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달의 도시'展에 관한 작품론

        안미영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작품론은 지난 2004년 4월 7일부터 4월 13일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 룩스(Gallery Lux)에서 전시한 '달의도시'라는 사진전에 대한 것이다. '달의도시'라는 제목은 '달의, 태음(太陰)의, 달의작용에 의한, 빛 등이 푸르스름한, 엷은'이라는 뜻을 주로 표현하는 lunar라는 단어에서 시작되었다. 보통 solar라는 단어와 반대의 의미로 사용되는 lunar라는 단어가 마음에 들었던 것은 본인의 개인적 체질 탓도 있지만 모든 것이 너무도 강렬하고 뚜렷해야만 살아남는 듯한 현대사회에서 느껴지는 염증과 도피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Solar City라는 명칭은 실제로 태양에너지도시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태양열 활용기술이라는 차원에서 매우 좋은 것이나, 본인의 개념 속에서의 Solar City는 개인적 망상의 차원으로서 화려한 모습을 지녔지만 난폭하고 위압적이어서 가까이하고 싶지 않은 현실세계에 다름 아니다. 반면 본인의 작업에 나타난 Lunar City는 일종의 무의식이나 꿈에 가까운 가상의 사유공간이다. 다른 말로는 디지털시티라고도 할 수 있겠는데 이는 실제로 디지털 사진 속에 나타나는 공간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물질세계 속에 존재하는 공간이 아니라 개인적 관념 속에서만 존재하던 사유의 공간이 테크놀로지의 발전을 통해 가상적으로 존재하게 된다고도 볼 수 있겠다. 이 작품론은 시각적인 면에서 현대도시 중 하나이며 지금 본인이 근거하고 있는 서울의 일상적인 풍경들을 대상으로 삼아 러시아워 전의 시간을 이용해 촬영한 스냅사진을, 촬영 당시 느낀 감정에 근접표현하거나 시간대가 불분명한 SF적 전제를 깔고 새롭게 해석해 내기위해 소프트웨어적으로 리터칭한 것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현재의 주변 환경이 담겨져 있으면서도, 의도적인 재현과 디지털적 왜곡이 포함되며 그 결과 다소 비현실적인 모호함과 몽롱함을 담게 되었다. 이는 본인의 미래에 대한 전망이 이렇듯 불투명한 데서 연유하는데, 핵전쟁을 포함한 어떤 미래학자의 전망이 맞다하더라도, 결코 모든 것이 완전히 끝나 버리지도, 반면 결코 획기적 변화를 가져오거나 유토피아가 될 것 같지도 않은 다소 지루하고 절망스러운 예감 때문인데 이것은 모든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도리어 꿈을 잃게 되는 21세기의 시대감정과도 관련이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점에 있어 시뮬라크르 이론은 현재의 인간의 의식이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이며 어떠한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융의 무의식이론을 따라 작업을 분석해봄으로써 본인의 작업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개념들에 대해서 좀더 뚜렷이 알아보고자 했다. 요약하면 이것은 사진을 통해 표현된 일종의 내면적 풍경화이면서 개인적인 미래도시의 시뮬레이션이다. 또한 본인의 작업에 적합한 표현방법으로 판단되었으나, 아직까지 그 가능성의 실험이나 진행이 매우 느린 듯 한 디지털카메라와 소프트웨어들을 적절히 혼합, 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의 결과물이기도하다. 이 작품론을 통해 무의식의 자유로운 표현을 위한 디지털기법의 활용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이와 같은 개념적 탐구를 실제작업방식으로 구체화시킴으로써 본인의 전체작업의 연장선상에 있는 이 작업에 대해 좀더 세밀히 성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적 작업을 통해 앞으로의 발전적 작업방향을 모색해보고 더 깊이 있고 새로운 방향으로 진행해 나갈 수 있는 계기를 갖고자한다. This essay discusses a photograph exhibit, titled 'Lunar City' held in Gallery Lux, Insa-dong, Seoul, from April, 7 to 13, 2004. The title of 'Lunar City' originates from the word, lunar, which means 'relating to the moon,' 'bluish,' and 'pallid.' The word, lunar, counter-meaning of solar in general, appeals to me because it seems to reflect the dislikes to the modern society and mentality to be willing to escape from the modern society where everything, including people, is obliged to be so vivid and strong in order to survive. Although the name of Solar City is very good in terms of solar energy technology and techniques and the meaning of solar energy city in a practical way, I have such a Solar City image that it may be a outrageous and overpowering world, no difference from the reality where I want to get clear of, despite its sumptuousness. Meanwhile, Lunar City in my work is a virtual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a kind of unconsciousness or dreams. To put it differently, it can be called digital city. Because the space shown in digital photograph does not exist at all. That is, the advancement of technologies leads an inner space, a space not in the material world but in a personal sense, to be in a virtual world. As for the work, it was, originally, the snap shot of everyday scenes at rush-hour times in Seoul, one of the modern sophisticated cities and where I live in now. The snap shot was reprocessed for background by software retouching technique in order to show my feeling at the time when it was taken as much as possible or display a new interpretation of it with SF settings at unclear time. So, the work has a familiar picture which everyone can see in everywhere, while carrying intentional representation and digital distortion, resulting in unreal vagueness and haziness to some extent. The reason is that I had so obscure prospects of the future. Whatever a futurologist has foreseen the future, including nuclear wars, I have a little tedious and hopeless hunch that there would be no ends at all, without any epoch-making event nor utopia. It seems to have any connection to the sentiments of the 21st century that everything-is-possible has only made people lost their dreams. In some ways, Simulacre theory was helpful in my thinking, how will the present human ideas develop in the future? and what is the possibility? Also, I tried to find the fundamental concepts of my work by analyzing the work with Jung's unconscious theory, In sum, it would be both an inner landscape presented by a photograph and a personal simulation of the future city. Further, it is an output of different trials for good mixing applications of digital camera and the softwares. In the process I thought it is a very relevant way of representation in my work, despite that there are much to be done for its application potentials and slow process. The work was designed to offer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otentials of digital techniques for natural expression of the unconscious. By embodying the conceptual inquiry into practical technique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details of the work, which is on the continuum of the entire work. With this analytical effort, I hope that I will have a chance to think my orientation for development of my work toward a new, deeper work.

