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표준보육과정과 일본의 보육지침에서 건강영역의 비교 분석

        오연주(Oh Yeon J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5

        우리나라와 일본의 국가수준 보육과정인 '표준보육과정'과 '보육소보육지침'에서 건강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는 '표준보육과정'의 기본생활영역과 신체활동영역, '보육소보육지침'의 건강생활영역에서 지향하는 목표, 건강영역에서 제시하는 내용체계 및 서술방식, 교사지침의 내용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두 보육과정이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지만, '표준보육과정'은 영유아의 발달에 맞추어 '능력 및 태도'의 관점에서 연령과 수준별로 구조화하는 발달심리학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도달 목표에 대한 진술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보육소보육지침'은 보육소의 가정양육의 보완자적 역할을 분명히 기술하면서 유아 주체적 활동에 바탕을 둔 보육자의 보조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진술하였으며, 내용 체계는 연령을 세분화하였고 목표를 구체적으로 진술하지 않고 서술하는 성숙주의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표준보육괴정'은 6개 내용영역에 여러 하위 개념으로 분류되어 보육과정의 구성의 체계성이나 수준별 활동 내용의 세분화는 '보육소보육지침'에 비해 매우 잘 되어 있다. 그러나 영아기의 빠른 발달 시기이므로 0세부터 2세 미만을 하나의 연령 그룹으로 구분하기보다는 '보육소보육지침'과 같이 연령의 세분화를 신중히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하겠다. In this paper, a comparative analysis on health areas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in Korea and 'Educare Guidelines for Public Day Nursery' in Japan has been investigated. The basic life area and the physical activity area of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the healthy life area of the 'Educare Guidelines for Public Day Nursery' were selected as health area for comparison. Purpose, content, and guidelines for teachers in these areas were analyzed. Although there were manz similarities between them, some typical differences are as follows: (ⅰ)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suggests developmental psychological guidelines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their developmental level. The age groups are divided into under 2 years old, 2 years old, and 3 to 5 years old, and developmental levels are divided into 3 levels. The 'Educare Guidelines for Public Day Nursery' suggests guidelines according to children's age only, but this subdivides age groups. The age groups are divided into under 6-months, 6 to 15 months, 15 to 24 months, 2, 3, 4, and 5 years old group. (ⅱ) The purpose is defined in detail and implicitly in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but the 'Educare Guidelines for Public Day Nursery' defines explicitly. (ⅲ) Physical motor skill developments is one of key element in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in contrast, health is more emphasized in the 'Educare Guidelines for Public Day Nursery'. (ⅳ) In the health area, basic life and physical activity areas ate included in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for all age groups, but in the 'Educare Guidelines for Public Day Nursery' the health area is the main area for the under 15 months age group and divided into an area among 5-areas for groups older than 15 months. (ⅴ) The 'Educare Guidelines for Public Day Nursery' emphasizes outdoor play and environmental provision proper to children's health and safety more.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오연주 ( Yeon Joo Oh ),이지영 ( Ji Young Lee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4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5 No.2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3, 4, 5세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37명이며, 교사의 인터뷰 및 심층면접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유아 체육교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으로는 ‘남자’라는 성별, 다양한 체육수업 방식, 체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체육활동 제공이 있었다. 이와 반대로 유아 체육교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는 안전과 관련된 문제, 주제의 연관성 부족, 유아 개인차 이해 부족, 체육활동 운영방법, 다양한 전문적 인력풀의 부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체육교사에 대한 인식은 향후 유아체육교사의 전문성 개발 및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charging physic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consist of 37 kindergarten teachers educating 3, 4, and 5-years old children and were interviewed in depth during 15-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ositive perceptions were CD they are male teachers while almost of kindergarten teachers are female, (2) various type of physical education, (3) professional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and (4) regular and systematic physical activities. On the contrary, the negative perceptions were CD safety during activity, (2) weakness of connectivity to main education theme, (3) lack of understanding individual variations among children, (4) lack of diversity of activity, and (5) insufficient of manpower p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hopefully can help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making improvements and to formulate a policy concerning on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 KCI등재

