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실태조사 분석

        송정숙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Children who are poverty-stricken are likely to be antisocial or unsociable throughout their lives, and their next generations are likely to be caught in a vicious circle of poverty as well, which should be taken seriously as one of grave social problems. Children who are brought up amidst destitution without being properly cared by their parents are apt not to have a sufficient chance to receive education or might drop out when they fail to fit into school. Their adolescence might be tainted by alcoholism, substance abuse, juvenile delinquency or early pregnancy. If they live with their girl or boy friends without getting married or are married at a young age, they are highly likely to maltreat their children, who are prone to tread in their parents' steps. Such a vicious circle contributes to aggravating social polarization. Moreover, disadvantaged children are inclined not to be healthy physically or mentally since they aren't properly helped to grow up or take care of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status of disadvantaged children, to suggest how to assist them to overcome their health problems and ultimately to make a contribution to improving health equity. The data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the results of a health checkup conducted by the Health Promotion Assistance Team of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on 2,710 elementary schoolers using 14 local child centers across the nation, the same institution's survey on the same children's health behavior, and the results of th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investigation about children's health checkup and health behavior. A comparative analysis was implemented all over the collected data,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ealth Checkup - The disadvantaged children were more undergrown than the nondisadvantaged children in terms of height and weight. More of the former were underweight than the latter, and the obese disadvantaged children were remarkably less in number than the obese non- disadvantaged children. - The disadvantaged children who needed to cure their sight outnumbered the nondisadvantaged children who were in the same situation, as the rates of the former and latter respectively stood at 24.6 percent and 17.3 percent. - The rate of high blood pressure stood at 7.8 percent among the disadvantaged children. - 0.6 percent of the former suffered from anemia, which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latter that numbered 0.1 percent. - As for oral health, the rates of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s and malocclusion respectively stood at 49.1 percent, 3.4 percent and 9.4 percent in the former group,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latter that numbered 50.8 percent, 0.6 percent and 5.6 percent respectively. 2. Health Behavior - 26.7 percent of the disadvantaged children didn't take meals on a regular basis, and 25 percent of them didn't have breakfast. - 38.8 percent of the disadvantaged children got exercise on a regular basis, which was quite lower than 53.8 percent of the nondisadvantaged children. - The most dominant stressor was their studies(40.6%), followed by friends and families. Those whose families were intact were under pressure due to their studies, and the children from motherless families were stressed out about their friends or families. - 18 percent had ever wished over the past year that they would live no longer, and the most common causes were their studies or problems with friends or families. - When they were sick, 86.8 percent, the largest group, were helped by their families, and 4.5 percent had ever had no help. In conclusion,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health of the disadvantaged children, such as delayed physical growth, amblyopia, hypertension or anemia. To improve their health, firstha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let them get over such problems, and more fundamental approaches are required as well to root out the primary causes from various angles. Futuristic welfare policies should be formulated to let every child benefit from better welfare services, whether he or she is disadvantaged or not, and women(mothers), the disabled and elderly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work in industries. Disadvantaged children should be assisted to have a health checkup once or more a year and to receive treatment if there's any problem with their health. And school children should receive health education during normal classroom hours as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to learn to care about their health from a young age. 