      • 초등영어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영어 동화 활용 연구 :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중심으로

        안미영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에 의해 3,4학년에 적용 실시되고 있는 문자지도를 배제한 음성언어 중심의 영어교육은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 대안으로 언어학습 초기부터 언어의 네 기능을 통합하여 지도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하였다. 첫째, 동화 활용 및 총체적 언어접근법에 관련된외국어 교수법 및 외국어 학습 초기에서의 문자 지도 도입 및 방법에 대한 관련 이론을 탐색하여 수업 모형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측정해 보는 것을 연구의 내용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개발한 수업 모형을 실험·적용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연구수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 4학년 2개 반 90명을 표집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동질성검사를 하였다. 셋째, 실험 집단에게는 동화를 활용한,듣기·말하기·쓰기의 언어의 네 기능이 통합된 총체적 언어 학습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다. 넷째, 적용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듣기·말하기 기능 면에서의 학업 성취도와 영어 학습 불안, 영어 학습 태도 및 동기 등의 정의적 태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평균, 표준편차, t검정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 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교과서에 기초한 음성언어 중심의 수업에 비해 영어 듣기·말하기 기능 면의 학업 성취도가 높았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 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교과서에 기초한 음성언어 중심의 수업에 비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불안과 학습 태도 및 동기 등의 정의적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 학습은 영어 학습 초기자들의 영어 학습 불안을 낮춰 주고 학습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듣기·말하기 능력도 신장시킨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 학습은 초등영어 교육에서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극 고려되어 제 8차 교육과정 개발 시 3학년 언어 학습 초기부터 언어의 네 기능을 통합하여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학습을 병행하도록 내용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울러 아동들에게 친근한 소재인 동화를 학년의 발달 수준과 언어 수준에 맞게 각색하여 문장 제시와 함께 교재로서 교과서에 적극 수용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Language instruction on children's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nin to elementary English teaching, to propose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using fairy tales based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firm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exploring some previous studies, to develope and apply English teaching-learning strategy using fairy tales based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at the beginning level. Second, the subject were ninety studetns in the fourth grade at an elementary school in Inchon, Korea.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ird, a model using fairy tales based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a model based on the oral-centered textbook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nd fourth, affective domain(anxiety, attitude, motivation etc.) and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terms of listening-speaking ability were examined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 using fairy tales based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struction based on the oral-centered textbook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terms of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Second, the instruction using fairy tales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struction based on the oral-centered textbook on the affective domain(axiety, attitude and motivation in English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eaching-learning strategy using fairy tales based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can reduce the anxiety of the beginners in English learning and improve listening-speaking ability. In conclusion, the elementary English teaching-learning strategy using fairy tales based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teaching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and established in the 8th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to learn four skills integra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on the basis of whole language approach from the early stage. Besices, some fairy tales should be included in elementary English textbook with appropriate senteces adapting depend on the level of grade and language proficiency.

