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어린이 중국어 교재의 비교 분석

        류진선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중(홍콩 포함) 양국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출판된 8종의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어린이 중국어 교재의 개발과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정규 과목으로 선정되어 교육과정의 적용을 받고 있는, 영어 교과서의 분석 항목과 분석 기준을 기술한 『교과용 도서의 체제 개선 연구-영어과』(2000,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이론을 채택하여 이를 토대로 분석항목을 설정한다. 본고는 ‘서론’, ‘교재 분석 기준’, ‘교재 분석’, ‘교재 개선 방안’, ‘결론’ 등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하는 한편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보완하고 한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제2장에서는 기존의 교재분석이론을 시대별로 정리하고 본고에서 진행할 분석항목과 기준을 밝힌다. 제3장에서는 표본교재의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본 후 본격적인 분석을 실시한다. 총 65가지 세부항목에 대해 6단계로 나누어 점수를 매기고 세부 항목별·큰 항목별·부문별로 평가점수를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앞장에서의 분석결과를 영역별·교재별로 정리하여 각 교재의 특징과 장단점을 살펴보고, 각 영역별로 보완되어야 할 점을 제시한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를 요약하고 어린이 중국어 교재편찬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언한다.

      • 한국여성의 국회의원선거 참여 : 저해요인과 확대방안

        류진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정치에 관심을 가지며 또한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때로는 직업적인 정치가로 나서서 정책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맡기도 하는데, 정치참여는 방법과 행동에서 다양한 면을 보여준다. 어떤 사람들은 직접 정치행사장으로 나가서 적극적으로 정치활동을 한다. 그런가 하면 단지 투표만 행사하는 소극적인 정치활동을 보여주는 사람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정치참여의 행동은 4가지의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개인적으로 혼자서 정치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으며, 한정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서 집단을 이루어 정치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선거운동과 같은 공적인 정치행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와 투표와 같은 정치행위에 한정해서 참여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지 선거기간 동안 투표권만 행사하며, 정당이나 조직에 직접 참여하거나 그 조직을 통해서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일 같은 것은 극히 소수의 시민들에게만 국한되어 있다. 건전한 시민의식에 입각한 바람직한 정치참여는 그 사회의 정치를 시민들의 의사와 합치될 수 있게 하는 정상적인 민주주의 속성을 보여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민주주의 사회라면 정치활동은 각자의 자기선택과 책임에 의해서 그 행동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정치활동은 자연히 그 사회의 성격과 계급구조, 종교, 성별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우선 그 중에도 개인의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는 사회계급, 학력, 종교, 연령, 성별 등을 지적할 수 있다. 그리고 여성들의 정치참여는 그 사회의 정치문화나 정치제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선거제도나 정당제도 그 밖에 의회의 활동이나 대중매체의 활동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 논문은 현대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이념이자 원리인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서는 정치참여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수적이며, 특히 여성의 정치참여에 대한 제도적 보장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여성의 정치참여를 다룬 기존의 연구에서는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의 문제를 여성의 사회적 역량을 경시하는 사회문화적인 풍토와 정치를 남성의 영역으로 간주하는 성 고정관념, 고비용의 정치구조, 여성의 대표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선거제도 그리고 여성의 정치참여를 지원해 주지 않는 정당구조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교육과 사회참여의 확대는 여성의 정치참여에 대한 의식이 성장과 비례하고 있음을 나타내 준다. 그러나 여성이 민감하게 느끼는 성차별의식에서는 여전히 성차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여성문제는 여성만이 해결할 수 있으며 여성이 정치에 직접 참여하여 정치적으로 풀어가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 여성의 정치참여가 저조한 현실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우리나라와 각국 여성의 정치참여 현황과 정치 분야, 특히 여성의 국회의원선거에 참여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저해 요인, 확대 방안 등을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 중에서도 특히 현재 각국에서 여성의 정치참여를 늘이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할당제나 선거제도 등 제도적인 부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방안을 사회문화적인 측면과 정치제도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특히 정치제도적인 대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역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정치적 상황과 제도적 요인을 통해 여성 후보자와 당선자의 비율이 증감한 원인과 이유를 살펴보았다. 국민의 대표성을 부여받은 곳에의 남녀 평등한 진출이 민주주의 원리에 기초한 것이라고 한다면 그 어느 곳보다도 국회의원선거를 통한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민의 의사에 따라 선출된 의원들로 이루어진 국회야말로 국민의 대표성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정치 분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의 여성의 정치참여는 보편적인 의미의 일반 시민으로서의 정치참여가 아니라 국회의원선거에 있어서 입후보자로 나서는 여성으로 한정하고 있음을 밝힌다. 