어린 시절의 극심한 빈곤 경험은 성장과정 뿐만 아니라 성장 후의 비사회적·반사회 적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빈곤의 악순환이 세대를 두고 반복되게 되는 계기가 된 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즉, 빈곤 가정에서 태어나 부모로부터 적절한 양육 을 받지 못한 어린이는 교육기회가 주어지지 않거나 학교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 여 중도 탈락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알코올·약물 중독, 비행, 조기임신 등의 문제를 가진 청소년기를 경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불안전한 동거 또는 결혼생활에 의해 부 모가 되면 부모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하여 자녀에 대한 불량양육 (maltreatment)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태어난 어린이는 부모가 걸어간 길을 다시 걷 게 되며, 이 악순환이 사회 양극화 현상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취약 계층 아동은 정상적인 성장과 건강을 위한 적절한 양육과 서비스를 제 공받을 기회가 부족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신체적·정신적 건강 문제를 경험하기도 한 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빈곤 계층 아동의 건강 실태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건강문 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지원 방안을 제안함으로서 건강 형평성 확보에 기여 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2006년도에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사업지원단에서 전국 14개 시·도 지역아동센터(공부방) 이용자 중 초등학생 2,7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강검진과 보건 행태 관련 설문조사 자료의 원시 데이터를 재분석한 결과와,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 사 결과 중 일반 아동의 건강검진 및 보건행태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그 결 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검진 분석 결과 ○ 취약계층 아동들이 일반 아동에 비해 신장과 체중이 적은 등 발육상태가 상대적 으로 부진하였으며, 저체중이 일반아동에 비해 많았고 비만군은 현저하게 적었다. ○ 시력 교정 대상은 취약계층 아동이 24.6%로 일반아동 17.3%에 비해 많았다. ○ 고혈압 유병률은 7.8%로 조사되었다. ○ 빈혈은 0.6%로 일반아동 0.1%보다 높게 나타났다. ○ 구강검사 결과, 치아우식증은 49.1%, 치주질환 3.4%, 부정교합 9.4% 등으로 일반 아동 치아우식증 50.8%, 치주질환 0.6%, 부정교합 5.6%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 보건행태 조사 분석 결과 ○ 세끼 식사를 하지 않는 취약계층 아동의 비율은 26.7%였으며, 아침식사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25%였다. ○ 규칙적 운동 실천은 38.8%로, 일반 아동 53.8%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 ○ 스트레스 원인으로는 공부문제가 40.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친구문제, 가 정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또, 양친 모두 계신 가정의 아동은 공부 문제로, 편부 가정 아동은 친구 혹은 가정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난 1년간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경우는 18%였으며, 그 이유로는 공부·친 구·가정 문제 등이 가장 많았다. ○ 아플 때 도움을 받는 사람으로는 가족이 86.8%로 가장 많았으며, 4.5%의 학생은 전혀 도움을 받지 않는다고 답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취약계층 아동의 신체 발육·발달 지연, 시력저 하, 고혈압·빈혈 등과 같은 건강상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제 자체에 대한 대 책은 물론이고,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 및 지원을 위한 노력이 다차원적으로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즉, 취약 계층 아동을 포함한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미래지향 적 복지 정책을 수립·추진하여야 할 것이며, 여성(어머니), 장애인, 고령자 등에 대한 노동시장 참여 기회 확대가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취약계층 아동 을 대상으로 연 1회 이상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치료를 지원하며, 초등학생에 대한 보 건교육을 정규 수업 시간에 편성하여 어린 시절부터 건강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 기 위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 성인초기부부의 결혼만족도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송정숙 서울신학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Consulting for Newly Married Couple to Increase Satisfaction in Marriage Song, Jeong Sook Master of Arts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Newly married couple usually have troubles with expressing their discontent to each other because of low levels of interaction. As a result their satisfaction in marriage is low.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using data of couples' discontents that leads to unhappy marriage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by consulting programs for newly married couples. The method used on this research is testing five couples six times on each LCSI personality test. The following results are findings on our research. First, the couples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by approaching their discords on third person view without thinking the problem is at their mate. Second, they recognized the problems with no or poor expression and studied importance of expression. As a result it increased mature expression leading positive concerns. This opportunity finally brought emotional interaction and this interaction found helpful to create intimate emotions. Third, reasoning their conflicts, listening to their mate, reacting, carefully choosing the use of words have shown the result of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their partners. It also proven positive result by showing increased satisfaction number. Forth, sexual life also influence satisfaction numbers. However, it is only if they understand difference between sexual behavior and love which can only be achieved by conversations. In order to study relationship between a married couple interview, and observation are necessary. Lack of randomness in samples were also our limitation, therefor better models, randomized samples, will give better indication. This relationship is very differ under conditions such as how they recognize each other. It will decide their reaction. This reciprocal pattern will define the quality of their marriage. In order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and for healthy marriage, further research in interactive discontents and their method of solution is needed. Likewise, healthy marriage can be achieved by new programs that requires higher participation. In further research concrete and solid theme and scenario will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in the subject.

