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韓國 美容師免許制度 改善方案에 대한 小考

        이한웅 대한피부미용학회 2003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1 No.1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with the current cosmetologist's licensing system in Korea. Based on the study's results, I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ystem as follows: First, a person who issues cosmetologist's licenses should be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Second, the system should be changed to a unified system under which all would-be cosmetologists obtain licenses through a licensing exam. Third, the “licensing without an exam” clause should be abolished. Four, the cosmetologist's license exams should be administered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who deals with hairdressing affairs. Fifth, application qualifications for cosmetologist's license exams should be limited to those who completed a certain level of education. That is because hairdressing needs requires specialized technique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Korea's hairdressing is now as advanced as that of developed countries, the above mentioned proposals should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policy as ways to enhance public confidence in the cosmetologist's licens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icensing system.

      • KCI등재후보

        미용기기와 제조물책임에 관한 연구

        이한웅,이유미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09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7 No.4

        Human beings changed the course of history by becoming Homo faber, which means “Man the Maker” from Homo sapiens, which means “Man the Smith.” Since then, human beings made a huge progress in material civilization. Nowadays, the products produced by the manufacturers became the inevitable necessities of life that we cannot live without. However, the tools, which are the convenience of civilization, sometimes become the weapon of civilization. Although the cosmetology devices that are large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cosmetology business require extra attention to their safety due to their special characteristic of being applied directly to the human bodies, no study has been done on the recovery from the harm caused by defective products. Furthermore, unfortunately there has not been an academic definition for the cosmetology devices. This study is trying to find and suggest the principle of recovery concerning the liability of commercial seller or distributor for harm caused by defective cosmetology devices based on the Product Liability Act that has been enforced since July 1st, 2002. The products that are targeted by the Product Liability Act mean the tangible, personal properties that were distributed commercially for use and consumption. Ones who are engaged in the business of selling or distributing the products are subject to liability for harm to persons or property caused by the defect. A product is defective when, at the time of sale or distribution, it contains a manufacturing defect, is defective in design, or is defective because of inadequate instructions or warnings. The victims should be able to prove the defect of the product and casual connection between product defect and harm. 인류는 생각하는 사람 즉 Homo sapiens에서 도구의 인간 즉 Homo faber로 변모하면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냈다. 이후로 인류는 물질문명의 차원에서 커다란 진보를 이룩할 수 있었다. 오늘날 제조업자가 생산한 제조물을 사용하지 않고는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없을 정도로 제조물은 현대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삶에서의 필수품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서 문명의 ‘이기’인 각종 도구는 때로는 문명의 ‘흉기’가 되기도 한다. 미용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미용기기는 인체에 직접 적용하는 특성으로 인해 그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의 배상에 관하여는 아직 연구가 진행된 바 없다. 특히 아직 미용기기의 정의조차 학문적으로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태다. 이 연구에서는 미용기기의 조작적 정의를 모색하는 한편, 2002.7.1부터 시행된 제조물책임법을 기초로 미용기기의 결함으로 인한 손해에 대한 배상 법리를 강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피부미용사제도 입법방안에 관한 소고

        이한웅 대한피부미용학회 2004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2 No.1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scrutinizing several major requisites required to enact the esthetician system as a law. In this thesis, the following legislation plans are put forward in conclusion. In the first place, in view of the point that 'esthetics' is a professional field that derives from an established esthetic field,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use esthetician, rather than to use the ambiguous term such as 'skin care worker' as a term for the field-related workers. Secondly, about the working field of esthetician,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either we should prescribe it in a positive or active way or in the other way round.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smetologist' and 'esthetician' needs to be defined as follows. As in the case of the provisions of ‘The Barbering and Cosmetology Act’ in the California State, the United States, we need to consider both 'cosmetologist' should be required to be licensed as an 'integrated cosmetologist' and 'esthetician' should be treated as a specially licensed area from 'cosmetologist.' Or we need to treat both 'cosmetologist' and 'esthetician' as an equivalent parallel relationship. Finally, although it might be part of legislation policy whether referring to the 'esthetician' qualification as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or simply 'license system,' it is requisite that, considering that skin care related work has a potent influence on the public health hygiene, 'license system' be implemented, and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should issue the license. It is essential that a nation be willing to have a constructive attitude with legitimacy to solve this according to the necessary steps despite the conflict between the persons concerned. We hope 'the system of esthetician' can be introduced at the earliest possible moment.

