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BL을 적용한 음악수업 지도방안 연구

        전선민 단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춰 학습자 중심 수업의 PBL과 스마트 교육을 접목시켜 Padlet 프로그램을 활용한 PBL 음악 수업 지도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PBL을 적용한 음악 수업 지도방안은 PBL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5단계로 설계하였으며, 제재 단원의 학습 목표를 재구성하여 단계에 맞는 학습 목표를 제시해 총 4차시로 구성하였다. PBL 문제는 학습자가 ‘국악방송의 PD가 되어 국악을 홍보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설정하였고, 4차시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동료들 간의 상호작용 및 자료 공유의 과정은 모두 Padlet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1-3차시에서는 실생활과 연관된 PBL 문제를 협동학습을 통해 해결하며 자기 주도적 능력을 신장시키고 동료들과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4차시에서는 동료들의 완성된 작품을 학습자들이 스스로 평가해보는 과정을 통해 비판적·창의적 사고력 계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실제 음악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적극성과 주체성을 갖추고 참여할 수 있는 음악 수업 지도방안의 좋은 학습 자료가 되길 기대해본다.

      • 플립러닝을 활용한 음악 프로젝트 수업 지도안

        정서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플립러닝 기반 음악 프로젝트 수업의 지도 방안을 설계 및 개발하고 이를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플립러닝과 프로젝트 학습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새로운 교육용 도구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광고 영상을 직접 제작하는 활동으로 구성한 총 6차시의 지도안을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수업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모아(母兒)의 긍정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음악중심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오해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양육자와 아동의 긍정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이다. 음악을 중심으로 미술과 무용을 포함하여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모아(母兒)에게 제공하며 예술교육 속에서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모아(母兒)의 상호작용관련 선행연구들과 통합예술교육, 문화예술, 특수교육 등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여 이론적 준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자는 2015년도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회 예술강사로 서울 A장애인복지관에서 모아(母兒)를 대상으로 상호작용을 위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학습자들의 긍정적 참여와 학습 반응에 따라 수정·보완하여 24차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긍정적 상호작용이 필요한 모아(母兒) 혹은 3~10세의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24차시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은 오리엔테이션과 마무리 학습 차시를 포함하여, 음악열기, 음악 느끼기, 음악 표현하기, 함께 음악 만들기인 4단계로 학습을 구성하였다. 본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예술교육을 통해 모아(母兒)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증진한다. 둘째, 통합예술교육으로 모아(母兒)는 다양한 예술을 경험한다. 셋째, 학습자들은 나아가 일상생활 속에서도 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인 모아(母兒)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음악중심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중심 통합예술교육은 모아(母兒)의 상호작용 활동에 적합하다. 둘째,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은 학습자 중심이어야 한다. 셋째,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은 음악과 미술, 무용 활동을 통합하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예술경험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은 학교 및 기관 현장에 맞게 보완하여 적용하고, 후속 연구를 기대하며 모아(母兒) 상호작용 평가 연구 사전 동의서와 상호작용 행동 측정을 위한 Marschak 행동평정척도를 부록으로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development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to improve mother-child interaction. For the research, I have prepared theoretical standards through considering the advanced research about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e references related to integrated art education, cultural art, special education. I proceeded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for mother-child interaction at Seoul A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as a social arts instructor in 2015, and developed 24th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after modification, supplementation with posi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learning reaction. The 24th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is consist of 4 steps which are opening music, feeling music, expressing music, making music together, including an orientation, completion studying time. The research’s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in middle of music offers various article experiences to mother-child including art, dance and has a purpose to make a natural positive interaction.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s educational purpose is as below. First, Improve positive interactions of mother-child through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Second, Mother-child experience various arts through the program. Third, Furthermore let learners enjoy arts in the usual life. The summary of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s development for positive interactions of mother-child is as below. First,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is suitable for mother-child’s interaction activities. Second,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should be in the center of learners. Third, The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integrates music, dance activities and can improve article experiences of the learn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mother-child or 3 to 10 years old, handicapped child or normal child who need positive interactions. The research’s integration arts educations program is supplemented and applied to the fields of school and facility, and the program attached data for follow-up studying including an advanced consent for an interaction appraisal for learners and Maeschak behavior rating scale for measuring interaction actions.

