그의 수많은 저서들은 목회사역의 결과물이고, 예배사역의 중심에는 성례와 설교였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성례를 이해하는 것은 그의 신앙과 신학을 이해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고, 그 가운데 그의 성찬축성에 관한 이해는 교회의 당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 나아갔는지를 엿 볼 수 있게 한다. 이 논문은 암브로시우스의 성찬축성과 그 의미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성찬 축성에 대한 용어를 조사하여 암브로시우스가 이해하고 있는축성의 개념을 밝히고, 둘째 세례수 축성과 성찬 축성과의 관계를, 셋째 성찬 축성에 사용했던 그리스도의 말씀, 즉 제정사의 의미와 기능을 찾고자 시도하였다. 암브로시우스는 축성의 용어를 세례와 성찬에서 대부분 사용했다. 세례시에는 세례수를 거룩하게 하는 기도였고, 성찬시에는 빵과 포도주를 거룩하게 하는기도였다. 세례수 축성과 마찬가지로 성찬 축성은 그리스도의 말씀을 통해 실행되었다. 그는 몇몇 입회자들이 가졌던 성만찬에 대해 회의적인 생각을 인지하고있었고, 이에 대해 성찬 축성을 통한 성찬의 신비를 강조하였다. 성찬 축성은 영적인 깨달음과 영적인 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과 영원한 생명에 연결되어 졌다. 특별히 그는 성찬 축성에서 그리스도의 말씀인 제정사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였고, 이는 반아리우스, 반유대교, 반이교도적인 성향을갖추어 기독교를 차별화시키기를 원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예식학적 면에서 4세기 예식 발전상과 교부학에서 암브로시우스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향성에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예수의 세족에 대한 신학적, 예식적 발달역사 - 밀라노 암브로시우스를 중심으로

        황훈식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안톤 바움스타르크(Anton Baumstark)는 예식발달사적인 관점에서 예식의 되어감 은 최초의 통일된 예식에서 후대의 지역적 다양한 예식으로 발전해 나아간 것이 아니 라, 예식의 지역적 다양성에서 일치성으로 나아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가 지적하 고 있는 모습은 4세기 암브로시우스의 공동체에서 행해졌던 예식에서 드러나는데, 세 례식과 연결된 세족식은 예식발달사적, 그리고 신학발달사적인 관점에서 그 다양성과 연속성을 보여준다. 암브로시우스의 밀라노 공동체에서 거행된 세족식 관례는 동시대 로마 교회에서 실행되지 않았던 밀라노 교회만의 특징이었다. 그가 당시 교회문화와는 달리 세족식 을 지켰던 근거는 요한복음 13장에서 나오는 예수의 세족에 대한 본문이었다. 이에 본 논문은 요한복음 13장에 나타난 예수의 세족본문이 암브로시우스 이전까지 어떻게 해석되어져 왔는지, 그리고 암브로시우스 이전까지의 세족식은 기존의 성례전과 어떤 관계였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그리고 암브로시우스의 세족이해와 밀라노 공동체의 세족식을 분석하여 예식발달사적, 신학발달사적 관점에서 이를 평가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제까지 신약학자들의 요한복음 13장 세족본문에 대한 해석을 조사하고, 이레 나이오스의 저서 『이단반박』(Adversus haeresis)과 오리게네스의 『요한복음 주해』 (Origenis Commentarioum in Evangelium Joannis), 엘비라 공의회(Concilium Eliberitanum) 문서와 암브로시우스의 저서 『예식론』(De sacramentis)과 『신비론』(De mysteriis), 『동정성에 대해』(De virginitate)에서 나오는 세족에 대한 언급들을 해석하고 분석 했다. 그 결과, 암브로시우스는 이레나이우스와 오리게네스의 기존해석의 틀을 수용하 면서 그것을 발전시키거나 그것을 뛰어 넘는 해석을 시도했음이 드러났다. 이는 기존 성서해석에 대한 새로운 방향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를 가능케 한 요소는 예수님 의 직접적인 말씀을 최우선순위에 둔 성서해석방법이었다. 이러한 성서적 근거와 권위 로 암브로시우스는 전통을 혁신하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 세족식을 고수했다. Anton Baumstark pointed out that ceremonial development did not progress from the first unified ceremony to the later regional diverse ceremonies, but from the regional diversity of ceremonies to unity. What he points out is revealed in the Footwasching ceremony held in the community of Ambrosius in the 4th century, and this ceremony associated with baptism show the diversity and continuity in the perspective of ceremonial and theological development. Ambrosius’ Footwasching ceremony was a special custom of the Milan church, which was not practiced in contemporary Roman churches. Unlike the custom of the church at that time, the basis for keeping the Footwashing ceremony was for Ambrose the text of Jesus' Footwashing in John 13. Therefore, this paper first looked at how the text of Jesus' Footwashing in John 13 has been interpreted until before the time of Ambrosius of Milan, and how the Footwashing ceremony before the time of Ambrosius of Milan was related to the previous sacraments(Baptism and Eucharist). And this study attempted to reconstruct Ambrosius's Footwashing ceremony based on the text he mentioned, and evaluate his understanding of the Footwashing from the perspectives of ceremonial development and theologic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firstly the scholars’ interpretation of the text about in the Jesu’ Footingwashing in John 13, and secondly interpreted and analyzed the references to the Footwashing in John 13 in the writings of Irenaeus “Against heresy”(Adversus haeresis), Origen's “The Commentary on John”, the Document of Elvila-Council, and the writings of Ambrosius “On the Sacrament”(De sacramentis), “On the Mysteries”(De mysteriis), “On Virginity”(De virginitate).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Ambrosius accepted the framework of the interpretations of Irenaeus and Origenes and tried to develop it or newly interpreted it. This means a new direc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the factor that made it possible was the interpretation-method that prioritized Jesus' direct words. With this biblical interpretation and authority, Ambrosius adhered to the Footwashing ceremony that seen as an innovation in tradition.