        우리나라 그림책의 일본 번역판 연구: 표지와 저작권지를 중심으로

        오연주 ( Yeon Joo Oh ),김금희 ( Keum Hee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2

        우리나라 그림책의 일본판 번역 출판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파라텍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표지와 저작권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그림책이 일본 독자들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어로 번역 출판된 우리나라 그림책 29권과 원본 그림책 29권을 합한 총 58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총 25항목으로 된 분석틀에 따라 표지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내용 및 배열 그리고 저작권지에 제공된 출판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판형의 변형이 있었으며, 우리나라 관련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고 있었다. 둘째, 표지 제목의 변형과 부제의 추가 등이 나타났다. 셋째, 표지 제목의 크기, 색상, 배열, 디자인의 변형이 있었고, 제목 배열의 변형이 있었으며, 출판사명의 크기 및 위치 변형이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 관련 정보 제공, 출판사명 크기 및 배치, 제목 배치 등에서 독특한 일본의 그림책 문화를 엿볼 수 있었고, 우리나라의 여러 작가에 의한 다양한 작가의 작품이 번역 출판되고 있어, 우리 그림책 번역 출판의 높은 발전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번역 과정에서 나타난 다수의 판형 변형, 제목 변형, 표지 그림 변형은 양질의 번역 그림책 출판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Globalization on children`s literature and culture is a recent phenomenon. The challenges of translating for the young reader are getting atten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ross-cultural recep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ranslation. The influence of cultural and linguistic aspects in translation brings a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ward winning books selected by the world`s most recognized organizations are publishing in many different languages. Korean children`s books are getting attention in the world markets and have begun to be translated into different languages. The original picture books and the translated picture books reflect their own beliefs and valu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picture books were translated into Japanese. A total of fifty eight picture books including twenty nine original Korean picture books and twenty nine picture books in Japanese translation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texts of the titles, illustrations, and publication information on the cover and copyright pages to find whether there were any discrepancies in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books to the target books. A checklist of twenty four items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cover and copyright pages of the Japanese translations of Korean picture books. Discrepancies between the translated picture books and the original picture books were found in publication information, texts, and illustrations of the cover and copyright pages. Some deletions were identified in the texts and illustrations of the target book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ranslation issue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are discussed.

      • KCI등재
      • 만 2세 영아의 그림책 활용을 통한 실외놀이 프로그램 개발

        오연주 ( Yeon Joo Oh ),정수진 ( Soo Jin Jeong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4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영아를 대상으로 그림책과 연계한 실외놀이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영아의 실외놀이활동의 다양성, 실외놀이 참여 형태 및 그림책에 대한 흥미도가 어떻게 변화 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군포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2세 영아 8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부터 10주 동안 주당 2회 종 10차시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아들의 실외놀이 활동의 콘텐츠가 다양화 되었으며, 스스로 그림책의 장면이나 상황을 재현하는 놀이활동에 흥미를 갖고 즐겁게 참여하였으며, 활동 후보는 등 그림책에 대한 흥미가 높아진 것으로 그림책을 다시 주제가 담긴 놀이활동의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utdoor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for 2-years old infants, and investigate their effects in the aspects of diversity of contents of outdoor play,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picture books. The subjects were 8 2-years old infants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during 10-weeks, 2-times per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ompare with the previous outdoor play, various subjects of play were founded and the infants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play. The interests of infants in picture books were definitely improved, too. Consequently activity of reading picture books and activity in outdoor play were jointly formed a virtuous cycle.