한국에서 여성의 참정권 획득은 별다른 어려움 없이 해방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서구 사회처럼 여성의 참정권 획득을 위한 격렬한 투쟁과정을 거치지는 않았으나, 우리나라 여성들도 일제시대부터 자신들의 사회적 역량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 왔고, 교육을 통한 여성의 자각을 일깨우는 과정에서 사회와 정치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국채보상운동이나 항일운동에도 참여함으로써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주체성을 가지고 자신들의 정치적 의식을 높이는데 여성 스스로가 일정 역할을 담당하였고, 그러한 노력의 결과 여성에게도 남성과 동등한 참정권이 부여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의 정치·사회·문화·제도적인 요소 중에 여성을 제약하는 부분은 제도와 현실 사이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정치분야의 여성진출은 세계 중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었다. 이는 제1대 국회의원선거에서부터 제17대 국회의원선거까지 여성의 국회진출현황을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여성국회의원의 비율은 지역구에서보다는 전국구 또는 유정회를 통한 진출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구에서의 여성의원비율은 역대 총선을 통하여 0%에서 5.6%까지 지극히 적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 전국구 또는 유정회 의원은 전국구 제도를 처음 도입한 6대 국회에서 2.3%, 7대에서 4.6%, 8대에서는 9.8%, 9대의 유정회 1기에서는 12.3%, 2기에는 8.2%, 10대의 유정회에서는 9.1%를 차지했다. 그리고 11대에서도 8.7%, 12대에서 6.5%, 13대에서 8.0%, 14대에서 11.3%, 15대에서 15.2%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정당법의 개정을 통해 정당의 전국구 후보자 명단에서 여성후보를 30% 할당할 것을 명문화 한 후 전국구 여성국회의원의 비율이 16대에서는 23.9% 17대에서는 53.5%를 차지하였다. 이는 아직까지도 여성이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기에는 장애물이 많다는 뜻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여성이 전국구 후보로 나서서 당선되는 비율이 높은 이유는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는 권력자가 자신의 정통성 확립을 위해 국민들로부터 인정을 받고자 대학 교수들이나 여성단체의 지도자를 전국구 우선순위에 배정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는 보여주기 위한 상징적인 의미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나오는 게 사실이지만, 당시의 국회의원선거에서 여성의원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고, 전국구 비례대표제도가 여성의 국회진출에 상당 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인정해야 할 부분이다. 그리고 할당제가 도입된 이후 각 정당들은 날로 높아져 가는 여성의 지위와 할당제 공약 준수를 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으로 인해 여성후보를 우선순위에 배치한 결과 전국구 후보로 나서서 당선되는 여성의원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전국구비례대표제, 그리고 여성할당제가 하나의 대안임을 알 수 있다. 현재 한국 여성이 국회의원선거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정치 제도적 저해요인은 선거제도와 선거자금, 남성중심적인 정당구조와 공천문제, 성역할 고착화 등으로 인한 유권자의 성차별의식을 들 수 있다. 각국의 사례로 본다면 중·대선거구제가 여성후보에게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는 소선거구제를 채택하고 있어 여성의 대표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선거 자금면에 있어서도 당선가능성 낮다는 사회 편견 때문에 선거자금 동원능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정당구조와 공천문제 역시 여성이 국회의원선거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가부장적인 사회구조는 여성에 대한 성역할 고착화로 인한 유권자의 성차별의식을 낮고 있어 여성후보가 불이익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할당제 등 제도적인 뒷받침으로 여성이 정치일선에 나설 수 있는 기회를 활성화시켜 유권자들의 성차별적 고정관념에 따른 여성후보에 대한 우려는 불식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제약만이 여성의 정치참여도가 낮게 하는 주된 요인이라고 볼 수는 없다. 오히려 여성의 정치사회화 의식의 결여와 여성단체의 역할 미비등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해 요인을 극복하고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시키기 위한 정치제도적 방안은 무엇보다 여성후보 공천할당제의 준수와 공천제도의 개혁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제도가 완비되어있다 하더라도 이를 충족할수 있는 사회적 인적자원이 부족하다면 제도는 진부한 논란에 불과할 것이다. 따라서 정치사회화 교육 확대를 통한 인적자원의 확보와 할당제의 유기적 결합이 여성 정치참여도를 높이는 대안이라 본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각종 공직선거에 있어서 통계 산출시 성별 분리 통계 의무화 와 대학생의 인턴제 활용 그리고 이와 관련한 학점인증제 도입 등을 제안한다. 또한 여성후보자에 한해 지역구와 전국구에 동시에 입후보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도 여성국회의원 확대를 위한 방법 중의 하나라고 본다. 한 후보자가 지역구 후보와 비례대표 후보를 겸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구 선거에서 낙선하더라도 비례대표에 의해 당선될 수 있을 것이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실시했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처럼 국회의원선거에서 유권자가 본인이 지지하는 지역구 후보에게 1표, 선호하는 정당에게 각각 1표씩 행사하는 1인 2표제를 시행하되, 비례대표 후보 선정시 여성 후보를 우선 순위에 배치한 후 남녀 후보를 교차로 선정하는 지퍼식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 방법을 도입하면 환경이나 노동 분야 등 사회의 다양한 여론을 반영하는 이념정당과 소수정당의 원내진출이 더욱 활발해 질 것이고, 특히 여성의 정치에 대한 관심도 증대될 것이다. 이는 여성이 정치무대로 등장할 수 있게 하는 강한 흡인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제까지 여성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들은 선거 자체에만 치중된 경향이 많았으나, 앞으로는 생활 정치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정치참여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검정 체육교과서 건강 활동 내용분석

