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이혜지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campus life stress on his/her campus life satisfaction. Study subjects were students presently attending the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on and offline from October 10th to the 16th, 2017. Research methods were offline survey and survey through Internet; the data of a total of 209 students, 97 male, and 112 female studen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made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5 as a standar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ampus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campus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campus life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ating relationship, friendship, family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the professor, financial problem, future problem, and value problem; the correlation excluded academic probl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all categories excluding dating relationship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the sub-categories of social support which are emotional, informative, material, and evaluative suppor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mpact of the student’s campus life stress on his/her campus life satisfaction, the sub-factors which are campus life satisfaction degree, overall campus life, education quality, administration and welfare service, value problem in 3 factors except educa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Third, in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the student on his/her campus life satisfaction, all four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formative support. Fourth, in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of the student’s social support on his/her campus life stress and satisfaction, social, emotional, informative, material, and evaluative support were shown to mediate partially.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a student’s campus life satisfaction is more of matter with the value the individual has than a matter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 job decision difficulty. Also, informative support, above all other supports—emotional support such as love, understanding, encouragement, trust, concern, material support such as money, possession, and evaluative support such as a compliment, commendation— brings higher satisfaction to the student. Hence, a more profound research into the stress about the value of the student for his/her better campus life, and satisfying campus life should be expected with a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be run within the campus. Keywords: University Student, Campus Life Stress, Social Support, Campus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속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현재 대학에 다니고 있는 대학생으로, 2017년 10월 10일부터 10월 16일까지 오프라인 설문지와 인터넷을 통한 설문을 이용하였고 총 209명(남자 97명, 여자 1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요인을 종합 분석하여 학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이 대학에 갖는 만족도와 애착 및 적응 등 긍정적 생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 더욱더 발전시키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 청소년의 애착유형이 자존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애착유형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자존감은 성별?학교급에 따라 애착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대인관계는 성별?학교급에 따라 애착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들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근무하는 대전 시내 초등학교 6학년 168명, 중학교 3학년 184명을 대상으로 애착척도, 자존감 척도, 부모 및 친구와의 대인관계 척도를 설문 조사하였고,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p<.01,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 애착유형을 분류한 결과 안정애착유형이 가장 높고, 불안-양가애착유형, 회피애착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안정애착유형은 남?녀, 초?중학교 학생이 비슷한 분포를 보이나 남학생 집단은 회피애착유형이 불안-양가애착유형보다 , 여학생 집단은 불안-양가애착유형이 회피애착유형보다 높았고, 초등학교집단은 회피애착유형이 불안-양가애착집단보다, 중학교집단은 불안-양가애착유형이 회피애착유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애착유형에 따른 자존감을 비교해 본 결과 안정유형의 청소년이 회피유형이나 불안양가유형보다 자존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정유형의 청소년들이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가장 높게 갖고 있고 자신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에서도 안정유형의 청소년들이 보다 더 긍정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안정유형의 청소년들은 부모나 친구와의 관계에서 친애를 더 많이 지각하여 애정적인 성향의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애착유형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안정되게 애착을 형성한 사람일수록 긍정적이고 자기 자신을 유능하고 중요하며 성공적이고 가치롭다고 여기는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나 친구와의 관계에서도 친애를 더 많이 지각하여 애정적인 성향의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애착은 생애 초기 뿐만 아니라 청년기에도 계속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attachment styles of teenagers on thei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in this study: 1. What differences do the gender, school grade and attachment style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self-esteem? 2. What differences do the gender, school grade and attachment style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8 sixth graders and 184 middle school ninth graders in the city of Daejeon. The selected sixth graders attended an elementary school where this researcher worked. A survey was conducted by utilizing an attachment scale, self-esteem inventor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ventory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ventory aimed at assessing human relations with parents and friends. Two-way ANOVA was utilized to see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sparities at the p<.01 and p<.05 level of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When the attachment styles of the teens were classified, a stable attachment style was most prevalent, followed by an anxiety- ambibalance style and avoidant one. By gender and grade of school, the distribution of the stable attachment style was similar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of school. The avoidant style was more common than the anxiety-ambibalance style in the group of boys, and the anxiety- ambibalance style was more dominant in the group of girls. In the elementary schooler group, the avoidant style was more widespread than the anxiety-ambibalance style, and the anxiety-ambibalance style was more rampant than the avoidant one in the middle schooler group. As for the impact of the attachment styles on self-esteem, the teenagers who had the stable style were ahead of the others with the avoidant and anxiety-ambibalance styles in that regard. The former had a better self-confidence and prized themselves better than the latter. In regard to the influence of the attachment styl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adolescents with the stable style excelled the others. The former teenagers found themselves to have a more affilia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friends and mingled with more affectionate peopl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ttachment styles of adolescents affected thei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stablished that the stably attached teens were more positive and had a better self- esteem, which denoted that they viewed themselves as competent, important, successful and valuable. And they deemed themselves to have a more affilia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friends and got along with affectionate people.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attachment styles had an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at exerted an influence on not only the initial stage of life but adolescence.