      • 유아의 수면 시간이 유치원에서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오연주 ( Yeon Joo Oh ),이정수 ( Jung Soo Lee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4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수면습관을 알아보고 유아의 수면시간과 유치원 부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곳에 다니는 유아 141명을 대상으로 수면습관과 유치원 적응력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평균 수면시간은 약 10시간 2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수면습관과 유치원 적응력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수면시간은 유치원에서의 부적응과 부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sleeping habits and relationship between sleeping hours and maladjustment to kindergarten. Subjects were 141 children living in Kyunggi Province and study was perform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From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leeping hours was 10 hours and 2 minutes. Moreover the sleeping hours had negative effects on maladjustment to kindergarten.

      • KCI등재

        유아의 연령, 모자화 분석을 통한 모자애착, 자아존중감과 또래 유능성의 관계

        오연주(Oh, Yeon-Joo),김현지(Kim, Hyun-Ji),이정수(Lee, Jung-So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 5세 유아의 연령, 자아존중감 및 유아가 인식하는 모자애착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유치원만 4세 유아 121명, 만 5세 유아 110명이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현국, 이미숙(2006)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모자애착을 파악하기 위해 모자화분석을 하였으며,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번안한 교사용 또래 유능성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연령, 모자애착,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은 모자애착,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연령, 모자애착,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중 소속감, 통제감, 가치감, 연령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모자애착을 형성하는 유아의 초기 사회적 경험과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어머니-유아 간 안정적인 애착형성은 중요하고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 유능성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교육활동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sex, self-esteem mother-child attachement and peer-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21 of 4 year-old children and 110 of 5 year-old children.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other-and-Child drawing test with child attachment scale, Self-esteem scale for early-child, and Young children’ peer-competence checklist. Data were analyz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9.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 age, sex, self-esteem, mother-and child attachment and peer-competence. Second, among the effect of young children’ age, sex and self-esteem on peer-competence, especially sub factors such as sense of belonging, self-regulation, self-worth and sex had on effect on self-competence of early-children. In conclusion, this study let us know that the early-experience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 with his or her mother influenced to peer-competence of child. It is important to make an stable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Also, Educational activities are needed to encourage young children’ self-esteem and peer-competence.

      • 유아를 위한 실외 자유선택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오연주 ( Yeon Joo Oh ),김춘자 ( Choon Ja Kim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0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1 No.1

        실외 자유선택활동은 실외놀이가 갖는 장점과 유아의 자기 주도성을 중시하는 아동중심 교육의 장점이 결합된 형태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대부분 공간적 제약, 가용 자원의 한계 등의 환경적 제약 때문에 활발히 실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유아주도가 아닌 교사 주도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자유의지에 따라 실외에서 균형적 실외놀이 활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 였다. 그 결과, 유아들은 종래의 놀이형태보다 다양한 놀이 활동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아 자신들이 스스로 실외자유선택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평가하는 선순환구조의 자기주도 학습 방법은 이러한 균형적 활동 참여를 촉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Outdoor free choice activities for preschoolers are fairy effective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needs because it combines unique advantages of outdoor activity for children and of children-centered perspectives in which self-directed learning is valued. However, because of the constraint on avaliable space and insufficient resources, outdoor free choice activities are not sufficient in our education fields. Moreover most outdoor activity implementations are teacher-centered than children-centered. Motivated from these, we developed a new outdoor free choice activity program and applied it to a group of children in a preschool in Seou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1) Children joined and enjoyed more various activities than before, 2) Children`s self-directed activity planning abilities and self-evaluation abilities were improved. Children`s virtuous self-planning and self-evaluation processes were effective to improve their balanced participation of activities.