        류진선 한국체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12종의 중학교 검정 체육 교과서의 건강 활동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 간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학교 현장의 교과서 선택에 도움을 주고, 차후 개발되는 교과서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교과서 비교 분석을 위해 교과서 구성과 내용의 하위영역을 기준으로 Bereday(1964)의 비교 분석 방법론을 연구 목적에 맞게 3단계로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구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 건강 영역은 12종의 교과서가 평균 18.9%의 비율을 보였고 최대 35.9%에서 최소 12%까지의 차이를 보였다. 5개의 영역으로 활동이 구분되는 교육과정에 비교했을 때 최대와 최소 비율의 교과서는 특정 영역으로 치우쳐 교육과정을 구성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건강 활동 내 소단원 비율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단원의 구성은 대부분의 교과서가 도입-전개-마무리 3단계로 단원을 전개 하고 있으며 중단원 도입부에 학습목표를 제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1종의 교과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핵심역량을 제시하여 알 수 있도록 한 반면, 1종의 교과서는 별도로 핵심역량을 제시하지 않아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셋째, 단원별 학습주제는 ‘건강과 체력평가’, ‘건강과 체력관리’, ‘여가와 운동처방’을 중심으로 제시되어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으나, 교과서간 신체활동 예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8종의 교과서는 각 중단원마다 다양한 신체활동을 제시하며 ‘건강 관리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실천적인 내용을 구성하였으나, 4종의 교과서는 신체활동의 제시 보다는 개념적이고 이론적인 내용들이 주를 이루어 지식적인 측면이 강조 되었다. 또한 여가활동과 관련된 신체활동은 12종 모두 학교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활동보다는 트레킹, 자전거, 스키·스노보드 등 외부 시설을 이용해야 할 수 있는 활동들이 주를 이루었다. 신체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제 활동이 가능한 여가 활동 예시들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습목표를 달성하고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해 11종의 교과서는 소단원 또는 중단원 마무리 마다 실천 위주의 활동들과 스스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내용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1종의 교과서는 대단원 마무리에서 학습내용만을 확인하고 있다. ‘건강 관리 능력’의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마무리 단계에 실천 할 수 있는 활동들이 추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교과서 선택에 도움을 주며, 차후 개발되는 체육교과서에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contents of health behavior of 12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published based on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extbooks, and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which textbook could be selected in school field and the available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textbook. To compare and analyze the textbooks, this study modified and adopted comparison analysis methodology which Bereday(1964) proposed on 3 steps aligned with aim of the study depending on sub-areas of structure and content of textbook. The findings showed as follows. First, health area in textbook took the share of average 18.9% in 12 types of textbook and there were the differences of maximum 35.9% to minimum 12%. Compared to educational curriculum differentiated in terms of 5 activity areas, textbook relevant to maximum and minimum proportion composed of educational curriculum deviated and biased toward specific area.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portion of small units in health behavior, and most textbooks organized units based on 3 stages of introduction-development-finish and were likely to suggest learning goal on the phase of introduction of middle unit. 11 types of textbook indicated core competencies in various ways, which became useful and helpful to students, whereas because only one textbook did not, students had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ir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theme on unit based on ‘health and fitness evaluation’, ‘health and fitness management’, and ‘recreation and physical activity’, whereas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activity examples in textbook. 8 types of textbook included various physical activity on each middle unit and practice to cultivate health management ability, whereas 4 types of textbook focused on conceptual and theoretical content and knowledge aspect rather than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physical activity relevant to recreation in all 12 types of textbook composed of activities, e.g., trekking, bicycling, and ski/snow-boarding needed outdoor facilities , which rather than activities applied to school field. This circumstances should be improved using recreation activities which could facilitate practical exercise to accomplish physical activity. Fourth, to accomplish learning goal and foster core competencies, 11 types of textbook suggested contents which help students directly check and manage practical activities on every small or meddle unit, whereas only one textbook provided review of learning content in finish of major unit.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of health management ability, practical activities utilized in phase of finish should increase. As discussed above, this study implicated that this findings could be helpful to textbook selection in the school field and provide resource and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