      • KCI등재

        1세기 말에서 2세기 중반 사이의 기독교 신앙고백

        황훈식 한국교회사학회 2019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4 No.-

        오늘날 기독교 신앙고백은 한 순간에 만들어 진 것이 아니라, 시대와 상황에 따라 발전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경에 나오는 1세기 초기 단계의 신앙고백부터 공의회의 결과물로 나온 4세기 발전된 신조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신앙고백은 계속 발전했다. 이러한 발전과정에서 정통신앙고백이라고 판단하는 기준은 각 시대마다 존재했고, 초기에는 대부분 사도적 기원으로 판단했다. 물론 성경 그 자체가 기준이었지만, 다양한 성경해석의 문제 앞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은 바로 사도였다. 그러므로 사도들의 성경해석과 그들의 신앙은 정통이라 인정받았고, 이러한 사도성에 기준을 둔 신앙고백은 발전해서 4세기 공의회를 통한 신조까지 이어졌다. 본 논문은 성경에 나타난 신앙고백 이외에 사도들로부터 인정된 초기 기독교 신앙고백들의 내용을 밝혀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그 범위를 성서시대를 넘어선 1세기 후반부터 2세기 중반 ‘신앙규범’(regula fidei)이 등 장하기 전까지 나타나는 기독교 신앙고백의 초기단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클레멘스 제 1서신과 이그나티우스의 일곱서신과 아리스티테스 저서와 순 교자 유스티누스의 저서를 다루면서 사도들의 신앙고백의 요소들을 찾아내고 이를 분석했다. Today’s Christian confession is not a momentary result, but a result that has evolved according to time and circumstances. Indeed, the Christian confession continued to develop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Bible’s first-century confession to the fourth-century creed that resulted from the council. In these developments, there was a criterion that proved confession of orthodox faith in each period, and it was mainly apostolic. The Bible itself was, of course, the standard, but the most reliable criterion for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was directed to the apostle. Thus the apostle’s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and their faith were recognized as orthodox, and this apostolic authority developed and led to the council creed in the four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fessions of orthodox faith recognized by the Apostles except for confession of the early stages in the Bible. The scope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from the late 1st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beyond the Bible period, until it appears the regula fidei. This led to the search and analysis of the elements of the Apostles’ confession of faith in the first letter of Clemens, the seven letters of Ignatius, and the books of Aristides and the martyr Justin.