      • SCOPUSKCI등재

        벤젠과 톨루엔 분해에 적합한 미소환경과 토착미생물군의 분포변화

        이한웅,이상현,이정옥,김현국,이수연,방성호,백두성,김동주,박용근 한국미생물학회 2001 미생물학회지 Vol.37 No.1

        생물학적 방법으로 토착 미생물에 의해 벤젠과 톨루엔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토양환경인자의 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16가지의 서로 다른 환경의 미소환경(microcosm)을 제작하여 벤젠과 톨루엔 분해실험을 수행하였고, 아울러 분해과정에서 토착미생물의 분포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 조건중 토양의 수분 포화도는 30%와 60%이면서 동시에 생물들이 흡착할 수 있는 미생물 흡착제로 활성탄을 1% 첨가한 미소환경(Case 6, Case 7)에서 벤젠과 톨루엔의 분해속도가 가장 빨랐다. 토착토양미생물의 분포변화를 조사한 결과 벤젠과 톨루엔의 분해가 가장 빨리 일어나는 Case 6 와 Case 7에서는 10일 배양 후 total culturable bacteria는 초기 세균 수에 비해 각각 488배와 308배가 증가하였다. 벤젠과 톨루엔 분해세균의 증가 역시 총 세균수가 증가하는 비율로 증가하여 초기 분포를 계속 유지하였고, 벤젠과 톨루엔을 첨가한 미소환경에서 분해 미생물 종의 변화는, 첨가 전 그람음성 세균이 반응 10일 후에는 그람양성 세균이 탈이 분리되었다. Biological treatment of benzene and toluene contaminated soil was investigated in laboratory microcosm of 16 different types for degrading benzene and toluene by indigenous bacteria. At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the microcosms fast degrading benzene and toluene, moisture contents were 30% and 60% in a soil gap and content of powdered-activated carbon(PCA) for adhesion of benzene and toluene-degrading bacteria was 1% in total soil mass. At the conclusion of the shifted bacteria community, Case 6 and case 7 were operated until 10 days, and then the total cell number and the number of benzene and toluene degrading bacteria were investigated. The total cell number of Case 6 and Case 7 increased 488 fold and 308 fold of total indigenous cell, respectively. The number of benzene and toluene degrading bacteria increased and maintained the percentages occupied in pre-operating microcosm. Species of benzene and toluene degrading bacteria in microcosm changed from species of Gram negative bacteria to Gram positive bacterial species after soil exposed to benzene and toluene.

      • 現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화평법)의 문제점 및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해결 방안

        이한웅 한국경제연구원 2013 KERI Brief Vol.13 No.32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화평법)은 국민의 건강과 환경보호를 위해 필요한 규제이다. 그러나 現 화평법은 일부 강력한 규제 조항 때문에 기업의 등록비용을 증가시켜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 경제적 부담을 줄 수 있으며 국내 제조업 생산에도 영향을 주어 경제성장 둔화를 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1톤 미만 소량물질 및 연구용 화학물질 면제조항을 삭제하여, 등록대상물질 증가로 기업의 등록비용을 증가시키고 신물질 및 신제품 개발 연구를 어렵게 하여 기업 경쟁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정보제공 의무 때문에 기업은 영업 비밀 내용 공개를 회피하기 위해 최악의 경우 원료 납품을 중단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화평법은 모든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한국 경제성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법으로 환경부, 산업 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가 국민의 건강, 환경보호, 기업의 경쟁력 강화라는 세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現 화평법 개정과 하위법령 제정 시 산업계와 민간단체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둔화를 방지하기 위해 범부처“화평법 대응 공동기업지원단(가칭)”을 설립하여 기업이 화평법을 잘 이행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 교육, 대체물질 개발 및 GLP 시험기관 확충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용사 면허제도 한․일 비교