      • 미용교육 평가에서 루브릭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 교과‘샴푸하기’단원 중심으로

        류진선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n order to prepare efficient evaluation criteria for the NCS hair beauty 'Shampooing' unit, a rubric for teachers was developed and 40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of 20 each. The impact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ubric developed in this study allows students to complete 'Shampoo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goal of the NCS hair beauty subject 'Shampooing' learning module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Shampooing' section of the hair beauty subject. Practice plan, practice process, practice result, and practice attitude were set as evaluation items to complete the task, and were developed with a perfect score of 32 point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s understanding', prior education programs for the rubric can be preceded, so that raters' understanding and accessibility of the evaluation tool can be increased. Third, the pre-academic achievement test of ‘Shampoo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urth, as a result of the pre-post test of 'Shampooing' of the comparison group, 'preparation', 'manipulation action', 'shampooing', 'rinsing and drying', 'finishing and towel wrapping' among the four evaluation item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etails of the practice plan, practice preparation, practice process, and practice results of the pre-post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Sixth, in the post-assessment of 'Shampooing' between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details of practice plan, practice preparation, practice process, and practice result. Finally, the results of the rubric educational evaluation targeting students followed the same indicators for 'providing feedback on the results', 'usable without modification', 'understanding of the terms of the evaluation tool' and 'sameness of scoring results', respectively. The results appeared in the order of 'Adequacy of learning evaluation', 'Conformity with learning goals', 'Use in the field', 'Understanding of evaluation contents', 'Necessity of separat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scoring criteria'.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at if the rubric is applied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actice subjec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individual student, so tha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result can be seen more. 본 연구에서는 NCS 헤어미용 ‘샴푸하기’ 단원의 효율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교사용 루브릭을 개발하고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각각 20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루브릭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루브릭은 NCS 헤어미용 교과 ‘샴푸하기’ 학습모듈의 학습목표와 헤어미용 교과 ‘샴푸하기’ 단원의 성취기준에 따라 학생들이 완성도 높은 ‘샴푸하기’ 수행과제를 완성할 수 있도록 실습 계획, 실습과정, 실습 결과, 실습 태도를 평가항목으로 설정하여 32점 만점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교사의 이해도’를 개선하기 위해 해당 루브릭에 대한 사전 교육 프로그램 등이 선행됨으로써 채점자들의 평가도구 이해도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샴푸하기’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비교집단의 ‘샴푸하기’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총 네 개의 평가 항목 중 ‘사전 준비’, ‘매니플레션 동작’, ‘샴푸하기’, ‘헹구기 및 물기 제거’, ‘마무리 및 수건 감싸기’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실험집단의 ‘샴푸하기’ 사전 사후 평가 실습계획, 실습 준비, 실습과정, 실습 결과의 모든 세부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샴푸하기’ 사후평가에서고 실습계획, 실습준비, 실습과정, 실습결과의 모든 세부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루브릭 교육평가 결과는 ‘결과의 피드백 제공’, ‘수정 없이 사용 가능’, ‘평가도구 용어의 이해’와 ‘채점 결과의 동일성’이 각각 동일한 지표로 따랐으며, ‘학습 평가의 적절성’, ‘학습목표와의 일치’, ‘현장에서의 사용 여부’, ‘평가 내용의 이해’, ‘별도의 교육 필요성’, ‘채점 기준 내용의 이해’ 순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는 실습 교과목에 대한 수행평가 시 루브릭을 적용하여 평가를 하면 개별 학생의 성취 수준을 확인 가능하므로 보다 학습결과에 대한 질적 향상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하겠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류진선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mily