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 예비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기질적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이석순(Lee, Seok S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전문대학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기질적 행동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전공과 보육전공에 따른 예비 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기질적 행동특성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교사효능감과 기질적 행동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고 바람직한 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문대학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아교육전공과 보육전공 간의 일반적이고 개인적인 교사효능감은 차이가 없었으며,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교사효능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질적 행동특성은 유아교육과 보육전공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회성, 활동성, 정서성의 순서로 자신의 기질적 특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효능감과 기질적 행동특성 간 전체 상관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기질적 행동특성 전체, 정서성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정서성은 부적 상관이 있어 전체적으로 볼 때 전문대학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사로서 비교적 안정적인 기질적 행동특성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fficacy an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98 pre-service teachers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duc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eacher's Efficacy instrument was developed by Enochs & Riggs(1990) and which Boon Ryu, Lee(1998) reorganized that was used for this study.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for adults which was developed by Buss & Plomin(1984) was used for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PC+ 10.0 program. Means, t-test, Pearson's r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 1.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 teacher's efficacy according to major. 2. pre-service teachers were perceived that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leveled sociability, activity, emotionality 3. There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 teacher's efficacy an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창의 인성교육 인식 연구

        이석순(Lee, Seok S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ㆍ인성교육의 이해, 현황, 요구의 측면에서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연령, 가족소득, 예술경험의 정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년과 실습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는 3학년 보다는 4학년이, 4주 이상의 학교교육실습과 4주 이상의 보육실습을 모두 수행하거나 각각의 실습을 실시한 경우가 5주 이상의 정기적 관찰실습을 실시한 경우보다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연한이 많고 현장실습경험이 많을수록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ㆍ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해 실습 강화, 교과목 개설,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 정도에 따라 창의ㆍ인성교육의 인식과 실행 정도가 크게 변화되고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work is about to study what is recognition for pre-service teacher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sampled 344 pre-service teachers in Gyeunggi-Do, surveyed their recogni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ata were analyzed by Means, Standard deviation, %, and t-test, ANOVA analysis using the SPSS 15.0+ computer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Most of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o need of teacher’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y responded to importanc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But most of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learned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t that college and university. We fou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variables on age, family income, art experience degree, but Grade, type of practicum experience variables crate some meaningful difference.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pre-service teachers must learn about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moted as soon as possible. Doing so, we will support basic data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조사

        이석순(Lee Seok Soo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의 334명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경제문제에 대해 관심이 있고,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유아기 경제교육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유아경제교육의 목표로는 경제와 관련된 기본생활습관의 형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경제교육의 내용인 소비, 돈, 물건구매, 직업과 일, 생산, 광고 등의 각 요소들에 대해 보통 이상 중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경제교육의 실시방법으로는 이야기 나누기와 토의를 통해서와 교사들의 생활 속에서의 시범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교육담당자로는 교사와 부모가 함께 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여겼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은 대부분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경제교육 하위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교사교육을 위한 유아경제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구체화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 teacher's recognition of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sampled 334 student teachers in Gyeunggi-do, surveyed their recognition of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ata were analyzed by Means, Standard deviation, %,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15.0+ computer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80% of student teachers responded to need of teacher'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f economic education. But 81% of student teachers were not learned in economic education at that college. Most of student teachers responded to enhance children's right attitude and sense on economic. and most of student teachers recognized the significant effect of economic education domain ele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student teachers must learn about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economic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moted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비교 연구

        이석순(Lee Seok-S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인 구성체계와 내용을 중심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BR>  우리나라 유아교육과 보육사업은 같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함에도 불구하고 시대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유아교육과 보육은 관련법령과 주관부처가 다름으로 인해 이원화체제를 유지하면서 각기 다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을 적용하여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다.<BR>  연구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은 관련법과 행정조직이 다르나 편성운영체제는 비슷하게 구성되었으며, 교육/보육과정의 성격, 추구하는 인간상, 목적과 목표에서도 용어의 표현상 차이는 약간 있으나 매우 유사하게 기술되었다. 또한 영역 및 내용의 구성은 교육과정은 만 3-5세를 대상으로 5개 생활영역과 Ⅰ, Ⅱ, 공통수준으로 구분하였다. 표준보육과정은 6개영역과 만 2세 미만, 만 2세, 만 3~5세로 나누었으며, 내용별 수준을 연령에 따라 1ㆍ2ㆍ3 수준으로 구분하였다.<BR>  또한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측면에서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비슷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과 보육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향후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의 통합을 위한 여러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바람직한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law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methods of implementation, goals and objects, areas and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s of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organizations and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s are based on national education ideologies and philosophy, guideline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laws. Although titles and classifications are somewhat different, the contents are divided 5 or 6 different areas, which are based on developments, experiences, and knowledge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for children. The contents in areas divide in ages and levels of developments.<BR>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유형 및 선호도