      • 국악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 서울시 남부교육지원청 초등학교 중심으로

        최세정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국악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의한 국악수업 효과 및 지원사업의 실태를 설문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남부교육지원청 내 국악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시행하는 초등학교 중 국악강사가 파견되어 국악수업을 실시하는 학급의 담임교사와 국악수업 담당교사 28명 및 서울시 국악예술강사 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위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현장의 교사들은 국악수업 지도를 위하여 국악 관련 연수에 참여하였지만, 이를 실제 음악교과 내 국악교육에 적용하여 지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효율적이고 양질의 국악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국악전문 강사초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교육현장의 교사들은 파견된 국악강사의 수업 이후 학생들의 국악 관심도가 높아지고 국악수업의 즐거움을 느끼는 계기가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파견된 국악강사들은 수업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전담교실과 수업시간에 필요한 기자재 등 학교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파견된 국악강사들은 학생들에게 전통음악의 흥미와 중요성을 교육하기 위하여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국악 수업이 가능 하도록 강사에 대한 국가차원의 관심과 고용 안정 및 처우 개선이 필요함을 이야기 하였다. 향후 효율적인 국악수업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국악예술강사 지원사업이 보다 더 강화 되고 국악교육을 위한 교수법, 콘텐츠 개발 등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앞으로 국악예술강사 지원사업 발전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기대해본다.

      • 붐웨커와 컵타를 활용한 수업 지도 방안 연구 :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한민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붐웨커와 컵타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에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시킨 음악과 수업 지도 방안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학습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다양한 악기들 중 유율타악기인 붐웨커와 리듬타악기인 컵을 함께 활용하여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합주 수업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학생들은 붐웨커 연주를 통해 소리에 대한 감수성이 풍부해지고, 컵타 연주를 통해 새로운 리듬패턴을 창작함으로써 잠재된 창의성이 발현될 수 있다. 이에 붐웨커와 컵타에 대한 이해와 붐웨커와 컵타 활용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고찰하고, 협동학습의 특징과 모형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업 설계에 적용한 학습 모형의 종류로 협동학습 수업모형 중 Jigsaw(과제분담학습)모형과 STAD(성취과제 분담학습)모형의 두 가지 모형을 학생들이 각자 맡은 역할을 분담하여 책임감 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인 모형으로 판단하여 수업지도안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붐웨커와 컵타의 선행학습 수업내용을 먼저 제시한 후, 각 차시별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세안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붐웨커와 컵타 활용 수업 지도 방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재곡은 ‘진도 아리랑, 윌리엄 텔 서곡, Nobody’의 총 3곡이며 한 제재곡 당 2차시씩 총 6차시 수업이 이루어진다. 2차시 중 1차시 수업은 학생들이 노래 또는 붐웨커로 악곡을 익히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2차시 수업은 붐웨커와 컵타 합주 수업이 진행된다. 둘째, 각 차시에서 Jigsaw모형과 STAD모형이 부분 또는 전체에 적용되어 수업이 이루어진다. 붐웨커와 컵타를 활용한 수업에 협동학습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협동학습 수업모형이 가지는 장점과 붐웨커와 컵이라는 악기를 결합하여 새로운 학습 환경을 제시함으로써 기악과 창작 수업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가 실제 음악교육 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수업 설계가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H. Wieniawski <Fantaisie Brillante Op.20>의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김세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비에니아프스키의 <판타지 브릴란테(Fantaisie Brillante Op.20)>의 포괄적 분석을 토대로 본 작품에 사용된 주법과 악구에 따른 지도방안을 고찰하였다. 작품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세기를 대표하는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인 비에니아프스키의 <판타지 브릴란테>는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Faust)>에 등장하는 주제를 기초로 하여 자신의 독주회에서 화려한 기교를 자랑하기 위한 레퍼토리로 작곡되었다. 판타지는 특정한 음악 형식을 지니고 있지 않으나 본 작품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각 부분은 조성, 빠르기, 주제에서 각각 분명한 대조를 보인다. 비에니아프스키는 각 부분마다 구노의 <파우스트>에 등장하는 파우스트, 마르그리트, 메피스토펠레, 발렌틴, 시에벨의 아리아와 반주선율을 차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비에니아프스키는 아리아의 선율을 장식․변형시켰는데, 이는 바이올린 특성을 고려한 것일 뿐만 아니라 고도의 기교와 화려함을 과시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기도 하다. <판타지 브릴란테>의 주법과 악구에 따른 지도방안은 다음과 같다. 비에니아프스키는 작품을 화려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이현과 옥타브, 슬러 스타카토, 피크, 살탄도 또는 리코셰, 반음계적 글리산도, 하모닉스 등 다양한 주법을 사용하였다. 본 장에선 각 주법을 습득하기 위한 효과적인 연습방법과 이에 필요한 테크닉을 훈련하는데 사용되는 연습곡을 함께 제시하였다. 또한 주법별 지도방안 뿐 아니라 곡의 흐름에 맞게 악구를 나눠 연습하는 지도방안을 통해 음악적 영역도 함께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판타지 브릴란테>의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작품 분석과 이를 토대로 주법 및 악구에 따른 지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판타지 브릴란테>를 처음 접하는 전문 연주자들이나 학생들에게 본 논문이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초등학교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의 현황과 실태조사 연구 : -전북 소재 초등학교 중심으로-