relation and self-efficacy and providing positive effect to building up student’s self-efficacy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 self-efficacy and its subordinate factors. Research objects are establish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 and self-efficacy,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lation (emotion-intimacy factor, approval-obligation factor, accept-respect factor), and subordinate factors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preference of the degree of difficulty for subject). As for estimation methods of research, random sampling survey research through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grade and 6thgrade) in Daejeon were used to solve the subject. To measuring the family rel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 Yang ok-kyung's(2001) ‘A family relation standard’ was used, to measuring self-efficacy, Cha jung-eun & Sim gye-hwa’s ‘A self-efficacy standard’ was used. For processing those data,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 first, total family relations have positive correlations in self-efficacy, and total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lation also show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t supports better family relation which recognized by student effect positively on self-efficacy. Second, the relation between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lation and subordinate factors of self-efficacy turned out emotion-intimacy factor has the highest effect to self-efficacy and its low-level factors. It means that family interaction, emotional intimacy and a matter of concern in building process of student’s self-efficacy are effected more importantly. Moreover, particularly emotional intimacy factors have higher correlation with self-regulated efficacy. Accordingly, to streng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 consulting or a family camping for enhancing emotional intimacy and its importance in family can be suggested as basic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관계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알아보고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가족관계 사이의 상관관계 및 그 하위 요인들 간의 관계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형성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주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및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정서친밀요인, 인정책임요인, 수용존중요인)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베이(Survey)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표집은 임의표집의 방법으로 대전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과 6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양옥경(2001)이 제작한 ‘가족관계척도’를 사용하였고, 개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차정은(1997)이 만들고 심계화(2004)가 수정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나온 자료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관계분석(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을 사용하였고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체 가족관계는 전체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가족관계의 모든 하위 요인 역시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관계가 원만할 때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과 전체 자기효능감 및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소 간 관계에서는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친밀관계 요인이 전체 자기효능감 및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 요인과 가장 높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친밀관계 요인이 전체 자기효능감 및 하위 요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형성에 있어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친밀성, 서로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같은 점들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정서친밀관계는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특히 자기조절효능감과 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정책임관계 요인은 자기효능감의 다른 하위 요인들 보다 자신감 요인과 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용존중관계는 과제난이도선호 요인과 좀 더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친밀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형성에 있어 가족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친밀성, 서로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같은 점들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에서의 가족관계 향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족 간의 정서적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겠다.