      •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에 관한 연구

        송정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 이혼의 증가와 함께 편부모가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편모가구는 여성이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지위가 열악하기 때문에 빈곤에 빠질 위험이 많다. 편모가족에 있어서 빈곤은 단순히 경제적인 어려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편모의 신체, 정신적 건강에 위험요소가 되고 자녀에게는 부적응의 문제를 야기 시켜 이는 사회 전체적으로 볼 때 큰 손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모자가정의 증가와 편모의 경제적 어려움은 사회로 하여금 저소득편모가 취업을 통해 생활이 안정되고 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의 자활정책의 마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편모를 위한 자활정책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실태가 어떠한지 알아보며 저소득편모의 직업을 통한 자활에서 개인특성, 가족특성, 정부자활지원체례 사용특성으로 분류된 변수들 중 어떠한 변수들이 경제활동참여유무와 고용의 안정성 여부를 나타내는 상용직유무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마포구에 거주하면서 정부의 지원을 받는 저소득편모 154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방법은 저소득편모의 개인특성, 가족특성, 장부자활지원체계사용특성, 경제활동실태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사용하였으며 관련변수들간에는 Chi-Square test 와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실태를 보면 전체 조사대상 154명 중 124명(80.5%)이 취업한 상태이며 14명(9.1%)은 실업자이고 건강, 자녀양육, 심신장애 등의 사유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은 16명(10.4%)이었다. 저소득편모의 취업직종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직종은 서비스, 판매직이 65명으로 제일 많고 그 다음으로는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았다. 취업자를 고용형태별로 보면 상용직이 49명(39.5%)으로 제일 많고 그 다음으로 임시직 39명(31.5%), 일용직 28(22.5%), 자영업 8명(6.4%)이었다. 사업체 종사자 규모별로는 대부분이(84명, 67.7%) 5인 미만의 사업체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50인 이상의 업체에서 근무하는 경우는 단지 5명(4%)뿐이었다. 둘째,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여부와 개인특성, 가족특성, 정부자활지원체계특성과의 일대일 관계를 Chi-Square test를 통해 보았을 때 건강, 타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특성, 가족특성, 정부자활지원체계사용특성을 모두 포함시켜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여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저소득 편모는 교육년수가 높을수록 타소득이 있는 사람에 비해 타소득이 없는 사람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영향요인으로 선행연구들에서 강조되고 있는 6세미만의 자녀와 대리양육자로서 노인동거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다. 정부의 자활지원체계인 직업훈련과 융자경험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저소득편모의 경제활동참여의 또 다른 측면을 h고용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보기 위해 취업자를 상용직과 임시, 일용직으로 나누어 상용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특성, 가족특성, 정부자활지원체계사용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교육, 연령, 육세미만의 자녀유무, 노인과의 동거여부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저소득편모는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육세미만의 자녀가 있는 사람에 비해 없는 사람이 노인과 동거하지 않는 삶에 비해 동거하는 경우에 상용직에 종사할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 결과가 정부의 저소득편모를 위한 자활정책에 주는 함의는 저소득편모의 건강에 대한 보장이 자활정책의 하나로서 중요하며 자녀양육과 취업을 병행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정부의 자활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작업을 통해 실질적인 자활지원체례가 될 수 있도록 개선이 요구된다. With increased divorces in Korea, the number of single-parent families is also increasing. Single-mother families, in particular, ar highly likely to get into poverty due to the poor status of women in Korea's labor market. Poverty in single-mother families not only makes them suffer financial difficulties but also does harm to single mother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makes their children maladjusted, causing a considerable amount of loss to the socie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mother families and their financial distress justifie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come up with self-support measures to help low-income single mothers to lead a stable life on their own by getting a job.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a basic document for self-support measures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of economic activities by low-income single mothers and analyzing how their economic activitie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amely,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f government assistance measures to find out which variant affects whether or not a single mother participates in economic activities and whether she has a regular job or not, an indicator of job secur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54 low-income single mothers who live in Mapo-gu and receive government assistanc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as survey analysis methods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use of government assistance measures and the current state of economic activities of low-income single mothers. The survey also introduced chi-square test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figure out correlation between related variants. The surve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154 respondents, 124 respondents (80.5%) had a job, 14 respondents (9.2%) were unemployed and 16 respondents (10.4%) did no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due to health problems, childcare or physical or mental disabilities. In terms of occupation type, service and sales jobs topped the list with 65 respondents, followed by repetitious manual jobs. In terms of employment type, 49 respondents were regular employees (39.5%), 39 were temporary (31.5%). 