      • 진로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 및 성취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반효숙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집단상담이 진로의식 성숙과 성취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진로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성취동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D초등학교 6학년 40명을 대상으로 20명은 실험집단으로 2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진로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대전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에서 제작하여 배포한 초등학생용 진로교육프로그램(2002), 경기도교육과학연구원에서 제작한 초등학교 진로지도프로그램(2002)과 초등학생의 진로 발달 연구와 선행 연구된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 관련 프로그램 중 진로의식성숙과 성취동기 향상에 관련한 내용으로 재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진로집단상담을 주 2회기씩 6주간에 걸쳐 총 11회기(1회기 40분 소요)를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피험자들에게는 사전 검사와 진로집단상담이 종료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Crites(1978)가 개발한 Counseling Form(B-1)을 이현림(1994)이 번안한 ‘진로성숙 검사’와 기현주(2004)가 개발한 아동용 ‘성취동기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집단상담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진로의식 성숙 수준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F=4.721, p<.05). 진로의식 성숙의 각 하위 영역별로는 진로결정도와 진로성향도의 척도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진로관여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의 척도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진로집단상담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성취동기 수준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F=5.279, p<.05). 성취동기의 각 하위 영역별로는 자신감의 척도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과업지향성, 모험심, 독립심, 책임감, 미래지향성의 척도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이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진로인식 단계에 있는 아동들의 진로의식 성숙과 성취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학습지도와 생활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과 성취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areer-group counsel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career awareness and achievement motiv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two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does the career group counseling influence on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how does the career group counseling influence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jects were forty who were six graders in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jeon. Twenty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students to the control group.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arranged by modify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2002)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stributed by Daejeon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 and pre-developed programs related to career awareness and career motivation improve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group counseling was conducted for six weeks twice a week(each session lasted forty minutes).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ounseling Form(B-1) developed by Crites(1978) and translated as Career Maturity Test by Hyun Lim Lee(1994) and Achievement Motivation Test for children developed by Hyun Ju Ki(2004). After the measurement using those tools was done the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he career group counseling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their career awaren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F=4.721, p<.05).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decisiveness and orientation as a subcategory of career awareness, however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areer involvement, career independence, and career compromis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he career group counsel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F=5.279, p<.05). The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their confidence, however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ask-orientation, the sprit of adventure, the sprit of independenc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future-ori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 that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utilized actively to improve the career awarenes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ade, because the results show that if career education is conducted persistently in elementaty schools, it may increase the career awareness and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children.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손교교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국제사회에 있어서 인적교류의 필요성은 세계화로 인해 점점 증가되고 있다. 전 세계의 글로벌화의 추세에 따라서 한국에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이 와있으며, 특히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내용은 언어적응과 대학생활적응 양방면으로 나누었으며 중국인 유학생의 적응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 · 충청 지역에 위치한 H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어학연수생, 학부생 및 대학원생 93명을 대상으로 언어적응 설문과 대학생활적응 설문(SACQ)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언어적응의 정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언어적응과 대학생활적응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도출해 낸 구체적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은 언어적응에 있어서 한국어수업 듣기 측면이 가장 강하고 한국어문장 쓰기가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언어적응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습과정, 체류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언어적응에 더 잘 하고, 연령이 많을수록, 학습과정이 높을수록, 체류기간이 길수록 한국어를 더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수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 중 대학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활적응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습과정, 체류기간, 경제수준에 따라 각 집단 간에 약간 차이가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언어적응도와 대학생활적응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언어적응과 학업적 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언어적응도가 높을수록 학업적 적응을 더 잘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 적응은 언어적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한 