      •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실시간 비대면 음악치료에서의 보호자 역할에 대한 인식 조사

        류진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COVID-19로 인한 팬데믹 이후 비대면 음악치료의 방향 및 적용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발달장애 아동의 경우, 비대면 음악치료의 원활한 제공을 위해 보호자의 역할과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이 선행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고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실시간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보호자 역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 2-18세의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이하 아동) 자녀를 둔 보호자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보호자 및 아동의 일반적 정보를 비롯하여 비대면 음악치료 현황, 아동 및 보호자의 비대면 음악치료 경험과 인식, 보호자의 대면·비대면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등을 포함한 총 6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은 온라인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상자들의 응답을 수집하여 수집된 자료의 빈도와 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다. 또한 보호자 자신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수준과 비대면 음악치료에서 경험한 심리적 부담감의 수준, 향후 비대면 음악치료 참여 의사 수준 등과의 상관관계를 Pearson’s correla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아동과 보호자의 비대면 음악치료 경험 및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통해 비대면 음악치료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 보호자들이 갖는 자원 및 정보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발달장애 아동이 비대면 음악치료 이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점, 보호자들이 비대면 음악치료에 향후 참여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점 등 비대면 음악치료가 가지는 이점 및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실시간 비대면 음악치료가 장애아동과 장애아동의 가족에게 의미하는 바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보호자들에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COVID-19 pandemic, continuous discussions have been raised on the direction of implementing tele-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the role and support of parents are important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ele-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rents’ roles in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2 parent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2-18. The survey consisted of 68 questions, including general information of parents and children, their experiences of tele-music therapy and the perceptions on their roles in supporting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music therapy and their perceived competency,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burdens in taking such roles and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n in-person versus tele-music therap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for each collected response.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parents' perception on their role performance, the level of psychological burden experienced in tele-music therapy, and the level of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ele-music therapy was analyzed via the Pearson's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ele-music therapy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evelopmental children and their parents showed the benefits and significance of tele-music therapy, increased resources and information of parents, and positive responses following tele-music therapy. In addition, in preparation for the post COVID-19 era, this study presents the baseline data for how to develop and expand tele-music therapy strategies based on the need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including parents, and how to support the role of parents of the children as an immediate mediator for their children and an important partner with music therapists.

      • NGO 活動의 活性化 方案 : 光州廣域市를 中心으로

        류진선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s it is called renaissance of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due to globalization of democracy through re-organization of world order in result of the change of hegemony and collapse of colonial order, the end of the Cold-'War by collapse of USSR and socialism countries in the eastern Europe and enlargemen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ole after the World War II. The NGOs activity have extended from interest field of women, children,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poor people, refugees and consumers to peace, economic development, education, environment and culture field. The result of this summarized like that Firs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organizations external aspects such as the number of members, budget, own media and own information-related people of organization. Second, although NGOs in Gwang-ju have been accomplishing fast development of external aspects, they have many differences in the view of activities, region of activities and exchange compared with other area. Third, it is known that related in NGOs of Korea are higher unsatisfaction degree in self-evaluation of organizations. Especially, they are much unsatisfied stability which should be solved as soon as possible. Finally, NGOs in Gwang-ju have structural problems such as civil movement without citizens, excess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of NGOs leaders, deficiency of democracy in internal organization and lack of professionalism. Consequently, NGOs in Gwang-ju will be faced crisis if they continue only quantitative and external growth without established of internal system and identity. Therefore, if people related in NGOs of Korea to have self-reflection, they will play a positive and important role in new millen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