        이석순(Lee Seok Soo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유형을 파악하고 교사와 부모가 선호하는 부모교육 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유형은 4곳의 대학부속 유치원과 한국 어린이육영회의 유형을 참조하였으며, 실제 조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13곳의 유치원과 12곳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선호도 조사는 교사 22명과 부모 190명의 설문지를 토대로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이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유형은 5개로 범주화하였고, 19개의 구체적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교사가 선호하는 부모교육 유형은 부모면담, 참여수업, 오리엔테이션, 가정통신문 순서였으며, 각종 부모회의, 자원봉사활동, 워크숍, 강연회를 덜 선호하였다. 부모는 부모참여수업, 각종 행사참여, 부모면담의 순서로 선호하였고, 각종 부모회의, 워크숍, 전문적 부모교육을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들은 유아들의 수업 장면이나 유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preference and types of par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enter. Types of parent education based on a survey of 13 kindergartens and 12 day care centers in Kyunggi-Do. Preference of parent education based on a survey of 22 teachers and 190 parents of enrolled in 10 early childhood center in Kyu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The chief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ypes of parent education at early childhood center were practiced are 5 categories and 19 items. 2) Parents were Preferred to parent participation for lessons and events, personal interview of parent education. 3) Teachers were Preferred to personal interview, orientation, printed materials for information of paren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이석순(Lee, Seok Soon),박은미(Park, Eun Mi)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 수준을 일반적 경향과 개인변인, 근무환경 변인에 따라 살펴보고,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바람직한 전문영아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개인변인에서는 연령과 근무경력, 결혼여부,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환경 변인에서는 근무기관 유형과 보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은 개인변인에서 학력과 교사연수와 재교육,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수준은 근무환경 변인으로 근무기관과 보수, 학급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근무시간과 학급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매우 긍정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성의 발달수준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th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ccording to variables perceived. The data collected from 349 infant educare teachers in Gyunggi-Do. first of all, we check individual variabl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ffecting thei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then we calibrate correlation of 2 factors. Doing so, we willing support basic data to enhanc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s tool of check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e used modified scale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made by Kim YuJin(2003), Shin JangMi(2007), Wi SookHee(2008),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we used modified sca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made by Yi KyungDon(2010) that developed by Back EunJu, Jo BuGyeong(2004). We fou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 as age, experiences, marital status,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on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s working facilities, salary crate some meaningful differ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academic background, teacher training,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marital status, experienc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working facilities, salary, number of classes). 2 factors are in very close correlation and higher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timulates bett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 KCI등재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동화 활용 방안

        이석순(Lee Seok-S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that the experience of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 improves the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is will then clarify its educational value, and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in the spo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BR>  Picture books include young children"s interests and inquiries of inner and outer world, many concepts, and logical and ethical thinking procedures.<BR>  This study suggests methods of young children"s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bilities. The auding, story telling, reading and writing, dramatic activities about picture books improve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ren"s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BR>  This means that the experience of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have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문학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석순(Lee Seok-Soo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유아의 문학활동이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문학활동의 실태를 116기관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유아교육기관의 문학활동의 목적은 인성발달을 위하여 라고 하였으나, 실시 방법의 대부분은 언어발달 측면의 읽어주기, 말하기, 편지쓰기, 단어가지 만들기 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능력 향상 검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S 유치원 5세 유아 92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각각 46명씩이었다. 실험집단에 속한 유아들의 문학활동 실시기간은 2004년 9월 5일부터 12월2일까지 12주에 걸쳐 매주 2회씩 총 24회의 실험처치를 하였다. 프로그램의 처치는 대그룹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1회 실시시간은 30분 정도이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같은 기간에 동화를 들려주는 활동만 실시하였다. 연구는 사전검사, 본 문학활동, 사후 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단어수, 문장수, 묘사 단어수, 도입, 주제, 구성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이런 연구의 결과는 동화를 통한 다양한 문학활동이 유아들의 언어능력의 향상을 가져오는데 좋은 매체라는 것과 현장의 문학활동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바람직한 전개방법 등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접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xperiencing literature activities and the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2 children of 5 years of age from two classes at S kindergarten in K city. 46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46 children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Literature Activities and related activities were over 12-week period. And Qestionnaire of Literature Activities survey 116 fields located at K city. This study suggests methods of young children"s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bilities. The auding, story telling, reading and writing, dramatic activities about picture books improve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ren"s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This means that the experience of literature activities have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bilities of young childre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