      • KCI등재

        스웨덴 어린이용 그림책의 발달사

        오연주 ( Yeon Joo Oh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7 No.2

        스웨덴은 몇 십 년 전만해도 문학에 관한 한 많은 면에서 주변 국가였지만, 역동적이며 혁신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최근 들어서는 뛰어난 그림책들 덕분에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으며, 스웨덴에서 수출되는 아동 문학책이 전 세계 외국도서 매출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의 어린이와 문화에 영향을 준 그림책의 탄생과 발전과정을 19세기 중반 이전의 그림책 준비기, 19세기말의 그림책의 탄생 및 20세기 중반 이전까지의 그림책 형성기, 20세기 중반의 그림책의 확장기, 20세기 중후반의 그림책 변화기, 그리고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그림책 다양화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 출판문화, 사회적 배경, 그림책의 문화적 특징, 대표 작가 및 작품 등을 고찰하였다. Even though Swedish picture books for children were not well developed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but now the Swedish picture books reaches up to 33% of the worldwide market of translated books for children. The past decade in Sweden in particuar has marked a breakthrough for contemporary Swedish literature. The great book in this filed is of course Pippi Long Stocking written by Astrid Lindgren. PiPPi Long Stocking have been translated to over a hundred languages and sold by the millions worldwide. This article was written in concerns of the history of Swedish picture books for the 19th century to recent years. In the aspect of political, social, economical, and educational prospect, the history of Swedish picture books was grouped in 5-periods; preparatory period ( upto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birth and formative period ( upto the middle of 20th century), extension period (during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variational period (late in the 20th century), and diversity period (upto recent years). In each period, situations of publishing business and technology, social situation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representative writers and illustrators, and their books, etc, were introduced in each historical periods.

      • KCI등재후보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에 제시된 그림책의 행복 관련 요소 분석

        오연주 ( Yeon Joo Oh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에 제시된 그림책을 분석하여 행복과 관련된 영역이 얼마나 언급되고 있는지 밝혀 보았다. 아직 영유아의 행복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지만,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에 제시된 그림책이 영유아 보육에 널리 사용될 것이라는 예상 하에, 제시된 그림책에 행복 관련 요소들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해봄으로써 영유아의 행복관련 교육의 현실을 일부나마 밝혀보고자 하였다. 보육프로그램에서 제시한 그림책 총 454권 중 정보그림책, 전집류 및 절판도서를 제외한 172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책에는 행복의 하위 영역인 지지감이 가장 많이 언급되어 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행복요소가 포함되었고, 그림책 당 2.13요소가 언급되어 있었다. 지지감은 표준보육과정의 ‘사회관계’영역과 직결되므로 이를 충분히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타 유능감과 향상감도 전체 그림책의 60% 정도에서 언급되고 있어 고른 언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능감의 세부영역에서는 통제감, 성취감, 자신감이 고루 언급되고 있으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더 많이 언급되었다. 지지감 세부영역에서는 유대감이 가장 많으며, 조력감, 수용감 순으로 언급되었다. 향상감의 세부영역에서는 몰입감, 의욕감, 기대감이 고루 언급되고 있으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더 많이 언급되었다. 그림책 한 권당 유능감은 1.32, 지지감은 1.90요소, 향상감은 1.06요소로 지지감의 세부요소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happiness and related fields are covered in the picture books which are recommended by "educare guideline" of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lthough general researches on children`s happiness are still in progress, we want to shed light on reality of education about happiness by analysing how the recommended picture books contain elements related to happiness. Our analyses of the picture books showed that (1) the picture books mentioned sense of support most, (2) older get more elements related to happiness, and (3) each book mentioned 2.13 elements on average. Since sense of support is directly connected with "social relation" of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we concluded that social relation is well reflected. In addition, sense of efficiency and sense of improvement are mentioned in 60% of the picture books, and that lead to our conclusion that they are reasonably reflected. Three particulars of sense of efficiency, sense of control, sense of achievement, and sense of confidence are mentioned with balance, and as older audience gets more reference. Sense of relation is most mentioned, then sense of assistance, and followed by sense of support in domain of sense of support. Three particulars of sense of improvement, sense of concentration, sense of morale, and sense of hope are also referenced with balance, and older audience gets more reference. Senses of efficiency, support, and improvement are mentioned 1.32 times, 1.90 times, and 1.06 times, respectively, per book, being sense of support most mentioned field. We can expect positive effects of promoting happiness of children with wide use of the recommended books which contain elements related to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