        이한웅,이유미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flaws of the Korean Cosmetologist License System by comparing it to that of Japan and analyzing the data, and to provide the alternatives that can supplement those flaws. The Korean Cosmetologist License System was first established through the Barber and Cosmetologist Act in 1961. On the other hand, in Japan, Cosmetologist Act was established in 1957, and this Act was separated from the Barber and Cosmetologist Act of Japan of 1947.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hree points: Cosmetology Education System, Cosmetologist Examination System, and the licensure process and effect. First, Japan has legal standards for the Cosmetology Education System, while Korea does not. On the other hand, in Korea, one can receive the Cosmetologist license after completing the requirements, while in Japan, one only becomes qualified to apply for the Cosmetology test. Second, Japan has the Cosmetologist Examination System, while Korea does not. In Korea, there is only the National Technique Examination System that gives qualification to receive the Cosmetologist License. Third, in Korea, only those with Cosmetologist License have rights to open the cosmetology businesses unlike Japan. However, systems in both countries approve only cosmetologists to do the cosmetology service.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미용사 면허제도에 관하여 비교 분석하여 고찰함으로써 한국 정책의 미비점을 발견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의 미용사 면허제도는 1961년 제정된 「이용사 및 미용사법」에 의하여 처음 제도화되었다. 반면에 일본의 경우는 우리보다 앞선 1957년에 「미용사법(美容師法)」이 제정되었으며, 이 법률은 이 보다 앞선 1947년에 제정된 「이용사 및 미용사법(理容師美容師法)」에서 분리되어 입법된 것이었다. 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쟁점을 다루었다. 미용 교육제도, 미용사 선발제도, 그리고 미용사 면허절차 및 효과에 관한 쟁점이 그것이다. 첫째, 미용 교육제도에서 일본은 법으로 정한 기준을 두고 있으나, 한국은 그렇지 않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미용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미용사면허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는 미용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될 뿐이다. 둘째, 일본은 미용사 면허시험제도를 두고 있으나, 한국은 그렇지 않다. 다만 한국은 미용사 면허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제도를 두고 있다. 셋째, 한국은 미용사 면허를 받은 자들에게만 독점적으로 미용업을 개설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있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 그러나 미용의 업무를 미용사에게만 독점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는 두 나라가 동일하다.

      • KCI등재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성향에 관한 기존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한웅,엄기열 한국지역언론학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ual appropriateness of the use of the term 'regionalism' and the methodological validity of the content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es done by communication scholars who have argued that regionalistic reporting of the local daily press has instigated, or at least has contributed to, regional antagonistic feeling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se researches have relied solely on the negative aspect of the term regionalism although the concept of regionalism has a positive and dynamic element in that it gives a social and historical identity to the constituents of a particular region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the basic foundation on which the local economy and grass roots democracy can flourished.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rough which these previous researches have drawn their conclusion was problematic because the analytical period of their research mostly coincides with the volatile times of the local or the presidential elections and also because mostly the headlines, not the whole contents, of the local press reports were analyzed. In identifying serious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y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chosen three examplary researches that claimed that they identified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ies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also identified that previous researches, including M.A. theses and Ph. D. dissertations, have failed to consider the positive role of the local press in the region both economically and socio-politically. Also on the methodological level, these researches have not had comprehensive categories for data analysis that often require categories for implied meaning of particular words or phrases in news reports as well as in opinionated columns. 본 논문은 기존의 언론학자들이 지역언론 특히 지역일간지들이 지역이기주의와 지역패권주의 등 부정적 의미에서의 지역주의적 보도를 양산하고 있다는 논문을 1990년대 초에 발표한 원로급 언론학자 3명의 논문을 검토하여 이러한 기존 연구의 지역주의에 대한 개념의 편협성 및 방법적 한계성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지역주의의 기원에 대한 논의 및 고착화 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검토와 아울러 지역주의라는 개념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차원의 의미 또한 엄밀히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지역주의에 대한 이러한 담론 및 의미 분석을 토대로 본 논문은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에 관한 기존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지역언론의 현실에 대한 인식부족은 물론 지역주의의 개념의 편협성과 내용분석기법의 한계 및 일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지역언론이 현재 잘못된 관행의 타파 및 재정적 안정의 확보 등의 다양한 문제를 극복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지만 지역언론은 기존 연구자들의 시각처럼 부정적인 의미의 지역주의를 양산하는 존재만은 아니며 오히려 지역사회의 원동력으로서 지방자치제의 성공적인 정착의 필수매체이자 지역발전의 구심점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향후 연구자들이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역주의에 대한 중층적 의미의 개념을 이해하고 보다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