29 were daily workers (22.5%), and 8 were self-employed (6.4%). In terms of the size of a company, 84 respondents or 67.7% work for a company with less than 5 employees and only 5 respondents or 4% work for a company with more than 50 employees. Second, based on the chi-square test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activities of low-income single mothers and each of the three variant groups, health and other income sources were foun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variants. Third, the analysis of the variants found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is, the more likely single mothers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Those who do not have other income sources also tend to be economically more active than those who do. Meanwhile, factors such as whether a mother has a child under age 4 or lives with an elderly were found out to have less impact than widely believed in the past studies. Job training and loans provision, which are a part of government assistance measures, were found out to have little impact. Fourth, in order to identify variants affecting job security of low-income single mothers, single mother employe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regular, temporary, and daily. The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and use of government assistance as independent variants to find out which factor affects job security of single mothers. As a result, education, age, whether or not a mother has a child under age 6 or lives with an elderly were found out to be important variants. In other words, a low-income single mother who is younger, or more educated, or does not have a child under age 6, or lives with an elderly tends to have a regular job. What this study implies to the government's self-supply policy for low-income single mothers is that single mothers' health issue must addressed in the policy an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help mothers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ir job and childcare. Lastly,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government self-supply programs through an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 『템페스트』에 나타난 군주의 유형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근거하여

        송정숙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empest is Shakespeare`s last play. Shakespeare proposes various political discourses on the monarchs in the play. This thesis analyzed three types of monarchs embodied in The Tempest on the basis of Machiavelliʼs Il Principe. The first type of monarch is monarch of a conqueror, Prospero, who is a main character of The Tempest. He became Milanʼs hereditary monarch, but his throne was usurped by his brother, Antonio. His neglected his works as a monarch and concentrated on occult studies and he was exiled to an unknown island by his brother, Antonio. After he reached an unknown island, he conquered the island and became a new monarch as a conqueror. Prospero shows that he has many characteristics of monarch of a conqueror. Another type of monarch is monarch of usurper, Antonio, who deported his older brother, Prospero, from the throne. He robbed Prospero`s throne to become a monarch. Since he became a monarch through usurpation, he can be classified as an usurper monarch by Machiavelli The last type of monarch is monarch of a populist, Stephano, who became a monarch with the help of alcohol, That`s the reason why he was classified as a Populist by Machiavelli. As Stephano is similar to a monarch, not a traditional monarch, It can be classified as a pseudo monarch. This thesis was investigated three types of monarchs embedded in The Tempest based on Machiavelli`s Il Principe. Prospero became a realistic political monarch through transforming a moral humanist into a conqueror. Shakespeare showed Prospero as a realistic monarch. Shakespeare intended to say in The Tempest, in conclusion, that a wise monarch can make his people to have a stable life.