      •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인터넷 중독 경향을 가진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안미영 경일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performed 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GRIP) on the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GRIP on their use of the internet, depression, loneliness, self-control, parent-offspring communication, and aggress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th and 11th grade students attending specialized high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24 stud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were selected with a preliminary examination using Korean version of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scaleThey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of 11 and the control group of 13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GRIP.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Korean version of adolescence internet addiction scale, the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self-control scale, parent-offspring communication scale, and loneliness scale, which measured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depression and aggresiveness, parent-communication level, and loneliness. The scales were used right before the GRIP (pre-GRIP evaluation), right after the GRIP - 89 - (post-GRIP evaluation), and 8 weeks later (follow-up evaluatio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loneliness, depression, aggression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n a comparison of preand post-GRIP evaluation was done. These reduced score implied the positive effect of GRIP on adolescent with internet addict tendencies. Second,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arent-offspring communication and self-control scores, suggesting positive improvement of both parent-offspring communication and self-control. Third, the aggressiveness scores of the treated group communication, and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he effectiveness of GRIP on loneliness, depression/anxiety, aggressiveness, parent-offspring self-control persisted in the follow-up evaluation that was performed 8 weeks after the end of program. In addition, there is a significant reduction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between pre-evaluation and follow-up evaluation. The above findings manifested that GRIP effectively lowers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loneliness,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while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contro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Keywords: adolescence with internet addition tendencies, specialized high schools, self-control, loneliness, depression, aggressiveness, parent-offspring communication.

      • 하나님의 영과 인간의 영의 관계 (롬 8:1-17)에 대한 새로운 해석

        안미영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function of the Holy Spirit in relation to the human spirit in Romans 8:1-17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the Spirit of God and the human spirit.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Sprit of God is distinctly described in the Old Testament, Judaism and the New Testament. In the Old Testament, the Spirit appears as the Spirit of creation, the Spirit of a new creation, the Spirit of the supernatural, and the Spirit of ethics. God’s Spirit creates the human spirit and works through the spirit of the human who depends on the Spirit of God. On the other hand, Judaism is characterized by the Spirit of prophecy. The Spirit of prophecy is salvational, revelatory, ethical in Judaism. The human spirit perceives God by the Spirit of prophecy and this helps the human to pursue ethical behavior. In the New Testament, various functions of the Sprit of God is also revealed. The concept of Pnuema in the theology of Paul is divided into anthropologic and theological spirit. In his definition, anthropologic spirit means the spirit of human while the theological spirit purports the Spirit of God. The human spirit is created anew by the Spirit of God, which is a starting point of God’s salvation that builds up a whole humankind. Therefore, the spirit of human is not an organ of its body but a whole man who believes in God. The most impressive part in the theology of Paul is that Paul uses the word ‘spirit’ only for Christians or the church and not non-Christia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Spirit of God and the human spirit are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God, a new creation of the Spirit, is the beginning of human spirit and the completion of human’s salvation. Human spirit is renewed and salvation is completed through resurrection by the Holy Spirit. Second, the Holy Spirit enforces the human to live an ethical life, so it describes the Spirit of a new covenant which accomplishes the required law. Next, Paul’s soteriology consists of the indicative and imperative mood. The imperative mood is closely related to Christian’s salvation. Does a Christian live according to the flesh, or the Spirit? The answer will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completion of eschatological salvation. Therefore, the Holy Spirit commends the human to live according to the Spirit. Finally, it shows that the Holy Spirit ha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human spirit. Especially, the scripture elaborates that the Spirit himself testifies with our spirit that we are God’s children(Rom. 8:16) which is the most mystical experience as Christians. As the event of the tower of Babel, confused languages are recovered through the descending of the Pentecost Holy Spirit, Romans 8:16 seems to display the most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kind after the event of the fruit of the tree of knowledge.Judaism is

      • 진로탐색프로그램이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기이해 및 진로계획에 미치는 효과