        권정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된 논문으로 현재 운영실태를 조사하여 문제파악과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전라북도 소재 초등학교 7개교, 지도교사9명, 수강학생218명이며 연구방법은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한 통계산출 방식으로 운영실태를 조사하였다. 위조사를 바탕으로 전북 소재 방과후 초등학교 바이올린 수업에 대한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이올린 방과후 수업에 많은 인원과 시간배분의 어려움이 있다. 둘째, 수업의 환경적인 요인으로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전담교실과 냉난방시설, 보면대, 교재 등 학교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이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에 대해 느끼는 흥미도나 긍정적인 효과에 비해 개인적인 연습량이나 적극적인 수업태도를 가지지 않아 수업에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에 다양한 곡을 접하고 이론수업도 병행되면 좋지만 적은 시간에 많은 인원이 함께하는 수업이라 다양한 수업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첫째, 적절한 인원수와 시간을 배분하여 수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을 위한 학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고 셋째, 학생들이 수업 이외에도 꾸준한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 학부모가 관심으로 지도하며 넷째, 원활한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이 되도록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학교의 관심과 노력이 함께할 때 교육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이며, 위의 개선방안과 문제점들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방과후 바이올린 수업이 발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is investigation focuses on identification and discussion about problems as a research paper concerning about after school violin music education program to assist making smooth class with the survey of present after school music class opera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survey and interview, operation condition of after school violin music class was surveyed for 9 instructors and 218 students of 7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nbuk. Research method was performed by paper survey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Based on the survey, the summary of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ology for the after elementary school violin class is following below. First, it is too many students to assign personal teaching time for the limited after school violin class time. Second, in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active support and attention are required from the school to carry out smooth proceeding of after school violin class by providing reserved class room, air conditioning system, music sheet stands and teaching materials. Third, compared to student’s interest and positive influence from the after school violin class, the achievement of lecture may not be recognizable if students show passive participation to the class and lack of personal practice. Fourth, it is difficult to make various lectures with a wide range of musical arts and theoretical contents due to the many number of participants at the short time. Development of after elementary school violin class, therefore, can be achieved by following methods. First, proper number of participants and time must be assigned for the class. Second, active att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from the school. Third, parents should lead students to practice at home in addition to the class. Fourth, diverse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provide well-prepared after school violin class. For the development of after school violin class, effectiveness of education can be magnified in combination with deep attention and efforts of teachers, students, parents and school. Improvement methods are suggested to correct problems with persistent attention.