      • 농업의 유형별 협업형태 사례연구를 통한 6차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송정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농업의 역사는 수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인류는 10만5천년 이전에 이미 야생 곡물을 채집하여 먹었다. 그리고 약 11,500년 전부터는 그것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돼지, 양, 소는 1만 년 전에 사육 되었다. 지구상에 재배되기 시작한 농작물은 최소 11곳의 다른 지역에서 유래 되었으며, 수세기 동안 농업생산방식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였다. 농업·농촌은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본원적인 기능 외에도 식량안보 역할과 농촌경관을 아름답게 하는 역할, 환경보전과 수자원확보기능, 그리고 홍수방지기능과 지역사회를 유지하며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것 등을 비롯하여 공익적 기능을 다양하게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농업·농촌은 삶의 기본 터전이므로 반드시 지켜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우리 국내 농업은 대형화와 전문화 그리고 효율성 위주로 빠르게 발전하면서 많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는 확대되었고, 농가인구의 고령화 현상은 심화되는 등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다. 따라서 노령농업인의 경제활동에 대한고찰이 있어야 하며, 6차산업 활성화를 통한 농업인의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에 대한 방법을 모색 할 필요가 있다. 노령농업인들의 안정적인 전원생활을 위해서는 의식주 해결을 위한 기본적인 생활환경과 더불어 이웃과의 유대관계 등 사회생활에 필요한 수준의 수입이 필요하며, 각종 질환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정기적인 수입은 꼭 필요한 일이다. 건강하고 쾌적한 농업·농촌을 지속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농촌의 경제 주체인 노령농업인의 문제를 우선적으로 풀어야 하며,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과 더불어 자발적 상생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활동에 필요한 협업형태를 연구하여 그 장·단점을 파악하고, 농업인의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이 가장 합리적이고 용이하여 현실에 맞도록, 농업인과 소상공인과의 맞춤형 협업형태를 모델로 도출하여 6차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예전에는 대가족제도하에서 많은 식구들이 모여 살았기 때문에 가족농업유형의 농업이 가능했다. 하지만 지금은 핵가족화 되면서 규모화를 이루지 못한 영세농은 노령농업인 혼자서 경작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간혹 농업에 뜻이 있는 자녀세대가 부모와 함께 농업에 종사하는 경우는 서로 의지도 되고 SNS활용 등 급변하는 현실에 대한 대응도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협업형태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농촌실정은 1인 노인농업인이 많다. 때문에 노령농업인들의 경제활동은 체력이나 심리적 상태, 그리고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알맞은 노동으로 건강관리를 하면서 즐거운 전원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될 수 있도록, 매출 위주보다는 생활 주거형 경제활동에 비중을 두어 즐겁고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농업의 특성상 노동일은 힘들고 고된 작업이므로 어떤 형태로든 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있어온 협업형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소상공인과의 협업으로 노령농업인에게 알맞은 합리적 협업모델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송정숙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natures of fatherhood wth developmental disabled youth. The participants consist of five fa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led youth residing at Busan. The age of participators' disabled youth was 16 to 21 years old and 3 of them are in individual class of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e rest of them utilize open college running by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day 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were analyzed by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result has been extracted four topics and 24 points of significant structure for common experience. Parenting experience of the every significant of participators were analyzed and significant structure for common experience in four topics were tied, such as adaptation and acceptance of disabilities, challenge in transferring period, affirmative thinking power, and healthy family. Participants had expectation that their children would overcome the disabilities, and they experienced frustration as well. Fathers bacame to participate parenting more and more and adapted to the environment of family and disabled children. Fathers, through their parenting experience, began to accept the child's disabilities. Participants recognized their role as a father seriously after as they played intrusive role related to school work execution, job-techniques, and independent life. Some participants had delight in delicate improvement of their child's disorder and it might be regarded as they put meaning on action conducted by the youth development disabled personally. Fathers felt challenge in transitional periods of their disabled child's development such as entering middle/high school, college, and taking job.