한국어능력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적응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퍼즐활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이승영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퍼즐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건강한 노년기 삶의 질을 구성하는 중요한 두 가지요인인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퍼즐활동프로그램이 노인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퍼즐활동프로그램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대전지역 D소재 경로당을 이용하시는 만 65세 이상 노인 중에서 30명을 실험집단으로, 3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퍼즐활동프로그램은 김상헌(2015)의 연구에서 제시한 퍼즐교구를 통한 상보적 교수법 프로그램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노인을 대상으로 재구안하여, 2015년 11월 30일에서 2016년 1월 8일가지 한 회기당 60분씩 주2회,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인지기능은 Folstein(1975)이 개발한 MMSE (Mini Mental State Examinnation)를 박종한, 권용철(1989)이 수정・보완한 MMSE-K를 사용하였고, 우울은 Yesavage(1983)가 개발하였고, 정인과와 그의 동료들이 한국노인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GDS-K를 사용하였다. 분석프로그램은 SPSS 22.0을 활용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검증 및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퍼즐활동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노인의 인지기능척도를 사전사후 검사한 결과 퍼즐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인지기능이 사전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퍼즐활동프로그램을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 인지기능의 평균이 높아졌다. 이를 통해 퍼즐활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퍼즐활동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노인의 우울척도 사전사후검사 결과 실험에 참여한 노인들의 우울은 사전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퍼즐활동프로그램을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 우울의 평균이 낮아졌다. 이를 통해 퍼즐활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화 사회로 인지기능과 관련된 치매와 우울이라는 노인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을 고려할 때, 지금까지 아동 및 청소년 대상으로 사고력 및 정신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연구 되어온 퍼즐활동이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노인복지현장 및 노인관련기관, 병원 등에서 노인의 인지기능 증진 및 노인의 정신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직적인 노인상담 및 적응프로그램에 접근이 어려운 노인들에게 심리 상담을 위한 매개체로도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둘째,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에 관한 기존의 중재 프로그램들은(류장학, 2007; 김수영, 1999; 홍인실, 2008; 황인담, 2010) 노인들의 자발적 참여가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퍼즐활동프로그램은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특성이 있어 노인관련 기관이나 경로당에서 자발적 활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젊은 세대와의 소통의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지역의 노인들을 표집 하여 실험하였으므로 연구를 일반화 하여 해석하는데 다소 한계가 있고, 추후검사를 통한 퍼즐활동프로그램의 효과의 지속성 연구도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향후 노인 개개인의 흥미와 인지능력에 따라 구별된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본다. 셋째, 퍼즐활동프로그램을 통한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후속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류진선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mily relation and self-efficacy and providing positive effect to building up student’s self-efficacy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 self-efficacy and its subordinate factors. Research objects are establish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 and self-efficacy,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lation (emotion-intimacy factor, approval-obligation factor, accept-respect factor), and subordinate factors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preference of the degree of difficulty for subject). As for estimation methods of research, random sampling survey research through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grade and 6thgrade) in Daejeon were used to solve the subject. To measuring the family rel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 Yang ok-kyung's(2001) ‘A family relation standard’ was used, to measuring self-efficacy, Cha jung-eun & Sim gye-hwa’s ‘A self-efficacy standard’ was used. For processing those data,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 first, total family relations have positive correlations in self-efficacy, and total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lation also show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t supports better family relation which recognized by student effect positively on self-efficacy. Second, the relation between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lation and subordinate factors of self-efficacy turned out emotion-intimacy factor has the highest effect to self-efficacy and its low-level factors. It means that family interaction, emotional intimacy and a matter of concern in building process of student’s self-efficacy are effected more importantly. Moreover, particularly emotional intimacy factors have higher correlation with self-regulated efficacy. Accordingly, to streng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 consulting or a family camping for enhancing emotional intimacy and its importance in family can be suggested as basic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관계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알아보고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가족관계 사이의 상관관계 및 그 하위 요인들 간의 관계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형성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주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및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정서친밀요인, 인정책임요인, 수용존중요인)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베이(Survey)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표집은 임의표집의 방법으로 대전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과 6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양옥경(2001)이 제작한 ‘가족관계척도’를 사용하였고, 개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차정은(1997)이 만들고 심계화(2004)가 수정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나온 자료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관계분석(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을 사용하였고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 가족관계는 전체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가족관계의 모든 하위 요인 역시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관계가 원만할 때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과 전체 자기효능감 및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소 