        안미영 동아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진로준비의 시기에 있는 인문계 남학생에게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집단상담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자기이해 및 진로계획에 얼마나 효과를 미치는 가를 알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1: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인문계 남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인가? 문제2: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인문계 남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인가? 위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계 인문계 D 고등학교 남학생 1학년 중에서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선정하여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1회 1시간씩 진로 탐색프로그램 집단상담을 2006년 10월 04일부터 2006년 12월 31일 까지 12주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에는 대구광역시 진로지도 프로그램(2002), 부산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진로와 직업(2000), 진미석외 고등학생의 진로직업프로그램(1999) 자료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진로준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전병제(1974)가 번역한 Rosenberg Self-Esteem Scale(RSES)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10문항이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매우 높고 총체적인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데 권장할 만한 도구로 알려져 있다. RSES는 5점 척도지만 4점 척도로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부정적 문항은 역점으로 처리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홍나미(1998)의 연구에서는 Cronbach α= .8266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김문주(1984)는 문항내 적합도를 Cronbach α= .84로 보고하고 있다, 진로성숙도 검사는 이기학(1997)이 개발한 고등학생의 진로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 도구이다. 문항 수는 총 47문항이며 하위척도로는 ① 결정성 ② 목적성 ③ 확신성 ④ 준비성 ⑤ 독립성 등 모두 5개 요인으로 구성 수집된 자료는 SPSS/PS WIN 10.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처리하였으며 기초통계량은 각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점수 각각에 대하여 t검증과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의 유의성을 검증하기위한 p< 0.5로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한 학생이 진로준비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보다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탐색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한 학생이 진로준비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성숙 하위 변인 중 결정도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진로탐색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한 학생이 진로준비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성숙 하위 변인 중 목적도를 높이는 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진로탐색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한 학생이 진로준비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성숙 하위 변인 중 확신도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진로탐색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한 학생이 진로준비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성숙 하위 변인 중 준비도를 높이는 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진로탐색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한 학생이 진로준비 프로그램 집단상담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보다 진로성숙 하위 변인 중 독립성을 높이는 데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진로 탐색 프로그램 집단상담이 일반계 인문계 남학생의 자기이해및 진로설계를 증진 시키는데 효과가 크다고 할 수있다. 따라서 진로지도에서 진로탐색 프로그램 집단상담이 적절한 방법이라고 하겠다.

      •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와 한국어 교수 : 이청준의 단편 소설 <눈길>을 중심으로

        안미영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광범위한 문학의 여러 장르 중에서 특히 소설 장르에 국한하여 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적합한 소설 문학 작품의 실제 목록을 제시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 교육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려는 데 있다. 이에 앞서 연구자는 ‘문학’이 언어라는 매체를 통하여 이러한 당대 정치·사회·문화를 재현해 냄으로써 우리의 삶을 가장 친밀하게 반영하고 있는 읽을거리를 제공하며, 따라서 문학 교육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습득하려는 외국어 사용자들에게 언어와 문화 습득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출발하였다. 언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이 갖는 의의와 그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본 후, 문화 교육의 한 부분으로 언어를 매개로 하는 문학 교육을 함께 살펴보았으며 특히 , 문화 교육의 일환으로써의 문학 교육에 필요한 실제적인 부분들을 다루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현 문학 교육에서의 문제점을 현장 한국어 교사들과 외국인 학습자의 설문을 통하여 알아보고, 한국어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학 교육에서의 작품 선정 기준을 설정하였다.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학 텍스트 활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전제로 그 구체적인 이론과 설문 조사를 통해 문학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문학 작품의 선정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이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서 이청준의 현대 단편 소설 〈눈길〉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의 설문 조사에 의해 얻어진 결과로, 한국의 전통 사상을 반영하고 있는 현대 단편 소설 작품으로서 이 작품이 한국어 교육으로서의 문학 교육과 문화 교육으로서의 문학 교육이라는 본 연구의 취지에 부합되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많은 외국어 또는 제 2언어 교육 현장에서 최근 목표 언어를 습득하는 데 문학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 문학사용의 긍정적인 측면이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언어를 직접적인 매개로 하는 문학은 목표 언어의 사회 문화적 맥락을 자연스럽게 학습자들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언어 교육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문화적인 측면까지도 학습할 수 있는 중요한 학습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학 텍스트를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 자료로써 선택할 때 그 기준에 있어서 문학 나름의 독자적인 가치와 교육 원리가 반영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즉, 가르쳐야 할 언어적 요소의 여러 조건이나 필요에 의해서만 일회적으로 문학 텍스트를 선택하고 제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또한, 그것의 문학적인 가치나 대표성에 의존해서 문학 텍스트를 선택해서도 안 되며 문학 교육의 본질과 특성을 적절히 파악하고 그 실행 절차와 방법 등을 체계화시켜야 한다. 앞으로 이것이 한국어 수업에서 지속적인 가치와 유용성을 가지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작업이 계속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standard literatures, especially short stories, to teach Korean language, and to reconfirm necessities of literature education up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literatures reflect Korean's ordinary life styles through showing fictitious politics, society, and cultures by itself. Therefore literature education provides the opportunities to language learners can acquire language as well as culture. This study is for considering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culture education as a part of language education, and dealing with practical parts for literature education aiming teaching culture. For doing this, the study have researched the problems i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surveying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language learns, and set the basis to select standard literature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anguage learns. A literature 〈NUNGIL〉 written by Lee, Chung Jun is presented as a standard literature to give language learns lessons. This is the result from the previous survey which took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language learners. <NUNGIL> shows Korean's traditional thought so that it is suitable to teach Korean language as well as culture, and corresponds object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re are lots of tries using literature texts to teach languages so we can see positive aspects of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it. In other words, literature education can be used not only linguistical but also cultural learning method providing social cultural veins of target language to language learners naturally. However, when we choose the standard literature we should think carefully its worth and educational principal. The standard literature cannot be chosen only for one time use neither it's name value. It has to been chosen based on teaching purpose, and we should systematize it how to operate and use. Continuous researches are needed to realize and develop the utilities and usefulness of literature education.