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educational system such as special school and individual class of middle and high school. They perceived that their aging future would be influenced by the dosabled child's life and they recognize that disabled child is the problem of the family. They hope that their youth are to be a social member by taking a job, doing independent life and getting marriage. Fathers accepted as it is of their youth in spite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breeding the youth development disabled. They delight on the delicate variation of their youth and they became to be mature and take a lesson from their youth. It leads us to have attention widely for disabled person and also it sometimes give us a chance to do social campaign for the future of disabled person. Participators overcome adequately the difficulties in breeding their youth and the external stress and also they take an optimistic view for the future lif of family by overcoming the difficulties with personal resilience. Participants tried various methods to settle the matters with flexible participation and mutual cooperation according to environment and also they are handling discord well. This study result shows that they keep healthy family which is adapted and cohesive connecting resources of family of origin, nation and society. As a result, education for major transitional periods is needed for the family with development disabled youth. National efforts should establish life-long plan for the disabled person and institutionalized individual transferri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hat youth development disabled can be hired successfully and operate individual life in the community.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부산에 거주하는 청소년기 발달장애 자녀를 둔 아버지 5명으로 개별 심층면담과 집단 포커스면담을 실시한 후 Giorgi(1985)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장애자녀는 만16세에서 21세 사이에 분포하는 청소년이고, 이 중 3명은 일반 중고등학교 개별반에 재학 중이고, 나머지 2명은 지역사회복지관의 개방대학,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분석 결과 4개의 주제와 24개의 공통적 경험 의미구조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단위를 통합하여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경험을 분석하였고, 공통적인 드러나는 의미구조를 장애적응과 수용, 전이기 도전, 긍정적 힘, 건강한 가족의 4개의 주제로 통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들은 장애자녀가 나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지만 좌절을 겪었다. 그러나 가족과 장애자녀의 상황에 따라 양육에 참여하고 적응해 나가며, 장애를 하나의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수용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장애자녀들의 청소년기 이후 본격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게 되고 학업수행, 직업기술, 독립적 삶과 관련된 도구적 역할자로서 양육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장애자녀의 작은 변화에도 기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는데, 장애자녀가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거나 자립과 관련된 행동에 의미를 두는 것으로 보인다. 참여자들은 중·고등학교 진학, 대학진학, 취업, 독립생활과 결혼 등 생애 전 단계의 전이기마다 도전을 받는다고 느끼거나 미리 도전에 대해 걱정하는 등 전이기의 어려움이 대두되었다. 자녀들의 주요 전이기인 중·고등학교 개별반과 특수학교의 교육 시스템에 대한 아쉬움이 크게 나타났고, 장애자녀의 미래가 자신의 미래와 직결됨을 지적하고 발달장애는 가족의 문제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직업을 갖고 독립생활을 하거나 결혼을 하여 지역사회에서 살아가기를 바라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발달장애 자녀양육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애자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였다. 장애자녀의 작은 변화에도 기뻐하며 자신을 비추는 거울로 삼아 성숙해지고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넓어지고 장애인의 미래를 위한 사회운동으로 연결하고 있다. 참여자들은 자녀양육, 외부 환경적인 스트레스와 역경을 충분히 다루며 개인적인 탄력성과 함께 역경을 이겨내고 가족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비록 장애자녀가 있지만 가족의 환경에 따라 융통성 있는 참여와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또한 갈등을 잘 다루며 원가족 자원, 국가·사회자원을 연결하면서 적응적이고 응집력 있는 건강한 가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들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주요 전이기의 전환에 대한 인식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국가·사회적으로는 장애인의 성인기 삶까지를 포괄하는 평생계획을 수립하여 개별화된 전환교육프로그램으로 제도화하고 성공적인 고용과 지역사회 안에서의 독립생활을 목표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