      • KCI등재후보

        3.1운동과 장 ⸱ 감 ⸱ 성 - 3.1운동을 통해 드러난 장 ⸱ 감 ⸱ 성 선교사들의 정교분리원칙

        황훈식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9 神學과 宣敎 Vol.57 No.-

        본 연구는 삼일운동 당시 주한 외국인 선교사들의 정교분리의 원칙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규명해 내는 작업이다. 주한 선교사들의 정교분리 원칙이 '반민족적인 행동인가?' 혹은 '개인 도덕영역으로 기독교의 정의를 축소시킨 장본인인가?'란 문제에 본 연구는 주한 외국인 선교사들의 정교분리의 원칙을 다각도로 판단해야 할 것을 밝히고 있다. 3.1운동 당시 주한 외국인 선교사들은 선교지인 조선에 하나님의 정의가 바로 세워지기를 소망했고, 무엇보다도 일제 만행에 대한 한민족의 아픔과 고통에 깊이 공감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정교분리원칙은 절대적인 원칙이 아니었다. 주한 외국인 선교사들은 이미 3.1운동 이전에 있었던 ‘춘생문 사건’과 ‘105인 사건’에서 그들의 세웠던 정교분리원칙과 상관없이 조선의 정의와 자유를 위해서 노력했던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모습은 3.1운동 당시에도 이어졌으나, 반면 정교분리원칙을 고수했던 면도 동시에 나타났다. 그 이유는 첫째, 3.1운동 개입에 대한 일제의 의심에서 벗어나고자 했기 때문이고, 둘째, 일제의 의도, 즉 선교사들을 이용해서 계속 일어나는 만세시위를 중단시키려는 의도에 협조하지 않기 위해서였다.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위협적으로 다가오는 일제총독부를 맞서는 전략은 바로 정교분리원칙을 고수하는 것뿐이었다. 그리하여 선교사들은 일제당국과의 비밀회담에서 일제의 한국지배가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비난함으로 정치적인 조언을 했을 뿐만 아니라, 자국에는 일제의 만행을 적극적으로 알려 정교분리원칙에 매여 있지 않았던 양면적 모습이었다.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principle of ‘segregation of church and state’ of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were applied and how today the principle can be evaluated.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rinciple of ‘segregation of church and state’ is anti‐nationalism or whether this principle reduce Christian justice to individual morality, this study proves that this principle should be judged in two aspects. At the time of the March 1st Movement,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wanted to establish God's justice right in Korea, the mission field, and, above all, deeply sympathized with the pain and suffering of the Korean people against Japanese atrocities. For them, the principle of ‘segregation of church and state’ was not an absolute principle. Foreign missionaries in Korea had already worked for the justice and freedom in Korea, as seen in the “Chunsaengmun affair” and the “105‐man incident” before the March 1st Movement. Likewise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they were not bound by this principle. However, it also appeared to adhere to this principle at the time of the 3.1 Movement. The reason for this was, first, to avoid Japanese suspicions that missionaries are involved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second, not to cooperate with Japan’s intention, that is, to stop the protests through the help of missionaries. For them, the only strategy against the Japanese Governor, which is increasingly threatening over time, was to adhere to this principle. For this reason, the missionaries not only made political statement that Japan misrules Korea, but also actively informed their country of the atrocities of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후보

        후기 로마제국의 축제문화와 기독교 ―암브로시우스 시대를 중점적으로

        황훈식 ( Hwang Hun Sik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9 神學과 宣敎 Vol.55 No.-

        후기 로마제국 사회에서 다신론적 전통로마 문화와 새로운 문화인 유신론적 기독교 문화의 만남은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낳았다. 380년 기독교가 공식적으로 로마제국의 국가종교로 선언되어 로마제국 안에서 소위 ‘제국교회’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할 때, 이러한 현상은 뚜렷이 관찰된다. 특히 기독교의 국교화 이전과 이후의 시기를 포함하고 있는 4세기 암브로시우스의 밀라노 교회에서는 두 문화의 문화적 공존과 융합, 수용과 배재, 동화와 변용의 모습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장은 바로 축제였다. 전통적인 로마축제 문화는 자체적으로 고대축제들의 자체적 사멸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축제들(경기들과 황제숭배일)이 만들어지는 발전을 이루었고, 4세기 기독교회의 축제들은 예식과 예배, 순교자기념들 등의 모습으로 확대되고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 축제문화속에 담겨진 사상과 가치들은 서로 상반되어 배척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과도기적인 상황에서 두 축제문화는 공존하면서 나아갔고 상대의 문화를 대체하거나, 상대의 문화적 요소에 반응하면서 자신의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다. 이러한 모습은 정치적 힘의 논리나 종교적 배타성의 영역에서 바라본 결과가 아닌, 인류문화발달사적인 관점에서 나타나고 있는 '로마문화의 기독교화 그리고 기독교문화의 로마화'라는 현상이었다. 문화적 과도기에 서 있었던 두 문화는 결국 새 시대 새로운 사상과 가치를 담아낼 수 있는 적합한 문화를 선택하거나, 변용 혹은 동화되어 현재적 융합을 지나 앞으로 수용될 문화를 만들어 내고 있었다. Cultural encounters of the polytheistic traditional culture of Rome and the monotheistic new culture of Christianity in the late Roman Empire have resulted in various cultural phenomena. This phenomenon can be observed in 380 when Christianity officially declared as the national religion of the Roman Empire and began to become a so-called “imperial Church” in the Roman Empire. In particular, in the Church of Ambrosius in Milan in the 4th century, which included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state religion of Christianity in the late Roman Empire, the cultural coexistence, fusion, acceptance, exclusion, assimil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two cultures appeared and this place war a festival. The traditional festival culture of Rome has developed itself in that ancient festivals have been killed, new festivals (games and emperor worship) have been made, and Christian festivals of the 4th century also expanded and developed into ceremonies, worship, and martyr celebrations etc. The two festivals ar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in spirit and values. However, in a transitional situation, two festivals have coexisted and have moved forward, replacing their culture or reacting to their cultural elements, It was a way of developing. This is not the result of political power or religious exclusiveness, but rather the phenomenon of 'the Romanization of Roman culture and the Romanization of Christian culture' which is emerg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The two cultures in the cultural transition eventually selected a suitable culture that could contain new ideologies and values in the new era, or were transforming or assimilating to create a culture that would be accepted past the present 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