      • A. Khachaturian Violin Concerto d minor, 1악장에 관한 연구

        차현윤 단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하차투리안의 <바이올린 협주곡 1악장(Violin Concerto d minor 1 mov)>의 전체 악곡을 분석하고, 이 분석을 바탕아르 하차투리안이 본 작품안에 아르메니아의 민속음악적인 요소를 어떻게 삽입하여 작곡하였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곡 전체에 나타나는 바이올린 주법에 대한 세분화된 연구를 통해, 이 곡을 연주할 때 실제로 활용 가능한 적합한 주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작품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20세기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아르메니아 태생인 하차투리안은 자신의 음악 어법을 자국의 민속 선율을 통하여 구현하고자 하였고, 그 결과 그의 레퍼토리 대부분에 아르메니아 선법에 고전적인 유럽의 형식을 적용시켜 작곡하였다. 그 중에서도 하차투리안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그의 작품 중 가장 혁신적인 기악작품으로 동양의 색채를 다분히 지닌 아르메니아의 민속무곡을 종횡으로 구사하여 그 문화를 드높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특히 1악장의 전체적인 작곡방식은 유럽의 고전적 작곡방식인 소나타 형식을 따랐지만 전체 선율과 조성, 리듬은 아르메니아의 선율과 무곡을 충실히 따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인 d mionr와 f# minor가 번갈아 사용되며, 제1주제와 제2주제에서 아르메니아의 민속선율이 나타나는 것이 큰 특징이다. 둘째, 하차투리안 바이올린 협주곡 1악장에 쓰인 바이올린 주법은 마르카토, 데타셰, 중음주법, 레가토, 하모닉스, 트릴 등으로 기존 바이올린 작품들에서 흔히 쓰이는 전통적인 테크닉이 등장한다. 그렇지만 이 작품 속 주법은 악센트 레가토, 더블 하모닉스, 레가투라 레가토 등 곡에 삽입된 아르멘아 민속선율을 보다 강조하고, 바이올린의 화려한 음색을 표출할 수 있도록 작곡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차투리안은 이 작품에서 민족주의적인 성향을 강하게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유럽의 서구적 작곡기법을 더하여 그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을 승화시키려는 노력 또한 곡 전체에 나타난다. 본 논문은 악곡 분석과 연주법을 제시함으로써 본 작품에 관한 연주자들의 이해의 폭을 넓혀주고, 실제 연주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 방과후 오케스트라 교육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 - 대전·충남지역 중심으로 -

        조수정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전과 충남에 위치한 초등학교 방과후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운영실태와 개선점 및 발전방안을 조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대전과 충남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를 중심으로 지도교사 6명과 학생단원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지도교사와 학생들의 기초조사, 인식조사, 교육적 효과조사, 운영실태 조사, 합주실태조사, 문제점 및 개선점 조사로 이루어져있으며 수집된 설문조사는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로 학생들은 공교육의 오케스트라 교육에 대해 흥미도, 음악에 대한 관심도, 중학교 진학 후 오케스트라 활동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과목 이해의 도움과 자신감 향상,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 취미와 적성계발에 도움 여부, 학업 스트레스 감소 여부, 악기실력 향상 여부, 사회성과 협동심 발달 여부에 대해서도 좋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 수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오케스트라 지도 시 학생들의 인내심과 끈기 부족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오케스트라 활동을 위한 재정 지원을 가장 필요한 점으로 응답했다. 이러한 오케스트라 교육의 다양한 교육효과를 인식하여, 소외계층 학생들의 문화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이 단기적인 지원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지원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필요성이 보여 진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urvey results of operation condition, improvement points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after elementary school orchestra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Research method was direct survey for 6 instructor and 204 student orchestra members of 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Research survey mainly consists of 6 parts; basic information of instructors or students and the 5 questionnaires of awareness, educational effects, operation conditions, concerted music conditions and problems & improvement points.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item.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have a positive perception to public education of orchestra with respect to fun, interests in the music and future plan to continue orchestra activity after they enter middle school. Also, it is turned out that students are beneficially influenced by orchestra activity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music subject, enhancing confidence, preventing or reducing school violence, developing hobby and aptitude, relieving academic stress, improving musical instrument skill and developing sociality and cooperative. On the other hand, the instructors have a trouble with directing students who have less patience and less endurance. Also, they answered financial support as a priority of orchestra activity. As recognizing diverse educational effects of orchestra education, government needs to invest not only short-term financial supports but continuous and long-term educational support projects to reduce cultural gap of marginalized class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