간 관계에서는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친밀관계 요인이 전체 자기효능감 및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 요인과 가장 높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친밀관계 요인이 전체 자기효능감 및 하위 요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형성에 있어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친밀성, 서로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같은 점들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정서친밀관계는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특히 자기조절효능감과 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정책임관계 요인은 자기효능감의 다른 하위 요인들 보다 자신감 요인과 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용존중관계는 과제난이도선호 요인과 좀 더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친밀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형성에 있어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친밀성, 서로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같은 점들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에서의 가족관계 향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족 간의 정서적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겠다.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가족건강성과 삶의 질

        서혜연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가족건강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D시와 G시에 거주하며 사회복지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으로, 2016년 3월 29일부터 4월 16일까지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방법은 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캄보디아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총 1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1.5세이며, 배우자와의 나이차는 16-20살이 가장 많았다. 출신국은 베트남이 가장 많았고 학력은 고등학교가 가장 많았다. 혼인지속기간은 3년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경제수준은 ‘괜찮음’으로 인식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는 22.85명으로, 혈연집단이 9.07명, 지연집단이 13.79명이었다. 주요 관계망의 유형을 살펴보면 남편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관계망 유형에 따른 친숙도는 자녀가 가장 높았고, 한국의 친척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의할 점으로는 주요 관계망의 유형에서 남편을 가장 많이 선택했으나 친숙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 배우자의 연령, 배우자와의 연령차이, 가족형태, 혼인지속기간, 출신국, 학력, 한국어수준, 경제수준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삶의 질을 살펴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가족건강성은 평균 3.81이며, 삶의 질은 평균 3.56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가족건강성과 삶의 질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삶의 질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의 경우 크기가 아니라 유형에 따라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와 삶의 질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사회에 건강하게 통합되려면 1차적 관계망인 다문화 가족의 가족건강성이 높아야 구성원들이 사회에 원만히 적응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족건강성의 하위 요인 중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의사소통과 가족원과의 유대가 나타났으므로 결혼이주여성을 지원할 정책을 마련할 때 이 점을 중점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특히 가족 내 한국어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서적 차이를 고려한 합의가 필요하며 가족 내 통합을 이끌 수 있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The main concerns of this study are to confirm the affect of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support network and affect of family health to quality of life. Data collecting period of this study is started from 29th of march to 16th of april in 2016.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lived in D and G and the subject, marriage migrant women, who receive benefit from social welfare center. I studied by a personal visi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ranslated questionnaire in korean, chinese, vietnamese, filipino, cambodian. I made an analysis of one hundred sixty three person's data. The average age of this study's subjects are 31.5 years old and marriage duration is most common lower than 3 years and the common age difference between couples is 16 to 20 and they realized their economic level as normal. Collected data calculat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accomplised by standard deviation.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 the number of social support network is 22.85 persons and the social support network is divided into 9.07 persons of kin-group and 13.79 persons of local group. The main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are husband. As follows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the familiarity are highest with children and familiarity with relative are lowest. It is a point that they choose their husband as main social support network but familiarity with their husband are lower than the others. Second, as follow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network when we compare the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group and they showed the difference in age, spouse age, age difference with spouse, family type, duration of marriage, country of origin, academic ability, korean ability, economic level. But examine quality of life and family health with marriage migrant women'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s no meaningful difference. Third, family health of marriage migrant women scores are 3.81 and quality of life's average is 3.56. Correlation result shows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liarity and quality of life. Fourth, there's no relation between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quality of life. In case of social support network we don't need to consider the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but need to analysis the types of social support network. As a rusult of this study that there's no relation between size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quality of life. To be incorporated in korean culture, they need high family health as primary social network to adapted korean culture comfortably. Among the sub factor of family health communication and bond between family are the factor that gives much affect to quality of life. When government prepare policy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ey have to consider about this point. Specially, not only communication with family in korean language but also need cultural, emotional agreement and need to make a program that we can lead out integration between family.