      •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안양시 지역을 중심으로

        안미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안양시 지역의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이 학교와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실태를 파악하고, 거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연계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환경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과정 상의 편제를 살펴보고, 사회환경단체의 현황을 조사하고, 학교와 사회환경단체가 실시하고 있는 교육의 문제점과 두 교육의 주체가 연계하고 있는 운영사례와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안양시의 초등학교 36개교, 중학교 22개교, 고등학교 20개교와 사회환경단체 26곳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을 적용하였다. 다음으로 부족한 점은 면접법을 통하여 학교와 사회환경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학교환경교육은 독립교과와 분산조직으로 각 교과에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안양시 지역 초등학교는 63.9%, 중학교는 36.3%의 학교가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에 실시하고 있으며, 고등학교는 55%가 선택과목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환경교육을 운영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은 63%가 ‘보통이다’로 응답하여 환경교육이 그냥 그렇게 별 관심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둘째,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데 문제점으로 학교는 ‘교육시간의 부족’, ‘교사의 업무 부담 및 지도 능력 부족’, ‘교육교재와 학습자료의 부족’을 들 수 있다. 그중 초?중학교에서는 ‘교육시간의 부족’을, 고등학교에서는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과 관심 부족’을 들었다. 한편 사회환경단체는 ‘학교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 부족’, ‘교육 시간의 부족’, ‘강사의 업무 부담 및 지도 능력 부족’,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과 관심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셋째, 학교와 사회환경단체의 연계에 대하여 학교는 초등학교는 92.9%, 중?고등학교는 100%, 사회환경단체에서는 100%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계하는 방법은 학교가 다양한 환경프로그램과 전문강사를 지원받는 것을 원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의 연계하는 방안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학교, 사회환경단체, 지방자치단체가 협의회를 구성하여 학생, 교사, 전문 강사등을 교육대상과 교육주체로 하여 환경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 나타난 환경교육 면접 사례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향후 지역사회의 각 기관이나 단체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환경교육을 위한 자원을 제공하여 학교와 사회에서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이 서로 연계하여 전인교육, 평생교육으로 이루어질 때, 환경교육은 세계적으로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by the school and by the society, and to present an effective way to connect the two method. To achieve this goal, the format of the school education system on which environmental education would be practiced was looked over, and the present state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s were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education from each educating parties and status quo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were examined too. In addition some cas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the link of school and society were found. As literature surve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was investigated. As empirical study, surveys through questionnaires went through 36 primary schools, 22 secondary schools, 20 high schools, and 26 social education organizations, and the data was put under frequency analysis. After that, interviews about the same subject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even though environmental education at school can be done in separate classes and curriculums, 63.9% of primary schools, 36.3% of secondary schools were having their environmental education carried out as an optional class in the creative activity period, while 55% of high schools surveyed had their environmental education conducted as an optional course. 63% of the teachers interviewed answered "Fair" about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shows us that it is not satisfactory. Next, "shortage of time", "pressure on and lack of ability of the teachers", "lack of teaching materials" was seen as the difficulties in oper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pointed out "lack of time," while "lack of interest of students and parents" ranked high to high school teachers. Meanwhile,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organizations picked "insufficient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from schools", "not enough time", "pressure on and lack of ability of the teachers" as their difficulties. Third, 92.9% of primary school teachers, 100% of secondary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100%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groups agreed that connection of school and social organization is necessary. They Copyright by preferred to be backed up by various environment programs andprofessional instructors. Last, composing a conference which consists of schools, social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the local government to develop a program that will efficiently operates is the way to connect environmental education of school and social organization. Interviews conducted on this study fortify such argument.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achieve its global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only when education from school and social organizations are linked to each other and operated as fully mature, and lifelo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