      • 부모의 양육태도 및 청소년의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미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및 기질이 청소년기 우울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청소년이 보다 건강하고 내실 있는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부모의 양육 방법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소년의 기질이 청소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청소년의 기질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우울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중학교를 선정하여 3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은 송지영(1992)의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검사(Parental Bonding Instrument; PBI)를 적용하였고 청소년의 기질을 측정은 김순재(1996)가 [개정판 기질차원 척도(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 : DOT-R)]를 요인 분석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우울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Kovacs과 Beck(1977)이 개발한 아동용 우울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를 이미리(1994)가 번안 후, 이를 옥정(1997)이 다시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통계처리 방법은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기 우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다정성과 독립성이 낮을수록 우울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기질 중 지속성이 청소년기 우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기질은 청소년기 우울에 서로 상호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우울에 영향을 끼칠 때 어떤 특정 기질이 영향을 주는 것과는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에서 보듯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기 우울에 얼마나 중요한 변인인지 알 수 있다. 부모는 자녀 양육에 있어 자녀가 부모를 신뢰감을 가질 수 있도록 올바른 양육태도로 일관성을 가지고 대할 때, 청소년은 좀 더 건강하고 내실 있는 청소년기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 병사의 진로준비행동 촉진을 위한 수용-전념치료기반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백종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병사들의 진로준비행동 촉진을 위해 수용-전념치료에 기반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과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는 첫째, ‘병사의 진로준비행동 촉진을 위한 수용-전념치료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은 어떠한가?’ 둘째, ‘병사의 진로준비행동 촉진을 위한 수용-전념치료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해서 프로그램 개발 4단계 중 1단계는 목표수립 단계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잠재적 연구 대상자인 병사들의 요구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다. 2단계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단계로 우선 프로그램 내용구성 및 전략을 세우고 프로그램 활동지 및 매뉴얼을 개발한 후 평가계획을 수립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프로그램 초안을 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였다. 4단계는 프로그램 실시 및 개선단계로 프로그램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양적, 질적 평가를 통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보완하여 최종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ACT이론을 바탕으로 하였고 집단상담 형식으로 매 회기별로 90분씩 8회기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 진행을 허락해준 000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프로그램 홍보를 접하고 자발적으로 신청한 병사 24명을 2개 집단에 12명씩 무선 배치하여 이 중 1개 집단을 이 연구에서 개발한 진로준비행동 촉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1개 집단은 무처치 집단인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양적 연구와 더불어 심리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양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준비행동 전체와 하위영역인 자기이해행동, 직업세계탐색행동, 진로준비강화행동을 촉진시켰다. 또한 진로장벽이 감소되었고 전념행동이 향상되었다. 수용행동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질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ACT의 핵심과정들이 집단 과정의 초기, 중기, 말기의 전 과정에서 상호작용함으로써 ACT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심리적 유연성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가치에 맞는 진로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준비해가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진로장벽을 알아 차리고 수용함으로써 진로준비를 위한 전념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고 본다. 구체적으로 집단 초기에는 ACT의 6가지 핵심과정 중에서 수용과 인지적 탈융합, 현재에 존재하기와 맥락자기 과정을 통해 자기이해를 하고 진로장벽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는 경험을 하였다고 본다. 집단 중기에서는 직업세계를 탐방하고 자신의 가치를 명료화한 후에 진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가치를 자신의 직업과 연결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자신의 가치에 맞는 직업을 찾을 수 있었다고 본다. 집단의 말기에서는 진로목표를 세우고 이를 준비해가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진로장벽을 기꺼이 받아들여서 진로준비행동에 전념할 수 있었다고 본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용-전념치료에 기반 한 병사의 진로준비행동 촉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체계화된 개발단계와 평가방법을 거침으로써 논리적인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병사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임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